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155B1 -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 Google Patents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155B1
KR101224155B1 KR1020120017040A KR20120017040A KR101224155B1 KR 101224155 B1 KR101224155 B1 KR 101224155B1 KR 1020120017040 A KR1020120017040 A KR 1020120017040A KR 20120017040 A KR20120017040 A KR 20120017040A KR 101224155 B1 KR101224155 B1 KR 10122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support frame
wedge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화 filed Critical 이정화
Priority to KR102012001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155B1/ko
Priority to PCT/KR2012/002826 priority patent/WO2012161419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는 인테리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블럭을 이용하여 벽면을 인테리어 함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안정감 있고, 설치도 간편한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 구조물은 지지축과 쐐기를 이용하여 황토블럭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설치 공정이 간단하고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다단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적층 높이의 제한이 없으며, 설치 후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Interior Structure using Loess Block}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는 인테리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블럭을 이용하여 벽면을 인테리어 함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안정감 있고, 설치도 간편한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마감재(바닥재 혹은 내장재)는 건축물의 내부벽면이나 바닥면을 마감하는 몰탈이나 외부벽면을 마감하는 몰탈, 타일, 블럭 등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들에는 유해한 화학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시공 후 다량 방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해 인체가 독성에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마감재중 실내의 벽면에 마감되는 마감재는 타설되어 구축된 콘크리트 벽면이나 블럭을 조적하여 구축되는 벽면에 모래와 시멘트 및 물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몰탈로 마감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몰탈마감 벽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벽지를 도배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페인트를 사용하거나 목재나 수지재 등으로 구성되는 2차마감재를 이용하여 최종 마감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1차 마감재로 사용되는 몰탈의 주요성분인 시멘트에서 상당량의 독성이 방출되고, 2차 마감재에서는 본드나 피브이시(PVC), 수지재 등에서 방출되는 유해가스와 목재 등에서 서식하는 유해충 등에 의하여 인체와 가정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멘트의 독성과 유해가스에 의하여 이용자들의 눈과 코 및 기관지에 상당한 유해를 가하게 됨은 물론, 각종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등 피부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어 근자에는 이러한 현상들을 새집증후군이라 칭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유해성분들로부터 안전한 실내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근래에는 황토를 함유한 벽지로 도배하거나, 유해성분을 중화시킬 수 있는 중화제를 마감면에 코팅 처리하는 등의 방법을 강구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해결에는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웰빙의 유행과 더불어 인체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마감재 또는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과 동시에, 이들을 구입, 설치하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시멘트의 독소 및 환경유해물질의 차단을 위해 황토 소재의 마감재가 널리 알려져 있다. 황토는 실리카와 알루미나, 철,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등 수많은 무기질을 함유한 미세입자이며,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과 많은 광물약성을 갖고 있는 살아 있는 흙으로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다량 방사할 뿐만 아니라 항균, 탈취 효능을 갖는 인체에 매우 유익한 광물이다.
이에, 이와 같은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자재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부스러져 가공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나 시공 상의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또한, 블록 형태로 적층되는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지 못할 경우 붕괴의 위험이 우려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한다. 따라서 가공이 용이하지 않은 황토블럭을 이용하여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벽면을 마감 또는 인테리어 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을 이루며 다단으로 적층되는 황토블럭을 이용하여 벽면을 인테리어 하되, 최소한으로 가공된 황토블럭을 지지프레임 또는 쐐기에 의해 슬라이드 되는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구조물은, 양측면 또는 상하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고정부(211, 212)가 형성되는 복수의 황토블럭(210); 벽면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측면프레임(220); 벽면의 타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측면프레임(230);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2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23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단프레임(240);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2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23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단프레임(260); 상기 황토블럭(210)의 고정을 위해 벽면에 상하 또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하단프레임(240)과 상단프레임(260) 또는 상기 제1 측면프레임(220)과 제2 측면프레임(23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250); 을 포함하며, 상기 황토블럭(210)은, 상기 제1 측면프레임(220), 지지프레임(250) 및 제2 측면프레임(230) 사이에 상하 길이방향 또는, 상기 하단프레임(240), 지지프레임(250) 및 상단프레임(260) 사이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다단 적층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50)은,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211, 212)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50)의 일측면과 타측면 또는 상측면과 하측면에 길이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251, 252);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홈(251, 252)의 내측 단부에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250)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쐐기홀(254); 일단이 슬라이드홈(251, 252)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쐐기홀(254)에 삽입되는 쐐기(253); 및 상하 또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251, 252)에 내외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내측단이 상기 쐐기(253)에 맞닿고, 외측단이 상기 지지프레임(25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황토블럭(210)의 고정부(211, 212)에 끼워지는 고정부재(27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270)는, 상기 쐐기(253)의 직경만큼 상기 지지프레임(250)의 측면 또는 상하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구조물은, 양측면 또는 상하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고정부(411, 412)가 형성되는 복수의 황토블럭(410); 벽면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측면프레임(420); 벽면의 타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측면프레임(430);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4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43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단프레임(440);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4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43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단프레임(460); 