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228A -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228A
KR20100108228A KR1020100024711A KR20100024711A KR20100108228A KR 20100108228 A KR20100108228 A KR 20100108228A KR 1020100024711 A KR1020100024711 A KR 1020100024711A KR 20100024711 A KR20100024711 A KR 20100024711A KR 20100108228 A KR20100108228 A KR 20100108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
pixel
filt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오 나카무라
카츠히데 우치노
노부토시 아사이
히로시 사가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08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photosensors that control luminan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패널은: 기판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를 피복하는 절연층과;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절연층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와의 대향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와 동일면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와는 반대 측에 형성된 필터층과;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필터층 사이에 형성된 광반사부; 및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 측에 형성된 수광 소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표시 패널 및 그것을 갖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분야에서는, 화소의 발광 소자로서 흐르는 전류치에 응해 발광 휘도가 변화하는 전류 구동형의 광학 소자, 예를 들면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소자를 이용하는 표시 장치가 개발되어 상품화가 진행되고 있다. 유기 EL 소자는, 액정 소자 등과는 달리 자발광 소자이다. 그 때문에, 유기 EL 소자를 이용하는 표시 장치(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광원(백라이트)이 필요 없기 때문에, 광원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박형화, 고휘도화할 수가 있다. 특히, 구동 방식으로서 액티브 매트릭스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각 화소를 점등하여 유지시킬 수가 있어서, 저소비 저전력화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유기 EL 표시 장치는, 차세대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주류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 EL 소자에서는, 공급되는 전류량에 응해 소자가 열화하여, 휘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유기 EL 소자를 표시 장치의 화소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화소마다 열화의 상황이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시간이나 표시 채널 등의 정보가 장시간 같은 위치에서 고휘도로 표시될 경우에는, 그 부분의 화소만 열화가 앞당겨진다. 그 결과, 열화가 앞당겨진 화소를 포함하는 부분에 고휘도의 영상이 표시될 경우, 열화가 앞당겨진 화소의 부분만큼이 어둡게 표시되는 "버닝"이라는 현상이 생겨 버린다. 이 버닝은 비가역성이기 때문에, 일단, 버닝이 발생하면, 사라지지 않는다.
버닝을 방지하는 수법이 지금까지 다수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개평11-36055호에서는, 연속하여 고정 표시되는 화상을 소정의 주기로 반전시키거나 시프트하여 표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특개2002-351403호에서는, 표시 영역 외에 더미 화소를 마련하고, 더미 화소를 발광시킬 때의 단자 전압을 검출하여 더미 화소의 열화도를 추정하고, 그 추정치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보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특개평11-26055호에 대해 화상을 소정의 주기로 반전시키는 수법은, 흑백 표시에 대해서는 유효하지만, 칼라 표시의 경우에는 반전 화상이 원래의 화상과는 완전히 다른 화상이 되므로, 칼라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특개평11-26055호에서 화상을 소정의 주기로 시프트하는 수법은, 표시 위치에 차이가 생기므로, 정지 화면의 표시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특개2002-351403호의 수법에서는, 표시 영역내의 화소의 발광 정보에 근거하여 화소의 열화도를 추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영상 신호를 정확하게 보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버닝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칼라 표시나 정지화면의 표시에 대해도 버닝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패널 및 그것을 갖춘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1의 표시 패널은: 기판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를 피복하는 절연층과;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접속됨과 동시에 전기 절연층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와의 대향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와 동일면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와는 반대 측에 형성된 필터층과;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 필터층 사이에 형성된 광반사부; 및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 측에 형성된 수광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제1의 표시 장치에 탑재된 표시 패널은, 기판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를 피복하는 절연층과;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접속됨과 동시에 전기 절연층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와의 대향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와 동일면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와는 반대 측에 형성된 필터층과;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 필터층 사이에 형성된 광반사부; 및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 측에 형성된 수광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표시 패널 및 제1의 표시 장치에서는, 광사출 측에 설치된 필터층에 포함되는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발광 소자와 필터층과의 사이에 광반사부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화소 회로측에 수광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빛의 일부가 광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수광 소자에 입사하므로, 수광 소자에서 흡수된 빛을, 흡수된 빛의 출력 레벨에 따른 전기 신호(광전류)로 변환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이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발광 소자 광출력 레벨을 계측하고, 발광 소자의 열화도를 추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2의 표시 패널은: 기판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를 피복하는 절연층과;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절연층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2의 표시 패널은 상기 발광 소자와의 대향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와 동일면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와는 반대 측에 형성된 필터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2의 표시 패널은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필터층 사이에 형성된 수광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2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의 표시 장치 탑재된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를 피복하는 절연층과;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절연층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와의 대향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와 동일면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와는 반대 측에 형성된 필터층; 및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필터층 사이에 형성된 수광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표시 패널 및 제2의 표시 장치에서는, 광사출 측에 설치된 필터층에 포함되는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발광 소자와 필터층과의 사이에 수광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빛의 일부가 수광 소자에 입사하므로, 수광 소자에서 흡수된 빛을, 흡수된 빛의 출력 레벨에 따른 전기 신호(광전류)로 변환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이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발광 소자의 광출력 레벨을 계측하고, 발광 소자의 열화를 추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의 표시 패널 및 제1 및 제2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수광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발광 소자의 광출력 레벨을 계측 하고, 발광 소자의 열화도를 추측할 수가 있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영상 신호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가 있고, 버닝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화상을 소정의 주기로 반전시키거나 시프트하여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칼라 표시나 정지화면의 표시에 대해도 버닝을 저감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계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화소 회로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표시 패널의 표면도.
