KR2010013639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396A
KR20100136396A KR1020100014486A KR20100014486A KR20100136396A KR 20100136396 A KR20100136396 A KR 20100136396A KR 1020100014486 A KR1020100014486 A KR 1020100014486A KR 20100014486 A KR20100014486 A KR 20100014486A KR 20100136396 A KR20100136396 A KR 20100136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ing
temperature
defrost
cool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9371B1 (ko
Inventor
아끼히사 히로따
마사유끼 시바야마
료오지 가와이
아끼요시 오오히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44853A external-priority patent/JP52604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44856A external-priority patent/JP53932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44855A external-priority patent/JP5386243B2/ja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4Control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0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에너지 절약 성능이 높고, 냉장고 내의 식품을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일어나기 어려운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압축기의 정지시, 냉동실 댐퍼를 닫힘,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제상 히터를 비통전 상태로 하고,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1 제상 수단과, 압축기의 정지시에, 냉동실 댐퍼를 닫힘,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2 제상 수단과, 압축기의 정지시에, 냉동실 댐퍼를 닫힘, 냉장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제상 히터에 통전하고, 송풍기를 정지 상태로 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3 제상 수단을 구비하고, 제1 내지 제3 제상 수단의 1개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복수의 제상 모드를 갖고, 복수의 제상 모드로부터 1개의 제상 모드를 선택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고, 그 후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송풍기를 정지 상태로 하여 제상을 행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특히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 운전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실(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냉장 온도대실에 대응)과 냉동실(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냉동 온도대실에 대응)을 공통의 냉각기에 의해 냉각하는 냉기 강제 순환 방식의 냉장고에 있어서, 서리를 녹이는 종래의 기술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4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압축기 정지 상태, 전체 댐퍼 닫힘 상태, 고내 송풍기 정지 상태에서 제상 히터 통전 상태로서 제상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통상 냉각 운전중에 압축기의 운전 시간의 적산이 소정값에 도달하였을 때, 또는 사용자가 수동식 가습 스위치를 ON한 경우에,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고내 송풍기를 가동시켜 가습 운전을 행하고, 소정 시간 경과한 후 또는 냉각기가 소정의 상한 온도로 상승하였을 때에 제상 운전을 종료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또한, 압축기의 운전 시간의 적산값이 소정값에 도달하였을 때에, 제상 히터에 통전함과 동시에,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고내 송풍기를 가동시켜 가습 운전(겸 제상 운전)을 행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압축기의 적산 운전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으로 된 경우에, 압축기의 운전을 정지하고, 제상 히터에 통전하고, 또한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여, 고내 송풍기를 가동함으로써 냉장실 내의 가습 운전(겸 제상 운전)을 행하고, 냉장실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는, 제상 히터에의 통전을 정지 및 압축기의 운전 재개에 의해 냉장실 내의 냉각 운전(냉장실 온도 복귀 운전)을 행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제상 운전시에 제상 히터 통전전에 압축기 정지 상태에서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여, 비교적 온도가 높은 냉장실 내의 냉기를, 고내 송풍기를 가동함으로써 냉기 토출 덕트 내에 귀환시키도록 하여 냉각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냉각기의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높아진 경우에, 고내 송풍기를 정지하고, 냉장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여 제상 히터에 통전하여 제상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2-31466호공보 특허문헌2: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1-280784호공보 특허문헌3:일본특허제3912233호공보 특허문헌4: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3-83667호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에너지 절약 성능이 충분히 높지 않고, 또한 확실한 제상을 행하거나, 제상중의 냉장실 온도 및 냉동실 온도를 각각의 소정 온도 이하로 유지한다고 하는 점에서 신뢰성이 낮았다. 이하에 그 이유를 설명한다.
우선, 에너지 절약 성능에 관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장실과 냉동실을 공통으로 냉각하는 냉각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이 냉각기의 서리를 녹이기 위한 제1 방식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압축기 정지 상태, 전체 댐퍼 닫힘 상태 및 고내 송풍기 정지 상태에서, 제상 히터 통전 상태로서 서리를 가열하여 녹이는 방식이다. 이 방식의 에너지 절약 성능은 [1] 제상 히터와 서리의 사이의 열 전달 효율, [2] 서리의 냉열의 취급을 고려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다. 우선, [1] 제상 히터와 서리의 사이의 열 전달 효율에 대해서인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제상 히터에 의해 서리를 가열하는 방식에서는, 기본적으로 제상 히터로부터 서리에의 전열은 자연 대류에 의하게 되기 때문에(복사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연 대류가 지배적), 제상 히터와 서리의 사이의 열 전달 효율은 낮다. 따라서, 필요한 열량을 서리에 부여하기 위해서는, 제상 히터에 더 많은 입력이 필요해져서 에너지 절약 성능은 낮다. 다음에, [2] 서리의 냉열의 취급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장실은 통상 3 내지 5℃ 정도로 유지되는 실이기 때문에, 0℃에서 상 변화(융해)하는 서리는, 냉장실로부터 보면, 냉장실을 냉각할 수 있는 냉열원으로서 생각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제상 히터에 의해 서리를 가열하여 녹이는 방식(제1 방식)은, 이용 가능한 서리의 냉열을 냉장실의 냉각에 재이용하지 않고 버리게 되어 에너지 절약 성능을 충분히 높일 수 없었다.
냉장실과 냉동실을 공통으로 냉각하는 냉각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이 냉각기의 서리를 녹이기 위한 제2 방식은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압축기 정지 상태에서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 제상 히터 비통전 상태로 하고, 고내 송풍기를 가동시켜 냉장실을 가습한다고 하는 방식이다. 이 제2 방식은 가습을 목적으로 한 것인데, 이 방식으로도 서리는 녹기 때문에 여기서는 제2 방식으로서 설명한다. 이 경우, 제상 히터에의 입력은 제로이고, 외부로부터 투입하는 에너지는 고내 송풍기의 동력(일반적으로 제상 히터 입력에 비하여 충분히 작음)만으로 되고, 또한 서리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가 냉장실에 공급된다.
즉, 서리의 냉열을 이용하여 냉장실을 차게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성능은 매우 높다. 단, 이 제2 방식에 의해 완전한 제상을 행하기는 어렵다. 이는 압축기 정지 상태에서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고내 송풍기를 가동시킨다고 하는 방식에서는, 서리를 녹이기 위해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제상(완전한 제상)을 행하고자 하면, 댐퍼를 닫아 송풍을 멈추고 있는 냉동실의 온도가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냉각기의 서리를 녹이기 위한 제2 방식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공통으로 냉각하는 냉각기를 구비한 냉장고의 제상 방식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냉장실과 냉동실을 공통으로 냉각하는 냉각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이 냉각기의 서리를 녹이기 위한 제3 방식은 특허 문헌 2 또는 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압축기 정지 상태에서,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 제상 히터 통전 상태로 하고, 고내 송풍기를 가동시킨다고 하는 방식이다. 이 제3 방식은 가습을 목적으로 한 것인데, 이 방식으로도 서리는 녹기 때문에 여기서는 제3 방식으로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서 이 방식의 에너지 절약 성능을 설명한다.
도 12는 특허 문헌 2 또는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압축기 정지시에 냉동실에의 냉기 순환을 차단한 상태에서, 제상 히터에 통전함과 동시에 냉동고 내에 설치된 고내 송풍기에 의해 냉장실로 송풍을 행함으로써 가습 운전을 행한 경우의 냉장실 내의 온도, 냉장실 토출 공기 온도, 및 냉각기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냉장실로부터 되돌아오는 공기는 제상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 상승한다. 여기서, 가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냉장실로부터의 귀환 공기는 제상 히터에 의해 온도를 충분히 높여 상대 습도를 내린 상태로 하여(포화 수증기량을 높인 상태로 하여) 냉각기에 흘리도록 하면 된다. 이에 의해, 냉각기 표면의 물(또는 서리)이 더 많이 증발(또는 승화)하기 때문에, 많은 수분을 포함한 공기를 냉장실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상 히터에 의해 온도를 충분히 높임으로써, 냉장실에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도 동시로 상승하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 토출 공기의 온도는 냉장실보다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냉장실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과도하게 냉장실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그와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냉장실 내의 냉각 운전(냉장실 온도 복귀 운전)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서리의 상 변화(융해)를 위해서, 서리 융해 개시부터 서리 융해 완료까지는 냉각기 온도는 거의 0℃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가습을 주목적으로 하여, 압축기 정지시에, 냉동실에의 냉기 순환을 차단한 상태에서, 제상 히터에 통전함과 동시에 냉장고 내에 설치된 고내 송풍기에 의해 냉장실로 송풍을 행하는 특허 문헌 2 혹은 특허 문헌 3의 종래 기술에서는, 냉장실의 온도 상승이 발생하는, 즉 냉장실을 냉각할 수 없었다. 이 점으로부터, 냉각기의 서리를 녹이기 위한 제3 방식은, 고내 송풍기에 의해 강제 대류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상 히터와 서리의 사이의 열 전달 효율은 높지만, 냉각기의 서리를 녹이기 위한 제1 방식의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용 가능한 서리의 냉열을 냉장실의 냉각에 재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그만큼 에너지 절약 성능은 낮아진다. 즉, 특허 문헌 2 혹은 특허 문헌 3의 종래 기술에서는, 가습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서리의 냉열을 재이용한다」는 에너지 절약성을 높이기 위한 배려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종래의 서리를 녹이는 기술을 이용하여 제상(완전한 제상)을 행하는 경우,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작았다.
다음에 상기한 확실한 제상을 행하거나, 제상중의 냉장실 온도 및 냉동실 온도를 각각의 소정 온도 이하로 유지한다고 하는 점의 신뢰성에 관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 혹은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냉장실로부터의 귀환 공기가 형성하는 냉각기실의 냉기의 흐름의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장과, 냉동실로부터의 귀환 공기가 형성하는 냉각기실의 냉기의 흐름의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장이 상이하기 때문에, 고내 송풍기에 의해 냉장실로 송풍을 행하여 제상을 행한 경우에, 서리가 녹기 어려운 개소가 존재하는 것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그 결과, 사용자에게 특별한 과실, 예를 들면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하는 등이 없어도 에너지 절약 성능의 악화나 냉장고 내의 식품을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비교적 온도가 높은 냉장실 내의 냉기를, 고내 송풍기를 가동함으로써 냉기 토출 덕트 내에 역류시켜 냉각기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온도가 높은 냉장실 내의 냉기를 냉장실 귀환 덕트 내가 아니라, 냉장실 송풍 덕트 내에 역류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의 냉각 운전시와는 반대 방향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면 고내 송풍기를 역회전시키거나 반대 방향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고내 송풍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생긴다.
통상, 고내 송풍기는 순회전시에 송풍 효율이 최대로 되도록 날개 형상이 설계되기 때문에, 역회전시에는 송풍 효율이 대폭 저하한다. 따라서, 소정의 풍량을 얻기 위해서, 예를 들면 역회전시에 회전 속도를 높인다는 것이 필요해지고, 고내 송풍기의 소요 동력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나, 소음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반대 방향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서 별도로 제2 고내 송풍기를 설치한 경우에는 냉장고 용적의 감소나 코스트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기술은, 냉각기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높아진 경우에 고내 송풍기를 정지하고, 냉장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여 제상 히터에 통전하여 제상하는 것인데, 제상시의 냉각기의 온도 변화에 대한 배려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성능이 낮거나, 사용자에게 특별한 과실이 없어도 냉장고 내의 식품을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없게 되거나 한다는 가능성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과제가 발생하는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상시의 냉각기 온도는 서리의 온도를 거의 나타내고 있고, 서리의 온도 변화는 서리가 마이너스 온도 내지 0℃에 이르기까지의 현열 변화의 부분, 서리의 융해시(상 변화시)에 보이는 0℃ 일정의 잠열 변화의 부분, 서리가 완전히 녹은 후의 0℃보다 온도가 높아지는 현열 변화의 부분에 의해 구성된다. 서리(얼음)의 비열은 약 2kJ/(㎏·K), 서리(얼음)의 융해 잠열은 약 335kJ/㎏, 물의 비열은 4.2kJ/(㎏·K)인 점으로부터, 냉장고의 냉각기의 서리를 녹이는 경우, 잠열 변화(상 변화)시에 매우 많은 열량이 필요로 된다.
이 점으로부터, 제상시에 특히 서리가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0℃ 일정의 시간이 길어진다. 다시 말하면, 서리는 0℃ 일정의 상 변화시에 매우 많은 열을 흡열할 수 있는 냉열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 성능을 고려하면, 제상 히터가 비통전 상태이고, 고내 송풍기에 의해 냉장실로 송풍을 행하는 제상 방식은, 서리의 냉열을 이용하여 냉장실을 냉각하고 있는 즉 냉장실의 열 부하로 서리를 녹이고 있는 효과와, 송풍에 의해 강제 대류를 일으킴으로써 냉각기와 송풍의 열 전달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성능이 높다.
한편, 고내 송풍기를 정지 상태에서 제상 히터에 통전하는 제상 방식은, 서리의 냉열을 냉각에 이용하지 않고, 또한 냉각기와 그 주위의 공기는 자연 대류이므로, 강제 대류에 비하여 열 전달 효율이 낮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성능은 낮다.
