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525A - 매체 교반식 분쇄기 - Google Patents

매체 교반식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525A
KR20100116525A KR1020100010413A KR20100010413A KR20100116525A KR 20100116525 A KR20100116525 A KR 20100116525A KR 1020100010413 A KR1020100010413 A KR 1020100010413A KR 20100010413 A KR20100010413 A KR 20100010413A KR 20100116525 A KR20100116525 A KR 20100116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stirring
medium
media
grind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220B1 (ko
Inventor
츠요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아시자와ㆍ파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자와ㆍ파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자와ㆍ파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02C17/168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with a basket media milling device arranged in or on the container, involving therein a circulatory flow of the material to be m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02C17/163Stir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15Cooling or h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1Air-sea rescue devices, i.e. equipment carried by, and capable of being dropped from, an airc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Abstract

본 발명은, 양질의 분쇄, 분산작용에 의해,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는, 원료입구를 가지며, 구(球)형의 분쇄실을 가지는 분쇄용기, 상기 분쇄실 내에서 상기 분쇄용기의 내벽 근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교반부재, 상기 분쇄실 내에 도입된 분쇄 매체, 및 상기 분쇄실 내에서 상기 교반부재에 대향해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원심분리식 매체 분리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매체 교반식 분쇄기{MEDIA STIRRING TYPE GRINDING MACHINE}
본 발명은, 매체 교반식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는, 잉크, 도료, 안료, 세라믹, 금속, 무기물, 유전재(誘電材), 페라이트, 토너, 유리, 제지용 코팅컬러 등의 원료를 분쇄 매체와 혼합해서 미세입자로 분쇄 또는 분산하기 위한 사용에 특히 적합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체 교반식 분쇄기로서는, 일본국 특개2005-199125호 공보에서 제안된 매체 교반밀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일본국 특개2005-199125호 공보에서 제안된 매체 교반밀은, 내부에 분쇄 매체를 수용하는 분쇄실이 설치되는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기 분쇄실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어서,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교반분리부재를 구비한 매체 교반밀로서,
상기 분쇄실의 내부벽면과 상기 교반분리부재의 외주면을, 서로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교반분리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교반분리부재의 중심부에 관통하고, 그 부분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중심부를 관통해서 상기 분쇄실 외부에 연통하는 분리배출로와, 상기 교반분리부재의 상하부면간을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으로 관통해서, 상기 분쇄실 내의 상부와 하부와의 사이를 서로 연통하는 압력완화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5-199125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매체 교반밀의 경우에는, 원심력이 최대가 되는 최대경부에 분쇄 매체가 밀집되기 쉽고, 국소적이며, 분산력, 분쇄력이 장소에 따라서 제각각이며, 그 차가 크다. 그런 연유로, 원료의 분산, 분쇄가 균일하게 실행되지 않아서, 고품질의 제품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양질의 분쇄, 분산작용에 의해,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하기 (1)~(13)의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매체 교반식 분쇄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1) 비즈형상 분쇄 매체를 수용한 수형(竪型) 원통형의 분쇄실을 가지는 분쇄용기, 이 분쇄용기에 형성된 원료 슬러리(slurry) 공급구, 상기 분쇄실의 하부에서, 상기 분쇄실의 축심과 거의 동축(同軸)인 회전축을 가지는 교반부재, 및 상기 분쇄실 내에서, 상기 교반부재의 위쪽에 형성된 매체 분리부재를 구비한 매체 교반식 분쇄기로서, 상기 분쇄실 아래쪽 부분을 반경방향으로 분할하고, 분쇄실 아래쪽 부분 안쪽 부분과 환상(環狀)의 분쇄실 아래쪽 부분 바깥쪽 부분을 구성하는 안내환(案內環)을 배치하고, 상기 분쇄실 아래쪽 부분 바깥쪽 부분을 분쇄 매체와 원료 슬러리의 혼합물의 상승통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2) 상기 안내환은 환상공간을 가지며, 상기 분쇄용기에 장착된 복수의 파이프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파이프를 이용해서 상기 환상공간에 통수 배수가 가능한 구조인 상기 (1)항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
(3) 상기 파이프가 분쇄용기의 위쪽으로 연장하고, 하단부에서 상기 안내환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2)항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
(4) 상기 매체 분리부재는, 원심식의 휠형상 분리부재 또는 스크린인 상기 (1)항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
