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178A - 접접 부재 - Google Patents

접접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178A
KR20100126178A KR1020100016814A KR20100016814A KR20100126178A KR 20100126178 A KR20100126178 A KR 20100126178A KR 1020100016814 A KR1020100016814 A KR 1020100016814A KR 20100016814 A KR20100016814 A KR 20100016814A KR 20100126178 A KR20100126178 A KR 20100126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abric
chenille
brush
photosensitiv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062B1 (ko
Inventor
야스유키 오하라
사다히로 안도
마사루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츠치야 티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622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67585A/ja
Application filed by 츠치야 티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치야 티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에 대하여 접접(摺接)하면서 이동하도록 사용되는 접접 부재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체와의 미끄럼 저항 또는 마찰 저항을 억제하면서도 물체와 접접하는 접접부의 부피를 크게할 수 있는 접접 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접 부재는, 물체에 대해 접접하면서 이동하도록 사용되는 접접부를 포함하는 접접 부재이며, 상기 접접부는 적어도 셔닐(chenille) 실을 포함한 실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접접 부재{BRUSH ROLL}
본 발명은 물체에 대하여 접접(摺接)하면서 이동하도록 사용되는 접접 부재(摺接部材)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문헌 특개 2007-228990호 공보에는 전기 청소기의 헤드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회전 브러쉬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전기 청소기를 이용하여 마루 표면을 청소할 때 회전 브러쉬가 회전하는 것으로서 마루 표면에 있는 먼지가 회전 브러쉬에 의해 청소된다.
여기서, 회전 브러쉬가 마루 표면에 접접(摺接)하는 부분에는 모우부(毛羽部)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모우부의 부피는 마루 표면의 먼지를 빠짐없이 청소한다는 관점에서 가능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일본 특허문헌 특개 2007-228990호 공보에 개시된 회전 브러쉬의 경우, 마루 표면에 접접(摺接)하는 모우부는 기다란 단일 필라멘트(mono filament)실로부터 형성된다.
이 때문에, 모우부의 부피를 크게 하려면 모우부를 구성하는 실의 수를 늘리거나 실을 굵게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모우부의 강성이 높아져서 마루 표면에 대한 마찰 저항 또는 미끄럼 저항(접동저항, 摺動抵抗)이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물체와의 미끄럼 저항 또는 마찰 저항을 억제하면서도 물체와 접접하는 접접부의 부피를 크게할 수 있는 접접 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접 부재는, 물체에 대해 접접(摺接)하면서 이동하도록 사용되는 접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접부는 적어도 셔닐(chenille) 실을 포함한 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셔닐실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접부는 파일(pile) 실로서 상기 셔닐 실을 이용한 컷 파일(cut pile) 직물의 기모(起毛, napping)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접접부는 상기 셔닐 실을 포함한 직물 또는 편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은 탄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섬유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의 원주방향에 따라 늘어날 수 있다.
상기 접접 부재는 전기 청소기의 헤드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된 회전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접접부는 파일 실로서 상기 셔닐 실을 이용한 루프 파일(loop pile) 직물의 기모(起毛, napping)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접접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를 받는 감광 드럼의 표면에 상기 접접부를 접접(摺接)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브러쉬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접접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를 받는 동시에 대전된 감광 드럼의 표면에 상기 접접부를 접접(摺接)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감광 드럼을 제전하는 제전 브러쉬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접접 부재는, 상기 접접부를 필터의 표면에 접접(摺接)시킨 상태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용 청소 브러쉬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접접 부재는, 브레이드(blade)의 단부에 지지체와 감광 드럼과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토너의 포집하여 상기 토너의 누출을 봉인하는 봉인재로 이용되고, 상기 봉인재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를 받는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으로부터 토너를 긁어내는 기다란 판 형상의 브레이드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접접부를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에 접접(摺接)시키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셔닐실을 구성하는 꽃실은, 도전실과 비도전실을 합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관련된 브러쉬 몸체를 적용한 전기 청소기의 