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737B1 -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737B1
KR101165737B1 KR1020110090340A KR20110090340A KR101165737B1 KR 101165737 B1 KR101165737 B1 KR 101165737B1 KR 1020110090340 A KR1020110090340 A KR 1020110090340A KR 20110090340 A KR20110090340 A KR 20110090340A KR 101165737 B1 KR101165737 B1 KR 10116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ongitudinal
concrete blocks
transvers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배
김영연
Original Assignee
김영연
김용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연, 김용배 filed Critical 김영연
Priority to KR102011009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슬래브(4)에 일정간격마다 앵커볼트(16)를 박고, 앵커볼트(16)에 종근(22)을 체결하고, 블록본체의 상하단에 횡근홈(26)을 형성하고 양측면에 종근홈(28)을 형성하여서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구성하고, 종근(22)을 종근홈(28)에 끼워서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적층하며,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의 횡근홈(26)에 횡근(24)을 배치하고, 횡근홈(26) 및 종근홈(28)에 자체 평활성을 가지고 PH가 8~10으로 형성되며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한 석고계 결합재(30)를 주입하여 경화시켜서 내벽(6)을 형성하고, 내벽(6)의 외측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20)들을 적층하여서 외벽(8)을 형성하고, 내벽(6)의 상단에는 다수의 각재(12)들을 겹쳐지게 설치한 후,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결된 종근(22)이 내벽(6)을 지나 각재(12)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서 서까래(10)에 연결 고정함으로서, 바닥 슬래브,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으로 된 벽체 및 목재로 된 지붕이 견고하게 연결되고, 시공이 매우 간단 용이하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간의 접합부의 결합력이 견고하여 전체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BUILDING}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판과 지붕은 목재로 하고 벽체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쾌적한 주거환경에 대한 도시인들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도시외곽이나 조용한 시골에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이 많이 지어지고 있다.
조립식 건축물은 목재, 샌드위치 패널, 시멘트 블록,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등의 여러가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목재는 경량이고 친환경적이나 복층으로 시공할 경우는 구조가 복잡해지며, 샌드위치 패널이나 시멘트 블록은 시공성이 좋은 반면에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은 친환경적이고 경량이며 내화성, 시공성이 좋은 반면에 외부에서 전해지는 충격에 약하고 압축강도가 일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현저히 떨어져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못이나 앵커와 같은 철물을 고정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여 복수의 재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이 지어지고 있는데, 지붕과 바닥판은 목재로 하고, 벽체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는 시공방법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지붕과 바닥판에 사용하는 목재와 벽체에 사용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이 매우 가볍고 친환경적이어서 인체에 무해하고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에 못이나 앵커와 같은 철물을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그로 인해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된 벽체와 목재로 된 지붕을 체결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ALC)간의 접착제로 사용되는 시멘트 모르타르가 PH 등의 물성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ALC)과 달라 수축 현상이 일어나 시멘트 모르타르가 흘러내려 접착부가 일부분만 붙어 있게 되고 경화 후에는 틈새나 크랙이 발생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하고 방음이나 단열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멘트 모르타르는 바른 후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구 등을 이용하여 마감처리가 필요하며, 세로방향의 철근인 종근을 배근하기 위해서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들의 세로방향으로 종근홈을 형성하여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어야 하는데, 시멘트 모르타르가 종근홈을 따라 틈새없이 매끈하게 도포되지 못하며 별도의 마감처리를 하기가 곤란하여 종근을 별도로 배근하지 못하여 전체 구조물의 강도가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 소재인 목재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여 시공이 매우 간단 용이하면서도 바닥 슬래브부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으로 조성된 벽체 및 서까래까지 견고하게 연결되고, 접합부간의 결합력이 견고하여 전체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음이나 단열효과가 우수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 슬래브에 일정간격마다 앵커볼트를 박고, 앵커볼트에 종근을 체결하고, 블록본체의 상하단에 횡근홈을 형성하고 양측면에 종근홈을 형성하여서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들을 구성하고, 종근을 종근홈에 끼워서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들을 적층하며,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들의 횡근홈에 횡근을 배치하고, 횡근홈 및 종근홈에 자체 평활성을 가지고 PH가 8~10으로 형성되며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한 석고계 결합재를 주입하여 경화시켜서 내벽을 형성하고, 내벽의 외측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들을 적층하여서 외벽을 형성하고, 내벽의 상단에는 다수의 각재들을 겹쳐지게 설치한 후, 바닥 슬래브에서부터 연결된 종근이 내벽을 지나 각재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서 서까래에 연결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 