(5) 상기 교반부재가 날개차이며,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환상판과 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날개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1)항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
(6) 상기 교반부재는, 주속 5~40m/s의 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1)항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
(7) 상기 안내환은, 해당 하단부가 상기 교반부재의 상단부 이상에 있으며, 그리고 이 상단부가 상기 매체 분리부재의 하단부와 아래쪽에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있는 상기 (1)항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
(8) 상기 안내환의 외주벽과 분쇄용기의 내주벽의 사이의 간격은, 10~50㎜인 상기 (1)항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
(9) 상기 안내환의 높이는, 분쇄실의 높이의 1/3~1/2인 상기 (1)항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
(10) 분쇄 매체의 총용적이, 분쇄실의 용적의 30%~60%인 상기 (1)항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
(11) 상기 교반부재로부터 상기 매체 분리부재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분쇄용기 외부로 연장하는 제1 구동축, 상기 매체 분리부재로부터 상기 교반부재와는 반대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분쇄용기 외부로 연장하는 제2 구동축, 및 상기 분쇄용기의 내주벽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에 의해 원주방향 바깥쪽으로 향해진 상기 원료와 분쇄 매체의 유동(流動)을, 반경방향 안쪽으로 전환하는 유동(流動)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부재와 매체 분리부재가, 서로의 간섭이 적어지도록 축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구동축이 중공(中空)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공축의 내부가 상기 매체 분리부재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원료출구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에 기재된 매체 교반식 분쇄기.
(12) 상기 교반부재와 매체 분리부재의 사이의 간격을 S로 하고, 상기 교반부재의 직경을 d로 한 경우, S/d가 0.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항에 기재된 매체 교반식 분쇄기.
(13) 상기 분쇄 매체의 총체적이, 상기 분쇄용기의 용적의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항에 기재된 매체 교반식 분쇄기.
본 발명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분쇄실 내에 안내환을 설치한 것에 의해, 분쇄 매체가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분쇄실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쇄용기의 내벽을 향해서 이동되고, 계속해서 안내환과 분쇄용기의 사이의 상승통로를 상승시키고, 이어서 중앙부로부터 안내환의 내부를 통해서 하강하여 교반부재로 되돌아오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반복할 수 있기 때문에, 분쇄실에 대한 비즈의 용적비율이 적어도 비즈 간격이 극단적으로 넓어지지 않고, 분쇄ㆍ분산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분쇄 매체의 편석이 생기기 어렵고, 분쇄력, 분산력이 균일하기 때문에, 균일분산이 가능해지며,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는, 분쇄부와 분쇄 매체 분리부의 기능분산이 명확하게 되며 분쇄 매체 분리성능이 향상된다.
또, 분쇄실 외통냉각에 부가해서, 안내환에서의 냉각이 가능하므로 냉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매체 교반식 분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단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매체 교반형 분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교반부재와 유동전환부재의 배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A), 도 5(B), 도 5(C)는, 각각 도 3 및 도 1에 도시한 매체 교반형 분쇄기에 사용되고 있는 매체 분리부재의 날개부재의 예를 예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매체 교반식 분쇄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매체 교반식 분쇄기(10)를 도시한 것이며, 이 매체 교반식 분쇄기(10)는, 상부를 폐쇄하는 단판(端板)(12a)을 가지는 수형 원통형의 분쇄용기(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분쇄용기(12)는, 내부에 원주형상의 분쇄실(14)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분쇄실(14) 내에 슬러리형상의 원료를 도입하기 위한 원료 슬러리 공급구(16)를 가지고 있다.
상기 분쇄용기(12)의 분쇄실(14)의 내부 하부 중앙에는, 교반부재(22)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교반부재(22)는, 날개차이며, 예를 들면, 보스(22a)의 주위에 고정되어,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환상판(22b, 22c)과 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날개(22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교반부재(22)에는, 상단부가 이 교반부재(22)의 보스(22a)에 장착되고, 이곳으로부터 분쇄용기(12) 및 프레임(18)을 축방향 아래쪽으로 관통해서 연장하는 교반부재 구동축인 회전구동축(24)이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구동축(24)은, 이 아래쪽 단부가, 도시하지 않은 주지된 구동기구를 개재해서 구동원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회전구동축(24)의 회전축(회전축선)은 분쇄실(14)의 중심축을 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축(24)에는, 축봉(軸封)(25)(메카니컬 실(mechanical seal) 등)이 배치되어 있다.
