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880B1 -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880B1
KR101155880B1 KR1020110047614A KR20110047614A KR101155880B1 KR 101155880 B1 KR101155880 B1 KR 101155880B1 KR 1020110047614 A KR1020110047614 A KR 1020110047614A KR 20110047614 A KR20110047614 A KR 20110047614A KR 101155880 B1 KR101155880 B1 KR 10115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frame
ocher
pin
och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화 filed Critical 이정화
Priority to KR1020110047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880B1/ko
Priority to PCT/KR2012/002826 priority patent/WO2012161419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는 인테리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블럭을 이용하여 벽면을 인테리어 함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안정감 있고, 설치도 간편한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구조물 및 설치 방법은 지지축과 쐐기를 이용하여 황토블럭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설치 공정이 간단하고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단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적층 높이의 제한이 없으며, 설치 후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Interior Structure using Loess Block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는 인테리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블럭을 이용하여 벽면을 인테리어 함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안정감 있고, 설치도 간편한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마감재(바닥재 혹은 내장재)는 건축물의 내부벽면이나 바닥면을 마감하는 몰탈이나 외부벽면을 마감하는 몰탈, 타일, 블럭 등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들에는 유해한 화학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시공 후 다량 방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해 인체가 독성에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마감재중 실내의 벽면에 마감되는 마감재는 타설되어 구축된 콘크리트 벽면이나 블럭을 조적하여 구축되는 벽면에 모래와 시멘트 및 물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몰탈로 마감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몰탈마감 벽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벽지를 도배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페인트를 사용하거나 목재나 수지재 등으로 구성되는 2차마감재를 이용하여 최종 마감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1차 마감재로 사용되는 몰탈의 주요성분인 시멘트에서 상당량의 독성이 방출되고, 2차 마감재에서는 본드나 피브이시(PVC), 수지재 등에서 방출되는 유해가스와 목재 등에서 서식하는 유해충 등에 의하여 인체와 가정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멘트의 독성과 유해가스에 의하여 이용자들의 눈과 코 및 기관지에 상당한 유해를 가하게 됨은 물론, 각종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등 피부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어 근자에는 이러한 현상들을 새집증후군이라 칭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유해성분들로부터 안전한 실내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근래에는 황토를 함유한 벽지로 도배하거나, 유해성분을 중화시킬 수 있는 중화제를 마감면에 코팅 처리하는 등의 방법을 강구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해결에는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웰빙의 유행과 더불어 인체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마감재 또는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과 동시에, 이들을 구입, 설치하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시멘트의 독소 및 환경유해물질의 차단을 위해 황토 소재의 마감재가 널리 알려져 있다. 황토는 실리카와 알루미나, 철,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등 수많은 무기질을 함유한 미세입자이며,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과 많은 광물약성을 갖고 있는 살아 있는 흙으로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 방사할 뿐만 아니라 항균, 탈취 효능을 갖는 인체에 매우 유익한 광물이다.
이에, 이와 같은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자재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부스러져 가공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나 시공 상의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또한, 블록 형태로 적층되는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못할 경우 붕괴의 위험이 우려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한다. 따라서 가공이 용이하지 않은 황토블럭을 이용하여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벽면을 마감 또는 인테리어 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을 이루며 다단으로 적층되는 황토블럭을 이용하여 벽면을 인테리어 하되, 최소한으로 가공된 황토블럭을 지지프레임과 쐐기 및 쐐기에 의해 슬라이드 되는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구조물은 복수의 황토블럭; 벽면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측면프레임; 벽면의 타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측면프레임; 상면에 상기 황토블럭이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벽면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단프레임; 벽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하단프레임에 연결되며, 벽면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하면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이 연결되도록 벽면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단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황토블럭은, 상기 하단프레임의 상면에 다단으로 적층되되, 상기 제1 측면프레임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 사이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프레임에는, 타측면에 상기 황토블럭의 측부가 끼워지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제1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프레임에는, 일측면에 상기 황토블럭의 측부가 끼워지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제2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테리어 구조물은, 상기 황토블럭의 양측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드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홀의 중앙부에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쐐기홀; 상기 슬라이드홀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쐐기홀에 삽입되는 쐐기; 상기 슬라이드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쐐기에 맞닿고,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맞닿는 황토블럭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제1 핀; 상기 슬라이드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쐐기에 맞닿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맞닿는 황토블럭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제2 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핀 및 상기 제2 핀은 상기 쐐기의 