슬래브부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으로 조성된 벽체, 층간 목재 바닥판 및 서까래까지 종근이 일체로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견고하며,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간의 접착제로 시멘트 모르타르 대신에 자체 평활성이 있으면서도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물성이 유사한 석고계 결합재를 사용하여 시공이 매우 간단 용이하면서도 상호간의 결합력이 견고하여 방음이나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전체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내벽을 조적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들에 석고계 결합재를 투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내벽의 최상단의 모습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벽체를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으로 구성하고 층간 바닥판과 지붕을 목재로 구성한 건축물에서, 종근을 바닥 슬래브에서부터 벽체, 층간 바닥판 및 서까래까지 일체로 연결하고, 접합부간의 접착제로 시멘트 모르타르 대신에 자체 평활성이 있으면서도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과 물성이 유사한 석고계 결합재를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내벽을 조적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들에 석고계 결합재를 투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내벽의 최상단의 모습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은 복수층으로 구성되고, 층간 바닥판(9)과 지붕(7)은 목재로 구성되며, 벽체(5)는 외벽(8)과 내벽(6)의 이중벽으로 형성하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20)으로 구성된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20)은 경량이고 시공성이 우수한 반면에 습기와 수분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벽체(5)를 외벽(8)과 내벽(6)의 이중벽으로 형성하고 외벽(8)과 내벽(6) 사이에 틈새(15)를 두어서 단열효과 뿐만 아니라, 외벽(8) 마감재의 틈 등을 통하여 습기와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틈새(15)내에서 증발할 수 있도록 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20)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벽체(5)로 사용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20)중 외벽용으로 사용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 본체로 구성되며, 내벽용으로 사용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본체에 횡근홈(26)과 종근홈(28)이 형성되어서 구성된다. 이때,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은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20)에 비하여 폭과 길이는 동일하나 두께는 2배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에 형성된 횡근홈(26) 및 종근홈(28)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근(22) 및 횡근(24)을 동시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하나의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외벽(8)과 내벽(6)은 15~25㎜ 간격의 틈새(15)를 두고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벽(8)과 내벽(6) 사이는 결합핀(38)에 의해 연결된다. 결합핀(38)은 파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벽(8)과 내벽(6) 사이의 틈새(15)에 배치되어 외벽(8)과 내벽(6)을 연결한다.
외벽(8)은 시멘트 모르타르를 접착제로 이용하여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20)을 적층하며, 내벽(6)은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조적한 후 횡근홈(26)과 종근홈(28)에 종근(22) 및 횡근(24)을 배근하고 석고계 결합재(30)를 붓는 형태로 시공한다.
내벽(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을 3~4개 단위로 쌓아서 횡근(24) 및 종근(22)을 배근하고 석고계 결합재(30)를 주입한 후 그 위로 또는 옆으로 다시 3~4개 단위의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을 전단계와 동일한 과정으로 조적한 후 고정구(40)를 이용하여 횡근(24) 및 종근(22)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종근(22) 및 횡근(24)으로는 전산볼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근홈(28)에는 1개의 종근(22), 횡근홈(26)에는 2개의 횡근(24)을 배근할 수 있으므로, 종근(22)을 횡근(24)에 비하여 굵은 직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종근(22) 및 횡근(24)은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의 단위 갯수만큼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의 접착제로 사용되는 석고계 결합재(30)는 자체 평활성을 가지고 PH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과 유사한 8~10으로 형성된 석고계 조성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석고계 조성물에 시멘트를 혼합하여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석고계 결합재(30)를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와 고유동화제와 소포제 및 알킬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서 형성할 수 있다.
석고계 결합재(30)의 제1 성분인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은, 석고(gypsum)의 일종으로 그 중에서도 알파(α)형의 소석고(calcined gypssum)에 속한다.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은 전체 석고계 결합재(30)의 70질량% 이상 함유되도록 제조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79~94질량%의 함유량 범위를 유지하도록 조성한다.
석고계 결합재(30)의 제2 성분인 수경성 시멘트는 물과의 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딱딱하게 굳게 되는 시멘트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형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V형 포틀랜드 시멘트는 내황산성이 우수하고, 습식인 경우 경화 중에 발생하는 수축 및 팽창 등에 의한 치수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고계 결합재(30)에서 수경성 시멘트의 함유량은 전체 조성물의 5~20질량%가 적당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질량%이다. 상기 수경성 시멘트를 전체 석고계 결합재(30)의 20% 이상으로 사용하면 무게가 많이 나가고 건조시 크랙(Crack)현상이 생길 수 있다.
