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710A -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710A
KR20100132710A KR1020090051451A KR20090051451A KR20100132710A KR 20100132710 A KR20100132710 A KR 20100132710A KR 1020090051451 A KR1020090051451 A KR 1020090051451A KR 20090051451 A KR20090051451 A KR 20090051451A KR 20100132710 A KR20100132710 A KR 20100132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m
conveyor
functional film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5325B1 (ko
Inventor
문용석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9005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32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4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4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ork, comb or plate shaped means for engaging the lower surface on a object to be trans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는, 기능성 필름이 이송되는 필름 이송 유닛; 필름 이송 유닛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필름 이송 유닛 상의 기능성 필름이 적재될 적재 용기가 투입되는 용기 투입 유닛; 및 적어도 일부분이 필름 이송 유닛의 상부에 마련되어 필름 이송 유닛 상의 기능성 필름을 파지한 후 파지된 기능성 필름을 적재 용기의 수직 상부에서 낙하시켜 적재 용기에 적재하는 필름 파지낙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 용기에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이 적재될 때에 기능성 필름이 수직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필름이 적재 용기의 측벽에 충돌되는 일 없이 적재 용기에 원활하게 적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적재 작업의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능성 필름, 편광 필름, 적재 장치, 파지, 진공, 흡입, 수직 낙하

Description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Apparatus for Loading Functional Film}
본 발명은,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필름을 적재 용기에 수용하는 적재 작업이 정확하면서도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면디스플레이는, 종전에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Display)로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RT)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로서, 이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있다.
이러한 평면디스플레이에는 광학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능성 필름이 부착된다. 여기서 기능성 필름이란, 평면디스플레이 중 LCD 패널에 부착되어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필름을 비롯하여, 전술한 평면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패널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필름들, 예를 들면 EMI 필름, 프리즘 필름, 확산 필름, 반사 필름, DBEF, PVA, TAC, 이형필름, 보상필름, 반사방지필름 등을 가리킨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러한 기능성 필름들 중 편광필름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편광필름(polarization film)은 LCD와 같은 평면디스플레이에 부착되기 위해 편광필름 제조장치 내의 편광필름 절단부를 통해 소정의 단위 크기로 커팅(cutting)된 후 적재 용기에 소정 매수로 적재되어 보관된다.
롤에 권취된 원 편광필름을 단위 크기로 커팅하고 적재 용기에 적재하는 일련의 공정이 진행되는 종래의 편광필름 적재 장치는, 단위 크기로 커팅된 편광필름이 이송되는 이송 유닛과, 이송 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편광필름이 적재되는 적재 용기를 이송시키는 적재 유닛을 구비한다.
여기서, 이송 유닛은 순환에 의해 편광필름을 이송시키는 벨트 타입의 컨베이어(Belt Type Conveyor)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적재 유닛은, 소정 매수의 편광필름이 적재되는 적재 용기가 편광필름의 적재 장소 및 적재 용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벨트 타입의 컨베이어 또는 롤러 타입의 컨베이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편광필름 적재 장치에 있어서는, 이송 유닛으로부터 낙하된 편광필름이 적재 용기에 적재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때 이송 유닛의 이송 속도에 의해 편광필름은 수직 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이 아니라 사선 방향으로 낙하하여 편광필름이 적재 용기의 적재 공간으로 원활하게 적재되지 못하고 적재 용기의 측벽에 부딪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체적인 적재 작업을 중단한 후 제대로 수용되지 않은 편광필름을 수작업에 의해 적재 용기에 적재한 후 적재 작업을 다시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적재 작업의 전체적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적재 용기에 편광필름을 수용할 때 편광필름이 적재 용기의 적재 공간으로 정확하게 적재됨으로써 적재 작업의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편광필름 적재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 용기에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이 적재될 때에 기능성 필름이 수직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필름이 적재 용기의 측벽에 충돌되는 일 없이 적재 용기에 원활하게 적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적재 작업의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능성 필름이 이송되는 필름 이송 유닛; 상기 필름 이송 유닛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필름 이송 유닛 상의 상기 기능성 필름이 적재될 적재 용기가 투입되는 용기 투입 유닛;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필름 이송 유닛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필름 이송 유닛 상의 상기 기능성 필름을 파지한 후 파지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적재 용기의 수직 상부에서 낙하시켜 상기 적재 용기에 적재하는 필름 파지낙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은, 후단부 영역이 상기 필름 이송 유닛의 선단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필름 이송 유닛 상의 상기 기능성 필름을 파지하기 위한 진공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진공 흡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벨트 타입의 파지 컨베이어;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파지 컨베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파지 컨베이어에 마련된 상기 다수의 진공 흡입구를 