반경만큼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황토블럭은, 황토, 백토, 머드, 황토와 백토의 혼합물 및 황토와 맥반석의 혼합물, 황토와 머드의 혼합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설치 방법은 A) 제1 측면프레임과 제2 측면프레임을 벽면의 양측에 고정하는 단계; B) 하단프레임을 제1 측면프레임과 제2 측면프레임에 연결하고, 벽면의 하측에 고정하는 단계; C) 제1 측면프레임의 타측과, 제2 측면프레임의 일측에 황토블럭을 다단으로 끼움 적층하는 단계; D)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벽면의 폭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하여 하단프레임에 고정하는 단계; E) 상단프레임을 각각의 지지프레임에 연결하고, 벽면의 상측에 고정하는 단계; F) 상기 지지프레임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 사이에 황토블럭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단계; G)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쐐기홀에 쐐기를 삽입하여 상기 황토블럭을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G)단계는, a) 쐐기 삽입 시, 상기 쐐기의 끝단이 상기 제1 핀과 제2 핀을 이격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핀과 제2 핀이 이격된 거리만큼 상기 제1 핀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핀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계; c) 상기 제1 핀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면에 맞닿는 황토블럭의 고정홈에 끼워지고, 상기 제2 핀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면에 맞닿는 황토블럭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인테리어 구조물 및 설치 방법은 지지축과 쐐기를 이용하여 황토블럭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설치 공정이 간단하고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다단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적층 높이의 제한이 없으며, 설치 후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물 전체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물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물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황토블럭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조물 설치 전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조물 설치 후 부분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테리어 구조물은 황토블럭(10), 제1 측면프레임(20), 제2 측면프레임(30), 하단프레임(40), 지지프레임(50) 및 상단프레임(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황토블럭(10)은 가공이 용이하도록 직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토블럭(10)은 설치 시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측면에 고정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홈(11) 대신 상기 황토블럭(10)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고정홀(미도시)의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홈(11)은 상기 황토블럭(10)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단면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홈(11)의 단면 형상을 사각형으로 기재하였으나, 상기 고정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수단의 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황토블럭(10)은 벽면에 열을 이루어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세 설치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황토블럭(10)의 재질은 황토, 백토 또는 머드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강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황토와 백토의 혼합물, 황토와 맥반석의 혼합물 또는 황토와 머드의 혼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황토와 백토의 혼합물의 비는 황토 60~80중량%와, 백토 20~4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황토와 맥반석의 혼합물의 비는 황토 70~90 중량%와 맥반석 10~3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황토와 머드의 혼합물의 비는 황토 70~90 중량%와 머드 10~3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측면프레임(20) 및 제2 측면프레임(3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20, 30)의 재질은 황토블럭(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0)은 벽면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상기 제1 프레임(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1 프레임(2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프레임(20)의 타측면에는 상기 황토블럭(10)이 적층되었을 때, 측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 끼움홈(21)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끼움홈(21)의 형상은 상기 황토블럭(10)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끼움홈(21)은 상기 황토블럭(10)이 끼워졌을 때 상기 황토블럭(10)이 벽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측면프레임(30)은 벽면의 타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상기 제2 측면프레임(3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2 측면프레임(3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프레임(30)의 일측면에는 상기 황토블럭(10)이 적층되었을 때, 측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2 끼움홈(31)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끼움홈(31)의 형상은 상기 황토블럭(10)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끼움홈(31)은 상기 황토블럭(10)이 끼워졌을 때 상기 황토블럭(10)이 벽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프레임(4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프레임(40)은 벽면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단프레임(40)의 일단은 상기 제1 측면프레임(20)의 하단부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측면프레임(30)의 하단부 일측에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하단프레임(40)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끼움홈(21)에 대응되도록 제1 돌출부(41)가 상기 하단프레임(40)이 일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돌출부(41)가 상기 제1 끼움홈(2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프레임(40)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 끼움홈(31)에 대응되도록 제2 돌출부(42)가 상기 하단프레임(40)이 타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돌출부(42)가 상기 제2 끼움홈(3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단프레임(40)의 재질은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상기 하단프레임(40)을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하단프레임(4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단프레임(40)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50)의 하단부 고정을 위한 제1 지지홈(4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홈(43)은 상기 하단프레임(4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홈(43)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벽면 폭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홈(43)의 이격거리는 상기 황토블럭(10)의 폭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지지홈(43)의 단면 