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098A -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098A
KR20100107098A KR1020090025197A KR20090025197A KR20100107098A KR 20100107098 A KR20100107098 A KR 20100107098A KR 1020090025197 A KR1020090025197 A KR 1020090025197A KR 20090025197 A KR20090025197 A KR 20090025197A KR 20100107098 A KR20100107098 A KR 20100107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
block
alc block
reinforcing bar
bloc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4359B1 (ko
Inventor
권오주
구형석
Original Assignee
권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주 filed Critical 권오주
Priority to KR102009002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35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벽체를 구성하는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철근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내장되되 단부가 돌출되어 볼트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제 1ALC블럭과 돌출되는 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H빔 및 돌출되는 단부와 결합될 수 있는 홈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제 2ALC블럭으로 벽체용 ALC블럭조립체를 형성함으로써 조립과정을 간편화되어 건축시간 및 건축비용이 감소되고 보강철근의 돌출부를 볼트형태로 형성함으로써 H빔과 결합시 필요한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보강철근의 수용에 따라 블럭의 압축성과 팽창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보강철근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수용되되 그 단부가 일정길이로 돌출되며 돌출되는 단부의 외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1ALC블럭과;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보강철근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수용되되 상기 제 1ALC블럭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하,좌,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측에는 제 1ALC블럭의 돌출되는 단부를 수용하여 제 1ALC블럭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단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되되 홈부가 형성되지 않는 측에는 보강철근의 단부가 외연에 나사산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 2ALC블럭과; 상기 제 1ALC블럭들 간, 제 2ALC블럭들 간 또는 제 1ALC블럭과 제 2ALC블럭 사이에 개재되되 제 1ALC블럭 및 제 2ALC블럭의 단부가 돌출형성되는 측 간에 개재되며 단부를 일측이 개구된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H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경량 기포콘크리트, ALC,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ALC블럭, 보강철근, H빔

Description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ALC-block assembly for construction wall material}
본 발명은 건물벽체를 구성하는 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철근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내장되되 단부가 돌출되어 볼트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제 1ALC블럭과 돌출되는 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H빔 및 돌출되는 단부와 결합될 수 있는 홈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제 2ALC블럭으로 벽체용 ALC블럭조립체를 형성함으로써 조립과정을 간편화되어 건축시간 및 건축비용이 감소되고 보강철근의 돌출부를 볼트형태로 형성함으로써 H빔과 결합시 필요한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보강철근의 수용에 따라 블럭의 압축성과 팽창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바닥 및 천정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방법, 벽돌이나 블럭을 조적하여 형성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그런데 5층이상의 대형 건물의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주요 뼈대를 이루는 내력벽을 형성하고 비내력벽을 이루는 부분적인 칸막이 공사에만 벽돌을 조 적하는 시공법을 사용하고, 단독 주택이나 3층이하의 저층 건물의 경우에는 벽돌이나 블럭을 조적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시공법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비내력벽 또는 단독 주택이나 저층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190X90X57(mm)의 크기로 제작되는 벽돌을 2∼4열로 지그재그로 조적한다. 그리고 벽돌을 조적시에는 바닥으로부터 각 층마다 위와 아래의 벽돌을 서로 접착시키기 위하여 시멘트 몰탈을 소정의 두께로 바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용 시멘트 몰탈의 두께를 일정하게 도포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되고, 균일한 조적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조적공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고 조적이 완료된 경우에도 줄눈을 형성하는 시멘트 몰탈의 돌출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벽지 등의 내장을 위해서는 다시 벽면을 매끈하게 형성하기 위한 미장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 미장작업도 고도의 숙련도를 갖춘 미장공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육체적인 노동이 필요한 부분에는 인력의 공급이 어려워지는 현상때문에 조적공 및 미장공의 수가 부족하여 건축현장에서는 인력의 충원이 매우 절실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단독 주택이나 저층 건물의 경우에는 대형 건설업체가 아닌 소규모의 건설업체가 시공하게 되므로, 인력 충원이 매우 어렵고, 벽체의 조적 및 미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원가의 부담이 매우 크다.
