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517B1 -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517B1
KR101010517B1 KR1020100060369A KR20100060369A KR101010517B1 KR 101010517 B1 KR101010517 B1 KR 101010517B1 KR 1020100060369 A KR1020100060369 A KR 1020100060369A KR 20100060369 A KR20100060369 A KR 20100060369A KR 101010517 B1 KR101010517 B1 KR 101010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prefabricated wall
weight
fram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성
Original Assignee
신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성 filed Critical 신은성
Priority to KR102010006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0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directly attached to the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벽체 패널과 조립식 벽체 패널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프레임에는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부가 형성되고,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돌부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며, 디귿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이 상기 패널의 좌우측면을 감싸고,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하부프레임 간, 상기 좌우측면프레임 간에는 평철구조물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과 평철구조물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평철구조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앵커너트가 내설되며, 기능성 합판이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전면에는 강화유리와 상기 기능성 합판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내부에는 기포콘크리트 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패널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 및 내벽을 간단한 단계를 통해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외벽을 설치함에 있어서, 패널에 내설된 앵커너트에 리프팅볼트를 결합하고 와이어를 연결하여 벽체 패널을 들어올려 건물의 외벽프레임에 설치된 브래킷에 결합함으로써 외벽의 설치가 완결되므로, 벽체의 시공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 방법{PREFABRICATED WALL PANEL AND WALL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 벽체 패널과 조립식 벽체 패널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신축할 때, 건축물의 구조를 지탱하고 내부를 구획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벽체는 대부분이 벽돌을 축조하거나 또는 몰타르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양생하는 방식을 주로 적용하였으나, 최근에는 경량벽체라 하여 합판이나 석고보드 등을 이용하여 벽체의 내, 외부를 구성한 후 그 내부에 흡음재 등을 충진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방식의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건축물의 외벽체는 벽돌이나, 콘크리트 몰타르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건축물의 내부에서 건물을 구획하는 내벽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합판이나 석고보드를 활용한 경량벽체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의 벽체는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경량이지만, 시공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차음성이 떨어지고, 내화성이 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벽체로는 부적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건물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건물의 대부분을 강화유리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런 건물의 경우에는 단열효과가 떨어져 건물의 에너지 비용이 높아지고, 유지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립식 벽체 패널과 조립식 벽체 패널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은, 상부프레임에는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부가 형성되고,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돌부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며, 디귿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이 상기 패널의 좌우측면을 감싸고,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하부프레임 간, 상기 좌우측면프레임 간에는 평철구조물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과 평철구조물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평철구조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앵커너트가 내설되며, 기능성 합판이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전면에는 강화유리와 상기 기능성 합판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내부에는 기포콘크리트 층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내부에 스티로폼 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비된 스티로폼 판의 양면에 상기 기포콘크리트 층이 양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능성 합판은, 소나무, 참나무 및 볏짚의 혼합분말에 황토와 맥반석 분말을 혼합하고, 식물성 접착제를 첨가하여 제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 합판은, 소나무와 참나무의 혼합분말 85 내지 90 중량 %, 볏짚 4 내지 7 중량 %, 황토와 백반석의 혼합분말 4 내지 7 중량 %, 식물성 접착제 2 내지 3 중량 % 의 비로 혼합하고 판형으로 건조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패널. 다른 한편, 상기 기능성 합판은, 싸조아리 쑥, 약쑥, 귤껍질, 귤나무 톱밥, 지푸라기의 혼합물에 백봉염, 천마 및 해초류의 식물성 접착제를 첨가하여 제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 합판은, 싸조아리 쑥 15 중량 %, 약쑥 15 중량 %, 귤 껍질 15 중량 %, 귤나무 톱밥 20 중량 %, 지푸라기 10 중량 %, 백봉염 10 중량 %, 천마 10 중량 %, 해초류 5 중량 %의 비로 혼합하고 판형으로 건조하여 제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합판은 3개월간 바닷물에 침전되어 방염 처리되어 제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의 설치 방법은,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상부에 내설된 앵커너트에 패널의 전면에서 리프팅볼트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리프팅볼트에 와이어를 걸어 조립식 벽체 패널을 리프팅하는 단계; 및 건물 외벽프레임에 고정설치된 브래킷과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상하부에 내설된 앵커너트를 패널의 후면에서 고정볼트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 및 내벽을 간단한 단계를 통해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외벽을 설치함에 있어서, 패널에 내설된 앵커너트에 리프팅볼트를 결합하고 와이어를 연결하여 벽체 패널을 들어올려 건물의 외벽프레임에 설치된 브래킷에 결합함으로써 외벽의 설치가 완결되므로, 벽체의 시공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게 된다.
