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315A -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315A
KR20100132315A KR1020090051073A KR20090051073A KR20100132315A KR 20100132315 A KR20100132315 A KR 20100132315A KR 1020090051073 A KR1020090051073 A KR 1020090051073A KR 20090051073 A KR20090051073 A KR 20090051073A KR 20100132315 A KR20100132315 A KR 20100132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nsert
unit
insert plate
t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엠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엠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엠엔피
Priority to KR102009005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2315A/ko
Publication of KR2010013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73Moulds with 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 사출성형공정에 투입되는 인서트 플레이트가 놓여지는 안착부를 다수 개 구비한 트레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각 안착부에 인서트 플레이가 장착된 트레이가 다수 적재될 수 있는 트레이 적재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 적재부로부터 하나의 트레이를 공급받는 장착대기부; 상기 트레이 적재부에서 상기 장착대기부로 하나의 트레이를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부; 상기 장착대기부에 위치한 트레이의 각 안착부에 놓여진 인서트 플레이트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잡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서트 플레이트 이동부; 상기 장착대기부에 위치한 트레이가, 그 트레이에 장착되어 있던 인서트 플레이트가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 이동부에 의해 모두 이동되어 공트레이로 되면, 그 공트레이를 상기 장착대기부로부터 제거하는 공트레이 제거부; 및 상기 장착대기부로부터 제거되는 공트레이가 적재되는 공트레이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에 의하면, 인서트 플레이트를 다수 적재할 수 있는 트레이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사출성형장치로 공급되어야 할 인서트가 비교적 크고 복잡한 형상을 가지더라도, 자동으로 공급하여 높은 생산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 장치{Insert plate carrying device}
본 발명은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에 다수의 인서트 플레이트가 적재될 수 있는 트레이를 사용함으로써, 인서트 플레이트를 인서트 플레이트에 자동으로 연속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서트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단독으로 얻기 어려운 특성을 얻고자 할때, 금형 내에서 이질 또는 이색의 플라스틱이나 플라스틱 이외의 금속, 전선 등 부품을 일체화시키는 성형방법을 말한다.
특히. 인서트를 금속으로 하는 경우, 금속이 가진 강성, 도전성, 표면처리성 등과 플라스틱의 전기 절연성, 착색성, 유연성, 강성, 가공성 등을 조합하여 고부가가치 제품의 성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얻고자, 작고 얇으면서도 강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 부품을 많이 채용한 휴대폰 제조 분야에 인서트 사출성형이 적용이 많다.
하지만, 현재 금속 너트와 같이 비교적 작고 간단한 형상을 가진 부품을 인서트 사출하기 위해 사출장치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는 실용화된 것이 있으나, 금속 플레이트와 같이 크기가 비교적 크고 복잡한 형상을 가진 부품을 인서트로서 사출장치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는 실용화된 것이 없다.
따라서 현재에는 금속플레이트를 인서트 사출성형 장치에 공급하기 위하여는,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수동지그 등을 이용하여 양산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의 생산성이나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교적 크기가 크고 복잡한 형상을 갖는 인서트 플레이트를 다수 개 동시에 적재할 수 있는 트레이를 사용함으로써, 인서트 플레이트 자동으로 인서트 사출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는, 프레임; 사출성형공정에 투입되는 인서트 플레이트가 놓여지는 안착부를 다수 개 구비한 트레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각 안착부에 인서트 플레이가 장착된 트레이가 다수 적재될 수 있는 트레이 적재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 적재부로부터 하나의 트레이를 공급받는 장착대기부; 상기 트레이 적재부에서 상기 장착대기부로 하나의 트레이를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부; 상기 장착대기부에 위치한 트레이의 각 안착부에 놓여진 인서트 플레이트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잡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서트 플레이트 이동부; 상기 장착대기부에 위치한 트레이가, 그 트레이에 장착되어 있던 인서트 플레이트가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 이동부에 의해 모두 이동되어 공트레이로 되면, 그 공트레이를 상기 장착대기부로부터 제거하는 공트레이 제거부; 및 상기 장착대기부로부터 제거되는 공트레이가 적재되는 공트레이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트레이 적재부는, 다수의 트레이가 상하방향으로 쌓여져 있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쌓여진 다수의 트레이 중 가장 아래에 있는 트레이를 상기 장착대기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적재부는, 상기 쌍여진 다수의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판지지부재와, 상기 쌓여진 다수의 트레이 중 아래에서 두번째 트레이의 양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단부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공급부는, 상기 단부지지부재가 쌓여진 트레이들 중 아래에서 두번째 트레이를 지지하고 있는 