또한 시멘트의 화학성분 발생으로 인해 환경이 오염되고 새집증후군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조적벽돌의 절단, 절개시에 많은 먼지를 발생시켜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강철근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내장되되 단부가 돌출되어 볼트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제 1ALC블럭과 돌출되는 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H빔 및 돌출되는 단부와 결합될 수 있는 홈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제 2ALC블럭으로 벽체용 ALC블럭조립체를 형성함으로써 조립과정을 간편화되어 건축시간 및 건축비용이 감소되고 보강철근의 돌출부를 볼트형태로 형성함으로써 H빔과 결합시 필요한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보강철근의 수용에 따라 블럭의 압축성과 팽창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보강철근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수용되되 그 단부가 일정길이로 돌출되며 돌출되는 단부의 외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1ALC블럭과;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보강철근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수용되되 상기 제 1ALC블럭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하,좌,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측에는 제 1ALC블럭의 돌출되는 단부를 수용하여 제 1ALC블럭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단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되되 홈부가 형성되지 않는 측에는 보강철근의 단부가 외연에 나사산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 2ALC블럭과; 상기 제 1ALC블럭들 간, 제 2ALC블럭들 간 또는 제 1ALC블럭과 제 2ALC블럭 사이에 개재되되 제 1ALC블럭 및 제 2ALC블럭의 단부가 돌출형성되는 측 간에 개재되며 단부를 일측이 개구된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H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H빔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제 1ALC블럭 또는 제 2ALC블럭의 보강철근 단부는 수용된 후 너트와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H빔의 수용홈은 제 1ALC블럭 또는 제 2ALC블럭의 보강철근 단부가 수용되되 H빔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H빔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더 큰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소재인 ALC블럭으로 보드를 제작하여 건축에 사용함으로써 기존 건축용 자재인 시멘트 화학성분 발생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발생을 제거하며, 조립식 공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축기간 및 건축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블록 조적작업시에 필요한 절단, 절개과정에서 다량의 먼지가 발생되어 작업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며 철근을 내장하여 블럭을 제조함으로써 압축성과 팽창성을 동시에 해결하고 시각적으로 ALC블럭의 이미지를 보다 견고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ALC블럭 조립체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ALC블럭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제 1ALC블럭과 H빔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ALC블럭과 H빔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ALC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LC블럭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ALC블럭 조립체는 크게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보강철근(11)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수용되되 그 단부가 일정길이로 돌출되며 돌출되는 단부의 외연에는 나사산(11a)이 형성되는 제 1ALC블럭(10)과,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보강철근(31)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수용되되 상기 제 1ALC블럭(10)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하,좌,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측에는 제 1ALC블럭(10)의 돌출되는 단부를 수용하여 제 1ALC블럭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단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홈부(32)가 형성되되 홈부(32)가 형성되지 않는 측에는 보강철근(31)의 단부가 외연에 나사산(31a)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 2ALC블럭(30)과, 상기 제 1ALC블럭(10)들 간, 제 2ALC블럭(30)들 간 또는 제 1ALC블럭(10)과 제 2ALC블럭(30) 사이에 개재되되 제 1ALC블럭(10) 및 제 2ALC블럭(30)의 단부가 돌출형성되는 측 간에 개재되며 단부를 일측이 개구된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21)이 형성되는 H빔(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ALC블럭(10)은 보강철근(11)을 수용하는 고강도 경량 기포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보강철근(11)은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을 통해 제 1ALC블럭(10) 제조시에 일체로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보강철근(11)은 ALC블럭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블럭의 팽창성 및 압축성을 해소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보강철근(11)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갯수는 제 1ALC블럭(11)의 크기에 비례한다.