또한,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새집 증후군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단열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단열재로 쓰이는 스티로폼을 기포콘크리트 내부에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내화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외벽체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면을 강화유리를 결합하여 외관이 수려하고, 별도의 도색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의 골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의 중앙부에 창틀프레임이 더 설치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을 건물 외벽프레임의 브래킷에 결합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을 리프팅하여 건물 외벽프레임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이 반복적으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100)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100)의 골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100)은, 상부프레임(110), 하부프레임(120), 한 쌍의 측면프레임(130), 평철구조물(140), 내설된 앵커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프레임(110)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길이 방향으로 돌부(111)가 형성된다.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과 같이 잘 부식되지 않는 금속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프레임(110)의 내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프레임(120)은 상부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잘 부식되지 않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프레임(110)의 돌부(111)에 대응되는 요홈(1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프레임(110)의 돌부(111)와 하부프레임(120)의 요홈(121)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벽체 패널(100)을 반복적으로 조립하는 경우에 돌부(111)가 요홈(12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조립식 벽체 패널(100)의 좌우측에는 측면프레임(130)이 결합된다. 측면프레임(130)은 단면이 디귿자형으로 패널(100)의 좌우측을 감싸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프레임(130)의 경우에도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과 동일한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프레임(110), 하부프레임(120) 및 측면프레임(130)의 사이에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평철구조물(140)이 설치된다. 평철구조물(140)은 판형의 긴 금속 플레이트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교차하여 결합된 구조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너트(150)가 평철구조물(140)과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에 의해 둘러 쌓여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평철구조물(14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철구조물(140)은 앵커너트(150)를 고정결합하는 역할과 함께 조립식 벽체 패널(100)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물의 역할을 하게 되며,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에는 기포콘크리트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콘크리트 내부에 내설되는 철근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앵커너트(150)는 상.하부프레임(120)과 평철프레임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조립식 벽체 패널(100)을 건물의 외벽프레임에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곳이며, 양생된 벽체 패널(100)을 리프팅함에 있어서, 리프팅볼트(251)가 결합되는 곳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100)은 필요에 따라 중앙부에 창틀프레임(18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창틀프레임(180)에는 창호(181)가 설치된다. 벽체를 조립시에 창이 필요한 곳에 상기의 창호(181)가 설치된 조립식 벽체 패널(100)을 적절히 배치하면 된다.
조립식 벽체 패널(100)의 전면과 후면에는 기능성 합판(160) 또는 강화유리(170)가 결합될 수 있다. 기능성 합판(160)이라 함은, 인체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서, 소나무, 참나무 및 볏짚의 혼합분말에 황토와 맥반석 분말을 혼합하고, 식물성 접착제를 첨가하여 제작되는 합판을 의미하는데, 소나무와 참나무의 혼합분말 85 내지 90 중량 %, 볏짚 4 내지 7 중량 %, 황토와 백반석의 혼합분말 4 내지 7 중량 %, 식물성 접착제 2 내지 3 중량 % 의 비로 혼합하여 판형으로 건조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나무와 참나무는 친환경적인 재료이다. 소나무 목재는 단단하고 잘 썩지 않으며 벌레가 생기거나 휘거나 갈라지지도 않는다. 참나무 목재 또한 단단하고 잘 썩지 않으며, 변형이 잘 생기지 않는 특징이 있다. 소나무와 참나무는 바닷물에 약 3개월 이상 담궜다가 말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토와 맥반석은 음이온을 방출하는 물질로 잘 알려져 있으며, 소나무와 참나무가 부식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소나무, 참나무, 볏짚, 황토, 맥반석의 분말에 점성을 주어 판형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식물성 접착제를 혼합한다. 식물성 접착제라 함은 송진, 녹말풀 등 식물에서 추출되거나 식물을 가공하여 생산되는 점성이 강한 물질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식물성 접착제는 점성이 강할수록 좋다.
