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740B1 -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 - Google Patents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740B1
KR101838740B1 KR1020170072720A KR20170072720A KR101838740B1 KR 101838740 B1 KR101838740 B1 KR 101838740B1 KR 1020170072720 A KR1020170072720 A KR 1020170072720A KR 20170072720 A KR20170072720 A KR 20170072720A KR 101838740 B1 KR101838740 B1 KR 101838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grinding machine
protrusion
fix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용
Original Assignee
김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용 filed Critical 김점용
Priority to KR1020170072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740B1/ko
Priority to PCT/KR2018/006542 priority patent/WO20182260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2Spindle-locking devices, e.g. for mounting or remov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6Quick mount and release means for disc-like wheels, e.g. on powe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어셈블리 및 연삭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연삭기날에 삽입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바디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바디부와 함께 상기 연삭기날을 파지하는 지지부와, 연삭기의 회전축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바디부 및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선형 운동하는 선형운동부와, 상기 선형운동부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선형운동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형운동부의 운동 시 상기 선형운동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Fixing assembly and grinder having a grinding blade}
본 발명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기는 물건을 절단하거나 연마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연삭기는 사용 용도, 사용 장소 등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연삭기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연삭기날을 교체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조립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조립 공구를 휴대하여야 하며, 이를 잃어버리는 경우 연삭기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삭기는 연삭기날과 연삭기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삭기는 연삭기날을 구동부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구조물은 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구동부와 연결됨으로써 연삭기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연삭기날에 삽입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바디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바디부와 함께 상기 연삭기날을 파지하는 지지부와, 연삭기의 회전축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바디부 및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선형 운동하는 선형운동부와, 상기 선형운동부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선형운동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형운동부의 운동 시 상기 선형운동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선형운동부에 연결되는 제1 메인바디부와, 상기 제1 메인바디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바디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1 메인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메인돌출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메인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서브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2 메인바디부와, 상기 제2 메인바디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바디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1 메인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2 메인돌출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2 메인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서브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운동부는 일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는 복수개의 제1 메인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회전 시 상기 제1 메인돌출부와 서로 엇갈리는 배열되는 제2 메인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고정 어셈블리에 의해 고정되는 연삭기날과, 상기 고정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연삭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연삭기날바디부와, 상기 연삭기날바디부 중앙에 형성되며, 고정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고정 어셈블리 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포함하는 연삭기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고정 어셈블리 측으로 돌출된 제1 고정돌출부와, 상기 제1 고정돌출부로부터 상기 고정 어셈블리 측으로 돌출된 제2 고정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삭기날을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삭기날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연삭기날은 고정 어셈블리에 고정 후 사용 시에 고정 어셈블리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삭기날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어셈블리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어셈블리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연삭기(10)는 고정 어셈블리(100), 연삭기날(200), 회전축(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어셈블리(100)는 회전축(3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어셈블리(100)는 연삭기날(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연삭기날(200)은 외부의 물체를 절삭하거나 연마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연삭기날(200)은 고정 어셈블리(1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회전축(300)과 구동부(40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3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300)의 끝단은 다각형 형태 또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 어셈블리(100)의 일부는 회전축(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축(300)과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회전축(300)의 형상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축(300) 외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축(300)의 형상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고정 어셈블리(100)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4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40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부(400)는 모터 및 기어 어셈블리,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40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축(300)과 연결되어 회전축(300)을 회전시키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삭기(1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구동부(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삭기(10)는 구동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구동부(400)를 감싸는 케이스(미표기), 연삭기날(200)을 감싸는 보호커버(미표기)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연삭기(1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실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연삭기(1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연삭기날(200)을 고정시키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연삭기(10)는 연삭기날(200)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용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연삭기날(2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삭기날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연삭기날(200)은 연삭기날바디부(210), 삽입부(220) 및 고정돌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삭기날바디부(210)는 물건을 연삭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삭기날바디부(210)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20)는 연삭기날바디부(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220)는 연삭기날바디부(2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연삭기날바디부(210)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부(220)가 연삭기날바디부(210)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삽입부(220)는 금속, 종이류 및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220)는 상기의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도가 어느 정도 확보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20)는 연삭기날바디부(210)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삽입부(220)는 연삭기날바디부(210)의 일면으로부터 인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삽입부(220)는 연삭기날바디부(210)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삽입부(220)에는 고정 어셈블리(미도시)가 삽입되도록 삽입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홀(221)은 상기 고정 어셈블리의 외관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230)는 삽입부(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출부(230)는 삽입홀(221)의 내주면으로부터 삽입홀(221)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돌출부(230)는 연삭기날바디부(210)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출부(23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돌출부(230)는 삽입홀(221)의 내주면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홀(221)의 내주면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230)는 상기 고정 어셈블리가 삽입홀(221)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 어셈블리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돌출부(23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돌출부(230)는 고정돌출부(230)의 평면도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일 수 있다.
