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136A -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4136A
KR20130134136A KR1020120057427A KR20120057427A KR20130134136A KR 20130134136 A KR20130134136 A KR 20130134136A KR 1020120057427 A KR1020120057427 A KR 1020120057427A KR 20120057427 A KR20120057427 A KR 20120057427A KR 20130134136 A KR20130134136 A KR 20130134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ongitudinal
prefabricated building
concrete blocks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배
김영연
Original Assignee
김용배
김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배, 김영연 filed Critical 김용배
Priority to KR102012005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4136A/ko
Publication of KR2013013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6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modules,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슬래브(4)에 일정간격마다 앵커볼트(16)를 박고, 앵커볼트(16)에 종근(22)을 체결하고, 블록본체의 상하단에 횡근홈(26)을 형성하고 양측면에 종근홈(28)을 형성하여서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구성하고, 종근(22)을 종근홈(28)에 끼워서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적층하고 횡근홈(26)에 횡근(24)을 배치하여서 외벽(6)을 형성하고, 내벽용 연결근(25)들을 횡근홈(26)에서부터 외벽(6)의 내측벽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하고, 횡근홈(26) 및 종근홈(28)에 자체평활성을 지니며 PH가 8∼11로 형성된 결합재(30)(30a)를 주입하여 경화시키고, 외벽(6)의 상단에는 다수의 각재(12)들을 겹쳐지게 설치한 후,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결된 종근(22)이 외벽(6)을 지나 각재(12)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서 서까래(10)에 연결 고정하고, 내벽용 연결근(25)들에 목재로 형성된 내벽(5)들을 연결 고정함으로서, 구조물 전체가 횡근 및 종근으로 일체로 연결되고, 시공이 매우 간단 용이하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간의 접합부의 결합력이 매우 견고하여 전체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BUILDING}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재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블록을 혼재하여 사용하면서도 이들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쾌적한 주거환경에 대한 도시인들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도시외곽이나 조용한 시골에 조립식 건축물이 많이 지어지고 있다.
조립식 건축물은 목재, 샌드위치 패널, 시멘트 블록,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등의 여러가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목재는 경량이고 친환경적이나 복층으로 시공할 경우는 구조가 복잡해지며, 샌드위치 패널이나 시멘트 블록은 시공성이 좋은 반면에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은 친환경적이고 경량이며 내화성, 시공성이 좋은 반면에 외부에서 전해지는 충격에 약하고 압축강도가 일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현저히 떨어져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못이나 앵커와 같은 철물을 고정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친환경 재료들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목재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들을 함께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목재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이 매우 가볍고 친환경적이어서 인체에 무해하고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들 간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은 못이나 앵커와 같은 철물을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그로 인해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된 벽체 등과 목재로 된 지붕 등을 체결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ALC)간의 접착제로 사용되는 시멘트 모르타르가 PH 등의 물성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ALC)과 달라 수축 현상이 일어나 시멘트 모르타르가 흘러내려 접착부가 일부분만 붙어 있게 되고 경화 후에는 틈새나 크랙이 발생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하고 방음이나 단열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멘트 모르타르는 바른 후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구 등을 이용하여 마감처리가 필요하며, 세로방향의 구조강도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 종근을 배근하기 위해서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들의 세로방향으로 종근홈을 형성하여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어야 하는데, 시멘트 모르타르가 종근홈을 따라 틈새없이 매끈하게 도포되지 못하며 별도의 마감처리를 하기가 곤란하여 종근을 별도로 배근하지 못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 소재인 목재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여 시공이 매우 간단 용이하면서도 구조물 전체가 횡근 및 종근으로 일체로 연결되고, 이들 접합부간의 결합력이 견고하여 전체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음이나 단열효과가 