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861A - 가동체의 동작기구 - Google Patents

가동체의 동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861A
KR20100109861A KR1020100028637A KR20100028637A KR20100109861A KR 20100109861 A KR20100109861 A KR 20100109861A KR 1020100028637 A KR1020100028637 A KR 1020100028637A KR 20100028637 A KR20100028637 A KR 20100028637A KR 20100109861 A KR20100109861 A KR 20100109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gear
movable
movable body
gear
fixe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3745B1 (ko
Inventor
츠요시 하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10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37Gearing with brake means for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Abstract

(과제) 정해진 하나의 축에 의하지 않고 가동체를 회동시키도록 한 기구에 있어서, 가동체에 외력이 작용된 경우, 비교적 취약해지기 쉬운 부분에 상기 외력이 직접 작용되지 않도록 한다.
(해결수단) 지지체(1)측에 형성된 제 1 고정측 기어부(32) 및 제 2 고정측 기어부(33)와, 가동체(2)의 피 지지부(21)에 형성된 가동측 기어부(30) 및 피니언기어(31)와, 가동측 기어부(30)가 제 1 고정측 기어부(32)에 맞물림과 아울러, 피니언기어(31)가 제 2 고정측 기어부(33)에 맞물리도록 위치하게 하는 가이드수단(34),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고정측 기어부(32)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이 가상의 원의 원심측으로 톱니의 선단을 향하게 하고, 제 2 고정측 기어부(33)는, 상기 가상의 원의 원심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측 기어부(32)에 인접해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상의 원과는 다른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또한, 이 다른 가상의 원의 원심측으로 톱니의 선단을 향하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가동체의 동작기구{OPERATING MECHANISM FOR MOVABLE BODY}
본 발명은, 정해진 하나의 축에 의하지 않고, 기준위치와 전개(展開)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가동체를 동작시키는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어체의 암부에 형성된 원호형상 기어부에 맞물리는 제 1 고정기어부를 상자형상 기체(基體)에 형성함과 아울러, 도어체의 암부에 형성된 회전기어에 맞물리는 제 2 고정기어부를 상자형상 기체에 형성함으로써, 도어체를 폐색위치와 개방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상자형상 기체에 조립시킨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 가동체로서의 덮개체측에 형성된 피니언체에 맞물리는 래크면을 본체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가동체에 있어서의 상기 피니언체의 회동 중심부에 형성된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부를 본체에 형성함으로써, 덮개체를, 본체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제 1 위치와, 개방하는 제 2 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조립시킨 것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기구에 있어서는, 가동체로서의 도어체 내지 덮개체를, 정해진 하나의 축에 의하지 않고 회동시킬 수 있다. 그 반면, 도어체 내지 덮개체가 폐색위치 내지 제 1 위치에 있을 때, 도어체 내지 덮개체를 상자형상 기체 내지 본체의 내측으로 압입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된 경우, 특허문헌 1의 것에서는 도어체의 회전기어가 제 2 고정기어부의 바로 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기어에 상기 외력이 직접 작용되고, 특허문헌 2의 것에서는 덮개체의 기어가 본체의 기어부 바로 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상기 덮개체의 기어에 상기 외력이 직접 작용되게 되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보 제3833925호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328790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상기와 같이 정해진 하나의 축에 의하지 않고 가동체를 회동시키도록 한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에 외력이 작용된 경우에, 상기한 기구에 있어서 비교적 취약해지기 쉬운 부분에, 상기 외력이 직접 작용되지 않게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동체의 동작기구를 이하의 〈1〉~〈4〉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1〉 피(被) 지지부에 의해 지지체에 기준위치와 전개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가동체의 동작기구에 있어서,
〈2〉 지지체측에 형성된 제 1 고정측 기어부 및 제 2 고정측 기어부와, 가동체의 피 지지부에 형성된 가동측 기어부 및 피니언기어와, 가동측 기어부가 제 1 고정측 기어부에 맞물림과 아울러, 피니언기어가 제 2 고정측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위치하게 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3〉 제 1 고정측 기어부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이 가상의 원의 원심(圓心)측으로 톱니의 선단을 향하게 하고 있고,
〈4〉 제 2 고정측 기어부는, 상기 가상의 원의 원심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측 기어부에 인접해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상의 원과는 다른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또한, 이 다른 가상의 원의 원심측으로 톱니의 선단을 향하게 하고 있다.
