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522A -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 Google Patents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522A
KR20170095522A KR1020160016999A KR20160016999A KR20170095522A KR 20170095522 A KR20170095522 A KR 20170095522A KR 1020160016999 A KR1020160016999 A KR 1020160016999A KR 20160016999 A KR20160016999 A KR 20160016999A KR 20170095522 A KR20170095522 A KR 20170095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ok
interior wall
unit block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선
손병래
Original Assignee
(주)포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밍코리아 filed Critical (주)포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1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5522A/ko
Publication of KR20170095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Splittable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월(Wall)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 활성탄 및 결집체로 이루어지는 블록 판재를 블록 조립식으로 형성하는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은, 황토, 활성탄 및 구조결집체의 배합에 의해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황토 구조체와, 상기 황토 구조체가 삽입되는 사각틀로 이루어지는 단위 블록체;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며, 상기 소정 간격 사이에 상기 단위 블록체가 블록 결합되도록 기둥이 되는 고정봉; 및 상기 단위 블록체와 상기 고정봉을 연결하는 연결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ENVIRONMENT-FRIENDLY INTERIOR WALL OF BLOCK TYPE}
본 발명은 인테리어 월(Wall)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 활성탄 및 결집체로 이루어지는 블록 판재를 블록 조립식으로 형성하는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는 수백 종의 오염물질이 분포하며 건축 공정에 사용되는 단열재, 구조재, 마감재, 접착제 등에서 발생되는 화학물질이 실내로 방출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화학물질은 신축 주택이나 아파트의 경우 두통, 현기증, 눈의 자극, 아토피성 피부염 등 각종 질환을 호소하는 건물병 증후군 및 새집증후군 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실내 벽체에 마감을 숯이 포함된 벽지로 마감하는 경우가 있고, 황토 마감재 등 친환경적인 마감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친환경적인 마감재를 사용하는 경우 제조단가가 높아지고 설치비가 높아지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친환경적인 마감재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자연물에서 얻은 물질로서 반영구적인 항균 및 살균 효과를 가져오지 못한다는 문제를 갖는다.
특히, 이러한 시설을 조립식으로 제조하는 기술들도 많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42854에는 '실내바닥 및 벽체 겸용 조립식 마감재'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3583에는 '조립식 실내 벽면 장식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42854에 개시된 조립식 마감재는 인테리어 기능 보다는 마감재를 벽이나 바닥 전체에 블록식으로 탈부착하는 방식으로서 시설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가지나 시설비가 기존에 비해 많이 들 수 밖에 없고 인테리어로서의 효과 또한 매우 적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3583에 개시된 벽면 장신구는 조립식으로 실내 벽면의 전면에 양 기둥 사이에 전면 차단판의 양쪽을 조립하는 구조를 가지나, 벽면의 높이에 따라 전면 차단판의 길이가 커지기 때문에 조립식이라 하더라도 비효율적이며, 서로 병렬 연결되지 못하여 특정 위치(특정 부분)에만 국한적으로 설치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갖는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42854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3583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황토, 활성탄(숯) 및 결집체(볏짚 또는 왕겨)로 이루어진 블록체를 제공하여 친환경적인 인테리어 월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친환경 블록체를 시공함에 있어 누구나 쉽게 친환경 인테리어 월을 설치할 수 있도록 조립식이며 블록타입의 인테리어 월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누구나 DIY 구성이 가능하고, 원하는 만큼의 크기 및 수량을 조절하여 인테리어용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은, 황토, 활성탄 및 구조결집체의 배합에 의해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황토 구조체와, 상기 황토 구조체가 삽입되는 사각틀로 이루어지는 단위 블록체;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며, 상기 소정 간격 사이에 상기 단위 블록체가 블록 결합되도록 기둥이 되는 고정봉; 및 상기 단위 블록체와 상기 고정봉을 연결하는 연결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조결집체는 볏짚이나 왕겨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봉의 높이에 따라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고정봉의 길이 방향으로 블록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봉의 수량에 따라 폭 변경이 자유자재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블록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연결 블록이 체결될 수 있는 연결체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봉의 양측면에는 상기 연결 블록이 체결될 수 있는 연결홀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블록은 Y자형 후크이며, 상기 연결체에는 상기 Y자형 후크가 체결되는 제1 후크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의 연결홀은 상기 Y자형 후크가 체결되는 제2 및 제3 후크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블록은 후크바이며, 상기 후크바의 측면에는 수평부분과 경사부분이 연이어 형성된 후크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후크바 