다른 한편, 기능성 합판(160)은 또 다른 친환경 재료로서 싸조아리 쑥 15 중량 %, 약쑥 15 중량 %, 귤 껍질 15 중량 %, 귤나무 톱밥 20 중량 %, 지푸라기 10 중량 %, 백봉염 10 중량 %, 천마 10 중량 %, 해초류 5 중량 %의 비로 혼합하고 판형으로 건조하여 제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백봉염, 천마, 해초류는 점성 접착제로도 기능할 수 있다.
조립식 벽체 패널(100)이 외벽에 사용되는 패널인 경우에는 건물의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에는 강화유리(17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건물의 내부를 향하는 후면에는 기능성 합판(16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에 강화유리(170)를 사용하는 것은 건물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비가 오는 경우에 물에 노출되므로 물에 젖지 않는 재질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유리재질은 외관이 미려하고, 잘 부식되지 않으므로 오랜 기간동안 건물의 외벽을 깔끔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색을 함유하고 있는 강화유리(170)를 사용할 수 있다. 건물의 내부를 향하는 후면에는 상기 기술된 기능성 합판(160)을 설치하는 것이 실내 환경의 개선에 도움이 된다.
조립식 벽체 패널(100)은 건물의 외벽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건물의 내벽에도 사용될 수 있다. 건물의 내벽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패널의 전.후면 모두를 기능성 합판(16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립식 벽체 패널(100)의 내부에는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패널을 양생한다. 이때,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는 시멘트, 전분 및 난연 보온재를 혼합하여 타설하되, 시멘트는 78 내지 92 중량%, 전분은 3 내지 7 중량%, 난연 보온재는 암면 또는 연질수성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5 내지 15 중량% 의 비로 혼합하여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기포콘크리트 시공법은 시멘트에 혼화재와 물을 혼합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도록 하는 시공법인데, 본 발명에서는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 시멘트를 주 재료로 하되, 전분을 혼합하여 점성에 의한 결합력을 높이고, 난연 보온재인 암면 또는 연질 수성폼을 혼합하여, 난연성을 강화한다. 특히 연질 수성폼을 혼합하는 경우에는 벽체 패널의 무게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뛰어난 난연재의 역할을 한다. 또한, 기포가 내부에 잘 형성되어 흡음성이 더욱 향상된다.
다른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식 벽체 패널(100)의 측면 프레임(130)의 내부에는 기포콘크리트 층(196) 외에 스티로폼 판(19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티로폼 판(190)은 기포콘크리트 층(196)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금속으로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역시 측면 프레임과 같은 내부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스티로폼은 재료로서 내열 및 방열 효과가 우수하지만, 열에 약하여 내화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티로폼 판(190)을 기포콘크리트 층(196) 내부에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단열성을 높이는 동시에 내화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 환봉(192)을 설치하고, 그 위에 폭 50 mm, 두께 3 mm 정도의 직사각형의 평철(193)을 걸친다. 그리고 평철(193) 상에 스티로폼 판(190)을 얹는다. 한편, 스티로폼 판(190) 위에는 도 3과 같이 제2 환봉(194)을 설치하고, 보적(195)을 제2 환봉(194)과 스티로폼 판(190) 사이에 끼워 넣어 스티로폼 판(19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서 위에서부터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기포콘크리트는 스티로폼 판(190)에 형성된 홀(191)을 통해서 내려가 아래 부분부터 채워진다. 이때, 기포콘크리트가 아래쪽부터 채워지면서 스티로폼 판(190)을 위로 밀어올릴 수 있는데, 기 설치한 평판(193)이나 보적(195)은 스티로폼 판(190)이 아래 부분부터 밀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조립식 벽체 패널(100)은 225 mm의 두께로 구비되어도 충분하며, 강화유리(170)는 3 mm, 스티로폼 판(190)은 100 mm, 평철(192)은 3 mm, 스티로폼 판(190)의 양면에 구비되는 기포콘크리트 층(195)은 각각 46 mm와 70 mm, 기능성 합판(160)은 3 mm의 두께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체 패널(100)을 이용하여 벽체를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100)의 상부에 내설된 앵커너트(150)에 패널의 전면에서 리프팅볼트(251)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리프팅볼트(251)에 와이어(252)를 걸어 조립식 벽체 패널(100)을 리프팅하는 단계 및 건물 외벽프레임에 고정설치된 브래킷과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100)의 상하부에 내설된 앵커너트(150)를 패널(100)의 후면에서 고정볼트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우선 양생된 조립식 벽체 패널(100)의 상부에 내설된 앵커너트(150)에 패널(100)의 전면방향에서 리프팅볼트(251)를 결합하고 와이어(252)를 연결하여 패널(100)을 들어올린다. 