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880A -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880A
KR20100126880A KR1020090045282A KR20090045282A KR20100126880A KR 20100126880 A KR20100126880 A KR 20100126880A KR 1020090045282 A KR1020090045282 A KR 1020090045282A KR 20090045282 A KR20090045282 A KR 20090045282A KR 20100126880 A KR20100126880 A KR 20100126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istic curve
value
display
point
horizont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489B1 (ko
Inventor
서경열
김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489B1/ko
Priority to US12/778,277 priority patent/US8412037B2/en
Publication of KR20100126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17/20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visible in viewfind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03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setting of both shutter and diaphrag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조작이 용이한 유저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은 촬영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촬영모드가 수동으로 촬영 조건을 조정할 수 있는 매뉴얼 모드이면 촬영조건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곡선 및 추천영역을 디스플레이에 도시하며, 사용자가 특성곡선 또는 특성곡선 주변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지정된 지점에 상응하여 촬영조건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조작이 용이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촬영 조건을 조정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촬영장치에서는 셔터(Shutter)와 조리개(Iris)가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이다. 영상촬영장치에서는 노출에 관한 적정한 조절이 핵심적인 해결과제이며, 이는 셔터와 조리개의 구동상태에 따라 조절된다. 한편, 셔터는 빛에 대한 필름의 노출시간(the time of exposure)를 제어하며, 조리개는 개방단면적(opening area)과 초점심도(focusing rate)를 결정한다. 그리고, 노출시간과 노출단면적의 곱(product)이 노출량(Ev; exposure value)이 되며, 초점심도는 노출단면적에 반비례한다. 초기의 카메라에서는 셔터와 조리개의 상태를 사용자의 임의적인 조작에 의하여 설정하였으나, 전자소자들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기술이 일반화되어 왔다.
이러한 자동방식의 노출장치는 조리개와 셔터의 상호조정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프로그램방식(program mode)과, 조리개우선방식(aperture mode or iris mode) 및 셔터우선방식(shutter mode)으로 나누어진다. 한편, 조리개우선방식에서는 조리개의 노출단면적이 먼저 결정된 다음 셔터의 이동속도를 결정하고, 셔터우선방식에서는 셔터의 이동속도가 먼저 결정된 다음 조리개의 노출단면적이 설정되며, 프로그램방식에서는 셔터와 조리개가 연동되기 때문에, 양자의 미세한 조절이 필요하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자동노출장치에서는 프로그램방식, 조리개우선방식 또는 셔터우선방식 모두 조리개부와 셔터부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카메라 등의 부품수가 많아지며, 조리개 및 셔터를 각각 기계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기구부가 복잡해지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프로그램방식인 경우에는 조리개 및 셔터가 연동되고 그 제어가 고정밀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적당한 노출상태를 만들기 위한 연동제어가 까다롭고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촬영 조건들간에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곡선 또는 특성곡선 주변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여 촬영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촬영장치의 촬영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촬영 모드가 매뉴얼 모드이면 촬영 조건들간에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곡선을 디스플레이에 도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여 상기 촬영 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성곡선 주변에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촬영 동작 수행 시 추천되는 촬영조건영역을 나타내는 추천영역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조건은 셔터 속도값, 조리개값 또는 ISO값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성곡선은 가로축 및 세로축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도시되는 곡선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축 또는 세로축이 나타내는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거나 상기 영상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입력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셔터 속도값, 조리개값 또는 ISO값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셔터 속도값, 조리개값 또는 iso값 중 상기 가로축 또는 세로축의 값으로 설정되지 않은 값은 상기 특성곡선에 대한 기준값(default)으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값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표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터치 하거나 상기 입력버튼을 조작하여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는 것은, 상기 가로축 또는 세로축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축 또는 세로축 중 어느 하나의 축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지정되지 