홈의 수평부분으로 들어가서 경사부분에서 고정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단위 블록체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ㄱ자 후크이고, 상기 고정봉의 양측면에는 상기 ㄱ자 후크가 체결되는 ㄱ자 후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블록은 H형 틀이며, 상기 H형 틀은 중심에 상기 고정봉이 끼워지는 봉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봉 삽입홀의 양측으로는 상기 단위 블록체가 삽입되는 블록체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봉 사이에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단위 블록체의 블록 결합에 따라 상기 고정봉 사이의 공간 전체, 격자 형태 구조, 가로 배열 구조 또는 임의 배열 구조의 형태로 블록 조립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단위 블록체에 삽입된 상기 황토 구조체는 교환이 가능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교환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황토, 활성탄(숯) 및 결집체(볏짚 또는 왕겨)로 이루어진 블록체를 제공하여 친환경적인 인테리어 월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친환경 블록체를 시공함에 있어 누구나 쉽게 친환경 인테리어 월을 설치할 수 있도록 조립식 및 블록타입의 인테리어 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누구나 DIY 구성이 가능하고, 원하는 만큼의 크기 및 수량을 조절하여 인테리어용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자연적인 블록체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 피톤치드 등의 항균 및 살균 물질을 내뿜을 수 있는 시간이 경과한 후에라도 블록체만을 교체할 수 있어 반영구적 자연친화적 물질이 생성될 수 있는 인테리어 월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블록체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인테리어 월을 형성함으로써, 인테리어 월 자체의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분해후 재조립이 가능하므로 이전 설치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에 사용되는 황토 구조체의 혼합 구성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의 단위 블록체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에서 단위 블록체와 고정봉과의 결합 구성의 제1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에서 단위 블록체와 고정봉과의 결합 구성의 제2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에서 단위 블록체와 고정봉과의 결합 구성의 제3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에서 단위 블록체와 고정봉과의 결합 구성의 제4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의 구성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에 사용되는 황토 구조체의 혼합 구성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Wall)에 사용되는 황토 구조체(110)는 3가지 방식으로 혼합 및 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A)와 같이, 황토 구조체(110)는 황토(112), 활성탄(숯, 114) 및 구조결집체(볏짚, 116)를 적절히 배합하여 경화시켜 사각 구조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B)와 같이, 황토 구조체(110)는 황토(112), 활성탄(114) 및 구조결집체(왕겨, 118)를 적절히 배합하여 경화시켜 사각 구조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C)와 같이, 황토 구조체(110)는 황토(112), 활성탄(114), 구조결집체(볏짚, 116) 및 구조결집체(왕겨, 118)를 혼합하여 성형시킬 수도 있다.
황토 구조체(100)는 황토 80~90중량%, 숯가루 2.5~7.5중량%, 분쇄된 볏짚 7.5~12.5중량%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물 또는 접착제 등의 혼합물을 함께 섞어 소정의 사각틀에서 경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황토 구조체(100)의 황토(112)는 태양에너지의 저장고라 불릴 정도로 동·식물의 성장에 꼭 필요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여 일명 살아있는 생명체라 불리기도 하며, 특히 황토 성분이 인체에 흡수되면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한다고 알려져 있고, 이러한 황토의 효능으로 인해 황토 그 자체에서 나오는 원적외선이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성화하여 오염된 하천이나 어항 및 적조현상으로 죽어가는 바다를 회복시키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공기 중의 비타민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음이온을 방출하여 산성화된 체질을 알칼리성으로 바꾸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해 주며, 황토 속에는 카라타제라는 활성 효모가 들어있어 노화의 원인인 활성산소, 과산화지질을 환원시키고 분해하며 체내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피부미용에도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숯가루(114)는 탄소 덩어리이므로 탄소가 발생하는 음이온은 무한정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실내에 숯을 천에 싸서 대바구니나 항아리 등에 넣어두면 오염된 공기가 놀랄 만큼 정화가 되며 화장실이나 신발장, 냉장고, 싱크대나 배수구 등에도 숯을 놓아두면 냄새가 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숯은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체 깊숙이 흡수되어 신체를 따뜻하고 편안하게 해 주며, 혈액순환촉진, 신진 대사촉진, 세포기능 활성화, 숙성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공질의 탄소 덩어리인 숯은, 습기를 흡착하고 방출하는 성질이 있어 강력한 제습 및 습도 조절 작용을 하고, 고온에서 구워진 숯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건조한 스펀지가 물을 깨끗이 흡착하듯이 주위의 습도를 줄여주고, 또 너무 건조하면 수분을 방출하여 습도 조절을 자연스럽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구조결집체(116, 118)의 볏짚이나 왕겨는 황토(112) 및 숯가루(114)와 배합시 분쇄하여 사용되며, 황토흙과 혼합될 경우 황토 흙이 굳을 때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어 구조 결집체로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의 단위 블록체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은 단위 블록체(200)들의 결합에 의해 월(Wall)이 형성되며 단위 블록체(200)들은 블록 쌓기 구조로 월을 형성하게 된다.