이상을 고려한 경우,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의, 고내 송풍기를 정지하기 위한 냉각기 온도의 설정값을 0℃ 이하로 설정한 경우, 서리가 갖는 냉열 중, 현열 변화의 부분의 냉열만 냉장실의 냉각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장실의 냉각을 위해서 더 많은 이용 가능한 냉열을 취출할 수 있는 잠열 변화의 부분에 대해서는, 고내 송풍기를 정지한 상태에서 행해지는 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에 의해 버려지게 된다. 이에 의해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작았다.
한편, 고내 송풍기를 정지하기 위한 냉각기 온도의 설정값을 0℃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한 경우, 서리의 양이 비교적 많은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0℃ 일정의 시간(잠열 변화의 부분)이 길어지고, 그 동안에 냉기 순환을 차단한 상태의 냉동실의 온도 상승이 현저해져, 사용자에게 특별한 과실이 없어도 냉동 식품이 녹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에너지 절약 성능이 높고, 냉장고 내의 식품을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가능성이 생기기 어려운,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적어도 냉동 온도대실과, 냉장 온도대실과, 압축기와, 상기 냉동 온도대실과 상기 냉장 온도대실을 공통으로 냉각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로 냉각된 냉기를 상기 냉동 온도대실과 상기 냉장 온도대실에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냉동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동실 댐퍼와,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냉장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장실 댐퍼와, 상기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녹이는 제상 히터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를 비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1 제상 수단과,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2 제상 수단과,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에 통전하고, 상기 송풍기를 정지 상태로 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3 제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상 수단, 상기 제2 제상 수단 및 상기 제3 제상 수단의 1개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복수의 제상 모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상 모드로부터 1개의 제상 모드를 선택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고, 그 후 상기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정지 상태로 하여 제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냉동 온도대실과, 냉장 온도대실과, 압축기와, 상기 냉동 온도대실과 상기 냉장 온도대실을 공통으로 냉각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로 냉각된 냉기를 상기 냉동 온도대실과 상기 냉장 온도대실에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냉동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동실 댐퍼와,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냉장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장실 댐퍼와, 상기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녹이는 제상 히터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를 비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1 제상 수단과,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2 제상 수단과,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에 통전하고, 상기 송풍기를 정지 상태로 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3 제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상 수단, 상기 제2 제상 수단 및 상기 제3 제상 수단의 1개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복수의 제상 모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상 모드로부터 1개의 제상 모드를 선택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고,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상기 제1 제상 수단 및 제2 제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상기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1회 또는 복수회 행한 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냉동 온도대실과, 냉장 온도대실과, 압축기와, 상기 냉동 온도대실과 상기 냉장 온도대실을 공통으로 냉각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로 냉각된 냉기를 상기 냉동 온도대실과 상기 냉장 온도대실에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냉동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동실 댐퍼와,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냉장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장실 댐퍼와, 상기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녹이는 제상 히터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를 비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1 제상 수단과,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2 제상 수단과,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에 통전하고, 상기 송풍기를 정지 상태로 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3 제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상 수단, 상기 제2 제상 수단 및 상기 제3 제상 수단의 1개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복수의 제상 모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상 모드로부터 1개의 제상 모드를 선택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제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제상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여 상기 냉장 온도대실의 냉각 운전을 소정 시간 행한 후,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에서는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냉장 온도대실로부터의 귀환 공기로 녹이면서, 냉장 온도대실을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의 잠열 등으로 냉각하게 되어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크다.
또한,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에서는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냉장 온도대실로부터의 귀환 공기를 더 제상 히터로 가열하여 그 후의 공기로 서리를 녹이고, 냉장 온도대실에 적절한 온도의 공기 온도로서 냉장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상 운전에 있어서의 서리와의 열 전달 효율이 좋고,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경우보다 보다 단시간에 제상이 가능하게 된다. 제상 히터만에 의한 제상보다 에너지 절약 효과가 좋다.
그 결과, 제1 내지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조합함으로써,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에 있어서 제상 히터만에 의한 냉각기와의 자연 대류에 의해 냉각기를 제상하는 것보다 에너지 절약 효과가 높은 제상 운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상 모드의 제상 운전을 실시한 후, 상기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정지 상태로 하여 제상을 행함으로써, 확실하게 냉각기를 제상할 수 있다.
또한,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상기 제1 제상 수단과 제2 제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상기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1회 또는 복수회 행한 후에 행함으로써, 제상 히터의 통전 시간을 짧게 하여 소비 전력량을 줄일 수 있음과 함께, 냉각기의 서리를 성장시키지 않고 서리 제거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상 수단과 제2 제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도중에서 일단 정지하여 냉각 운전을 행한 경우에는,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소정의 냉각 상태를 행한 후에 행함으로써, 냉장고(1)의 고내의 온도를 현저하게 높이지 않고 제1 제상 수단과 제2 제상 수단에서 남은 서리를 남기지 않고 제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3 제상 수단의 전에 상기 제1 제상 수단과 제2 제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3 제상 수단의 전에 상기 제1 제상 수단과 제2 제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효과가 높은 제상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기 전에, 상기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를 소정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를 사전에 냉장 온도대실의 수납물의 허용되는 온도까지 상승시켜, 냉장 온도대실을 제상의 열 부하로서 이용함으로써 제상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제상 히터의 통전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상 운전에서는, 압축기를 정지한 상태에서,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면서,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가 유지되거나 저하하도록 제상 히터의 통전량을 조정하기 때문에, 냉장 온도대실을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의 잠열 등으로 냉각하게 되어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크다. 또한,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를 소정값으로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상 운전에서는, 압축기를 정지한 상태에서,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면서,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가 유지되거나 저하하도록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냉장 온도대실을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의 잠열 등으로 냉각하게 되어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크다. 또한,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를 소정값으로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제상 히터의 통전량 및 상기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상 운전에서는, 압축기를 정지한 상태에서,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면서,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가 유지되거나 저하하도록 제상 히터의 통전량과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냉장 온도대실을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의 잠열 등으로 냉각하게 되어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크다. 또한,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를 소정값으로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상 히터의 통전량과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제상의 제어와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의 제어의 자유도가 증가되어 제어를 하기 쉽다.
또한,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후에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제1 제상 모드를 갖고, 그 제1 제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상기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와 상기 냉각기의 온도의 차가 소정 온도차 이하로 되었을 때에 종료하여,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와 냉각기의 온도의 차가 소정 온도차 이하로 되었을 때에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종료하여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로 절환한다.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와 냉각기 온도의 차가 작아지면, 냉장 온도대실의 수납물을 제상의 열 부하로서 이용하는 제상의 효과는 작아져 제상 시간이 늘어날 뿐이고, 그 결과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요구되는 소정의 온도 범위보다 상승할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제상 효율이 좋은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으로 적절하게 절환함으로써 제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후에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제2 제상 모드를 갖고, 그 제2 제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상기 냉각기의 온도가 0℃ 이상의 소정의 제1 냉각기 온도보다 높아졌을 때에 종료하고,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기의 온도가 0℃ 이상의 소정의 제1 냉각기 온도보다 높아졌을 때에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종료하기 때문에,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중인 송풍기로부터 냉장 온도대실에 순환시키는 공기에 의해,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가 냉장 온도대실에 요구되는 소정의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온도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상기 냉각기의 온도가 상기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보다 높아졌을 때에 종료하고,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기의 온도가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보다 높아졌을 때에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종료하기 때문에,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중인 송풍기로부터 냉장 온도대실에 순환시키는 공기에 의해,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가 냉장 온도대실에 요구되는 소정의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온도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상기 냉각기의 온도가 소정의 제2 냉각기의 온도까지 상승하였을 때에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종료시키는 냉각기의 온도 조건을 제1 냉각기 온도와 상이한 제2 냉각기 온도로 설정할 수 있고, 그리고 제2 냉각기 온도를 냉장 온도대실에 요구되는 소정의 온도 범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냉각기를 완전히 제상 가능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신뢰성이 높은 제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선택된 제상 모드가 상기 냉각기의 온도에 의해 제상 완료를 판정하는 것이고, 상기 제상 완료를 판정하는 제상 완료 판정 온도가 상기 선택된 제상 모드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제상 모드의 제상 완료 판정 온도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각 제상 모드의 목적에 따른 냉각기의 제상의 종료 상태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의 상기 제상 완료 판정 온도가, 상기 제3 제상 수단이 실시되지 않는 제상 모드의 제상 완료 판정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의 제상 완료 판정 온도는, 제3 제상 수단이 실시되지 않는 제상 모드의 제상 완료 판정 온도보다 높게 설정된다.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제상 히터로 자연 대류에 의한 열교환으로 냉각기를 제상하는 것으로,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같이 냉장 온도대실에 공기가 순환되지 않기 때문에, 더 높은 냉각기 온도의 제상 완료 판정 온도로 설정 가능하여 완전환 제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 실시중에, 상기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소정의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제3 제상 수단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상 운전중에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소정의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제3 제상 수단을 실시하기 때문에, 냉동 온도대실의 수납물이 녹는다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냉각기의 제상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가 상기 선택된 제상 모드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된 제상 모드에 따라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를 달리 하여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운전 빈도가 높은 가벼운 제상 운전에서는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를 낮게, 운전 빈도가 낮은 확실한 제상을 행하는 제상 운전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를 높게 설정하여 제상 운전에 의한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 변화의 큰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에 있어서의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쪽이,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지 않는 제상 모드에 있어서의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 빈도가 높은 가벼운 제상 운전에서는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를 낮게, 운전 빈도가 낮은 확실한 제상을 행하는 제상 운전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를 높게 설정하여 제상 운전에 의한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 변화의 큰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만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에 있어서의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쪽이,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또는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포함하는 제상 모드에 있어서의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 빈도가 높은 가벼운 제상 운전에서는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를 낮게, 운전 빈도가 낮은 확실한 제상을 행하는 제상 운전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를 높게 설정하여 제상 운전에 의한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 변화의 큰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 실시중에, 상기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상기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에는, 제상 운전을 중단하고, 상기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실시한 후에, 상기 제상 모드와는 상이한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중에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소정의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제상 운전을 중단하고,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실시한 후, 그때까지 행하고 있던 제상 모드와는 상이한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기 때문에, 동일한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에 몇 번이나 이르도록 하는 제상 운전을 반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 실시중에, 상기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상기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에는, 제상 운전을 중단하고, 상기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실시한 후에,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지 않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 실시중에,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에는, 제상 운전을 중단하고,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실시한 후에,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지 않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기 때문에 제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 실시중에, 상기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상기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에는, 제상 운전을 중단하고, 상기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실시한 후에,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만 실시하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 실시중에,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에는, 제상 운전을 중단하고,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실시한 후에,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만 실시하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기 때문에 제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 절약 성능이 높고, 냉장고 내의 식품을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가능성을 일으키기 어렵고,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정면 외형도.
도 2는 냉장고의 고내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냉장고의 고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냉각기 주변 부분의 부분 측면도.
도 5는 냉각기 주변 부분의 부분 정면도.
도 6은 제상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제상 운전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제상 운전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제상 운전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제상 운전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제상 모드 4에 있어서의 제상시의 타임 차트.
도 12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가습 운전시의 타임 차트.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정면 외형도이고, 도 2는 냉장고의 고내의 구성을 도시한 도 1에 있어서의 X-X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냉장고의 고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냉기 덕트나 분출구의 배치 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1)는, 상방부터 냉장실(2),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야채실(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장실(2)과 야채실(6)은, 청구항에 기재된 냉장 온도대실에 대응하고,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은 청구항에 기재된 냉동 온도대실에 대응한다.
냉장고(1)는 전방측에 좌우로 분할된 좌우 양문형의 냉장실 도어(2a, 2b)를 구비하고,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야채실(6)은, 각각 서랍식 제빙실 도어(3a), 상단 냉동실 도어(4a), 하단 냉동실 도어(5a), 야채실 도어(6a)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실 도어(2a, 2b), 제빙실 도어(3a), 상단 냉동실 도어(4a), 하단 냉동실 도어(5a), 야채실 도어(6a)를 간단히 도어(2a, 2b, 3a, 4a, 5a, 6a)라고 칭한다.
또한, 냉장고(1)는, 도어(2a, 2b, 3a, 4a, 5a, 6a)의 각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각각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 센서와, 도어 개방 상태라고 판정된 상태가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분간 이상 계속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리는 도시하지 않은 알람, 냉장실(2)의 온도 설정이나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의 온도 설정을 하는 도시하지 않은 온도 설정기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고외와 고내는, 발포 단열재(발포 폴리우레탄)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되는 단열 케이스체(10)에 의해 나누어져 있다. 냉장고(1)의 단열 케이스체(10)는 복수의 진공 단열재(25)를 실장하고 있다.
고내는, 단열 구획벽(28)에 의해 냉장실(2)과, 상단 냉동실(4) 및 제빙실(3)[도 1 참조, 도 2 중에서 제빙실(3)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나누어지고, 단열 구획벽(29)에 의해 하단 냉동실(5)과 야채실(6)이 나누어져 있다.