동안, 상기 하면지지부재에 놓여진 가장 아래에 위치한 트레이를 나머지 트레이들과는 이격된 상태로 상기 장착대기부로 이송시키는 공급부 엑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착대기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대기부로 이동되어 와서 기준위치에 있던 트레이를 그 기준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한 장착위치로 상승시키고, 트레이가 공트레이 상태가 되면 그 트레이를 다시 하강시킬 수 있는 트레이 승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 승강부는, 그 상면에 트레이가 놓여지는 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에 상단부가 고정된 봉부재과, 상기 봉부재의 상하방향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봉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트레이 제거부는, 상기 프레임에 경사지도록 고정된 한 쌍의 경사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공트레이가 상기 트레이 승강부에 의해 기준위치보다 아래로 내려옴에 따라, 상기 경사진 경사가이드부재에 그 공트레이의 양측모서리가 지지되며 기울어지고, 자중에 의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려가, 상기 공트레이 적재부로 떨어져 적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트레이가 상기 경사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공트레이이 적재부로 떨어지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상기 공트레이를 향해 압축공기를 보낼 수 있는 에어 분출구를 상기 프레임에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에 의하면, 크기가 크고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인서트 플레이트를 자동으로 인서트 사출성형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서트 플레이트가 다수 개 적재된 트레이를 다수 개 적재하여 인서트 플레이트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인서트 플레이트를 공급하는 리드타임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어, 인서트 사출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트레이의 구체적인 형상을 인서트에 대응되도록 변형하여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인서트플레이트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는, 작업자가 인서트 플레이트들 이 적재된 트레이들을 트레이 적재부에 쌓고, 인서트 플레이트가 제거된 후 공트레이 적재부에 쌓여진 공트레이를 제거하는 공정만을 반복하면, 나머지 공정들은 자 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적은 인원으로 운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좌측면도, 도 3은 도 2의 트레이 적재부의 좌측 하단부분의 개략적인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트레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일실시예의 인서트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1)는,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나, PMP와 같은 소형기기의 부품 중, 내부에 금속 혹은 이종 재질의 인서트 플레이트를 포함한 부품을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하기 위하여, 인서트 사출성형장치(미도시)에, 인서트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예시된 인서트 플레이트(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크기가 다른 휴대폰 부품에 사용되는 인서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복잡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00)는 얇은 금속소재의 판이 외부 테두리를 이루며, 강성의 추가 확보를 위해 판의 일부분이 직각으로 접힌 형상이다. 다만,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00)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의 경우 인서트 플레이트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1)는, 프레임(10), 트레이(20), 트레이 적재부(30), 장착대기부(40), 트레이 공급부(50), 인서트 플레이트 이동부(60), 공트레이 제거부(70), 공트레이 적재부(80) 및 트레이 승강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장치의 골격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프레임(10)에는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1)를 이루는 여러 구성부품 들이 고정된다. 프레임(10)은 강성을 가진 막대 형태와 판형태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의 하단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12)들이 구비되며, 동시에 원하는 장소에 프레임(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다리(14)도 구비된다. 고정다리(14)의 높이는 조절가능하다. 한편, 프레임은, 필요한 경우, 구성부품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거나, 혹은 장치의 동작으로 인해 작업자가 다치는 등의 인명사고나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 커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커버는 아크릴등의 투명재질로 만들어, 외부에서 내부 동작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20)는, 그 상면에 다수의 인서트 플레이트(100)들이 놓여진다. 트레이(20)에는 인서트 플레이트(100)가 하나씩 올려지는 안착부(22)가 다수개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트레이(20)는, 안착부(22)를 4개씩 3줄이 구비되어 모두 12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착부(22)는, 인서트 플레이트(100)가 놓여지기 편하고, 놓여진 후에는 수평방향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안착부(22)의 중간부분은 적당히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각 인서트 플레이트(100)가 작업자나 혹은 자동공급장치에 의해 각 안착부(22)에 놓여지기만 하면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다.