매체 교반식 분쇄기에 있어서 주지된 바와 같이, 분쇄용기(12)의 내부에는, 비즈형상의 분쇄 매체(30)(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매우 확대해서 도시함)가 수납되어 있다. 이 분쇄 매체(30)는, 해당 직경이 0.02~2㎜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분쇄 매체의 총용적이, 분쇄실의 용적의 30%~60%이다. 통상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에 있어서는, 분쇄 매체의 총용적이, 분쇄실의 용적의 75%~90%이므로, 본 발명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는, 구속력이 작아 소프트한 분쇄ㆍ분산이 가능하다.
상기 분쇄용기(12)의 분쇄실(14)의 내부 위쪽에서 분쇄실(14)의 중심부 근방에는, 상기 해당 교반부재와 축방향에 간격을 두고 대향해서 배치되고, 원료 슬러리 내에 분산된 매체(30)를 상기 원료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원심분리식 매체 분리부재(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매체 분리부재(32)는, 하부에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통형상의 본체를 가지는 보스(32a) 및 상기 본체의 하부를 폐쇄하는 폐쇄판(32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스(32a)의 본체에는, 복수의 개방구멍이 형성되고, 이곳으로부터 원료 슬러리만이 상기 본체 내의 공간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매체 분리부재(32)는, 상기 해당 교반부재(22)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축이 어긋나 있어도 된다. 상기 교반부재(22)는, 매체 분리부재(32)의 간섭이 매우 적어지도록, 매체 분리부재(32)로부터 충분히 격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매체 분리부재(32)에는, 중공의 회전구동축(34)이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축(34)은, 단판(12a)을 관통해서 위쪽으로 연장하고, 해당 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주지된 구동기구를 개재해서 구동원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축(34)에는, 축봉(36)(메카니컬 실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구동축(34)의 중공부는, 매체 분리부재(32)의 내부공간에 연통되어, 원료 슬러리 출구(38)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매체 분리부재로서는, 종래의 스크린을 이용할 수도 있다.
분쇄용기(12)의 외주부에는, 냉매체 또는 열매체(통상은 냉매체로서, 냉각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재킷(40)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쇄실(14) 내를 온도조절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재킷(40)에는, 아래쪽 부분에 냉각수를 도입하기 위한 냉각수입구(42), 위쪽 부분에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냉각수출구(46)가 형성되어 있다.
분쇄용기(12)는, 상기 단판(12a)을 분리함으로써, 분쇄용기(12)를 개방해서, 용이하게 보수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에 있어서는, 상기 교반부재(22)는, 주속 5~40m/s의 범위의 회전속도로 구동이 가능하며, 매체 분리부재(32)는, 10~2Om/s의 범위의 회전속도로 구동이 가능하다.
상기 분쇄실(14) 내의 하부에는, 안내환(50)이 배치되어 있다. 내주환판(內周環板)(52), 이 외주방향으로 간격을 둔 외주환판(外周環板)(54), 밑변을 구성하는 환상의 하환판(下環板)(56) 및 윗변을 구성하는 상환판(上環板)(5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액밀(液密)로 되어 있다.
이 안내환(50)은, 상기 분쇄실(14) 아래쪽 부분을 반경방향으로 분할하고, 분쇄실 아래쪽 부분 안쪽 부분(14a)과 환상의 분쇄실 아래쪽 부분 바깥쪽 부분(14b)을 구성한다. 상기 분쇄실 아래쪽 부분 바깥쪽 부분(14b)은, 분쇄 매체와 원료 슬러리의 혼합물의 상승통로의 기능을 달성한다.
상기 안내환(50)은, 상기한 구조이므로 환상공간(50a)을 가지며, 상기 분쇄용기에 장착된 복수의 파이프(60a, 60b)(도 2 참조)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파이프(60a, 60b)를 이용해서 상기 환상공간에 냉각수의 통수 배수가 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료 슬러리를 분쇄용기(12) 내부에서도 냉각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60a, 60b)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용기(12)의 위쪽으로 연장하고, 하단부에서 상기 안내환(50)을 지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환(5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하단부가 상기 교반부재(22)의 상단부 이상에 있으며, 그리고 이 상단부가 상기 매체 분리부재(32)의 하단부와 아래쪽에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환(50)의 외주벽과 분쇄용기(12)의 내주벽의 사이의 간격은, 1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이, 상기의 하한 미만이면, 비즈의 이동을 지나치게 구속하며, 상한을 초과하면, 자유도가 지나치게 증대된다.