가동체는, 상기 피 지지부에 형성된 가동측 기어부가 지지체측의 제 1 고정측 기어부에 내접(內接)됨과 아울러, 피니언기어가 지지체측의 제 2 고정 기어부에 내접되기 때문에, 첫째로, 기준위치와 전개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정해진 하나의 축에 의하지 않고 회동된다. 또, 둘째로, 가동체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 이 가동체측에 가동측 기어부와 피니언기어의 상기 내접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된 경우, 상기 외력이 가동측 기어부 및 피니언기어에 작용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수단에 의해 받아들여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외력이 작용된 경우에, 상기 가동측 기어부 및 피니언기어의 파손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동체를, 기준위치에서 지지체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의 내면측에 피 지지부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기준위치에 있어서, 덮개와 가동측 기어부의 사이에 제 1 고정측 기어부의 일부가 위치되고, 또한, 덮개와 피니언기어의 사이에 제 2 고정측 기어부의 일부가 위치되도록 해 두면, 기준위치에 있는 덮개를 지지체의 내측으로 압입하는 것과 같은 외력이 작용된 경우에, 상기 외력이 직접 가동측 기어부 및 피니언기어에 작용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가동측 기어부를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시켜 둠과 아울러, 가이드수단을, 상기 가상의 원의 원심위치에 설치된 축체(軸體)와, 지지체측에 형성되어 상기 축체를 수용하는 홈부,로 구성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적절한 구성형태의 하나가 된다.
또, 기준위치에 있어서 덮개에 외력이 작용되었을 때에, 피 지지부의 일부에 맞닿는 피 맞닿음부를 지지체측에 형성시켜 두면, 상기 기준위치에 있어서 덮개에 상측으로부터 외력이 작용된 경우, 상기 피 맞닿음부에 의해서도 상기 외력의 일부를 받아들이게 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를, 댐퍼장치의 일부로서, 또는 댐퍼장치에 연계시켜서,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제동력이 작용되는 것으로 해두면, 가동체가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동되도록 한 경우에도, 상기 회동을 적절히 감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측 기어부가 제 1 고정측 기어부에 내접되고, 또한, 피니언기어가 제 2 고정측 기어부에 내접되기 때문에, 가동체에 외력이 작용된 경우에 상기 외력이 직접 가동측 기어부 및 피니언기어에 작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한 가동체를 자동차 등의 내장품으로서의 덮개 등으로 한 경우에, 기준위치로서의 폐색위치에 있는 상기 덮개에 하향의 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덮개의 동작기구에 파손 등이 가능한 한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가동체로서의 덮개를 구비한 수납장치의 분리 사시 구성도
도 2는 수납장치의 좌측의 요부를 커버체를 제거해서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3은 수납장치의 좌측의 요부를 덮개를 제거해서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4는 지지체로서의 케이스의 좌측에 구비되는 동작기구를 나타낸 좌측면 구성도
도 5는 지지체로서의 케이스의 우측에 구비되는 동작기구를 나타낸 우측면 구성도
도 6은 지지체로서의 케이스의 좌측에 구비되는 동작기구를 나타낸 좌측면 구성도
이하, 도 1 ~ 도 6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각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동작기구를 적용해서 가동체(2)로서의 덮개(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수납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4 및 도 5는 상기한 가동체(2)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의 형태를, 도 6은 상기한 가동체(2)가 전개(展開)위치에 있을 때의 형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가동체(2)의 동작기구는, 정해진 하나의 축에 의하지 않고, 기준위치와 전개위치에 걸쳐서 가동체(2)의 규칙적인 동작을 확보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동작기구는, 예를 들면, 덮개, 도어, 암 등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한 덮개 등의 동작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지지체(1)로서의 케이스(1′)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0)를, 상기 기준위치에서 대략 수평상태가 되어 상측에서 폐색하는 가동체(2)로서의 덮개(2′)를 동작기구로서 사용하고 있다.