안착부(22)의 구성으로 인해, 인서트 플레이트(100)들이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전설정한 위치사이들을 이동하는 인서트플레이트 이동부(60)의 홀딩부가 인서트 플레이트(100)를 잡고 이동시키는 작업이 오차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트레이(20)는, 본 실시예의 경우, 얇고 가볍고 투명한 플라스틱 부재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돌출형성된 안착부(22)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되어 있어서, 트레이들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아래에 위치한 트레이의 안착부가 바로 위에 위치한 트레이의 안착부의 후면 내부 빈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의 외부 모서리에는 트레이의 위치선정과 이동이 정확히 이루어지는 것을 돕는 홈(24)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 적재부(30)는, 프레임(10)의 일측의 상부에 구비되고, 트레이(20)가 다수 상하 방향으로 적재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트레이 적재부(30) 하부에는, 상부에 쌓여있는 트레이(20)들을 지지할 수 있고 상하운동이 가능한 판지지부재(32)와, 수평방향으로 돌출과 복귀가 가능한 단부지지부재(34)가 양측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다수의 트레이(20)들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트레이의 네 모서리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단면이 "ㄱ" 모양인 수직지지부재(36, 38)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에서 장치(1)의 좌측에 서서 트레이(20)를 적재하는 작업자의 작업편이성을 고려하여, 작업자로부터 멀리 떨어지 있는 한쌍의 수직지지부재(36)는 높게 되어 있고, 가까이 있는 다른 한쌍의 수직지지부재(38)는 낮게 되어 있다.
한편, 트레이 적재부(30)에 적재되는 트레이(20)들은, 각 트레이의 각 안착부(22)마다 인서트 플레이(100)가 장착된 트레이(20)들이다.
상기 장착대기부(40)는, 프레임(10)의 타측에 구비된다. 장착대기부(40)는, 트레이 적재부(30)로부터, 트레이 공급부(50)에 의해 하나의 트레이를 공급받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트레이 공급부(50)는, 쌓여진 다수의 트레이(20) 중 가장 아래에 있는 트레이(20)를 장착대기부(40)로 공급한다.
도 2의 부분 확대도인 도 3를 참조하며, 가장 아래에 위치한 하나의 트레이(20)를 장착대기부(40)로 공급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트레이 적재부(30)에 쌓여 있는 트레이(20)들은 판지지부재(3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판지지부재(32)는 그 아래에 구비된 판지지부재 엑츄에이터(33)에 의해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이동이 가능하다.
도 3에서, 쌓여있는 트레이(20)들은 P1의 위치한 판지지부재(3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때, 단부지지부재(34)는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0)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판지지부재(32)는 P2로 표시한 위치로 판지지부재 엑츄에이터(33)에 의해 내려오게 된다. 이동하는 거리는 쌓여 있는 트레이(20)들의 인접한 두개의 트레이의 모서리 사이의 높이에 해당한다.
판지지부재(32)가 P2위치로 내려오면, 그 위에 쌓여져 있는 트레이(20)들도 같은 거리만큼 내려오게 되며, 이때 트레이들로부터 떨어져 있던 단부지지부재(34) 가 단부지지부재 엑츄에이터(35)의 작동에 의해, 아래에서 두번째 위치한 트레이(20)의 양측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 3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돌출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아래에서 두번째 위치한 트레이(20)부터 그 위에 쌓여진 트레이(20)들은 단부지지부재(34)들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가장 아래의 하나의 트레이(20)가 놓여진 판지지부재(32)는, P2의 위치에서 P3로 표시된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가장 아래의 트레이(20)는 이동판(52)에 의해 모서리부가 지지된다. 한편, 판지지부재(32)는 트레이(20)의 하면의 전체가 아닌 중간부분만을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동판(52)은 트레이(20)의 외측모서리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가장 아래의 트레이(20)가 이동판(5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동안, 판지지부재(32)는 다시 P4의 위치로 하강하여 대기한다. 가장 아래의 트레이(20)를 지지하고 있는 이동판(52)은 공급부 엑추에이터(54)에 의해 장착대기부(40)로 이송된다.