헤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전기 청소기의 헤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전기 청소기의 회전 브러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회전 브러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브러쉬 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브러쉬 몸체의 모우부를 구성하는 셔닐실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와 관련된 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전기 청소기의 헤드에 롤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와 관련된 롤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b는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경예와 관련하여, 원통체를 금형 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변경예와 관련하여, 화상 형성 장치용 대전 브러쉬 및 제전 브러쉬로서 이용되는 롤 브러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변경예와 관련하여, 셔닐실을 포함한 직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변경예와 관련하여, 직물의 표면에 단차를 마련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변경예와 관련하여, 전기 청소기용 흡입도구에 도 12에 도시된 직물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변경예와 관련하여, 필터용 청소 브러쉬로서 이용되는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변경예와 관련하여, 화상 형성 장치용 봉인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접 부재를 전기 청소기의 헤드 내에 설치되는 회전 브러쉬의 브러쉬 몸체에 구체화한 제 1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청소기의 헤드(11)는 알파벳 T자 모양의 케이스(12)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접속 파이프(13)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12)의 후단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접속 파이프(13)의 타단은 도시되지 않은 전기 청소기의 본체부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2)의 저면을 기준으로 할 때 전단에는 횡방향으로 늘어나는 구형 모양의 흡입구(1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2)의 내면에는 사각 테두리 형상을 이루는 칸막이판(15)이 상기 흡입구(14)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판(15)의 후단 중앙에는 공기 흡입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2)의 왼쪽 내측면에는 모터 베어링(1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2) 내에는 모터(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18)의 출력축(19)은 상기 모터 베어링(1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받고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판(15)의 좌우 양측벽에는 회전 지지체(20)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2)의 좌우 양측벽의 내면에는 브러쉬 베어링(2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회전 지지체(20)는 상기 브러쉬 베어링(21)에 의해 상기 케이스(12)의 각 측벽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받고 있다.
상기 칸막이판(15)의 안쪽에는 횡방향으로 늘어나는 회전 브러쉬(22)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브러쉬(22)의 각 단은 대응되는 상기 회전 지지체(20) 각각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8)의 상기 출력축(19)에는 롤러(19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19a)와 상기 회전 지지체(20) 중 좌측의 회전 지지체(20)에는 벨트(23)가 걸려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18)의 회전 구동력은 상기 출력축(19), 롤러(19a), 벨트(23) 및 좌측 회전 지지체(20)를 통하여 상기 회전 브러쉬(22)에 전달된다.
즉, 상기 모터(18)가 구동되면 상기 회전 브러쉬(22)가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전기 청소기의 사용시, 상기 칸막이판(15) 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구(16) 및 상기 접속 파이프(13)를 통하여 전기 청소기 본체 내부로 흡입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 브러쉬(22)는 회전된다.
이에 따라, 마루 표면(F) 상의 진드기, 먼저, 모발 등이 긁어내져 공기와 함께 상기 흡입구(14)로 빨려들어갈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 브러쉬(22)는 전기 청소기의 헤드(11)의 전진이 방해되지 않는 방향(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브러쉬(22)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브러쉬(22)는 단면으로 볼 때 알파벳 X자 모양을 이루는 막대 모양의 금속으로 된 회전체(31) 및 상기 회전체(31)에 장착되는 접접 부재로서의 브러쉬 몸체(32)를 갖추고 있다.
상기 회전체(31)는 단면에서 볼 때 알파벳 T자 모양을 이루는 4개의 돌출 가지(31a)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돌출 가지(31a)들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돌출 가지(31a)는 상기 회전체(31)의 축선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돌출 가지(31a)는 전체에 걸쳐서 원주 방향으로 약 180도 비틀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31)의 원주면에 있어서 각 돌출 가지(31a) 사이에는 상기 회전체(31)의 길이 방향에 따라 나선 모양으로 늘어나는 4개의 홈(33)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각 홈(33)의 개구부(33a)는 상기 각 돌출 가지(31a)의 끝단에 구비된 돌기(31b)에 의해 각각 좁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 몸체(32)는 띠 모양의 직포로부터 형성되는 기포(基布,34) 및 접접 부재로서 모우부(毛羽部,36)를 갖추고 있다.