도 4는 도 3의 표시 패널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패널을 9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도 4의 표시 패널을 영역마다 시분할로 구동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도 1의 표시 패널의 일 변형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표시 장치에 탑재된 표시 패널의 단면도.
도 9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의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모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상기 각 실시의 형태의 발광 장치의 적용예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의 A는 적용예2의 앞쪽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뒤편에서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적용예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적용예4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의 A는 적용예5가 열린 상태의 정면도, B는 그 측면도, C는 닫힌 상태의 정면도, D는 좌측면도, E는 우측면도, F는 표면도, G는 하면도.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실시한다.
1. 제1의 실시의 형태(도 1~도 6)
·블랙 매트릭스의 직하에 광반사부 있음.
·표시 패널의 이면에 수광 소자가 있음.
2. 제1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도 7)
·광반사부에서 반사된 빛이 화소 회로에 입사하는 것을 방해하는 부재가 있음.
3. 제2의 실시의 형태(도 8)
·블랙 매트릭스의 직하에 수광 소자가 있음.
4. 각 실시의 형태에 공통인 변형예
5. 적용예(도 9~도 14)
<제1의 실시의 형태>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표시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과, 표시 패널(10)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20)을 갖추고 있다. 표시 패널(10)은, 예를 들면, 복수의 유기 EL 소자(10R, 10G, 10B)(발광 소자)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표시 영역(12)을 가지고 있고, 또한 유기 EL 소자(10R, 10G, 10B)로부터 발하여진 빛의 일부를 수광하는 수광 소자군(13)을 구비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서로 인접한 유기 EL 소자(10R, 10G, 10B)가 1개의 화소(11)를 구성한다. 구동 회로(20)는, 예를 들면, 타이밍 생성 회로(21), 영상 신호 처리 회로(22), 신호선 구동 회로(23), 주사선 구동 회로(24),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 및 기억 회로(26)를 구비한다.
(화소 회로)
도 2는, 표시 영역(12) 내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표시 영역(12) 내에는, 예를 들면, 도 2에 예시한 것 같은 화소 회로(14)가 형성되어 있다. 화소 회로(14)는, 후술하는 지지 기판(31) 상에 형성된다. 화소 회로(14)는, 예를 들면, 구동 트랜지스터(Tr1), 기록 트랜지스터(Tr2) 및 유지 용량(Cs)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2Tr1C의 회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r1) 및 기록 트랜지스터(Tr2)는, 예를 들면, n채널 MOS형의 박막 트랜지스터(TFT(Thin Film Transistor))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TFT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역스태거(unstaggered) 구조(이른바 보텀 게이트형)라도 괜찮고, 스태거 구조(탑 게이트형)라도 괜찮다. 또, 구동 트랜지스터(Tr1) 또는 기록 트랜지스터(Tr2)는, p채널 MOS형의 TFT라도 괜찮다.
화소 회로(14)에 대해, 열방향에는 신호선(DTL)이 복수 배치되고 행방향에는 주사선(WSL) 및 전원선(Vcc)이 각각 복수 배치되어 있다. 각 신호선(DTL)과 각 주사선(WSL)의 교차점이, 유기 EL 소자(10R, 10G, 10B)의 어느 하나(서브 픽셀)에 대응한다. 각 신호선(DTL)은, 신호선 구동 회로(30)의 출력단(도시하지 않음)과 기록 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각 주사선(WSL)은, 주사선 구동 회로(24)의 출력단(도시하지 않음)과 기록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전원선(Vcc)은, 전원의 출력단(도시하지 않음)과 구동 트랜지스터(Tr1)의 드레인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기록 트랜지스터(Tr2)의 소스 전극(도시하지 않음)은, 구동 트랜지스터(Tr1)의 게이트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유지 용량(Cs)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r1)의 소스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유지 용량(Cs)의 타단은, 유기 EL 소자(10R, 10G, 10B)의 아노드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유기 EL 소자(10R, 10G, 10B)의 캐소드 전극(도시하지 않음)은, 그라운드선(GND)에 접속되어 있다.