않은 축이 나타내는 촬영 조건도 상기 특성곡선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는 것은, 상기 특성곡선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성곡선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상기 지정된 지점에 상응하여 상기 가로축 및 세로축이 나타내는 촬영 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는 것은, 상기 가로축 및 세로축이 형성하는 내부공간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공간 상의 지정된 임의의 지점에 상응하여 상기 가로축 및 세로축이 나타내는 촬영 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공간 상의 지정된 임의의 지점이 상기 추천영역 외부의 지점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EVC(Exposure Value Compensation)값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성곡선은 일정 시간마다 갱신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성곡선은 상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되는 화면이 변경되면 갱신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되는 화면이 변경되는 것은,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화각이 변경되거나 상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되는 장면이 변경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촬영조건들간에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곡선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상기 지정된 지점에 따라 상기 촬영조건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특성곡선을 갱신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하는 화면이 변경되면 상기 특성곡선을 갱신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이 변경되는 것은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화각이 변경되거나 상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되는 장면이 변경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특성곡선을 상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하는 화면과 중첩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특성곡선 단독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영 조건은 셔터 속도값, 조리개값 또는 ISO값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성곡선은 가로축 및 세로축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도시되는 곡선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축 또는 세로축은 상기 셔터 속도값, 조리개값 또는 ISO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로축 또는 세로축 상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되면, 지정되지 않은 축이 나타내는 촬영조건도 상기 특성곡선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성곡선 주변에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촬영 동작 수행 시 추천되는 촬영조건영역을 나타내는 추천영역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곡선 상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되면, 상기 지정된 지점에 상응하여 상기 가로축 및 세로축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곡선 주변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되면, 상기 지정된 지점에 상응하여 상기 가로축 및 세로축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영역 외부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EVC(Exposure Value Compensation)값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거나 상기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특성곡선 또는 특성곡선 주변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여 촬영조건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촬영장치(10)의 후면에는 초점을 맞추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뷰 파인더(100)와, 영상의 초점이 잡히면 점등하는 자동초점램프(101)와, 플래시의 상태를 표시해주는 플래시 상태램프(102)와, 매뉴얼 모드 또는 오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다이얼(103)과, 셔터를 개방시키는 셔터버튼(104)과, 디스플레이 화면을 온/오프시키는 디스플레이버튼(105)과, 좁은 공간을 확대시키고 원근감을 과장시키는 광각줌 버튼(106)과, 먼 거리의 물체를 크게 확대시키는 망원줌 버튼(107)과, 메뉴 및 확인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확인버튼(108)과, 메뉴진입/확인(ok) 버튼 및 상하좌우 방향 버튼으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113)에 메뉴가 표시된 경우에 상하좌우 방향 버튼이 특수한 기능 버튼으로 작용하는 방향/기능 버튼(109)과, 전원을 입력할 수 있는 DC전원입력단자(110)와, 영상촬영장치(10)의 화면을 외부에 출력시키는 단자인 외부출력단자(111)와, 촬영된 화면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113)에 재생하도록 모드 변경하는 재생모드버튼(112)과, 영상촬영장치(10)에서 현재 설정된 촬영모드와 상태를 나타내는 OSD(on screen dispaly)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3)와, 사용자가 초점을 수동으로 맞출 수 있도록 모드 변경하는 수동초점 버튼(114)과, 영상촬영장치(10)의 노출(exposure)량을 고정하는 자동노출 잠금버튼(115)과, 촬영화면의 화질을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촬영화질 조정버튼(11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여러 기능 버튼들은 영상촬영장치(10)의 사양에 따라 그 명칭에서 나타나는 기능 이외에도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촬영장치(10)의 촬영 모드가 오토(Auto)모드일 때 디스플레이(113)에는 특성곡선(200) 및 추천영역(201)이 표시된다. 오토모드는 영상촬영장치(10)에서 자동으로 촬영 조건을 조정하는 모드로서, 사용자가 촬영조건을 임의로 조정할 수 없다.