들어 올려진 벽체 패널(100)의 앵커너트(150)를 콘크리트슬라브(210)에 결합된 외벽프레임(22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된 브래킷(230)의 결합구(231)와 연결되도록 조절하고 건물의 내부에서 고정볼트(240)를 이용하여 브래킷(230)과 패널(100)의 상하부에 형성된 앵커너트(150)를 결합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건물의 외벽을 조립식 벽체 패널(100)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조립식 벽체 패널(100)이 반복적으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건물 외벽 전체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벽체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벽체가 설치된 후에는 조립된 벽체 패널(100) 사이에 물이 새지 않도록 마감처리를 한다.
100 : 조립식 벽체 패널 110 : 상부프레임
111 : 돌부 120 : 하부프레임
121 : 요홈 130 : 측면프레임
140 : 평철구조물 150 : 앵커너트
160 : 기능성 합판 170 : 강화유리
180 : 창틀프레임 190 : 스티로폼 판
191 : 홀 192 : 제1 환봉
193 : 평철 194 : 제2 환봉
195 : 보적 196 : 콘크리트층
210 : 콘크리트 슬라브 220 : 외벽프레임
230 : 브래킷 240 : 고정볼트
251 : 리프팅볼트 252 : 와이어

Claims (10)

  1. 조립식 벽체 패널에 있어서,
    상부프레임에는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돌부가 형성되고,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돌부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며,
    디귿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이 상기 패널의 좌우측면을 감싸고,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하부프레임 간, 상기 좌우측면프레임 간에는 평철구조물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과 평철구조물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평철구조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앵커너트가 내설되며,
    기능성 합판이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전면에는 강화유리와 상기 기능성 합판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내부에는 기포콘크리트 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내부에 스티로폼 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비된 스티로폼 판의 양면에 상기 기포콘크리트 층이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합판은, 소나무, 참나무 및 볏짚의 혼합분말에 황토와 맥반석 분말을 혼합하고, 식물성 접착제를 첨가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합판은, 소나무와 참나무의 혼합분말 85 내지 90 중량 %, 볏짚 4 내지 7 중량 %, 황토와 백반석의 혼합분말 4 내지 7 중량 %, 식물성 접착제 2 내지 3 중량 % 의 비로 혼합하고 판형으로 건조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합판은, 싸조아리 쑥, 약쑥, 귤껍질, 귤나무 톱밥, 지푸라기의 혼합물에 백봉염, 천마 및 해초류의 식물성 접착제를 첨가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합판은, 싸조아리 쑥 15 중량 %, 약쑥 15 중량 %, 귤 껍질 15 중량 %, 귤나무 톱밥 20 중량 %, 지푸라기 10 중량 %, 백봉염 10 중량 %, 천마 10 중량 %, 해초류 5 중량 %의 비로 혼합하고 판형으로 건조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패널.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합판은 3개월간 바닷물에 침전되어 방염 처리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콘크리트 층을 타설함에 있어서는 시멘트, 전분 및 난연 보온재를 혼합하여 타설하되, 시멘트는 78 내지 92 중량%, 전분은 3 내지 7 중량%, 난연 보온재는 암면 또는 연질수성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5 내지 15 중량% 의 비로 혼합하여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에는 중앙부에 창틀프레임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패널.