(표면 구성·단면 구성)
도 3은, 표시 패널(10)의 표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패널(10)의 A-A선을 따른 단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표시 패널(10)은, 예를 들면, 구동 패널(30)과 밀봉 패널(sealing panel; 40)이 밀봉층(50)을 개재시켜 붙여진 구조를 갖는다.
구동 패널(30)은, 지지 기판(31) 상에, 상술한 화소 회로(14)를 구비한다. 화소 회로(14)에서 동일 면내에는 절연막(3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화소 회로(14) 및 절연막(32) 위에는 절연 평탄화막(33)(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 평탄화막(33)의 표면은, 절연 평탄화막(33)의 베이스(화소 회로(14) 및 절연막(32)의 표면)와 비교하여 평탄한 평면이다. 여기서, 지지 기판(31)은, 예를 들면, 유리 기판 등의 투명 기판에 의해 구성된다. 절연막(32) 및 절연 평탄화막(33)은, 예를 들면, 투명한 절연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구동 패널(30)은, 절연 평탄화막(33)의 표면에, 소정의 피치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유기 EL 소자(10R, 10G, 10B)를 구비한다. 각 유기 EL 소자(10R, 10G, 10B)는, 절연 평탄화막(33) 상에 아노드 전극(34)을 가지고 있고, 아노드 전극(34)의 표면 상에 유기층(35), 캐소드 전극(36)을 절연 평탄화막(33)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구비한다. 아노드 전극(34)은, 절연 평탄화막(33)에 형성된 스루홀을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Tr1)의 소스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캐소드 전극(36)은, 표시 영역(12) 전체를 넘어 형성되어 있고, 각 유기 EL 소자(10R, 10G, 10B)의 공통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유기 EL 소자(10R, 10G, 10B)와 동일 면내에는 절연막(3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막(37)은, 유기 EL 소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개구를 가지고 있고, 그 개구는 유기 EL 소자(10R, 10G, 10B)에서의 발광 영역의 면적을 규정한다.
여기서, 아노드 전극(34)은, 유기층(35)에 전류를 주입하는 전극(양극)으로서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유기층(35)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유기층(35)은, 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10R, 10G, 10B)마다 다른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유기 EL 소자(10R)에 있어서의 유기층(35)은, 적색을 발광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한다. 유기 EL 소자(10G)에 있어서의 유기층(35)은, 녹색을 발광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한다. 유기 EL 소자(10B)에 있어서의 유기층(35)은 청색을 발광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포함한다. 캐소드 전극(36)은,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산화 인듐 옥사이드) 등의 투명 도전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절연막(37)은, 예를 들면, 투명한 절연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동 패널(30)은, 절연 평탄화막(33)의 표면에, 그리고 아노드 전극(34)의 미형성 영역에, 복수의 캐소드 보조 배선(38)을 구비한다. 캐소드 보조 배선(38)은, 표시 영역(12) 전체를 넘어 형성된 캐소드 전극(36)의 면내 전위 분포를 균일화하는 것으로, 소정의 개소에서 캐소드 전극(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캐소드 보조 배선(38)은,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인접하는 캐소드 보조 배선(38), 및 캐소드 전극(36)에 소정의 갭(39)을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밀봉 패널(40) 측에서의 빛이 그 갭(39)을 통과하여 지지 기판(31)에까지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캐소드 보조 배선(38)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된다. 캐소드 보조 배선(38)은, 상술한 것처럼 아노드 전극(34)에서 동일 면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노드 전극(34)과 동일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캐소드 보조 배선(38)을 아노드 전극(34)과 동일 공정에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가 있다.
구동 패널(30)은, 또, 해당 구동 패널(30)의 내부 혹은 이면에, 수광 소자군(13)을 구비한다. 수광 소자군(13)은, 지지 기판(31) 상에, 유기 EL 소자(10R, 10G, 10B) 등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수광 소자군(13)은, 지지 기판(31) 위에 유기 EL 소자(10R, 10G, 10B) 등을 형성한 후에, 지지 기판(31)의 이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수광 소자군(13)은,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복수의 수광 소자(13a~13i)로 형성된다. 복수의 수광 소자(13a~13i)는, 예를 들면, 포토다이오드이다. 복수의 수광 소자(13a~13i)는, 예를 들면, 소정의 간격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며,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표시 영역(12)을 9개의 영역(12A~12I)에 분할했을 때에, 각 영역에 1개씩 배치된다. 또한, 표시 영역(12)의 분할 수는, 필요에 따라서 설정하면 좋고, 9개보다 많아도 좋고, 9개보다 적어도 좋다. 또, 각 영역에 포함되는 수광 소자의 수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서 설정하면 좋고, 2개 이상이어도 괜찮다.
