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890A -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890A
KR20100117890A KR1020090036590A KR20090036590A KR20100117890A KR 20100117890 A KR20100117890 A KR 20100117890A KR 1020090036590 A KR1020090036590 A KR 1020090036590A KR 20090036590 A KR20090036590 A KR 20090036590A KR 20100117890 A KR20100117890 A KR 20100117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er
vibration damper
axial direction
grinding tool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291B1 (ko
Inventor
김수광
홍재현
안장혁
Original Assignee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29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7Weight compensation; Temperature compensation;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는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단부에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제1 바디와; 일 측이 개구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에 삽입되는 제1 바디의 이탈방지부와 맞물리는 이탈 방지턱이 구비되며, 개구부의 맞은편 단부에 고정부재 체결부가 구비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단부와 제2 바디의 수용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연삭작업시 발생하는 진동이 전동공구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연삭툴이 연삭 대상영역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연삭작업 중 진동에 의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작업 불량의 저감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라인더, 연삭, 진동, 완충장치, 피로도

Description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BUFFER FOR GRINGDER}
본 발명은 연삭시 연삭대상물의 연삭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이 그라인더 본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진동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인더는 피삭재(연삭 대상물)의 표면가공 또는 처리를 위하여 본체에는 회전 구동을 위한 전동모터가 구비되고, 회전축이 전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연삭툴이 회전축의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종래의 연삭툴은 연삭툴의 연삭영역이 연삭 대상물(피삭재)와 함께 마모되면서 연삭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연삭 초기에 연삭툴이 피삭재와 접촉할 때, 바로 연삭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연삭 작업시 피삭재가 마모되지 않는 경우, 피삭재뿐만 아니라 연삭툴의 연삭영역 또한 마모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두 부재간의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삭작업을 하는 경우, 피삭재에 부착된 이물질과 연삭툴의 연삭 영역이 충돌하게 되고, 이러한 충돌에 의해 진동이 발 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이외에도, 피삭재의 연삭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연삭툴의 연삭영역은 거친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삭영역의 거친면이 피삭재의 면과 충돌하게 되면서 진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경우, 진동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연삭을 하고자 하는 위치(영역)로부터 연삭툴이 벗어나게 되어 연삭 작업을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연삭툴이 연삭을 하고자 하는 위치(영역)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작업이 지연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의도하지 않은 피삭재의 영역이 연삭됨으로 인하여 제품의 불량 또는 보수작업을 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다른 한편, 발생한 진동은 연삭툴로부터 회전축을 통해 본체로 전달되어 작업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장시간 연삭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의 피로도가 진동으로 인하여 더욱 가중되며, 이로 인한 안전사고는 물론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최근에는 연삭툴의 마모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 경우, 진동은 더욱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그라인더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연삭작업시 피삭재의 연삭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진동이 전동공구(예를 들어, 그라인더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연삭 초기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연삭툴이 진동에 의해 연삭 대상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연삭작업 중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연삭감이 최대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연삭작업 중 진동에 의한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연삭작업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전동공구(그라인더 본체) 자체의 피로도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공구의 작동 중 진동 완충장치에 장착된 연삭툴이 미끄러져 헛도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진동을 완충시키면서 연삭작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축 방향으로는 서로 상대적인 유동이 가능하면서 회전 방향으로는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는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단부에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제1 바디와; 일 측이 개구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에 삽입되는 제1 바디의 이탈방지부와 맞물리는 이탈 방지턱이 구비되며, 개구부의 맞은편 단부에 고정부재 체결부가 구비되는 제2 바디와; 제1 바디의 단부와 제2 바디의 수용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축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면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는 고정부재 체결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축 방향으로 