상기 기포(34)는 도전성 섬유로 된 씨실(34a) 및 날실(34b)을 짜는 것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우부(36)는 상기 기포(34) 상에서 도전성 섬유로된 복수의 셔닐실(35)을 파일 직물(pile fabric)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즉, 상기 브러쉬 몸체(32)는 컷 파일 직물(cut pile fabric)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컷 파일 직물의 파일실로서 셔닐(chenille)실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씨실(34a), 날실(34b) 및 셔닐실(35)을 구성하는 도전성 섬유로는 일본잠모염색 주식회사에서 제작된 번개 론(등록상표)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포(34)에 있어서 상기 모우부(36)의 반대측에는 코팅층(3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팅층(37)은 상기 모우부(36)를 구성하는 각 셔닐실(35)의 뿌리 부분과 상기 기포(34)를 강하게 접합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37)을 형성하는 코팅제로서는 도전성을 가지는 에멀전(emulsion)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포(34)의 폭은 상기 회전체(31)의 상기 홈(33) 내에 삽입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홈(33)의 상기 개구부(33a)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닐실(35)을 형성하는 경우 심지실(38) 및 누름실(39) 그리고 열융착 섬유로부터의 저융점 용해실(40)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심지실(38)과 상기 누름실(39)의 사이에 상기 심지실(38) 및 상기 누름실(39)이 직교하도록 다수의 꽃실(41)을 병렬로 만든 사이로 끼워 넣는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심지실(38) 및 상기 누름실(39)로 상기 저융점 용해실(40)을 서로 꼰 후 가열하여 상기 저융점 용해실(40)을 용해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심지실(38) 및 상기 누름실(39)로 상기 꽃실(41)을 접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셔닐실(35)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심지실(38), 누름실(39) 및 꽃실(41)은 도전성 섬유(일본잠모염색 주식회사에서 제작된 번개 론)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체(31)에 브러쉬 몸체(32)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31)에 상기 브러쉬 몸체(32)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회전체(31)의 끝머리로부터 상기 브러쉬체(32)의 상기 기포(34)를 삽입하여 상기 기포(34)를 상기 회전체(31)의 홈(33) 내에 슬라이드 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브러쉬 몸체(32)는 모우부(36)를 상기 홈(33)의 개구부(33a)로부터 외측에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홈(33)에 따라 비틀어진 상태로 상기 회전체(31)에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기포(34)에 있어서 폭은 상기 홈(33)의 상기 개구부(33a)의 폭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홈(33)의 상기 개구부(33a)로부터 상기 브러쉬 몸체(32)는 탈락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회전 브러쉬(22)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 청소기에 의해 마루 표면(F)을 청소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헤드(11)를 마루 표면(F) 위에 놓는다. 이 상태로 전기 청소기를 작동시키면, 모터(18)의 구동과 함께, 칸막이판(15) 내의 공기가 공기 흡입구(16)로부터 접속 파이프(13)를 통하여 전기 청소기의 본체 내부에 흡입된다.
이 때, 상기 모터(18)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 브러쉬(22)가 좌측으로부터 반시계 방향(도 2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브러쉬(22)의 모우부(36)가 마루 표면(F)에 접접(摺接)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우부(36)의 마루 표면(F)에 접접됨에 의해 마루 표면(F) 상의 먼지가 긁어내지며, 이는 공기와 함께 전기 청소기의 본체 내부로 흡입된다.
이 때, 상기 회전체(31) 및 상기 브러쉬 몸체(32)는 모두 도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모우부(36)와 마루 표면(F)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가 상기 모우부(36)에 모이기 어렵다.
그 결과, 정전기에 의한 상기 모우부(36)로의 먼지 부착력이 감소되며, 이 때문에 상기 모우부(36)에 부착된 먼지는 공기와 함께 상기 공기 흡입구(16)로부터 전기 청소기의 본체 내부로 원활하게 흡입되어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우부(36)는 통상의 실보다 부피가 큰 셔닐실(3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마루 표면(F)의 먼지가 빠짐없이 긁어내짐과 동시에 마루 표면(F)을 닦아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통상의 실보다 적은 개수로도 상기 모우부(36)의 부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마루 표면(F)에 대한 상기 모우부(36)의 마찰 저항이 커지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1) 모우부(36)가 셔닐실(35)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통상의 실보다 적은 개수로 상기 모우부(36)의 부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모우부(36)로 마루 표면(F)과의 마찰 저항을 억제하면서 상기 모우부(36)의 부피를 크게할 수 있다.
(2) 상기 모우부(36)를 구성하는 셔닐실(35)은 도전성 섬유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모우부(36)과 마루 표면(F)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모우부(36)에 모이는 정전기를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우부(36)에 의해 마루 표면(F)으로부터 긁어내진 먼지가 정전기에 의해 상기 모우부(36)에 부착하여 모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셔닐실(35)에 의해 구성된 상기 모우부(36)를 가지는 브러쉬 몸체(32)는 전기 청소기의 헤드(11) 내에 수용된 회전체(31)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전기 청소기로 마루 표면(F)을 청소할 때 상기 회전체(31)의 회전에 의해 마루 표면(F) 상의 먼지가 상기 모우부(36)에 의해 빠짐없이 긁어내질 수 있다.
