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846B1 -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846B1
KR102249846B1 KR1020190093227A KR20190093227A KR102249846B1 KR 102249846 B1 KR102249846 B1 KR 102249846B1 KR 1020190093227 A KR1020190093227 A KR 1020190093227A KR 20190093227 A KR20190093227 A KR 20190093227A KR 102249846 B1 KR102249846 B1 KR 10224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lifting
bags
frame
transf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5018A (ko
Inventor
김진만
윤행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엔
Priority to KR1020190093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8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 B31B50/94Delivering singly or in succession
    • B31B50/96Delivering singly or in succession in an overlapping arran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제대기에서 제작된 포대를 일정량씩 적층하여 이송하는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포대를 일부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와, 제1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포대를 낱개로 분리하여 이송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와, 제2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포대가 일정량으로 적층되는 승강프레임과,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승강프레임과 승강실린더 사이에 설치되며 일정량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포대를 이송하는 제3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for paper bag manufacturing machine}
본 발명은 포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대기에서 제작된 포대를 일정량씩 적층하여 이송하는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 설탕, 시멘트, 비료, 사료, 화학제품 등의 내용물이 담기는 포대는 제품을 장시간 보존하기 위해 방수성을 갖는 포대가 사용된다.
이러한 방수성 포대는, 통상 폴리에틸렌(PE)으로 직조된 원단, 폴리프로필렌(PP)으로 직조된 원단, 크라프트지(Kraft Pape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합지하여 이루어진 기본 원단으로 성형 가공하여 통 형태의 외피로 제작한 후에, 외피 내부에 통 형태의 합성수지 필름(방수성 필름)을 내입한 후 외피 내부의 상부 둘레에 작업자가 접착제를 도포하여 외피와 내피가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결합 고정되게 하여 방수성 포대를 제작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제작 방법은 작업자가 외피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내피를 접착 결합시키는 수제작 방식이며, 따라서 제품의 생산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지대기로부터 공급되는 롤지를 합지한 후 튜브 형태로 만들고, 이것을 절단기에 의해 양단이 개구된 일정 크기의 포대로 절단한 후, 절단된 튜브 형태의 포대를 적재대에 적재하고, 이 적재대를 예컨대 지게차 등으로 재봉기까지 운반하도록 구성된 제대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매수의 포대를 한 묶음으로 적층하여 적재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일정 매수의 포대 적층 후, 컨베이어 작동을 차단하고 적층된 포대를 이송시킨 후 다시 컨베이어를 작동시킴에 따라, 컨베이어 작동 정지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컨베이어의 작동이 정지된 동안에도 제대기의 자동 제조 공정에 따라 포대들이 컨베이어에 계속 공급되면서 포개지므로, 이후 컨베이어 작동시 포대들이 한꺼번에 무더기로 인출되는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와 비교하여 컨베이어의 작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는 포대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묶음으로 적층된 포대의 이송시에도 컨베이어를 통한 포대 공급이 계속되는 포대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포대의 임시 적층수단을 구비한 포대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포대를 일부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포대를 낱개로 분리하여 이송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포대가 일정량으로 적층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실린더 사이에 설치되며 일정량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포대를 이송하는 제3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포대의 일정량 적층시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강시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포대를 적층하는 임시 적층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임시 적층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너트와, 상기 스크류 너트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스크류 너트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포대가 적층되는 받침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3 이송컨베이어에 의한 상기 포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플레이트와, 상기 스톱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톱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스톱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강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며 일정량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포대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시플레이트와, 상기 푸시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시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강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포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에 의하면, 한 묶음으로 적층된 포대의 이송을 위해 승강 프레임이 하강할 때, 임시 적층수단에 의한 포대의 적층이 계속 이루어지므로, 컨베이어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적층수단의 평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적층수단의 정면 개략도.