삽입부가 더 구비되고, 제1 바디는 제2 바디의 삽입부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며, 삽입부의 내면과 돌출부의 외면은 적어도 일 면이 맞물리어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축 방향으로는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바디의 돌출부와 제2 바디의 삽입부는 서로 접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가 축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거나, 축 방향을 따라 슬릿형태의 홈과 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제1 바디는 제2 바디의 수용부 내측면과 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 고, 제1 바디의 외면과 수용부의 내측면은 적어도 일 면이 맞물리어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축 방향으로는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바디의 외면과 수용부의 내측면은 서로 접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가 축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거나, 축 방향을 따라 슬릿형태의 홈과 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바디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은 제1 바디의 측면을 따라 탄성력에 의해 입출되는 돌기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이탈방지부는 제1 바디 자체에 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바디는 개구부 영역과 고정부재 체결부 영역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의 단부와 제2 바디의 수용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제1 바디는 탄성부재의 일 단부가 끼워지는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바디와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결합부 사이에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바디는 고정부재 체결부가 구비되는 영역에 연삭툴 장착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고, 연삭툴 장착부에는 슬립 방지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슬립 방지부는 캠구조, 돌기 구조 또는 홈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삭작업시 발생하는 진동이 전동공구(예를 들어, 그라인더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삭재가 연삭되지 않거나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연삭툴이 연삭 대상영역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삭작업 중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연삭감이 최대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삭작업 중 진동에 의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 불량율을 저감시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삭작업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전동공구(그라인더 본체) 자체의 피로도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의 작동 중 관성에 의해 진동 완충장치에 장착된 연삭툴이 미끄러져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 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진동을 완충시키면서 연삭작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축 방향으로는 서로 상대적인 유동이 가능하면서 회전 방향으로는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완충장치(100)는 연삭툴(20)이 진동 완충장치(100)를 매개로 하여 전동공구인 그라인더(1)에 장착되도록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라인더 본체(10)는 전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1)의 결합부(11a)에 진동 완충장치(100)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진동 완충장치(100)에 연삭공구인 연삭툴(20)을 끼운 후 고정부재(11b)를 진동 완충장치(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하여 상기 연삭툴(20)이 진동 완충장치(100)에 고정되도록 장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진동 완충장치(100)는 제1 바디(120)와 제2 바디(110)가 서로 결합되어 그라인더 본체(10)에 구비되는 회전축(11)의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바디(120)와 제2 바디(110)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유동(이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회전축(11)의 회전 방향으로는 서로에 대하여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 예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바디(110)는 내부에 수용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120)가 수용부(111)에 삽입되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바디(120)는 상기 회전축(11)의 결합부(11a)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일 단부에 회전축 결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결합부(121)는 일반적인 회전축(11)의 결합부(11a)와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홈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110)는 상기 연삭툴(20)이 끼워지고 연삭툴(20)이 고정되도록 고정부재(11b)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 단부에 고정부재 체결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체결부(114)는 일반적인 고정부재(11b)와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 체결부(114)와 제2 바디(110)가 접하는 영역에는 연삭툴 장착부(116)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삭툴(20)은 상기 연삭툴 장착부(116)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부(11b)가 상기 고정부재 체결부(114)에 결합되어 연삭툴(20)이 상기 연삭툴 장착부(116)에 고정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삭툴 장착부(116)에는 작동시(회전시) 연삭툴 장착부(116)로부터 연삭툴(20)이 관성 등에 의해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립 방지부(116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슬립 방지부(116a)는 도시된 것과 같은 캠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돌기구조 또는 홈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삭툴 장착부(116)에 슬립 방지부(116a)가 형성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삭툴(20)은 