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597A -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597A
KR20100107597A KR1020090025739A KR20090025739A KR20100107597A KR 20100107597 A KR20100107597 A KR 20100107597A KR 1020090025739 A KR1020090025739 A KR 1020090025739A KR 20090025739 A KR20090025739 A KR 20090025739A KR 20100107597 A KR20100107597 A KR 20100107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coil product
rotating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036B1 (ko
Inventor
이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2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03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는 코일 제품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를 일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안착부의 이동 경로로부터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장착된 가이드부와, 일측은 상기 이송부의 후방에 이격 고정되며 타측은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안착부가 전진하는 힘에 의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여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선박 창내에 적치되기 전에 코일 제품을 회전시키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 향상, 인력 감소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코일 제품, 선박, 안착부, 이송부, 회전부

Description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APPARATUS FOR ROTATING COIL}
본 발명은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적치되는 코일 제품의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한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생산된 제품은 크게 열연 제품, 냉연 제품으로 나누어지며 이러한 제품들은 코일 형태로 창고에 보관되어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을 시기와 장소에 따라 육상, 해상, 철도를 통하여 공급되며 대부분은 해상 선박을 통하여 운송되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코일 제품이 해상 선박을 통해 운송되는 경우, 생산된 선적 제품을 부두에 접안된 선박으로 산적하기 위해서는 브리지 트레블 크레인(Bridge Travelling Crane, BTC) 등의 선적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제품(10)은 쇼트빔(20)의 하부에 결합된 댐핑(30) 및 댐핑 와이어(40)에 적치된 후 선박 내부로 운송된다.
육상에 상차된 제품은 세로로 상차되어 있기 때문에 BTC 선적기를 이용하여 선박에 선적 작업을 할 경우, 반드시 코일 제품을 90도 회전시켜 운송해야 하며, 이를 위해 작업자는 BTC 선적기에 의해 권상된 제품을 일시 정지시킨 후 코일 제품을 90도 회전시켜 고정시키고 있다.
하지만, 상당한 크기를 가지는 코일 제품을 작업자가 직접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대형 코일 제품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간혹 코일 제품을 회전시키는 작업을 빠뜨려 회전되지 않은 코일 제품이 선박 내로 진입되면, 코일 제품을 원래 위치로 다시 되돌리거나 선박 내에서 다시 회전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상당시 지체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박에 안착시켜 선박 창내에 적치하는 과정에서 제품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는 코일 제품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회전축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를 일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안착부의 이동 경로로부터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장착된 가이드부와, 일측은 상기 이송부의 후방에 이격 고정되며 타측은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안착부가 전진하는 힘에 의해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여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의 하부 양측에는 안착부의 일측을 잡아당겨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와이어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와이어 중 어느 하나를 잡아당기고 나머지 하나는 느슨하게 풀어주기 위한 막대형 링크와, 상기 막대형 링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상에는 와이어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쉬브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의 양 측부에는 이동되는 이송부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 레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박 창내에 적치되기 전에 코일 제품을 회전시키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 향상, 인력 감소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 제품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함께 작용 및 반작용 동작을 하는 와이어를 안착부에 구비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코일 제품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 제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의 양측에 안내 레일을 구비함으로써, 이송부가 경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제품 회전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제품의 회전 장치는 코일 제품이 안착되는 안착부(200)와, 상기 안착부(200)와 하부에 연결된 회전축(220)과, 상기 안착부(200)를 이송시키는 이송부(300)와, 상기 안착부(20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부(400)와, 상기 안착부(200)가 전진하는 힘에 의해 안착부(200)를 회 전시키는 회전부(500)를 포함한다.
안착부(200)는 코일 제품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안착부(200)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코일 제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방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안착부(2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 제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00)의 하부에는 회전축(220)이 결합되며 이러한 회전축(220)은 안착부(200)가 전진하는 방향의 하부 일측에 치우쳐 결합된다. 