바람직한 상기 보강철근(11)의 설치 갯수 또는 간격은 가로, 세로가 각각 4m × 2.7m라고 할 때 가로방향, 세로방향으로 각각 10개, 8개씩 보강철근(11)이 배치되고, 배치간격은 600mm내외가 적당하며 이는 건폐율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철근(11) 중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보강철근(11)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제 1ALC블럭(10)의 두께가 150mm인 경우 가로방향으로 놓여지되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보강철근(11)의 경우에는 제 1ALC블럭(10)의 두께 중심부에 보강철근(11)이 위치하도록 하고, 세로방향으로 놓여지되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보강철근(11)의 경우에는 제 1ALC블럭(10)의 두께 중심부에서 상부 또는 하부쪽으로 25mm 이격된 위치에 보강철근(11)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철근(11)의 단부는 제 1ALC블럭(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부 외연에는 나사산(11a)을 형성하여 보강철근(11)의 단부가 볼트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나사산(11a)을 가지는 단부는 후술할 H빔(20)의 수용홈(21) 또는 제 2ALC블럭(30)의 홈부(32)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ALC블럭 조립체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벽체의 조립작업이 쉽고 강도가 우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에 슬래그 분말, 고강도 혼화재, 실리카 흄, 화이버 등의 혼합원료와 물을 첨가하여 시멘트 슬러리를 만들고 여기에 기포액을 혼합하여 제조됨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른 조성물 또는 조성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 2ALC블럭(30)은 제 1ALC블럭(10)과는 달리 상,하,좌,우측 중 어느 한측이상에 제 1ALC블럭(10)의 보강철근(11) 단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홈부(32)를 가지는데, 필요에 따라 홈부(32)는 상,하,좌,우측 모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ALC블럭(30)의 기능은 벽체의 외곽부분 또는 모서리에 제 1ALC블럭(10)과 같은 단위크기의 ALC블럭보다 작은 크기로 조립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H빔(20)을 개재하지 않고 제 1ALC블럭(10)과 제 2ALC블럭(30)이 바로 결합됨으로써 어떠한 형태의 벽체에도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 2ALC블럭(20)의 크기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작업을 하거나 다양한 크기의 형태로 사전 제작하여 현장에 맞는 크기의 제 2ALC블럭(20)을 채택, 조립하면 될 것이다.
상기 H빔(20)은 제 1ALC블럭(10)들 간, 제 2ALC블럭(30)들 간 또는 제 1ALC블럭(10)과 제 2ALC블럭(30) 사이에 개재되되 제 1ALC블럭(10) 및 제 2ALC블럭(30)의 단부가 돌출형성되는 측 간에 개재되며 단부를 일측이 개구된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H빔(20)의 수용홈 위치는 H빔(20)의 개구된 양측 수용공간 어디에도 모두 보강철근(11, 31)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상부, 하부 모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수용홈(21)의 상부, 하부 형성으로 인해 강도가 일정부분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하부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선택 조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ALC블럭의 사시도.
도 2는 제 1ALC블럭과 H빔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도 3은 제 1ALC블럭과 H빔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ALC블럭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LC블럭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ALC블럭 11, 31 : 보강철근
11a, 31a : 나사산 12 : 너트
20 : H빔 21 : 수용홈
30 : 제 2ALC블럭 32 : 홈부

Claims (3)

  1.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보강철근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수용되되 그 단부가 일정길이로 돌출되며 돌출되는 단부의 외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1ALC블럭과;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보강철근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수용되되 상기 제 1ALC블럭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하,좌,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측에는 제 1ALC블럭의 돌출되는 단부를 수용하여 제 1ALC블럭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단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되되 홈부가 형성되지 않는 측에는 보강철근의 단부가 외연에 나사산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제 2ALC블럭과;
    상기 제 1ALC블럭들 간, 제 2ALC블럭들 간 또는 제 1ALC블럭과 제 2ALC블럭 사이에 개재되되 제 1ALC블럭 및 제 2ALC블럭의 단부가 돌출형성되는 측 간에 개재되며 단부를 일측이 개구된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H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빔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제 1ALC블럭 또는 제 2ALC블럭의 보강철근 단부는 수용된 후 너트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빔의 수용홈은 제 1ALC블럭 또는 제 2ALC블럭의 보강철근 단부가 수용되되 H빔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H빔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더 큰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
KR1020090025197A 2009-03-25 2009-03-25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 KR101034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197A KR101034359B1 (ko) 2009-03-25 2009-03-25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197A KR101034359B1 (ko) 2009-03-25 2009-03-25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098A true KR20100107098A (ko) 2010-10-05