상기 연삭툴 장착부(116)가 끼워지는 구멍(21)에 상기 슬립 방지부(116a)와 대응하는 홈(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립 방지부(116a)가 캠구조, 돌기구조 또는 홈구조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연삭툴(20)의 구멍(21)은 슬립 방지부(116a)와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바디(110)는 상기 수용부(111)에 삽입된 제1 바디(120)의 회전축 결합부(121)가 상기 회전축(11)의 결합부(11a)와 결합될 수 있도록 노출되도록 개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110)는 수용부(111)의 어느 일 위치에 상기 제1 바디(120)가 상기 수용부(1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턱(112a)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개구부(112)의 둘레를 따라 이탈 방지턱(112a)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한편, 상기 제1 바디(120)는 수용부(1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바디(110)의 이탈 방지턱(112a)과 물려지는 이탈 방지부(12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12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래치와 같은 구조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제1 바디(120)의 내부로 입출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120)는 상기 수용부(111)의 내부에서 회전축(11)의 축 방향으로 유동(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바디(120)는 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수용부(111)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구성되어 수용부(111) 내에서 축 방향의 길이를 따라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111)의 내면과 상기 제1 바디(12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40)가 구비되어 제1 바디(120)와 제2 바디(11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 바디(120)가 수용부(111)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탄성부재(140)가 압축될 수 있고, 외력의 작용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바디(120)와 제2 바디(11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즉, 제1 바디가 수용부로부터 인출(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수용부(111)에 삽입된 제1 바디(120)가 유동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 바디(120)와 제2 바디(110)는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유동이 발생하는 것이며, 실제에 있어서는 제1 바디(120)가 회전축(11)의 결합부(11a)에 장착되기 때문에 제1 바디(120)의 유동 보다는 제2 바디(110)의 유동이 더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바디(120)와 제2 바디(110)가 서로에 대하여 축 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유동이 발생할 때, 제1 바디(120)에 구비되는 이탈 방지부(124)가 제2 바디(110)에 구비되는 이탈 방지턱(112a)에 걸리게 되어 서로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설정된 일정 간격(거리) 내에서 유동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바디(120)에는 탄성부재(140)의 위치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즉, 탄성부재(140)의 위치이동(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탄성부재(140)가 끼워지는 가이드(12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125)는 상기 제1 바디(1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111)의 바닥면을 향해 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120)에 탄성부재(140)가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구성예에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코일 형태의 구조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상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바디(120)와 제2 바디(110)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방향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즉 제1 바디(120)와 제2 바디(110)가 함께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방지부(113a,123a)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제2 바디(110)에는 수용부(111)로부터 고정부재 체결부(114)의 위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삽입부(113)가 형성되고, 제1 바디(110)에는 상기 제2 바디(110)의 삽입부(113)에 끼워지는 돌출부(123)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113)의 내면과 돌출부(123)의 외면에는 각각 회전 방지부(113a,123a)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 방지부(113a,123a)는 적어도 일면(또는 일 영역)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113)의 내면과 돌출부(123)의 외면은 서로 접하는 어느 일 영역이 평면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하나 이 상의 평면부가 상기 삽입부(113)의 내면과 돌출부(123)의 외면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삽입부(113)의 내면과 돌출부(123)의 외면에는 각각 슬릿 형태의 홈과 돌출부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삽입부(113)의 내면과 돌출부(123)의 외면에는 슬릿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가이드 부재가 홈에 끼워져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상기 회전 방지부(113a,123a)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구성을 통해 제1 바디(120)와 제2 바디(110)가 함께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1 바디(120)의 회전축 결합부(121)의 일 단부에는 탄성부재(130)가 장착되는 탄성부재 삽입홈(121a)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회전축 결합부(121)와 연결되는 구멍(130a)이 형성되어 회전축(11)의 결합부(11a)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130)는 회전축(11)의 결합부(11a)와 상기 제1 바디(120)의 회전축 결합부(121) 간에 결합력을 보강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다른 일 구성에 관한 예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바디(120)의 외측면이 제2 바디(110)의 수용부(111) 내측면과 접하는 