특성곡선(200)은 셔터속도값(shutter speed), 조리개값(iris value) 및 ISO값과 같은 촬영조건들간의 관계를 2차원 공간영역 상에 그래픽을 이용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상술한 촬영조건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곡선(200)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특성곡선(200)의 추천영역(201)은 특성곡선(200) 주변으로 최적의 노출(Exposure)량을 나타내는 일정 영역을 나타낸다.
영상촬영장치(10)의 촬영모드가 오토모드일 때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촬영 조건을 변경할 수 없으며, 디스플레이(113)에 현재 촬영조건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곡선(200)이 딤(dim)처리되어 표시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 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촬영장치(10)의 촬영 모드가 매뉴얼(Manual)모드일 때 디스플레이(113)에는 특성곡선(200) 및 추천영역(201)이 표시된다. 매뉴얼모드는 영상촬영장치(10)의 촬영 조건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하는 모드이며,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값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13)를 터치하거나 기능버튼(109)을 조작하여 셔터속도값(shutter speed), 조리개값(iris value) 또는 ISO값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3)의 일측에 표시되는 기준값도 디스플레이(113)를 터치하거나 기능버튼(109)을 조작하여 그 종류 및 수치를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b에서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이 나타내는 값은 셔터속도값(shutter speed)이고,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값은 조리개값(iris value)이며, 기준값(default)은 ISO값이다. 도 2b는 ISO값을 기준값(default)으로 하여 셔터속도값의 변화에 따른 최적의 조리개값에 대한 특성곡선(200)이 디스플레이(113)에 표시된다.
한편, 도 2b는 도 2a와 비교 시, 디스플레이(113)에 나타나는 특성곡선(200)에 대한 화면이 진하게 표시되어 사용자가 촬영 조건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매뉴얼 모드에서 특성곡선(200)의 가로 축(202) 또는 세로축(203) 중 어느 하나의 축이 나타내는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나머지 축이 나타내는 지점도 그에 상응하여 특성곡선(200)에 따라 변경된다. 예를 들면, 도 2c에서 사용자가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이 나타내는 셔터속도값을 a'값으로 지정하면, 특성곡선(200)의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조리개값도 그에 상응하는 b'값으로 변경된다. 또한, 사용자가 특성곡선(200)의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조리개값을 b'값으로 지정하면,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이 나타내는 셔터속도값도 그에 상응하여 a'값으로 변경된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매뉴얼 모드에서 특성곡선(200)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지정된 지점이 나타내는 값으로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촬영 조건이 변경된다. 예를 들면, 도 2d에서 사용자가 특성곡선(200) 상의 L지점을 지정하면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이 나타내는 셔터 속도값은 a에서 a'로 변경되고, 특성곡선(200)의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조리개값은 b에서 b'로 변경된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의 임의의 지점을 사용자가 지정하면, 지정된 지점에 상응하는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이 변경된다. 예를 들면, 도 2e에 서 사용자가 M지점을 지정하면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이 나타내는 셔터 속도값은 a에서 a''값으로 변경되고, 특성곡선(200)의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조리개값은 b에서 b''값으로 변경된다. 한편, 도 2e에서 사용자가 특성곡선(200)의 추천영역(201)을 벗어난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디스플레이에 EVC(Exposure Value Compensation)값이 부가적으로 표시된다.
EVC값은 AE(Auto Exposure) 목표 레벨을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 수준(추천영역 수준)으로 증감하기 위한 수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EVC값을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9031019681-PAT00001
N : F넘버(렌즈의 밝기를 나타내는 수치)
T : 셔터 속도
ISO : ISO 게인
도 2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성곡선(200)의 기준값을 사용자가 변경하면, 변경된 기준값에 상응하는 특성곡선(200) 및 추천영역(201)이 연동하여 갱신된다. 예를 들면, 도 2f에서 ISO값이 400에서 800으로 변경되면 특성곡선 1(200)에서 특성곡선 2(200')로 갱신되어 표시된다.