통해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 컨베이어는, 상기 기능성 필름의 이송 방향의 가로 방향을 따라 병렬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파지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력 제공부는, 상기 단위 파지컨베이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 파지 컨베이어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진공 흡입구와 연통된 연통구가 형성된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며,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다수의 진공 흡입구로 상기 편광필름의 파지를 위한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은, 상기 파지 컨베이어의 양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파지 컨베이어에 파지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측 방향으로 푸쉬하여 상기 적재 용기로 낙하시키는 푸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는, 상기 파지 컨베이어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능성 필름의 양측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를 상호 접근되는 방향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푸쉬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은, 상기 파지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파지 컨베이어에 파지되어 이송되는 상기 기능성 필름이 상기 적재 용기에 낙하될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진공 흡입구로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상기 흡입력 제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과 상기 용기 투입 유닛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으로부터 상기 용기 투입 유닛 상의 상기 적재 용기 내부로 상기 기능성 필름이 낙하될 때 상기 기능성 필름의 낙하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유닛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유닛의 인접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적재 용기의 교체 시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가이드 유닛 내에서 일시적으로 적재하는 포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적재 용기의 상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의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도록 배치되어 일시적으로 상기 포크 유닛에 적재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정렬시키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포크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의 출입을 위한 빗살 구조의 개구가 사이사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크 유닛은, 상기 적재 용기의 교체 시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기능성 필름이 일시적으로 적재될 있도록, 선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제1 측벽을 지나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 중 다른 하나 의 제1 측벽에 인접하도록 이동하는 포크 핸드; 및 상기 포크 핸드를 구동시키는 핸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이송 유닛은, 단위 크기로 커팅된 상기 기능성 필름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제1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이송시켜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와의 속도 차이에 의해 상호간 일정 거리 이격되게 이송시키는 제2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이송 유닛은,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의 연결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상기 기능성 필름이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로 이송될 때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필름은 액정디스플레이(LCD) 기판에 부착되는 편광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 용기에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이 적재될 때에 기능성 필름이 수직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필름이 적재 용기의 측벽에 충돌되는 일 없이 적재 용기에 원활하게 적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적재 작업의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될 편광필름(Polarization Film)이란, 액정을 투과한 빛 중 특정 방향으로 강하게 진동하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해 모니터용 LCD 패널에 부착되는 모니터용 LCD 편광필름을 가리킨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의 성능을 조절하거나 혹은 빛을 최적의 조건으로 투과, 편광시키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광학 필름(혹은 시트(sheet))들, 예컨대 EMI 필름, 프리즘 필름, 보호 필름, 확산 필름, 반사 필름, DBEF, PVA, TAC, 이형 필름, 보상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등의 편광필름에도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이들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편광필름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필름 적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름 이송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포크 유닛이 가이드 유닛의 사이로 인입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파지낙하유닛에 의해 편광필름이 파지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푸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필름 파지낙하유닛과 필름 이송 유닛의 상호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필름 적재 장치(100)는, 커팅된 편광필름(F)을 이송하는 필름 이송 유닛(110)과, 필름 이송 유닛(110)의 후단부 영역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편광필름(F)이 낙하되는 적재 용기(121)가 투입되거나 취출되는 용기 투입 유닛(120)과, 필름 이송 유닛(110) 상의 편광필름(F)을 진공 흡입력에 의해 파지한 후 파지된 편광필름(F)을 용기 투입 유닛(120)의 적재 용기(121)로 수직 낙하하여 적재시키는 필름 파지낙하유닛(150)과, 편광필름(F)의 낙하 시 편광필름(F)의 낙하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130)과, 가이드 유닛(130)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필름 이송 유닛(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재 용기(121)의 교체 시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으로부터 낙하되는 편광필름(F)이 일시적으로 낙하되는 포크 유닛(140)을 포함한다.