가동체(2)는 피 지지부(21)에 의해 지지체(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도시한 예에서, 지지체(1)로서의 케이스(1′)는, 전판(11), 후판(12), 좌우 측판(13, 13) 및 저판(14)을 가지며, 전후방향(x)으로 좁고 좌우방향(y)으로 넓은 개구부(10)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해서 가동체(2)로서의 덮개(2′)는, 대략 장방형의 판형상을 이루는 덮개 주체(20)를 가짐과 아울러, 피 지지부(21)를 상기 덮개 주체(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피 지지부(21)는 각각, 그 판면(板面)이, 덮개 주체(20)의 면에 대해서 거의 직교함과 아울러, 전후방향(x)을 따르도록 배치한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좌우의 피 지지부(21, 21)는 각각, 기준위치에 있어서 덮개 주체(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좌측의 피 지지부(21)가 지지체(1)의 좌측의 측판(13) 외측에 위치되고, 또한, 우측의 피 지지부(21)가 지지체(1)의 우측의 측판(13) 외측에 위치되어, 각각 지지체(1)의 좌우에서 지지되게 되어 있다(도 4, 도 5).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한 피 지지부(21)의 외면부에 가동측 기어부(30) 및 피니언기어(3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가동측 기어부(30)는 후술하는 지지체(1)측의 제 1 고정측 기어부(32)에 맞물리고, 피니언기어(31)는 제 2 고정측 기어부(33)에 맞물린다.
가동측 기어부(30)는, 피 지지부(21)의 외면부에 원형상 융기부(21a)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이 원형상 융기부(21a)에 의해 형성된 피 지지부(21)의 단차부, 즉 원형상 융기부(21a)의 가장자리부에 기어의 톱니를 구비시킴으로써, 피 지지부(21)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즉, 가동측 기어부(30)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된 래크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가동측 기어부(30)의 중심에는, 피 지지부(21)를 좌우방향(y)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구멍(30a)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관통구멍(30a)에 삽입되는 다리부(34c)와, 관통구멍(30a)에 삽입되지 않는 머리부(34b)를 구비한 축체(34a)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34c)가 상기 관통구멍(30a)에 삽입되어 피 지지부(21)의 내면측으로 돌출되고, 지지체(1)의 측판(13)에 형성된 후술하는 홈부(34d)에 간극이 적게 수용되어, 상기 가동측 기어부(30)가 제 1 고정측 기어부(32)에 맞물림과 아울러, 피니언기어(31)가 제 2 고정측 기어부(33)에 맞물리도록 위치하게 하고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축체(34a)와 홈부(34d)에 의해서 상기 각 맞물림을 확보하는 가이드수단(34)이 구성되어 있다(도 3).