각 고정돌출부(230)는 제1 고정돌출부(231)와 제2 고정돌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돌출부(231)는 삽입홀(221)의 내주면으로부터 삽입홀(221)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고정돌출부(231)는 삽입홀(221)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 어셈블리(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으며, 연삭기날바디부(2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고정돌출부(232)는 제1 고정돌출부(231)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정돌출부(232)는 제1 고정돌출부(231)의 끝단으로부터 삽입홀(221)의 내부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돌출부(23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2 고정돌출부(23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고정돌출부(232)는 두개가 구비되어 제1 고정돌출부(231) 끝단의 양쪽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개의 제2 고정돌출부(232) 사이에는 상기 고정 어셈블리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고정돌출부(232) 사이에는 후술할 제2 서브돌출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삭기날(200)은 설치 후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연삭기날(200)은 상기 고정 어셈블리에 정확하게 설치됨으로써 연삭기(미도시)의 작동 시 상기 고정 어셈블리와 서로 상대 운동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고정 어셈블리(100)는 제1 바디부(110), 제2 바디부(120), 지지부(130), 선형운동부(140) 및 탄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는 제1 메인바디부(111), 제1 메인돌출부(112) 및 제1 서브돌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바디부(11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선형운동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바디부(111)와 선형운동부(140)는 용접을 통하여 연결되거나 나사, 볼트 등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메인돌출부(112)는 제1 메인바디부(111)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제1 메인바디부(111)로부터 제2 바디부(12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돌출부(112)의 길이는 제1 메인바디부(11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 메인바디부(111)의 저면으로부터 제2 바디부(12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메인돌출부(112)는 제1 메인바디부(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메인돌출부(112)와 제1 메인바디부(111)는 프레스 성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1 메인돌출부(11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메인돌출부(112)는 제1 메인바디부(111)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메인돌출부(112) 사이에는 인입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돌출부(113)는 제1 메인바디부(1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돌출부(113)의 길이는 제1 메인바디부(111)의 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돌출부(113)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서브돌출부(113)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제1 서브돌출부(113)는 서로 인접하는 제1 메인돌출부(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부(120)는 제2 메인바디부(121), 제2 메인돌출부(122) 및 제2 서브돌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바디부(121)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메인바디부(121)에는 선형운동부(140)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도리 수 있다. 제2 메인돌출부(122)는 제2 메인바디부(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메인돌출부(12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2 메인돌출부(12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2 메인돌출부(122)의 길이는 제2 메인바디부(121)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인접하는 제2 메인돌출부(122) 사이는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에는 제2 서브돌출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서브돌출부(123)는 제2 메인바디부(12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돌출부(123)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2 서브돌출부(123)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제2 서브돌출부(123)의 길이는 제2 메인바디부(121)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서브돌출부(123)는 인접하는 제2 메인돌출부(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제2 바디부(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선형운동부(140)가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130)는 제2 바디부(1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2 지지부(130)와 제2 바디부(120)는 용접을 통하여 결합하거나 나사, 볼트 등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지지부(130)와 제2 바디부(120)는 서로 별도로 형성되어 용접을 통하여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선형운동부(140)는 지지부(130) 및 제2 바디부(1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1 메인바디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부(140) 내부에는 연삭기(10)의 회전축(미도시)이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홈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선형운동부(140)는 제2 메인바디부(121)를 관통하여 운동하는 선형운동바디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형운동부(140)는 선형운동바디부(141)와 연결되는 걸림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걸림부(142)는 탄성부(15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바디부(14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걸림부(142)의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적은 선형운동바디부(141)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42)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거나 원기둥,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걸림부(142)가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부(150)는 선형운동바디부(141)가 내부에 삽입되며, 걸림부(142)와 지지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50)는 선형운동바디부(141)의 선형 운동 시 선형운동바디부(141)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어셈블리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어셈블리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고정 어셈블리(100)는 연삭기날(200)을 고정시키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삭기(10)에 고정 어셈블리(100)를 설치한 후 연삭기날(200)을 고정 어셈블리(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고정 어셈블리(100)에 연삭기날(200)을 설치한 후 고정 어셈블리(100)를 연삭기(1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어셈블리(100)로 연삭기날(200)을 고정시키는 경우를 살펴보면, 삽입홀(221)에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메인돌출부(112)와 제2 메인돌출부(122)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특히 제1 메인돌출부(112)는 제2 메인돌출부(122)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일 수 있다.