도어(2a, 2b)[도 1 참조, 도 2에서는 냉장실 도어(2b)는 도시하지 않음]의 고내측에는 복수의 도어 포켓(3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2)은 복수의 선반(36)에 의해 종방향으로 복수의 저장 스페이스로 구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및 야채실(6)은, 각각의 실의 전방에 구비된 도어(3a, 4a, 5a, 6a)와 일체로 수납 용기(3b, 4b, 5b, 6b)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도어(4a, 5a, 6a)의 도시하지 않은 손잡이부에 손을 대고 앞쪽으로 꺼냄으로써 수납 용기(4b, 5b, 6b)를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제빙실(3)에도 마찬가지로, 도어(3a)와 일체로 도시하지 않은 수납 용기(도 2 중 3b로 표시)가 설치되고, 도어(3a)의 도시하지 않은 손잡이부에 손을 대고 앞쪽으로 꺼냄으로써 수납 용기(3b)를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적절히 도 3 참조), 냉각기(7)는 하단 냉동실(5)의 대략 뒤쪽에 구비된 냉각기 수납실(8) 내에 설치되어 있고, 냉각기(7)의 상방에 설치된 고내 송풍기(송풍기)(9)에 의해 냉각기(7)와 열교환하여 차가워진 공기[냉기, 이하 냉각기(7)로 차가워져서 생긴 저온 공기를 냉기라고 칭함]가 냉장실 송풍 덕트(11), 부호가 생략된 야채실 송풍 덕트(도 3 참조),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 및 도시하지 않은 제빙실 송풍 덕트를 통하여 냉장실(2), 야채실(6),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제빙실(3)의 각 실에 보내진다. 각 실에의 송풍은 냉장실 댐퍼(20)와 냉동실 댐퍼(50)의 개폐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냉장실(2),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및 야채실(6)에의 각 송풍 덕트는, 도 3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고(1)의 각 실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장실 댐퍼(20)의 열림 상태, 냉동실 댐퍼(50)가 닫힘 상태일 때에는, 냉기는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거쳐 다단으로 형성된 분출구(2c)로부터 냉장실(2)에 보내지고, 냉장실 송풍 덕트(11)로부터 분기한 야채실 송풍 덕트(도 3 참조)를 거쳐 분출구(6c)로부터 야채실(6)에 보내진다.
또한, 냉장실(2)을 냉각한 냉기는, 예를 들면 냉장실(2)의 하면에 형성된 귀환구(2d)로부터 냉장실 귀환 덕트(16)를 거쳐 냉각기 수납실(8)(도 5 참조)의 정면으로부터 보아, 예를 들면 우측 하부로 되돌아간다. 또한, 야채실(6)로부터의 귀환 공기는, 귀환구(6d)를 거쳐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로 되돌아간다.
도 3에서는 냉동실 댐퍼(50)가 생략되어 있지만, 냉동실 댐퍼(50)가 열림 상태일 때, 냉각기(7)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고내 송풍기(9)에 의해 도시 생략된 제빙실 송풍 덕트나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를 거쳐 분출구(3c, 4c)로부터 각각 제빙실(3), 상단 냉동실(4)로 송풍되고,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를 거쳐 분출구(5c)로부터 상단 냉동실(4)로 송풍된다.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제빙실(3)을 냉각한 냉기는, 하단 냉동실(5)의 안쪽 하방에 형성된 냉동실 귀환구(17)를 통하여 냉각기 수납실(8)로 되돌아간다.
또한, 냉각기(7)의 하방에 제상 히터(22)가 설치되어 있고, 제상 히터(22)의 상방에는 제상수가 제상 히터(22)에 적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 커버(5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상 히터(22)는 후기하는 제어 기판(31)에 의한 듀티 제어에 의해 출력을 가변할 수 있다.
냉각기(7) 및 그 주변의 냉각기 수납실(8)의 벽에 부착된 서리가 제상에 의해 융해함으로써 생긴 제상수는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에 구비된 통(23)에 유입한 후에, 배수관(27)을 통하여 후기하는 기계실(19)에 배치된 증발 접시(21)에 도달하여, 후기하는 응축기의 열에 의해 증발된다.
또한, 냉각기(7)의 정면으로부터 보아 우측 상부에는 냉각기 온도 센서(35), 냉장실(2)에는 냉장실 온도 센서(33), 하단 냉동실(5)에는 냉동실 온도 센서(34)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각각 냉각기(7)의 온도(이하, 냉각기 온도라고 칭함), 냉장실(2)의 온도(이하, 냉장실 온도라고 칭함), 하단 냉동실(5)의 온도(이하, 냉동실 온도라고 칭함)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장실 온도가 청구항에 기재된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에, 냉동실 온도가 청구항에 기재된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에 대응한다.
또한, 냉장고(1)는, 고외의 온습도 환경(외기 온도, 외기 습도)을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외기 온도 센서와 외기 습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야채실(6)에도 야채실 온도 센서(33A)를 배치해도 좋다.
단열 케이스체(10)의 하부 배면측에는 기계실(19)이 설치되어 있고, 기계실(19)에는 압축기(24) 및 도시하지 않은 응축기가 수납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고외 송풍기에 의해 응축기의 열이 제열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소부탄을 냉매로서 이용하고, 냉매 봉입량은 약 80g으로 소량으로 하고 있다.
냉장고(1)의 천정벽 상면측에는 CPU, ROM이나 RAM 등의 메모리, 인터페이스 회로 등을 탑재한 제어 기판(31)이 배치되어 있고, 제어 기판(31)은 상기한 외기 온도 센서, 외기 습도 센서, 냉각기 온도 센서(35), 냉장실 온도 센서(33), 냉동실 온도 센서(34), 도어(2a, 2b, 3a, 4a, 5a, 6a)의 각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각각 검지하는 상기한 도어 센서, 냉장실(2) 내벽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온도 설정기, 하단 냉동실(5) 내벽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온도 설정기 등과 접속하고, 상기 ROM에 미리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기(24)의 온, 오프 등의 제어, 냉장실 댐퍼(20) 및 냉동실 댐퍼(50)를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도시 생략된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제어, 고내 송풍기(9)의 온/오프 제어나 회전 속도 제어, 상기 고외 송풍기의 온/오프 제어나 회전 속도 제어 등의 제어, 상기한 도어 개방 상태를 알리는 알람의 온/오프 등의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적절히 도 2,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냉각기에 유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4는 냉각기 주변 부분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5는 냉각기 주변 부분의 부분 정면도이다.
냉장실 댐퍼(20)가 닫힘 상태이고, 또한 냉동실 댐퍼(50)가 열림 상태이고, 냉동 온도대실[제빙실(3), 상단 냉동실(4) 및 하단 냉동실(5)]만의 냉각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빙실(3)에 제빙실 송풍 덕트를 통하여 송풍된 냉기 및 상단 냉동실(4)에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도 2 참조)를 통하여 송풍된 냉기는 하단 냉동실(5)로 하강하여, 하단 냉동실(5)에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도 2 참조)를 통하여 송풍된 냉기와 함께, 도 4 중에 화살표(C)로 나타내는 냉동실 귀환 공기와 같이, 하단 냉동실(5)의 안쪽 벽 하부에 배치된 냉동실 귀환구(17)를 경유하여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 전방으로부터 냉각기 수납실(8)로 유입되고, 냉각기 배관(7a)에 다수의 핀이 부착되어 구성된 냉각기(7)와 열교환한다.
또한, 냉동실 귀환구(17)의 횡폭 치수는, 도 5에 도시한 냉각기(7)의 폭 치수[냉각기 폭 치수(L)]와 거의 동등한 횡폭이다.
한편, 냉장실 댐퍼(20)가 열림 상태이고, 또한 냉동실 댐퍼(50)가 닫힘 상태이고, 냉장 온도대실[냉장실(2) 및 야채실(6)]만의 냉각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냉장실(2)로부터의 귀환 냉기는, 도 5 중에 화살표(D)로 나타내는 야채실 귀환 공기와 같이, 냉장실 귀환 덕트(16)를 통하여 냉각기 수납실(8)의 측방 하부로부터 냉각기 수납실(8)로 유입되어 냉각기(7)와 열교환한다.
또한, 야채실(6)을 냉각한 냉기는, 도 4 및 도 5 중에 도시하지 않은 야채실 귀환구(6d)(도 2 참조)를 통하여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에 유입하는데, 풍량이 냉동 온도대실을 순환하는 풍량이나 냉장실(2)을 순환하는 풍량에 비하여 적어, 냉각기 수납실(8) 내의 냉기의 흐름의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장[이하, 냉각기 수납실(8) 내의 공기의 흐름의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장을 간단히 「흐름장」이라고 칭함]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작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냉장실 댐퍼(20) 및 냉동실 댐퍼(50)가 양쪽 모두 열림 상태이고, 냉장 온도대실과 냉동 온도대실이 동시에 냉각되고 있는 경우에는, 냉장 온도대실로부터의 귀환 냉기의 흐름과, 냉동 온도대실로부터의 귀환 냉기의 흐름이 서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냉각기 수납실(8) 내의 냉기의 흐름은 복잡한 흐름장으로 되는데, 대략 도 4에 도시한 냉동 온도대실로부터의 귀환 냉기의 흐름(C)과, 도 5에 도시한 냉장실(2)로부터의 귀환 냉기의 흐름(D)을 포갠 흐름장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1)의 구성에 한하지 않고, 냉장 온도대실과 냉동 온도대실을 공통의 냉각기(7)에 의해 냉각하는 냉기 강제 순환 방식의 냉장고에서는, 각각의 귀환 냉기의 냉각기 수납실(8)에의 유입 개소, 냉각기 수납실(8)에의 유입 방향(각도), 풍량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냉동 온도대실로부터의 귀환 냉기와, 냉장 온도대실로부터의 귀환 냉기가 형성하는 냉각기 수납실(8)에 있어서의 흐름장은, 냉장 온도대실만을 냉각하고 있는 경우, 냉동 온도대실만을 냉각하고 있는 경우, 냉장 온도대실 및 냉동 온도대실을 동시에 냉각하고 있는 경우의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상이한 것으로 된다.
한편, 통상, 냉장고(1)의 고내의 온습도 환경을 고려한 경우, 온도가 높은 냉장 온도대실 쪽이 온도가 낮은 냉동 온도대실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절대 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냉각기(7)로의 서리 부착의 근원이 되는 수분은, 주로 냉장 온도대실로부터 운반되어 오게 된다. 이 점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1)에서는, 냉장실 귀환 냉기가 유입하는 도 5 중에 나타내는 영역(B) 주변에 서리 부착이 생기기 쉽다. 이 서리 부착 상태의 경우, 압축기(24)(도 2 참조) 정지시에, 냉동 온도대실에의 냉기 순환을 차단한 상태에서 고내 송풍기(9)에 의해 냉장 온도대실로 송풍을 행하고, 제상을 행하면(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 서리 부착이 생기기 쉬운 개소와 제상을 행할 때에 형성되는 흐름이 흐르기 쉬운 개소가 일치하기 때문에 서리는 녹기 쉬워 제상의 효율은 높아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특이한 냉장고(1)의 사용을 하지 않아도 상기한 통상의 냉장고의 고내 온습도 환경으로부터 일탈하는 조건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냉동 온도대실에 대량으로 상온의 생선이나 고기를 넣어 냉동 보존을 시도하는 경우, 혹은 냉동 온도대실의 도어(3a, 4a, 5a)와 단열 케이스체(10)의 사이에 미소한 틈이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도어(3a, 4a, 5a)의 개방 상태를 상기 도어 센서가 검지할 수 없어서 알람에 의한 알림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가 그 상황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 등에 발생한다. 후자의 예로서는, 냉동 온도대실의 도어(3a, 4a, 5a)와, 단열 케이스체(10)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의 전면의 사이에 작은 음식 찌꺼기 등이 끼인 상태에서 도어(3a, 4a, 5a)가 닫힌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a, 4a, 5a)는 기본적으로 닫혀 있기 때문에, 알람 기능은 작동하지 않아 사용자는 도어에 틈이 생겼음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차회의 도어(3a, 4a, 5a)의 개폐가 행해질 때까지는 틈이 생긴 상태에서 냉장고(1)의 운전이 계속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냉각기(7)에의 서리 부착의 근원이 되는 수분은, 냉동 온도대실로부터도 많이 냉각기 수납실(8)에 운반되어 오게 된다. 따라서, 서리 부착은 냉각기 폭 치수(L)와 거의 동등한 치수의 냉동실 귀환구(17)로부터의 유입의 영향으로 냉각기(7)의 하부의 거의 전체 폭에 대량으로 발생하게 된다.
한편, 압축기(24) 정지시에, 냉동 온도대실에의 냉기 순환을 차단한 상태에서, 고내 송풍기(9)에 의해 냉장 온도대실로 송풍을 행하여 제상을 행하는 경우, 제상이 효과적으로 행해지는 영역은 상기와 같이, 냉장 온도대실로부터 귀환 냉기가 흐르기 쉬운 도 5 중에 나타내는 영역(B)이 되기 때문에, 냉장 온도대실로부터의 귀환 냉기의 흐름의 영향이 미치기 어려운 도 5 중에 나타내는 영역(A) 부근의 서리는 녹기 어렵다.
따라서, 영역(A) 부근의 서리가 좀처럼 녹지 않기 때문에 제상 시간이 연장되어, 제상 동안 고외로부터의 열 침입을 계속 받고 있는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현저하게 상승하여, 예를 들면 냉동 식품이 녹는다고 하는 가능성이 발생하고 있었다.
나아가, 영역(A) 부근에 서리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냉각기(7)에 설치하는 냉각기 온도 센서의 설치 장소에 따라서는, 그 검지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제상이 종료되었다고 오판정되어, 냉각기(7)에 서리가 남은 채로 통상 운전을 재개하여, 냉각기(7)에 있어서의 열교환의 효율이 저하하여 에너지 절약 성능이 악화된다. 나아가서는, 냉각 능력이 부족하여, 냉장고(1)의 고내 온도를 소정값으로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었다.