상기 트레이공급부(50)는 이동판(52)과 공급부 엑츄에이터(54)를 포함한다. 이동판(52)은 슬라이딩블록(55)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딩블록(55)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돌기부분(57)은 가이드홈(56)을 따라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장착대기부(40)로 이동된 하나의 트레이(20)는 트레이 적재부(30)로부터 이동되어 온 후, 트레이 승강부(90)에 의해 위로 이동된다. 이는 추후 작업인 인서트 플레이트 이동부(60)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트레이 승강부(90)는, 장착대기부(40)의 하측에 구비된다. 한편, 트레 이 적재부(30)로부터 장착대기부로 이동되어 온 트레이의 위치를 기준위치라고 하고, 그 기준위치에서 위로 상승완료된 위치를 장착위치라고 한다.
트레이 승강부(90)는, 트레이(20)를 기준위치에서 장착위치로 이동시키고, 트레이(20)에 있던 인서트 플레이트들이 모두 제거되면, 다시 장착위치에서 기준위치보다 더 낮은 높이까지 하강시킨다.
트레이 승강부(90)는, 평판부재(92), 봉부재(93), 가이드부재(94), 승강부 엑츄에이터(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평판부재(92)의 상면에는 트레이가 놓여지며, 봉부재(93)의 상단부는 평판부재(92)에 고정된다. 가이드부재(94)는 봉부재(92)의 상하방향이동을 가이드하고, 승강부 엑츄에이터(95)는, 봉부재(92)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결국 평판부재(92)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 이동부(60)는, 장착대기부(40)에 위치한 트레이(20)의 각 안착부(22)에 놓여진 인서트 플레이트(100)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잡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소정의 위치라 함은, 작업자가 원하는 특정의 위치로서, 인서트 사출장치로 인서트 플레이트(100)를 공급하기 위한 자동이송장치와 같은 또 다른 장치가 인서트 플레이트(100)를 잡기 편한 위치를 의미한다.
인서트 플레이트 이동부(60)는, 하나의 인서트 플레이트(100)를 잡는 홀딩부(61)를 구비한다. 홀딩부(61)는 집게 처럼 작동하며 인서트 플레이트(100)를 잡고 원하는 위치로 옮긴 후 다시 놓게 된다. 이러한 홀딩부(61)의 위치를 공간상 X, Y, Z 축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즉, 홀딩부(61)는 제1부재(62)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 제1부재(62)는 제2부재(63)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제2부재(63)는 제1가이드부재(64)를 따라 수평이동가능하다. 제1가이드부재(64)가 고정된 제3부재(65)는 다시 제2가이드부재(66)를 따라 상기 제2부재(63)의 이동방향과는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수평이동가능하다.
상기 공트레이 제거부(70)는, 장착대기부(40)에 위치한 트레이(20)가, 그 트레이(20)에 장착되어 있던 인서트 플레이트(100)가 모두 인서트 플레이트 이동부(60)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어 공 트레이(20) 상태로 되면, 그 공 트레이(20)를 장착대기부(40)로부터 제거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공 트레이 제거부(70)는, 한 쌍의 경사가이드부재(72)를 포함한다. 경사가이드부재(720는, 트레이 공급부(50)의 하측에 위치하며, 프레임(10)에 도 1의 방향에서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고정된 부재이다.
장착대기부(40)에 있던 트레이(20)가 공 트레이(20) 상태로 되며, 그 공 트레이(20)는 트레이 승강부(90)에 의해 기준위치보다 아래로 내려게 된다. 공 트레이(20)가 기준위치보다 아래로 내려오게 되면, 그 공 트레이(20)의 양측 모서리는경사진 경사가이드부재(72)에 불균형하게 지지되며 기울어지게 된다.
경사진 공 트레이(20)는, 자중에 의해 기울어진 방향(도 1에서 좌측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려가, 공트레이 적재부(80)로 떨어져 적재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공트레이(20)가 경사가이드부(72)를 따라 공트레이 이 적재부(80)로 떨어지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공트레이(20) 뒤에서 공트레이를 향해 떨어지는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보낼 수 있는 에어 분출구(99)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공트레이(20)가 경사진 후에도 경사가이드부(72)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는 것도 바람직하다. 센서를 구비하면, 이 센서로부터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에어분출구(99)가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트레이 적재부(80)는 장착대기부(40)로부터 제거되어 온 공트레이가 적재되는 곳이다. 세 면이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적재부(80)로 떨어진 공트레이(20)들은 상하 방향으로 차곡차곡 적재되게 된다.