연삭기날(200)에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20)가 삽입되면, 연삭기날(200)의 일면은 지지부(13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돌출부(231)는 제2 메인돌출부(12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돌출부(232) 사이에는 제2 서브돌출부(12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삭기날(200)이 설치되는 경우 연삭기날(200)은 제1 고정돌출부(231) 및 제2 고정돌출부(232)를 통하여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선형운동바디부(1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부(150)의 초기 길이는 지지부(130)와 걸림부(142) 사이의 거리보다 큼으로써 탄성부(150)는 선형운동바디부(14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부(150)는 걸림부(142)를 가력할 수 있으며, 선형운동바디부(141)를 걸림부(142)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바디부(141)에 연결된 제1 메인바디부(111)도 선형운동바디부(141)와 함께 운동하고, 제1 메인돌출부(112)는 제2 메인돌출부(122)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메인돌출부(112)가 이동하는 경우 제1 메인돌출부(112)는 연삭기날(200)의 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2 서브돌출부(123)는 제1 메인돌출부(112)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제1 메인돌출부(112)에 일정 정도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150)는 걸림부(142)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제1 메인돌출부(112)가 연삭기날(200)을 충분한 힘으로 가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연삭기날(200)의 일면은 지지부(1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연삭기날(200)의 타면은 제1 메인돌출부(112)에 의해 가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삭기날(200)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삭기날(200)은 제2 메인돌출부(122) 및 제2 서브돌출부(123)에 의해 고정 어셈블리(100)의 회전과 서로 상이하게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서브돌출부(113)는 제2 메인돌출부(122)와 대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돌출부(113)는 제2 메인돌출부(122)와 접촉함으로써 제1 메인바디부(111)가 제2 메인바디부(12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된 연삭기날(200)을 분리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걸림부(142)에 힘을 가하여 선형운동바디부(141)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형운동바디부(141)는 선형 운동하면서 제1 메인바디부(111)와 제2 메인바디부(121)를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150)는 선형운동바디부(141)의 운동에 따라 압축됨으로써 탄성력을 저장한 후 상기와 같이 연삭기날(200)을 고정시킬 때 선형운동바디부(141)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메인바디부(111)와 제2 메인바디부(121)가 서로 이격되는 경우 제1 메인돌출부(112)는 서로 인접하는 제2 메인돌출부(122) 사이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제1 메인돌출부(112)가 서로 인접하는 제2 메인돌출부(122) 사이로부터 인출되면, 제1 메인바디부(111), 선형운동바디부(141), 걸림부(142), 제2 메인바디부(121) 및 지지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걸림부(142)를 회전시켜 제1 메인바디부(111) 및 선형운동바디부(141)를 회전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걸림부(142)의 회전에 따라 제1 메인바디부(111) 및 선형운동바디부(141)가 회전하면, 제1 메인돌출부(112)는 제1 메인바디부(11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메인돌출부(112)가 회전하여 제2 메인돌출부(122)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면, 사용자는 회전을 멈추고 걸림부(142)에 가했던 힘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150)는 걸림부(142)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선형운동바디부(141)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바디부(111)와 제1 메인돌출부(112)는 선형운동바디부(141)와 같이 선형 운동하고, 제1 메인돌출부(112)는 제2 메인돌출부(122)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메인돌출부(112)와 제2 메인돌출부(122)가 배치되는 경우 고정 어셈블리(100)는 연삭기날(20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어셈블리(100)는 연삭기날(200)을 간편한 구조 및 방법을 통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연삭기
100: 고정 어셈블리
110: 제1 바디부
120: 제2 바디부
130: 지지부
140: 선형운동부
150: 탄성부
200: 연삭기날
210: 연삭기날바디부
220: 삽입부
230: 고정돌출부
300: 회전축
400: 구동부

Claims (10)

  1. 적어도 일부분이 연삭기날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삭기날에 삽입되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연삭기날 측으로 돌출된 제2 바디부;
    상기 연삭기날의 일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 바디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바디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디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바디부의 돌출된 부분과 함께 상기 연삭기날을 파지하는 지지부;
    연삭기의 회전축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바디부 및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선형 운동하는 선형운동부; 및
    상기 선형운동부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선형운동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형운동부의 운동 시 상기 선형운동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선형운동부에 연결되는 제1 메인바디부; 및