우수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 슬래브(4)에 일정간격마다 앵커볼트(16)를 박고, 앵커볼트(16)에 종근(22)을 체결하고, 블록본체의 상하단에 횡근홈(26)을 형성하고 양측면에 종근홈(28)을 형성하여서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구성하고, 종근(22)을 종근홈(28)에 끼워서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적층하고 횡근홈(26)에 횡근(24)을 배치하여서 외벽(6)을 형성하고, 내벽용 연결근(25)들을 횡근홈(26)에서부터 외벽(6)의 내측벽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하고, 횡근홈(26) 및 종근홈(28)에 자체평활성을 지니며 PH가 8∼11로 형성된 결합재(30)(30a)를 주입하여 경화시키고, 외벽(6)의 상단에는 다수의 각재(12)들을 겹쳐지게 설치한 후,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결된 종근(22)이 외벽(6)을 지나 각재(12)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서 서까래(10)에 연결 고정하고, 내벽용 연결근(25)들에 목재로 형성된 내벽(5)들을 연결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 슬래브(4)에 일정간격마다 앵커볼트(16)를 박고, 앵커볼트(16)에 종근(22)을 체결하고, 블록본체의 양측면에 종근홈(28)을 형성하여서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구성하고, 블록본체의 상하단에 메쉬망(42)을 배치하고 종근(22)을 종근홈(28)에 끼우며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적층하여서 외벽(6)을 형성하고, 횡근홈(26) 및 종근홈(28)에 자체평활성을 지니며 PH가 8∼11로 형성된 결합재(30)(30a)를 주입하여 경화시키고, 외벽(6)의 상단에는 다수의 각재(12)들을 겹쳐지게 설치한 후,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결된 종근(22)이 외벽(6)을 지나 각재(12)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서 서까래(10)에 연결 고정하고, 고정구(미도시)를 이용하여 목재로 형성된 내벽(5)들을 외벽(6)에 연결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목재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복수의 재료로 형성된 구조물 전체가 횡근 및 종근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견고하며, 이들의 접착제로 시멘트 모르타르 대신에 자체 평활성이 있으면서도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물성이 유사한 결합재를 사용하여 시공이 매우 간단 용이하면서도 상호간의 결합력이 견고하여 방음이나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전체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내벽을 조적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내벽을 조적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의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의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내벽의 최상단의 모습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외벽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하고 내벽과 지붕은 목재 소재로 형성한 시공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횡근과 종근 및 내벽용 연결근을 구조물에 일체로 배근하고 접합부간의 접착제로 시멘트 모르타르 대신에 자체 평활성이 있으면서도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물성이 유사한 결합재를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충격과 압축강도가 취약하여 못이나 철근 등을 고정하기가 곤란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들에 미리 종근홈과 횡근홈을 형성하여 이들을 조적한 후 종근 및 횡근을 일체로 배근하고 이들 접합부에 자체 평활성이 있는 결합재를 위에서부터 붓는 것만으로도 바로 견고하게 접합되므로 시공이 매우 신속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내벽을 조적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내벽을 조적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의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의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내벽의 최상단의 모습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은 복수층으로 구성되고, 내벽(5)과 지붕(7)은 목재, 층간 바닥판(9)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패널(21), 외벽(6)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으로 구성된다.
외벽(6)으로 사용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본체에 횡근홈(26)과 종근홈(28)이 형성되어서 구성된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은 경량이고 시공성이 우수한 반면에 습기와 수분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은 공장에서 재가공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건조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에 형성된 횡근홈(26) 및 종근홈(28)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근(22) 및 횡근(24)을 동시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하나의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내벽면에 위치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에는 내벽용 목재판(31)과 연결되는 연결근홈(29)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연결근홈(29)은 내벽용 연결근(25) 직경의 2배 정도로 형성하여서 내벽용 연결근(25)이 삽입된 후 어느 정도 유동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외벽(6)은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조적한 후 횡근홈(26)과 종근홈(28)에 종근(22) 및 횡근(24) 및 내벽용 연결근(25)을 배근하고 결합재(30)를 붓는 형태로 시공한다.
