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114B1 -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114B1
KR101342114B1 KR1020120020406A KR20120020406A KR101342114B1 KR 101342114 B1 KR101342114 B1 KR 101342114B1 KR 1020120020406 A KR1020120020406 A KR 1020120020406A KR 20120020406 A KR20120020406 A KR 20120020406A KR 101342114 B1 KR101342114 B1 KR 101342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rake
brake body
end plate
arm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689A (ko
Inventor
김성규
김완규
김문규
한기천
이진형
권순형
김성학
김강용
Original Assignee
인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1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42Slack adjusters mechanical non-automatic
    • F16D65/46Slack adjusters mechanical non-automatic with screw-thread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582Flexible element, e.g. spring, other than the main force genera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코일과 제동 스프링을 내장한 브레이크 본체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앤드 플레이트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와 상기 앤드 플레이트의 사이의 공간 내에 상기 앤드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모터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코일의 비통전시에는 상기 제동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로터에 접촉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을 억제시키고 상기 전자 코일의 통전시에는 상기 제동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대항하여 상기 브레이크 본체 측에 흡착되어 상기 로터와 이격됨에 따라서 상기 로터의 회전을 허용하는 아마추어; 및 상기 전자 코일의 비통전시에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앤드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터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상기 브레이크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기 앤드 플레이트의 일면 상에 마련되며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접점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식 브레이크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Electrical brake with improved gap adjusting means}
본 발명은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마추어와 브레이크 본체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 일체형 브레이크라고도 불리우는 전자식 브레이크는 전자 코일에 전류가 가해지는지 여부에 따라서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는 모터가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 코일에 전류를 가하여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된 로터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모터의 구동이 멈추는 경우에는 전자 코일에 가해지는 전류의 공급을 멈춰서 상기 로터가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구동을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는,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의 외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전자식 브레이크의 주요부분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전자식 브레이크(100)는, 하우징(110), 브레이크 본체(120), 앤드 플레이트(130), 로터(140), 아마추어(150) 및 간격조절수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자식 브레이크(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견고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크 본체(12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며, 전자코일(170)과 제동 스프링(171)을 내장한 것이다. 상기 앤드 플레이트(130)는, 상기 브레이크 본체(120)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브레이크 본체(12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마찰면이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로터(140)는 일면이 상기 앤드 플레이트(130)의 마찰면을 마주보도록 상기 앤드 플레이트(13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모터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아마추어(150)는, 상기 로터(140)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1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코일(170)의 비통전시에는 상기 제동 스프링(171)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로터(140)에 접촉되어 상기 로터(140)의 회전을 억제시키고 상기 전자코일(170)의 통전시에는 상기 제동 스프링(171)의 탄성반발력에 대항하여 상기 브레이크 본체(120) 측에 흡착되어 상기 로터(140)와 이격됨에 따라서 상기 로터(140)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이다. 상기 간격조절수단(160)은 상기 전자코일(170)의 비통전시에 상기 아마추어(150)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120)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간격조절수단(160)으로 사용되는 것은 양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에 앤드 플레이트(130)와 아마추어(150)를 지지하는 칼라가 배치되는 지지수단(161)과, 너트부재(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161)은 일측의 나사산이 상기 브레이크 본체(120)에 체결되고 타측의 나사산은 너트부재(162)와 체결된다. 상기 로터 내에는 허브(172)가 결합되어 회전되는 축과 결합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모터의 구동이 없는 상태에서는 제동 스프링(171)이 아마추어(150)를 브레이크 본체(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서 아마추어(150)와 앤드 플레이트(130)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140)와 밀착접촉되어 상기 로터(140)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아마추어(150)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120)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S)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한편, 모터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류가 상기 전자코일(170) 측으로 흐르게 되어 상기 아마추어(150)가 소정의 간격만큼 브레이크 본체(120) 측으로 이동함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본체(120)에 흡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아마추어(150)가 브레이크 본체(120)에 흡착되는 경우에는 앤드 플레이트(130)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140)가 소정의 간격(S1, S2)만큼 아마추어(150) 또는 앤드 플레이트(130)로부터 이격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로터(140)는 회전가능한 상태게 되어 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자식 브레이크(100)는 비통전 상태에서 브레이크 본체(120)와 상기 아마추어(150) 사이의 간격이 일정이하 이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코일(170)은 일정 거리 이상으로 상기 아마추어(150)가 멀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코일(170)의 자력이 약해져서 아마추어(150)를 브레이크 본체(120)측으로 흡인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로터(140)는 상기 아마추어(150)와 마찰접촉하면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아마추어(150)와 브레이크 본체(120) 사이의 간격이 최초에 설정해놓은 것에 비하여 커지게 된다. 