상기 안내환(50)의 높이는, 분쇄실(14)의 높이의 1/3~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가, 상기의 하한 미만이면, 비즈의 유동의 제어가 불충분하게 되며, 상한을 초과하면, 비즈의 유동의 순조로움이 손상된다.
작동에 있어서는, 원료 슬러리 공급구(16)로부터 원료인 피분쇄입자를 함유한 원료 슬러리를 분쇄실(14)에 도입하면서 교반부재(22)를 회전 구동한다. 분쇄실(14) 내에 도입된 슬러리는, 분쇄실(14) 내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슬러리와 매체(30)의 회전 유동에 맞춰 교반부재(22)의 방향으로 하강 이동되어서, 교반부재(22)에 의해 교반 혼합된다. 이때, 슬러리와 매체(30)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쇄용기(12)의 내벽까지 이동되고, 이후 교반 혼합된 상기 슬러리와 매체(30)는, 이번에는 분쇄실(14)의 내벽과 안내환(50)의 사이의 상승통로를 상승 이동하는 유동(f)이 되며, 그리고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다음에는 선두가 하강하는 유동이 된다. 분쇄실(14) 중심 부근 약간 위쪽에서, 슬러리 및 매체에는 매체 분리부재(32)에 의해 회전운동이 주어진다. 이 회전운동에 의해, 질량이 큰 매체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부세되어서, 슬러리로부터 분리된다. 이 경우, 피분쇄입자 중, 분쇄가 불충분으로 인해 입자사이즈가 큰 것도 매체와 같이 거동한다. 한편, 충분히 분쇄되어서 질량이 작아진 입자를 함유한 슬러리는, 매체 분리부재(32)의 내부공간에 도입되고, 회전축(34) 내부의 원료출구(38)를 통해서 매체 교반식 분쇄기 외부로 배출된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의 일정한 유동 중에, 원료입자는, 자유롭게 운동하는 분쇄 매체의 접촉에 의해 양질의 파쇄, 분산이 실행되고, 그 결과,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에 의하면, 상기의 작용에 의해, 입도(粒度) 분포폭이 좁은 분쇄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분쇄 매체의 양도 적어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매체 교반식 분쇄기(100)를 도시한 것이며, 이후에 설명하는 유동전환부재(102)를 제외하고는 구조가 거의 동일하므로, 동일부품ㆍ동일부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교부하여 해당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안내환(50)의 기재는 생략했지만, 이 실시의 형태의 매체 교반식 분쇄기(100)도 상기 안내환(50)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유동전환부재(102)(도 3에는 하나만 도시하였음)는, 상기 분쇄용기(12)의 분쇄실(14) 내의 내주벽 근방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유동전환부재(102)는, 정류판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에 의해 원주방향 바깥쪽으로 향해진 원료 슬러리와 분쇄 매체(30)의 유동을, 반경방향 안쪽으로 전환하는 작용을 한다. 교반부재(22)의 회전속도가 커졌을 경우, 원심력에 의해 분쇄 매체(30)가 분쇄용기(12)의 내주벽에 첩부되는 것을, 이 유동전환부재(102)의 작용에 의해 방지된다. 이 유동전환부재(102)는, 분쇄실(14) 내에 적어도 1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은, 1개 내지 2개이다. 상기 유동전환부재(102)의 하단부는, 교반부재(22)의 거의 상단부 이상에 있으며, 이 상단부는, 단판(12a)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전환부재(102)의 수평 단면형상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이 도면에 있어서도 안내환(50)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음) 분쇄용기(12)의 내주벽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전환부재(102)의 기부(基部)에는, 상단부가 분쇄용기(12) 외부로 돌출된 봉형상부재(104)가 장착되어 있으며, 분쇄용기(12) 외부로부터 상기 유동전환부재(102)의 각도나 높이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매체 분리부재(32)는, 보스부(32a) 및 폐쇄판(32b)간에 둘레방향(회전구동축(34)에 동축)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날개부재(44)를 가지고 있다(도 5(A) 참조). 상기 날개부재(44)는, 상기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방사형상으로 배치해도 되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해도 된다. 상기 날개부재(44)는, 혹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안쪽을 향해서 서서히 가늘어지는 4각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상기 교반부재(22)와 매체 분리부재(32)의 사이의 간격을 S로 하고, 상기 교반부재의 직경을 d로 한 경우, S/d가 0.3 이상, 특히 0.3~0.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d의 값이, 0.3 미만인 경우에는, 교반부재와 매체 분리부재의 간섭의 정도가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상기 분쇄 매체(30)의 총체적은, 상기 분쇄용기(12)(분쇄실(14))의 용적의 60% 이하, 특히 3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 매체(30)의 총체적이, 상기 분쇄용기(12)(분쇄실(14))의 용적의 60%를 초과하면, 상기 분쇄 매체(30)의 자유도가 손상되어, 분쇄 매체(30)의 제어가 곤란하게 된다. 또, 분쇄 매체의 투입수평높이는, 매체 분리부재(32)의 높이보다 아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 매체의 투입수평높이가, 매체 분리부재의 높이를 초과하면, 매체 분리부재에 의한 분쇄 매체의 분리능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매체 교반식 분쇄기에 있어서는, 상기 교반부재(22)는, 5~40m/s의 범위의 회전속도로 구동이 가능하며, 매체 분리부재(32)는, 10~20m/s의 범위의 회전속도로 구동이 가능하다.