(제 2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접 부재를 전기 청소기 헤드에 장착되는 롤러(60)에 구체화한 제 2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접 부재로서의 롤러(60)는 원통형을 이루는 롤러 본체(61)와 상기 롤러 본체(61)의 외주면(61a)에 배치된 원통형의 슬라이딩 접촉부로서의 원통체(62)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청소기의 헤드(80)에는 4개의 롤러(60)가 회전축(63)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각 롤러(60)는 상기 헤드(80) 상에서 마루 표면(F, 도 2참조)과의 접촉면(80a)의 소정 위치에 각각 장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 본체(61)는 경질의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체(62)는 폴리아미드제의 셔닐실(35)(꽃실(41)의 길이는 3 내지 4 mm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과 탄성 섬유로서 스판덱스실(폴리우레탄계의 탄성실)을 이용하여, 능직(twill weave) 구조를 가지도록 통직(筒織)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원통체(62)에 이용되는 스판덱스실로는 폴리아미드제의 실로 탄성실을 커버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체(62)를 구성하는 직물에서는 원주방향에 따라 스판덱스실이 늘어나는 것과 동시에 축방향에 따라 셔닐실(35)이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통체(62)는 지름 방향에 대하여 탄력성(신축성)을 가지지만 축방향에 대해서는 거의 탄련성을 가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체(62)를 구성하는 직물에 관련하여, 스판덱스실의 굵기는 셔닐실(35)의 굵기의 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판덱스실의 굵기가 상기 셔닐실(35)의 굵기의 8분의 1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셔닐실(35)이 고밀도로 배열되기 때문에 상기 원통체(62)를 구성하는 직물의 표면은 기모(起毛, napping) 가공을 하지 않아도 통상의 벨루어(velour) 재질과 동일한 정도로 기모될 수 있다.
상기 원통체(62)의 축방향의 양측면(62a)(상기 원통체(62)를 구성하는 직물의 절단면)에는 흐트러짐을 억제하기 위해 합성 수지제의 코팅제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62)의 내경은 롤러 본체(61)의 외경보다 조금 작고, 상기 원통체(62)의 길이는 상기 롤러 본체(61)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 본체(61)로 상기 원통체(62)를 접합하는 경우, 먼저 상기 롤러 본체(61)의 외주면(61a)의 수개소에 양면 접착 데이트를 접착한다.(또는, 접착제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상기 원통체(62)의 내경이 상기 롤러 본체(61)의 외경보다 더 커질 때까지 상기 원통체(62)를 탄성 변형시킨다.
그 다음, 상술한 상태로 상기 원통체(62)를 상기 롤러 본체(61)의 외주면(61a)에 씌운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6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롤러 본체(61)의 외주면(61a)에 상기 원통체(62)의 내주면(62b)을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롤러(60)가 완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 본체(61) 및 상기 원통체(62)의 각 위치가 축방향으로 어긋나 있을 경우, 이러한 위치 차이를 고치기 위해 상기 롤러 본체(61)에 대해 상기 원통체(62)를 축방향으로 이끌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상기 원통체(62)는 축방향으로 탄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위치 차이를 용이하게 고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원통체(62)가 축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경우, 상기 원통체(62)를 축방향으로 이끌어도 상기 원통체(62)가 늘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위치 차이를 용이하게 고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롤러(60)가 장착된 전기 청소기의 헤드(80)를 마루 표면(F)을 따라 이동시키면, 상기 롤러(60)가 마루 표면(F)에 닿게 되어 상기 헤드(80)의 이동이 원활해 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롤러(60)의 본체(61)는 상기 원통체(62)에 의해 덮혀 있기 때문에 마루 표면(F)은 상기 롤러 본체(61)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원통체(62)와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통체(62)의 쿠션성에 의해, 상기 롤러(60)에 의해 마루 표면(F)을 손상시킬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롤러(60)가 마루 표면(F)에 닿을 때 발생하는 소음도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4) 원통체(62) 지름 방향에 대해서는 탄성(신축성)을 가지지만, 축방향에 대해서는 거의 탄력성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원통체(62)의 지름이 늘어나도록 상기 원통체(62)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원통체(62)를 상기 롤러 본체(61)에 용이하게 씌울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 본체(61)에 씌울 수 있었던 상기 원통체(62)의 위치가 축방향으로 어긋나 있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원통체(62)가 축방향으로 거의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원통체(62)를 올바른 위치가 되도록 축방향으로 조정하면 상기 원통체(62)의 위치 차이를 용이하게 고칠 수가 있다.