도 2g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 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성곡선(200) 및 추천영역(201)을 디스플레이에 도시할 때, 입력영상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성곡선(200) 또는 특성곡선(200) 주변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여 촬영 조건을 변경하게 되면, 변경된 촬영조건에 따른 입력영상이 화면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노출량(exposure)을 직감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g에서는 특성곡선의 가로축이 나타내는 값을 셔터 속도값으로 설정하고, 세로축이 나타내는 값을 조리개값으로 설정하고, 기준값을 ISO값으로 설정하였지만, 각 축 및 기준값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설정가능한 모드와 그 OSD 아이콘을 도시한 도면이다.
오토 모드는 사용자 설정을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는 모드로서 사용자가 촬영 조건을 임의로 조정할 수 없다. 프로그램 모드는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촬영할 수 있는 모드이다. 조리개우선 모드는 설정된 조리개값에 따라 자동으로 셔터 속도를 결정해주는 모드이다. 셔터우선 모드는 설정된 셔터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리개값을 결정해주는 촬영모드이다. 매뉴얼 모드는 사용자가 직접 셔터속도, 조리개값 및 ISO값을 설정하는 모드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도 2에 도시한 특성곡선(200) 또는 특성곡선(200) 주변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여 촬영 조건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마이셋 모드는 자주 사용하는 촬영조건 을 설정 및 저장한 후 나중에 불러 쓸 수 있는 모드이다. 장면 모드는 야경, 인물, 풍경, 근접, 문자인식 등 여러 가지 촬영상황에 따라 영상촬영장치(10)의 설정을 간단히 할 수 있는 모드이다. 그리고 음성녹음 및 동영상 모드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촬영모드가 상술한 모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촬영장치(10)는 사용자가 여러 가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버튼(301)과, 영상촬영장치(10)의 제어 전반을 관장하는 제어부(300)와, 영상촬영장치(10)의 외부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13)를 포함한다.
입력버튼(301)은 중앙에 메뉴진입/확인(ok) 버튼, 상하좌우 방향 버튼을 구비한 기능버튼(109)을 포함하며, 상하좌우 방향 버튼은 디스플레이(113)에 메뉴가 표시된 경우에 방향이동이 아닌 특수한 기능 버튼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촬영장치(10)의 촬영모드가 매뉴얼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입력버튼(301)을 조작하여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값 또는 기준값(default)을 선택 및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매뉴얼 모드에서 촬영조건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곡선(200) 및 추천영역(201)을 디스플레이(113)에 표시하며, 오토 모드에서 촬영조건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곡선(200) 및 추천영역(201)을 딤(dim)처리하여 표시한다.
특성곡선(200)은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도시되 는 곡선을 의미하며, 가로축(202) 또는 세로축(203)의 값으로 설정된 촬영조건을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하나의 축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의 적정변화량을 2차원 곡선으로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이 나타내는 값이 셔터 속도값이고,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값이 조리개값이면, 셔터 속도값에 따른 적정 조리개값을 나타내는 2차원 곡선을 디스플레이(113)에 도시한다. 이 때, ISO값(예를 들면, 400)을 기준값으로 하여 2차원 곡선이 도시된다. 즉, 기준값인 ISO값이 400일 때, 셔터 속도값의 변화에 따른 적정 조리개값을 나타내는 특성곡선(200)이 도시된다. 한편, ISO값은 입력버튼(301)을 조작하거나 디스플레이(113)를 직접 터치하여 그 수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ISO값이 변경되면, 변경된 ISO값을 기준값(default)으로 하여 특성곡선(200)이 갱신되어 도시된다. 한편, 특성곡선(200) 및 추천영역(201)은 영상촬영장치(10)의 입력 영상과 중첩하여 표시되거나, 특성곡선(200) 및 추천영역(201)이 단독으로 디스플레이(113)에 표시될 수도 있다.