  10. 조립식 벽체 패널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식 벽체 패널의 상부에 내설된 앵커너트에 패널의 전면에서 리프팅볼트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리프팅볼트에 와이어를 걸어 조립식 벽체 패널을 리프팅하는 단계; 및 건물 외벽프레임에 고정설치된 브래킷과 상기 조립식 벽체 패널의 상하부에 내설된 앵커너트를 패널의 후면에서 고정볼트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패널의 설치 방법.
KR1020100060369A 2010-06-25 2010-06-25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 방법 KR101010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369A KR101010517B1 (ko) 2010-06-25 2010-06-25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369A KR101010517B1 (ko) 2010-06-25 2010-06-25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517B1 true KR101010517B1 (ko) 2011-01-28

Family

ID=4361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369A KR101010517B1 (ko) 2010-06-25 2010-06-25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5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5703A1 (en) * 2004-10-09 2006-04-13 Simmons Robert J Defined relative-motion tongue-and-groove building-surfacing-panel interface
KR20060110920A (ko) * 2005-04-20 2006-10-26 김세중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
KR20080094496A (ko) * 2007-04-20 2008-10-23 유영한 보안 특성을 향상시킨 벽체 조립식 판넬
KR20100048376A (ko) * 2008-10-31 2010-05-11 대림산업 주식회사 상변화물질이 표면이 집중화된 경량 벽체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5703A1 (en) * 2004-10-09 2006-04-13 Simmons Robert J Defined relative-motion tongue-and-groove building-surfacing-panel interface
KR20060110920A (ko) * 2005-04-20 2006-10-26 김세중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
KR20080094496A (ko) * 2007-04-20 2008-10-23 유영한 보안 특성을 향상시킨 벽체 조립식 판넬
KR20100048376A (ko) * 2008-10-31 2010-05-11 대림산업 주식회사 상변화물질이 표면이 집중화된 경량 벽체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3523B2 (en) Insulated wall panel
KR20110104589A (ko)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방법
KR20200035815A (ko) 단열패널유닛 및 이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상하 결합구조
KR20090113408A (ko) 마감패널의 용이한 고정구조를 갖는 방수와 단열 및 방음벽체
KR100887757B1 (ko) 한옥의 벽체구조
CN207672806U (zh) 一种中空装配式墙板系统
KR101010517B1 (ko)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 방법
KR100828432B1 (ko) 초경량 단열블록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주택
CN108018986B (zh) 一种结构与节能一体化半装配式预制外墙板及其施工方法
KR20130134136A (ko)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0845245B1 (ko) 건물외장용 패널의 시공방법
CN111101594A (zh) 一种冷弯薄壁轻钢结构建筑
US20120036795A1 (en) Polyhedra Building System with Composite walls
CN207277621U (zh) 轻质隔音砌体墙
KR20070009270A (ko) 황토패널의 구조
KR100980567B1 (ko) 고성능 단열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물 외벽의 단열 마감 시공 방법
KR102214758B1 (ko) 건축물의 외단열에 사용되는 pf석재패널 등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패널 시공법
CN211690738U (zh) 一种冷弯薄壁轻钢结构建筑
CN211736024U (zh) 一种免模板、免抹灰的结构、保温、装饰复合一体板
CN101532321A (zh) 一种建筑复合板材的生产方法
KR200420072Y1 (ko) 건축용 조립식 방화 판넬
KR101897581B1 (ko) 장식용 건축부재
EP3059354B1 (en) Structural module and method for mounting structural modules
KR20060107480A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CN211313177U (zh) 绿色建筑预制混凝土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