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497A -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497A
KR20060092497A KR1020050013415A KR20050013415A KR20060092497A KR 20060092497 A KR20060092497 A KR 20060092497A KR 1020050013415 A KR1020050013415 A KR 1020050013415A KR 20050013415 A KR20050013415 A KR 20050013415A KR 20060092497 A KR20060092497 A KR 20060092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arge block
building
wal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8010B1 (ko
Inventor
전호형
Original Assignee
전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호형 filed Critical 전호형
Priority to KR102005001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01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Abstract

비중이 작아 대형으로 제작되는 대형 블럭을 조립식으로 조적하여 비전문가도 용이하게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길이 2∼10m, 높이 100∼200mm이며 윗면에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받침블럭을 건물의 바닥에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위치를 따라 고정 설치하고, 받침블럭의 조립홈에 한쪽 부분이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연결막대를 배치하여 삽입하고, 받침블럭의 윗면에 접착 페이스트를 얇은 두께로 도포하고,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길이 0.6∼3m, 높이 0.2∼1m, 두께 50∼200mm이고 윗면과 아랫면에 조립홈이 형성된 대형 블럭을 아랫면의 조립홈에 연결막대의 윗부분이 삽입되도록 연이어서 받침블럭을 따라 조립하고, 1층을 구성한 대형 블럭의 조립홈에 연결막대를 배열하여 삽입하고, 1층의 대형 블럭에 접착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1층의 대형 블럭과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배열하여 아랫면의 조립홈에 연결막대가 삽입되도록 대형 블럭을 조립하여 2층 이상을 연속하여 조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건물, 주택, 시공방법, 대형 블럭, 비중, 벽체, 조적, 조립식, 접착

Description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Large-Sized Block for Wall of Housing and Construction Work Method for Wall of Housing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두께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두께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두께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6실시예인 받침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블럭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두께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7실시예를 이용하여 벽체를 조적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8실시예인 기둥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8실시예인 기둥블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 공정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두께방향 단면 공정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받침블럭을 설치하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받침블럭의 두께방향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받침블럭을 설치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으로 축조한 벽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으로 축조한 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블럭을 이용하여 대형 블럭의 맨 위층을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2열의 대형 블럭을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중이 작게 유지되어 가벼우며 0.6m 이상의 길이를 갖는 대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취급이 용이하여 비내력용의 벽체를 비전문가도 용이하게 축조하는 것이 가능한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 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바닥 및 천정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방법, 벽돌이나 블럭을 조적하여 형성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그런데 5층이상의 대형 건물의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주요 뼈대를 이루는 내력벽을 형성하고 비내력벽을 이루는 부분적인 칸막이 공사에만 벽돌을 조적하는 시공법을 사용하고, 단독 주택이나 3층이하의 저층 건물의 경우에는 벽돌이나 블럭을 조적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시공법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비내력벽 또는 단독 주택이나 저층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190X90X57(mm)의 크기로 제작되는 벽돌을 2∼4열로 지그재그로 조적한다. 그리고 벽돌을 조적시에는 바닥으로부터 각 층마다 위와 아래의 벽돌을 서로 접착시키기 위하여 시멘트 몰탈을 소정의 두께로 바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용 시멘트 몰탈의 두께를 일정하게 도포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되고, 균일한 조적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조적공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고 조적이 완료된 경우에도 줄눈을 형성하는 시멘트 몰탈의 돌출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벽지 등의 내장을 위해서는 다시 벽면을 매끈하게 형성하기 위한 미장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 미장작업도 고도의 숙련도를 갖춘 미장공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육체적인 노동이 필요한 부분에는 인력의 공급이 어려워지는 현상때문에 조적공 및 미장공의 수가 부족하여 건축현장에서는 인력의 충원이 매우 절실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단독 주택이나 저층 건물의 경우에는 대형 건설 업체가 아닌 소규모의 건설업체가 시공하게 되므로, 인력 충원이 매우 어렵고, 벽체의 조적 및 미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원가의 부담이 매우 크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크기를 대형화하는 반면에 