구동 패널(30)에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구동 패널(30)의 한 변(장변)에 영상 신호 공급기(TAB)(51)가 장착되고 구동 패널(30)의 다른 변(단변)에 주사 신호 공급기(TAB)(52)가 장착되어 있다. 또, 구동 패널(30)에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구동 패널(30)의 한 변(장변)이며, 한편 영상 신호 공급기(TAB)(51)와는 다른 변에 전원 공급기(TCP53)가 장착되어 있다. 영상 신호 공급기(TAB)(51)는, 신호선 구동 회로(23)가 필름 형상의 배선 기판의 개구에 집적된 IC를 중공 배선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주사 신호 공급기(TAB)(52)는, 주사선 구동 회로(24)가 필름 형상의 배선 기판의 개구에 집적된 IC를 중공 배선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전원 공급기(TCP53)는, 외부의 전원과 전원선(Vcc)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배선이 필름 상에 형성된 것이다. 또한, 신호선 구동 회로(23) 및 주사선 구동 회로(24)는, TAB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지지 기판(31)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밀봉 패널(40)은, 유기 EL 소자(10R, 10G, 10B)를 밀봉하는 밀봉 기판(41)을 구비한다. 밀봉 기판(41)은, 예를 들면, 유리 기판 등의 투명 기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밀봉 패널(40)은, 예를 들면, 칼라 필터(42)(광투과부)를 구비한다. 칼라 필터(42)는, 예를 들면, 밀봉 기판(41)의 표면 중 유기 EL 소자(10R, 10G, 10B)의 빛이 사출하는 측에 설치되어 있다. 칼라 필터(42)는, 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10R, 10G, 10B)의 각각 대응해, 적색용의 필터(42R), 녹색용의 필터(42G) 및 청색용의 필터(42B)(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필터(42R, 42G, 42B)는, 유기 EL 소자(10R, 10G, 10B)와 동일한 배열 피치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유기층(73)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은, 예를 들면, 안료를 혼입한 수지에 의해 각각 구성되어 있고, 안료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빨강, 초록 혹은 파랑의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이 높고, 다른 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이 낮아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밀봉 패널(40)은, 칼라 필터(82)와 동일 면내에 있으며 필터(42R, 42G, 42B)의 경계를 따르는 블랙 매트릭스(43)(차광부)를 포함한다. 블랙 매트릭스(43)는, 인접 화소(11)로의 광 누설(누화)를 방지한다. 블랙 매트릭스(43)는, 예를 들면, 흑색의 착색제를 혼입한 흑색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칼라 필터(42) 및 블랙 매트릭스(43)는, 본 발명의 "필터층"의 구체적인 예에 상당한다.
밀봉 패널(40)은, 또한 광반사부(44)를 구비한다. 광반사부(44)는, 유기 EL 소자(35)로부터 발하여진 빛의 일부(L2)를 반사하여, 수광 소자군(13)에 입사시킨다. 광반사부(44)는, 밀봉 패널(40) 중 블랙 매트릭스(43)와의 대향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밀봉 기판(41)의 표면(블랙 매트릭스(43) 측의 표면 혹은 구동 패널(30) 측의 표면) 상이나, 밀봉 기판(4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광반사부(44)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된다.
(구동 회로)
다음에, 표시 영역(12)의 주변에 설치된 구동 회로(20) 내의 각 회로에 대해,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표시 패널(10)의 표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타이밍 생성 회로(21)는, 신호선 구동 회로(23), 주사선 구동 회로(24) 및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타이밍 생성 회로(21)는,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입력된 동기 신호(20B)에 응하여(동기하여), 이러한 회로에 대해서 제어 신호(21A)를 출력한다. 타이밍 생성 회로(21)는, 영상 신호 처리 회로(22),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 및 기억 회로(26) 등과 함께, 예를 들면, 표시 패널(10)과는 별개의 제어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형성된다.
영상 신호 처리 회로(22)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디지털의 영상 신호(20A)를 보정함과 동시에, 보정 후의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해 신호선 구동 회로(23)에 출력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영상 신호 처리 회로(22)는, 기억 회로(26)로부터 입력되는 보정 계수(25A)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20A)를 보정한다. 영상 신호 처리 회로(22)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의 전원 투입시에, 기억 회로(26)로부터 보정 계수(25A)를 판독하고, 판독된 보정 계수(25A)를 영상 신호(20A)에 곱하는 것으로, 영상 신호(20A)를 보정한다. 이 때, 영상 신호 처리 회로(22)는, 외부로부터 입력된(보정 전의) 영상 신호(20A)의 계조의 크기에 따라 보정 계수(25A)에 가중치를 매기고(weight), 가중된 후의 보정 계수(25A)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20A)를 보정하게 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한, 예를 들면, 계조의 크기와 가중치 레벨 사이의 대응 관계를 정리한 테이블을 기억 회로(26) 등에 미리 기억해 두고, 영상 신호 처리 회로(22)가, 예를 들면, 표시 장치(1)의 전원 투입시에, 그 테이블을 기억 회로(26)로부터 읽어내도록 해도 괜찮다.