도 6 내지 도 9는 포대 이송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이하, '이송장치')(100)는, 제1 이송컨베이어(210)와, 제1 이송컨베이어(2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이송컨베이어(310)와, 제2 이송컨베이어(310)의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400)과, 승강프레임(400)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420)와, 승강프레임(400)과 승강실린더(420)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이송컨베이어(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이송컨베이어(210)는 이송프레임(200)의 상측에 이송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이때 이송프레임(200)은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1 이송컨베이어(210)를 통해 복수 개의 포대(10, 도 4 참조)가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데, 이때 복수 개의 포대(10)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일부가 서로 겹쳐져 계단식으로 적층된 형태로 이송된다. 제1 이송컨베이어(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송프레임(200)의 일측에 적층프레임(300)이 설치된다. 일 예로서, 적층프레임(300)은 한 쌍의 세로프레임(301)과, 한 쌍의 세로프레임(301) 하단부에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상측으로 이격하여 가로 방향으로 결합되는 하부프레임(302)과, 한 쌍의 세로프레임(301) 상단부에 하부프레임(302)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303)과, 상부프레임(303)과 하부프레임(302) 사이에 후술하는 임시 적층수단(90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적층프레임(300)의 내부에 제2 이송컨베이어(310)가 설치된다. 제2 이송컨베이어(310)는 제1 이송컨베이어(210)의 일측에서 제1 이송컨베이어(210)로부터 포대(10)를 전달받게끔 설치되며, 제1 이송컨베이어(210)를 통해 이송된 복수 개의 포대(10)가 제2 이송컨베이어(310)에 차례로 전달된다. 이때, 제2 이송컨베이어(310)는 제1 이송컨베이어(21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일부 겹쳐진 상태로 이송된 복수 개의 포대(10)를 낱개로 분리하여 이송한다. 예컨대, 제2 이송컨베이어(310)의 이송 속도를 제1 이송컨베이어(210)의 이송 속도보다 더 빠르게 함으로써, 제1 이송컨베이어(210) 상에서 계단 형태로 적층된 상태로 이송된 복수 개의 포대(10)가 제2 이송컨베이어(310) 상에서 하나씩 낱개로 분리되어 이송되게끔 할 수 있다.
제2 이송컨베이어(31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이송컨베이어(3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303)에 설치되는 제2-1 이송컨베이어(311)와, 제2-1 이송컨베이어(311)의 하부에 제2-1 이송컨베이어(311)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2-2 이송컨베이어(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1 이송컨베이어(311)와 제2-2 이송컨베이어(312)는 각각 적층프레임(30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이송컨베이어(210)를 통해 이송된 포대(10)는 폭 방향 양측이 각각 제2-1 이송컨베이어(311)와 제2-2 이송컨베이어(312) 사이로 삽입되며, 제2-1 이송컨베이어(311)와 제2-2 이송컨베이어(312)에 의해 가압 지지되어 일 방향으로 이송된다.
제2 이송컨베이어(310)의 일측에는 승강프레임(400)이 설치되며, 제2-1 이송컨베이어(311)와 제2-2 이송컨베이어(312)를 통해 이송된 포대(10)들이 승강프레임(400)으로 토출되어 적층된다.
이때, 승강프레임(400)은 포대(10) 이송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복수 개의 승강플레이트(410)와, 폭 방향 양측의 승강플레이트(410) 후단에 수직하게 상향 절곡 형성되는 후단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후단지지부는 승강플레이트(410)에 적층된 복수 개의 포대(10)(이하, '포대묶음') 후단이 정렬되게끔 하는 한편, 포대(10)가 승강플레이트(410)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승강프레임(400)의 전방에 스톱플레이트(500)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스톱플레이트(500)는 제2 이송컨베이어(310)로부터 승강플레이트(410)로 포대(10) 토출시, 포대(10)가 승강플레이트(410)의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스톱플레이트(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지지부(510)와, 지지부(510)의 하단에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가 나란히 돌출 형성되는 차단부(520)와, 인접하는 한 쌍의 차단부(520)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이격 공간(530)을 포함하며, 승강플레이트(410)는 차단부(520) 사이의 이격 공간(530)으로 승강 가능하다.
한편, 스톱플레이트(500)는 차단부(520) 하단이 후술하는 제3 이송컨베이어(700)의 상측까지 하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이송컨베이어(700)를 통한 포대묶음의 이송 역시 스톱플레이트(5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스톱플레이트(500)는 스톱플레이트(5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톱실린더(540)에 의해 승강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부프레임(303)의 일측에 스톱실린더(540)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때, 스톱실린더(540)의 실린더로드가 스톱플레이트(500)의 지지부(510)에 마련되는 보강프레임(511)에 결합된다. 또한, 스톱실린더(540)의 몸체 일측에 제1 브라켓(550)이 결합되고, 이 제1 브라켓(550)에 의해 스톱실린더(540)의 양측에 제1 가이드부시(560)가 설치되며, 각각의 제1 가이드부시(560)를 관통하여 제1 가이드바(570)가 보강프레임(511)에 결합된다. 즉, 스톱실린더(540) 작동에 의한 스톱플레이트(500)의 승강시, 제1 가이드부시(560)를 관통하는 제1 가이드바(570)에 의해 스톱플레이트(500)의 승강 방향이 안내되는 것이다.