필름 이송 유닛(110)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크기로 커팅된 편광필름(F)이 최초로 로딩되어 이송되는 제1 이송 컨베이어(111)와, 제1 이송 컨베이어(111)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1 이송 컨베이어(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구동되어 편광필름(F)들을 이격시켜 이송하는 제2 이송 컨베이어(112)를 구 비한다.
여기서, 제2 이송 컨베이어(112)는 제1 이송 컨베이어(111)에 비해 빠른 속도로 구동됨으로써 제1 이송 컨베이어(111) 상에서 상호 접촉되어 이송되는 편광필름(F)들을 상호간 이격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이송 컨베이어(111) 및 제2 이송 컨베이어(112)의 상대적인 속도 차에 의해 측 방향으로 접촉되어 있던 편광필름(F)들을 제1 이송 컨베이어(111)에서 제2 이송 컨베이어(112)로 이송될 때 개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제1 이송 컨베이어(111)가 50m/min의 속도로 구동하면서 편광필름(F)을 이송하였다면, 제2 이송 컨베이어(112)는 50m/min의 속도보다는 빠른 속도, 예를 들면 60m/min의 속도로 구동하면서 편광필름(F)들을 이송하는 것이며, 따라서 제1 이송 컨베이어(111)에서 제2 이송 컨베이어(112)로 편광필름(F)이 넘어갈 때 편광필름(F)의 간격이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후술할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이 제2 이송 컨베이어(112) 상의 편광필름(F)을 원활하게 파지할 수 있다.
제1 이송 컨베이어(111) 및 제2 이송 컨베이어(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타입의 컨베이어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롤러 타입의 컨베이어가 적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필름 이송 유닛(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 컨베이어(111) 및 제2 이송 컨베이어(112)의 연결 부분에 마련되는 회전 지지부(115)를 더 구비한다.
회전 지지부(115)는, 제1 이송 컨베이어(111)와 인접한 제2 이송 컨베이어(112)의 선단부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 지지부(115)는 제1 이송 컨베이어(111) 상의 편광필름(F)이 제2 이송 컨베이어(112) 상으로 이송될 때 제1 이송 컨베이어(111)와 제2 이송 컨베이어(112)의 연결 부분에서 편광필름(F)이 밀리거나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편광필름(F)을 제2 이송 컨베이어(112)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 이송 컨베이어(111) 상의 편광필름(F)이 제2 이송 컨베이어(112) 상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한편, 필름 이송 유닛(110)에 의해 이송되는 편광필름(F)은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에 의해 파지된 후, 용기 투입 유닛(120)의 적재 용기(121)에 적재된다. 즉,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은 제2 이송 컨베이어(112) 상의 편광필름(F)을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여 파지한 후, 파지된 편광필름(F)을 적재 용기(121)의 상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낙하시킴으로써 편광필름(F)이 적재 용기(121)에 정확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에 대해서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 후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용기 투입 유닛(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필름(F)이 적재되는 적재 용기(121)와, 적재 용기(121)를 이송시키는 용기 이송 컨베이어(123)를 구비한다.
적재 용기(121)는, 소정 매수의 편광필름(F)이 적재되어 보관되는 부분으로서, 소정 매수의 편광필름(F)이 적재된 적재 용기(121)는 용기 이송 컨베이어(123)에 의해 적재 용기(121)의 투입구로 이송된 후 외부의 보관 장소에 적층되어 보관 된다.