다음에, 종래 기술에 있어서 제상 종료를 오판정하는 원인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냉장 온도대실을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은, 도 5 중의 서리가 녹기 쉬운 영역(B) 부근의 서리가 녹을수록, 영역(B) 부근의 통풍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에, 영역(B) 부근에 공기의 흐름이 더욱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서리가 적은 영역을 흐르는 공기의 양이 증가해 가, 서리와의 열교환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영역(A) 부근에 서리가 남아 있어도 순환하는 공기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이 공기 온도의 상승에 의해,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제상시에 냉각기(7)의 서리가 남기 쉬운 냉각기(7)의 상부에 냉각기 온도 센서(35)가 설치되어 있던 경우이더라도 그 위치에서의 냉각기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 기판(31)(도 3 참조)은 제상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나 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압축기(24) 정시시에, 냉동실 댐퍼(50)를 닫아 냉동 온도대실에의 냉기 순환을 차단한 상태에서 제상 히터(22)에 통전하고, 고내 송풍기(9)에 의해 냉장 온도대실로 송풍을 행하는 방식을 채택한 경우라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제상 히터(22)에 통전하더라도 송풍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제상 히터(22)로부터의 복사에 의한 제상 효과가 적어져, 도 5 중의 영역(A) 부근의 서리가 녹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상 히터(22)로부터의 복사에 의한 제상 효과가 작아지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복사에 의한 전열량(Qrad)은 다음 수학식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온면(T1)과 저온면 온도(T2)의 4승의 차(T14-T24)에 비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수학식 1]
Qrad∝(T14-T24)
한편, 발열량(Q)이 일정한 물체 표면의 온도(Tsurf)는, 다음 수학식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의 온도(Tair)와 전열 면적(SA)이 동일하면 물체 표면의 열전달율(h)이 클수록 낮아진다.
[수학식 2]
Tsurf=Tair+(Q/(h·SA))
또한, 일반적으로 열전달율(h)은 물체 표면을 흐르는 바람의 풍속이 클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송풍 상태이면 송풍하지 않은 상태에 비하여 열전달율(h)은 높아진다. 이상으로부터, 제상 히터(22)의 발열량이 동일한 경우이더라도, 송풍 상태로 한 경우에는 수학식 2로부터 제상 히터(22) 표면의 온도는 송풍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저하한다. 제상 히터(22) 표면 온도가 저하하면, 수학식 1로부터 저온면 온도(여기서는 서리 표면 온도)가 동일한 경우, 복사에 의한 전열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복사에 의한 제상 효과가 작아진다.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에서는, 제상 히터(22)와 냉각기(7)의 사이에 상부 커버(53)가 더 존재하기 때문에 복사에 의한 제상 효과는 더욱 작아진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나 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압축기(24) 정지시에, 냉동 온도대실에의 냉기 순환을 차단한 상태에서, 제상 히터(22)에 통전하고, 고내 송풍기(9)에 의해 냉장 온도대실로 송풍을 행하는 방식을 채택한 경우, 도 5 중의 영역(A) 부근은 복사에 의한 제상이 충분히 행해지지 않고, 또한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에 상기한 바와 같이, 냉장 온도대실을 순환하는 공기류에 의해서도 충분히 제상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에너지 절약 성능이 악화한다. 나아가서는, 냉각 능력이 부족하여 고내 온도를 소정값으로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1)의 제상 방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상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제상의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1은 제상중인 제상 히터, 고내 송풍기, 냉장실 댐퍼, 냉동실 댐퍼, 압축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와 냉장실 온도, 냉동실 온도, 냉각기 온도의 추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압축기(24)가 가동하고 있는 상태를 「압축기 ON」, 압축기(24)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9)가 가동하고 있는 상태를 「고내 송풍기 ON」, 고내 송풍기(9)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고내 송풍기 OFF」, 제상 히터(22)에 통전하고 있는 상태를 「제상 히터 ON」, 제상 히터(22)에 통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제상 히터 OFF」, 냉장실 댐퍼(20)가 열림 상태이고, 냉장 온도대실에의 송풍이 가능한 상태를 「냉장실 댐퍼 열림」, 냉장실 댐퍼(20)가 닫힘 상태이고, 냉장 온도대실에의 송풍이 차단된 상태를 「냉장실 댐퍼 닫힘」, 냉동실 댐퍼(50)가 열림 상태이고, 냉동 온도대실에의 송풍이 가능한 상태를 「냉동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50)가 닫힘 상태이고, 냉동 온도대실에의 송풍이 차단된 상태를 「냉동실 댐퍼 닫힘」이라고 약칭한다.
또한, 냉장고(1)의 통상 냉각 운전의 모드로서 복수의 냉각 운전 모드가 준비되어 있고, 「압축기 ON,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FF」의 상태를 「냉장실 냉각 운전」 모드, 「압축기 ON,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닫힘, 냉동실 댐퍼 열림, 제상 히터 OFF」의 상태를 「냉동실 냉각 운전」 모드, 「압축기 ON,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 열림, 제상 히터 OFF」의 상태를 「냉장실·냉동실 동시 냉각 운전」 모드라고 칭한다.
여기서, 통상 냉각 운전이란, 냉장실 온도 센서, 냉동실 온도 센서 및 외기 온도 센서가 검지하는 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24)와, 고내 송풍기(9)와, 고외 송풍기의 제어(ON/OFF 제어나 회전 속도 제어)와, 냉장실 댐퍼(20), 냉동실 댐퍼(50)의 개폐 상태의 제어에 의해, 각 실을 소정 온도(예를 들면, 냉장실은 3℃ 정도, 야채실은 5℃ 정도, 냉동실은 -18℃ 정도)로 유지하는 운전이다.
또한, 이하의 제상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는, 야채실(6)은 냉장실(2)의 일부로서 취급하여 야채실(6)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1)는, 제상 운전에 있어서의 모드로서 제상 모드 1 내지 6의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상 모드 중에서, 도 6의 표의 아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FF」의 「고내 송풍기에 의한 제상」을 행하는 제상 모드 1은 청구항에 기재된 「제1 제상 수단」에 대응하고, 「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N」의 「고내 송풍기+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을 행하는 제상 모드 3은 청구항에 기재된 「제2 제상 수단」에 대응하고, 「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FF, 냉장실 댐퍼 닫힘,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N」의 「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을 행하는 제상 모드 6은 청구항에 기재된 「제3 제상 수단」에 대응한다.
그리고, 제상 모드 2는 제상 모드 1(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후에 계속해서 제상 모드 3(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하는 모드이고, 제상 모드 4는 제상 모드 1(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후에 계속해서 제상 모드 3(제2 제상 수단), 제상 모드 6(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하는 모드이고, 제상 모드 5는 제상 모드 3(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후에 계속해서 제상 모드 6(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하는 모드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1)에 있어서의 제상 운전의 모드는 제1 내지 제3 제상 수단의 모두 또는 일부를 조합하여 제상 모드로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상 모드 4가 청구항의 제1 제상 모드에 대응하고, 제상 모드 4, 5가 청구항에 기재된 제2 제상 모드에 대응한다.
도 6의 표의 「제상전 조건」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상 모드 4 내지 6에 대하여 적용되는 제상 운전 개시전의 냉장고(1)의 냉각 운전 모드, 냉동실 온도나 냉장실 온도의 온도에 대한 조건이 상이하다. 또한, 도 6의 표의 「제상」란에는 각 제상 모드를 알기 쉽도록 제상 수단 1 내지 3의 조합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도 6의 표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상 모드 1 내지 6은 어떠한 냉동실 온도나 냉장실 온도나 냉각기 온도의 제상 완료 판정 온도의 조건으로 각각의 제상 모드가 완료할 것인지가 나타나, 예를 들면 냉동실 온도로 판정하는 경우라도 각 모드에서 적용되는 온도 수치가 상이하다.
여기서, 도 6의 표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란에 나타내는 냉각기 온도의 조건이 청구항에 기재된 제상 완료 판정 온도에 대응한다.
제상전 조건 및 제상 완료 판정 조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기하는 흐름도의 설명중에서 설명한다.
《제상 운전의 제어의 흐름》
다음에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제상 운전의 제어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는 제어 기판(31)(도 2 참조)의 CPU가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고는 전원 투입에 의해 운전이 개시되고(스타트), 초기 조건으로서 FLAGi=0, FLAGj=0, FLAGk=0으로 된다(스텝 S100).
여기서, FLAGi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제상 모드 4가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고, 제상 모드 4에 있어서의 제상 운전의 도중에서 냉동실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제상 운전을 중단하고 냉동실 냉각 운전 등을 일시적으로 행하여, 다른 제상 모드로 이행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기도 하다. 또한, FLAGj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조건이 만족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고, 그 제상 운전에 있어서의 제상 모드의 절환을 위한 플래그이기도 하다. FLAGk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제3 제상 수단이 없는 제상을 행하였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그리고, 통상 냉각 운전이 행해진다(스텝 S101). 스텝 S102에서는, 통상 냉각 운전의 모드가 「냉동실 냉각 운전」이고, 또한 냉동실 온도가 -21℃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냉동실 냉각 운전」 모드이고, 또한 냉동실 온도가 -21℃보다 낮은 경우(예)에는 스텝 S10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101로 되돌아가서 통상 냉각 운전을 계속한다.
통상 냉각 운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3종류의 냉각 운전 모드가 있기 때문에, 통상 냉각 운전을 계속하는 경우, 「냉동실 냉각 운전」 모드를 계속하는 것 이외에 냉장실 온도, 냉동실 온도에 기초하여 「냉동실 냉각 운전」 모드 이외의 다른 2종류의 냉각 운전 모드(「냉장실 냉각 운전」 모드, 「냉장실·냉동실 동시 냉각 운전」 모드)로 절환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냉장실(2)에 온도가 비교적 높은 식품을 넣거나 하는 경우, 「냉동실 냉각 운전」 모드로부터 「냉장실 냉각 운전」 모드로 절환하여 냉장실(2)을 빠르게 소정 온도까지 냉각한 후에 다시 「냉동실 냉각 운전」 모드로 이행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냉동실 온도가 -21℃보다 낮은 경우, 계속해서 신뢰성 확보 제상을 행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3). 여기서, 신뢰성 확보 제상이란, 냉각기(7)와 그 주변의 서리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제상이고, 구체적으로는 냉각기 온도가 서리가 녹는 온도인 0℃보다 충분히 높은, 예를 들면 8℃를 초과할 때까지 제상을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뢰성 확보 제상을 행하는 조건인지의 여부는, FLAGk=1인지의 여부, 또는 전회의 신뢰성 확보 제상의 제상 운전 완료후로부터의 압축기(24)의 적산 운전 시간과 압축기(24)의 가동 회전 속도와, 고외의 온습도 환경[외기 온도, 외기 습도(상대 습도)]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이 조건은, 미리 ROM에 테이블 데이터의 형태로 외기 온도, 외기실, 적산 운전 시간, 가동 회전 속도를 파라미터로 하여 저장되어 있고, 이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판정된다. 예를 들면, 외기 온도 30℃, 상대 습도 70%의 조건이면, 거의 1일에 1회의 빈도로 신뢰성 확보 제상을 행하는 조건이 만족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신뢰성 확보 제상을 행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예)에는 스텝 S201로 진행하고, 신뢰성 확보 제상을 행하는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아니오)에는, 계속해서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조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4). 여기서,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조건이란, 고내의 온도 변동이 약간 커져도,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제거하는 것을 우선시키는 제상이 필요한 조건이다. 이 조건은, 예를 들면 외기 온도가 35℃보다 높고, 또한 외기 습도가 85%보다 높은 경우로 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예)에는 스텝 S501로 진행하고,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아니오)에는, 자동적으로 제상 모드 1이 선택된다(스텝 S105).
여기서,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조건을 만족이란, 외기 온도 센서가 검지하는 온도가 35℃보다 높고, 또한 외기 습도 센서가 검지하는 습도(상대 습도)가 85%보다 높은 경우에,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정한다.
(제상 모드 1)
계속해서, 제1 제상 수단(「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FF」)에 의한 제상 운전이 행해진다(스텝 S106). 스텝 S106의 제상 운전 상태는, 스텝 S107에 있어서의 냉동실 온도 -17℃보다 높음, 스텝 S108에 있어서의 냉장실 온도 5℃보다 높음, 스텝 S109에 있어서의 냉장실 온도 0℃보다 낮음, 또는 스텝 S110에 있어서의 냉각기 온도 0.5℃보다 높음 중 어느 하나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계속되고, 스텝 S107 내지 스텝 S110 중 어느 하나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이 만족되면(예) 제상 모드 1에 의한 제상 운전은 종료하고(스텝 S111), FLAGk=1이라고 기억시킨다(스텝 S112). 그 후, 통상 냉각 운전(스텝 S101)이 재개된다. 스텝 S107 내지 스텝 S109의 각각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아니오)에는, 다음 스텝 S108 내지 스텝 S110의 각각 제상 완료 조건의 체크로 진행한다.
여기서, 스텝 S107에 있어서의 냉동실 온도인 -17℃는 청구항에 기재된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에 대응한다.