상기 황토블럭(410)의 고정을 위해 벽면에 상하 또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하단프레임(440)과 상단프레임(460) 또는 상기 제1 측면프레임(420)과 제2 측면프레임(43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450); 상기 지지프레임(450)의 일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하단프레임(440)의 상면 또는 제2 측면프레임(430)의 일면에 함몰되는 고정홀(441); 상기 지지프레임(450)의 타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상단프레임(460) 또는 상기 제1 측면프레임(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면과 전면 또는 전면과 타측면이 맞닿는 모서리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삽입홈(461); 및 상기 삽입홈(461)을 메우도록 상기 삽입홈(461)에 끼워지며, 후면에 상기 지지프레임(450)의 타단부가 끼움 고정되도록 상하 또는 양측 길이방향 전측으로 함몰되는 지지프레임 고정부(471a, 472a, 473a)가 형성되는 고정블럭(470); 을 포함하며, 상기 황토블럭(410)은, 상기 제1 측면프레임(420), 지지프레임(450) 및 제2 측면프레임(430) 사이에 상하 길이방향 또는, 상기 하단프레임(440), 지지프레임(450) 및 상단프레임(460) 사이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다단 적층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50)은, 제4 고정수단이며, 둘레면 타측 또는 하측이 상기 황토블럭(410)의 일측 또는 상측 고정부에 끼워지고, 둘레면 일측 또는 상측이 상기 황토블럭(410)의 타측 또는 하측 고정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인테리어 구조물은, 복수의 황토블럭(510); 벽면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측면프레임(520); 벽면의 타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측면프레임(530);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5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53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단프레임(540);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5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53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단프레임(560); 상기 황토블럭(510)의 고정을 위해 벽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하단프레임(540)과 상단프레임(56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550); 벽면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1 측면프레임(520)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 측면프레임(530)에 연결되고, 벽면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는 보조프레임(570); 상기 보조프레임(570)이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프레임(550)의 전면에서 후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프레임홈(551); 및 상기 제1 프레임홈(551)에 대응되며, 상기 지지프레임(550)이 끼워지도록 상기 보조프레임(570)의 후면에서 전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프레임홈(571); 을 포함하며, 상기 황토블럭(510)은, 양측이 상기 지지프레임(550)에 맞닿고, 상하측이 상기 보조프레임(570)이 맞닿도록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인테리어 구조물은 지지축과 쐐기를 이용하여 황토블럭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설치 공정이 간단하고 공정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다단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적층 높이의 제한이 없으며, 설치 후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구조물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구조물 횡단면도
도 7은 도 6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구조물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구조물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구조물 정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구조물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구조물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구조물 종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1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인테리어 구조물(200)은 황토블럭(210), 제1 측면프레임(220), 제2 측면프레임(230), 하단프레임(240), 지지프레임(250), 상단프레임(260) 및 고정부재(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황토블럭(210)은 가공이 용이하도록 직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토블럭(210)은 설치 시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정부(211, 212)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11, 212)는 황토블럭(2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고정부(211, 212)는 황토블럭의 중앙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11, 212)은 황토블럭(210)의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단면은 반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211, 212)는 황토블럭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211)와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212)로 구분된다. 황토블럭(210)은 벽면에 열을 이루어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세 설치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황토블럭(210)의 재질은 황토, 백토 또는 머드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강도를 높이거나 광석이 지니고 있는 효능을 발산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광석을 혼합할 수 있으며, 황토와 백토의 혼합물, 황토와 맥반석의 혼합물 또는 황토와 머드의 혼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황토와 광석의 혼합물의 비는 황토 50~90중량%와 광석 10~50중량%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황토와 맥반석의 혼합물의 비는 황토 70~90중량%와 맥반석 10~3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황토와 백토의 혼합물의 비는 황토 10~90중량%와, 백토 10~9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황토와 맥반석의 혼합물의 비는 황토 70~90 중량%와 맥반석 10~3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황토와 머드의 혼합물의 비는 황토 70~90 중량%와 머드 10~3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프레임(220) 및 제2 측면프레임(23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220, 230)의 재질은 황토블럭(2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측면프레임(220)은 벽면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제1 측면프레임(2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측면프레임(22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측면프레임(220)의 타측면에는 황토블럭(210)이 적층되었을 때, 황토블럭(2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70)가 삽입되는 제1 측면끼움홈(221)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황토블럭(210)의 제1 고정부(211)가 돌출 형성될 경우 상기와 같은 구성만으로 황토블럭(2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제1 고정부(211)가 함몰 형성될 경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제1 측면끼움홈(221)은 고정부재(270)가 완전히 끼워질 수 있을 만큼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황토블럭(210) 적층 시에는 고정부재(270)가 제1 측면프레임(220) 내부에 끼움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황토블럭(210)이 적층완료 되었을 때, 고정부재(270)가 제1 측면프레임(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황토블럭(210)의 제1 고정부(211)에 끼워져 황토블럭(210)을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제1 측면프레임(220)은 제1 측면쐐기홀(223)을 구비한다. 제1 측면쐐기홀(223)은 일단이 상기 제1 측면끼움홈(221)에 연통되며, 타단이 제1 측면프레임(220)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1 측면쐐기(222)는 끝단부가 제1 측면끼움홈(221) 상에 위치하도록 제1 측면쐐기홀(223)에 삽입된다. 이때 제1 측면쐐기(222)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제1 측면쐐기(222)의 끝단은 블레이드 형으로 이루어진다. 