용기 이송 컨베이어(123)는, 적재 용기(121)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로서, 적재 용기(121)의 투입구에 적재 용기(121)를 투입하면 용기 이송 컨베이어(123)가 작동하여 편광필름(F)이 낙하되는 위치로 적재 용기(121)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소정 매수의 편광필름(F)이 적재 용기(121)에 채워지면 적재 용기(121)를 적재 용기(121)의 투입구로 이송시켜 외부의 반송 장치(미도시)에 의해 적재 용기(121)를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용기 이송 컨베이어(123)는 제자리에서 축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 타입의 컨베이어로 마련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벨트 타입의 컨베이어 등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용기 이송 컨베이어(123)는 전체적으로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적재 용기(121)가 용기 이송 컨베이어(123)의 구동에 의해 편광필름(F)이 낙하되는 위치로 이송된 후 용기 이송 컨베이어(123)가 전체적으로 승강함으로써 적재 용기(121)의 일부분이 가이드 유닛(13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편광필름(F)의 적재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유닛(130)은,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으로부터 적재 용기(121)로 편광필름(F)이 낙하될 때 편광필름(F)이 경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 유닛(1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용기(121)의 상부에서 상호 이격 배치되되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측벽(131) 과, 한 쌍의 제1 측벽(131)의 사이에서 한 쌍의 제1 측벽(131)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측벽(135)을 구비한다.
한 쌍의 제1 측벽(131)은 후술할 포크 유닛(140)의 일부분이 한 쌍의 제1 측벽(131)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빗살 구조로 마련된다. 따라서, 적재 용기(121)가 편광필름(F)이 가득 차서 적재 용기(121)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포크 유닛(140)의 일부분이 한 쌍의 제1 측벽(131)의 사이로 인입됨으로써 편광필름(F)을 일시적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재 용기(121)의 교체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편광필름(F)의 적재 작업이 중단 없이 계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제2 측벽(135)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포크 유닛(140) 상에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편광필름(F)의 측부를 푸쉬하여 포크 유닛(140) 상에 적재되는 편광필름(F)을 얼라인(align)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새로이 교체된 적재 용기(121)에 얼라인된 편광필름(F)이 원활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포크 유닛(1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재 용기(121)의 교체 시간동안 편광필름(F)을 일시적으로 적재할 수 있어 편광필름(F)의 적재 작업이 중단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포크 유닛(140)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한 쌍의 제1 측벽(131)에 부분적으로 인입되는 포크 핸드(141)와, 포크 핸드(141)를 구동시키는 핸드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러한 포크 핸드(141)의 판면 방향은 한 쌍의 제1 측벽(131)의 판면 방향과 가로 방향, 즉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평 방향을 가지며, 이로 인해 포크 핸드(141)가 가이드 유닛(13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으로부터 낙하되는 편광필름(F)을 일시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필름 이송 유닛(미도시)으로부터 적재 용기로 바로 편광필름이 낙하하였는데, 이때 편광필름이 필름 이송 유닛의 이송 속도에 의해 편광필름이 사선 방향으로 낙하함으로써 편광필름이 적재 용기에 제대로 적재되지 못하고 적재 용기의 측벽에 부딪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적재 작업을 중단한 후 제대로 수용되지 않은 편광필름을 작업자가 직접 적재 용기에 제대로 적재한 후 적재 작업을 다시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적재 작업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필름 적재 장치(100)는, 필름 이송 유닛(110) 상의 편광필름(F)을 적재 용기(121)에 정확하면서도 원활하게 적재할 수 있는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은, 필름 이송 유닛(110) 상의 편광필름(F)을 파지한 후 파지된 편광필름(F)을 적재 용기(121)의 상부에서 적재 용기(121)를 향하여 수직으로 낙하시킴으로써 편광필름(F)이 적재 용기(121)의 측벽에 부딪히지 않고 정확히 적재 용기(121)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의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은, 도 4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 와 같이, 후단부 영역이 제2 이송 컨베이어(112)의 상부에 마련되며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진공 흡입구(152)가 마련되어 있는 벨트 타입의 파지 컨베이어(151)와, 파지 컨베이어(151)에 마련된 다수의 진공 흡입구(152)로 편광필름(F)의 파지를 위한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제공부를 포함한다.
파지 컨베이어(15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 파지컨베이어(151a, 151b, 151c, 151d)가 편광필름의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다수의 단위 파지컨베이어(151a, 151b, 151c, 151d)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진공 흡입구(152)가 규칙적으로 관통 형성되어 흡입력 제공부로부터 진공 흡입력이 제공되는 경우 편광필름(F)을 흡착하여 파지할 수 있다.