단위 블록체(200)는 사각 형태를 가지며, 도 1과 같이 황토(112), 숯가루(114) 및 구조결집체(116)의 배합에 의해 사각 형태로 형성된 황토 구조체(110)를 사각틀(210)에 삽입시킨 형태로 완성될 수 있다. 사각틀(210)의 전면측으로는 황토 구조체(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사각틀 커버(220)를 덮을 수 있고, 또는 사각틀(210) 내부에 리브 형태, 프레임 형태 또는 격자 주고 등의 칸을 구성하여 황토 구조체(110)가 빠지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사각틀(210)는 플라스틱 성형물이거나 나무로 형성한 틀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300)은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세워지는 기둥 역할을 하는 고정봉(310)과 양측의 고정봉(310) 사이에 블록 결합되는 단위 블록체(200)가 블록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봉(310)은 상받침(301)과 하받침(302), 그 사이에 블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들(303, 304, 305)이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블록들은 고정봉(3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분할된 블록A(303), 블록B(304) 및 블록C(305)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수는 길이에 따라 더 많아지거나 적어질 수 있다.
블록B(304) 및 블록C(305)는 측면에 단위 블록체(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결합홈들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받침(301)과 하받침(302)의 형상이나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상받침(301)은 천정면에 맞닿아 고정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고, 하받침(302)은 바닥면에 맞닿아 고정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를 통해, 단위 블록체(200)와 고정봉(310)의 결합 구조, 즉 블록 체결의 매개체인 연결 블록을 다양한 형태의 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에서 단위 블록체와 고정봉과의 결합 구성의 제1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위 블록체(200)와 고정봉(310)의 결합구성 제1 예시는 Y자형 후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후크부재(420)는 Y자형 후크로서, 제1 후크(421), 제2 후크(422) 및 제3 후크(423)가 형성되며,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에 제1 후크(421)가 마련되며 타측에 제2 및 제3 후크(422, 423)이 마련된다.
제2 및 제3 후크(422, 42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제1 후크(421)와 같은 방향으로 뻗은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각틀(210)의 양측면에는 후크부재(420)가 체결될 수 있는 고정부(410)가 형성되고, 고정부(410)에는 후크부재(420)의 제1 후크(421)가 끼워지는 제1 고정홈(411)이 형성되며, 고정봉(310) 즉 고정봉의 일측면(310A)에는 제2 및 제3 후크(422, 423)가 끼워질 수 있는 제2 및 제3 고정홈(412, 413)이 형성될 수 있다.
단위 블록체(200)의 양측은 고정봉(310)의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후크부재(420)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고정홈(411, 412, 413)의 위치에 따라 단위 블록체(200)가 블록 형태로 세로 방향으로 쌓이는 형태가 될 수 있고 소정의 공간을 둔 상태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어질 수 있다.
고정봉(310)의 제2 및 제3 고정홈(412, 413)들은 내측 및 외측 모두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단위 블록체(200)와의 결합에 의해 폭 방향으로 인테리어 월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에서 단위 블록체와 고정봉과의 결합 구성의 제2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각틀(210)의 양측에는 ㄱ자 후크(510)가 부착되고, 고정봉의 일측면(310A)에는 ㄱ자 후크홈(520)이 형성된다.
ㄱ자 후크(510)는 ㄱ자 후크홈(520)의 가로부분에 먼저 체결된 후 세로부분으로 내려져 사각틀(210)을 고정봉(310)에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탈착도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에서 단위 블록체와 고정봉과의 결합 구성의 제3 예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도 6의 제3 예시도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한 결합을 나타낸다.