신호선 구동 회로(23)는, 영상 신호 처리 회로(2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를, 제어 신호(21A)의 입력에 응해(동기하여) 각 신호선(DTL)에 출력한다. 신호선 구동 회로(23)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구동 패널(30)의 한 변(장변)에 장착된 영상 신호 공급기(TAB)(51)에 마련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24)는, 제어 신호(21A)의 입력에 응해(동기하여), 복수의 주사선(WSL) 중에서 하나의 주사선(WSL)을 차례차례 선택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24)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구동 패널(30)의 다른 변(단변)에 장착된 주사 신호 공급기(TAB)(52)에 마련된다.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는, 수광 소자군(13)으로부터 입력된 수광 신호(13A)(전기 신호) 등에 기초하여 보정 계수(25A)를 도출하고, 도출한 보정 계수(25A)를, 제어 신호(21A)의 입력에 응해(동기하여) 기억 회로(26)에 출력한다. 또한, 보정 계수(25A)의 도출 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기억 회로(26)는,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로부터 입력된 보정 계수(25A)를 격납한다. 기억 회로(26)는 영상 신호 처리 회로(22)에 의해 격납한 보정 계수(25A)를 판독한다.
밀봉층(50)은, 예를 들면, 열경화형 수지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의 에너지 경화형의 투명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밀봉층(50)은, 유기 EL 소자(10R, 10G, 10B)를 밀봉하는 역할 외에, 구동 패널(30)과 밀봉 패널(40)을 서로 접합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 보정 계수(25A)의 도출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표시 영역(12)을 9개의 영역(12A~12I)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수광 소자(13a~13i)를 각 영역에 1개씩 배치했을 때의 발광 순서와 수광 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표시 장치(1)에 대해서 전원 차단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 회로(20)는, 우선, 영역(12A)에 대응하는 화소(11)를 1 프레임 기간 발광시킨다. 그러면, 영역(12A)에 대응하는 수광 소자(13a)에서 광반사부(44)로부터의 반사광이 수광되고, 수광 소자(13a)로부터 수광 신호(13A)가 출력된다.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는, 발광 위치(영역(12A)의 위치 정보)와 수광 신호(13A)에 근거하여, 영역(12A)으로부터 출력된 휘도를 추정한다. 다음에,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는, 앞의 추정에 의해 얻어진 휘도(추정 휘도)와 영역(12A)에 대응하는 화소(11)에 제공된 영상 신호에 의해 얻어질 이상적인 휘도(ideal luminance)를 비교한다. 그리고,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는, 다음 번의 전원 투입시에, 영역(12A)에 대응하는 화소(11)의 영상 신호(20A)에 곱할 보정 계수(25A)를 도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는, 추정 휘도가 A이고, 이상 휘도가 B일 때, B/A를 보정 계수(25A)로서 도출한다.
그 후,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는,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보정 계수(25A)를 도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회로(20)가, 영역(12B, 12C, 12D,……12I)에 대응하는 화소(11)를 차례차례, 1 프레임 기간마다 발광시킨다.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는, 거기에 대응하여, 발광 위치와 수광 신호(13A)에 근거하여, 영역(12B, 12C, 12D,……12I)으로부터 출력된 휘도를 추정한다. 다음에,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는, 추정 휘도와 이상 휘도를 대비한 후, 다음 번의 전원 투입시에, 영역(12B, 12C, 12D,……12I)에 대응하는 화소(11)의 영상 신호(20A)에 곱할 보정 계수(25A)를 도출한다. 그 후,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는, 도출한 보정 계수(25A)를 기억 회로(26)에 격납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장치(1)는, 모든 화소(11)에 대한 보정 계수(25A)를 도출한다. 또한, 표시 장치(1)는, 수광 신호 처리 회로(25)가 보정 계수(25A)를 기억 회로(26)에 격납한 후, 전원을 차단한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발광 장치(1)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발광 장치(1)에서는, 각 서브 픽셀에 대해서 구동 트랜지스터(Tr1)가 온/오프 제어되어 각 서브 픽셀의 유기 EL 소자(10R, 10G, 10B)에 구동 전류가 주입되는 것으로,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해 발광이 일어난다. 이 빛은, 아노드 전극(34)과 캐소드 전극(36) 사이에서 다중 반사하고, 캐소드 전극(36), 밀봉층(50), 밀봉 기판(41) 및 칼라 필터(42)를 투과하여 취출된다.