비중을 작게 하여 소수의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반하여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립식으로 구성되므로 비전문가도 조적이 용이하며 단시간에 건물의 벽체나 담장 등의 비내력벽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중이 작고 대형으로 제작되는 대형 블럭을 조립식으로 조적하여 비전문가도 용이하게 건물의 벽체나 담장 등의 비내력벽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은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길이를 대략 0.6∼3m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고, 높이를 대략 0.2∼1m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고, 두께를 대략 50∼200mm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여 형성하며, 윗면 및 아랫면에는 모서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오목한 조립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은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길이 2∼10m 정도, 높이 100∼200mm 정도이며 윗면에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받침블럭을 건물의 바닥에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위치를 따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받침블럭의 조립홈에 한쪽 부분이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연결막대를 배치하여 삽입하고, 상기 받침블럭의 윗면에 접착 페이스트를 0.1∼5mm 정도의 얇은 두께로 도포하고,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길이 0.6∼3m, 높이 0.2∼1m, 두께 50∼200mm 정도이고 윗면과 아랫면에 조립홈이 형성된 대형 블럭을 아랫면의 조립홈에 상기 연결막대의 윗부분이 삽입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연이어서 받침블럭을 따라 조립하고, 상기 1층을 구성한 대형 블럭의 윗면 조립홈에 연결막대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삽입하고, 상기 1층의 대형 블럭의 윗면에 접착 페이스트를 0.1∼5mm 정도의 얇은 두께로 도포하고, 다시 1층의 대형 블럭과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배열하여 아랫면의 조립홈에 연결막대가 삽입되도록 대형 블럭을 조립하여 2층 이상을 연속하여 벽체의 높이에 맞추어 조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길이(L)를 대략 0.6∼3m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고, 높이(H)를 대략 0.2∼1m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고, 두께(T)를 대략 50∼200mm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하여 형성하며, 윗면 및 아랫면에는 모서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오목한 조립홈(1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홈(12)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각형을 반으로 나눈 사다리꼴형상,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형상,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상 등의 다양한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서 부호 10은 대형 블럭을 나타낸다.
상기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52705호에 기재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시멘트에 슬래그 분말, 고강도 혼화재, 실리카 흄, 화이버 등을 혼합한 혼합원료에 물을 첨가하여 시멘트 슬러리를 만들고 여기에 기포액을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은 대략 비중 0.4∼0.7 정도를 유지하며, 7일 양생후의 압축강도는 비중에 따라 8∼250kg/㎠을 나타내고, 28일 양생후의 압축강도는 비중에 따라 15∼600kg/㎠을 나타내고, 360일 양생후의 압축강도는 비중에 따라 20∼800kg/㎠을 나타내도록 조성물의 성분비를 설정하고 기포액의 혼합비율을 설정하는 것이 중량은 가벼우면서도 벽체로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블럭을 제조하는 경우에 중량은 가벼우면서도 벽체로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은 1개의 전체 중량이 1사람의 작업자가 운반할 수 있는 25kg 이하가 되도록, 비중에 따라 길이(L), 높이(H), 두 께(T)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2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인 평균 단위용적중량을 보다 작게 하기 위하여 표면으로부터 일정 두께(예를 들면 대략 10∼50mm 정도)까지의 외부(11)는 상기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형성하고, 내부(16)에는 경량콘크리트로 채워서 형성한다.
상기 경량콘크리트는 상기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보다 밀도와 강도가 낮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재료비의 절감이 가능하며, 전체의 중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경량콘크리트는 비중이 대략 0.1∼0.3 정도로 매우 낮게 유지되도록 조성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경량콘크리트를 내부(16) 전체를 하나의 구역으로 구획하여 채우는 경우에는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에서 압축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내부(16)를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고 각 구역을 구분하는 칸막이부분은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에 있어서, 외부(11)를 이루는 부분만 고강도의 재료를 사용하면, 전체적인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강도는 충분하므로, 강도에 영향을 작게 미치는 내부(16)를 강도는 떨어지더라도 비중이 작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취급의 용이성 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3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양쪽 측면에도 연결홈(14)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홈(14)도 단면형상을 사각형상, 사다리꼴형상, 반원형상, 삼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길이방향의 한쪽 측면에는 연결홈(14)을 형성하고, 다른쪽 측면에는 상기 연결홈(14)에 삽입되는 연결돌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형성하여 길이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조립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4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방향의 양쪽 또는 한쪽 측면에 미감을 위하여 돌출형상 또는 오목형상의 문양(18)을 형성한다.