흡입력 제공부는, 다수의 단위 파지컨베이어(151a, 151b, 151c, 151d)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단위 파지컨베이어(151a, 151b, 151c, 151d)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흡입관(153)과, 흡입관(153)과 연결되어 흡입관(153)으로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탱크(미도시)를 구비한다.
흡입관(153)은, 도 4 및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 파지컨베이어(151a, 151b, 151c, 151d)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단위 파지컨베이어(151a, 151b, 151c, 151d)와 복층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파지 컨베이어(151)가 일방향으로 순환할 때 이에 결합된 흡입관(153) 또한 파지 컨베이어(151)와 함께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흡입관(15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파지컨베이 어(151a, 151b, 151c, 151d)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 흡입구(152)와 위치적으로 일치하는 다수의 연통구(153h)가 형성되어, 흡입관(153)을 통해 제공되는 진공 흡입력이 단위 파지컨베이어(151a, 151b, 151c, 151d)의 다수의 진공 흡입구(152)에 전달되어 파지 컨베이어(151)의 표면상에 편광필름(F)이 흡착 파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필름 이송 유닛(110) 상의 편광필름(F)은 파지 컨베이어(151)로 이송될 수 있으며, 파지 컨베이어(151)는 일방향으로 순환함으로써 편광필름(F)이 적재 용기(121)의 상부, 즉 낙하위치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낙하위치란, 적재 용기(121)의 수직 방향으로의 상부로서 편광필름(F)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경우 적재 용기(121)의 적재 공간으로 적재되는 파지 컨베이어(121) 상의 위치를 가리킨다.
한편, 낙하위치로 도달한 편광필름(F)은 파지 컨베이어(151)의 순환과 함께 계속적으로 순환되는 것이 아니라, 파지 컨베이어(151)로부터 낙하되어 적재 용기(151)의 적재 공간에 적재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의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필름(F)이 낙하 위치로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60)와, 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흡입력 제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파지 컨베이어(151)의 양측 영역에 마련되어 파지 컨베이어(151)에 파지된 편광필름(F)을 내측으로 푸쉬함으로써 편광필름(F)의 낙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푸쉬부(170)를 더 포함한다.
감지부(160)는, 진공 흡입력에 의해 파지 컨베이어(151)에 파지된 편광필 름(F)이 파지 컨베이어(151)의 순환에 의해 낙하위치에 도달했을 때 이를 감지한 후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감지부(160)는 적외선센서 또는 촬영 카메라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부(16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제공부의 흡입 탱크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감지부(160)가 편광필름(F)이 낙하위치에 도달하였다는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한 경우, 제어부는 흡입탱크를 순간적으로 오프(off)하여 다수의 진공 흡입구(152)로 제공되는 진공 흡입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하고, 이로 인해 낙하위치에서 편광필름(F)이 파지 컨베이어(151)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낙하하여 적재 용기(121)에 정확히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파지 컨베이어(151)의 다수의 진공 흡입구(152)로 제공되는 진공 흡입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더라도, 파지 컨베이어(151)의 재질이 갖는 성질로 인해 편광필름(F)이 파지 컨베이어(151)로부터 파지 해제되어 낙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편광필름(F)과 파지 컨베이어(151) 간에 정전기적인 힘이 발생되어 진공 흡입력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더라도 파지 컨베이어(151)로부터 편광필름(F)이 순간적으로 떨어지지 않고 파지 컨베이어(151)의 순환이 더 이루어진 후에 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진공 흡입력이 차단될 때, 이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푸쉬부(170)가 편광필름(F)을 푸쉬함으로써 편광필름(F)이 제때에 파지 컨베이어(151)로부터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푸쉬부(170)는,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컨베이어(151)의 양측에 마련되어 파지 컨베이어(151)에 파지된 편광필름(F)을 측방으로 미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푸쉬부(170)는, 직접적으로 편광필름(F)의 측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171)와, 한 쌍의 가압부재(171)를 구동시키는 푸쉬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한 쌍의 가압부재(171)는 편광필름(F)과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편광필름(F)의 양측부를 누를 수 있고, 이때 편광필름(F)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인해 양측부가 부분적으로 벤딩(bending)되며 파지 컨베이어(151)의 표면으로부터 편광필름(F)의 표면이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지 컨베이어(151)에 파지된 편광필름(F)이 파지 컨베이어(151)의 순환에 의해 낙하위치에 도달했을 때, 제어부에 의해 진공 흡입력이 일시적으로 차단되고 이때 실질적으로 동시에 푸쉬부(170)가 편광필름(F)을 푸쉬함으로써 편광필름(F)이 적재 용기(121)에 정확하면서도 원활하게 낙하될 수 있다. 여기서, 편광필름(F)은 사선 방향이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편광필름(F)이 적재 용기(121)의 측벽에 충돌될 우려가 없으며, 따라서 적재 용기(121)에 정확하게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파지 컨베이어(151)로부터 편광필름(F)이 파지 해제된 후, 바로 다시 흡입탱크를 가동하여 제2 이송 컨베이어(112)의 선단부 영역에 도달한 편광필름(F)이 파지 컨베이어(151)에 파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감지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필름(F)이 낙하위치에 도달하였 는지를 감지하는 역할 이외에도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으로부터 적재 용기(121)로 낙하되는 편광필름(F)의 매수를 감지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역할 또한 담당한다.
