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795A -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795A
KR20100106795A KR1020090024983A KR20090024983A KR20100106795A KR 20100106795 A KR20100106795 A KR 20100106795A KR 1020090024983 A KR1020090024983 A KR 1020090024983A KR 20090024983 A KR20090024983 A KR 20090024983A KR 20100106795 A KR20100106795 A KR 20100106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music file
voice data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303B1 (ko
Inventor
이찬우
Original Assignee
이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우 filed Critical 이찬우
Priority to KR102009002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30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2335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udio signals, e.g. by converting from one coding standard to anoth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 or digital, e.g. DECT GSM, UM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부(聲部)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가곡, 합창곡과 같이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알토 등으로 이루어진 각 성부별 성부데이터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성부데이터 중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유자 요청에 의한 성부데이터만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된 성부데이터에 포함된 악보정보와 가사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출력하는 성부(聲部)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성부별 음악파일을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받음으로써, 언제 어디서든지 성부별로 구분된 성가곡, 합창곡과 같은 음악을 쉽게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성부, 음악파일, 이동통신단말기, 악보, 가사, 클라이언트, 서버, 소프라노, 테너, 알토, 베이스

Description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Transmission system for voice-parts music-file}
본 발명은 성부(聲部)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가곡, 합창곡과 같이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알토 등으로 이루어진 각 성부별 성부데이터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성부데이터 중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유자 요청에 의한 성부데이터만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된 성부데이터에 포함된 악보정보와 가사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출력하는 성부(聲部)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출력되는 음악파일은 성부별로 구분된 하나의 음악파일이 아닌 즉, 성부구분이 없는 하나의 음악파일이나 또는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알토 등 성부가 합성되어 하나로 된 음악파일을 수신하고 있었다.
따라서,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알토 등과 같은 각각의 성부 중에서 어느 한 성부만의 소리나 또는 어느 한 성부만의 음세기가 크게 처리된 합창곡, 성가곡 을 듣고자 할 경우 들을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유자가 합창곡 중에서 소프라노 성부만 음의 세기가 크고 나머지, 테너, 베이스, 알토의 음의 세기가 작은 합창곡을 듣고자 할 경우에 소프라노 성부만 음의 세기가 큰 음악파일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제공하는 시스템은 없었다.
더욱이, 성부별로 구분된 성부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성부데이터에 의한 소리와 가사, 악보가 동시에 출력되는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성부별로 구분된 합창곡, 성가곡과 같은 음악을 언제 어디서든지 쉽게 연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성부별로 성부데이터가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성부별로 합창곡, 성가곡 등의 음악을 연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은 음악파일을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등과 같은 각 성부에 대해서 다른 성부들보다 어느 한 성부의 음크기가 크게 제작됨과 동시에 악보정보와 가사정보가 포함되는 성부데이터를 각 성부별로 생성하는 클라이언트, 상기 성부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성부데이터를 저장하는 DB, 상기 저장된 성부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 환경에서 구동되게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성부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로 구성된 서버, 및상기 변환된 성부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데이터 수신부, 상기 변환된 성부데이터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된 성부데이터가 소리, 악보, 가사가 디스플레이부와 사운드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부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은 음악파일을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등과 같은 각 성부에 대해서 다른 성부들보다 어느 한 성부의 음크기가 크게 제작됨과 동시에 악보정보와 가사정보가 포함되는 성부데이 터를 각 성부별로 생성하는 클라이언트, 상기 성부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성부데이터를 저장하는 DB, 상기 성부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로 구성된 서버, 및 상기 변환된 성부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성부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 환경에서 구동되게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성부데이터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된 성부데이터가 소리, 악보, 가사가 디스플레이부와 사운드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부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은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등과 같은 성부로 이루어진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음악파일을 수신하는 제 1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음악파일을 저장하는 DB, 상기 저장된 음악파일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로 구성된 서버, 및 상기 음악파일을 수신하는 제 2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음악파일을 이동통신단말기 환경에서 구동되게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음악파일을 이용하여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등과 같은 성부데이터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성부데이터가 어느 한 성부에 해당하는 성부의 음크기가 다른 성부보다 크게 구동되게 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된 성부데이터가 소리, 악보, 가사가 디스플레이부와 사운드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부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성부별 음악파일을 이동통신단말기를 통 하여 제공받음으로써, 언제 어디서든지 성부별로 구분된 성가곡, 합창곡과 같은 음악을 쉽게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부(聲部)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개념도로서, 상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100)와 서버(200) 및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클라이언트(100)는 성가곡, 합창곡 등의 음악파일을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알토 등과 같은 각 성부(聲部)별로 어느 한 성부의 음세기를 크게하여 성부데이터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성부데이터를 서버(200)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성부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성부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환경에서 적합하게 구동되도록 상기 서버(200)에서 변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성부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300)에 직접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성부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300)에서 구동되게 변환한 이후에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300)에서는 서버(200)에 저장된 다수의 성부데이터 중에서 이동통신단말기(300) 소유자가 원하는 성부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성부데 이터에 의하여 소리가 재생될 뿐만 아니라 악보, 가사와 함께 성부데이터에 의한 소리가 재생된다.