제1 측면쐐기홀(223) 및 제1 측면쐐기(222)는 제1 측면프레임(22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70)는 제1 측면끼움홈(221)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측이 제1 측면쐐기(222)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고정부재(270)는 타측이 제1 측면프레임(220)의 타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 측면프레임(220)의 타측면에 적층되는 황토블럭(210)의 제1 고정부(211)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프레임(230)은 벽면의 타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제2 측면프레임(23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측면프레임(23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측면프레임(230)의 일측면에는 황토블럭(210)이 적층되었을 때, 황토블럭(2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70)가 삽입되는 제2 측면끼움홈(231)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황토블럭(210)의 제2 고정부(212)가 돌출 형성될 경우 상기와 같은 구성만으로 황토블럭(2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제2 고정부(212)가 함몰 형성될 경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제2 측면끼움홈(231)은 고정부재(270)가 완전히 끼워질 수 있을 만큼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황토블럭(210) 적층 시에는 고정부재(270)가 제2 측면프레임(230) 내부에 끼움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황토블럭(210)이 적층완료 되었을 때, 고정부재(270)가 제2 측면프레임(2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황토블럭(210)의 제2 고정부(212)에 끼워져 황토블럭(210)을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제2 측면프레임(230)은 제2 측면쐐기홀(233)을 구비한다. 제2 측면쐐기홀(233)은 일단이 제2 측면끼움홈(231)에 연통되며, 타단이 제2 측면프레임(230)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2 측면쐐기(232)는 끝단부가 제2 측면끼움홈(231) 상에 위치하도록 제2 측면쐐기홀(233)에 삽입된다. 이때 제2 측면쐐기(232)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쐐기(232)의 끝단은 블레이드 형으로 이루어진다. 제2 측면쐐기홀(233) 및 제2 측면쐐기(232)는 제2 측면프레임(23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70)는 제2 측면끼움홈(231)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측이 제2 측면쐐기(232)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고정부재(270)는 일측이 제2 측면프레임(230)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 측면프레임(230)의 일측면에 적층되는 황토블럭(210)의 제2 고정부(212)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하단프레임(24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단프레임(240)은 벽면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하단프레임(240)은 일단부 상면이 제1 측면프레임(220)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부 상면이 제2 측면프레임(230)의 하면에 연결된다. 하단프레임(240)의 재질은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하단프레임(240)을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하단프레임(24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단프레임(240)에는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50)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하단프레임(240)은 하단 슬라이드홀(244), 하단 쐐기홀(242), 하단 쐐기(241) 및 하단 고정핀(2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단 슬라이드홀(244)은 하단프레임(24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함몰 형성된다. 하단 슬라이드홀(244)은 복수 개가 하단프레임(2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250)이 배치되었을 때 각각의 지지프레임(250)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단 쐐기홀(242)은 일단이 하단 슬라이드홀(244)의 중앙부에 연통되며, 타단이 하단프레임(240)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하단 쐐기(241)는 끝단부가 하단 슬라이드홀(244) 상에 위치하도록 하단 쐐기홀(242)에 삽입된다. 이때 하단 쐐기(24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하단 쐐기(241)의 끝단은 블레이드 형으로 이루어진다. 하단 고정핀(243)은 하단 슬라이드홀(244)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하단이 하단 쐐기(241)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하단 고정핀(243)은 상단부가 하단프레임(240)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25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지지고정홀(256)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초기 설치 시 하단 고정핀(243)은 하단 슬라이드홀(244)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하단 쐐기(241)가 하단 쐐기홀(242)에 삽입되었을 때, 하단 쐐기(241)의 직경만큼 하단프레임(240)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250)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단프레임(26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단프레임(260)은 벽면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상단프레임(260)은 일단부 하면이 제1 측면프레임(220)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부 하면이 제2 측면프레임(230)의 상면에 연결된다. 상단프레임(260)의 재질은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상단프레임(260)을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상단프레임(26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단프레임(260)에는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50)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단프레임(260)은 상단 슬라이드홀(264), 상단 쐐기홀(262), 상단 쐐기(261) 및 상단 고정핀(2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단 슬라이드홀(264)은 상단프레임(260)의 하면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함몰 형성된다. 상단 슬라이드홀(264)은 복수 개가 상단프레임(2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250)이 배치되었을 때 각각의 지지프레임(250) 상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쐐기홀(262)은 일단이 상단 슬라이드홀(264)의 중앙부에 연통되며, 타단이 상단프레임(260)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단 쐐기(261)는 끝단부가 상단 슬라이드홀(264) 상에 위치하도록 상단 쐐기홀(262)에 삽입된다. 이때 상단 쐐기(26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상단 쐐기(261)의 끝단은 블레이드 형으로 이루어진다. 상단 고정핀(263)은 상단 슬라이드홀(264)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단이 상단 쐐기(261)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단 고정핀(263)은 하단부가 상단프레임(260)의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25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지지고정홀(255)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초기 설치 시 상단 고정핀(263)은 상단 슬라이드홀(264)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단 고정핀(263)은 상단 쐐기(261)가 상단 쐐기홀(262)에 삽입되었을 때, 상단 쐐기(261)의 직경만큼 상단프레임(260)의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250)을 고정시키게 된다.
지지프레임(250)은 하단프레임(240)과 상단프레임(260) 사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50)은 도면상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측면프레임(220) 및 제2 측면프레임(230)의 사이에 양측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지지프레임(250)은 하단프레임(240)과 상단프레임(260)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거리 이격 설치된다. 이격거리는 황토블럭(210)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지지프레임(250)의 상면에는 상단프레임(260)에 고정을 위한 제2 지지고정홀(255)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하면에는 하단프레임(240)에 고정을 위한 제1 지지고정홀(256)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지지프레임(250)의 일측면에는 제1 슬라이드홈(251)이 형성된다. 제1 슬라이드홈(251)은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슬라이드홈(251)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270)가 삽입된다. 제1 슬라이드홈(251)은 고정부재(270)가 완전히 끼워질 수 있을 만큼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270)는 황토블럭(210)이 적층되었을 때 황토블럭(210)의 타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또한, 지지프레임(250)의 타측면에는 제2 슬라이드홈(252)이 형성된다. 제2 슬라이드홈(252)은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슬라이드홈(252)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270)가 삽입된다. 제2 슬라이드홈(252)은 고정부재(270)가 완전히 끼워질 수 있을 만큼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270)는 황토블럭(210)이 적층되었을 때 황토블럭(210)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성된다.