(5) 상기 원통체(62)는 통직(筒織) 가공된 직물로부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통체(62)에는 원주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연결부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60)가 마루 표면(F)에 닿을 때, 상기 원통체(62)를 구성하는 직물의 흐트러짐을 감소할 수 있다. 즉, 상기 원통체(62)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 3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를 상술한 제 2실시예와 다른 점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접 부재로서 롤러(70)는 제 2실시예의 롤러(60)에 씌울 수 있는 원통체(62)를 축방향으로 길게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62)에 의해 롤러 본체(61)의 축방향의 양측면을 가림과 동시에, 그 상태로 상기 롤러 본체(61) 내에 한 벌의 캡(71)을 상기 롤러 본체(61)의 축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장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캡(71)은 상기 롤러 본체(61) 내에 박혀 넣어지는 원통형의 감입부(71a) 및 상기 감입부(71a)의 축방향 단부에 설치된 링 모양의 플랜지부(71b)를 갖추고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71b)의 외경은 상기 롤러 본체(61)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롤러 본체(61)의 외경보다 작다. 상기 롤러(70)에 관하여, 상기 롤러 본체(61)의 내주면과 상기 캡(71)의 감입부(71a)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여러 군데 개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6) 원통체(62)의 축방향의 양측면(62a, 원통체(62)를 구성하는 직물의 절단면)이 캡(71)에 의해 각각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면(62a)에 코팅제를 도포하지 않아도 상기 원통체(62)를 구성하는 직물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7) 롤러 본체(61)의 양단에 한 벌의 캡(71)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실시예에 따른 롤러(60)보다 제 3실시예에 따른 롤러(7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8) 원통체(62)의 축방향의 양단은 롤러 본체(61)와 캡(71)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61)에 대해 상기 원통체(62)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변경예)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제 2 및 제 3실시예와 관련하여, 원통체(62)는 셔닐실(35)로 스판덱스실을 통직(筒織)하여 형성되는 편물에 의해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제 2 및 제 3실시예와 관련하여, 롤러(60,70)는 상기 롤러 몸체를 지탱하는 부분, 책상, 의자등의 캐스터(caster)로서 사용해도 괜찮다.
또한, 제 1실시예의 회전체(31)에 제 2 및 제 3실시예의 원통체(62)를 장착하는 것으로서 회전 브러쉬(22)를 구성해도 괜찮다. 이 경우, 브러쉬 몸체(32)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제 2실시예와 관련하여, 원통체(62)를 인서트품으로서 취급함과 동시에 상기 원통체(62) 내에 있어 롤러 본체(61)를 인서트 성형(insert molding)하는 것에 의해 롤러(60)를 제조해도 괜찮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체(62)는 2겹으로 통직(筒織)된 직물(또는 2겹으로 통직된 편물)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원통체(62)의 안쪽 부분(62a)은 폴리프로필렌제의 실에 의해 짜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체(62)의 외측 부분(62b)은 폴리아미드제의 실에 의해 짜여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체(62)를 금형 내에 설치하고 상기 금형 내의 캐비티(S)에 용해된 폴리프로필렌을 주입한다. 그 다음, 용해 수지를 냉각하여 고체화하는 것에 의해 상기 원통체(62) 내에 폴로프로필렌제의 롤러 본체(61)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통체(62)의 안쪽 부분(62a)은 상기 캐비티(S)에 주입되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재질이기 때문에, 주입된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원통체(62)의 안쪽 부분(62a)이 녹아 서로 섞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 본체(61)의 성형시에 상기 롤러 본체(61)가 상기 원통체(62)의 안쪽 부분(62a)에 용착(熔着)되기 때문에 상기 롤러 본체(61)로 상기 원통체(62)가 강하게 접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접 부재는 롤 브러쉬(52)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롤 브러쉬(52)는 둥근 막대형의 축부재(50)의 표면에 접접부로서 띠 모양의 직물(51) 또는 편물을 한바퀴 휘감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직물(5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실 