형상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지지홈(43)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이 끼워졌을 때 상기 지지프레임(50)이 벽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5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재질은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벽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지지홈(43)에 삽입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나사 또는 볼트로 상기 하단프레임(40)에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의 두께는 상기 황토블럭(10)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20, 30)의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은 슬라이드홀(51), 쐐기홀(52), 쐐기(53), 제1 핀(54) 및 제2 핀(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홀(51)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홀(51)은 복수 개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황토블럭(10)의 다단으로 적층되었을 때, 각각의 고정홈(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쐐기홀(52)은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홀(51)의 중앙부에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쐐기(53)는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드홀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쐐기홀(5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쐐기(53)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상기 쐐기(53)의 타단은 블레이드 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핀(54)은 상기 슬라이드홀(51)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쐐기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핀(54)은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일측면에 맞닿는 황토블럭(10)의 고정홈(11)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핀(55)은 상기 슬라이드홀(51)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쐐기(53)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핀(55)은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타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프레임(50)의 타측면에 맞닿는 황토블럭(10)의 고정홈(11)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핀(54)의 타단 모서리에는 상기 쐐기(53)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1 모서리홈(54a)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핀(55)의 일단 모서리에는 상기 쐐기(53)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2 모서리홈(55a)이 형성된다. 초기 설치 시 상기 제1 핀(54)과 제2 핀(55)은 상기 슬라이드홀(51)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쐐기(53)가 쐐기홀(5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쐐기(53)의 반경만큼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황토블럭(10)을 고정시키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단프레임(6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프레임(60)은 벽면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단프레임(60)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상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상단프레임(60)의 양단부는 상기 제1 측면프레임(20)의 상단 타측면과 상기 제2 측면프레임(30)의 상단 일측면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단프레임(60)의 재질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상기 상단프레임(60)을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상단프레임(6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단프레임(60)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상단부 고정을 위한 제2 지지홈(6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홈(61)은 상기 상단프레임(6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홈(61)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벽면 폭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홈(61)의 이격거리는 상기 황토블럭(10)의 폭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지지홈(61)의 단면 형상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지지홈(61)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이 끼워졌을 때 상기 지지프레임(50)이 벽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테리어 구조물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A) 제1 측면프레임(20)과 제2 측면프레임(30)을 벽면의 양측에 고정하는 단계; 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 측면프레임(20)과 제2 측면프레임(30)은 벽면에 앵커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측면프레임(20)과 제2 측면프레임(30)은 벽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B) 하단프레임(40)을 제1 측면프레임(20)과 제2 측면프레임(30)에 연결하고, 벽면의 하측에 고정하는 단계; 를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단프레임(40)의 제1 돌출부(41)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20)의 제1 끼움홈(21)에 삽입 고정 시키며, 제2 돌출부(42)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30)의 제2 끼움홈(31)에 삽입 고정 시키게 된다. 또한, 하단프레임(40)은 벽면에 앵커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단프레임(40)은 벽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C) 제1 측면프레임(20)의 타측과, 제2 측면프레임(30)의 일측에 황토블럭(10)을 다단으로 끼움 적층하는 단계; 를 수행한다. 지지프레임(50)을 설치하기 전에 황토블럭(10)을 제1 측면프레임(20)의 타측과, 제2 측면프레임(30)의 일측에 우선 적층하는 이유는, 황토블럭(10)을 상기 제1 측면프레임(20)의 제1 끼움홈(21)과 제2 측면프레임(30)의 제2 끼움홈(31)에 끼움 적층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측면프레임(20)의 타측에 일렬로 황토블럭을 우선 끼움적층하고, 제2 측면프레임(30)의 일측에 일렬로 황토블럭을 끼움적층한 후 후술되는 지지프레임(50)이 설치된다. 상기 황토블럭(10)은 벽면에 밀착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황토블럭(10)은 상기 하단프레임(40)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하여 상기 하단프레임(40)이 상기 황토블럭(1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D) 복수의 지지프레임(50)을 벽면의 폭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하여 하단프레임(40)에 고정하는 단계; 를 수행한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은 하단부가 상기 하단프레임(40)에 형성되는 제1 지지홈(43)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볼트 또는 나사 고정을 통해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수는 황토블럭(10)의 벽면 폭 방향 길이와 벽면의 폭에 따라 도면상에 도시된 수보다 가감 설치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50)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홀(51)에는 제1 핀(54)과 제2 핀(55)이 삽입된 상태이며, 상기 제1 핀(54)의 타단과 상기 제2 핀(55)의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50)에 형성된 쐐기홀(52)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핀(54)의 일단과 제2 핀(55)의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설치된다.