추천영역(201)은 특성곡선(200) 주변의 일정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영상촬영장치(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적정 노출량을 갖도록 추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적정 노출량은 계절, 날씨, 촬영시간 등 다양한 조건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적정 노출값(exposure index)에 대한 일정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품 설계 시 설계자에 의해 그 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셔터 속도값 1/4000 1/2000 1/1000 1/500
조리개값 f1.4 f2 f2.8 f4
상술한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셔터 속도값 1/4000에 대해 조리개 값이 f1.4 가 될 때 적정 노출값을 가진다면, 설계자는 셔터 속도값 1/4000에 대해 조리개 값이 f1.2~f1.6을 가지는 영역을 적정 노출값에 대한 일정 범위로 하여 적정노출량 즉, 추천영역을 정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300)는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특성곡선(200) 및 추천영역(201)을 갱신하여 디스플레이(113)에 도시한다.
제어부(300)는 영상촬영장치(10)의 화각이 변경되면, 변경된 화각에 따른 특성곡선(200) 및 추천영역(201)을 갱신하여 디스플레이(113)에 도시한다.
제어부(300)는 영상촬영장치(10)의 화면이 변경되면, 변경된 화면에 따른 특성곡선(200) 및 추천영역(201)을 갱신하여 디스플레이(113)에 도시한다.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특성곡선(200) 또는 특성곡선(200) 주변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지정된 지점에 따라 촬영조건을 변경한다.
제어부(300)는 매뉴얼 모드에서 사용자가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 또는 세로축(203) 중 어느 하나의 축이 나타내는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나머지 축이 나타내는 지점도 그에 상응하여 특성곡선(200)에 따라 변경한다.
제어부(300)는 매뉴얼 모드에서 사용자가 특성곡선(200)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지정된 지점이 나타내는 값으로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을 변경한다.
제어부(300)는 매뉴얼 모드에서 사용자가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지정된 지점이 나타내는 값으로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을 변경한다. 이 때, 사용자가 특성곡선(200)의 추천영역(201)을 벗어난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디스플레이(113)에 EVC(Exposure Value Compensation)값을 부가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13)는 영상촬영장치(10)의 현재 설정된 촬영모드와 상태를 나타내는 OSD(on screen dispaly)가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3)를 직접 터치하여 메뉴를 선택 및 변경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영상촬영장치(10)의 매뉴얼 모드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3)를 터치하여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값 또는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특성곡선(200) 또는 특성곡선(200) 주변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여 촬영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영상촬영장치(10)의 동작이 개시되면 촬영모드를 확인한다.(S10)
다음으로, 영상촬영장치(10)의 촬영모드가 사용자가 촬영조건을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매뉴얼 모드이면 디스플레이(113)에 특성곡선(200)을 표시하고, 매뉴얼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S20,S30,S40)
한편, 영상촬영장치(10)의 촬영모드가 사용자가 촬영조건을 수동으로 변경할 수 없는 오토 모드이면 디스플레이(113)에 특성곡선(200)을 딤(dim)처리하여 표시하고, 오토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S50,S60,S70)
한편, 영상촬영장치(10)의 모드가 매뉴얼 모드 또는 오토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다른 모드 예를 들면, 조리개 우선모드, 셔터 우선모드 등에 따른 동작을 수 행한다.(S80)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매뉴얼모드에 따른 제어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영상촬영장치(10)의 촬영 모드가 매뉴얼 모드이면 디스플레이(113)에 특성곡선(200)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 또는 세로축(203) 상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되는지 확인한다.(S100)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특성곡선(200)의 가로축(202) 또는 세로축(203) 상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특성곡선(200)에 따라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로축(202)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가로축(202)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은 지정된 지정값에 의해 변경되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지 않은 나머지 축이 나타내는 촬영조건도 특성곡선(200)에 상응하여 변경된다.(S110)
한편, 사용자에 의해 특성곡선(200) 상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특성곡선(200)상의 지정된 지점에 상응하여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을 변경한다.(S120,S130)
한편, 제어부(300)는 사용자에 의해 특성곡선(200) 주변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추천영역(201)이 지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40,S150)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추천영역(201) 내부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지정된 지점에 상응하여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촬영 조건을 변경한다.(S160)
한편, 사용자에 의해 추천영역(201) 외부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지정된 지점에 상응하여 가로축(202) 및 세로축(203)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을 변경하고, 디스플레이(113)의 일측에 EVC(Exposure Value Compensation)값을 부가적으로 표시한다.(S170)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g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드 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도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설정가능한 모드와 그 OSD 아이콘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제어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매뉴얼모드에 따른 제어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0 : 특성곡선 201 : 추천영역