한편,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1)의 컨트롤을 위한 컨트롤 박스(C)가 프레임(10)의 하부 타측에 구비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1)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작업자가 직접, 혹은 자동장치에 의해 인서트 플레이트(100)를 트레이(20)의 각 안착부(22)에 장착한다. 인서트 플레이트(100)가 장착된 다수의 트레이(20)를 트레이 적재부(30)에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한다. 도 1의 좌측 위에 위치한 적재된 트레이(20)들은 모두 인서트 플레이트(100)들이 장착된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장 아래에 있던 트레이(20) 하나가, 이동 판(52)에 지지되어, 공급부 엑츄에이터(54)에 의해, 도 1의 우측의 장착대기부(40)의 기준위치로 이동된다. 이동된 트레이(20)는 그 아래에 위치한 트레이 승강부(90)의 동작에 의해 기준위치의 상단부인 장착위치로 이동된다.
장착위치의 트레이(20)의 각 안착부(22)에 장착되어 있던 인서트 플레이트(100)들은, 인서트 플레이트 이동부(60)에 의해, 하낙씩 순차적으로 잡혀서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소정의 위치는 인서트 사출성형 장치로 인서트 플레이트(100) 가져가기 편한 곳, 혹은 사출성형장치로 바로 공급되기 전 중간준비위치가 될 수 있다.
트레이(20)가 그 위에 장착된 인서트 플레이트(100)들이 모두 제거되어 공 트레이 상태가 되게 되면, 공트레이 적재부(80)로 이동된다. 즉, 장착위치에 있던 공트레이(20)는 트레이 승강부(90)에 의해 기준위치 보다도 더 아래의 위치로 이동된다. 공트레이(20)가 점차 내려가게 되면, 경사가이드부재(72)에 공트레이(20)의 대면하는 양측 모서리가 걸리게 되면서, 도 1에 가상선으 표시된 공 트레이(20)와 같이,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기울어진 공트레이(20)는, 경사 가이드부재(72)를 따라, 도 1의 화살표와 같이, 트레이 적재부(80) 안으로 떨어져 쌓이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계속되면서, 인서트 플레이트(100)를 계속적으로 원하는 소정의 위치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인서트 플레이트를 공급하고 그 다음의 인서트 플레이트를 공급하는 사이의 공급시간은 장치의 셋팅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다. 이 공급시간을 사출성형장치가 허용하는 한 짧게 하면, 인서트 플레이트를 사출성형을 생산성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1)는, 인서트 플레이트(100)를 다수 적재할 수 있는 트레이(20)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사출성형장치로 공급되어야 할 인서트가 비교적 크고 복잡한 형상을 가지더라도, 자동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트레이의 형상은 인서트 플레이트에 대응되도록 변형하여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트레이 공급방식을 채용한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는 어떠한 형상의 인서트 플레이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에 의하면, 적은 인원으로 장치의 운용이 가능하여, 생산비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트레이 적재부(30)가 판지지부재(32)와 단부지지부재(3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트레이 공급부(50)가 이동판(52)과 공급부 엑츄에이터(5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트레이 적재부는 트레이가 다수 적재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변형가능하며, 트레이공급부도 하나의 트레이를 장착대기부로 공급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변형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트레이 승강부(9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시예의 경우, 트레이 승강부를 구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트레이 제거부(70)가 경사가이드부재(7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 시예의 경우, 장착대기부에 있던 공트레이를 제거할 수 있기만 하면, 대체 구성으로 변형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좌측면도,
도 3은 도 2의 트레이 적재부의 좌측 하단부분의 개략적인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1의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트레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일실시예의 인서트 플레이트의 사시도.