그런데,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광사출 측에 설치된 블랙 매트릭스(43)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유기 EL 소자(10R, 10G, 10B)와 블랙 매트릭스(43)와의 사이에 광반사부(44)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블랙 매트릭스(43)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유기 EL 소자(10R, 10G, 10B)와의 관계에서 화소 회로(14) 측에 수광 소자군(13)(수광 소자(13a~13i))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기 EL 소자(10R, 10G, 10B)로부터 사출된 빛의 대부분(L1)은, 칼라 필터(42)를 개재하여 외부로 사출된다. 한편, 유기 EL 소자(10R, 10G, 10B)로부터 사출된 빛 중 발산각이 넓은 성분(L2)은 광반사부(44)에 의해 반사된다. 광반사부(44)에서 반사된 빛은, 캐소드 보조 배선(38) 및 캐소드 전극(36)에 의해 형성되는 갭(39)을 통과하여 수광 소자군(13)에까지 도달하고, 수광 소자군(13)에서 흡수된다. 수광 소자군(13)에서 흡수된 빛은, 흡수한 빛의 출력 레벨에 따라 수광 신호(13A)(광전류)로 변환된다. 그 결과, 이 수광 신호(13A)를 이용하여 유기 EL 소자(10R, 10G, 10B)의 광출력 레벨을 추정할 수가 있으므로, 유기 EL 소자(10R, 10G, 10B)의 열화도를 추측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20A)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가 있고, 버닝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화상을 소정의 주기로 반전시키거나 시프트하여 표시하는 종래 수법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칼라 표시나 정지화면의 표시에 대해도 버닝을 저감할 수가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광반사부(44)에서 반사된 빛(반사광)이 통과하는 경로가 다른 영역과 광학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았지만, 다른 영역과 광학적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반사광이 주로 통과하는 경로의 주위에, 반사광이 화소 회로(14)에 입사하는 것을 방해하는 부재(광반사부(54))를 설치해도 좋다. 광반사부(54)는, 예를 들면, 화소 회로(14)와 유기 EL 소자(10R, 10G, 10B) 사이의 층(절연 평탄화막(33))에 설치되고, 절연 평탄화막(33)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반사광이나, 인접의 화소(11)로부터의 산란광(stray light)이 화소 회로(14)에 입사하고, 화소 회로(14) 내의 구동 트랜지스터(Tr1)의 리크 전류를 증대시켜, 색 불균일이나, 휘도 저하 등의 화질 불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2의 실시의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표시 장치에 탑재된 표시 패널(6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표시 패널(60)은, 상기 실시의 형태의 표시 패널(10)에서, 광반사부(44)를 없애고, 수광 소자군(13)(수광 소자(13a~13i))을 밀봉 패널(40) 내에 이전한 점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의 표시 패널(10)의 구성과 상위하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공통점에 대해서는 적당히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수광 소자군(13)은, 밀봉 패널(40) 중 블랙 매트릭스(43)와의 대향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밀봉 기판(41)의 표면(블랙 매트릭스(43) 측의 표면 혹은 구동 패널(30) 측의 표면) 상이나, 밀봉 기판(4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기 EL 소자(10R, 10G, 10B)로부터 사출된 빛 중 발산각의 넓은 성분(L2)을 수광 소자군(13)에 의해 검지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수광 신호(13A)를 이용하여 유기 EL 소자(10R, 10G, 10B)의 광출력 레벨을 추정할 수가 있으므로, 유기 EL 소자(10R, 10G, 10B)의 열화도를 추측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20A)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가 있고, 버닝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예를 들면, 화상을 소정의 주기로 반전시키거나 시프트하여 표시하는 종래 수법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칼라 표시나 정지화면의 표시에 대해도 버닝을 저감할 수가 있다.