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한 가동측 기어부(30)의 관통구멍(30a)이, 상기 가동측 기어부(30)의 중앙에 형성된 오목부(30b)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이 오목부(30b)를 이용해서 댐퍼장치(35)의 일부가 되는 피니언기어(31)를 피 지지부(21)의 외면에 구비시키고 있다. 상기한 댐퍼장치(35)는, 상기 오목부(30b) 내에 삽입되는 주체부(35a)에 대해서, 피니언기어(31)의 도시하지 않는 축부를 축지지시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축부에 의해, 피니언기어(31)의 회전 또는 상대적인 회전에 대해서 저항(제동력)을 부여시키고, 이와 같이 부여되는 저항에 의해 가동체(2)의 회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키게 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상기한 댐퍼장치(35)를 구성하는 주체부(35a)에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를 봉입시켜서, 상기 축부의 회전에 상기 점성유체의 점성저항이 작용하도록 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댐퍼장치(35)의 주체부(35a)의 지름방향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35b)를 이용해서 댐퍼장치(35)가 피 지지부(21)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피니언기어(31)는 좌우방향(y)으로 회전중심축을 배치함과 아울러, 이 회전중심축을 가동측 기어부(30)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있다. 피니언기어(31)는 상기 오목부(30b) 외측으로 돌출되고, 따라서 가동측 기어부(30)보다도 외측이 되는 위치에서, 후술하는 제 2 고정측 기어부(33)에 맞물리게 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기준위치에 있는 가동체(2)의 피 지지부(21) 중,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의 피 지지부(21)의 하부에 상단측을 연접시킴과 아울러, 하단측이 후방을 향해 돌출된 스트라이커부(22a)를 구비한 연장 암(22)이 구비되어 있다. 지지체(1)로서의 케이스(1′)의 측판(13)의 외측에는, 상기한 연장 암(22)의 스트라이커부(22a)를 전방으로부터 수용함과 아울러, 내장되어 있는 캐쳐(15a)에 의해 포착하는 래치장치(15)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한 래치장치(15)에 의해 가동체(2)가 기준위치에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래치장치(15)는, 스트라이커부(22a)를 포착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부(22a)가 래치장치(15)의 내측부로 더 압입되면, 캐쳐(15a)가 스트라이커부(22a)를 해방하도록 되어 있다(이 압입을 제 1 압입이라고 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가동체(2)로서의 덮개(2′)가 기준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덮개 주체(20)의 전단(20a)을 하측으로 압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압입에 의해 스트라이커부(22a)가 래치장치(15)의 내측부로 압입되게 되어 있고, 상기 덮개 주체(20)의 전단(20a)을 압입조작하는 것에 의해, 래치장치(15)에 의한 스트라이커부(22a)의 포착이 해제되어, 후술하는 탄지수단(36)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체(2)로서의 덮개(2′)가 전개위치(도 6의 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케이스(1′)를 구성하는 측판(13)의 후측 가장자리와 후판(12)의 사이에, 덮개(2′)가 전개위치로 회동하는 과정에서 피 지지부(21)의 덮개 주체(20)에 연접하는 개소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는 공극(空隙, 16)이 형성되어 있다. 전개위치까지 회동된 덮개(2′)를 기준위치까지 복동(復動) 회동시키면, 이 복동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스트라이커부(22a)가 래치장치(15) 내로 다시 삽입된다. 