아울러, 승강플레이트(410)로 토출된 포대(10)가 승강플레이트(410)의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프레임(4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차단플레이트(600)가 설치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브라켓에 의해 상부프레임(303)의 하부에 차단플레이트(600)가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작업자가 승강프레임(400)의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차단플레이트(6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프레임(400)은 승강실린더(42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하부프레임(302)의 일측에 승강실린더(420)가 수직하게 설치되며, 승강실린더(420)의 실린더로드 단부에 지지플레이트(430)가 결합된다. 지지플레이트(430)의 상측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바(440)가 수직하게 형성되어 승강플레이트(410)를 지지한다.
한편, 승강실린더(420)의 몸체 일측에 제2 브라켓(450)이 결합되고, 이 제2 브라켓(450)에 의해 승강실린더(420)의 양측에 제2 가이드부시(460)가 설치되며, 각각의 제2 가이드부시(460)를 관통하여 제2 가이드바(470)가 지지플레이트(430)를 지지한다. 즉, 승강실린더(420) 작동시 지지플레이트(430)와 지지바(440) 및 승강플레이트(410)가 일체로 승강하며, 이때 제2 가이드부시(460)를 관통하는 제2 가이드바(470)에 의해 지지플레이트(430)의 승강 방향이 안내되는 것이다.
제2 이송컨베이어(310)로부터 토출된 포대(10)는 승강플레이트(410) 위에 안착되며, 미리 정해진 매수의 포대(10)가 승강플레이트(410) 상에 적층되어 포대묶음을 형성하면 승강실린더(420)에 의해 승강프레임(400)이 하강한다.
일 예로서, 승강프레임(400)의 일측에 제2 이송컨베이어(310)로부터 토출되는 포대(10) 또는 승강플레이트(410) 상에 적층되는 포대(10)의 매수를 카운트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카운트된 매수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승강실린더(420)의 작동에 의해 승강프레임(400)이 하강하게끔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승강프레임(400)의 일측에 적층된 포대(10)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승강프레임(400)이 하강하게끔 할 수도 있다.
승강프레임(400)과 승강실린더(420) 사이에 제3 이송컨베이어(700)가 설치된다. 제3 이송컨베이어(700)는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는 복수 개의 단위컨베이어(701)로 이루어지며, 승강프레임(400)의 하강시 승강플레이트(410)는 단위컨베이어(701)와 단위컨베이어(701) 사이 공간으로 하강한다. 이때, 승강플레이트(410) 상의 포대묶음이 제3 이송컨베이어(700) 상에 안착된다.