Claims (7)

  1. 프레임;
    사출성형공정에 투입되는 인서트 플레이트가 놓여지는 안착부를 다수 개 구비한 트레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각 안착부에 인서트 플레이가 장착된 트레이가 다수 적재될 수 있는 트레이 적재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트레이 적재부로부터 하나의 트레이를 공급받는 장착대기부;
    상기 트레이 적재부에서 상기 장착대기부로 하나의 트레이를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부;
    상기 장착대기부에 위치한 트레이의 각 안착부에 놓여진 인서트 플레이트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잡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서트 플레이트 이동부;
    상기 장착대기부에 위치한 트레이가, 그 트레이에 장착되어 있던 인서트 플레이트가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 이동부에 의해 모두 이동되어 공트레이로 되면, 그 공트레이를 상기 장착대기부로부터 제거하는 공트레이 제거부; 및
    상기 장착대기부로부터 제거되는 공트레이가 적재되는 공트레이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적재부는, 다수의 트레이가 상하방향으로 쌓여져 있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쌓여진 다수의 트레이 중 가장 아래에 있는 트레이를 상기 장착대기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적재부는, 상기 쌍여진 다수의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판지지부재와, 상기 쌓여진 다수의 트레이 중 아래에서 두번째 트레이의 양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단부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공급부는, 상기 단부지지부재가 쌓여진 트레이들 중 아래에서 두번째 트레이를 지지하고 있는 동안, 상기 하면지지부재에 놓여진 가장 아래에 위치한 트레이를 나머지 트레이들과는 이격된 상태로 상기 장착대기부로 이송시키는 공급부 엑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기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대기부로 이동되어 와서 기준위치에 있던 트레이를 그 기준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한 장착위치로 상승시키고, 트레이가 공트레이 상태가 되면 그 트레이를 다시 하강시킬 수 있는 트레이 승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승강부는, 그 상면에 트레이가 놓여지는 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에 상단부가 고정된 봉부재과, 상기 봉부재의 상하방향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봉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트레이 제거부는, 상기 프레임에 경사지도록 고정된 한 쌍의 경사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공트레이가 상기 트레이 승강부에 의해 기준위치보다 아래로 내려옴에 따라, 상기 경사진 경사가이드부재에 그 공트레이의 양측모서리가 지지되며 기울어지고, 자중에 의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려가, 상기 공트레이 적재부로 떨어져 적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트레이가 상기 경사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공트레이이 적재부로 떨어지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상기 공트레이를 향해 압축공기를 보낼 수 있는 에어 분출구를 상기 프레임에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장치.
KR1020090051073A 2009-06-09 2009-06-09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 장치 KR20100132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073A KR20100132315A (ko) 2009-06-09 2009-06-09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073A KR20100132315A (ko) 2009-06-09 2009-06-09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315A true KR20100132315A (ko) 2010-12-17

Family

ID=4350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073A KR20100132315A (ko) 2009-06-09 2009-06-09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23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259B1 (ko) 인서트 공급 및 사출성형물 포장장치와 그의 방법
JP5034669B2 (ja) 板材搬送収納システムおよび板材搬送収納方法
KR101677291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KR101822568B1 (ko) 탁상형 작업 장치
CN212049512U (zh) 烧录上下料设备
CN209553621U (zh) 自动移栽机
JP2004186249A (ja) 基板移載装置並びに基板の取り出し方法および基板の収納方法
CN210064439U (zh) 自动连续上料机构
KR101651111B1 (ko) 테이프릴 개별공급기능을 갖는 테이프릴 보관장치
KR101207078B1 (ko) 자동화 장비용 트레이 로딩장치
KR101155659B1 (ko)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 장치
CN211003522U (zh) 一种自动上下料装置
CN102992042B (zh) 分料机构
JP2020155627A (ja) トレイ搬送装置およびパネル搬送システム
CN113148669A (zh) 料盘上料设备
TW200930648A (en) Container exchanging device and container exchanging method
KR20100132315A (ko) 인서트 플레이트 공급 장치
JP2001246529A (ja) ワーク自動セット装置
CN108177939A (zh) 物料运输系统和物料运输方法
CN217946926U (zh) 一种托盘自动上料装置
CN212075675U (zh) 玻璃盖板用全自动插架机
CN209071295U (zh) 一种电池片料盒输送切换装置
CN210390433U (zh) 一种丝网印刷设备
CN112407943A (zh) 一种分料叠盘一体机
JP2011152980A (ja) コンテナの段ばら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