따라서 황토블럭(210) 적층 시에는 고정부재(270)가 제1 및 제2 슬라이드홈(251, 252) 내부에 끼움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황토블럭(210)이 적층완료 되었을 때, 고정부재(270)가 지지프레임(2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황토블럭(210)의 제1 고정부(211) 및 제2 고정부(212)에 끼워져 황토블럭(210)을 고정시킨다. 이를 위한 구성은 지지프레임(250)의 일측과 타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일측에 형성되는 구성을 위주로 상세 설명한다. 지지프레임(250)은 쐐기홀(254)을 구비한다. 쐐기홀(254)은 일단이 상기 제1 슬라이드홈(251)에 연통되며, 타단이 지지프레임(250)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쐐기(253)는 끝단부가 제1 슬라이드홈(251) 상에 위치하도록 쐐기홀(254)에 삽입된다. 이때 쐐기(253)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쐐기(253)의 끝단은 블레이드 형으로 이루어진다. 쐐기홀(254) 및 쐐기(253)는 지지프레임(25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70)는 제1 슬라이드홈(251)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타측이 쐐기(253)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고정부재(270)는 일측이 지지프레임(250)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250)의 일측면에 적층되는 황토블럭(210)의 제2 고정부(212)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초기 설치 시 고정부재(270)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홀(251, 252)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쐐기(253)가 쐐기홀(254)에 삽입되었을 때, 상단 쐐기(253)의 직경만큼 지지프레임(250)의 양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황토블럭(21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설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하단프레임(240)을 벽면에 설치한다.
2. 제1 측면프레임(220)을 벽면에 설치한다.
3. 제2 측면프레임(230)을 벽면에 설치한다.
4. 상단프레임(260)을 벽면에 설치한다.
5. 지지프레임(250)을 상단프레임(260)과 하단프레임(240) 사이에 배치한다.
6. 상단쐐기(261)를 상단쐐기홀(262)에 끼워 넣어 상단프레임(260)에 지지프레임(250)의 상단을 고정하고, 하단쐐기(241)를 하단쐐기홀(242)에 끼워 넣어 하단프레임(240)에 지지프레임(250)의 하단을 고정한다.
7. 반복하여 지지프레임(250)을 일측부터 타측으로 고정한다.
8. 제1 측면프레임(220), 복수의 지지프레임(250) 및 제2 측면프레임(230) 사이에 황토블럭(210)을 적층시킨다.
9. 제1 측면쐐기(222), 제2 측면쐐기(232), 쐐기(253)를 제1 측면쐐기홀(223), 제2 측면쐐기홀(233), 쐐기홀(254)에 모두 끼워 넣어 황토블럭(210)의 양측면을 제1 측면프레임(220), 복수의 지지프레임(250) 및 제2 측면프레임(230)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인테리어 구조물은 간단한 구성으로 황토블럭을 고정시키며,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 실시 예2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인테리어 구조물(400)은 황토블럭(410), 제1 측면프레임(420), 제2 측면프레임(430), 하단프레임(440), 지지프레임(450), 상단프레임(460) 및 고정블럭(4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황토블럭(410)은 상술한 제1 실시 예의 황토블럭(210)과 그 구성이 동일한 바,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황토블럭(410)에는 제1 고정부(411) 및 제2 고정부(412)가 형성된다.

제1 측면프레임(420) 및 제2 측면프레임(43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420, 430)의 재질은 황토블럭(4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측면프레임(420)은 벽면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제1 측면프레임(4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측면프레임(42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측면프레임(420)의 타측면에는 황토블럭(410)이 적층되었을 때, 황토블럭(4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프레임(450)의 두께의 1/2이 삽입되는 제1 측면끼움홈(미도시)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끼움홈의 형상은 지지프레임(450)의 일측 형상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450)이 상기 제1 측면끼움홈에 끼워졌을 때, 타측이 제1 측면프레임(42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끼워질 수 있다.
제2 측면프레임(430)은 벽면의 타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제2 측면프레임(43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측면프레임(43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측면프레임(430)의 일측면에는 황토블럭(410)이 적층되었을 때, 황토블럭(4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프레임(450)의 두께의 1/2이 삽입되는 제2 측면끼움홈(431)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끼움홈(431)의 형상은 지지프레임(450)의 타측 형상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450)이 제2 측면끼움홈(431)에 끼워졌을 때, 일측이 제2 측면프레임(43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끼워질 수 있다.