상기 문양(18)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해나 달, 별 등의 자연물의 형상, 불규칙적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두께방향 측면에 문양(18)을 형성하게 되면, 건물의 외벽이나 담장 등을 축조하는 경우 외관이 미려해지고 별도의 장식재를 부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5실시예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두께방향을 관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장식구멍(19)을 형성한다.
상기 장식구멍(19)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해나 달, 별 등의 자연물의 형상, 불규칙적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장식구멍(19)을 형성하게 되면, 담장 등을 축조하는 경우 외관이 미려해지고 장식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6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2)에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위치를 따라 고정 설치되는 받침블럭(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블럭(20)은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길이(M)는 대략 2∼10m 정도, 높이(G)는 대략 100∼200mm 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또 상기 받침블럭(20)의 윗면에는 조립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홈(22)은 사각형상, 사다리꼴형상, 반원형상, 삼각형상 등 다양한 단면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립홈(22)은 대형 블럭(10)을 축조하는 열에 대응하여 1열 또는 복수의 열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대부분의 외벽을 이루는 벽체에서는 2열로 축조하고, 열 사이에 단열이나 방음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조립홈(22)을 2열로 형성한다.
또 내벽을 이루는 벽체나 담장 등을 축조하는 경우에는 대형 블럭(10)을 1열로 조적하게 되므로, 상기 받침블럭(20)에 형성하는 조립홈(22)도 1열로 형성한다.
상기 받침블럭(20)의 길이(M)는 대형 블럭(10)이 길이방향으로 2개 이상 연 이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대형 블럭(1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형 블럭(10) 길이(L)의 배수로 길이(M)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블럭(20)의 두께는 위쪽에 축조되는 대형 블럭(10)의 두께(T)와 열수, 열 사이의 간격 등에 대응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블럭(20)의 하부쪽 내부에는 건물의 바닥(2)에 고정하기 위한 기초볼트나 고정쇠 등을 나사조립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너트부재(28)를 매입하고, 밑면으로부터 너트부재(28)까지 관통하는 체결구멍(29)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블럭(20)의 내부에는 강도의 보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철근부재(26)를 배열하여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블럭(20)의 다른 실시예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 양쪽 측면에 연결홈(24)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홈(24)은 사각형상, 사다리꼴형상, 반원형상, 삼각형상 등 다양한 단면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7실시예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에 있어서 구석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길이방향 끝부분을 90°돌출시킨 구석블럭(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석블럭(80)의 돌출부(74)는 두께의 대략 1.5∼4배 정도의 길이로 설정하여 돌출 형성한다.
상기 구석블럭(80)에 있어서도 상하면에는 조립홈(82)을 형성한다.
상기 구석블럭(80)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는 상기 구석블럭(80)을 이용하여 벽체의 구석부분을 조적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의 제8실시예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에 있어서 구석부 및 중간에 기둥을 형성하기 위한 기둥블럭(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블럭(90)에는 상기 대형 블럭(10) 또는 받침블럭(20) 등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블럭결합홈(92)이 이웃하는 양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웃하는 양 측면에 블럭결합홈(92)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건물 벽체의 구석부에 설치된다.