아울러, 상기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성부데이터가 악보 편집 프로그램에 의해서 생성되며 상기한 성부(聲部)는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알토 등으로 구분된 것이고 상기 성부데이터는 상기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알토 등으로 구분된 성부 중에서 다른 성부들보다 어느 한 성부의 음크기가 큰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부(聲部)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100)와 서버(200)와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클라이언트(100)는 성가곡, 합창곡 음악파일 즉,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등으로 구분된 음악파일(400)을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알토 등으로 구분된 성부 중에서 다른 성부들 보다 어느 한 성부의 음 크기가 크게 성부데이터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성부데이터에는 악보정보, 가사정보를 함께 기록되게 제작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음악파일(400)은 A 부분이 소프라노 B 부분이 테너, C 부분이 알토, D 부분이 베이스로 구성된 보표는 하나의 음악파일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소프라노와, 베이스를 외성부라하고 테너와 알토를 내성부라 하며, 상기 외성부와 내성부를 합하여 성부라고 한다.
이때, 상기 외성부는 악보상에 제일 윗부분과 제일 아랫부분에 해당되고 내성부는 악보상에 중간부분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음악파일에는 도 3에 도시된 E, F와 같이 피아노 반주가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음악파일(400)을 상기 클라이언트(100)가 악보 편집 프로그램(NWC, ENC 등)을 이용하여 성부데이터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성부데이터(410)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성부데이터(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B, C, D의 음 중 어느 하나의 성부에 대해서 다른 성부들 보다 큰 음의 세기를 갖도록 제작된 것인바, 즉, 다른 성부들 보다 진하게 도시된 것이 음의 세기가 큰 것이다.
이때, 피아노 반주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 악보, 가사도 함께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성부데이터를 비롯하여 하기 설명되는 모든 성부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 소유자의 요청에 의해서 해당 성부데이터가 쉽게 검색되도록 헤드부분에 성부정보가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데이터수신부(210), DB(220), 변환부(230) 및 데이터전송부(240)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버(200)의 제 1 데이터수신부(210)는 상기 클라이언트(100)에 의하여 제작된 성부데이터(410)를 수신한다.
상기 서버(200)의 DB(220)는 상기 수신된 성부데이터(410)를 저장한다.
상기 서버(200)의 변환부(230)는 DB(220)에 저장된 성부데이터(410)가 클라이언트(100) 환경상에서 구동되게 구축된 것임으로 이를 이동통신단말기 환경에서 구동되도록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성부데이터(410)를 데이터전송부(240)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200)의 데이터전송부(240)는 상기 변환부(230)에 의해서 변환된 성부데이터(410)를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300) 소유자의 요청에 의한 성부데이터(410)는 서버(200)측에서 이동통신단말기(300) 환경에 적합하게 변환된 성부데이터(410)를 데이터 전송부(240)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300)에 전송되고 상기 성부데이터(410)에는 가사정보와 악보정보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서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300)가 다수개 구비된 경우에도 상기 성부별 음악파일이 동시 다발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제 2 데이터수신부(310)와 구동부(320) 및 출력부(3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의 각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제 2 데이터수신부(310)는 데이터전송부(240)로부터 가사정보와 악보정보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300) 환경에서 구동되게 변환된 성부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의 구동부(320)는 상기 서버(200)측에서 변환된 성부데이터를 구동하고 이때, 성부데이터(410)에 포함된 가사정보와 악보정보를 동시에 구동한다. 또한, 상기 변환된 성부데이터 구동에 있어서, 해당 성부의 음만 구 동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출력부(34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와 사운드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부(330)에서 구동되는 소리, 악보, 가사들을 출력한다. 특히, 이때 소리의 경우는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소유자가 선택한 성부에 해당하는 소리가 다른 성부의 소리보다 크게 출력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330)에서 해당 성부의 음만 구동할 경우에는 출력부(340)의 사운드부에서 해당 성부의 음만 출력된다.