여기서, 각 제상 완료 판정 조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텝 S107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냉동실 온도>-17℃)은, 고외로부터의 열 침입에 의해 냉동실 온도가 상승한 경우나, 한창 제상 모드 1에 의한 제상 운전중에 사용자에 의해 냉동 온도대실의 도어(3a, 4a, 5a) 중 어느 하나가 개폐되는 등의 요인으로 냉동실 온도가 상승한 경우에 만족된다.
스텝 S108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냉장실 온도>5℃)은, 기본적으로 냉장실(2)은 서리가 갖는 냉열에 의해 냉각되고 있기 때문에 온도 상승은 일어나기 어려워 만족되는 경우는 적지만, 사용자에 의해 냉장실(2) 내에 온도가 높은 식품이 넣어진 경우에 만족되는 경우가 있다. 서리가 남아 있는 상태(냉각기 온도가 저온인 상태)이면, 시간은 걸려도 냉장실의 냉각은 실시되는데, 스텝 S108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냉장실 온도>5℃)이 만족되는 경우에는 새로 넣어진 식품의 냉각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스텝 S108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은, 새로 넣어진 식품을 빠르게 냉각하기 위해서 마련된 스텝이다.
스텝 S109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냉장실 온도<0℃)은, 「압축기 OFF」시의 냉각기 온도가 매우 저온이고, 저온이며 양도 비교적 많은 서리가 냉각기(7) 및 그 주변에 부착되어 있고, 이들 저온의 서리의 영향(서리의 현열의 영향)으로 냉장실(2)의 온도 저하가 현저한 경우에 드물게 만족되는 것이고, 냉장실(2) 내의 식품의 동결 방지를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스텝 S110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냉각기 온도>0.5℃)은, 냉각기(7)의 서리가 거의 완전히 녹아서 냉각기(7)의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한 경우에 만족된다.
또한, 서리 부착량이 비교적 많은 경우에는, 서리가 녹기보다 먼저 냉동실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강해져, 스텝 S107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이 만족됨으로써 제상 모드 1이 종료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서리 부착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는, 스텝 S110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이 만족됨으로써 제상 모드 1이 종료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제상 운전 종료(스텝 S111) 후, 스텝 S112에서 FLAGk=1이라고 기록된다.
(제상 모드 1의 효과)
다음에, 제상 모드 1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상 모드 1은,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고내 송풍기에 의한 제상)만을 이용한 제상이기 때문에, 제상을 위해서 외부로부터 투입하는 에너지는 고내 송풍기(9)의 동력(소비 전력 1 내지 2W 정도)만이고, 서리가 갖는 냉열을 이용하여 냉장실(2)을 냉각하는, 다시 말하면, 고내의 열부하를 이용하여 서리를 녹이고 있는 점으로부터, 에너지 절약 성능이 매우 높은 제상 방식이다. 또한, 에너지 절약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상 모드 1을 실시하였을 때에, 가능한 한 많은 서리를 녹이는 것이 효과적이고, 냉각기(7)의 서리가 거의 녹았다고 할 수 있는 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은 제상 완료 판정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제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장고(1)는, 식품을 소정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기본 기능이기 때문에, 그 기본 기능이 손상되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소정 온도 범위 유지라는 냉장고의 기본 기능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제상 모드 1에 의한 에너지 절약 효과를 얻기 위해서 스텝 S107 내지 스텝 S109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스텝에 의해, 소정 온도 범위 유지라는 기본 기능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의 에너지 절약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신뢰성(소정 온도 범위 유지)과 에너지 절약 성능을 양립할 수 있는 냉장고로 되어 있다.
또한, 서리 부착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는, 스텝 S110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이 만족됨으로써 제상 모드 1이 종료할 확률이 높아지는데, 서리 부착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는, 서리를 녹이기 위해서 필요한 열량에 대하여, 압축기(24)의 정지시에 냉각기(7)의 냉매 배관 내의 액냉매를 가열하기 위해서 필요한 열량이 상대적으로 큰 비율로 되기 때문에, 제상 모드 1을 스텝 S110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종료시키는 케이스를 늘린다. 즉, 에너지 절약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압축기 OFF시」에 냉각기(7)의 냉각기 배관(7a) 내에 존재하는 액냉매의 양을 적게 하는 것도 유효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봉입량은 약 80g(냉매는 이소부탄)으로 소량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기(24)의 정지시에 냉각기(7)의 냉각기 배관(7a) 내에 존재하는 액냉매의 양을 적게 할 수 있고, 제상 모드 1이 스텝 S110의 제상 완료 판정 조건을 만족하여 종료하는 케이스가 비교적 많아, 에너지 절약 성능이 우수한 냉장고로 되어 있다.
〈제상 모드 4;신뢰성 확보 제상〉
다음에, 스텝 S103에 있어서, 신뢰성 확보 제상을 행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스텝 S103에 있어서, 신뢰성 확보 제상을 행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예)에는, 부호 (1)에 따라 도 8의 스텝 S201로 진행하여 FLAGi=1이라고 기억시킨다.
이어서 제상 모드 4가 선택되고(스텝 S202), 제상 모드 4에 의한 제상 운전 개시의 조건인 「냉동실 냉각 운전」 또한 냉장실 온도가 5℃보다 높은지를 체크한다(스텝 S203). 「냉동실 냉각 운전」 또한 냉장실 온도가 5℃보다 높아진 경우(예)에는 스텝 S20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203을 반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상 모드 4는 「냉동실 냉각 운전」의 모드중에 냉장실 온도가 5℃보다 높아진 경우에 개시되는 것이기 때문에, 스텝 S103의 시점에서 「냉동실 냉각 운전」이 실시되고 있는 점으로부터, 스텝 S202에서 제상 모드 4가 선택되어도 냉장실 온도가 5℃보다 높아질 때까지 「냉동실 냉각 운전」의 통상 냉각 운전의 모드가 계속된다.
스텝 S203에서 스텝 S204로 진행하면, 제상 모드 4의 제1 단계의 제상 운전인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FF」)을 행한다. 계속해서, 스텝 S205에서 FLAGi=2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FLAGi=2인 경우(예)에는 스텝 S208로 진행하고, FLAGi≠2인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스텝 S201에서 FLAGi=1이라고 기억시키고 있으므로, FLAGi=2는 만족되지 않기 때문에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6에서는, 냉동실 온도가 -10℃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냉동실 온도가 -10℃보다 높은 경우(예)에는 스텝 S30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207로 진행한다. 스텝 S207에서는, 냉장실 온도와 냉각기 온도의 온도차(냉장실 온도-냉각기 온도)가 2℃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온도차가 2℃보다 낮은 경우(예)에는 스텝 S208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06으로 되돌아가고,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계속하면서 스텝 S206, 207의 체크를 반복한다.
여기서, 스텝 S206에 있어서의 냉동실 온도인 -10℃는 청구항에 기재된 냉동실 온도대 상한 온도에 대응한다.
스텝 S208에서는, 제상 히터(22)를 ON으로 하고, 또한 그 출력을 80W로 한다[(제상 히터 ON(80W)]. 스텝 S208에서 제상 히터(22)를 ON으로 함으로써,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상태(고내 송풍기+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N」]로 된다.
그리고, 스텝 S209에서 냉동실 온도가 -10℃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냉동실 온도가 -10℃보다 높은 경우(예)에는, 부호 (4)에 따라 도 9의 스텝 S301로 진행하고, 냉동실 온도가 -10℃ 이하인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2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10에서는, 냉장실 온도가 냉각기 온도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냉장실 온도가 냉각기 온도보다 낮은 경우(예)에는 스텝 S211로 진행하고, 냉장실 온도가 냉각기 온도 이상인 경우(아니오)에는 다시 스텝 S209로 되돌아가서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계속하여 스텝 S209, S210의 체크를 반복한다.
여기서, 스텝 S209에 있어서의 냉동실 온도인 -10℃는 청구항에 기재된 냉동실 온도대 상한 온도에 대응하고, 스텝 S210에 있어서의 냉장실 온도가 냉각기 온도보다 낮은 (냉장실 온도<냉각기 온도)가 청구항에 기재된 「상기 냉각기 온도가 0℃ 이상인 소정의 제1 냉각기 온도」에 대응한다.
스텝 S210에서 냉장실 온도가 냉각기 온도보다 낮아서(예) 스텝 S211로 진행하면, 고내 송풍기 OFF, 냉장실 댐퍼 닫힘으로 하고, 또한 제상 히터 출력을 80W에서 160W로 변경한다. 이에 의해,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상태로 된다. 도 9로 이행하여 스텝 S212에서는, 냉동실 온도가 -10℃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냉동실 온도가 -10℃보다 높은 경우(예)에는 스텝 S301로 진행하고, 냉동실 온도가 -10℃ 이하인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213으로 진행하여, 냉각기 온도가 8℃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냉각기 온도가 8℃보다 높은 경우(예)에는 스텝 S214로 진행하고, 냉각기 온도가 8℃ 이하인 경우(아니오)에는 다시 스텝 S212로 되돌아가서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계속하여 스텝 S212, S213의 체크를 반복한다.
여기서, 스텝 S212에 있어서의 냉동실 온도인 -10℃는 청구항에 기재된 냉동실 온도대 상한 온도에 대응하고, 스텝 S213에 있어서의 냉각기 온도가 8℃보다 높은 (냉각기 온도>8℃)가 청구항에 기재된 「소정의 제2 냉각기 온도까지 상승하였을 때」에 대응한다.
스텝 S213에 있어서, "예"라서 스텝 S214로 진행한 경우에는, 제상 모드 4에 의한 제상 운전은 종료하고, 제상 히터(22)를 OFF한다(제상 히터 OFF). 이에 의해, 「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FF, 냉장실 댐퍼 닫힘,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FF」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스텝 S215에서는, 제상 히터(22)를 OFF 후, 5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제상 히터(22)를 OFF 후 5분 경과?), 경과하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215를 반복하고, 5분 경과한 경우(예)에는 압축기(24)를 ON한다(스텝 S216, 압축기 ON). 이에 의해 「압축기 ON, 고내 송풍기 OFF, 냉장실 댐퍼 닫힘,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FF」의 상태로 된다.
스텝 S217에서는, 압축기(24)를 ON 후 2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경과하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217을 반복하고, 2분 경과한 경우(예)에는 스텝 S101(도 7 참조)로 되돌아가서 다시 통상 냉각 운전으로 되돌아간다(압축기 ON 후 2분이 경과?)
(제상 모드 4의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스텝 S201 내지 스텝 S217의 흐름이, 신뢰성 확보 제상을 행하는 조건이 만족되어, 제상 모드 4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된 경우의 설명이다.
이하에서, 그 효과를 도 8, 도 9의 흐름도와 도 11의 제상 모드 4에 의한 제상 운전에 있어서의 타임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에는 제상 모드 4가 선택되고 나서의 「냉동실 냉각 운전」의 구간,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구간(TA),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구간(TB),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구간(TC), 제상 운전 완료후의 경과의 구간(TD, TE), 「통상 냉각 운전」의 구간으로 나누어져, 그 동안의 냉장실 온도, 냉동실 온도 및 냉각기 온도의 추이, 제상 히터(22)의 ON 상태(160W)/ON 상태(80W)/OFF 상태, 고내 송풍기(9)의 ON/OFF 상태, 냉장실 댐퍼(20)의 열림 상태/닫힘 상태, 고내 송풍기(9)의 ON/OFF 상태, 냉동실 댐퍼(50)의 열림 상태/닫힘 상태, 압축기(24)의 ON 상태/ OFF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상 모드 4가 선택되면, 제상 모드 4에 의한 제상 운전에 들어가기 전에 냉동실 온도가 5℃를 초과할 때까지 냉동실 냉각 운전을 실시하고(스텝 S203), 냉장실 온도가 5℃를 초과하면,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FF」)이 행해진다(스텝 S204 내지 스텝 S207).
이는 고내 송풍기(9)에 의해 냉장실(2)로 송풍함으로써 서리를 녹이는 경우, 냉장실(2)의 온도는 가능한 한 높은 온도인 쪽이, 냉각기(7)에 부착된 서리와 열교환하기 쉽기 때문에, 미리 냉장실(2)의 온도를 높게 해 두는 것이고, 이에 의해 에너지 절약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냉장실(2)이 고외로부터의 열 침입에 의해 온도 상승하는 것을 기다리는 동안에는 냉동실 냉각 운전이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제상시에 고외로부터의 열 침입으로 온도 상승하기 쉬운 냉동실을 제상전에 충분히 차게해 둘 수 있어, 제상시에 냉동 식품이 녹는다는 문제점의 가능성을 작게 하는 효과도 있다.
제상 모드 4에 있어서의 제1 단계로서,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면, 도 11 중의 구간(T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 온도는 서리의 냉열에 의해 냉각되고, 한편 냉각기 온도(서리 온도)는 냉장실의 열 부하에 의해 상승하여, 점점 냉각기 온도와의 차가 작아진다. 냉장실 온도와 냉각기 온도의 온도차가 작아지면 열교환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그대로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계속한 경우, 제상 시간이 길어진다. 한편, 도 11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상중 냉동실 온도는 계속해서 상승한다.