크기로 구성하여 서로에 대하여 축 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유동이 발생하면서, 회전방향으로는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111)의 내측면 자체와 제1 바디(120)의 외측면 자체에 각각 회전 방지부(111a,12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방지부(111a,120a)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회전 방지부(113a,123a)와 같이 적어도 일면(또는 일 영역)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11)의 내측면과 제1 바디(120)의 외측면은 서로 접하는 어느 일 영역이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평면부가 형성되어 제1 바디(120)와 제2 바디(110) 간의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수용부(111)의 내측면과 제1 바디(120)의 외측면에는 각각 슬릿 형태의 홈과 돌출부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수용부(111)의 내측면과 제1 바디(120)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부재가 끼워지는 슬릿 형태의 홈을 형성하여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구성을 통해 제1 바디(120)와 제2 바디(110)가 함께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바디(120)가 상기 수용부(111)의 내부에서 회전축(11)의 축 방향으로 유동(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111)의 내면과 상기 제1 바디(12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40)가 구비되어 제1 바디(120)와 제2 바디(11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바디(120)가 수용부(111)의 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 바디(120)에는 수용부(111)에 구비되는 이탈 방지턱(112a)과 맞물리는 이탈 방지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탈 방지부(124)는 제1 바디(120) 자체에 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바디(110)에 구비되는 이탈방지턱(112a)과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바디(110)의 개구부(112)의 둘레를 따라 이탈 방지턱(112a)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바디(120)의 단부 영역의 둘레가 상기 이탈 방지턱(112a)에 걸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 결합부(121)가 형성되는 단부의 영역이 개구부(112)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돌출부(124a)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바디(120)에는 탄성부재(140)의 위치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12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125)는 수용부(111)의 바닥면을 향하는 상기 제1 바디(120)의 단부에 탄성부재(140)의 일 단부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125)는 탄성부재(140)의 형상 또는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110)는 상기 제1 바디(120)의 장착을 위하여 두 영역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바디(110)는 개구부(112)가 구비되는 영역과 고정부재 체결부(114)가 구비되는 영역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바디(110)는 고정부재 체결부(114)가 구비되는 영역 자체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부재 체결부(114)가 구비되는 영역 자체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2 바디(110)는 제1 부재(110a)와 제2 부재(110b)로 구성되고, 제1 부재(110a)에는 수용 부(111)의 단부 영역과 제2 부재(110b)의 테두리에 결합부(115a,115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115a,115b)는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 또는 용접 등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체결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바디(110)는 개구부(112)가 구비되는 영역 자체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바디(120)의 회전축 결합부(121)의 일 단부에는 탄성부재(130)가 장착되는 탄성부재 삽입홈(121a)이 더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탄성부재 삽입홈(121a)에는 회전축(11)의 결합부(11a)와 상기 제1 바디(120)의 회전축 결합부(121) 간에 결합력을 보강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 체결부(114)가 구비되는 제2 부재(110b)의 영역에는 연삭툴 장착부(116)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삭툴(20)은 상기 연삭툴 장착부(116)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부(11b)가 상기 고정부재 체결부(114)에 결합되어 연삭툴(20)이 상기 연삭툴 장착부(116)에 고정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연삭툴 장착부(116)에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시(회전시) 연삭툴 장착부(116)로부터 연삭툴(20)이 관성 등에 의해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립 방지부(116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슬립 방지부(116a)는 도시된 것과 같은 캠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돌기구조 또는 홈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삭툴 장착부(116)에 슬립 방지부(116a)가 형성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삭툴(20)은 상기 연삭툴 장착부(116)가 끼워지는 구멍(21)에 상기 슬립 방지부(116a)와 대응하는 홈(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립 방지부(116a)가 캠구조, 돌기구조 또는 홈구조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연삭툴(20)의 구멍(21)은 슬립 방지부(116a)와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는 상기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을 위하여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에 진동 완충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라인더와 진동 완중창지 및 연삭툴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에 장착되는 연삭툴의 구성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그라인더 10 ... 그라인더 본체
11 ... 회전축 11a, 115a, 115b, 121 ... 결합부
11b ... 고정부재 20 ... 연삭툴
100 ... 진동 완충장치 110 ... 제2 바디
111 ... 수용부 112 ... 개구부
112a ... 이탈방지턱 113 ... 삽입부
113a, 123a ... 회전방지부 114 ... 고정부재 체결부