외벽(6)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을 3∼4개 단위로 쌓아서 횡근(24) 및 종근(22)을 배근하고 결합재(30)를 주입한 후 그 위로 또는 옆으로 다시 3∼4개 단위의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을 전단계와 동일한 과정으로 조적한 후 고정구(40)를 이용하여 횡근(24) 및 종근(22)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종근(22) 및 횡근(24)으로는 전산볼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근홈(28)에는 1개의 종근(22), 횡근홈(26)에는 2개의 횡근(24)을 배근할 수 있으므로, 종근(22)을 횡근(24)에 비하여 굵은 직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종근(22) 및 횡근(24)은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의 단위 갯수만큼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근홈(26)에 배근되는 횡근(24)의 상단으로는 내벽(5)과 연결되는 내벽용 연결근(25)이 배근되어 외벽(6)중 내벽면에 위치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에 형성된 연결근홈(29)을 지나 외벽(6)의 내벽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내벽용 연결근(25) 또한 전산볼트로 형성할 수 있으며, 내벽용 연결근(25)은 후에 목재로 형성된 내벽(5)에 연결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 본체의 상하단에 횡근홈(26)과 횡근(24)을 형성하는 대신에 메쉬망(42)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내벽(5)과 외벽(6)의 연결도 연결근홈(29)(33)을 형성하고 내벽용 연결근(25)을 배치하는 대신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전용으로 사용되는 고정구(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구조물의 접착제로 사용되는 결합재(30)(30a)는 자체 평활성을 가지고 PH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과 유사한 8∼11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재(30)는 PH가 8∼10으로 형성된 석고계 조성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석고계 조성물에 시멘트를 혼합하여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재(30)를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와 고유동화제와 소포제 및 알킬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서 형성할 수 있다.
결합재(30)의 제1 성분인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은, 석고(gypsum)의 일종으로 그 중에서도 알파(α)형의 소석고(calcined gypssum)에 속한다.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은 전체 결합재(30)의 70질량% 이상 함유되도록 제조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79∼94질량%의 함유량 범위를 유지하도록 조성한다.
결합재(30)의 제2 성분인 수경성 시멘트는 물과의 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딱딱하게 굳게 되는 시멘트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형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V형 포틀랜드 시멘트는 내황산성이 우수하고, 습식인 경우 경화 중에 발생하는 수축 및 팽창 등에 의한 치수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합재(30)에서 수경성 시멘트의 함유량은 전체 조성물의 5∼20질량%가 적당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질량%이다. 상기 수경성 시멘트를 전체 결합재(30)의 20% 이상으로 사용하면 무게가 많이 나가고 건조시 크랙(Crack)현상이 생길 수 있다.
결합재(30)의 미량 성분으로 첨가되는 고유동화제로는, 나프탈렌 설포네이트(naphthalene sulfonates), 나프탈렌 설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농축액(naphthalene sulfonate-formaldehyde condensates),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calcium lignosulfonate), 멜라민 설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농축액(melamine sulfonate-formaldehyde condensates) 및 폴리카르복시산(polycarboxylic acids)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고유동화제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0.5질량% 이상이 되도록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0.5∼0.75질량% 범위내로 함유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결합재(30)의 다른 미량 성분으로서 소포제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tributyl phosphate), 실리콘(silicones), 보레이트 에스테르(borate esters), 석유 유도체(petroleum derivatives) 및 3차 부틸 프탈레이트(tert-butyl phthalates)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서 사용한다. 소포제의 함유량은 결합재(30)의 0.2질량% 이상이 되도록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0.2∼0.5질량% 범위내로 함유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결합재(30)에는 미량의 알킬셀룰로오스가 함유된다. 알킬셀룰로오스로는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hydroxyalkylcelluloses), 2-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2-hydroxypropylcellulose)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알킬셀룰로오스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결합재(30)의 0.002질량% 이상이 되도록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0.002∼0.01질량% 범위내로 함유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결합재(30)에 물을 첨가하고 1∼2분(minute)동안 교반하여서 균일한 슬러리(slurry) 상태가 되도록 제조한다. 결합재(30)와 물은 1 : 0.4 내지 1 : 0.55의 질량비가 되도록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슬러리 상태가 된 결합재(30)를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의 횡근홈(26) 및 종근홈(28)에 직접 붓거나 호스 등을 이용하여서 펌핑할 수 있다. 횡근홈(26) 및 종근홈(28)을 따라 주입된 결합재(30)는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간의 접촉면으로 넓게 퍼진다.