202 : 특성곡선의 가로축 203 : 특성곡선의 세로축

Claims (30)

  1. 영상촬영장치의 촬영 모드를 확인하고,
    상기 촬영 모드가 매뉴얼 모드이면 촬영 조건들간에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곡선을 디스플레이에 도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여 상기 촬영 조건을 변경하는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곡선 주변에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촬영 동작 수행 시 추천되는 촬영조건영역을 나타내는 추천영역이 표시되는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셔터 속도값, 조리개값 또는 ISO값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곡선은 가로축 및 세로축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도시되는 곡선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축 또는 세로축이 나타내는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거나 상 기 영상촬영장치에 구비되는 입력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셔터 속도값, 조리개값 또는 ISO값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인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속도값, 조리개값 또는 iso값 중 상기 가로축 또는 세로축의 값으로 설정되지 않은 값은 상기 특성곡선에 대한 기준값(default)으로 작용하는 것인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표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거나 상기 입력버튼을 조작하여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인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는 것은,
    상기 가로축 또는 세로축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는 것인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축 또는 세로축 중 어느 하나의 축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지정되지 않은 축이 나타내는 촬영 조건도 상기 특성곡선에 따라 변경되는 것인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는 것은,
    상기 특성곡선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는 것인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곡선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상기 지정된 지점에 상응하여 상기 가로축 및 세로축이 나타내는 촬영 조건을 변경하는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는 것은,
    상기 가로축 및 세로축이 형성하는 내부공간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는 것인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 상의 지정된 임의의 지점에 상응하여 상기 가로축 및 세로축이 나타내는 촬영 조건을 변경하는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 상의 지정된 임의의 지점이 상기 추천영역 외부의 지점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EVC(Exposure Value Compensation)값을 표시하는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곡선은 일정 시간마다 갱신되어 표시되는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곡선은 상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되는 화면이 변경되면 갱신되어 표시되는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되는 화면이 변경되는 것은,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화각이 변경되거나 상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되는 장면이 변경되는 것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7. 촬영조건들간에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곡선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면, 상기 지정된 지점에 따라 상기 촬영조건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특성곡선을 갱신하여 표시하는 영상촬영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하는 화면이 변경되면 상기 특성곡선을 갱신하여 표시하는 영상촬영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이 변경되는 것은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화각이 변경되거나 상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되는 장면이 변경되는 것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특성곡선을 상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하는 화면과 중첩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특성곡선 단독으로 표시하는 영상촬영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셔터 속도값, 조리개값 또는 ISO값을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곡선은 가로축 및 세로축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도시되는 곡선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축 또는 세로축은 상기 셔터 속도값, 조리개값 또는 ISO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나타내는 것인 영상촬영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로축 또는 세로축 상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되면,
    지정되지 않은 축이 나타내는 촬영조건도 상기 특성곡선에 따라 변경하는 영상촬영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곡선 주변에는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촬영 동작 수행 시 추천되는 촬영조건영역을 나타내는 추천영역이 표시되는 영상촬영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곡선 상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되면, 상기 지정된 지점에 상응하여 상기 가로축 및 세로축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을 변경하는 영상촬영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곡선 주변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되면, 상기 지정된 지점에 상응하여 상기 가로축 및 세로축이 나타내는 촬영조건을 변경하는 영상촬영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영역 외부의 임의의 지점이 지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EVC(Exposure Value Compensation)값을 표시하는 영상촬영장치.