따라서, 제상 시간이 길면, 냉동 식품이 녹는다는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냉장실 온도와 냉각기 온도의 온도차가 작아졌다고 판단된 경우[(냉장실 온도-냉각기 온도)<2℃가 만족된 경우](스텝 S207), 제상 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제상 히터(22)를 ON으로 함으로써(스텝 S208), 냉장실(2)로부터의 귀환 공기를 가열하여 제상하기 쉽게 한다. 이 「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N」의 상태가, 도 11 중의 구간(TB)에 있어서의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고내 송풍기+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이 실시되고 있는 상태이다(스텝 S208 내지 스텝 S210). 제2 제상 수단에 있어서의 제상 히터(22)의 출력은 80W이고, 이 출력은 냉각기(7)에 서리가 남아 있는 상태이면, 냉각기(7)를 통과후의 공기가 냉장실(2)의 냉각이 가능한 0 내지 4℃ 정도의 온도가 되는 출력이다.
또한, 통상 냉각 운전시의 고내 송풍기(9)의 회전 속도는 약 1600rpm이고, 구간(TB)에 있어서의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중은 약 1400rpm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시에 고내 송풍기(9)의 회전 속도를 통상 냉각 운전시의 그것으로부터 변경하는 것은, 냉장실(2)의 냉각이 가능한 0 내지 4℃ 정도의 공기 온도가 얻어지도록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1)의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냉장실(2)의 냉각이 가능한 0 내지 4℃ 정도의 공기 온도가 얻어지도록 조절되기 때문에, 특허 문헌 2나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가습을 목적으로 하여 「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N」으로 한 경우에 발생한 「이용 가능한 서리의 냉열을 냉장실의 냉각에 재이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만큼 에너지 절약 성능은 낮아진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만약 「고내 송풍기+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의 제상 운전에 있어서의 제상 히터(22)의 출력이 과잉이라고 하면, 냉장실(2)에서 유지해야 할 온도보다 높은 냉각기를 통과후의 공기 온도가 되어, 냉장실(2)을 따뜻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제상 시간의 단축에 의해 냉동실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제상 히터(22)의 출력이 과소이면 이 목적이 달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제상 수단에 있어서의 제상 히터(22)의 출력은 적절한 것이어야만 한다. 제2 제상 수단의 효과로서는, 냉동실 온도의 상승 제어와 함께 제상 히터(22)를 ON으로 하고 있지만, 냉장실(2)을 차게하면서 서리를 녹이고 있기[냉장실(2)의 열 부하를 사용하여 서리를 녹이고 있기] 때문에, 냉장실(2)의 열 부하를 이용한 분만큼 제상을 위한 외부로부터의 에너지 투입량이 적어도 되므로 에너지 절약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송풍에 의해 냉각기(7)에 냉장고로부터의 귀환 공기[도 5 중의 화살표(D)로 나타낸 냉장실 귀환 공기]를 강제 대류시키고 있기 때문에, 공기와 서리의 사이의 열 전달 효율이 좋아, 서리가 녹기 쉬어짐에 따른 에너지 절약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후에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조합함으로써, 제상 시간을 짧게 하면서 제상 운전시의 에너지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냉장실 온도가 냉각기 온도 이하가 된 시점(스텝 S210)에서 「고내 송풍기 OFF, 냉장실 댐퍼 닫힘」이 되고, 제상 히터(22)의 출력은 80W에서 160W로 변함(스텝 S211)으로써 도 11의 구간(TC)에서는,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이 실시된다(스텝 S211 내지 스텝 S213). 냉장실 온도가 냉각기 온도 이하가 되면 냉각기(7)가 갖는 냉열로는, 냉장실(2)을 냉각하는 능력은 없고, 그 이상 송풍을 계속하면 냉장실(2)을 따뜻하게 하게 되기 때문에, 송풍을 정지, 「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을 행함으로써 냉장실(2)을 따뜻하게 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냉각기(7)에 서리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한다.
제상 모드 4는 신뢰성 확보 제상이 목적이기 때문에, 서리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해야만 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고내 송풍기 ON」 상태에서의 제1 제상 수단 또는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만으로는, 서리가 녹기 어려운 개소가 생겨서 서리가 남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신뢰성 확보 제상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제1 제상 수단 및 제2 제상 수단의 「고내 송풍기 ON 상태」에서의 제상후에, 도 11의 구간(T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을 실시하여 서리가 남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에서는 제상 히터(22)의 출력을 80W에서 160W로 높이고 있다. 이에 의해,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구간(TC)을 짧게 할 수 있어, 그 동안의 냉장실 온도 및 냉동실 온도의 상승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송풍 상태에서의 제상에 비하여 냉각기 수납실(8) 내의 공기와 서리의 자연 대류에 의한 열 전달 효율이 나빠, 에너지 절약 성능이 낮은 제상 수단이기는 하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스 온도로 유지되는 냉장실 온도보다 냉각기 온도 쪽이 높다는, 거의 모든 서리가 녹았다고 할 수 있는 상태부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기 때문에, 제상 수단(3)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함에 따른 에너지 절약 성능의 저하의 영향은 비교적 작다.
이와 같이, 제상 모드 4에서는 제1 내지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조합함으로써, 유연하고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는 확실한 제상을 행할 수 있고, 제상 시간의 단축화도 도모하여 그 동안에 냉동실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다음에, 냉각기 온도가 8℃를 초과하였을 때(스텝 S213), 제상 히터(22)를 OFF하여 제상 모드 4에 의한 제상 운전은 종료하고(스텝 S214), 도 11의 구간(TD)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FF, 냉장실 댐퍼 닫힘,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FF」의 상태로 5분간 기다린다(스텝 S215). 이 경과의 구간(TD)에 의해, 제상수의 냉각기(7), 상부 커버(53)(도 5 참조)로부터 통(23)(도 5 참조)으로의 적하 시간이 확보되어, 적하 도중에 통상 냉각 운전이 재개되어 다시 빙결하여 냉각기 수납실(8)의 일부를 폐색하는 등의 사태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스텝 S213에 있어서 냉각기 온도가 8℃를 초과하였을 때에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종료하도록, 도 6에 나타내는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포함하지 않는 다른 제상 모드의 제상 완료 판정 온도(냉각기 온도>0.5℃)보다 비교적 높은 온도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완전한 제상을 할 수 있다.
경과의 구간(TD)의 5분이 경과한 후에, 도 11의 경과의 구간(T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압축기(24)만을 ON하고(「압축기 ON, 고내 송풍기 OFF, 제상 히터 OFF, 냉장실 댐퍼 닫힘, 냉동실 댐퍼 닫힘」)(스텝 S216), 2분간 대기하고(스텝 S217), 그 후 통상 냉각 운전을 재개한다. 이 2분간의 대기 시간은, 제상 모드 4에 의한 제상 운전이 종료한 시점에서 온도가 높아지고 있는 냉각기(7)와 그 주변의 공기가, 그대로 고내 각 실에 보내져서 고내 각 실을 따뜻하게 한다는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게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냉각 운전 재개전에 냉각기 수납실(8) 내를 냉각하기 위해서 설정되어 있다.
이상에서, 신뢰성 확보 제상을 행하는 조건이 만족되고, 제상 모드 4에 의한 제상이 실시된 경우의 작용을 설명하였으나, 제상 모드 4에서는,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각각의 단계에, 냉동실 온도를 체크하는 스텝이 마련되어 있고(스텝 S206, 스텝 S209 및 스텝 S212), 이들 스텝에서 냉동실 온도의 상승이 현저하다고 판정된(냉동실 온도가 -10℃보다 높음) 경우, 제상 모드 4로부터 제상 모드 5에 의한 제상으로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
(제상 모드 4로부터 제상 모드 5에의 이행)
다시 도 9의 흐름도로 되돌아가서, 제상 모드 4에 의한 제상 운전의 도중에서, 스텝 S206, 스텝 S209 또는 스텝 S212에 있어서, 냉동실 온도가 -10℃보다 높아져서 스텝 S301로 진행하여, 제상 모드 4로부터 제상 모드 5에 의한 제상으로 이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301에서는, 냉각기 온도가 5℃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냉각기 온도가 5℃보다 높은 경우(예)에는 스텝 S30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305로 진행한다.
스텝 S302에서는, 「고내 송풍기 OFF, 냉장실 댐퍼 닫힘,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FF」의 상태로 하고, 또한 「압축기 ON」으로 한다(스텝 S303). 그리고, 스텝 S304에서는 압축기 ON 후 2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2분 경과한 경우(예)에는 스텝 S305로 진행하고, 경과하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304를 반복한다. 스텝 S305에서는 FLAGi=1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FLAGi=1인 경우(예)에는 스텝 S30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401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스텝 S201에서 FLAGi=1이라고 기억시켜 두었으므로 "예"로 되고, 제상 모드 5가 선택된다(스텝 S306).
또한, 스텝 S301에서 냉각기 온도가 5℃보다 높아진 경우, 스텝 S303에서 압축기만 ON으로 하여 그 후 2분간 대기하도록 하고 있는 것은, 냉각 운전이 개시되기 전에 냉각기 수납실(8) 내를 냉각함으로써, 냉각기 수납실(8) 내의 온도가 높은 공기가 그대로 고내 각 실에 보내져서 고내 각 실을 따뜻하게 한다는 문제가 생기가 어렵게 하기 위함이다.
제상 모드 5에 의한 제상 운전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동실 냉각 운전중에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아진 경우에 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그 조건을 만족하도록 일단 냉동실 냉각 운전이 개시되고(스텝 S307), 스텝 S308에서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은지의 여부가 체크되고, 냉동실 냉각 운전은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307로 되돌아가,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아질 때까지 계속된다(스텝 S308). 스텝 S308에서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아진 경우(예)에는 스텝 S309로 진행하여, FLAGi=2라고 기억시키고, 스텝 S207(도 8 참조)로 이행하여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고내 송풍기에 의한 제상」이 실시되는 상태로 되고, 다음에 FLAGi=2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205).
여기서는, 스텝 S309에서 FLAGi=2라고 기억시켜 두었으므로, 스텝 S208로 진행하여,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실시되지 않고,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고내 송풍기+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이 행해진다. 이후 스텝 S209 또는 스텝 S212에 있어서, 다시 냉동실 온도가 -10℃보다 높음이 만족된 경우(예) 이외에는 이미 설명한 스텝을 거쳐 통상 냉각 운전으로 되돌아간다.
(제상 모드 5의 작용 효과)
제상 모드 4의 제상 운전의 도중에서, 스텝 S206 또는 스텝 S209 또는 스텝 S212의 어느 하나에서 냉동실 온도가 현저하게 상승하는 원인으로서는, 사용자가 가끔 제빙실(3)이나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의 개폐를 행하여 비교적 온도가 높은 식품을 수납한 경우도 생각되지만, 그 외에 서리의 양이 많아 제상에 시간이 지나치게 걸리거나 혹은 하단 냉동실(5)로부터의 귀환 냉기가 많은 수분을 냉각기 수납실(8)에 운반해 오는 상황으로 되어 있고, 고내 송풍기(9)가 가동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제상 운전에서는 제상되기 어려운 개소에 서리가 많이 존재하여, 그 서리의 영향으로 제상 시간이 연장되고 냉동실 온도가 -10℃보다 높아지는 경우도 생각된다.
어느 경우이든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에 수납된 냉동 식품이 녹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일단 온도 상승한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을 재냉각하기 위한 스텝 S307을 마련하여,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을 저온으로 냉각한다. 이에 의해, 한창 신뢰성 확보 제상을 실시하고 있는 중에,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에 수납된 냉동 식품이 녹는 등의 문제점을 일으킬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제상 모드 4의 과정에서 냉동실 온도의 상승이 현저한 원인이 서리의 양이 많아, 제상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진 것에 의한 경우, 제상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상 모드 5는 제상 모드 4에 있어서의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고내 송풍기에 의한 제상」이 실시되는 스텝 S204를 실질적으로 거치지 않고,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고내 송풍기+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을 시작한다(스텝 S208). 제2 제상 수단은, 제1 제상 수단에 비하여 제상 히터(22)를 ON으로 하는 효과가 더해지기 때문에, 동일한 서리의 양이면 단시간에 제상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상 모드 5에 의해 제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제상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제빙실(3)이나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른 문제점은 일어나기 어려워져, 신뢰성이 높은 제상 운전이 된다.
또한,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스텝을 생략하여도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함에 따른 에너지 절약 효과는 얻어지기 때문에, 제상 모드 5로 이행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성능이 대폭 악화하는 일은 없다.
(제상 모드 6)
다음에, 스텝 S305에서 FLAGi=1이 아니어서(아니오) 스텝 S401로 진행하여 제상 모드 6이 선택된다.
또한, 제상 모드 4에 의한 제상 운전의 도중에서, 냉동실 온도가 -10℃보다 높아지는 경우, 제상 모드 4로부터 제상 모드 6으로 이행한다. 또한, 제상 모드 4의 제상 시간이 10분보다 길게 행해졌는지의 여부의 체크를 행하여, 10분보다 길게 행해진 경우(예)에는 제상 모드 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통상 냉각 운전으로 되돌아간다.
제상 모드 6에 의한 제상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냉각 운전(냉동실 냉각 운전, 냉장실 냉각 운전, 또는 냉동실·냉장실 동시 냉각 운전)중에,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고, 또한 냉장실 온도가 2℃보다 낮아진 경우에 개시시키는 것으로, 스텝 S402에서 일단 통상 냉각 운전이 개시되고, 스텝 S403에서 냉각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이고,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고 또한 냉장실 온도가 2℃보다 낮음이 만족되어 있는지를 체크하여, 만족되어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402를 계속하고, 만족된 경우(예)에는 스텝 S404로 진행한다.