사각틀(210)의 양측에는 틀 후크(610)가 장착된다.
고정봉(310)의 내측 및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후크바(600)가 결합되며, 후크바(600)의 소정 위치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후크바 홈(620)이 형성된다.
후크바 홈(620)은 수평부분과 경사부분으로 구분되며, 틀 후크(610)가 수평부분으로 입력되어 경사부분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경사부분은 강제적 탈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예시에서는 고정봉(310)과 후크바(600)를 별개의 구성품으로 하여 결합되는 것을 예시로서 설명하였지만, 고정봉(310)과 후크바(600)가 일체형의 단일품으로 형성되는 것도 상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에서 단위 블록체와 고정봉과의 결합 구성의 제4 예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제4 예시에서는 H형 틀(700)을 이용하여 단위 블록체(200)와 고정봉(310)의 결합을 이루게 된다.
H형 틀(700)은 중심에 봉 삽입홀(710)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블록체 삽입홈(720)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봉 삽입홀(710)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봉 삽입홀(710)에는 고정봉(310B)이 끼워지며, 삽입된 후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일정한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는 원형의 오링(730)이 고정봉(310B)에 먼저 끼워진 상태에서 H형 틀(700)을 잡아주게 된다.
H형 틀(700)을 끼운 상태에서(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단위 블록체(200)를 블록체 삽입홈(720)에 끼워 결합시키게 되면 단위 블록체(200)와 고정봉(310B)을 블록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봉(310B)은 상술한 고정봉(310)과 달리 단면이 원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에서는 단위 블록체(200)와 고정봉(300)의 블록 결합 구조를 예시로서 각각 설명하였지만, 하나 이상의 결합 구조를 병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구조의 결합 구조도 충분히 예상하여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의 구성예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테리어 월(800, 900)은 기본적으로 양측의 고정봉(310) 사이에 단위 블록체(200)를 블록 결합시킴으로써 세로 방향으로 단위 블록체(200)를 블록 쌓기가 가능하고, 폭 방향으로 고정봉(310)의 수를 늘림으로써 인테리어 월(800, 9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 월(800, 900)은 황토 및 숯으로 이루어진 단위 블록체(200)로 이루어지므로 친환경적인 내장재로서의 역할을 도모하게 된다.
이러한 인테리어 월(8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없이 세로 길이와 폭을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 또는 기호에 따라서는 공간을 두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테리어 월(900) 형태의 구현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위 블록체(200)는 천연 자연재료로 이루어지므로 그 기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화될 수 있으므로 단위 블록체(200)만을 새로운 것으로 언제든지 교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황토 구조체 112 : 황토
114 : 활성탄(숯) 116 : 구조결집체(볏짚)
118 : 구조결집체(왕겨) 200 : 단위 블록체
210 : 사각틀 220 : 사각틀 커버
300, 800, 900 : 인테리어 월 310 : 고정봉
410 : 고정부 420 : 후크부재
510 : ㄱ자 후크 520 : ㄱ자 후크홈
600 : 후크바 610 : 틀 후크
620 : 후크바 홈 630 : 볼트 홈
700 : H형 틀 710 : 봉 삽입홀
720 : 블록체 삽입홈 730 : 오링

Claims (10)

  1. 황토, 활성탄 및 구조결집체의 배합에 의해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황토 구조체와, 상기 황토 구조체가 삽입되는 사각틀로 이루어지는 단위 블록체;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며, 상기 소정 간격 사이에 상기 단위 블록체가 블록 결합되도록 기둥이 되는 고정봉; 및
    상기 단위 블록체와 상기 고정봉을 연결하는 연결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결집체는 볏짚이나 왕겨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의 높이에 따라 상기 단위 블록체는 상기 고정봉의 길이 방향으로 블록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봉의 수량에 따라 폭 변경이 자유자재로 조절이 가능한,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연결 블록이 체결될 수 있는 연결체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봉의 양측면에는 상기 연결 블록이 체결될 수 있는 연결홀이 마련되는,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Y자형 후크이며,
    상기 연결체에는 상기 Y자형 후크가 체결되는 제1 후크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의 연결홀은 상기 Y자형 후크가 체결되는 제2 및 제3 후크홀인,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후크바이며,
    상기 후크바의 측면에는 수평부분과 경사부분이 연이어 형성된 후크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후크바 홈의 수평부분으로 들어가서 경사부분에서 고정되는,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단위 블록체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ㄱ자 후크이고,