석고계 결합재(30)의 미량 성분으로 첨가되는 고유동화제로는, 나프탈렌 설포네이트(naphthalene sulfonates), 나프탈렌 설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농축액(naphthalene sulfonate-formaldehyde condensates),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calcium lignosulfonate), 멜라민 설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농축액(melamine sulfonate-formaldehyde condensates) 및 폴리카르복시산(polycarboxylic acids)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고유동화제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0.5질량% 이상이 되도록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0.5~0.75질량% 범위내로 함유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석고계 결합재(30)의 다른 미량 성분으로서 소포제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tributyl phosphate), 실리콘(silicones), 보레이트 에스테르(borate esters), 석유 유도체(petroleum derivatives) 및 3차 부틸 프탈레이트(tert-butyl phthalates)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서 사용한다. 소포제의 함유량은 석고계 결합재(30)의 0.2질량% 이상이 되도록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0.2~0.5질량% 범위내로 함유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석고계 결합재(30)에는 미량의 알킬셀룰로오스가 함유된다. 알킬셀룰로오스로는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hydroxyalkylcelluloses), 2-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2-hydroxypropylcellulose)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알킬셀룰로오스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석고계 결합재(30)의 0.002질량% 이상이 되도록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0.002~0.01질량% 범위내로 함유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석고계 결합재(30)에 물을 첨가하고 1~2분(minute)동안 교반하여서 균일한 슬러리(slurry) 상태가 되도록 제조한다. 석고계 결합재(30)와 물은 1 : 0.4 내지 1 : 0.55의 질량비가 되도록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슬러리 상태가 된 석고계 결합재(30)를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의 횡근홈(26) 및 종근홈(28)에 직접 붓거나 호스 등을 이용하여서 펌핑할 수 있다. 횡근홈(26) 및 종근홈(28)을 따라 주입된 석고계 결합재(30)는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간의 접촉면으로 넓게 퍼진다.
상기와 같은 석고계 결합재(30)는 자체 평활성이 아주 우수하여 별도의 플로팅이나 마감처리 없이 펌핑하는 것만으로도 틈새없이 횡근홈(26) 및 종근홈(28)을 따라 매끈하게 도포되며,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과 PH 등의 물성이 매우 유사하므로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 자체가 석고계 결합재(30)를 흡수하여 상호 일체화되어 결합력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석고계 결합재(30) 대신에 자체 평활성을 가지는 무수축 시멘트 모르타르(30a)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자체 평활성을 가지는 무수축 시멘트 모르타르(30a)는 석고계 결합재(30)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수축현상이 없어 접합부가 틈새없이 긴밀하게 결합되므로 방음이나 단열효과가 우수하고, 별도의 플로팅이나 마감처리 없이 펌핑하는 것만으로도 틈새없이 횡근홈(26) 및 종근홈(28)을 따라 매끈하게 도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층 조립식 건축물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래브(4)에 일정간격마다 앵커볼트(16)를 박고, 앵커볼트(16)에 종근(22)으로 사용되는 전산볼트를 끼워서 체결한다.
그리고, 종근홈(28)에 종근(22)을 끼워서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갯수로 쌓는다. 그리고,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의 횡근홈(26)에 횡근(24)을 배근한다.
그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근홈(28) 및 횡근홈(26)에 석고계 결합재(30)를 주입하여서 경화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계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1층의 내벽(6)을 형성한다. 이때, 단위 갯수의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간의 종근(22) 및 횡근(24)은 고정구(4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한다.
내벽(6)의 외측에는 내벽(6)과 15~25㎜의 간격을 두고 외벽(8)을 조적한다. 외벽(8)의 접착제로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벽(8)과 내벽 (6)사이의 틈새(15)에는 결합핀(38)을 체결한다.
그리고, 2층을 시공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의 천장면과 2층 바닥 사이의 층간 공간(14)에 각재(32)를 이중으로 겹쳐서 이중 윗깔도리를 깔고, 그 상단에 옆막이 장선(34a)과 바닥 장선(34b)을 일정 간격으로 수평 설치한다.
그리고, 그 위로 목재로 형성된 2층 바닥판(9)이 설치된다. 이때, 장선(34a)(34b)이 설치된 층간 공간(14)에는 단열재와 설비 배관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결된 종근(22)은 1층의 천장면과 2층 바닥 사이의 층간 공간(14)을 통과하여 2층으로 연속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2층의 시공은 1층과 동일한 과정으로 단위 갯수의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쌓고,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의 종근홈(28)과 횡근홈(26)에 종근(22) 및 횡근(24)을 배근하며, 종근홈(28) 및 횡근홈(26)에 석고계 결합재(30)를 주입하여서 경화한 후, 전단계의 과정을 반복하여서 2층 내벽(6)을 시공한다. 그리고, 2층 내벽(6)의 외측에도 1층과 동일하게 외벽(8)을 조적하여서 배치하며, 외벽(8)과 내벽(6) 사이의 틈새(15)에는 결합핀(38)을 체결한다.