스텝 S404에서는,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 [「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FF, 냉장실 댐퍼 닫힘, 냉동실 댐퍼 닫힘」, 단 제상 히터(22)는 출력 160W]이 행해진다. 계속해서, 스텝 S212로 되돌아가고, 이후에는 이미 설명한 스텝을 거쳐 통상 냉각 운전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제상 모드 6의 과정에 있어서, 다시 스텝 S212에서 냉동실 온도가 -10℃보다 높은 경우(예)에는 스텝 S309에서 FLAGi=2라고 기억된 상태이기 때문에, 다시 제상 모드 6이 실시되게 된다.
(제상 모드 6의 작용 효과)
다음에, 제상 모드 5로부터 다시 냉동실 온도의 상승이 현저한 경우에 제상 모드 6으로 이행시킴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신뢰성 확보 제상은, 제상 모드 4가 먼저 실시되고, 그 과정에서 냉동실 온도의 상승이 현저한 경우에 제상 모드 5로 이행시키고, 제상 모드 5의 과정에서 다시 냉동실 온도의 상승이 현저한 경우에 제상 모드 6으로 이행시킨다. 즉, 제상 모드 6은 신뢰성 확보 제상의 과정에서 2회 냉동실 온도 상승이 현저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실시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케이스는 가끔 냉동 온도대실의 도어(3a, 4a, 5a, 5b)의 개폐의 타이밍이 합치하여 일어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고내 송풍기(9)의 가동 상태에서의 제상 운전(제1 제상 수단 또는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에서는, 제상이 어려운 개소에 많은 서리 부착이 발생되어 있을 가능성도 높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회 냉동실 온도 상승이 현저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상 모드 6으로 이행시킴으로써, 고내 송풍기(9)의 가동 상태에서의 제상 운전에서는 제상이 어려운 개소에 많은 서리 부착이 일어나 있는 경우라도, 확실하게 제상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로 되어 있다.
다음에, 냉동실 온도의 상승이 현저한 경우에 한 번 통상 냉각 운전을 행하기 때문에 냉동실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상 모드 4의 제상 시간이 10분보다 길에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 냉각 운전(스텝 S101)으로 되돌아가, 그 후 제1 제상 수단과 제2 제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함으로써, 제상 히터(22)의 통상 회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효과가 높은 제상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경우>
이상에서 스텝 S103에서 신뢰성 확보 제상을 행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음에 스텝 S104에서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04에서 "예"인 경우, 계속해서 FLAGj=2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501). FLAGj=2인 경우(예)에는 스텝 S508로 진행하고, FLAGj≠2인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502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스텝 S100의 초기값 설정에 있어서 FLAGj=0이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FLAGj=2는 만족되지 않아, 스텝 S502, S503으로 진행하여 제상 모드 2가 선택된다. 제상 모드 2에 의한 제상 운전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동실 냉각 운전중에 냉장실 온도가 5℃보다 높아진 경우에 개시되는 것이기 때문에, 냉동실 냉각 운전(스텝 S104 시점에서는 냉동실 냉각 운전이 실시되고 있음)이 행해지고, 스텝 S505에서 냉장실 온도가 5℃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냉장실 온도가 5℃보다 높은 경우(예)에는 스텝 S504로 진행하고, 냉장실 온도가 5℃ 이하인 경우(아니오)에는 냉장실 온도가 5℃보다 높아질 때까지 냉동실 냉각 운전이 계속된다.
스텝 S504에서는,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N, 냉동실 댐퍼 닫힘, 냉장실 댐퍼 열림, 제상 히터 OFF」)이 행해진다. 스텝 S505에서는, 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은 경우(예)에는 부호 (7)에 따라 스텝 S51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5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506에서는, 냉동실 온도가 -14℃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냉동실 온도가 -14℃보다 높은 경우(예)에는 스텝 S51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07로 진행한다. 스텝 S507에서는, 냉장실 온도와 냉각기 온도의 온도차(냉장실 온도-냉각기 온도)가 2℃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온도차가 2℃보다 낮은 경우(예)에는 스텝 S51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05로 되돌아가,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계속하면서 스텝 S505, S506, S507의 체크를 반복한다.
스텝 S511에서는 제상 히터(22)가 출력 80W로 ON 된다. 이에 의해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의 상태(「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 닫힘, 제상 히터 ON」)가 된다.
스텝 S512에서는 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은 경우(예)에는 스텝 S51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5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513에서는, 냉동실 온도가 -14℃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냉동실 온도가 -14℃보다 높은 경우(예)에는 스텝 S51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아니오)에는 스텝 S512로 되돌아가서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계속하여, 스텝 S512 또는 스텝 S513의 어느 쪽에서 "예"가 되는 스텝 S512 또는 스텝 S513의 체크를 반복한다.
여기서, 스텝 S506, S512에 있어서의 냉동실 온도인 -10℃는 청구항에 기재된 냉동실 온도대 상한 온도에 대응한다.
스텝 S514에서는 FLAGj=1이라고 기억시키고 이어서 스텝 S516에서는 고내 송풍기(9)를 OFF, 제상 히터(22)를 OFF로 하여 스텝 S517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513에서 "예"이어서 스텝 S515로 진행한 경우에는 FLAGj=2라고 기억시키고, 이어서 스텝 S516에서는 고내 송풍기(9)를 OFF, 제상 히터(22)를 OFF로 하여 스텝 S517로 진행한다. 스텝 S517에서 FLAGk=1이라고 기억시킨 후, 부호 (5)에 따라 스텝 S101의 통상 냉각 운전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501에 있어서, FLAGj=2의 경우(예)에는 스텝 S508로 진행하여, 제상 모드 3이 선택된다. 제상 모드 3에 의한 제상 운전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동실 냉각 운전중에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아진 경우에 개시되는 것이기 때문에, 냉동실 냉각 운전(스텝 S104 시점에서는 냉동실 냉각 운전이 실시되고 있음)이 행해지고, 스텝 S509에서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은 경우(예)에는 스텝 S510으로 진행하고, 냉동실 온도가 -25℃ 이상인 경우(아니오)에는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아질 때까지 냉동실 냉각 운전이 계속된다.
스텝 S510에서는, 「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N, 냉장실 댐퍼 열림, 냉동실 댐퍼 닫힘」의 상태로 되고, 스텝 S511로 진행하여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한다.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경우의 작용 효과)
이하에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경우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흐름도의 스텝 S104에 있어서의 판단 기준으로 하고 있는 바와 같은 환경 조건[외기 온도 35℃보다 높고 또한 습도(상대 습도)가 85%보다 높은 조건]에서는, 열 부하가 매우 크고, 또한 서리 부착이 진행하기 쉬운 매우 엄격한 조건이다. 「냉장고가 소정 온도로 차가워지지 않는」다는 불량의 대부분은 이와 같은 고온다습 환경하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서 많은 것이, 서리의 성장에 의해 냉각 능력 부족에 빠져 고내를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서리의 성장이 진행하지 않도록 하여 냉각기의 열교환 성능을 높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제상 모드 2에 의한 제상이 실시된다. 제상 모드 2에 의한 제상은, 냉장실 온도와 냉각기 온도의 온도차가 커서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고내 송풍기에 의한 제상」이 효과적인 경우에는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하고, 제 1 제상 수단으로는 냉장실 온도와 냉각기 온도의 온도차가 작기 때문에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어, 불리해지는 경우에는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고내 송풍기+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상 완료를 판정하는 냉각기 온도를 신뢰성 확보 제상시의 냉각기 온도가 8℃보다 높지 않고, 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은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신뢰성 확보 제상에 비하여 냉각기(7)를 과도하게 과열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냉각기(7)의 서리를 녹일 수 있다.
또한, 제상 모드 2의 완료 판정 조건은, 냉각기(7)의 제상이 거의 완료되었다고 할 수 있는 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은 것(스텝 S505, 스텝 S512)이 만족된 경우 이외에, 냉동실 온도가 -14℃보다 높은 것(스텝 S506, 스텝 S513)이 만족된 경우에도 완료하도록 하고 있어, 제상 모드 2의 실시 중에 냉동실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냉동 식품이 녹는다는 가능성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냉동실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였다고 하는 판정 기준의 온도 -14℃는, 제상 모드 1에 의한 제상시의 판정 기준의 온도 -17℃보다 높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고내 온도 변동폭이 약간 커지는 경향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냉각기(7)의 제상이 거의 완료되었다고 할 수 있는 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다는 조건에 의해 제상 모드 2가 종료할 확률이 높아져, 서리가 성장함으로써 고내 각 실을 소정 온도까지 차게 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제상 수단은 「제상 히터 ON」으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냉장실(2)을 냉각하는 것이 가능한 제상 수단이기 때문에, 제상 모드 2의 실시중(제1 제상 수단 또는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실시중)에는, 냉장실(2)은 냉각되기 때문에 온도 상승의 문제는 일어나기 어렵고, 또한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기 때문에 제상을 비교적 단시간에 완료시킬 수 있어, 그 결과 냉동실 온도의 상승은 비교적 작게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1)는, 냉각기(7)의 제상을 우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제상 모드 2에 의한 제상을 실시함으로써, 서리의 성장에 의해 냉각 능력 부족에 빠져서 고내를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생기기 어렵고,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로 되어 있다.
또한, 제상 모드 1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냉장실(2) 내에 온도가 높은 식품을 다량으로 수납하는 일이 있는 경우를 상정하여, 제상 모드 1의 완료 판정 조건으로서 스텝 S108(냉장실 온도가 5℃보다 높음)을 두고 있지만, 제상 모드 2에서는 냉장실 온도의 상승에 의해 제상을 완료시키는 스텝을 두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스텝 S108은 기본적으로 냉장실(2)에 투입된 온도가 높은 식품을 빠르게 차가워지게 하기 위해서 두고 있는 스텝인데,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냉각기(7)의 제상을 우선하는 것이 바람직한 환경하에서는 「빠르게 차게한다」는 기능보다 「확실하게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한다」는 것을 중시하고 있어, 서리를 완전히 녹이기 전에 제상 모드 2가 완료하는 케이스를 줄이기 위해서, 냉장실 온도 상승에 의해 종료시키는 스텝은 두고 있지 않다.
(제상 모드 2로부터 제상 모드 3으로 이행한 경우의 작용 효과)
다음에, 제상 모드 2가, 냉동실 온도의 상승(냉동실 온도가 -14℃보다 높음) 때문에 종료된(스텝 S509, 스텝 S513) 경우에 실시되는 제상 모드 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상 모드 2가, 냉동실 온도의 상승(스텝 S506 또는 스텝 S513이 예)으로 되어 종료된 경우에는, 스텝 S515에서 FALGj=2로 기억시켜 두었으므로, 다시 스텝 S104에서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조건이 만족되어, 스텝 S501에서 "예"로 되어 제상 모드 3이 선택된다(스텝 S508). 제상 모드 3에 의한 제상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동실 냉각 운전중에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아진 경우에 개시되는 것으로 하고 있어, 냉동실 냉각 운전(스텝 S104 시점에서는 냉동실 냉각 운전이 실시되고 있음)은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아질 때까지 계속된다(스텝 S509). 계속해서 「압축기 OFF, 고내 송풍기 ON, 냉동실 댐퍼 닫힘, 냉장실 댐퍼 열림」의 상태가 되고(스텝 S510), 계속해서 스텝 S511에서 「제상 히터 ON(출력 80W)」이 된다. 이에 의해,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된다. 이하는 이미 설명한 스텝을 거쳐 통상 냉각 운전으로 되돌아간다(스텝 S101).
제상 모드 2가, 냉동실 온도의 상승(냉동실 온도가 -14℃보다 높음) 때문에 종료된(스텝 S506, 스텝 S513) 이유로서는, 사용자가 가끔 제빙실(3)이나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의 개폐를 행하고, 비교적 온도가 높은 식품을 수납한 경우도 생각되지만, 그 외에 서리의 양이 많아 제상에 시간이 지나치게 걸리거나 혹은 하단 냉동실(5)로부터의 귀환 냉기가 많은 수분을 운반해 오는 상황이 되어 있고, 고내 송풍기(9)의 ON 상태에서의 제상으로는 제상되기 어려운 개소에 서리가 많이 존재하여, 그 서리의 영향으로 제상 시간이 연장되었다는 것이 생각된다. 사용자가 가끔 제빙실(3)이나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의 개폐를 행하고, 비교적 온도가 높은 식품을 수납한 경우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제상 완료(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음)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짧게 하는 것과, 제상전에 제빙실(3)이나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을 충분히 차갑게 해 두는 것이 유효해진다.