상기 제 1 압입에 의해 스트라이커부(22a)를 해방시킨 래치장치(15)의 캐쳐(15a)가, 스트라이커부(22a)가 다시 한번 래치장치(15) 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 2 압입되면, 다시 스트라이커부(22a)를 포착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체(2)가 기준위치에 있는 상태가 다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덮개(2′) 우측의 지지구조는, 도 4에 나타낸 덮개(2′) 좌측의 지지구조와, 상기 래치장치(15)와 연장 암(22)이 없는 점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지지체(1)로서의 상기 케이스(1′)에는, 동작기구를 구성하는 제 1 고정측 기어부(32) 및 제 2 고정측 기어부(3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제 1 고정측 기어부(32)는 상기 가동체(2)의 가동측 기어부(30)에 맞물리고, 제 2 고정측 기어부(33)가 상기 피니언기어(31)에 맞물린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제 1 고정측 기어부(32) 및 제 2 고정측 기어부(33)는 모두, 지지체(1)의 측면, 도시한 예에서는 케이스(1′) 측판(13)의 외면에 부착됨과 아울러, 가동체(2)의 피 지지부(21)를 수용하는 커버체(17)의 상기 지지체(1)의 측판(13)을 향한 내면(17a)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커버체(17)가 판형상을 이루며, 케이스(1′) 측판(13)의 외면에 형성된 부착부(18)를 이용해서, 상기 측판(13)의 외면과의 사이에 상기 피 지지부(21)를 수용하는 간격을 두고 나사 고정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버체(17)에,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된 됨과 아울러, 이 가상의 원의 원심(圓心)측으로 톱니의 선단을 향하게 한 제 1 고정측 기어부(32)와, 상기 가상의 원의 원심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측 기어부(32)에 인접해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상의 원과는 다른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다른 가상의 원의 원심측으로 톱니의 선단을 향하게 하고 있는 제 2 고정측 기어부(33)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한 제 1 고정측 기어부(32) 및 제 2 고정측 기어부(33)가 모두, 상기 가상의 원의 원심이 케이스(1′)의 후판(12)측에 위치하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고, 양 기어부(32, 33)는 그 만곡 내측을 상기 후판(12)측을 향하도록 해서 가상의 원의 상하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제 1 고정측 기어부(32) 및 제 2 고정측 기어부(33)는 모두, 상기 가상의 원의 원심을 중심으로 한 대략 90˚ 범위의 원호를 따르는 래크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제 1 고정측 기어부(32)보다도 제 2 고정측 기어부(33)가 커버체(17)의 외면측에 위치됨과 아울러, 양 기어부(32, 33) 사이의 거리는 양 기어부(32,33)의 길이 전체에 결쳐서 거의 일정하고, 또한, 상기 양 기어부(32, 33) 사이의 거리는, 피니언기어(31)의 외주와 상기 가동측 기어부(30) 사이의 거리(z)(도 4)와 거의 일치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1′)의 측면(13)에 있어서, 제 2 고정측 기어부(33)의 형성위치보다도 후방에, 상기 가이드수단(34)의 일측을 구성하는 축체(34a)의 다리부(34c)를 수용하는 홈부(34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34d)는, 상기 제 1 고정측 기어부(32) 및 제 2 고정측 기어부(33)가 따르는 상기 가상의 원과 동심원을 이루며, 상기 가상의 원보다 지름이 작은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34d)도 그 만곡 내측을 상기 후판(12)측을 향하도록 해서 가상의 원의 상하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가동체(2)는, 피 지지부(21)에 형성된 가동측 기어부(30)를 지지체(1)측의 제 1 고정측 기어부(32)에 내접(內接)시킴과 아울러, 피니언기어(31)를 지지체(1)측의 제 2 고정측 기어부(33)에 내접시키기 때문에, 기준위치와 전개위치의 사이에 걸쳐서 정해진 하나의 축에 의하지 않고 회동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기준위치에 있을 때, 제 1 고정측 기어부(32)의 상부에 가동측 기어부(30)가 내접되며, 제 2 고정측 기어부(33)의 상부에 피니언기어(31)가 내접되고, 또한 축체(34a)는 홈부(34d)의 상단(34e)측에 위치된다. 즉, 가동체(2)가, 기준위치에서 지지체(1)로서의 케이스(1′)의 개구부(10)를 폐색하는 덮개(2′)의 내면측에 피 지지부(21)를 구비해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기준위치에 있어서, 덮개(2′)와 가동측 기어부(30)의 사이에 제 1 고정측 기어부(32)의 일부가 위치되고, 또한, 덮개(2′)와 피니언기어(31)의 사이에 제 2 고정측 기어부(33)의 일부가 위치되게 되어 있다.