    상기 고정봉의 양측면에는 상기 ㄱ자 후크가 체결되는 ㄱ자 후크홈이 형성되는,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H형 틀이며,
    상기 H형 틀은 중심에 상기 고정봉이 끼워지는 봉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봉 삽입홀의 양측으로는 상기 단위 블록체가 삽입되는 블록체 삽입홈이 형성되는,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 사이에서 상기 단위 블록체는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단위 블록체의 블록 결합에 따라 상기 고정봉 사이의 공간 전체, 격자 형태 구조, 가로 배열 구조 또는 임의 배열 구조의 형태로 블록 조립이 가능한,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체에 삽입된 상기 황토 구조체는 교환이 가능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교환이 가능한,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KR1020160016999A 2016-02-15 2016-02-15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KR20170095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999A KR20170095522A (ko) 2016-02-15 2016-02-15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999A KR20170095522A (ko) 2016-02-15 2016-02-15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522A true KR20170095522A (ko) 2017-08-23

Family

ID=5975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999A KR20170095522A (ko) 2016-02-15 2016-02-15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55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05B1 (ko) * 2021-05-14 2022-03-22 홍종수 조립식 인테리어 벽체용 블록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8921A (ja) * 1991-12-02 1993-06-15 Sekisui Jushi Co Ltd ブロツク
KR20030067288A (ko) * 2002-02-07 2003-08-14 최규원 주택용 벽과 인테리어벽체 모양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벽돌판넬
KR20100107098A (ko) * 2009-03-25 2010-10-05 권오주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
KR101155880B1 (ko) * 2011-05-20 2012-06-20 이정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KR101205008B1 (ko) * 2012-08-23 2012-12-03 주식회사 한미철도 친환경 주택 시공을 위한 황토벽체패널
KR101224155B1 (ko) * 2012-02-20 2013-01-21 이정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8921A (ja) * 1991-12-02 1993-06-15 Sekisui Jushi Co Ltd ブロツク
KR20030067288A (ko) * 2002-02-07 2003-08-14 최규원 주택용 벽과 인테리어벽체 모양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벽돌판넬
KR20100107098A (ko) * 2009-03-25 2010-10-05 권오주 건물벽체용 에이엘씨블럭 조립체.
KR101155880B1 (ko) * 2011-05-20 2012-06-20 이정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KR101224155B1 (ko) * 2012-02-20 2013-01-21 이정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KR101205008B1 (ko) * 2012-08-23 2012-12-03 주식회사 한미철도 친환경 주택 시공을 위한 황토벽체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05B1 (ko) * 2021-05-14 2022-03-22 홍종수 조립식 인테리어 벽체용 블록
WO2022240118A1 (ko) * 2021-05-14 2022-11-17 홍종수 조립식 인테리어 벽체용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891B1 (ko) 조립식 화단
KR20170095522A (ko)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KR101275103B1 (ko) 프리캐스트 황토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073042A (ja) ソーラーパネルの水上設置システム
KR101205008B1 (ko) 친환경 주택 시공을 위한 황토벽체패널
KR100858719B1 (ko) 조립식 구들장
KR20230113953A (ko) 황토와 활성탄 및 결집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블록형 인테리어 월
CN105298010A (zh) 一种装配式内隔墙墙板
KR101391294B1 (ko) 식물 식재용 황토패널
CN205727515U (zh) 模块化羊舍
CN204090640U (zh) 一种可拼接的塑木花箱
KR101196541B1 (ko)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1133648B1 (ko) 실내 청정기능을 갖춘 침대
CN204392956U (zh) 住宅楼立体绿化结构件
KR20030008857A (ko) 황토와 활성탄을 이용한 단열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960003434B1 (ko) 액체 수납 블록
KR101166766B1 (ko) 황토 벽체구조
JP3218854U (ja) 複合機能性桐板材からなる構造体。
CN205077787U (zh) 一种具有吸附有害气体功能的天花板
CN204232062U (zh) 一种专用于大小鼠旷场实验的设备
JP3109332U (ja) 移動可能な温浴建物
CN201818072U (zh) 合晶能能量调理屋
KR102073489B1 (ko) 조립식 작물 재배 장치
KR100842233B1 (ko)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08251364U (zh) 一种绿植墙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