상기와 같은 결합재(30)는 자체 평활성이 아주 우수하여 별도의 플로팅이나 마감처리 없이 펌핑하는 것만으로도 틈새없이 횡근홈(26) 및 종근홈(28)을 따라 매끈하게 도포되므로 시공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과 PH 등의 물성이 매우 유사하므로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 자체가 결합재(30)를 흡수하여 상호 일체화되어 결합력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결합재(30a)는 자체 평활성을 가지며 PH가 10∼11로 형성된 무수축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결합재(30a)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포함하여서 형성하되, 플라이애쉬와 규사 등을 더 첨가하여서 형성할 수 있다. 결합재(30a)의 제1성분인 포틀랜드 시멘트는 알카리성분을 0.6%이하 함유하고 있는 저알칼리시멘트로서 내황산성이 우수하고, 습식인 경우 경화 중에 발생하는 수축 및 팽창 등에 의한 치수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결합재(30a)는 결합재(30)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수축현상이 없어 접합부가 틈새없이 긴밀하게 결합되므로 방음이나 단열효과가 우수하고, 별도의 플로팅이나 마감처리 없이 펌핑하는 것만으로도 틈새없이 횡근홈(26) 및 종근홈(28)을 따라 매끈하게 도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벽체(5)는 상기와 같이 외벽(6)으로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6) 바깥쪽에 이중외벽(8)을 배치하여서 이중벽으로 벽체(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중외벽(8)은 시멘트 모르타르를 접착제로 이용하여 이중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20)을 적층하여서 형성할 수 있다.
이중외벽(8)과 외벽(6) 사이에는 틈새(15)를 두어서 단열효과 뿐만 아니라, 이중외벽(8) 마감재의 틈 등을 통하여 습기와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틈새(15)내에서 증발할 수 있도록 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2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중외벽(8) 용도로 사용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20)은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 본체로 구성되며,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에 비하여 폭과 길이는 동일하나 두께는 ½배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중외벽(8)과 외벽(6)은 15∼25㎜ 간격의 틈새(15)를 두고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중외벽(8)과 외벽(6) 사이는 결합핀(38)에 의해 연결된다. 결합핀(38)은 파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중외벽(8)과 외벽(6) 사이의 틈새(15)에 배치되어 이중외벽(8)과 외벽(6)을 연결한다.
이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층 조립식 건축물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래브(4)에 일정간격마다 앵커볼트(16)를 박고, 앵커볼트(16)에 종근(22)으로 사용되는 전산볼트를 끼워서 체결한다.
그리고, 종근홈(28)에 종근(22)을 끼워서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갯수로 쌓는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의 횡근홈(26)에 횡근(24)을 배근하고, 내벽용 연결근(25)이 횡근홈(26)의 횡근(24) 상단에서부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의 연결근홈(29)을 지나 내측벽면으로 돌출되도록 배근한다.
그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근홈(28) 및 횡근홈(26) 및 연결근홈(29)에 결합재(30)를 주입하여서 경화한다. 그리고, 전단계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1층의 외벽(6)을 형성한다. 이때, 단위 갯수의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간의 종근(22) 및 횡근(24)은 고정구(4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2층을 시공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의 천장면과 2층 바닥 사이의 층간 바닥판(9)을 복수개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패널(21)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경량 기포 콘크리트패널(21)들의 접합부(25) 사이마다 횡근(23)을 배치하고, 접합부(25)에 결합재(30)(30a)를 주입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층간 바닥판(9)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패널(21) 외에도 목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결된 종근(22)은 1층의 천장면과 2층 바닥 사이의 층간 공간(14)을 통과하여 2층으로 연속하여 연결된다.