116 ... 연삭툴 장착부 116a ... 슬립 방지부
120 ... 제1 바디 123 ... 돌출부
124 ... 이탈방지부 125 ... 가이드
130,140 ... 탄성부재 130a ... 구멍

Claims (11)

  1.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단부에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제1 바디와;
    일 측이 개구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에 삽입되는 제1 바디의 이탈방지부와 맞물리는 이탈 방지턱이 구비되며, 개구부의 맞은편 단부에 고정부재 체결부가 구비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단부와 제2 바디의 수용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축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면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고정부재 체결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축 방향으로 삽입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디는 제2 바디의 삽입부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의 내면과 돌출부의 외면은 적어도 일 면이 맞물리어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축 방향으로는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돌출부와 제2 바디의 삽입부는 서로 접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가 축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거나, 축 방향을 따라 슬릿형태의 홈과 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제2 바디의 수용부 내측면과 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제1 바디의 외면과 수용부의 내측면은 적어도 일 면이 맞물리어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축 방향으로는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외면과 수용부의 내측면은 서로 접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가 축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거나, 축 방향을 따라 슬릿형태의 홈과 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은 제1 바디의 측면을 따라 탄성력에 의해 입출되는 돌기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1 바디 자체에 턱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개구부 영역과 고정부재 체결부 영역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단부와 제2 바디의 수용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바디는 탄성부재의 일 단부가 끼워지는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결합부 사이에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고정부재 체결부가 구비되는 영역에 연삭툴 장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삭툴 장착부는 슬립 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방지부는 캠구조, 돌기 구조 또는 홈 구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KR1020090036590A 2009-04-27 2009-04-27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KR101107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590A KR101107291B1 (ko) 2009-04-27 2009-04-27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590A KR101107291B1 (ko) 2009-04-27 2009-04-27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890A true KR20100117890A (ko) 2010-11-04
KR101107291B1 KR101107291B1 (ko) 2012-01-20

Family

ID=4340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590A KR101107291B1 (ko) 2009-04-27 2009-04-27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3817A (zh) * 2015-08-27 2015-11-11 厦门大学 弹性磨抛小磨头工具
JP2016097486A (ja) * 2014-11-25 2016-05-30 日東工器株式会社 回転加工工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962B1 (ko) 2021-04-29 2021-09-15 권대규 가공부하의 진동저감구조를 가진 가공 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0531B2 (ja) * 1995-03-02 2004-01-26 アイセル株式会社 研磨工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7486A (ja) * 2014-11-25 2016-05-30 日東工器株式会社 回転加工工具
EP3156187A4 (en) * 2014-11-25 2018-01-24 Nitto Kohki Co., Ltd. Rotary machining tool
CN105033817A (zh) * 2015-08-27 2015-11-11 厦门大学 弹性磨抛小磨头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291B1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51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опорения узла защитного кожуха от проворачивания
RU2684988C2 (ru)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ая машина
KR101773447B1 (ko) 핸드그라인더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연마디스크 체결방법
JP6571463B2 (ja) グラインダ、及びカバー
JP6020767B2 (ja) 電動工具
KR101107291B1 (ko)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KR20150126249A (ko) 핸드 그라인더
US20180099348A1 (en) Tip changer for spot welding machine
JP2022050454A (ja) 被せ具を有する可搬機械工具
US20140047721A1 (en) Portable Machine Tool
KR101246803B1 (ko) 그라인더 휠의 잠금구조
KR101105026B1 (ko) 다방향 굴절형 핸드 그라인더
KR101838740B1 (ko)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
KR101361982B1 (ko) 스핀들 가공장치 및 스핀들 재사용 방법
KR101165441B1 (ko)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KR101692867B1 (ko) 그라인더 휠가드의 고정구조
JP2008062345A (ja) 動力工具
KR101254856B1 (ko) 전동식 핸드 그라인더용 안전커버
KR20180065863A (ko) 브레이킹 스컷트를 갖는 편심 연마기
CN102441871B (zh) 附件及动力工具
JP6151959B2 (ja) 工具取付け装置におけるクリーニング装置
JP5660230B2 (ja) 切削工具及び該切削工具に用いられる切削インサートのクランプ機構のための回転部材
US20140059868A1 (en) Power-tool system
KR101625449B1 (ko) 그라인더 휠가드의 고정구조
US20210031327A1 (en) Gear head and hand-held power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