하단프레임(44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단프레임(440)은 벽면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하단프레임(440)은 일단부 상면이 제1 측면프레임(420)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부 상면이 제2 측면프레임(430)의 하면에 연결된다. 하단프레임(440)의 재질은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하단프레임(440)을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하단프레임(44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단프레임(440)의 상면에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기둥 형상으로 되는 지지프레임(450)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홀(441)이 형성된다. 고정홀(441)은 복수의 지지프레임(450)이 배치되는 부위에 대응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며, 하단프레임(44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단프레임(46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단프레임(460)은 벽면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상단프레임(460)은 일단부 하면이 제1 측면프레임(420)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부 하면이 제2 측면프레임(430)의 상면에 연결된다. 상단프레임(460)의 재질은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상단프레임(460)을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상단프레임(46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단프레임(460)의 하면에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기둥 형상으로 되는 지지프레임(45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삽입홈(461)이 형성된다. 삽입홈(461)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단프레임(460)의 하면과 전면이 맞닿는 모서리부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삽입홈(461)의 상하 폭은 고정홀(441)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프레임(450)이 지면에 수직한 상태에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지지프레임(450)이 고정홀(441)에 삽입 시 지지프레임(450)의 상단과 삽입홈(461)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50)은 원기둥 또는 다각형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450)은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삽입홈(461)에 끼워지고 하단이 고정홀(441)에 끼워질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지지프레임(450)은 도면상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측면프레임(420) 및 제2 측면프레임(430)의 사이에 양측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지지프레임(450)은 다단으로 적층되는 황토블럭(4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제1 측면프레임(420)과 황토블럭(410) 사이에 위치한 지지프레임(450)은 일측부가 제1 측면프레임(420)의 제1 측면삽입홈(미도시)에 끼워지며, 타측부가 황토블럭(410)의 제1 고정부(411)에 끼워진다. 또한, 황토블럭(410)과, 이웃하는 황토블럭(410) 사이에 위치한 지지프레임(450)은 일측부가 황토블럭(410)의 제2 고정부(412)에 끼워지며, 타측부가 이웃하는 황토블럭(410)의 제1 고정부(411)에 끼워진다. 또한, 제2 측면프레임(430)과 황토블럭(410) 사이에 위치한 지지프레임(450)은 타측부가 제2 측면프레임(430)의 제2 측면삽입홈(431)에 끼워지며, 일측부가 황토블럭(410)의 제2 고정부(412)에 끼워진다.
이때, 상단프레임(460)의 삽입홈(461)에 끼워지는 지지프레임(450)을 고정시키기 위해 삽입홈(461)에는 고정블럭(470)이 설치된다. 고정블럭(470)은 제1 측면프레임(420)과 황토블럭(410) 사이에 위치한 지지프레임(450)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블럭(471)과, 황토블럭(410)과, 이웃하는 황토블럭(410) 사이에 위치한 지지프레임(450)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블럭(472)과, 제2 측면프레임(430)과 황토블럭(410) 사이에 위치한 지지프레임(450)을 고정하기 위한 제3 고정블럭(473)으로 구성된다. 제1 고정블럭(471)은 삽입홈(461)을 메우도록 직육면체로 구성되며, 후면 일측에 상기 지지프레임(450)의 상단부가 끼움 고정되도록 상하 길이방향 전측으로 함몰되는 제1 지지프레임 고정부(471a)이 형성된다. 제2 고정블럭(472)은 삽입홈(461)을 메우도록 직육면체로 구성되며, 후면 중앙에 상기 지지프레임(450)의 상단부가 끼움 고정되도록 상하 길이방향 전측으로 함몰되는 제2 지지프레임 고정부(472a)이 형성된다. 제3 고정블럭(473)은 삽입홈(461)을 메우도록 직육면체로 구성되며, 후면 타측에 지지프레임(450)의 상단부가 끼움 고정되도록 상하 길이방향 전측으로 함몰되는 제3 지지프레임 고정부(473a)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설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하단프레임(440)을 벽면에 설치한다.
2. 제1 측면프레임(420)을 벽면에 설치한다.
3. 제2 측면프레임(430)을 벽면에 설치한다.
4. 상단프레임(460)을 벽면에 설치한다.
5. 지지프레임(450)의 하단을 최일측 하단프레임(440)의 고정홀(441)에 끼워 고정시킨 후 상단을 상단프레임(460)의 삽입홈(461)에 안착시킨다.
6. 고정블럭(470)을 삽입홈(461)에 끼워 지지프레임(450)의 상단을 고정시킨다.
7. 황토블럭(410)을 일측부터 적층시키고 지지프레임(450)의 끼움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인테리어 구조물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보다 복잡하긴 하나, 전술 한 실시 예보다, 설치가 용이하며, 지지프레임(45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 예 3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인테리어 구조물(500)은 황토블럭(510), 제1 측면프레임(520), 제2 측면프레임(530), 하단프레임(540), 지지프레임(550), 상단프레임(560) 및 보조프레임(5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황토블럭(510)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프레임(520) 및 제2 측면프레임(53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측면프레임(520, 530)의 재질은 황토블럭(5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측면프레임(520)은 벽면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제1 측면프레임(5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측면프레임(52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측면프레임(520)에는 일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보조프레임(570)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1 측면프레임(520)은 일측 슬라이드홀(523), 일측 쐐기홀(522), 일측 쐐기(521) 및 일측 고정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측 슬라이드홀(523)은 제1 측면프레임(520)의 타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함몰 형성된다. 일측 슬라이드홀(523)은 복수 개가 제1 측면프레임(5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보조프레임(570)이 배치되었을 때 각각의 보조프레임(570) 일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측 쐐기홀(522)은 일단이 일측 슬라이드홀(523)의 일단부에 연통되며, 타단이 제1 측면프레임(520)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일측 쐐기(521)는 끝단부가 일측 슬라이드홀(523) 상에 위치하도록 일측 쐐기홀(522)에 삽입된다. 이때 일측 쐐기(52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일측 쐐기(521)의 끝단은 블레이드 형으로 이루어진다. 일측 고정핀(미도시)은 일측 슬라이드홀(523)에 보조프레임(57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단이 일측 쐐기(521)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일측 고정핀(미도시)은 타단부가 제1 측면프레임(520)의 타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보조프레임(57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보조지지고정홀(미도시)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초기 설치 시 일측 고정핀(미도시)은 일측 슬라이드홀(523)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일측 쐐기(521)가 일측 쐐기홀(522)에 삽입되었을 때, 일측 쐐기(521)의 직경만큼 제1 측면프레임(520)의 타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보조프레임(570)을 고정시키게 된다.