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둥블럭(90)의 마주하는 양 측면에 블럭결합홈(9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건물 벽체의 중간부분에 기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블럭(90)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3개의 측면에 블럭결합홈(92)을 형성하여 건물의 벽체가 "T"형상으로 만나는 부분에 기둥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4개의 측면 모두에 블럭결합홈(92)을 형성하여 건물의 벽체가 "+"형상으로 만나는 부분에 기둥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기둥블럭(90)이 담장 등 벽체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블럭결 합홈(92)을 한쪽 측면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블럭결합홈(92)은 삽입되는 대형 블럭(10) 또는 받침블럭(20)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결합홈(92)에는 2개 이상의 대형 블럭(10) 또는 받침블럭(20)이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둥블럭(90)에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의 결합을 위하여 상면에는 조립돌기(94)를 형성하고, 하면에는 상기 조립돌기(9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조립홈(9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돌기(94)와 조립홈(96)은 측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조립시에 원활하게 위치맞춤이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블럭(90)은 중량의 감소를 위하여 중앙이 빈 중공부(9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98)에는 경량콘크리트를 채우는 것도 가능하고, 단열과 방음 등을 위하여 단열재나 흡음재를 채우는 것도 가능하며, 빈 공간으로 두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둥블럭(90)에는 필요에 따라 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철근을 배근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둥블럭(90)은 복수 층의 대형 블럭(10)이 결합되도록 대형 블럭(10) 높이의 1.5∼5 배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 루어지는 길이(M) 5m, 높이(G) 150mm이며 윗면에는 조립홈(22)이 형성되는 받침블럭(20) 및 기둥블럭(90)을 건물의 바닥(2)에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위치를 따라 고정 설치하고(S10), 상기 받침블럭(20)의 조립홈(22)에 한쪽 부분이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연결막대(40)를 배치하여 삽입하고(S20), 상기 받침블럭(20)의 윗면에 접착 페이스트(50)을 2mm 정도의 얇은 두께로 도포하고(S30),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길이(L) 1m, 높이(H) 0.5m, 두께(T) 90mm 이고 윗면과 아랫면에 조립홈(12)이 형성된 대형 블럭(20)을 아랫면의 조립홈(12)에 상기 연결막대(40)의 윗부분이 삽입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연이어서 받침블럭(20) 및 기둥블럭(90)을 따라 조립하고(S40), 상기 1층을 구성한 대형 블럭(10)의 윗면 조립홈(12)에 연결막대(40)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삽입하고(S50), 상기 1층의 대형 블럭(10)의 윗면에 접착 페이스트(50)를 2mm 정도의 얇은 두께로 도포하고(S60), 다시 1층의 대형 블럭(10)과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배열하여 아랫면의 조립홈(12)에 연결막대(40)가 삽입되도록 대형 블럭(10)을 조립하여 2층 이상을 동일한 순서로 연속하여 벽체의 높이에 맞추어 조적(S70, S8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건물의 외벽을 조적하는 경우에는 받침블럭(20)의 두께는 대형 블럭(10)의 두께(W)가 90mm 이고, 대형 블럭(10)을 2열로 조적하고, 단열 및 방음을 위한 간격을 20mm로 설정하여 200mm로 형성한다.
상기 기둥블럭(90)은 받침블럭(20) 및 대형 블럭(10) 2열이 삽입되므로, 블럭결합홈(92)의 폭을 200mm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기둥블럭(90)을 설치하게 되면, 구석부나 기둥이 설치되는 위치 에 조립되는 받침블럭(10) 및 대형 블럭(10)은 기둥블럭(90)의 블럭결합홈(92)에 끝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설치 및 고정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대형 블럭(10)을 2열로 조적하고 중간 간격을 20mm 정도로 설정하여 형성하게 되면, 외벽을 이루는 벽체의 내부에 공기층이 존재하게 되므로, 종래 단열재나 방음재를 삽입한 것과 마찬가지로 단열 및 방음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S40) 단계에서는 대형 블럭(10)을 2열로 배열하여 조적하며, 이 단계(S40) 이후에는 필요에 따라 2열로 조적된 대형 블럭(10) 사이의 간격에 단열재 및 방음재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막대(40)는 조립홈(12), (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며, PVC나 PP 등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 경량 콘크리트, 세라믹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막대(40)는 상기 대형 블럭(10)에 형성되는 조립홈(12)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하며, 대형 블럭(10)을 지그재그형상으로 조적하는 경우에도 상하의 조립홈(12)이 겹쳐지는 길이에 대응하여 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가공 및 조립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조적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받침블럭(20) 및/또는 대형 블럭(10)의 길이방향 측면에 연결홈(24), (14)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 연결홈(24), (14)에도 연결막대(40)를 세워서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상하의 대형 블럭(10)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블럭(20)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 볼트(30)를 너트부재 (28)에 체결시킨 상태에서, 건물의 바닥(2)에 벽체가 설치될 위치를 따라 소정의 깊이로 형성한 홈(4)에 높이가 균일한 상태로 배치하여 설치하고, 상기 홈(4)에 콘크리트(5)를 채우는 것에 의하여 건물의 바닥에 고정 설치된다.