작동에 있어서는, 원료 슬러리 공급구(16)로부터 피분쇄입자를 함유한 슬러리인 원료를 도입하면서 교반부재(22)를 회전 구동한다. 분쇄실(14) 내에 도입된 슬러리는, 분쇄실(14) 내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슬러리와 매체(30)의 회전 유동(f)에 맞춰 교반부재(22)의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교반된다. 교반부재(22)와 안내환(50)의 사이의 통로를, 상승하면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유동을, 전환부재(102)의 작용에 의해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전환해서, 상기 슬러리와 매체(30)의 회전 유동(f)이 형성된다. 이 분쇄 매체의 회전 유동(f) 때문에, 분쇄실(14) 내에 있어서는 슬러리 내의 피분쇄입자가 분쇄 내지는 분산된다. 분쇄실(14)의 상부에 있어서는, 슬러리 및 매체에는 매체 분리부재(32)에 의해 회전운동이 주어진다. 이 회전운동에 의해, 비중이 큰 매체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부세되어서, 슬러리로부터 분리된다. 이 경우, 피분쇄입자 중, 분쇄가 불충분으로 인해 입자사이즈가 큰 것도 매체와 같이 거동한다. 한편, 충분히 분쇄되어서 질량이 작아진 입자를 함유한 슬러리는, 매체 분리부재(32)의 내부공간에 도입되어, 회전축(34) 내부의 원료출구로(38)를 통해서 매체 교반밀 외부로 배출된다. 이 구성에 의해, 입도 분포폭이 좁은 분쇄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 매체 교반식 분쇄기 12: 분쇄용기
14: 분쇄실 16: 원료 슬러리 공급구
18: 프레임 22: 교반부재
24; 회전구동축 25: 축봉
30: 분쇄 매체 32: 매체 분리부재
32a: 보스부 32b: 폐쇄판
34: 중공구동축 36: 축봉
38: 원료출구 40: 재킷
40a: 냉각수입구 40b: 냉각수출구
50: 안내환 52: 내주환판
54: 외주환판 56: 하환판
58: 상환판 60a: 파이프
60b: 파이프 100: 매체 교반형 분쇄기
102: 유동전환부재

Claims (13)

  1. 비즈형상 분쇄 매체를 수용한 수형(竪型) 원통형의 분쇄실을 가지는 분쇄용기, 이 분쇄용기에 형성된 원료 슬러리(slurry) 공급구, 상기 분쇄실의 하부에서, 상기 분쇄실의 축심과 거의 동축(同軸)인 회전축을 가지는 교반부재, 및 상기 분쇄실 내에서, 상기 교반부재의 위쪽에 형성된 매체 분리부재를 구비한 매체 교반식 분쇄기로서,
    상기 분쇄실 아래쪽 부분을 반경방향으로 분할하고, 분쇄실 아래쪽 부분 안쪽 부분과 환상(環狀)의 분쇄실 아래쪽 부분 바깥쪽 부분을 구성하는 안내환(案內環)을 배치하고, 상기 분쇄실 아래쪽 부분 바깥쪽 부분을 분쇄 매체와 원료 슬러리의 혼합물의 상승통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환은 환상공간을 가지며, 상기 분쇄용기에 장착된 복수의 파이프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파이프를 이용해서 상기 환상공간에 통수 배수가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분쇄용기의 위쪽으로 연장하고, 하단부에서 상기 안내환을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분리부재는, 원심식의 휠형상 분리부재 또는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가 날개차이며,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환상판과 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날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는, 주속 5~40m/s의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환은, 해당 하단부가 상기 교반부재의 상단부 이상에 있으며, 그리고 이 상단부가 상기 매체 분리부재의 하단부와 아래쪽에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환의 외주벽과 분쇄용기의 내주벽의 사이의 간격은, 1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환의 높이는, 분쇄실의 높이의 1/3~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10. 제1항에 있어서,
    분쇄 매체의 총용적이, 분쇄실의 용적의 3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로부터 상기 매체 분리부재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분쇄용기 외부로 연장하는 제1 구동축, 상기 매체 분리부재로부터 상기 교반부재와는 반대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분쇄용기 외부로 연장하는 제2 구동축, 및 상기 분쇄용기의 내주벽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에 의해 원주방향 바깥쪽으로 향해진 상기 원료와 분쇄 매체의 유동(流動)을, 반경방향 안쪽으로 전환하는 유동전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부재와 매체 분리부재가, 서로의 간섭이 적어지도록 축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구동축이 중공(中空)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공축의 내부가 상기 매체 분리부재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원료출구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와 매체 분리부재의 사이의 간격을 S로 하고, 상기 교반부재의 직경을 d로 한 경우, S/d가 0.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매체의 총체적이, 상기 분쇄용기의 용적의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교반식 분쇄기.