<모듈 및 적용예>
이하, 상술한 제1 및 제2의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의 적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각 실시의 형태의 표시 장치는, 텔레비젼 장치,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등의 휴대단말 장치 혹은 비디오 카메라 등,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 혹은 내부에서 생성한 영상 신호를, 화상 혹은 영상으로서 표시하는 모든 분야의 전자기기의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듈>
상기 각 실시의 형태의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것 같은 모듈로서 후술하는 적용예1~적용예5 등의 여러 가지의 전자기기에 설치된다. 이 모듈은, 예를 들면, 지지 기판(31)의 한 변에, 밀봉 기판(41) 및 밀봉층(50)으로부터 노출한 영역(210)을 마련하고, 이 노출한 영역(210)에서, 신호선 구동 회로(23), 주사선 구동 회로(24)의 배선을 연장하여 외부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한 것이다. 외부 접속 단자에는,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플렉서블(flexible) 프린트 배선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220)이 설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적용예1>
도 10은, 상기 각 실시의 형태의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텔레비젼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 텔레비젼 장치는, 예를 들면, 프런트 패널(310) 및 필터 유리(320)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화면부(300)를 가지고 있고, 이 영상 표시 화면부(300)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적용예2>
도 11은, 상기 각 실시의 형태의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디지탈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 디지털 카메라는, 예를 들면, 플래시용의 발광부(410), 표시부(420), 메뉴 스위치(430) 및 셔터 버튼(440)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420)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적용예3>
도 12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의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는, 예를 들면, 본체(510), 문자등의 입력 조작을 위한 키보드(520) 및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530)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530)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적용예4>
도 13은, 상기 각 실시의 형태의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비디오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 비디오 카메라는, 예를 들면, 본체부(610), 이 본체부(610)의 전방 측면으로 설치된 피사체 촬영용의 렌즈(620), 촬영시의 스타트/스톱 스위치(630) 및 표시부(640)를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640)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적용예5>
도 14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의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 휴대전화기는, 예를 들면, 위쪽 케이스(710)와 아래 쪽 케이스(720)를 연결부(경첩부)(730)로 연결한 것이며, 디스플레이(740), 서브 디스플레이(750), 픽처 라이트(760) 및 카메라(770)를 구비한다. 그 디스플레이(74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750)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상, 실시의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각층의 재료 및 두께, 또는 성막 방법 및 성막 조건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재료 및 두께라도 좋고, 또는 다른 성막 방법 및 성막 조건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판(11) 위에, 아노드 전극(34), 유기층(35) 및 캐소드 전극(36)을 지지 기판(31) 상에 순서대로 적층하고, 밀봉 기판(41) 측에서 광이 취출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적층 순서를 반대로 하여, 지지 기판(31) 상에, 캐소드 전극(36), 유기층(35) 및 아노드 전극(34)를 순서대로 적층하고, 지지 기판(31) 측에서 광이 취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아노드 전극(34)를 양극, 캐소드 전극(36)을 음극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양극 및 음극을 반대로 해도 괜찮다.
또,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의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패시브 매트릭스형의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을 위한 화소 구동 회로의 구성은,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용량 소자나 트랜지스터를 추가해도 괜찮다. 그 경우, 화소 구동 회로의 변경에 따라, 상술한 신호선 구동 회로(23)이나, 주사선 구동 회로(24) 외에, 필요한 구동 회로를 추가해도 괜찮다.
본 발명은 2009년 3월 27일자로 일본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일본특허원 제2009-78801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에 대한 여러가지 변경예, 조합예, 부분 조합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표시 장치
10…표시 패널
10R, 10G, 10B…유기 발광 소자
11…화소
12…표시 영역
13…수광 소자군
13A, 25A…수광 신호
13a~13i…수광 소자
14…화소 회로
20…구동 회로
21…타이밍 생성 회로
21A…제어 신호
22…영상 신호 처리 회로
23…신호선 구동 회로
24…주사선 구동 회로
25…수광 신호 처리 회로
26…기억 회로
30…구동 패널
31…지지 기판
32, 37…절연막
33…절연 평탄화막
34…아노드 전극
35…유기층
36…캐소드 전극
38…캐소드 보조 배선
39…갭
40…밀봉 패널
41…밀봉 기판
42…칼라 필터
42R, 42G, 42B…필터
43…블랙 매트릭스
44, 54…광반사부
50…밀봉층
51…영상 신호 공급기(TAB)
52…주사 신호 공급(TAB)
53…전원 공급(TCP)

Claims (8)

  1. 기판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를 피복하는 절연층과;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절연층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와의 대향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와 동일면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와는 반대 측에 형성된 필터층과;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필터층 사이에 형성된 광반사부; 및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 측에 형성된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기판과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와는 반대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기판과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수광 소자와의 사이에,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사출된 빛 중 상기 광반사부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화소 회로에 입사하는 것을 방해하는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5. 기판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를 피복하는 절연층과;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절연층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와의 대향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와 동일면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와는 반대 측에 형성된 필터층; 및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필터층 사이에 형성된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6.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패널은:
    기판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를 피복하는 절연층과;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절연층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와의 대향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와 동일면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와는 반대 측에 형성된 필터층과;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필터층 사이에 형성된 광반사부; 및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 측에 형성된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수광 소자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화소 회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패널은:
    기판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회로와;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를 피복하는 절연층과;
    상기 복수의 화소 회로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절연층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와의 대향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와 동일면내에 형성되는 차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와의 관계에서 상기 화소 회로와는 반대 측에 형성된 필터층; 및