제2 측면프레임(530)은 벽면의 타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제2 측면프레임(53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측면프레임(53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측면프레임(530)에는 일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보조프레임(570)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2 측면프레임(530)은 타측 슬라이드홀(미도시), 타측 쐐기홀(532), 타측 쐐기(531) 및 타측 고정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측 슬라이드홀(미도시)은 제2 측면프레임(530)의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함몰 형성된다. 타측 슬라이드홀(미도시)은 복수 개가 제2 측면프레임(5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보조프레임(570)이 배치되었을 때 각각의 보조프레임(570) 타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타측 쐐기홀(532)은 일단이 타측 슬라이드홀(미도시)의 타단부에 연통되며, 타단이 제2 측면프레임(530)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타측 쐐기(531)는 끝단부가 타측 슬라이드홀(미도시) 상에 위치하도록 타측 쐐기홀(532)에 삽입된다. 이때 타측 쐐기(53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타측 쐐기(531)의 끝단은 블레이드 형으로 이루어진다. 타측 고정핀(미도시)은 타측 슬라이드홀(미도시)에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타단이 타측 쐐기(531)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타측 고정핀(미도시)은 일단부가 제2 측면프레임(530)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보조프레임(57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보조지지고정홀(572)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초기 설치 시 타측 고정핀(미도시)은 타측 슬라이드홀(미도시)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타측 쐐기(531)가 타측 쐐기홀(532)에 삽입되었을 때, 타측 쐐기(531)의 직경만큼 제2 측면프레임(530)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보조프레임(570)을 고정시키게 된다.
하단프레임(54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단프레임(540)은 벽면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하단프레임(540)은 일단부 상면이 제1 측면프레임(520)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부 상면이 제2 측면프레임(530)의 하면에 연결된다. 하단프레임(540)의 재질은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하단프레임(540)을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하단프레임(54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단프레임(540)에는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지지프레임(550)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하단프레임(540)은 하단 슬라이드홀(544), 하단 쐐기홀(542), 하단 쐐기(541) 및 하단 고정핀(5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단 슬라이드홀(544)은 하단프레임(54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함몰 형성된다. 하단 슬라이드홀(544)은 복수 개가 하단프레임(5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550)이 배치되었을 때 각각의 지지프레임(550)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단 쐐기홀(542)은 일단이 하단 슬라이드홀의 중앙부에 연통되며, 타단이 하단프레임(540)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하단 쐐기(541)는 끝단부가 하단 슬라이드홀 상에 위치하도록 하단 쐐기홀(542)에 삽입된다. 이때 하단 쐐기(54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하단 쐐기(541)의 끝단은 블레이드 형으로 이루어진다. 하단 고정핀(543)은 하단 슬라이드홀(544)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하단이 하단 쐐기(541)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하단 고정핀(543)은 상단부가 하단프레임(540)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55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수직지지고정홀(553)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초기 설치 시 하단 고정핀(543)은 하단 슬라이드홀(544)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하단 쐐기(541)가 하단 쐐기홀(542)에 삽입되었을 때, 하단 쐐기(541)의 직경만큼 하단프레임(540)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550)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단프레임(56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단프레임(560)은 벽면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상단프레임(560)은 일단부 하면이 제1 측면프레임(520)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부 하면이 제2 측면프레임(530)의 상면에 연결된다. 상단프레임(560)의 재질은 황토블럭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견고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친환경 재질인 우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상단프레임(560)을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상단프레임(560)을 벽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앵커, 콘크리트 못,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단프레임(560)에는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지지프레임(550)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단프레임(560)은 상단 슬라이드홀(564), 상단 쐐기홀(562), 상단 쐐기(561) 및 상단 고정핀(5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단 슬라이드홀(564)은 상단프레임(560)의 하면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함몰 형성된다. 상단 슬라이드홀(564)은 복수 개가 상단프레임(5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550)이 배치되었을 때 각각의 지지프레임(550) 상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 쐐기홀(562)은 일단이 상단 슬라이드홀(564)의 중앙부에 연통되며, 타단이 상단프레임(560)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단 쐐기(561)는 끝단부가 상단 슬라이드홀(564) 상에 위치하도록 상단 쐐기홀(562)에 삽입된다. 이때 상단 쐐기(56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상단 쐐기(561)의 끝단은 블레이드 형으로 이루어진다. 상단 고정핀(563)은 상단 슬라이드홀(564)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단이 상단 쐐기(561)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단 고정핀(563)은 하단부가 상단프레임(560)의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55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수직지지고정홀(552)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초기 설치 시 상단 고정핀(563)은 상단 슬라이드홀(564)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단 쐐기(561)가 상단 쐐기홀(562)에 삽입되었을 때, 상단 쐐기(561)의 직경만큼 상단프레임(560)의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프레임(550)을 고정시키게 된다.