KR1020100010413A 2009-04-22 2010-02-04 매체 교반식 분쇄기 KR101648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03529 2009-04-22
JP2009103529A JP5463065B2 (ja) 2009-04-22 2009-04-22 メディア攪拌式粉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525A true KR20100116525A (ko) 2010-11-01
KR101648220B1 KR101648220B1 (ko) 2016-08-12

Family

ID=4253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413A KR101648220B1 (ko) 2009-04-22 2010-02-04 매체 교반식 분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72169B2 (ko)
EP (1) EP2246114B1 (ko)
JP (1) JP5463065B2 (ko)
KR (1) KR101648220B1 (ko)
CN (1) CN101869863B (ko)
TW (1) TWI50317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222B1 (ko) * 2012-11-09 2013-04-23 서풍현 혼합 분말 믹싱 및 분쇄장치
KR20220005766A (ko) * 2020-07-07 2022-01-14 김옥태 슬러리 제조용 혼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2324B2 (ja) * 2011-07-28 2016-04-27 アシザワ・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メディア攪拌式粉砕機
EP2737955B1 (en) * 2011-07-28 2016-07-20 Ashizawa Finetech Ltd Medium-stirring pulverizer
JP5912858B2 (ja) * 2012-05-24 2016-04-27 アシザワ・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メディア攪拌式粉砕機
JP6071758B2 (ja) * 2012-07-23 2017-02-01 アシザワ・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メディア攪拌式粉砕機
CN102909116A (zh) * 2012-08-24 2013-02-06 向小月 双轴研磨驱动装置
JP2014100674A (ja) * 2012-11-21 2014-06-05 Ashizawa Finetech Ltd メディア撹拌式分級機内蔵型粉砕機
DE102015105804A1 (de) * 2015-04-16 2016-10-20 Netzsch-Feinmahltechnik Gmbh Rührwerkskugelmühle
JP6808212B2 (ja) 2016-06-14 2021-01-06 アシザワ・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メディア循環型粉砕機
JP6884942B2 (ja) * 2017-06-23 2021-06-09 アシザワ・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メディア撹拌式粉砕機
JP7217851B2 (ja) * 2019-01-28 2023-02-06 アシザワ・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メディア攪拌式分散・粉砕機
CN109932217A (zh) * 2019-04-22 2019-06-25 安徽理工大学 一种冶金原料抽检取样器
EP3799960A1 (de) * 2019-10-01 2021-04-07 Bühler AG Rührwerksmühle
CN114178003B (zh) * 2021-11-08 2023-04-07 北京天地融创科技股份有限公司 卧式细磨机
CN114273065A (zh) * 2021-11-24 2022-04-05 枣庄市瑞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冲击式破碎机分料盘
CN114699976B (zh) * 2022-04-20 2023-07-25 上海蕙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浸渍法生产催化剂的浸渍液配置设备
KR102598521B1 (ko) * 2022-12-02 2023-11-06 (주)학화1934 앙금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7742U (ko) * 1990-11-30 1992-07-30
JPH078823A (ja) * 1993-06-01 1995-01-13 Willy A Bachofen Ag 材料の微粉砕および超微粉砕を行うために連続的に作動する撹拌装置ボールミル
JP2008149208A (ja) * 2006-12-14 2008-07-03 Ashizawa Finetech Ltd メディア撹拌ミ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7057A (en) * 1979-08-30 1981-04-10 Mitsui Miike Machinery Co Ltd Media type dispersing device and material dispersing method using said device
US5022592A (en) * 1989-05-03 1991-06-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agnetic media mill
US5183214A (en) * 1989-05-03 1993-02-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of magnetic media milling
JP2575498Y2 (ja) * 1993-01-08 1998-06-25 三井鉱山株式会社 粉砕機の構造
CH688849A5 (de) * 1993-02-25 1998-04-30 Buehler Ag Ruehrwerksmuehle.