및 씨실 중 적어도 하나는 셔닐실(35)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날실 및 씨실 중 적어도 하나를 셔닐실(35)로 한 경우, 물체에 접접하는 면에 셔닐실(35)을 70% 이상 노출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 브러쉬(52)는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를 받는 감광 드럼의 표면과 접접(摺接)하여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브러쉬 또는 상기 대전 브러쉬에 의해 대전된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감광 드럼을 제전(除電)하는 제전 브러쉬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 브러쉬(52)에 있어서 직물(51)의 표면에 단차를 마련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물(51)을 구성하는 각 셔닐실(35)에 다른 셔닐실(35)의 꽃실보다 짧은 꽃실(41)이나 긴 꽃실(41)을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개수만큼 혼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 브러쉬(52)에 있어서 상기 직물(51)이 편물인 경우라도, 편물의 표면에 단차를 마련하는 경우, 상기 편물을 구성하는 각 셔닐실(35)에 다른 셔닐실(35)의 꽃실보다 짧은 꽃실(41)이나 긴 꽃실(41)을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개수만큼 혼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편물의 표면에 단차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작업의 용이함을 고려할 때, 편물을 날실 방향으로 짜는 것이 아니라, 씨실 방향으로 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축부재(50)에 상기 셔닐실(35)을 포함한 직물(51) 또는 편물을 휘감아 상기 롤 브러쉬(52)를 구성하면, 각 셔닐실(35)의 꽃실(41)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상기 직물(51) 또는 편물의 표면에 있어 단차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즉, 단차를 형성하는데, 셔링(shirring) 가공과 같은 귀찮은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도 11의 롤 브러쉬(52)에 관하여, 접접부를 구성하는 직물(51) 또는 편물을 통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롤 브러쉬(52)의 접접부를 구성하는 직물(51) 또는 편물의 연결부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접부를 구성하는 상기 직물(51) 또는 편물을 구성하는 실에 열수축실을 합실하고, 통 모양의 직물(51) 또는 편물에 상기 축부재(50)를 삽입한 상태로 가열하여, 상기 직물(51) 또는 편물을 열수축시켜도 괜찮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축부재(50)에 상기 직물(51) 또는 편물을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접부를 구성하는 직물(51) 또는 편물을 구성하는 실에 신축성이 있는 실을 합실하여, 내경이 상기 축부재(50)의 외경보다 작아지도록 통모양의 직물(51) 또는 편물을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축부재(50)를 신축성 있는 실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1의 롤 브러쉬(52)에 관하여, 띠 모양의 직물(51) 또는 편물에 대신하여, 셔닐실(35)을 상기 축부재(50)의 표면에 직접 감아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꽃실(41)의 길이가 다른 복수의 셔닐실(35)을 상기 축부재(50)에 감는 것에 의해 접접부에 용이하게 단차를 마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실 및 씨실 중 적어도 하나는 셔닐실(35)이 이용된 직물(51)을 접접 부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물(51)은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청소기용 흡입도구(53)의 패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직물(51)에 있어 마루 표면(F)에 접접(摺接)하는 면이 접접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상기 직물(51)을 구성하는 씨실 및 날실 중 어느 하나를 셔닐실(35)로 한 경우, 마루 표면(F)에 접접하는 면에 셔닐실(35)을 70% 이상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접 부재는 롤 브러쉬(55)일 수 있다. 상기 롤 브러쉬(55)는 둥근 막대형의 축부재(54)에 대하여 브러쉬 몸체(32)를 나선 모양으로 휘감으며, 양면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기포(基布,34)의 모우부(36)로 반대측의 면을 상기 축부재(54)의 표면에 붙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 브러쉬(55)는 예를 들어, 필터용 청소 장치에 장착되는 필터용 청소 브러쉬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 브러쉬(55)는 공기 조화기의 필터 표면에 접접부인 모우부(36)를 접접(摺接)시킨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의 표면에 부착한 먼지 등이 긁어내어져 제거될 수 있다.