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2) 전체에 콘크리트(5)를 타설하는 경우에도 상기 받침블럭(20)을 기초 볼트(30)가 체결된 상태에서 벽체가 설치될 위치를 따라 배치하고, 받침블럭(20)의 밑면과 기초면 사이에 콘크리트(5)를 채워넣어 위치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받침블럭(20)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에 형성한 고정구멍(29)을 관통하여 건물의 바닥(2)이나 별도의 고정 블럭(도면에 나타내지 않음) 등에 매입되는 고정기둥(32)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건물의 바닥(2)에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대형 블럭(10)을 2층이상으로 조적하는 과정에서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틀(60)이나 창틀(62)을 설치하는 부분에서는 문틀(60)이나 창틀(62)에 밀착되도록 대형 블럭(10)을 위치시켜 조적한다. 이 때 대형 블럭(10)의 길이(L)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대형 블럭(10)을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대형 블럭(10)의 크기 및 강도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절단하기 어렵고 현장에서의 작업이 불편한 경우에는, 벽체의 모서리 및 문틀(60)이나 창틀(62)의 설치 위치에서 각각 대응되도록 길이(L)를 몇가지로 규격화하여 대형 블럭(10)을 제작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문틀(60)이나 창틀(62)이 설치되는 벽체는 대부분 내벽에 해당하므로, 일반적으로 대형 블럭(10)을 1열로 조적한다.
상기와 같이 대형 블럭(10)으 조적하여 건물의 벽체를 완성한 경우에,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열로 조적된 양쪽의 대형 블럭(10)을 서로 연결시켜 일체로 고정하고 천정이나 슬라브지붕(68) 등이 밀착되어 연결되도록 윗면이 균일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마감블럭(7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감블럭(70)의 한쪽면(밑면)에는 맨 위층의 대형 블럭(10)의 조립홈(12)에 삽입되는 연결막대(40)가 삽입되는 조립홈(72)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홈(72)은 대형 블럭(10)의 열수에 대응하는 열수로 형성한다.
그리고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형 블럭(10)을 2열 이상으로 조적하는 경우에 서로를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금속이나 고강도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44)를 각 층마다 또는 2∼3층의 간격으로 지그재그로 배열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44)는 이웃하는 대형 블럭(10)의 조립홈(12)에 양쪽 끝부분이 삽입되도록 굽혀져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마감블럭(70) 및/또는 고정부재(44)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2열 이상으로 조적되는 대형 블럭(10)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고정부재(44)의 양쪽 끝부분에 상기 연결막대(40)를 각각 고정시켜 상기 대형 블럭(10)의 조립홈(12)에 각각 삽입하여 양쪽 열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 하다.
상기 바닥블럭(20)과 대형 블럭(10) 사이, 대형 블럭(10) 사이, 대형 블럭(10)과 마감블럭(70) 사이를 서로 접착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착 페이스트(50)는 유동성이 있도록 액체 풀과 같은 성상으로 이루어지며, 시멘트와 접착 보조제에 물을 가하여 제조한다.