따라서, 로터(140)의 두께가 일정이상 감소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마추어(150)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120) 사이의 간격을 줄여 원래의 설정상태로 맞춰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구성요소가 간격조절수단(160)이다. 구체적으로는 간격을 좁히기 위하여 너트를 조여서 앤드 플레이트(130)를 브레이크 본체(120) 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서 로터(140) 및 아마추어(150)가 브레이크 본체(1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아마추어(150)가 브레이크 본체(12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아마추어(150)와 브레이크 본체(1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간격조절수단에서 지지수단과 너트는 각각 3군데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3군데에 위치한 너트를 정확하게 동일한 정도로 조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브레이크 장치에서의 간격은 통상적으로 0.2 mm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좁은 간격을 유지하도록 3군데의 너트를 정밀하게 조이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또한, 3군데의 너트를 정밀하게 조이는 데 필요한 시간도 비교적 길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995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마추어와 브레이크 본체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는, 전자 코일과 제동 스프링을 내장한 브레이크 본체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앤드 플레이트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와 상기 앤드 플레이트의 사이의 공간 내에 상기 앤드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모터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코일의 비통전시에는 상기 제동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로터에 접촉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을 억제시키고 상기 전자 코일의 통전시에는 상기 제동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대항하여 상기 브레이크 본체 측에 흡착되어 상기 로터와 이격됨에 따라서 상기 로터의 회전을 허용하는 아마추어; 및 상기 전자 코일의 비통전시에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앤드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터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상기 브레이크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기 앤드 플레이트의 일면 상에 마련되며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접점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중앙에 내주면에 암나사가 마련되는 중앙홀이 마련되고,
상기 접촉부재에는 상기 중앙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에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홀을 관통하여 상기 앤드 플레이트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에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다수의 접점을 모두 포함하는 고리형상으로 상기 앤드 플레이트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에서,
상기 접촉부재는,
고리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한 접촉부재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에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셋 스크류(set screw)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는,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접촉부재가 앤드 플레이트에 다수의 접점으로 접촉되어 있어 단일의 접촉부재만으로도 상기 앤드 플레이트를 브레이크 본체측으로 안정적으로 가압하여 아마추어와 브레이크 본체 사이에 마련된 캡을 조정할 수 있어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의 외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자식 브레이크의 주요부분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전자식 브레이크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의 분리사시도.
본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작동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10)는, 브레이크 본체(20), 앤드 플레이트(30), 로터(40), 아마추어(50), 간격조절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본체(20)는, 전자코일(70)과 제동 스프링(71)을 내장한 것으로서, 대략 원판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브레이크 본체(20)는 중앙에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관통공(21)의 주위에 보스(2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스(22)의 주변에는 고리형상으로 돌출되는 체결부(23)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체결부(23)에는 다수의 구멍(23a, 23b)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에는 제동 스프링(71)이 삽입되어 있거나 고정 플레이트(61)를 위치고정하는 고정볼트(73)가 나사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스(22)와 상기 체결부(23)의 사이의 공간에는 전자코일(70)이 고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코일(70)은 소정의 전원수단과 전선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게 된다.
상기 앤드 플레이트(30)는, 상기 브레이크 본체(20)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로터(40)와 마주보는 면에는 마찰면(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앤드 플레이트(30)는, 대략 원형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중앙에는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제1중앙공(31)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중앙공(31)의 주변에는 일정간격을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1통과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통과공(32)을 통하여 칼라(72)가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칼라(72)는 상기 앤드 플레이트(30)의 위치를 잡아주게 된다.
한편 상기 앤드 플레이트(30)의 마찰면(33)은 표면이 거칠게 연마되어 있을 수 있으며 최대한 상기 로터(40)의 표면과 접촉시 마찰력이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40)는 상기 브레이크 본체(20)와 상기 앤드 플레이트(30)의 사이의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앤드 플레이트(30)와 인접하게 놓여져 있게 된다. 이러한 로터(40)는 모터의 회전축과 연통되어 회전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모터의 회전축과의 사이에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축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허브(74)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있게 된다.