접접 부재와 접접(摺接)하는 물체가 상기 접접 부재에 대하여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접접 부재를 정지시킨 채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접 부재를 화상 형성 장치용의 봉인재(56)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봉인재(56)는 브러쉬 몸체(32)와 폼(form)재로부터 형성되는 지지층(57)과 접착재로부터 형성되는 첨부층(58)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층(57)은 상기 브러쉬 몸체(32)의 기포(34)에 있어서 상기 모우부(36)로 반대측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첨부층(58)은 상기 지지층(57)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몸체(32)로 반대측 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봉인재(56)는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씰재(56)는 상기 첨부층(58)에 의해 감광 드럼의 표면으로부터 토너를 긁어내는 브레이드(blade)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체에 대해 상기 브러쉬 몸체(32)가 최상층이 되도록 접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봉인재(56)의 모우부(36)가 상기 감광 드럼의 양단부에 있는 표면과 접접(摺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지지체와 상기 감광 드럼과의 틈새로부터 토너의 누출을 막는 동시에 누출되는 토너를 포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관련하여, 셔닐실(35)은 심지실(38) 및 누름실(39)을 비전도성으로 하여 상기 심지실(38) 및 누름실(39)에 도전성인 실이 묶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관련하여, 셔닐실(35)의 꽃실(41)은 도전성 실과 비도전성 실을 합실한 것이어도 상관없으며,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모우부(36)에 모이는 정전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가의 도전성 실의 사용량을 줄일 수도 있어 제품 생산비용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관련하여, 브러쉬 몸체(32)의 기포(34)를 구성하는 씨실(34a), 날실(34b) 및 코팅층(37) 모두 또는 그 일부가 비전도성인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브러쉬 몸체(32)의 도전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지만, 셔닐실(35)에 도전성이 부여되고 있으면 코로나 방전 효과에 의해 어느 정도의 정전기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관련하여, 브러쉬 몸체(32)를 컷 파일 직물(cut pile fabric)이 아닌 루프 파일(loop pile) 직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기포(基布,34)에는 접접부를 구성하는 셔닐실(35)이 루프 모양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접부는 루프 파일 직물의 기모(起毛, napping)한 부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관련하여, 브러쉬 몸체(32)에 대해 모우부(36)의 적어도 일부가 셔닐실(35)에 의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우부(36)는 상기 셔닐실(35)로 통상의 실(필라멘트실 또는 스팬실)과의 혼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관련하여, 셔닐실(35)은 반드시 도전성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고, 셔닐실(35)을 비도전성 섬유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실시예와 관련하여, 원통체(62)를 구성하는 직물에 사용되는 셔닐실(35)을 일반적으로 부피가 큰 방적사(예를 들어 500 내지 1000 deci tex의 상당한 굵기의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원통체(62)를 구성하는 직물에 상기 셔닐실(35)을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 롤러(60)의 제조 단가를 낮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체(62)를 구성하는 부피가 큰 방적사가 가지는 쿠션성에 의하여 상기 롤러(60)에 의해 마루 표면(F)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롤러(60)가 마루 표면(F)을 구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작게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원통체(62)는 부피가 큰 방적사를 포함한 통직(筒織) 가공품이기 때문에, 원주방향으로 연결부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통직 가공품이 롤러 본체(61)의 외주면(61a)으로부터 벗겨지거나 상기 통직 가공품과 상기 롤러 본체(61)의 외주면(61a)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6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실시예와 관련하여, 원통체(62)를 이중으로 통직된 직물 또는 이중으로 통직된 편물에 의해 직물의 안쪽 부분을 열용착실(예를 들어 저융점 폴리아미드실)에 의해 각각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원통체(62)를 롤러 본체(61)에 씌운 후 스팀 처리 등의 열처리를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롤러 본체(61)에 상기 원통체(62)를 열용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점착면 또는 접착면에 닿는 일이 없이 상기 롤러 본체(61)에 상기 원통체(62)를 접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양면 접착 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해 상기 롤러 본체(61)에 상기 원통체(62)를 접합하는 경우보다 상기 롤러(60)의 제조시에 있어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4)

  1. 물체에 대해 접접(摺接)하면서 이동하도록 사용되는 접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접부는 적어도 셔닐(chenille) 실을 포함한 실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닐실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전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접접부는 파일(pile) 실로서 상기 셔닐 실을 이용한 컷 파일(cut pile) 직물의 기모(起毛, napping)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접접부는 상기 셔닐 실을 포함한 직물 또는 편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은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 섬유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직물 또는 상기 편물의 원주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8. 청구항 1, 2 및 청구항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접 부재는 전기 청소기의 헤드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된 회전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접접부는 파일 실로서 상기 셔닐 실을 이용한 루프 파일(loop pile) 직물의 기모(起毛, napping)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1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접접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를 받는 감광 드럼의 표면에 상기 접접부를 접접(摺接)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브러쉬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11.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접접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를 받는 동시에 대전된 감광 드럼의 표면에 상기 접접부를 접접(摺接)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감광 드럼을 제전하는 제전 브러쉬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12.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접접 부재는, 상기 접접부를 필터의 표면에 접접(摺接)시킨 상태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용 청소 브러쉬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1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접접 부재는, 브레이드(blade)의 단부에 지지체와 감광 드럼과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토너의 포집하여 상기 토너의 누출을 봉인하는 봉인재로 이용되고, 상기 봉인재는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를 받는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으로부터 토너를 긁어내는 기다란 판 형상의 브레이드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접접부를 상기 감광 드럼의 표면에 접접(摺接)시키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1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셔닐실을 구성하는 꽃실은, 도전실과 비도전실을 합실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접 부재.