상기 접착 페이스트(50)는 코킹 건(gun)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착 페이스트(50)로 시멘트와 모래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접착 몰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은 단독 주택이나 저층 건물의 벽체뿐만 아니라, 고층 건물의 비내력벽과 담장 등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에 의하면, 비중이 0.7 이하로 길이 0.6∼3m, 높이 0.2∼1m, 두께 50∼200mm의 범위에서 설정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도 작업자 1인이 운반할 수 있도록 전체 중량이 25kg 이하를 유지하므로, 혼자서도 조적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벽돌에 비하여 크기가 3∼15배 정도로 크게 형성되어 조적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건물 시공비의 절감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연결막대에 의하여 상하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코킹 건 등의 기구에 의하여 접착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초보자도 조적작업을 용이하고 미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건물의 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2열 이상으로 대형 블럭을 조적하는 경우에 중간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단열재나 방음재의 사용이 불필요하여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시공비가 절감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마감블럭과 고정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2열 이상으로 조적되는 대형 블럭을 서로 일체로 연결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충분한 벽체의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길이를 0.6∼3m의 범위에서 설정하고, 높이를 0.2∼1m의 범위에서 설정하고, 두께를 50∼200mm의 범위에서 설정하여 형성하며,
    윗면 및 아랫면에는 모서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오목한 조립홈을 형성하는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은 사각형상, 육각형을 반으로 나눈 사다리꼴형상, 반원형상, 삼각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은 비중 0.4∼0.7을 유지하며,
    7일 양생후의 압축강도는 8∼250kg/㎠을 나타내고,
    28일 양생후의 압축강도는 15∼600kg/㎠을 나타내고,
    360일 양생후의 압축강도는 비중에 따라 20∼800kg/㎠을 나타내는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체적인 평균 단위용적중량을 보다 작게 하기 위하여 표면으로부터 10∼50mm까지는 상기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형성하고,
    그 내부는 비중이 0.1∼0.3를 유지하는 경량콘크리트로 채워서 형성하는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5. 청구항 1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양쪽 측면에는 오목하게 사각형상, 사다리꼴형상, 반원형상, 삼각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는 연결홈을 형성하는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6. 청구항 1에 있어서,
    두께방향의 양쪽 또는 한쪽 측면에는 돌출형상 또는 오목형상의 문양을 형성하는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7.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앙부에 두께방향을 관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장식구멍을 형성하는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8.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길이 2∼10m, 높이 100∼200mm이며 윗면에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받침블럭을 건물의 바닥에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위치를 따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받침블럭의 조립홈에 한쪽 부분이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연결막대를 배치하여 삽입하고,
    상기 받침블럭의 윗면에 접착 페이스트를 0.1∼5mm의 얇은 두께로 도포하고,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길이 0.6∼3m, 높이 0.2∼1m, 두께 50∼200mm이고 윗면과 아랫면에 조립홈이 형성된 대형 블럭을 아랫면의 조립홈에 상기 연결막대의 윗부분이 삽입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연이어서 받침블럭을 따라 조립하고,
    상기 1층을 구성한 대형 블럭의 윗면 조립홈에 연결막대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삽입하고,
    상기 1층의 대형 블럭의 윗면에 접착 페이스트를 0.1∼5mm의 얇은 두께로 도포하고,
    다시 1층의 대형 블럭과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배열하여 아랫면의 조립홈에 연결막대가 삽입되도록 대형 블럭을 조립하여 2층 이상을 연속하여 벽체의 높이에 맞추어 조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받침블럭에 형성하는 조립홈은 상기 대형 블럭을 축조하는 열에 대응하여 1열 또는 복수의 열로 형성하고,
    상기 받침블럭의 길이는 상기 대형 블럭 길이의 배수로 설정하는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받침블럭의 하부쪽 내부에는 건물의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기초볼트나 고정쇠 등을 나사조립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너트부재를 매입하거나 고정기둥이 관통 삽입되는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블럭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철근부재를 배열하여 매설하는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막대는 조립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막대는 상기 대형 블럭을 지그재그형상으로 조적하는 경우에도 상하의 조립홈이 서로 겹쳐지는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하는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받침블럭 및 대형 블럭의 길이방향 측면에 연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홈에 연결막대를 세워서 삽입하는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2열이상으로 조적된 대형 블럭을 서로 연결시켜 일체로 고정하도록 윗면이 균일한 평면으로 형성되고 밑면에는 대형 블럭의 열수에 대응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마감블럭을 상기 대형 블럭의 맨 위층의 윗면에 설치하는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2열이상으로 조적된 대형 블럭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고정하도록 금속이나 고강도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대형 블럭의 조립홈에 양쪽 끝부분이 삽입되도록 굽혀져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각 층마다 또는 2∼3층의 간격으로 지그재그로 배열하여 설치하는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받침블럭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벽체의 구석부 또는 기둥이 배치될 위치에 기둥블럭을 더 설치하고,