다음으로, E) 상단프레임(60)을 각각의 지지프레임(50)에 연결하고, 벽면의 상측에 고정하는 단계; 를 수행한다. 상기 상단프레임(60)에 형성되는 제2 지지홈(61)에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단프레임(60)은 벽면에 앵커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단프레임(60)은 벽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F) 상기 지지프레임(50)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50) 사이에 황토블럭(10)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단계; 를 수행한다. 상기 황토블럭(10)은 양측면이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측면에 맞닿도록 단순 적층하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이때에도 상기 황토블럭(10)은 상기 하단프레임(40)의 상면에 다단으로 적층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상기 지지프레임(50)에 형성된 쐐기홀(52)에 쐐기(53)를 삽입하여 상기 황토블럭(10)을 고정시키는 단계; 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a) 쐐기(53) 삽입 시, 상기 쐐기(53)의 타단부가 상기 제1 핀(54)과 제2 핀(55)을 이격시키는 단계; 를 수행하며, b) 상기 제1 핀(54)과 제2 핀(55)이 이격된 거리만큼 상기 제1 핀(54)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핀(55)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타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계; 를 수행한다. 따라서 c) 상기 제1 핀(54)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일측면에 맞닿는 황토블럭(10)의 고정홈(11)에 끼워지고, 상기 제2 핀(55)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50)의 타측면에 맞닿는 황토블럭(10)의 고정홈(11)에 끼워지는 단계; 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G) 단계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50)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50) 사이에 단순 적층된 황토블럭(1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황토블럭 11 : 고정홈
20 : 제1 측면프레임 21 : 제1 끼움홈
30 : 제2 측면프레임 31 : 제2 끼움홈
40 : 하단프레임 41 : 제1 돌출부
42 : 제2 돌출부 43 : 제1 지지홈
50 : 지지프레임 51 : 슬라이드홀
52 : 쐐기홀 53 : 쐐기
54 : 제1 핀 55 : 제2 핀
60 : 상단프레임 61 : 제2 지지홈

Claims (6)

  1. 복수의 황토블럭(10);
    벽면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측면프레임(20);
    벽면의 타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측면프레임(30);
    상면에 상기 황토블럭(10)이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벽면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30)에 연결되는 하단프레임(40);
    벽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하단프레임(40)에 연결되며, 벽면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는 지지프레임(50); 및
    하면에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상단이 연결되도록 벽면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단프레임(60); 을 포함하며,
    상기 황토블럭(10)은, 상기 하단프레임(40)의 상면에 다단으로 적층되되, 상기 제1 측면프레임(20)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50), 상기 지지프레임(50)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50)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30)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50) 사이에 적층되고,
    상기 황토블럭(10)의 양측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11);
    상기 고정홈(11)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양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라이드홀(51);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홀(51)의 중앙부에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쐐기홀(52);
    상기 슬라이드홀(51)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쐐기홀(52)에 삽입되는 쐐기(53);
    상기 슬라이드홀(51)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쐐기(53)에 맞닿고,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일측에 맞닿는 황토블럭(10)의 고정홈(11)에 끼워지는 제1 핀(54);
    상기 슬라이드홀(51)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쐐기(53)에 맞닿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프레임(50)의 타측에 맞닿는 황토블럭(10)의 고정홈(11)에 끼워지는 제2 핀(55); 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핀(54) 및 상기 제2 핀(55)은 상기 쐐기(53)의 반경만큼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측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프레임(20)에는, 타측면에 상기 황토블럭(10)의 측부가 끼워지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제1 끼움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프레임(30)에는, 일측면에 상기 황토블럭(10)의 측부가 끼워지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제2 끼움홈(31)이 형성되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블럭(10)은,
    황토, 백토, 머드, 황토와 백토의 혼합물 및 황토와 맥반석의 혼합물, 황토와 머드의 혼합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의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을 설치하는 설치 방법에 있어서,
    A) 제1 측면프레임(20)과 제2 측면프레임(30)을 벽면의 양측에 고정하는 단계;
    B) 하단프레임(40)을 제1 측면프레임(20)과 제2 측면프레임(30)에 연결하고, 벽면의 하측에 고정하는 단계;
    C) 제1 측면프레임(20)의 타측과, 제2 측면프레임(30)의 일측에 황토블럭(10)을 다단으로 끼움 적층하는 단계;
    D) 복수의 지지프레임(50)을 벽면의 폭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하여 하단프레임(40)에 고정하는 단계;
    E) 상단프레임(60)을 각각의 지지프레임(50)에 연결하고, 벽면의 상측에 고정하는 단계;
    F) 상기 지지프레임(50)과 이웃하는 지지프레임(50) 사이에 황토블럭(10)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단계;
    G) 상기 지지프레임(50)에 형성된 쐐기홀(52)에 쐐기(53)를 삽입하여 상기 황토블럭(10)을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설치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는,
    a) 쐐기(53) 삽입 시, 상기 쐐기(53)의 끝단이 상기 제1 핀(54)과 제2 핀(55)을 이격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 핀(54)과 제2 핀(55)이 이격된 거리만큼 상기 제1 핀(54)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핀(55)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타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계;
    c) 상기 제1 핀(54)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일측면에 맞닿는 황토블럭(10)의 고정홈(11)에 끼워지고, 상기 제2 핀(55)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타측면에 맞닿는 황토블럭(10)의 고정홈(11)에 끼워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설치 방법.