제어부는, 감지부(160)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포크 유닛(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적재 용기(121)에 적재되어야 할 편광필름(F)이 가득 차서 적재 용기(121)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제어부는 포크 유닛(140)을 작동시켜 포크 유닛(140)의 포크 핸드(141)가 가이드 유닛(130)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적재 용기(121)가 교체되는 시간동안에도 포크 유닛(140)에 의해 편광필름(F)의 적재 작업이 일시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 작업의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편광필름 적재 장치(100)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원 편광필름(F)이 별도의 편광필름 절단부(미도시)를 통해 소정의 단위 크기로 커팅된 후, 커팅된 편광필름(F)은 필름 이송 유닛(110)의 제1 이송 컨베이어(111)에 로딩되어 소정 속도, 예를 들어 50m/min의 속도로 이송된다. 제1 이송 컨베이어(111)에 의해 이송되던 편광필름(F)은 제2 이송 컨베이어(112)로 이송된 후 제2 이송 컨베이어(112)의 순환에 의해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의 파지 컨베이어(151) 방향으로 이송된다(도 7의 (a) 참조). 여기서, 제1 이송 컨베이어(111) 상에서 접촉되어 이송되던 편광필름(F)들이 상호 이격될 수 있도록 제2 이송 컨베이 어(112)의 순환 속도는 제1 이송 컨베이어(111)의 순환 속도에 비해 빠르다.
이어서, 제2 이송 컨베이어(112)의 후단부 영역에 도달한 편광필름(F)은, 일방향으로 순환하고 있는 파지 컨베이어(151)에 파지되어 이송된다(도 7의 (b) 참조). 이때, 파지 컨베이어(151)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 흡입구(152)로 진공 흡입력이 제공되어 파지 컨베이어(151)는 편광필름(F)을 파지할 수 있으며, 파지 컨베이어(151)의 순환에 의해 편광필름(F)은 적재 용기(121)의 수직 상부인 낙하위치까지 이송될 수 있다(도 7의 (c) 참조).
낙하위치에 편광필름(F)이 도달하게 되면, 감지부(160)는 이를 감지한 후 제어부에 전송하여 제어부가 흡입력 제공부의 흡입탱크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도록 한다. 즉, 진공 흡입구(152)를 통해 제공되는 진공 흡입력을 순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편광필름(F)이 파지 컨베이어(151)로부터 떨어져 적재 용기(121)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도 7의 (d) 참조).