지지프레임(550)은 하단프레임(540)과 상단프레임(560) 사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550)은 하단프레임(540)과 상단프레임(560)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거리 이격 설치된다. 이격거리는 황토블럭(510)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지지프레임(550)의 상면에는 상단프레임(560)에 고정을 위한 제1 수직지지고정홀(552)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하면에는 하단프레임(540)에 고정을 위한 제2 수직지지고정홀(553)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지지프레임(550)에는 보조프레임(570)이 끼워지도록 지지프레임(550)의 전면에서 후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프레임홈(551)이 형성된다.
보조프레임(570)은 제1 측면프레임(520)과 제2 측면프레임(530) 사이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570)은 제1 측면프레임(520)과 제2 측면프레임(5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거리 이격 설치된다. 이격거리는 황토블럭(510)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보조프레임(570)의 일면에는 제1 측면프레임(520)에 고정을 위한 제1 보조지지고정홀(미도시)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보조프레임(570)의 타면에는 제2 측면프레임(530)에 고정을 위한 제2 보조지지고정홀(572)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보조프레임(570)에는 지지프레임(550)이 끼워지도록 보조프레임(570)의 후면에서 전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프레임홈(571)이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지지프레임(550)과 보조프레임(570)은 서로 교차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도면상에 지지프레임(550)과 보조프레임(570)은 단면이 격자형을 이루도록 수직과 수평을 이루며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결합될수 있고, 황토블럭(510)도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황토블럭(510)은 양측이 지지프레임(550)에 맞닿고 상하측이 보조프레임(570)에 맞닿도록 끼움 고정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설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하단프레임(540)을 벽면에 설치한다.
2. 제1 측면프레임(520)을 벽면에 설치한다.
3. 제2 측면프레임(530)을 벽면에 설치한다.
4. 상단프레임(560)을 벽면에 설치한다.
5. 지지프레임(550)을 상단프레임(560)과 하단프레임(540) 사이에 배치한다.
6. 상단쐐기(561)를 상단쐐기홀(562)에 끼워 넣어 지지프레임(550)의 상단을 고정하고 하단쐐기(541)를 하단 쐐기홀(542)에 끼워넣어 지지프레임(550)의 하단을 고정한다.
7. 반복하여 지지프레임(550)을 일측부터 타측으로 고정한다.
8. 보조프레임(570)을 제1 측면 프레임(520)과 제2 측면 프레임(530) 사이에 배치한다.
9. 일측 쐐기(521)를 일측 쐐기홀(522)에 끼워 넣어 보조 프레임(570)의 일측을 고정하고 타측쐐기(531)를 타측 쐐기홀(532)에 끼워 넣어 보조프레임(570)의 타측을 고정한다.
10. 반복하여 하측부터 상측으로 보조프레임(570)을 고정한다.
11. 황토블럭(510)을 지지프레임(550)과 보조프레임(570)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공간에 삽입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200, 400, 500 : 인테리어 구조물
210, 410, 510 : 황토블럭
220, 420, 520 : 제1 측면프레임
230, 430, 530 : 제2 측면프레임
240, 440, 540 : 하단프레임
250, 450, 550 : 지지프레임
260, 460, 560 : 상단프레임
270 : 고정부재
470 : 고정블럭
570 : 보조프레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양측면 또는 상하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고정부(211, 212)가 형성되는 복수의 황토블럭(210);
    벽면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측면프레임(220);
    벽면의 타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측면프레임(230);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2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23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단프레임(240);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2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23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단프레임(260);
    상기 황토블럭(210)의 고정을 위해 벽면에 상하 또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하단프레임(240)과 상단프레임(260) 또는 상기 제1 측면프레임(220)과 제2 측면프레임(23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250); 을 포함하며,
    상기 황토블럭(210)은, 상기 제1 측면프레임(220), 지지프레임(250) 및 제2 측면프레임(230) 사이에 상하 길이방향 또는, 상기 하단프레임(240), 지지프레임(250) 및 상단프레임(260) 사이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다단 적층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50)은,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211, 212)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50)의 일측면과 타측면 또는 상측면과 하측면에 길이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251, 252);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홈(251, 252)의 내측 단부에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프레임(250)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쐐기홀(254);
    일단이 슬라이드홈(251, 252)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쐐기홀(254)에 삽입되는 쐐기(253); 및
    상하 또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251, 252)에 내외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내측단이 상기 쐐기(253)에 맞닿고, 외측단이 상기 지지프레임(25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황토블럭(210)의 고정부(211, 212)에 끼워지는 고정부재(27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270)는, 상기 쐐기(253)의 직경만큼 상기 지지프레임(250)의 측면 또는 상하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7. 삭제
  8. 삭제
  9. 양측면 또는 상하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고정부(411, 412)가 형성되는 복수의 황토블럭(410);
    벽면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측면프레임(420);
    벽면의 타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측면프레임(430);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4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43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단프레임(440);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4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43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단프레임(460);
    상기 황토블럭(410)의 고정을 위해 벽면에 상하 또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하단프레임(440)과 상단프레임(460) 또는 상기 제1 측면프레임(420)과 제2 측면프레임(43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450);
    상기 지지프레임(450)의 일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하단프레임(440)의 상면 또는 제2 측면프레임(430)의 일면에 함몰되는 고정홀(441);