상기 기준위치에 있는 가동체(2)를 구성하는 덮개 주체(20)의 전단(20a)을 압입조작해서 래치장치(15)가 스트라이커부(22a)를 해방하게 하면, 후술하는 탄지수단(36)의 탄성력에 의해, 축체(34a)에 홈부(34d)의 하단(34f)측을 향한 힘이 작용되기 때문에, 제 1 고정측 기어부(32)를 따라 주행하는 가동측 기어부(30)가 축체(34a)를 중심으로 해서 도 4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또한, 제 2 고정측 기어부(33)를 따라 주행하는 피니언기어(31)도 도 4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덮개(2′)의 전단(20a)이 상측을 향한 방향으로 기립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해서, 그 이상의 이동이 제한되는 전개위치에 이르러 케이스(1′)의 개구부(10)가 개방된다(도 6). 이것에 의해, 정해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해서 덮개(2′)를 회동시키는 경우에 비해, 개방동작의 과정에 있어서 덮개 주체(20)의 전단(20a)이 이동하는 궤적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전개위치에 있어서, 축체(34a)는 홈부(34d)의 하단(34f)에 위치된다. 가동체(2)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 이 가동체(2)에 가동측 기어부(30)와 피니언기어(31)의 상기 내접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 경우, 도시한 예에서는 덮개(2′)에 상측으로부터의 외력이 작용된 경우, 이 외력이 가동측 기어부(30) 및 피니언기어(31)에 작용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수단(34)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외력이 작용된 경우에 상기 가동측 기어부(30) 및 피니언기어(31)가 파손되는 일 등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홈부(34d)의 상단(34e)측에 위치되어 있는 축체(34a)의 다리부(34c)가, 상기 홈부(34d)의 상단(34e)측 내벽에 상측으로부터 압압되어 상기 외력을 받아들이게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체(2)가 기준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덮개(2′)에 외력이 작용되었을 때에, 상기 피 지지부(21)의 일부에 맞닿는 피 맞닿음부(19)를 지지체(1)측에 더 구비시키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한 피 맞닿음부(19)가, 케이스(1′) 측판(13)의 외면에 있어서, 상기 홈부(34d)의 하단(34f) 바로 아래 위치에 형성된 융기부의 상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위치에 있어서 덮개(2′)에 상측으로부터의 외력이 작용된 경우, 상기 피 맞닿음부(19)와 피 지지부(21)의 하단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클리어런스(s)만큼 피 지지부(21)가 하측으로 이동해서 피 맞닿음부(19)에 맞닿기 때문에, 피 맞닿음부(19)에 의해서도 상기 외력의 일부가 받아들여지게 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준위치에 있는 가동체(2)가 탄지수단(36)에 의해 전개위치를 향해 강제적으로 회동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탄지수단(36)은, 상기 홈부(34d)의 만곡 내측에 스프링 코일부(36b)가 위치됨과 아울러, 스프링 일단(36c)이 지지체(1)로서의 케이스(1′)의 측판(13)에 항상 압접되고, 또한, 스프링 타단(36d)이 상기 축체(34a)의 다리부(34c)에 항상 압접되도록, 상기 코일부(36b)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케이스(1′) 측판(13)의 외측에 구비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36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36a)은, 코일부(36b)의 상기 탄성변형에 의해, 도 3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즉, 스프링 타단(36d)이 스프링 일단(36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축적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기준위치에서 상기 래치장치(15)가 스트라이커부(22a)의 포착을 해제하면, 축체(34a)에 홈부(34d)의 하단(34f)측을 향한 힘이 작용되어, 가동체(2)로서의 덮개(2′)가 상기와 같이 전개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 회동은 상기 댐퍼장치(35)의 일부를 구성하는 피니언기어(31)에 의해 적절히 감속된다.