또한, 제3 이송컨베이어(700)의 일측, 즉 승강플레이트(410)의 후방에 푸시플레이트(800)와, 푸시플레이트(8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시실린더(810)가 설치된다. 푸시플레이트(800)는 포대묶음을 밀어서 적층된 포대(10)들의 후단을 나란히 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 이송컨베이어(700) 상에 안착된 포대묶음의 이송시, 먼저 스톱실린더(540)의 작동에 의해 스톱플레이트(500)가 상승하여 포대묶음의 전방을 개방하며, 푸시플레이트(800)가 포대묶음의 후단을 밀어서 정렬하고, 제3 이송컨베이어(700)의 작동에 의해 포대묶음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한편, 승강프레임(400)이 하강하여 포대묶음이 제3 이송컨베이어(700) 상에 올려지고, 제3 이송컨베이어(700)에 의해 포대묶음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1,제2 이송컨베이어(210,310)에 의한 포대(10)의 이송은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이루어지며, 이때 포대(10)는 임시 적층수단(900)에 의해 적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적층수단의 평면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적층수단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적층수단(900)은, 지지프레임(304)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910)와, 구동모터(91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너트(920)와, 스크류너트(920)와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930)와, 리드스크류(930)의 일단에 결합되어 차단플레이트(600)의 내측으로 출몰하는 받침플레이트(940)를 포함하며, 각각의 구성은 적층프레임(30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씩,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프레임(400)의 하강시 한 쌍의 받침플레이트(940)가 승강프레임(4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제2 이송컨베이어(310)로부터 토출되는 포대(10)를 적재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구동모터(910)의 구동력이 구동기어(911)와 종동기어(921)를 거쳐 스크류너트(920)로 전달되며, 스크류너트(920) 회전시 스크류너트(920)와 나사 결합된 리드스크류(930)가 지지프레임(304)에 결합된 너트 하우징(950)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 받침플레이트(940)가 차단플레이트(600)를 관통하여 차단플레이트(60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이를 위해 차단플레이트(600)에는 받침플레이트(94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프레임(304)에는 너트 하우징(950)의 양측으로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제3 가이드부시(960)가 설치되며, 제3 가이드부시(960)를 관통하는 제3 가이드바(970)가 받침플레이트(940)의 결합프레임(941)에 결합된다. 즉, 구동모터(910) 작동시 제3 가이드부시(960)를 관통하는 제3 가이드바(970)에 의해 받침플레이트(940)의 전후 이동방향이 안내되는 것이다.
한편, 제3 이송컨베이어(700)에 의한 포대묶음의 이송 후, 승강플레이트(410)가 받침플레이트(940)의 하부까지 다시 상승해서 올라오면, 받침플레이트(940)는 차단플레이트(600)의 외부로 빠져나가고, 받침플레이트(940)에 적재된 포대(10)들은 낙하하여 승강플레이트(410)에 옮겨진다.
도 6 내지 도 9는 포대 이송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서,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작동 순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플레이트(500)가 제3 이송컨베이어(700)의 상측까지 하강해 있다.
또한, 양쪽의 받침플레이트(940)는 차단플레이트(600)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2 이송컨베이어(310)로부터 토출되는 포대(10)들이 받침플레이트(940) 상에 적층된다.
이때, 포대(10)들을 전달받기 위해 승강실린더(420)에 의해 승강플레이트(410)가 받침플레이트(940)의 하부까지 상승한다.
이어서,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받침플레이트(940)가 차단플레이트(600)의 외부로 빠져나가며, 받침플레이트(940)에 적층되어 있던 포대(10)들이 승강플레이트(410)로 낙하하여 적재된다.
이어서, 승강플레이트(410)에 일정량의 포대(10)가 적층되면,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420)에 의해 승강플레이트(410)가 하강한다. 동시에, 구동모터(910)의 작동에 의해 받침플레이트(940)가 차단플레이트(600)의 내부로 돌출되어 제2 이송컨베이어(310)로부터 이송되는 포대(10)들을 받아서 적재한다.
한편, 승강플레이트(410)가 계속 하강하여 승강플레이트(410)의 상측면 높이가 제3 이송컨베이어(700)의 상측면 높이보다 낮아지면, 승강플레이트(410)에 적재된 포대묶음이 제3 이송컨베이어(700) 상에 지지된다.
이어서,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실린더(540)의 작동에 의해 스톱플레이트(500)가 상승하여 포대묶음의 전방을 개방한다. 또한, 푸시실린더(810)의 작동에 의해 푸시플레이트(800)가 포대묶음의 후단을 밀어서 정렬시킨다. 아울러, 제3 이송컨베이어(700)에 의해 포대묶음이 일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제2 이송컨베이어(310)로부터 이송되는 포대(10)들은 받침플레이트(940) 상에 계속 적재되고 있다.