    상기 기둥블럭에는 상기 받침블럭 및 대형 블럭의 끝부분이 삽입되는 블럭결합홈이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둥블럭의 상면에는 조립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조립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블럭은 상기 대형 블럭 높이의 1.5∼5배의 높이로 형성되는 대형 블럭을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KR1020050013415A 2005-02-18 2005-02-18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KR10064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415A KR100648010B1 (ko) 2005-02-18 2005-02-18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415A KR100648010B1 (ko) 2005-02-18 2005-02-18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497A true KR20060092497A (ko) 2006-08-23
KR100648010B1 KR100648010B1 (ko) 2006-11-23

Family

ID=3759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415A KR100648010B1 (ko) 2005-02-18 2005-02-18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0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009A (ko) * 2006-09-06 2007-08-20 (주)관영이엔지 건축용 블럭 조립체
KR100753544B1 (ko) * 2006-10-20 2007-08-30 문기명 건축용 샌드위치 블럭
KR100948255B1 (ko) * 2009-08-12 2010-03-18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텍 고 단열 방음의 발포 스치로폼 블럭을 이용한 그린하우스 시공방법, 고 단열 방음의 발포 스치로폼 블럭 및 고 단열 방음의 발포 스치로폼 천장패널
CN115387505A (zh) * 2022-07-08 2022-11-25 南通固盛建材有限公司 一种利用再生建筑材料制备的建筑用砖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410Y1 (ko) * 1998-12-31 2002-08-27 윤상용 조립식콘크리트단열블록
KR20050014197A (ko) * 2003-07-30 2005-02-07 전대우 고강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009A (ko) * 2006-09-06 2007-08-20 (주)관영이엔지 건축용 블럭 조립체
KR100753544B1 (ko) * 2006-10-20 2007-08-30 문기명 건축용 샌드위치 블럭
KR100948255B1 (ko) * 2009-08-12 2010-03-18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텍 고 단열 방음의 발포 스치로폼 블럭을 이용한 그린하우스 시공방법, 고 단열 방음의 발포 스치로폼 블럭 및 고 단열 방음의 발포 스치로폼 천장패널
CN115387505A (zh) * 2022-07-08 2022-11-25 南通固盛建材有限公司 一种利用再生建筑材料制备的建筑用砖
CN115387505B (zh) * 2022-07-08 2023-08-29 南通固盛建材有限公司 一种利用再生建筑材料制备的建筑用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010B1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7086A1 (en)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and Method Therefor
US8136248B2 (en) Method of making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AU2017258845B2 (en) Improved composite concrete and framing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20080196349A1 (en) Connected structural panels for buildings
US6779314B1 (en) Structure formed of foaming cement and lightweight steel, and a structure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the structure system
US20080216445A1 (en) Monolithic Buildings and Construction Technology
US20070039265A1 (en) Prefabricated masonry covered structural wall panel
KR100648010B1 (ko)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US20210095470A1 (en)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module, a building wall and a building
KR101361959B1 (ko)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EP1736609B1 (en) System for construction with pre-fabricated panels, and pre-fabricated panel
WO2013073974A2 (en) Wall construction system
KR100619093B1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장 시공 방법
KR20090046140A (ko)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KR100863496B1 (ko) 조립식 경량판넬.
KR100485585B1 (ko) 조립식 구조물 및 이를 위한 형강
RU101464U1 (ru) Балка обвязочная (варианты) и узел 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варианты)
RU222184U1 (ru) Опорный столб ограждения
KR100463671B1 (ko) 건축물의 비내력 벽체용 조립식 패널
CN217325952U (zh) 隔墙管线一体化结构
RU2168590C1 (ru) Каркасное здание
KR20120006263A (ko) 벽체 시공방법
KR100504350B1 (ko) 건축물의 시공방법
RU2293824C1 (ru) Каркасная облегченная пакетная стена из различных материалов
CN107268776B (zh) 一种带屋架的条板墙体房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