1 - 지지체 2 - 가동체
21 - 피 지지부 30 - 가동측 기어부
31 - 피니언기어 32 - 제 1 고정측 기어부
33 - 제 2 고정측 기어부

Claims (7)

  1. 피 지지부(21)에 의해 지지체(1)에 기준위치와 전개(展開)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가동체(2)의 동작기구에 있어서,
    지지체(1)측에 형성된 제 1 고정측 기어부(32) 및 제 2 고정측 기어부(33)와, 가동체(2)의 피 지지부(21)에 형성된 가동측 기어부(30) 및 피니언기어(31)와, 가동측 기어부(30)가 제 1 고정측 기어부(32)에 맞물림과 아울러, 피니언기어(31)가 제 2 고정측 기어부(33)에 맞물리도록 위치하게 하는 가이드수단(34),을 구비하고 있고,
    제 1 고정측 기어부(32)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이 가상의 원의 원심측으로 톱니의 선단을 향하게 하고 있고,
    제 2 고정측 기어부(33)는, 상기 가상의 원의 원심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측 기어부(32)에 인접해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상의 원과는 다른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또한, 이 다른 가상의 원의 원심측으로 톱니의 선단을 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2)는, 기준위치에 있어서 지지체의 개구부(10)를 폐색하는 덮개(2′)의 내면측에 피 지지부(21)를 구비해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기준위치에 있어서, 덮개(2′)와 가동측 기어부(30)의 사이에 제 1 고정측 기어부(32)가 위치되고, 또한, 덮개(2′)와 피니언기어(31)의 사이에 제 2 고정측 기어부(33)가 위치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기어부(30)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수단(34)은, 상기 가상의 원의 원심위치에 설치된 축체(34a)와, 지지체측(1)에 형성되어 상기 축체(34a)를 수용하는 홈부(34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기어부(30)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수단(34)은, 상기 가상의 원의 원심위치에 설치된 축체(34a)와, 지지체측(1)에 형성되어 상기 축체(34a)를 수용하는 홈부(34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기구.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에 있어서 덮개(2′)에 외력이 작용되었을 때에, 피 지지부(21)의 일부에 맞닿는 피 맞닿음부(19)가 지지체측(1)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기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31)를, 댐퍼장치(35)의 일부로서, 또는 댐퍼장치(35)에 연계시켜서, 피니언기어(31)의 회전에 제동력이 작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31)를, 댐퍼장치(35)의 일부로서, 또는 댐퍼장치(35)에 연계시켜서, 피니언기어(31)의 회전에 제동력이 작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체의 동작기구.
KR1020100028637A 2009-04-01 2010-03-30 가동체의 동작기구 KR101173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9411 2009-04-01
JP2009089411A JP5193115B2 (ja) 2009-04-01 2009-04-01 可動体の動作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861A true KR20100109861A (ko) 2010-10-11
KR101173745B1 KR101173745B1 (ko) 2012-08-13

Family

ID=4282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637A KR101173745B1 (ko) 2009-04-01 2010-03-30 가동체의 동작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56118B2 (ko)
JP (1) JP5193115B2 (ko)
KR (1) KR101173745B1 (ko)
CN (1) CN101858180B (ko)
DE (1) DE112010001502B4 (ko)
WO (1) WO2010114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5373B4 (de) * 2011-10-10 2020-09-24 Grammer Aktiengesellschaft Aufnahmevorrichtung mit Deckel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US9365291B2 (en) 2012-02-14 2016-06-14 C&D Zodiac, Inc. Passenger service unit pod assembly
US8955805B2 (en) 2012-02-14 2015-02-17 C&D Zodiac, Inc. Pivot bin assembly
US10029794B2 (en) * 2012-02-14 2018-07-24 C&D Zodiac, Inc. Outboard rotating pivot bin assembly
US9789963B2 (en) 2012-02-14 2017-10-17 C&D Zodiac, Inc. Pivot bin assembly with minimal force required for closing
US9079528B2 (en) 2012-02-14 2015-07-14 C&D Zodiac, Inc. PSU pod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same