2층 내벽(6)을 시공한 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재(12)를 이중으로 겹쳐서 이중 윗깔도리를 설치하고,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1,2층을 통과하여서 연결된 종근(22)이 각재(12)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체결구로 고정한다. 이때, 2층 내벽(6)의 최상단에 있으며 각재(12)의 바로 아래에 있는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에는 상단 횡근홈(26)을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종근(22)에는 서까래(10)를 체결하고, 각재(12)와 서까래(10) 사이에는 보막이(36)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2)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20)으로 형성된 벽체(5) 및 목재로 형성된 지붕(7)이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장된 종근(22)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되고, 시공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20)간의 접합부가 틈새없이 긴밀하게 결합되므로 방음이나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전체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4 : 바닥 슬래브 5 : 벽체
6 : 내벽 8 : 외벽
9 : 바닥판 10 : 서까래
12,32 : 각재 16 : 앵커볼트
18,20 :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22 : 종근
24 : 횡근 26 : 횡근홈
28 : 종근홈 30 : 석고계 결합재

Claims (4)

  1.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 슬래브(4)에 일정간격마다 앵커볼트(16)를 박고, 앵커볼트(16)에 종근(22)을 체결하고, 블록본체의 상하단에 횡근홈(26)을 형성하고 양측면에 종근홈(28)을 형성하여서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구성하고, 종근(22)을 종근홈(28)에 끼워서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을 적층하며,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의 횡근홈(26)에 횡근(24)을 배치하고, 횡근홈(26) 및 종근홈(28)에 자체 평활성을 가지고 PH가 8~10으로 형성되며 황산칼슘 알파-반수화물과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한 석고계 결합재(30)를 주입하여 경화시켜서 내벽(6)을 형성하고, 내벽(6)의 외측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외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20)들을 적층하여서 외벽(8)을 형성하고, 내벽(6)의 상단에는 다수의 각재(12)들을 겹쳐지게 설치한 후,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결된 종근(22)이 내벽(6)을 지나 각재(12)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서 서까래(10)에 연결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내벽(6)은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은 단위 갯수로 조적하여서 횡근홈(26) 및 종근홈(28)에 횡근(24) 및 종근(22)을 배근하고 석고계 결합재(30)를 주입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조적된 단위 갯수의 내벽용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18)들의 횡근(24) 및 종근(22)이 상호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조립식 건축물(2)은 복수층으로 형성되고, 바닥 슬래브(4)에서부터 연결된 종근(22)은 상하층의 층간 공간(14)을 통과하여서 연속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4. 삭제
KR1020110090340A 2011-09-06 2011-09-06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16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340A KR101165737B1 (ko) 2011-09-06 2011-09-06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340A KR101165737B1 (ko) 2011-09-06 2011-09-06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737B1 true KR101165737B1 (ko) 2012-07-18

Family

ID=4671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340A KR101165737B1 (ko) 2011-09-06 2011-09-06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8780A (zh) * 2018-11-06 2019-01-15 沙洲职业工学院 一种基于隔热块的装配式建筑墙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5323A (ja) * 1999-07-14 2001-01-30 Uni Sogo Keikaku:Kk 壁形成用プランター
JP2005009291A (ja) * 2003-05-29 2005-01-13 Kaneka Corp 建物の断熱材施工方法及び断熱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5323A (ja) * 1999-07-14 2001-01-30 Uni Sogo Keikaku:Kk 壁形成用プランター
JP2005009291A (ja) * 2003-05-29 2005-01-13 Kaneka Corp 建物の断熱材施工方法及び断熱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8780A (zh) * 2018-11-06 2019-01-15 沙洲职业工学院 一种基于隔热块的装配式建筑墙体
CN109208780B (zh) * 2018-11-06 2024-01-12 沙洲职业工学院 一种基于隔热块的装配式建筑墙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9927B2 (en) Structural fiber cement building materials
US9982445B2 (en) Insulated concrete form and method of using same
US9982433B2 (en) High performance, reinforced insulated precast concrete and tilt-up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9809981B2 (en)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precast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panels and high energy-efficient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6742315B2 (en) Method of making a wall system
US6976345B2 (en) Cementitious based structural lumber product and externally reinforced lightweight retaining wall system
US9745739B2 (en)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injected urethane foam between the wall and autoclaved concrete (AAC) blocks
US20100229489A1 (en) Method of Autoclaved Aerated Concrete (AAC) Wall Construction
US20130086850A1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using light weight panels
US20100236177A1 (en) Solar/stud block
KR20130134136A (ko)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165737B1 (ko)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McMorrough The Architecture Reference & Specification Book: Everything Architects Need to Know Every Day
RU16544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CN106639095B (zh) 一种旋切板胶合木—轻质混凝土组合楼板体系
CN209211615U (zh) 一种纸蜂窝全屋建筑体系
CN110397189A (zh) 一种轻集料混凝土组合式承重外墙构造
RU2812973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здания
KR20130005585A (ko)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방법
AU2006100786A4 (en) A Panel
JPH0614317U (ja) 特殊強化軽量プレカスト合成板
Bentil Alternative Residential Construc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