그런데, 이때 파지 컨베이어(151)의 표면과 편광필름(F)의 표면 간의 정전기적인 힘에 의해 편광필름(F)이 낙하위치에서 낙하하지 못하고 더 이동한 후 낙하될 수 있으므로, 흡입력 제공부의 구동이 일시적으로 멈출 때 푸쉬부(170)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편광필름(F)을 푸쉬함으로써 편광필름(F)이 제때에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적재 용기(121)에 소정 매수의 편광필름(F)이 적재되면, 적재 용기(121)는 빈 상태의 새로운 적재 용기(121)로 교체되어야 하기 때문에 교체 시간동안 적재 작업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본 실시 예의 편광필름 적재 장 치(100)는, 적재 용기(121)의 교체 시간동안 포크 유닛(140)이 일시적으로 적재 작업을 대신 수행함으로써 편광필름(F)의 적재 작업이 계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감지부(160)는 파지 컨베이어(151)로부터 적재 용기(121)로 낙하되어 적재되는 편광필름(F)의 매수를 감지한 후,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제어부는, 감지부(16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적재 용기(121)에 소정 매수의 편광필름(F)이 가득 찬 경우, 포크 유닛(140)을 구동시켜 포크 핸드(141)가 가이드 유닛(130) 사이로 인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포크 핸드(141) 상에 편광필름(F)이 적재되는 동안 적재 용기(121)를 교체한 후, 교체 작업이 완료되면 포크 핸드(141)를 후퇴시켜 포크 핸드(141) 상에 적재된 편광필름(F)이 한번에 적재 용기(121)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편광필름(F)의 적재 작업이 중단 없이 계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어 편광필름(F) 적재 작업의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적재 용기(121)에 편광필름(F)이 적재될 때 필름 파지낙하유닛(150)에 의해 편광필름(F)이 수직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광필름(F)이 적재 용기(121)의 측벽에 충돌되는 일 없이 적재 용기(121)에 정확하면서도 원활하게 적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적재 작업의 생산성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 용기(121)에 소정 매수의 편광필름(F)이 적재되어 적재 용기(121)의 교체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포크 유닛(140)에 일시적으로 편광필 름(F)이 적재될 수 있어 적재 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필름 파지낙하유닛이 벨트 컨베이어 타입으로 마련된다고 상술하였으나, 별도의 파지로봇이 필름 이송 유닛 상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필름 이송 유닛 상의 편광필름을 적재 용기의 상부에서 낙하시켜 적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편광필름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유닛이 마련된다고 상술하였으나, 편광필름이 적재 용기의 상부에서 낙하하여 적재 용기로 원활하게 적재되기 때문에 가이드 유닛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필름 적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름 이송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포크 유닛이 가이드 유닛의 사이로 인입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파지낙하유닛에 의해 편광필름이 파지되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푸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필름 파지낙하유닛과 필름 이송 유닛의 상호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편광필름 적재 장치 110 : 필름 이송 유닛
120 : 용기 투입 유닛 130 : 가이드 유닛
140 : 포크 유닛 150 : 필름 파지낙하유닛
151 : 파지 컨베이어 152 : 진공 흡입구
153 : 흡입관 160 : 감지부
170 : 푸쉬부 F : 편광필름
123 : 용기 이송 컨베이어
130 : 가이드 유닛 131 : 전방 가이드벽
132 : 후방 가이드벽 133 : 측방 가이드벽
140 : 포크 유닛 141 : 포크 핸드
150 : 블로어 유닛

Claims (13)

  1. 기능성 필름이 이송되는 필름 이송 유닛;
    상기 필름 이송 유닛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필름 이송 유닛 상의 상기 기능성 필름이 적재될 적재 용기가 투입되는 용기 투입 유닛;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필름 이송 유닛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필름 이송 유닛 상의 상기 기능성 필름을 파지한 후 파지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적재 용기의 수직 상부에서 낙하시켜 상기 적재 용기에 적재하는 필름 파지낙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은,
    후단부 영역이 상기 필름 이송 유닛의 선단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필름 이송 유닛 상의 상기 기능성 필름을 파지하기 위한 진공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진공 흡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벨트 타입의 파지 컨베이어;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파지 컨베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파지 컨베이어에 마련된 상기 다수의 진공 흡입구를 통해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컨베이어는, 상기 기능성 필름의 이송 방향의 가로 방향을 따라 병렬식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파지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력 제공부는,
    상기 단위 파지컨베이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단위 파지 컨베이어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진공 흡입구와 연통된 연통구가 형성된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며,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다수의 진공 흡입구로 상기 편광필름의 파지를 위한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은,
    상기 파지 컨베이어의 양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파지 컨베이어에 파지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측 방향으로 푸쉬하여 상기 적재 용기로 낙하시키는 푸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파지 컨베이어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능성 필름의 양측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를 상호 접근되는 방향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푸쉬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은,