    상기 제1 메인바디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바디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1 메인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메인돌출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메인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서브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2 메인바디부; 및
    상기 제2 메인바디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연삭기날 측으로 돌출되는 제2 메인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2 메인돌출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2 메인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서브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운동부는 일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일단을 지지하는 고정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복수개의 제1 메인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회전 시 상기 제1 메인돌출부와 서로 엇갈리는 배열되는 제2 메인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고정 어셈블리;
    상기 고정 어셈블리에 의해 고정되는 연삭기날;
    상기 고정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연삭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기날은,
    연삭기날바디부;
    상기 연삭기날바디부 중앙에 형성되며, 고정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고정 어셈블리 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포함하는 연삭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고정 어셈블리 측으로 돌출된 제1 고정돌출부; 및
    상기 제1 고정돌출부로부터 상기 고정 어셈블리 측으로 돌출된 제2 고정돌출부;를 포함하는 연삭기.
KR1020170072720A 2017-06-09 2017-06-09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 KR101838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720A KR101838740B1 (ko) 2017-06-09 2017-06-09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
PCT/KR2018/006542 WO2018226068A1 (ko) 2017-06-09 2018-06-08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720A KR101838740B1 (ko) 2017-06-09 2017-06-09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740B1 true KR101838740B1 (ko) 2018-04-30

Family

ID=6208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720A KR101838740B1 (ko) 2017-06-09 2017-06-09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8740B1 (ko)
WO (1) WO20182260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955A1 (ko) * 2018-08-27 2020-03-05 김점용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 고정장치.
KR20240027430A (ko) 2022-08-23 2024-03-04 강형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 연삭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86B1 (ko) * 2011-07-13 2012-05-29 김규철 황삭 가공용 원판 고정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157B1 (ko) * 2008-07-16 2010-07-30 김경진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홀더 착탈장치
KR101258769B1 (ko) * 2010-09-17 2013-04-29 주식회사 포스코 그라인더 휠 고정장치
KR101310756B1 (ko) * 2012-03-21 2013-09-25 이기천 그라인더의 회전날 조립체
KR20140002623U (ko) * 2012-10-25 2014-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그라인더 날세우기용 디스크 고정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86B1 (ko) * 2011-07-13 2012-05-29 김규철 황삭 가공용 원판 고정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955A1 (ko) * 2018-08-27 2020-03-05 김점용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 고정장치.
KR20200024384A (ko) 2018-08-27 2020-03-09 김점용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 고정장치
KR20240027430A (ko) 2022-08-23 2024-03-04 강형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 연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6068A1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2705B2 (ja) ツールホルダとの係合を改良すべく構成されたカッティングツール
KR101838740B1 (ko) 고정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삭기
US20090318065A1 (en) Motor-driven machine tool
WO2015029659A1 (ja) グラインダ
US9384921B2 (en) Break-off-resistant control device
KR20200048046A (ko) 핸드 그라인더용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US8167689B2 (en) System with a tool-holding fixture
JP4972492B2 (ja) 研磨機用ブラシ
KR20190085663A (ko) 절삭 휠 탈부착장치
US10427240B2 (en) Tip changer for spot welding machine
KR102630500B1 (ko) 절삭 장치
GB2094561A (en) Electric motor brush gear
KR101985684B1 (ko) 공작기계용 호닝공구장치
KR20190085664A (ko) 절삭 휠 탈부착장치
US20050164615A1 (en) Bearing arrangement for vibrationally mounting a grinding disk in a grinder
KR101107291B1 (ko) 그라인더용 진동 완충장치
JP6581725B2 (ja) 動力工具
KR101342114B1 (ko)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JP2017080821A (ja) 磨き器具
KR101640128B1 (ko) 회전축의 분해가 용이한 베어링
CN111604790A (zh) 刷组件
KR20140050386A (ko) 회전 테이블 시스템
CN216265139U (zh) 打磨装置与打磨快换组件
US20170274551A1 (en) Stud notching system
KR20150025176A (ko) 대상물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