이로 인해 회전축(220)에 결합된 안착부(200)는 이후 회전축(220)의 하부와 결합되는 이송부(300)와 별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22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부(200)의 하부에는 안착부(200)를 일방향으로 전진시키기 위한 이송부(300)가 마련되어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이송부(300)는 안착부(200)의 하부에 연결된 회전축(22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송부(3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부(300)를 이동시키도록 이송부(300)의 양측에는 다수의 이동 롤러(3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송부(300)는 안착부(200)를 전진시켜 안착부(200)을 선박 창내에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300)는 BTC 선적기의 횡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이송부(300)에 별도를 구동유닛(미도시)을 장착하여 이송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송부(300)가 전진될 시 이송부(300)가 이동 경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송부(300)의 양측에는 안내 레일(9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안내 레일(900)은 이송부(300)의 양측면 및 상부 끝단 일부를 덮도록 이송부(300)의 양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송부(300)는 안착부(200)의 회전하는 힘에 의해 이동 경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착부(200)가 이송부(300)로부터 선박 창내로 이동하는 동안 안착부(200)는 일정 각도 예컨대, 90도 회전될 수 있으며, 안착부(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50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500)는 안착부(200)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대(540)와, 상기 지지대(540)를 지지하는 고정축(520)으로 구성되며, 안착부(200)의 전진하는 힘에 의해 안착부(2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고정축(520)은 이송부(300)의 후방에 이격 마련되며, 안착부(200)에 연결된 지지대(540)의 타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안착부(200)가 전진하는 힘에 의해 안착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안착부(200)의 하부에는 가이드부(4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400)는 상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400)의 하부에는 가이드부(400)의 길이 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400)의 홈에는 지지대(540)의 일측이 연결되며,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400)는 안착부(200)의 하부에서 분리된 형태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부(4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지지대(540)의 상부면은 홈에 안정적으로 끼 워져 지지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지지대(540)의 일측은 안착부(200)의 전진하는 힘에 의해 가이드부(400)를 따라 이동하며 이로 인해 안착부(200)는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40)가 가이드부(4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부(200)에 힘이 가해지면 지지대(540)는 가이드부(400)를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가이드부(400)는 안착부(200)의 이송 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Figure 112009018182126-PAT00001
)로 기울어져 장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안착부(200)의 이송 방향으로부터 45도 이상 기울어져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540)가 가이드부(40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안착부(200)의 이동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힘이 발생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40)는 일정 각도로 회전된다. 이에 안착부(200)도 지지대(540)와 함께 일정 각도 즉, 90도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으로 돌아가서, 상기 회전부(500)에 의해 안착부(200)가 90도로 완전히 회전되지 않았을 경우, 안착부(200)를 완전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안착부(200)의 일측과, 상기 안착부(200)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는 와이어(620, 640)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안착부(200)에 연결된 와이어(620, 640)로부터 안착부(200)의 일측 또는 타측을 잡아당겨 안착부(200)를 초기 상태로부터 90도 회전된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200)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620)로부터 안착부(200)의 일 측을 잡아당길 경우, 잡아당겨지지 않는 와이어(640)는 안착부(200)의 타측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느슨하게 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안착부(200)에 연결된 각각의 와이어(620, 640) 타측은 막대형 링크(720)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와이어(620, 640)는 막대형 링크(720)의 양끝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막대형 링크(720)를 회전시켜 안착부(200)에 연결된 각각의 와이어(620, 640)에 서로 반대 방향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와이어(620, 640)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620)를 잡아당기도록 막대형 링크(720)를 회전시키면, 나머지 하나의 와이어(640)는 느슨하게 되도록 풀어줄 수 있다.
또한, 막대형 링크(720)에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해 막대형 링크(720)에는 구동부(74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구동부(740)는 막대형 링크(720)의 하부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부(740)의 작동에 따라 막대형 링크(720)에 회전력을 부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부(740)로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막대형 링크(720)가 동작되는 동안 막대형 링크(720)의 양끝단에 연결된 와이어(620, 640) 중 어느 하나가 안정적으로 안착부(20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와이어(620, 640)의 내측에는 쉬브(800)가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쉬브(800)는 안착부(200)의 폭 길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와이어(620, 640)의 경로를 변경시켜줄 수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620, 640)는 안착부(20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00)의 상부에 코일 제품(100)이 안착되면, 이송부(300)는 안내 레일(900)을 따라 전진하고, 이송부(300)가 전진하는 동안 회전부(500)의 지지대(540)는 안착부(20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부(400)를 따라 이동한다.
이이서, 가이드부(400)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대(540)의 힘에 의해 안착부(200)는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되고, 이때, 안착부(200)가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으면 막대형 링크(720)에 연결된 모터(740)를 작동시켜 막대형 링크(720)를 회전시킨다.
막대형 링크(720)가 회전함에 따라 막대형 링크(720)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620)는 잡아 당겨지고, 이로 인해 안착부(2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막대형 링크(720)의 타측에 연결된 와이어(640)는 느슨해지고, 이로 인해 안착부(200)는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착부(200)가 회전되면 안착부(200)의 상부에 안착된 코일 제품(100)은 별도의 운송 수단(미도시)에 의해 이송되고, 작업을 마친 코일 제품의 회전 장치는 초기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동작함으로써, 코일 제품(100)의 회전 작업을 마칠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 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코일 제품을 이송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제품 회전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코일 제품 200: 안착부
220: 회전축 300: 이송부
320: 이동 롤러 400: 가이드부
620, 640: 와이어 720: 막대형 링크
800: 쉬브 900: 안내 레일