    상기 차광부와의 대향 영역 내,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필터층 사이에 형성된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00024711A 2009-03-27 2010-03-19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1001082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78801A JP5481902B2 (ja) 2009-03-27 2009-03-27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JP-P-2009-078801 2009-03-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228A true KR20100108228A (ko) 2010-10-06

Family

ID=4277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711A KR20100108228A (ko) 2009-03-27 2010-03-19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830144B2 (ko)
JP (1) JP5481902B2 (ko)
KR (1) KR20100108228A (ko)
CN (1) CN101847343A (ko)
TW (1) TW2011064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409A (ko) * 2014-07-25 2016-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98553A (ko) * 2015-02-09 2016-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면 발광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063106B2 (en) 2015-02-09 2021-07-13 Samsung Display Co., Ltd. Top emission devic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0793B2 (ja) * 2013-12-27 2018-06-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装置
KR102363429B1 (ko) * 2015-02-02 2022-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17817A (ko) * 2015-03-31 2016-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TWI592845B (zh) * 2015-08-28 2017-07-2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適應性調整觸控閥值的方法與相關控制器
KR102418520B1 (ko) * 2015-09-04 2022-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302484B2 (en) * 2017-01-24 2019-05-28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Optical sensor module
CN107275376B (zh) * 2017-06-27 2019-12-2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7579166B (zh) * 2017-08-31 2024-04-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制作方法
CN108282596B (zh) * 2018-03-02 2020-06-02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扫描屏及扫描设备
CN109300944B (zh) * 2018-09-26 2020-1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9256047B (zh) * 2018-10-31 2021-12-1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7262398B2 (ja) * 2018-11-01 2023-04-21 京東方科技集團股▲ふん▼有限公司 発光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アレイ基板並びに表示パネル
CN112002821B (zh) * 2020-08-07 2022-03-0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以及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6055A (ja) 1987-11-11 1989-05-18 Hitachi Ltd 描画像通信端末装置
JP3021282B2 (ja) 1994-05-31 2000-03-1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26055A (ja) 1997-06-30 1999-01-29 Shimadzu Corp 電気接続用コンタクト
JP2000221908A (ja) 1999-02-03 2000-08-11 Alpine Electronics Inc 画像表示装置における画像表示方法
JP3695308B2 (ja) * 2000-10-27 2005-09-14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14756A (ja) 2001-04-13 2002-10-25 Sharp Corp 表示装置
JP2002351403A (ja) 2001-05-30 2002-12-06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
JP4151263B2 (ja) 2001-12-05 2008-09-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4029663B2 (ja) * 2002-05-22 2008-0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透過反射型液晶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6933532B2 (en) * 2003-03-28 2005-08-23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 with photosensor
KR100659530B1 (ko) * 2003-11-26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칼라 유기전계발광소자
CN100369270C (zh) * 2003-12-24 2008-02-13 三洋电机株式会社 光传感器及显示装置
JP2005208582A (ja) * 2003-12-24 2005-08-04 Sanyo Electric Co Ltd 光センサおよびディスプレイ
US8013809B2 (en) * 2004-06-29 2011-09-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364227B2 (ja) * 2004-07-16 2013-12-1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読み取り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251201A (ja) * 2005-03-09 2006-09-21 Sony Corp 発光表示装置
US7986287B2 (en) * 2005-08-26 2011-07-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7079200A (ja) 2005-09-15 2007-03-29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7397065B2 (en) * 2006-05-02 2008-07-08 Tpo Displays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KR100762682B1 (ko) * 2006-05-03 2007-10-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310628A (ja) * 2006-05-18 2007-11-29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JP4816379B2 (ja) * 2006-09-29 2011-1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JP5145723B2 (ja) * 2007-02-13 2013-02-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露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826512B2 (ja) * 2007-03-12 2011-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082532B2 (ja) * 2007-03-26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と電子機器
US20100201275A1 (en) * 2009-02-06 2010-08-12 Cok Ronald S Light sensing in displ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3409A (ko) * 2014-07-25 2016-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98553A (ko) * 2015-02-09 2016-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면 발광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063106B2 (en) 2015-02-09 2021-07-13 Samsung Display Co., Ltd. Top emission devic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81902B2 (ja) 2014-04-23
JP2010230999A (ja) 2010-10-14
US8830144B2 (en) 2014-09-09
US20140217384A1 (en) 2014-08-07
CN101847343A (zh) 2010-09-29
US9252197B2 (en) 2016-02-02
US20100245216A1 (en) 2010-09-30
TW201106484A (en)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8228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US10490576B2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TWI420465B (zh) 顯示裝置及電子裝置
US10672850B2 (en) Display unit
WO2017018059A1 (ja) 表示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2021645A (ja) 表示装置
JP2022021644A (ja) 表示装置
US2010009099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7050772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658671B1 (ko) 표시 유닛
JP5927477B2 (ja)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WO2019203027A1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1215353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8083483A (ja) 電気光学装置と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US20220130914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1545531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onductor having a width of the first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being greater than a width of the second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CN115943459A (zh) 图像显示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