이후,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실린더(810)에 의해 푸시플레이트(800)가 후진하여 원위치로 돌아가며, 승강플레이트(410)가 받침플레이트(940)의 하부까지 상승하여 받침플레이트(940)로부터 포대(10)들을 전달받을 준비를 한다. 이후에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과정들이 되풀이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이송장치 200 : 이송프레임
210 : 제1 이송컨베이어 300 : 적층프레임
304 : 지지프레임 310 : 제2 이송컨베이어
400 : 승강프레임 410 : 승강플레이트
420 : 승강실린더 500 : 스톱플레이트
540 : 스톱실린더 600 : 차단플레이트
700 : 제3 이송컨베이어 800 : 푸시플레이트
900 : 임시 적층수단 910 : 구동모터
930 : 리드스크류 940 : 받침플레이트

Claims (7)

  1. 복수 개의 포대를 일부 겹쳐진 상태로 이송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포대를 낱개로 분리하여 이송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포대가 일정량으로 적층되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실린더 사이에 설치되며 일정량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포대를 이송하는 제3 이송컨베이어;
    상기 승강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며 일정량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포대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시플레이트;
    상기 푸시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시실린더;
    상기 승강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3 이송컨베이어에 의한 상기 포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플레이트; 및
    상기 스톱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톱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스톱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스톱플레이트는 사각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가 나란히 돌출 형성되는 차단부와, 인접하는 한 쌍의 차단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프레임이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승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상기 포대의 일정량 적층시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강시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복수 개의 포대를 적층하는 임시 적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적층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너트와, 상기 스크류 너트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스크류 너트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포대가 적층되는 받침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포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KR1020190093227A 2019-07-31 2019-07-31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KR10224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27A KR102249846B1 (ko) 2019-07-31 2019-07-31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27A KR102249846B1 (ko) 2019-07-31 2019-07-31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018A KR20210015018A (ko) 2021-02-10
KR102249846B1 true KR102249846B1 (ko) 2021-05-10

Family

ID=7456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227A KR102249846B1 (ko) 2019-07-31 2019-07-31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819A (ko) 2021-02-02 2022-08-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셀 단위 가스계 소화약제 가이드 날개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과 에너지 저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061B1 (ko) * 2007-02-09 2007-05-02 김용 완충포장 패드 자동적층 장치
JP2007276988A (ja) * 2006-04-11 2007-10-25 Kinzo Tsukasaki ダンボールケースの積み重ね方法
KR101115325B1 (ko) * 2009-06-10 2012-03-0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8125A1 (de) * 1997-02-28 1998-09-03 Bielomatik Leuze & Co Stapler
JP2012157995A (ja) * 2011-01-31 2012-08-2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Printing & Packaging Machinery Ltd カウンタエゼクタ及び製函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6988A (ja) * 2006-04-11 2007-10-25 Kinzo Tsukasaki ダンボールケースの積み重ね方法
KR100713061B1 (ko) * 2007-02-09 2007-05-02 김용 완충포장 패드 자동적층 장치
KR101115325B1 (ko) * 2009-06-10 2012-03-0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능성 필름 적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018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555852U (zh) 一种自动堆叠装置的物料升降旋转搬运机构
CN211109647U (zh) 一种可回收空料盒的全自动快速供料系统
EP2736810A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packen und zuführen von flach gefalteten und aufrecht stehenden packungsmänteln
NZ536645A (en) Application of loading ledges
CN112744547A (zh) 一种可回收空料盒的全自动快速供料系统
KR101879262B1 (ko) 담배필터 포장시스템
CN110758823A (zh) 一种纸板自动整理打包装置
KR102249846B1 (ko) 제대기의 포대 이송장치
EP2883684A1 (de) Verpackungsmaschine und Verfahren mit losem Objektträger
CN111137500A (zh) 圆柱状物料分层排列装置及纸包装挂面装袋机
KR101335086B1 (ko) 자동패커장치의 포장케이스용 소재공급수단
KR102263341B1 (ko) 톰슨박스 반전 공급장치
CN211593108U (zh) 一种圆柱状物料分层排列装置及纸包装挂面装袋机
KR102094308B1 (ko) 종량제 봉투 접지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해 종량제 봉투를 접는 방법
DE342423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fuellen von kartons
US6952911B2 (en) Automatic case packaging system
CN216736521U (zh) 一种低位全自动码垛机
CN216736522U (zh) 一种龙门式全自动码垛机
CN211337707U (zh) 一种码垛成型装置
EP2230181B1 (de) Maschine und Verfahren zur Gruppierung von Behältnissen
CN114435896A (zh) 一种复判缓存设备及复判缓存方法
CN210000670U (zh) 一种包装设备装袋机构
CN217673491U (zh) 一种具有定位缠绕结构的硅酸钠成品包装用自动码垛设备
CN213735854U (zh) 一种平铺式分袋装置
JPH0624567A (ja) 簡易デパレタイザ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