JP5965166B2 (ja) * 2012-03-14 2016-08-03 株式会社ニフコ 収納装置
CA2898647C (en) * 2013-02-12 2016-11-08 C&D Zodiac, Inc. Pivot bin assembly
USD784905S1 (en) 2013-02-12 2017-04-25 C&D Zodiac, Inc. Storage bin for aircraft
CN103786618B (zh) * 2014-01-27 2016-06-15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一种车用盒体
JP2015182616A (ja) 2014-03-25 2015-10-22 豊田合成株式会社 蓋体の開閉機構
USD875641S1 (en) 2015-02-02 2020-02-18 C&D Zodiac, Inc. Personal service unit
USD784904S1 (en) 2015-02-02 2017-04-25 C&D Zodiac, Inc. Aircraft passenger service unit
CA3003753C (en) 2015-12-07 2020-01-07 C&D Zodiac, Inc. Storage bin with luggage positioning protrusions
CN110696725B (zh) * 2019-10-15 2021-06-04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盖板关闭时的回升装置
TWM611943U (zh) * 2021-02-05 2021-05-11 台灣立訊精密有限公司 轉動機構及其收納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4074A (ja) 1984-03-16 1985-10-02 Anelva Corp 薄膜形成装置
JPS60194074U (ja) * 1984-06-04 1985-12-24 株式会社 ニフコ 車室内収納箱の蓋の開閉装置
DE50102368D1 (de) 2000-01-14 2004-07-01 Blum Gmbh Julius Ausziehführungsgarnitur für Schubladen
JP3833925B2 (ja) 2001-10-29 2006-10-18 株式会社ニフコ 扉体の開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JP4718898B2 (ja) * 2005-05-26 2011-07-06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動作機構、および、自動車用収納装置
US6848759B2 (en) * 2002-04-03 2005-02-01 Illinois Tool Works Inc. Self-closing slide mechanism with damping
JP4280144B2 (ja) * 2003-10-21 2009-06-17 株式会社ニフコ スイッチ付ラッチ
JP4293897B2 (ja) 2003-12-19 2009-07-08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の開閉装置
US7621419B2 (en) * 2005-08-05 2009-11-24 Nifco Inc. Door operating mechanism and unit
EP1959082A4 (en) 2005-11-08 2013-10-30 Nifco Inc retraction
JP4424440B2 (ja) 2008-11-10 2010-03-03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ソース割り当て制御システム、基地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リソース割り当て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58180B (zh) 2013-06-05
KR101173745B1 (ko) 2012-08-13
WO2010114057A1 (ja) 2010-10-07
DE112010001502T5 (de) 2012-10-04
CN101858180A (zh) 2010-10-13
JP2010242794A (ja) 2010-10-28
US20120090244A1 (en) 2012-04-19
JP5193115B2 (ja) 2013-05-08
DE112010001502B4 (de) 2021-02-25
US8556118B2 (en)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745B1 (ko) 가동체의 동작기구
US9074389B2 (en) Lock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member
WO2016098851A1 (ja) リッド開閉装置
EP2341207A1 (en) Assist mechanism of movable body
CN101311483A (zh) 把手装置
JP2005158345A (ja) 車両用コンセントカバー
US6076793A (en) Cup holder used for vehicle
WO2013136728A1 (ja) 収納装置
JP4245528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2007302208A (ja) 開閉装置
KR101114136B1 (ko) 회동체의 동작기구
JP5966586B2 (ja) 車両の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構造
JP2009235849A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
JP2006290163A (ja) 車両用収納装置
JP2013043615A (ja) 表示装置
KR100612562B1 (ko)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
JP4689465B2 (ja) ロック装置
JP5453133B2 (ja) 開閉部材の開閉機構、容器
US9326405B2 (en) Electronic device
JP6148047B2 (ja) 車両用ロックユニット
JP3893249B2 (ja) バネの取付構造及びバネの取付方法
JP4437440B2 (ja) 開閉装置
JP5020851B2 (ja) 車両用収納装置のドアの開閉装置
KR100534361B1 (ko) 차량의 필러 도어 개폐구조
JP2739558B2 (ja) 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