Claims (5)

  1. 코일 제품(100)이 안착되는 안착부(200);
    상기 안착부(200)의 하부에 회전축(220)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200)를 일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이송부(300);
    상기 안착부(200)의 하부에 안착부(200)의 이동 경로로부터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장착된 가이드부(400); 및
    일측은 상기 이송부(300)의 후방에 이격 고정되며 타측은 가이드부(400)에 연결되어 안착부(200)가 전진하는 힘에 의해 가이드부(400)를 따라 이동하여 안착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500);
    를 포함하는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0)의 하부 양측에는 안착부(200)의 일측을 잡아당겨 안착부(200)를 회전시키는 와이어(620, 640)가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620, 640)에는 와이어(620, 640) 중 어느 하나를 잡아당기고 나머지 하나는 느슨하게 풀어주기 위한 막대형 링크(720)와, 상기 막대형 링크(720) 를 회전시키는 구동부(740)가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620, 640) 상에는 와이어(620, 640)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쉬브(800)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300)의 양 측부에는 이동되는 이송부(300)의 경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 레일(900)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KR1020090025739A 2009-03-26 2009-03-26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KR101596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739A KR101596036B1 (ko) 2009-03-26 2009-03-26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739A KR101596036B1 (ko) 2009-03-26 2009-03-26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597A true KR20100107597A (ko) 2010-10-06
KR101596036B1 KR101596036B1 (ko) 2016-02-22

Family

ID=43129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739A KR101596036B1 (ko) 2009-03-26 2009-03-26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491A (ko) 2015-02-09 2016-08-18 (주)아이디알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102U (ko) * 1999-06-01 1999-09-06 김학수 조류제거부선
JP2006036368A (ja) * 2004-07-22 2006-02-09 Canon Finetech Inc 排紙受け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3138877U (ja) * 2007-11-05 2008-01-24 鶴丸海運株式会社 コイル用補助架台
JP2008143665A (ja) * 2006-12-11 2008-06-26 Kobe Steel Ltd コイルカーのコイル転倒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102U (ko) * 1999-06-01 1999-09-06 김학수 조류제거부선
JP2006036368A (ja) * 2004-07-22 2006-02-09 Canon Finetech Inc 排紙受け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43665A (ja) * 2006-12-11 2008-06-26 Kobe Steel Ltd コイルカーのコイル転倒防止装置
JP3138877U (ja) * 2007-11-05 2008-01-24 鶴丸海運株式会社 コイル用補助架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491A (ko) 2015-02-09 2016-08-18 (주)아이디알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036B1 (ko)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9180A (en) Apparatus for breaking up large construction
KR101429092B1 (ko) 컨테이너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방법
KR20100107597A (ko) 코일 제품의 회전장치
KR101772959B1 (ko) 로프인양장치
KR101585858B1 (ko) 크레인
KR20190130320A (ko) 선박용 접안장치
JP2005324930A (ja) 吊り具
EP38805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bars
EP1943170B1 (en) Method for turning paper rolls
KR101203636B1 (ko) 연속식 코일 선적기
KR100850806B1 (ko) 레일 트랜스포터용 반목장치
JP2010089903A (ja) チルトハンガーを備えた搬送車
JP2010195508A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システム
KR100782730B1 (ko) 후크 위치 가변형 선재코일 이송장치
JP7252804B2 (ja) ばら物荷揚げ装置
JP7233996B2 (ja) ばら物荷揚げ装置、および、ばら物荷揚げ装置の据付方法
JP5016907B2 (ja) 切断装置
KR101498209B1 (ko) 컨테이너 선박
KR101634987B1 (ko) 크레인 장치
JPH06298483A (ja) 搬送装置
JP4750941B2 (ja) ワーク加工搬送システム
KR200467266Y1 (ko) 와이어피더 이송장치
KR200449113Y1 (ko) 트래버서의 이송차 구조체
KR20150034357A (ko) 헬리데크의 유지보수장치
KR20100009506U (ko) 크레인의 마그네트팟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