  3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임의의 지점을 지정하거나 상기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버튼;을 더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KR1020090045282A 2009-05-25 2009-05-25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9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282A KR101598489B1 (ko) 2009-05-25 2009-05-25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778,277 US8412037B2 (en) 2009-05-25 2010-05-12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282A KR101598489B1 (ko) 2009-05-25 2009-05-25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880A true KR20100126880A (ko) 2010-12-03
KR101598489B1 KR101598489B1 (ko) 2016-03-02

Family

ID=4312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282A KR101598489B1 (ko) 2009-05-25 2009-05-25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12037B2 (ko)
KR (1) KR101598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3296A (ja) * 2010-04-09 2011-11-04 Sony Corp 撮像制御装置および撮像制御方法
JP5817131B2 (ja) 2011-02-01 2015-11-18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と撮像方法並びに撮像プログラム
KR20130074299A (ko) * 2011-12-26 201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질 조절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촬영 장치
JP5956836B2 (ja) * 2012-06-08 2016-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273782B2 (ja) * 2013-11-07 2018-02-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89278B2 (ja) * 2014-06-09 2018-03-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134985B2 (ja) * 2014-07-31 2017-05-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曲線修正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439226B2 (ja) * 2014-08-26 2018-12-19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影装置
JP6399897B2 (ja) * 2014-10-31 2018-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DE102015109941B4 (de) * 2015-04-30 2021-04-01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Bedienung von digitalen optischen Aufnahmevorrichtungen
US10386997B2 (en) * 2015-10-23 2019-08-20 Sap Se Integrating functions for a user input device
JP2017130736A (ja) * 2016-01-19 2017-07-2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215414B2 (ja) * 2017-04-18 2023-01-3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撮像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GB201708572D0 (en) * 2017-05-30 2017-07-12 Expodo Ltd Image capture
JP6672225B2 (ja) * 2017-07-14 2020-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操作装置、光学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7187190B2 (ja) * 2018-06-29 202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21029034A (ja) * 2019-08-09 2021-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露出設定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8025A (en) * 1980-07-16 1981-04-13 Canon Inc Camera
KR20080025016A (ko) * 2006-09-13 2008-03-19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030A (en) * 1985-01-21 1994-07-26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US5289216A (en) * 1990-06-22 1994-02-22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with film information setting device
KR101467293B1 (ko) * 2008-04-22 201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될 영상에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이를 적용한 촬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8025A (en) * 1980-07-16 1981-04-13 Canon Inc Camera
KR20080025016A (ko) * 2006-09-13 2008-03-19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12037B2 (en) 2013-04-02
KR101598489B1 (ko) 2016-03-02
US20100296806A1 (en)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489B1 (ko)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947581B2 (en) Focusing apparatus that effectively sets a focus area of an image when a focusing mode is changed
US79738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ion informa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US9374520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GB2531441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2064745A (ja) カメラの絞り制御方法及び装置、レンズ制御方法及び装置、輪郭強調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カメラ
US10587809B2 (en) Continuous shooting device, continuous shooting method and continuous shooting control method using preliminary and calculated parameter values
JP2006238076A (ja) 撮影装置
KR20140091959A (ko) 초점상태 표시장치
US20150124131A1 (en)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JP2001159730A (ja) 電子カメラ
US20100026873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ncoded with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s)
US9232144B2 (en) Imaging device, electronic viewfinder,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120105674A1 (en) Image producing apparatus
JP4582295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081133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16103666A (ja) 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US115516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222794A (ja) 撮影装置
JP2012049841A (ja)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253797A (ja) カメラ装置及びスルー画像表示方法
JPH08137575A (ja) 画像入力システム
JP6613932B2 (ja) 撮像装置
JP2008052022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6259646A (ja) 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