상기 로터(40)는 대략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앤드 플레이트(30)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중앙에는 허브(74)가 삽입될 수 있는 제2중앙공(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공은 대략 육각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로터(40)의 표면은 상기 앤드 플레이트(30) 및 상기 아마추어(50)와 마찰접촉될 수 있도록 표면처리되거나 또는 로터(40) 자체가 마찰력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아마추어(50)는 상기 로터(40)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코일(70)의 비통전시에는 상기 제동 스프링(71)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로터(40)에 접촉되어 상기 로터(40)의 회전을 억제시키고 상기 전자코일(70)의 통전시에는 상기 제동 스프링(71)의 탄성반발력에 대항하여 상기 브레이크 본체(20) 측에 흡착되어 상기 로터(40)와 이격됨에 따라서 상기 로터(40)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마추어(50)는 전자코일(70)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 본체(20) 측으로 흡입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아마추어(50)는 상기 앤드 플레이트(3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대략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제3중앙공(51)이 마련되고 가장자리에는 칼라(72)가 통과할 수 있는 제2통과공(52)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마추어(50)는 일면은 상기 로터(40)와 마주보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타면은 브레이크 본체(20)와 마주보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때 브레이크 본체(20)와 마주보는 면은 브레이크 본체(20)에 배치되는 제동 스프링(71)과 접촉하고 있게 된다. 상기 제동 스프링(71)은 상기 아마추어(50)의 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아마추어(50)를 브레이크 본체(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게 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60)은, 상기 전자코일(70)의 비통전시에 상기 아마추어(50)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20) 사이의 간격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간격조절수단(60)은, 고정 플레이트(61)와 접촉부재(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61)는 상기 앤드 플레이트(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터(40)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브레이크 본체(20)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61)는 대략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중앙에는 모터의 회전축이 통과하는 중앙홀(6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 플레이트(61)의 중앙홀(6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접촉부재(64)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앙홀(62)의 주변에는 칼라(72)를 관통하여 브레이크 본체(2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73)가 삽입되는 삽입구멍(63)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삽입구멍(63)은 대략 120도의 간격을 두고 3개가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게 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61)는 상기 칼라(72)에 의하여 브레이크 본체(20)와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칼라(72)를 관통하는 고정볼트(73)에 의하여 브레이크 본체(20)에 위치고정되게 된다.
상기 접촉부재(64)는, 상기 브레이크 본체(20)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브레이크 본체(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 플레이트(61)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앤드 플레이트(30)의 일면 상에 마련되며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접점에 접촉되는 것이다.
이러한 접촉부재(64)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61)의 중앙홀(62)을 관통하여 상기 앤드 플레이트(30)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접촉부재(64)는 고리형상의 단면을 가지되 외주면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61)와 접촉되고, 타측 단부는 앤드 플레이트(30)에 접촉되는 원통부(65)와, 상기 원통부(65)의 일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64)에서 원통부(65)의 외주면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61)의 중앙홀(62)의 내벽과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플랜지부(66)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61)에 대한 접촉부재(64)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66a)이 결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방지수단(66a)은, 상기 플랜지부(66)에 나사결합되어 일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61)에 마찰접촉되는 셋 스크류인 것이 좋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브레이크(1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모터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자코일(7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서 상기 전자코일(70)이 아마추어(50)를 흡인하게 하고 이에 따라서 아마추어(50)가 상기 브레이크 본체(20)에 접촉되게 한다. 이때, 상기 로터(40)를 회전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모터의 회전을 자유롭게 허용하게 한다. 이후에, 모터의 회전을 정지코자 하는 경우에는 전자코일(70)에 가해지는 전력을 제거함으로서 흡인된 아마추어(5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동 스프링(71)이 상기 아마추어(50)를 상기 브레이크 본체(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아마추어(50)는 상기 로터(40)와 접촉하면서 상기 로터(40)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한편, 제동동작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로터(40)의 표면이 마모되어 상기 아마추어(50)와 브레이크 본체(20) 사이의 간격이 서로 멀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셋 스크류를 해제하여 상기 접촉부재(64)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61)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후에, 접촉부재(64)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접촉부재(64)는 회전하면서 브레이크 본체(20) 측으로 진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앤드 플레이트(30), 로터(40) 및 아마추어(50)를 브레이크 본체(20) 