KR101034359B1 KR101034359B1 (ko) 2011-05-16

Family

ID=4312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197A KR101034359B1 (ko) 2009-03-25 2009-03-25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35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717B1 (ko) * 2013-07-25 2013-10-18 비코비엔주식회사 크기조절이 가능한 pc 벽체, 그 제작 및 시공방법
KR20170095522A (ko) * 2016-02-15 2017-08-23 (주)포밍코리아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CN107355027A (zh) * 2017-08-30 2017-11-17 河北建筑工程学院 一种型钢砼剪力墙拼装型空间模块化结构体系及施工方法
CN108532795A (zh) * 2018-07-11 2018-09-14 上海应用技术大学 装配式混凝土剪力墙结构竖向刚性连接节点及施工方法
CN108612254A (zh) * 2018-04-25 2018-10-02 李藏柱 一种预制墙板及其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CN108661221A (zh) * 2018-04-25 2018-10-16 李藏柱 一种预制楼板及其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338486A (zh) * 2021-04-29 2021-09-03 江苏开放大学(江苏城市职业学院) 一种装配式钢-混凝土框架剪力墙建筑体系
WO2022093104A1 (en) * 2020-10-27 2022-05-05 Seng Wong A wall joint, method and system to form the wall joint with a mechanical connector
CN116357009A (zh) * 2023-04-13 2023-06-30 善谦节能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拼接的alc墙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536B1 (ko) 2011-10-20 2012-09-12 전호형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931A (ja) * 1992-07-29 1994-02-22 Misawa Homes Co Ltd 壁パネル組み立て方法
JPH1037349A (ja) 1996-07-30 1998-02-10 Misawa Homes Co Ltd パネル構造住宅の壁部の施工方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717B1 (ko) * 2013-07-25 2013-10-18 비코비엔주식회사 크기조절이 가능한 pc 벽체, 그 제작 및 시공방법
KR20170095522A (ko) * 2016-02-15 2017-08-23 (주)포밍코리아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CN107355027B (zh) * 2017-08-30 2023-08-08 新疆中鼎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型钢砼剪力墙拼装型空间模块化结构体系及施工方法
CN107355027A (zh) * 2017-08-30 2017-11-17 河北建筑工程学院 一种型钢砼剪力墙拼装型空间模块化结构体系及施工方法
CN108612254A (zh) * 2018-04-25 2018-10-02 李藏柱 一种预制墙板及其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CN108661221A (zh) * 2018-04-25 2018-10-16 李藏柱 一种预制楼板及其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WO2019206193A1 (zh) * 2018-04-25 2019-10-31 Li Cangzhu 一种预制墙板及其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CN108532795A (zh) * 2018-07-11 2018-09-14 上海应用技术大学 装配式混凝土剪力墙结构竖向刚性连接节点及施工方法
WO2022093104A1 (en) * 2020-10-27 2022-05-05 Seng Wong A wall joint, method and system to form the wall joint with a mechanical connector
CN115398068A (zh) * 2020-10-27 2022-11-25 黄盛� 壁接头及用机械连接器形成壁接头的方法和系统
CN115398068B (zh) * 2020-10-27 2024-03-12 黄盛� 壁接头及用机械连接器形成壁接头的方法和系统
CN113338486A (zh) * 2021-04-29 2021-09-03 江苏开放大学(江苏城市职业学院) 一种装配式钢-混凝土框架剪力墙建筑体系
CN116357009A (zh) * 2023-04-13 2023-06-30 善谦节能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拼接的alc墙板
CN116357009B (zh) * 2023-04-13 2024-03-29 善谦节能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拼接的alc墙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359B1 (ko) 201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359B1 (ko)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
US3905170A (en) Building wall unit
CN107740530B (zh) 一种高温蒸压轻质加气混凝土整体外墙板及其施工方法
KR20120062407A (ko) 보강단열패널과 상기 보강단열패널을 활용한 경량 구조물 구축시스템 및 그 구축공법
RU2012117774A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сачиваемых стен и полов
JPH10245918A (ja) 間仕切り壁及びその施工方法
RU134555U1 (ru) Звуко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для перегородок
US2250319A (en) Building wall
GB2478844A (en) A prefabricated wall panel with a structural support frame comprising concrete.
CN215888729U (zh) 一种装配式建筑内墙隔板
CN208152299U (zh) 一种带钢支撑的墙体结构
JP200222732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CN110805175A (zh) 一种冷弯格构型钢复合石膏墙体及其制备方法
KR100863496B1 (ko) 조립식 경량판넬.
CN212358637U (zh) 一种预制装配式外墙和预制装配式建筑
KR20060092497A (ko)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GB2407828A (en) Prefabricated structural masonry wall panel
KR101735059B1 (ko) Pc공법을 이용한 주택 시공방법
EP1669503A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modular shuttering method
RU9460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1776783B1 (ko) 건축 시공용 일체형 모듈블록
JP2020084409A (ja) 床スラブ
RU57771U1 (ru) Перекрытие,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и элемент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WO2005019549A1 (es) Sistema de construcción de edificios
EP4079984A1 (en) Panel and self-supporting modular facade cladding system including said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