상기한 구성요소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300)는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300)에 전송될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이동통신단말기(300)가 동시 다발적으로 상기 성부데이터(410)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성부(聲部)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100)와 서버(201) 및 이동통신단말기(301)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서버(201)는 제 1 데이터수신부(211)와 DB(221)와 데이터전송부(241)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201)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서버(201)의 제 1 데이터수신부(211)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제 1 데이터수신부(210)와 동일하고 상기 서버(201)의 DB(221)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DB(220)와 동일하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변환부(340)는 상기 제 2 데이터수신부(311)를 통하여 수신된 성부데이터(410)가 클라이언트(100) 환경상에서 구동되게 구축된 것임으로 이를 이동통신단말기(300) 환경에서 구동되도록 변환하고 변환된 성부데이터(410)는 구동부(321)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201)의 데이터 전송부(241)는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수신한 성부데이터(410)를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성부데이터(410)를 전송함에 있어서, 가사정보와 악보정보가 성부데이터(410)에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제 2 데이터수신부(311)와 변환부(340)와 구동부(321)와 출력부(331)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데이터수신부(311)는 도 2에서 설명한 제 2 데이터수신부(310)과 동일하고 상기 출력부(331)는 도 2에서 설명한 출력부(330)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321)는 도 2에서 설명한 구동부(320)와 동일하지만 성부데이터 구동에 있어서, 어느 한 성부에 해당하는 성부의 음크기가 다른 성부보다 크게 구동되고, 또한 해당 성부의 음만 구동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도 4의 다른 일실시예는 클라이언트에서 제작된 성부데이터(310)가 서버측에서 변환되어 전송할 것인가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변환되는 것인가에 대한 일실시예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성부(聲部)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110)와 서버(202) 및 이동통신단말기(302)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클라이언트(110)는 성가곡, 합창곡 음악파일 즉,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등으로 이루어진 음악파일(400)을 생성한다.
상기 서버(20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데이터수신부(212), DB(222), 및 데이터전송부(232)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버(202)의 제 1 데이터수신부(212)는 상기 클라이언트(110)에 생성된 음악파일(400)을 수신한다.
상기 서버(202)의 DB(222)는 상기 수신된 음악파일(410)을 저장한다.
상기 서버(202)의 데이터전송부(232)는 상기 DB(222)에 저장된 음악파일(400)을 이동통신단말기(302)의 요청에 의해서 추출되고 추출된 음악파일(400)을 이동통신단말기(302)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음악파일(400)은 가사정보와 악보정보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서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300)가 다수개 구비된 경우에도 상기 음악파일(400)이 동시 다발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2)는 제 2 데이터수신부(312)와 변환부(322)와 구동부(332) 및 출력부(3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2)의 각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2)의 제 2 데이터수신부(312)는 데이터전송부(232)로부터 음악파일(400)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2)의 변환부(322)는 상기 제 2 데이터수신부(312)에서 수신된 음악파일(400)을 이동통신단말기 환경에서 구동되도록 변환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2)의 구동부(332)는 변환된 음악파일(400)을 제공받은 이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부데이터(410)를 생성하는 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라노 성부, 알토 성부, 테너 성부, 베이스 성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면 행당 성부데이터가 자동으로 구동되고 구동됨에 있어서, 선택된 성부의 음크기가 다른 성부의 음보다 크게 출력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2)의 출력부(342)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와 사운드부를 통하여 상기 구동부(332)에서 구동되는 소리, 악보, 가사들을 출력한다. 특히, 이때 소리의 경우는 이동통신단말기(302)의 소유자가 선택한 성부에 해당하는 소리가 다른 성부의 소리보다 크게 출력된다. 또한, 해당 성부의 음만 구동되어 출력된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통합성부를 선택하면 음악파일(400)이 갖는 모든 성부의 음이 출력된다.