    상기 파지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파지 컨베이어에 파지되어 이송되는 상기 기능성 필름이 상기 적재 용기에 낙하될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진공 흡입구로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상기 흡입력 제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과 상기 용기 투입 유닛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으로부터 상기 용기 투입 유닛 상의 상기 적재 용기 내부로 상기 기능성 필름이 낙하될 때 상기 기능성 필름의 낙하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 유닛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유닛의 인접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적재 용기의 교체 시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가이드 유닛 내에서 일시적으로 적재하는 포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적재 용기의 상부에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의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도록 배치되어 일시적으로 상기 포크 유닛에 적재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정렬시키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포크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의 출입을 위한 빗살 구조의 개구가 사이사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유닛은,
    상기 적재 용기의 교체 시 상기 필름 파지낙하유닛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기능성 필름이 일시적으로 적재될 있도록, 선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제1 측벽을 지나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 중 다른 하나의 제1 측벽에 인 접하도록 이동하는 포크 핸드; 및
    상기 포크 핸드를 구동시키는 핸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이송 유닛은,
    단위 크기로 커팅된 상기 기능성 필름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제1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이송시켜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와의 속도 차이에 의해 상호간 일정 거리 이격되게 이송시키는 제2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이송 유닛은,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의 연결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상기 기능성 필름이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로 이송될 때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은 액정디스플레이(LCD) 기판에 부착되는 편광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KR1020090051451A 2009-06-10 2009-06-10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KR101115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451A KR101115325B1 (ko) 2009-06-10 2009-06-10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451A KR101115325B1 (ko) 2009-06-10 2009-06-10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710A true KR20100132710A (ko) 2010-12-20
KR101115325B1 KR101115325B1 (ko) 2012-03-06

Family

ID=4350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451A KR101115325B1 (ko) 2009-06-10 2009-06-10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3888A (zh) * 2019-01-29 2019-05-21 惠州市富丽电子有限公司 一种偏光片的连续模切归整设备及其生产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846B1 (ko) * 2019-07-31 2021-05-10 주식회사 모엔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280A (ja) * 1998-09-03 2000-03-07 Sumitomo Chem Co Ltd フィルムの搬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3888A (zh) * 2019-01-29 2019-05-21 惠州市富丽电子有限公司 一种偏光片的连续模切归整设备及其生产工艺
CN109773888B (zh) * 2019-01-29 2020-10-02 惠州市富丽电子有限公司 一种偏光片的连续模切归整设备及其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325B1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5080B2 (ja) 搬送システム
TWI716611B (zh) 搬送系統
JP2007036227A (ja) 基板の保存用カセット、搬送コンベア及びそれらを用いた搬送システム
KR101115325B1 (ko)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CN112839886B (zh) 物品移载设备
KR101403890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CN111717673A (zh) 托盘输送装置及面板输送系统
KR101042628B1 (ko)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TWI753999B (zh) 搬運系統
KR101561225B1 (ko) 이송대차 시스템
JP4078959B2 (ja) 一時保管装置
JP6178215B2 (ja) 紙葉類投入装置及び紙葉類処理装置
KR101108566B1 (ko) 스토커 및 이를 구비한 스토커 시스템
CN111717674A (zh) 托盘输送装置及面板输送系统
KR100948862B1 (ko) 편광필름 제조장치
JP2019064765A (ja) トレイ配置部および搬送システム
KR100769692B1 (ko) 층간 리프트
WO2019065202A1 (ja) 搬送システム
KR101051283B1 (ko) 덤퍼 및 이를 구비한 스토커 시스템
CN111747117A (zh) 面板搬运系统
KR101666803B1 (ko)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세트 공급시스템
KR102341888B1 (ko) 광학필름 시트편 적재 시스템
JP6922305B2 (ja) 書類状荷物搬送装置、書類状荷物搬送装置の制御方法
CN113581851B (zh) 搬运系统
JP5532340B2 (ja) 物品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