한편,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내벽(5)은 목재로 형성할 수 있는데,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6)에서 건축물 내측으로 돌출된 내벽용 연결근(25)에 내벽용 목재판(31)을 연결 고정하여서 형성할 수 있다.
외벽(6)과 내벽용 목재판(31) 사이에는 방수시트를 더 부착할 수 있다.
내벽용 목재판(31)에는 미리 연결근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벽용 연결근(25)을 연결근홈(33)에 끼운 후 그 틈새에 실리콘을 채우고 내벽용 목재판(31)으로 돌출된 내벽용 연결근(25)에 고정구(35)를 끼워서 고정한다.
이때, 연결근홈(33)은 내벽용 연결근(25)의 직경보다 2배로 형성되고, 내벽용 연결근(25)과의 틈새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채워지므로 내벽용 연결근(25)은 진동에 대하여 어느정도 유동가능하게 되어 내진성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2층의 시공은 1층과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 갯수의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쌓고,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의 종근홈(28)과 횡근홈(26)에 종근(22) 및 횡근(24)을 배근하며, 종근홈(28) 및 횡근홈(26)에 결합재(30)(30a)를 주입하여서 경화한 후, 전단계의 과정을 반복하여서 2층 외벽(6)을 시공한다.
2층 외벽(6)을 시공한 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재(12)를 이중으로 겹쳐서 이중 윗깔도리를 설치하고,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1,2층을 통과하여서 연결된 종근(22)이 각재(12)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체결구로 고정한다. 이때, 2층 외벽(6)의 최상단에 있으며 각재(12)의 바로 아래에 있는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에는 상단 횡근홈(26)을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종근(22)에는 서까래(10)를 체결하고, 각재(12)와 서까래(10) 사이에는 보막이(36)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20)으로 형성된 벽체(5) 및 목재로 형성된 지붕(7)이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장된 종근(22)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되고, 시공이 매우 간편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20)간의 접합부가 틈새없이 긴밀하게 결합되므로 방음이나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전체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4 : 바닥 슬래브 5 : 내벽
6 : 외벽 8 : 이중외벽
9 : 층간 바닥판 10 : 서까래
12,32 : 각재 16 : 앵커볼트
18,20 :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21 : 경량 기포 콘크리트패널
22 : 종근 23,24 : 횡근
25 : 내벽용 연결근 26 : 횡근홈
28 : 종근홈 29,33 : 연결근홈
30,30a : 결합재 31 : 내벽용 목재판

Claims (7)

  1.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 슬래브(4)에 일정간격마다 앵커볼트(16)를 박고, 앵커볼트(16)에 종근(22)을 체결하고, 블록본체의 상하단에 횡근홈(26)을 형성하고 양측면에 종근홈(28)을 형성하여서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구성하고, 종근(22)을 종근홈(28)에 끼워서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적층하고 횡근홈(26)에 횡근(24)을 배치하여서 외벽(6)을 형성하고, 내벽용 연결근(25)들을 횡근홈(26)에서부터 외벽(6)의 내측벽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하고, 횡근홈(26) 및 종근홈(28)에 자체평활성을 지니며 PH가 8∼11로 형성된 결합재(30)(30a)를 주입하여 경화시키고, 외벽(6)의 상단에는 다수의 각재(12)들을 겹쳐지게 설치한 후,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결된 종근(22)이 외벽(6)을 지나 각재(12)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서 서까래(10)에 연결 고정하고, 내벽용 연결근(25)들에 목재로 형성된 내벽(5)들을 연결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2.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 슬래브(4)에 일정간격마다 앵커볼트(16)를 박고, 앵커볼트(16)에 종근(22)을 체결하고, 블록본체의 양측면에 종근홈(28)을 형성하여서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구성하고, 블록본체의 상하단에 메쉬망(42)을 배치하고 종근(22)을 종근홈(28)에 끼우며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적층하여서 외벽(6)을 형성하고, 횡근홈(26) 및 종근홈(28)에 자체평활성을 지니며 PH가 8∼11로 형성된 결합재(30)(30a)를 주입하여 경화시키고, 외벽(6)의 상단에는 다수의 각재(12)들을 겹쳐지게 설치한 후,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결된 종근(22)이 외벽(6)을 지나 각재(12)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서 서까래(10)에 연결 고정하고, 고정구(미도시)를 이용하여 목재로 형성된 내벽(5)들을 외벽(6)에 연결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립식 건축물(2)은 복수층으로 형성되고, 층간 바닥판(9)은 복수개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패널(21)로 형성되고,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결된 종근(22)은 상하층의 층간 바닥판(9)을 통과하여서 서까래(10)까지 연속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층간 바닥판(9)은 복수개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패널(21)의 