따라서, 제상 모드 3에서는, 제상전에 냉동실 온도가 -25℃보다 낮아질 때까지 냉각함으로써, 사전에 충분히 제빙실(3)이나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을 냉각하고, 또한 냉각기(7)의 제상이 거의 완료되었다고 할 수 있는 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아질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실시하지 않고,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상 모드 3에 의한 제상 개시후에 냉동실 온도가 -14℃보다 높은 것(스텝 S513)이 만족될 때까지의 시간이 연장되고, 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은 것(스텝 S512)이 만족될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제상 모드 3은 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은 것(스텝 S512)이 만족되어 종료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제상 모드 2를 실시하여 냉동실 온도 상승이 원인으로 제상 모드 2가 종료된 경우에, 제상 모드 3을 실시하여 냉각기의 제상을 완료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서리의 성장에 의해 냉각 능력 부족에 빠지고, 고내를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512에서 냉각기 온도가 0.5℃보다 높은 것이 만족된 경우에는, FLAGj=1, 스텝 S513에서 냉동실 온도가 -14℃보다 높은 것이 만족된 경우, FLAGj=2로 되어 통상 냉각 운전으로 되돌아가기(스텝 S101) 때문에, 차회 스텝 S104에서,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각각 제상 모드 2 또는 제상 모드 3에 의한 제상이 실시되게 된다. 이에 의해, 냉각기(7)의 제상이 완료되기 쉬운 경우에는, 에너지 절약 성능이 높은 제1 제상 수단을 실시하는 제상 모드 2가 실시되고, 냉동실 온도가 상승하기 쉬운 경우에는 신뢰성이 높은(냉각기의 제상이 완료되기 쉬운) 제상 모드 3이 실시되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성능과 신뢰성을 양립한 냉장고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제1 제상 수단(고내 송풍기에 의한 제상) 및 제2 제상 수단(고내 송풍기+제상 히터에 의한 제상)을 실시한 경우에는, 동시에 냉장실(2)이나 야채실(6)의 가습 효과도 얻어지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너지 절약 성능과 신뢰성을 양립할 수 있고, 또한 냉장 온도대실의 건조를 억제한 신선성 유지성이 높은 냉장고로 되어 있다.
이상의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조합한 복수의 제상 모드를 설정하고, 통상의 냉동실 냉각 운전중에 고빈도로 행해지는 「고내 송풍기에 의한 제상」 운전(제상 모드 1)이나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경우의 제상(제상 모드 2, 3)의 후, 상기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1회 행하고, 그 후 신뢰성 확보 제상(제상 모드 4)을 행하고, 제상 모드 4에 의한 제상 운전 도중에 냉동실 온도가 상승한 경우에, 제상 운전을 중단하고 통상 냉각 운전으로 되돌아가서, 그 후 제상 모드 5, 6에 의해 제상 운전을 재개할 수 있도록 유연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성능과 신뢰성을 양립할 수 있고, 또한 제상 운전중에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수납물이 소정의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없어 녹아버린다는 가능성이 없어진다. 또한, 신뢰성 확보 제상(제상 모드 4)의 전에 행해지는 「고내 송풍기에 의한 제상」 운전(제상 모드 1)이나 냉각기 제상을 우선하는 경우의 제상(제상 모드 2, 3)과 상기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은 복수회 행해도 좋다. 복수회 반복됨으로써 에너지 절약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변형예》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 형태의 냉장고(1)에서는, 통상 냉각 운전시에 대하여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중에는 고내 송풍기(9)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있는데, 이는 냉장실(2)의 냉각이 가능한 0 내지 4℃ 정도의 공기 온도가 얻어지도록 조절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제1 변형예에서는 냉장실(2)의 냉각이 가능한 0 내지 4℃ 정도의 공기 온도를 얻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냉장실 송풍 덕트(11) 내 또는 분출구(2c)를 흐르는 공기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추가의 온도 센서를 적어도 1개 설치하여 그 신호를 제어 기판(31)(도 3 참조)에 입력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 기판(31)은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중, 상기 추가의 온도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0 내지 4℃ 정도의 공기 온도가 되도록 제상 히터(22)의 출력을 조정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제2 변형예에서는, 이때 제상 히터(22)의 출력의 조정에 더하여 고내 송풍기(9)의 회전 속도의 조정도 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변형예 또는 제2 변형예에서는, 냉장실 송풍 덕트(11) 내 또는 분출구(2c)를 흐르는 공기 온도를 직접 검출하여 제상 히터(22)의 출력의 조정이나 고내 송풍기(9)의 회전 속도의 조정을 하기 때문에,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중에 있어서의 냉장실 온도의 제어를 냉장실 온도가 유지되거나 저하하도록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개시하고 나서의 냉장실 송풍 덕트(11) 내를 흐르는 공기 온도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제상 히터(22)의 출력이나 고내 송풍기(9)의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기(7)의 제상의 진행에 따른 서리와 공기의 열교환의 정도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1:냉장고
2:냉장실(냉장 온도대실)
3:제빙실(냉동 온도대실)
4:상단 냉동실(냉동 온도대실)
5:하단 냉동실(냉동 온도대실)
6:야채실(냉장 온도대실)
7:냉각기
8:냉각기 수납실
9:고내 송풍기(송풍기)
10:단열 케이스체
11:냉장실 송풍 덕트
12: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
13: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
16:냉장실 귀환 덕트
17:냉동실 귀환구
20:냉장실 댐퍼
22:제상 히터
24:압축기
50:냉동실 댐퍼
53:상부 커버

Claims (21)

  1. 적어도 냉동 온도대실과, 냉장 온도대실과, 압축기와, 상기 냉동 온도대실과 상기 냉장 온도대실을 공통으로 냉각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로 냉각된 냉기를 상기 냉동 온도대실과 상기 냉장 온도대실에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냉동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동실 댐퍼와,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냉장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장실 댐퍼와, 상기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녹이는 제상 히터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를 비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1 제상 수단과,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2 제상 수단과,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에 통전하고, 상기 송풍기를 정지 상태로 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3 제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상 수단, 상기 제2 제상 수단 및 상기 제3 제상 수단의 1개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복수의 제상 모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상 모드로부터 1개의 제상 모드를 선택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고, 그 후 상기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정지 상태로 하여 제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적어도 냉동 온도대실과, 냉장 온도대실과, 압축기와, 상기 냉동 온도대실과 상기 냉장 온도대실을 공통으로 냉각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로 냉각된 냉기를 상기 냉동 온도대실과 상기 냉장 온도대실에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냉동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동실 댐퍼와,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냉장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장실 댐퍼와, 상기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녹이는 제상 히터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를 비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1 제상 수단과,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2 제상 수단과,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에 통전하고, 상기 송풍기를 정지 상태로 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3 제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상 수단, 상기 제2 제상 수단 및 상기 제3 제상 수단의 1개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복수의 제상 모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상 모드로부터 1개의 제상 모드를 선택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고,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상기 제1 제상 수단 및 상기 제2 제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상기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1회 또는 복수회 행한 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적어도 냉동 온도대실과, 냉장 온도대실과, 압축기와, 상기 냉동 온도대실과 상기 냉장 온도대실을 공통으로 냉각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로 냉각된 냉기를 상기 냉동 온도대실과 상기 냉장 온도대실에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냉동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동실 댐퍼와, 상기 냉각기로부터 상기 냉장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장실 댐퍼와, 상기 냉각기에 부착된 서리를 녹이는 제상 히터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를 비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1 제상 수단과,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열림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를 통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를 가동시켜 제상을 행하는 제2 제상 수단과,
    상기 압축기의 정지시에, 상기 냉동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냉장실 댐퍼를 닫힘 상태로 하고, 상기 제상 히터에 통전하고, 상기 송풍기를 정지 상태로 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3 제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상 수단, 상기 제2 제상 수단 및 상기 제3 제상 수단의 1개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복수의 제상 모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상 모드로부터 1개의 제상 모드를 선택하여 제상 운전을 실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제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제상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여 상기 냉장 온도대실의 냉각 운전을 소정 시간 행한 후,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제상 운전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여 상기 냉장 온도대실의 냉각 운전을 소정 시간 행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제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하고, 상기 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기 전에, 상기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를 소정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중에 상기 제상 히터의 통전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중에 상기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중에 상기 제상 히터의 통전량 및 상기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후에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제1 제상 모드를 갖고,
    그 제1 제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상기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와 상기 냉각기의 온도의 차가 소정 온도차 이하로 되었을 때에 종료하고,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후에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제2 제상 모드를 갖고,
    그 제2 제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상기 냉각기의 온도가 0℃ 이상의 소정의 제1 냉각기 온도보다 높아졌을 때에 종료하고,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상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상기 냉각기의 온도가 상기 냉장 온도대실의 온도보다 높아졌을 때에 종료하고,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은, 상기 냉각기의 온도가 소정의 제2 냉각기의 온도까지 상승하였을 때에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상 모드는, 상기 냉각기의 온도에 의해 제상 완료를 판정하는 것이고, 상기 제상 완료를 판정하는 제상 완료 판정 온도는, 상기 선택된 제상 모드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의 상기 제상 완료 판정 온도는, 상기 제3 제상 수단이 실시되지 않는 제상 모드의 제상 완료 판정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 실시중에, 상기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소정의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제3 제상 수단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는, 상기 선택된 제상 모드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에 있어서의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쪽이,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지 않는 제상 모드에 있어서의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만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에 있어서의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쪽이,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 또는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포함하는 제상 모드에 있어서의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 실시중에, 상기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상기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에는, 제상 운전을 중단하고, 상기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실시한 후에, 상기 제상 모드와는 다른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 실시중에, 상기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상기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에는, 제상 운전을 중단하고, 상기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실시한 후에, 상기 제1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지 않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과,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이 실시되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 실시중에, 상기 냉동 온도대실의 온도가 상기 냉동 온도대실 상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에는, 제상 운전을 중단하고, 상기 냉동 온도대실을 냉각하는 운전을 실시한 후에, 상기 제3 제상 수단에 의한 제상 운전만 실시하는 제상 모드에 의한 제상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00014486A 2009-06-18 2010-02-18 냉장고 KR101179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4855 2009-06-18
JPJP-P-2009-144853 2009-06-18
JPJP-P-2009-144856 2009-06-18
JP2009144853A JP5260416B2 (ja) 2009-06-18 2009-06-18 冷蔵庫
JP2009144856A JP5393283B2 (ja) 2009-06-18 2009-06-18 冷蔵庫
JP2009144855A JP5386243B2 (ja) 2009-06-18 2009-06-18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396A true KR20100136396A (ko) 2010-12-28
KR101179371B1 KR101179371B1 (ko) 2012-09-07

Family

ID=4336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486A KR101179371B1 (ko) 2009-06-18 2010-02-18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9371B1 (ko)
CN (1) CN1019297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5469B (zh) * 2013-07-15 2016-08-10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风冷冰箱的控制方法及风冷冰箱
CN103471320A (zh) * 2013-09-10 2013-12-25 常熟市董浜镇华进电器厂 冰箱除霜装置
JP6364221B2 (ja) * 2014-04-17 2018-07-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05466115B (zh) * 2014-08-28 2020-01-1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CN104864679A (zh) * 2015-02-25 2015-08-26 河南新飞电器有限公司 风冷冰箱自然化霜方法
CN105674669B (zh) * 2016-02-02 2017-10-27 河南新飞电器有限公司 一种双系统风冷冰箱的化霜方法
CN106052262B (zh) * 2016-07-06 2019-01-04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冷藏间室的化霜方法
CN107044756B (zh) * 2017-03-28 2019-11-05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风门防结冰的控制方法及冰箱
CN108413685A (zh) * 2018-01-24 2018-08-1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风冷冰箱及其化霜控制方法
JP2020094712A (ja) * 2018-12-10 2020-06-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10530094B (zh) * 2019-10-08 2020-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库及其化霜控制方法
CN111503994B (zh) * 2020-05-11 2022-03-2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风冷冰箱的控制方法及风冷冰箱
CN113915902B (zh) * 2021-06-25 2022-11-15 海信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和冰箱降噪方法
CN113654190B (zh) * 2021-08-16 2022-07-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冷风机化霜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冷风机
CN115111844B (zh) * 2022-06-30 2023-11-07 海信冰箱有限公司 冰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941B2 (ja) * 1987-12-17 1994-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の除霜制御方法
JP2002107047A (ja) * 2000-09-29 2002-04-10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4310947B2 (ja) * 2001-09-06 2009-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冷蔵庫の制御装置
JP3912233B2 (ja) * 2002-09-06 2007-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冷蔵庫の運転方法
JP4356379B2 (ja) 2003-07-16 2009-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冷蔵庫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29779B (zh) 2012-10-10
CN101929779A (zh) 2010-12-29
KR101179371B1 (ko) 201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371B1 (ko) 냉장고
JP4644271B2 (ja) 冷蔵庫
JP5260416B2 (ja) 冷蔵庫
JP5017340B2 (ja) 冷蔵庫
JP5393283B2 (ja) 冷蔵庫
JP5178771B2 (ja) 冷凍冷蔵庫
JP2010002071A (ja) 冷蔵庫
JP6752107B2 (ja) 冷蔵庫
JP2008075964A (ja) 冷却装置の除霜装置
JP5215367B2 (ja) 冷蔵庫
JP5386243B2 (ja) 冷蔵庫
JP6894389B2 (ja) 冷蔵庫
JP5604543B2 (ja) 冷蔵庫
JP2006226615A (ja) 冷蔵庫
JP6890502B2 (ja) 冷蔵庫
JP6837423B2 (ja) 冷蔵庫
JP5033258B2 (ja) 冷蔵庫
JP2012063026A (ja) 冷蔵庫
JP2021143826A (ja) 冷蔵庫
JP2007132543A (ja) 冷蔵庫
JP2006220359A (ja) パン生地発酵,解凍庫の冷却器除霜装置
JP2010281491A (ja) 冷蔵庫
JP6975657B2 (ja) 冷蔵庫
JP2005134090A (ja) 冷却貯蔵庫
JPS631158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