KR1020110047614A 2011-05-20 2011-05-20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KR101155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614A KR101155880B1 (ko) 2011-05-20 2011-05-20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PCT/KR2012/002826 WO2012161419A2 (ko) 2011-05-20 2012-04-13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614A KR101155880B1 (ko) 2011-05-20 2011-05-20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880B1 true KR101155880B1 (ko) 2012-06-20

Family

ID=4668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614A KR101155880B1 (ko) 2011-05-20 2011-05-20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522A (ko) * 2016-02-15 2017-08-23 (주)포밍코리아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9729A (ja) * 1996-04-11 1997-10-28 Takeshige Shimonohara 構築用パネル体の連結方法
KR100646609B1 (ko) * 2006-08-02 2006-11-2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실 벽체 조적 구조물
KR100659729B1 (ko) * 2006-10-02 2006-12-20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의 블록 조립식 내부벽체
KR100689603B1 (ko) 2006-12-15 2007-03-02 (주)제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설치하는 못박기 용이한 조립식 내부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9729A (ja) * 1996-04-11 1997-10-28 Takeshige Shimonohara 構築用パネル体の連結方法
KR100646609B1 (ko) * 2006-08-02 2006-11-23 주식회사 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실 벽체 조적 구조물
KR100659729B1 (ko) * 2006-10-02 2006-12-20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의 블록 조립식 내부벽체
KR100689603B1 (ko) 2006-12-15 2007-03-02 (주)제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설치하는 못박기 용이한 조립식 내부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522A (ko) * 2016-02-15 2017-08-23 (주)포밍코리아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8993B2 (en) Bracket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CA2526876C (en) Thin stone or thin brick veneer wall system and clips therefor
US20070151190A1 (en) Thin stone or thin brick veneer wall system and clips therefor
KR101353546B1 (ko) 목재벽돌조립체
EP1445391B1 (en) Assembly of prefabricated components for making floor slabs, floors and walls with exposed wood beams
KR100994783B1 (ko) 생태재료를 활용한 조립식 생태건축용 단위패널 및 이에 의한 생태건축물
KR101155880B1 (ko)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KR101477234B1 (ko) 한옥과 목조주택을 현대 건축에 도입한 건축 구조
KR101224155B1 (ko)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US8429873B2 (en) Modular construction panels, system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KR101680470B1 (ko) 교체벽지를 구비한 조립식 황토판넬
KR100881063B1 (ko) 목재 패널을 이용한 황토 벽체
KR200456284Y1 (ko) 건축용 친환경 마감패널
JP6788449B2 (ja) 建物
JP6788351B2 (ja) 建物
KR101166773B1 (ko) 황토벽체 및 그 시공방법
NO JACKSON COUNTY
JP6043072B2 (ja) 耐震断熱改修構造
KR20120028192A (ko) 석재를 이용한 커튼월
KR20180029508A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 구조
KR102149289B1 (ko)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방수단턱
KR101265791B1 (ko) 건축물의 지하 벽면 배수를 위한 마감 내장재
KR200268198Y1 (ko) 다층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저감패널
KR20090126660A (ko) 허니컴판재와 그를 이용한 황토몰탈의 시공방법
KR101010517B1 (ko)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