    상기 지지프레임(450)의 타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상단프레임(460) 또는 상기 제1 측면프레임(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면과 전면 또는 전면과 타측면이 맞닿는 모서리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삽입홈(461); 및
    상기 삽입홈(461)을 메우도록 상기 삽입홈(461)에 끼워지며, 후면에 상기 지지프레임(450)의 타단부가 끼움 고정되도록 상하 또는 양측 길이방향 전측으로 함몰되는 지지프레임 고정부(471a, 472a, 473a)가 형성되는 고정블럭(470); 을 포함하며,
    상기 황토블럭(410)은, 상기 제1 측면프레임(420), 지지프레임(450) 및 제2 측면프레임(430) 사이에 상하 길이방향 또는, 상기 하단프레임(440), 지지프레임(450) 및 상단프레임(460) 사이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다단 적층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50)은, 제4 고정수단이며, 둘레면 타측 또는 하측이 상기 황토블럭(410)의 일측 또는 상측 고정부에 끼워지고, 둘레면 일측 또는 상측이 상기 황토블럭(410)의 타측 또는 하측 고정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10. 복수의 황토블럭(510);
    벽면의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측면프레임(520);
    벽면의 타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측면프레임(530);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52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53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하단프레임(540);
    일단부가 상기 제1 측면프레임(52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측면프레임(53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단프레임(560);
    상기 황토블럭(510)의 고정을 위해 벽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양단이 상기 하단프레임(540)과 상단프레임(56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550);
    벽면에 양측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1 측면프레임(520)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 측면프레임(530)에 연결되고, 벽면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는 보조프레임(570);
    상기 보조프레임(570)이 끼워지도록 상기 지지프레임(550)의 전면에서 후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프레임홈(551); 및
    상기 제1 프레임홈(551)에 대응되며, 상기 지지프레임(550)이 끼워지도록 상기 보조프레임(570)의 후면에서 전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프레임홈(571); 을 포함하며,
    상기 황토블럭(510)은, 양측이 상기 지지프레임(550)에 맞닿고, 상하측이 상기 보조프레임(570)이 맞닿도록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KR1020120017040A 2011-05-20 2012-02-20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KR101224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040A KR101224155B1 (ko) 2012-02-20 2012-02-20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PCT/KR2012/002826 WO2012161419A2 (ko) 2011-05-20 2012-04-13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040A KR101224155B1 (ko) 2012-02-20 2012-02-20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155B1 true KR101224155B1 (ko) 2013-01-21

Family

ID=4784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040A KR101224155B1 (ko) 2011-05-20 2012-02-20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1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522A (ko) * 2016-02-15 2017-08-23 (주)포밍코리아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KR102298438B1 (ko) 2020-04-22 2021-09-06 주병선 황토 적층 벽체 및 그 제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4063B2 (ja) * 1997-12-26 2002-07-22 株式会社イナックス 乾式ブロック積上げ構築体
JP2003184198A (ja) * 2001-12-21 2003-07-03 Inax Corp 冷却壁体用ブロック及び冷却壁体
KR20030067288A (ko) * 2002-02-07 2003-08-14 최규원 주택용 벽과 인테리어벽체 모양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벽돌판넬
KR100932733B1 (ko) * 2007-08-03 2009-12-21 (주) 한국스치로폴 열전달 방지기능을 갖는 건축물의 벽체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4063B2 (ja) * 1997-12-26 2002-07-22 株式会社イナックス 乾式ブロック積上げ構築体
JP2003184198A (ja) * 2001-12-21 2003-07-03 Inax Corp 冷却壁体用ブロック及び冷却壁体
KR20030067288A (ko) * 2002-02-07 2003-08-14 최규원 주택용 벽과 인테리어벽체 모양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벽돌판넬
KR100932733B1 (ko) * 2007-08-03 2009-12-21 (주) 한국스치로폴 열전달 방지기능을 갖는 건축물의 벽체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5522A (ko) * 2016-02-15 2017-08-23 (주)포밍코리아 블록형 친환경 인테리어 월
KR102298438B1 (ko) 2020-04-22 2021-09-06 주병선 황토 적층 벽체 및 그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18673T3 (es) Bloques de construcción inter blocantes para ensamblajes modulares cambiantes
US8898993B2 (en) Bracket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US9021762B1 (en)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ith trapezoidal shape
US20160032585A1 (en) Wood brick assembly
US8443563B2 (en)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KR101429894B1 (ko) 건축용 경량콘크리트 블록과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101224155B1 (ko)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KR101075928B1 (ko) 난방용 배관블록 및 그 제조방법
IT1315093B1 (it) Accessorio per elementi modulari di supporto ed aerazione per vespai,solai, pavimenti o simili manufatti edili
KR101155880B1 (ko) 황토블럭을 이용한 인테리어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KR20200007335A (ko)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KR20160090232A (ko) 교체벽지를 구비한 조립식 황토판넬
KR100881063B1 (ko) 목재 패널을 이용한 황토 벽체
KR101205008B1 (ko) 친환경 주택 시공을 위한 황토벽체패널
US1604968A (en) Veneer brick or tile
KR200464063Y1 (ko)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CN204715557U (zh) 一种分户墙体隔声结构
WO2004070130A1 (en) Glass block surround
KR101123119B1 (ko) 바닥마감용 건축자재
US392902A (en) John w
KR20200059674A (ko) 이동식 갱폼
US1602728A (en) Building block
KR20120028192A (ko) 석재를 이용한 커튼월
KR101265791B1 (ko) 건축물의 지하 벽면 배수를 위한 마감 내장재
US929969A (en) Permanent concrete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