JPH10118511A (ja) * 1996-10-18 1998-05-12 Mitsui Mining Co Ltd 粉砕機
JP4013211B2 (ja) * 1998-03-03 2007-11-28 株式会社井上製作所 媒体分散装置
JP3978069B2 (ja) * 2002-04-11 2007-09-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ビーズ処理装置及び被処理物分散機
DE502004006541D1 (de) * 2003-04-15 2008-04-30 Bachofen Willy A Ag Rührwerkskugelmühle
TWI376354B (en) * 2003-12-03 2012-11-11 Miike Tekkosho Kk An apparatus for smashing organic substance particles
JP2005199125A (ja) 2004-01-13 2005-07-28 Mitsui Mining Co Ltd メディア攪拌ミル
ES2367265T3 (es) * 2005-05-17 2011-10-31 Ashizawa Finetech Ltd Molino agitador de medios de tipo circulación.
US7828238B2 (en) * 2007-11-19 2010-11-09 Nippon Coke & Engineering Co., Ltd. Media-agitation type wet disperser and method for dispersing fine particles
JP5261002B2 (ja) * 2008-03-31 2013-08-14 アシザワ・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メディア混合式ミ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7742U (ko) * 1990-11-30 1992-07-30
JPH078823A (ja) * 1993-06-01 1995-01-13 Willy A Bachofen Ag 材料の微粉砕および超微粉砕を行うために連続的に作動する撹拌装置ボールミル
JP2008149208A (ja) * 2006-12-14 2008-07-03 Ashizawa Finetech Ltd メディア撹拌ミ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222B1 (ko) * 2012-11-09 2013-04-23 서풍현 혼합 분말 믹싱 및 분쇄장치
KR20220005766A (ko) * 2020-07-07 2022-01-14 김옥태 슬러리 제조용 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69863A (zh) 2010-10-27
JP2010253339A (ja) 2010-11-11
US8172169B2 (en) 2012-05-08
KR101648220B1 (ko) 2016-08-12
CN101869863B (zh) 2014-08-13
US20100270408A1 (en) 2010-10-28
TW201038328A (en) 2010-11-01
TWI503173B (zh) 2015-10-11
JP5463065B2 (ja) 2014-04-09
EP2246114B1 (en) 2015-06-24
EP2246114A2 (en) 2010-11-03
EP2246114A3 (en)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6525A (ko) 매체 교반식 분쇄기
JP5261002B2 (ja) メディア混合式ミル
KR101864915B1 (ko) 매체 교반식 분쇄기
JP5159102B2 (ja) 竪型のメディア攪拌ミル
JP7217851B2 (ja) メディア攪拌式分散・粉砕機
JP2011177639A (ja) メディア攪拌ミル
JP5912324B2 (ja) メディア攪拌式粉砕機
KR102083070B1 (ko) 매체순환형 분쇄기
JP5912858B2 (ja) メディア攪拌式粉砕機
JP6071758B2 (ja) メディア攪拌式粉砕機
JP6884942B2 (ja) メディア撹拌式粉砕機
JPS6411340B2 (ko)
KR20090104715A (ko) 매체 혼합식 밀
JP7251779B2 (ja) メディア撹拌型粉砕機および循環型粉砕装置
JPS62269765A (ja) 固体材料の微粉砕方法および装置
JPH0365252A (ja) 遠心流動粉砕装置
JP2013252466A (ja) メディア攪拌式粉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