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동작이 진행되면 상기 아마추어(50)와 본체 간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아마추어(50)와 상기 본체 간의 간격이 일정정도 이하로 줄어들게 되면 상기 접촉부재(64)의 회전을 멈추게 하고 셋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접촉부재(64)를 위치고정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접촉부재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작업에 의하여 상기 아마추어와 브레이크 본체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종래기술과 같이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간격을 조정하는 방식에 비하여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즉,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포인트에서 정밀하게 간격이 동일하게 하는 것이 어려웠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접촉부재만으로도 전체적인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정밀도면에서도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일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전자식 브레이크 20...브레이크 본체
21...관통공 22...보스
23...체결부 30...앤드 플레이트
31...제1중앙공 32...제1통과공
33...마찰면 40...로터
41...제2중앙공 50...아마추어
51...제3중앙공 52...제2통과공
60...간격조절수단 61...고정 플레이트
62...중앙홀 63...삽입구멍
64...접촉부재 65...원통부
66...플랜지부 66a...회전방지수단

Claims (6)

  1. 전자 코일과 제동 스프링을 내장한 브레이크 본체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앤드 플레이트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와 상기 앤드 플레이트의 사이의 공간 내에 상기 앤드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모터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코일의 비통전시에는 상기 제동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로터에 접촉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을 억제시키고 상기 전자 코일의 통전시에는 상기 제동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대항하여 상기 브레이크 본체 측에 흡착되어 상기 로터와 이격됨에 따라서 상기 로터의 회전을 허용하는 아마추어; 및 상기 전자 코일의 비통전시에 상기 아마추어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앤드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터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브레이크 본체에 접근하는 방향 또는 상기 브레이크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기 앤드 플레이트의 일면 상에 마련되며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접점에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중앙에 내주면에 암나사가 마련되는 중앙홀이 마련되고,
    상기 접촉부재에는 상기 중앙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홀을 관통하여 상기 앤드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앤드 플레이트의 일면상에 마련되는 다수의 점점에 접촉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고리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한 접촉부재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셋 스크류(set scre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KR1020120020406A 2012-02-28 2012-02-28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KR101342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406A KR101342114B1 (ko) 2012-02-28 2012-02-28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406A KR101342114B1 (ko) 2012-02-28 2012-02-28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689A KR20130098689A (ko) 2013-09-05
KR101342114B1 true KR101342114B1 (ko) 2014-02-10

Family

ID=4945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406A KR101342114B1 (ko) 2012-02-28 2012-02-28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008B1 (ko) * 2020-11-20 2023-01-31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전자기 브레이크 시스템
KR102477442B1 (ko) * 2021-08-19 2022-12-13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상시 폐쇄식 제동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로터리 테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150U (ko) * 1989-12-06 1991-08-16
KR19990029956U (ko) * 1997-12-29 1999-07-26 하야츠 츠네오 모터내장 무여자 작동 브레이크
JP2011112187A (ja) 2009-11-27 2011-06-09 Sinfonia Technology Co Ltd 無励磁作動型電磁ブレーキ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150U (ko) * 1989-12-06 1991-08-16
KR19990029956U (ko) * 1997-12-29 1999-07-26 하야츠 츠네오 모터내장 무여자 작동 브레이크
JP2011112187A (ja) 2009-11-27 2011-06-09 Sinfonia Technology Co Ltd 無励磁作動型電磁ブレーキ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689A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2388B2 (en) Motor
KR101933803B1 (ko) 브레이크를 구비한 모터
US9051981B2 (en) Dynamic brake
KR101342114B1 (ko) 개선된 간격조절수단을 가지는 전자식 브레이크
CN206361052U (zh) 一种电磁制动器及电动机
CN217063494U (zh) 轮毂电机和具有其的代步车
BR102012014720A2 (pt) Motor, freio motor,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motor
JP2007218333A (ja) ブレーキ装置
JP200803910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WO2013051643A1 (ja) 電磁ブレーキ
JPS6220922A (ja) 負作動形電磁ブレ−キ
JP6305534B2 (ja) 無励磁作動ブレーキおよび無励磁作動ブレーキ付きモータ
JP6662213B2 (ja) 回転電動機、及び回転電動機の組み立て方法
CN210034229U (zh) 制动装置及具有其的电机
CN209497361U (zh) 马达制动器结构
WO2022230131A1 (ja) モータ用ブレーキ
JPH0141852B2 (ko)
KR200375863Y1 (ko) 모터 브레이크 장치
JP2013190085A (ja) 電磁ブレーキ装置
JP6233380B2 (ja) ブレーキ装置及び回転電機
JPH0662231U (ja) 無励磁作動形電磁ブレーキ
JP2007255643A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ギャップ調整方法および調整装置
JP2010136579A (ja) 電磁ブレーキ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機
JP2009162326A (ja) 動力伝達装置
JP2019152317A (ja) 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