이상,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파일과 성부데이터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에 의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10 : 클라이언트 200, 202 : 서버
210, 212, 211 : 제 1 데이터수신부 220, 221, 222 : DB
232, 240, 241 : 데이터전송부
300, 302 :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
310, 311, 312 : 제 2 데이터수신부 322, 320, 340 : 변환부
320, 321, 332 : 구동부 330, 331, 342 : 출력부
400 : 음악파일 410 : 성부데이터

Claims (8)

  1. 음악파일을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등과 같은 각 성부에 대해서 다른 성부들보다 어느 한 성부의 음크기가 크게 제작됨과 동시에 악보정보와 가사정보가 포함되는 성부데이터를 각 성부별로 생성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성부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성부데이터를 저장하는 DB, 상기 저장된 성부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 환경에서 구동되게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성부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로 구성된 서버; 및
    상기 변환된 성부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데이터 수신부, 상기 변환된 성부데이터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된 성부데이터가 소리, 악보, 가사가 디스플레이부와 사운드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부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2. 음악파일을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등과 같은 각 성부에 대해서 다른 성부들보다 어느 한 성부의 음크기가 크게 제작됨과 동시에 악보정보와 가사정보가 포함되는 성부데이터를 각 성부별로 생성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성부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성부데이터를 저장하는 DB, 상기 성부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로 구성된 서버; 및
    상기 서버의 데이터전송부로부터 성부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데이터 수신 부, 상기 수신된 성부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 환경에서 구동되게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성부데이터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된 성부데이터가 소리, 악보, 가사가 디스플레이부와 사운드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부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음악파일이 악보 편집 프로그램에 의해서 성부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성부별 음악파일이 동시 다발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성부의 음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 음악파일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악파일은
    합창곡, 성가곡, 찬송가, 가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7.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등과 같은 성부로 이루어진 음악파일을 생성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음악파일을 수신하는 제 1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음악파일을 저장하는 DB, 상기 저장된 음악파일을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로 구성된 서버; 및
    상기 음악파일을 수신하는 제 2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음악파일을 이동통신단말기 환경에서 구동되게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된 음악파일을 이용하여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등과 같은 성부데이터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성부데이터가 어느 한 성부에 해당하는 성부의 음크기가 다른 성부보다 크게 구동되게 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된 성부데이터가 소리, 악보, 가사가 디스플레이부와 사운드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부로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성부의 음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KR1020090024983A 2009-03-24 2009-03-24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KR101041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983A KR101041303B1 (ko) 2009-03-24 2009-03-24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983A KR101041303B1 (ko) 2009-03-24 2009-03-24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795A true KR20100106795A (ko) 2010-10-04
KR101041303B1 KR101041303B1 (ko) 2011-06-14

Family

ID=4312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983A KR101041303B1 (ko) 2009-03-24 2009-03-24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3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859B1 (ko) * 2015-10-15 2016-10-27 가천대학교산학협력단 소셜네트워크 기반 합창 연주 지원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163B1 (ko) * 2012-03-06 2013-12-02 (주) 임앤정 재생속도조절이 가능한 음악파일 재생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052B1 (ko) * 2000-06-01 2004-11-16 (주)한슬소프트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노래반주/음악연주 서비스 장치 및그 방법
KR100717647B1 (ko) * 2004-12-31 2007-05-15 전경열 다중채널 음악 파일 제작방법 및 다중채널 음악 파일 제공시스템
KR20060103788A (ko) * 2005-03-28 2006-10-04 (주)알엠비정보통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숫자 악보 데이터를 이용한 음악연주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23912A (ko) * 2007-09-03 200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859B1 (ko) * 2015-10-15 2016-10-27 가천대학교산학협력단 소셜네트워크 기반 합창 연주 지원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303B1 (ko) 201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4527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or unit, musical tone generating system, musical tone generating apparatus, musical ton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CN103380454A (zh) 用于钹振动的电子处理的系统及方法
US10304432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sound 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452229B2 (ja) カラオケ効果音設定システム
JPH1152966A (ja) 音楽演奏システム
JP2007256618A (ja) 検索装置
KR101041303B1 (ko)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JP6065703B2 (ja) 基準データ作成システム、及び演奏端末装置
JP2010237260A (ja) 重唱曲の主声部を際立たせるカラオケ装置
JP5394401B2 (ja) オーディオプレーヤ間の出力ボリュームの類似性の改善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035112B2 (ja) シャウト技法による歌唱を評価する音声評価装置
JP2006251697A (ja) カラオケ装置
CN112447159B (zh) 共鸣音信号发生方法、共鸣音信号发生装置、记录介质及电子音乐装置
JP7331645B2 (ja) 情報提供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6596346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8046150A (ja) カラオケ装置
JP6651729B2 (ja)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144593B2 (ja) 歌唱採点システム
JP5847049B2 (ja) 楽器音出力装置
JP2008275836A (ja) 読み上げ用ドキュメント処理方法及び装置
WO2022172732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電子楽器、情報処理方法および機械学習システム
JP2009244790A (ja) 歌唱指導機能を備える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7233078A (ja) 評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1212555A (ja) 音楽再生装置
KR20120026808A (ko) 노래 가사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