KR1020100016814A 2009-05-22 2010-02-24 접접 부재 KR101709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24706 2009-05-22
JP2009124706 2009-05-22
JP2009195410 2009-08-26
JPJP-P-2009-195410 2009-08-26
JPJP-P-2009-262294 2009-11-17
JP2009262294A JP2011067585A (ja) 2009-05-22 2009-11-17 摺接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178A true KR20100126178A (ko) 2010-12-01
KR101709062B1 KR101709062B1 (ko) 2017-02-22

Family

ID=4350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814A KR101709062B1 (ko) 2009-05-22 2010-02-24 접접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368A1 (ko) * 2019-04-04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및 청소기의 브러시 드럼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0829A (ja) * 1989-01-20 1990-08-09 Kuraray Co Ltd 複合素材
JPH03152234A (ja) * 1989-11-10 1991-06-28 Toray Ind Inc 液晶素子製造用ラビング布帛および液晶素子の製造方法
JP2000293016A (ja) * 1999-04-09 2000-10-20 Tsuchiya Tsco Co Ltd 画像形成装置用のブラシ
JP2003052584A (ja) * 2001-08-10 2003-02-25 Tsuchiya Tsco Co Ltd 電気掃除機用の回転ブラ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0829A (ja) * 1989-01-20 1990-08-09 Kuraray Co Ltd 複合素材
JPH03152234A (ja) * 1989-11-10 1991-06-28 Toray Ind Inc 液晶素子製造用ラビング布帛および液晶素子の製造方法
JP2000293016A (ja) * 1999-04-09 2000-10-20 Tsuchiya Tsco Co Ltd 画像形成装置用のブラシ
JP2003052584A (ja) * 2001-08-10 2003-02-25 Tsuchiya Tsco Co Ltd 電気掃除機用の回転ブラ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368A1 (ko) * 2019-04-04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및 청소기의 브러시 드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062B1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3812B2 (ja) 画像形成装置用の摺接部材
JP6546753B2 (ja) 回転ブラシ
JP6058383B2 (ja) ブラシ及び電気掃除機用の回転ブラシ
CN104870345A (zh) 用于减少幅材上的静电的减少静电的辊和方法
KR20090079210A (ko) 러빙 천
JPWO2015049808A1 (ja) 織物からなる被覆物を被覆してなるローラとそれを用いた装置
JP6396086B2 (ja) ブラシ及び回転ブラシ
JP5980484B2 (ja) ブラシ及びブラシの製造方法
KR20100126178A (ko) 접접 부재
JP2011158925A (ja) 画像形成装置用の潤滑剤塗布ブラシ
JP2009131418A (ja) 清掃体、回転清掃体、掃除機用吸込具、電気掃除機及び空気調和機
JP2008282006A (ja) クリーニング部材
JP6162528B2 (ja) ブラシ
JP7015437B2 (ja) ロール状ブラシ
JP2019037540A (ja) ブラシ及び回転ブラシ
JP2019166373A (ja) 回転清掃ブラシ
JP3220018U (ja) 回転清掃ブラシ
JP5753361B2 (ja) 回転体
JP2009066031A (ja) 回転清掃体、掃除機用吸込具及び空気調和機
JP5238470B2 (ja) ベロア材及びベロア材の製造方法
JP3122466U (ja) トナーシール材
JP2011097994A (ja) 回転体
CN212097779U (zh) 一种耐曲折皮革
CN214563465U (zh) 一种透气植绒布
CN203188012U (zh) 一种防水防静电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