접합부(25) 사이마다 횡근(23)이 배치되고, 접합부(25)에 결합재(30)(30a)를 주입하여 경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결합재(30)는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하여서 PH가 8∼10으로 형성된 석고계 시멘트 조성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결합재(30a)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포함하여서 PH가 10∼11로 형성된 무수축 시멘트 모르타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외벽(6)의 외측에는 틈새를 두고 이중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20)들을 적층하여서 이중외벽(8)을 형성하고, 틈새(15)에는 일정간격마다 결합핀(38)이 장치되어 이중외벽(8)과 외벽(6)을 연결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20120057427A 2012-05-30 2012-05-30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130134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427A KR20130134136A (ko) 2012-05-30 2012-05-30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427A KR20130134136A (ko) 2012-05-30 2012-05-30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136A true KR20130134136A (ko) 2013-12-10

Family

ID=4998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427A KR20130134136A (ko) 2012-05-30 2012-05-30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41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8432A (zh) * 2015-08-18 2015-12-23 北京建工华创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混凝土剪力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06958318A (zh) * 2017-05-10 2017-07-18 三筑工科技有限公司 墙板单元及基础、多层组合墙板结构和施工工艺
KR20180115960A (ko) * 2017-04-14 2018-10-24 오희부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KR20190019119A (ko) * 2019-02-19 2019-02-26 오희부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8432A (zh) * 2015-08-18 2015-12-23 北京建工华创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混凝土剪力墙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80115960A (ko) * 2017-04-14 2018-10-24 오희부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CN106958318A (zh) * 2017-05-10 2017-07-18 三筑工科技有限公司 墙板单元及基础、多层组合墙板结构和施工工艺
KR20190019119A (ko) * 2019-02-19 2019-02-26 오희부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5905B2 (en)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ositions for build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US9809981B2 (en)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precast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panels and high energy-efficient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8209927B2 (en) Structural fiber cement building materials
US6742315B2 (en) Method of making a wall system
US9353523B2 (en) Insulated wall panel
US20100236177A1 (en) Solar/stud block
US20100229489A1 (en) Method of Autoclaved Aerated Concrete (AAC) Wall Construction
WO2013052427A2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using light weight panels
KR20130134136A (ko)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US20060188740A1 (en) Composite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RU16544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1165737B1 (ko)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CA2517733A1 (en) Composite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6639095B (zh) 一种旋切板胶合木—轻质混凝土组合楼板体系
KR20130005585A (ko)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방법
CN214614798U (zh) 轻质隔墙板
KR200334341Y1 (ko) 건축물의 내외부면용 경량복합패널 및 경량복합패널조립체
RU2431023C2 (ru) Облегченный изоляцио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KR20120006263A (ko) 벽체 시공방법
CN201620493U (zh) 非承重石膏砌块隔墙
CN206396908U (zh) 一种轻质陶玻夹芯板与楼面钢梁的装配构件
RU47400U1 (ru) Слоистая стена
JP2016148149A (ja) 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10517B1 (ko) 조립식 벽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설치 방법
WO2020202201A1 (en) Cellular lightweight solid cement partition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