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912A -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912A
KR20090023912A KR1020070089028A KR20070089028A KR20090023912A KR 20090023912 A KR20090023912 A KR 20090023912A KR 1020070089028 A KR1020070089028 A KR 1020070089028A KR 20070089028 A KR20070089028 A KR 20070089028A KR 20090023912 A KR20090023912 A KR 20090023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data
music
information
automatic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3912A/ko
Publication of KR20090023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4Transposing; Transcrib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4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based on mfcc [mel -frequency spectral coeffici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8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transcription of raw audio or music data to a displayed or printed staff representation or to displayable MIDI-like note-oriented data, e.g. in pianoroll forma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 G11B2020/10564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frequen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 G11B2020/10574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volume or amplitude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악 데이터를 분석하고 특징을 추출하며, 추출된 특징 정보를 이용해서 악보를 자동으로 획득한다. 획득한 악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편곡 관련 특정 정보에 따라 편곡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편곡된 음악 데이터와 원곡의 특징 정보를 합성하여 최종적으로 편곡된 음악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편곡 음악 데이터는 저장하거나 재생하거나, 필요하면 통신장치를 이용해서 전송하는 등의 적절한 사용이 이루어진다.
음악, 채보, 편곡

Description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MUSIC DATA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음악 데이터로부터 악보를 자동으로 획득하고, 획득한 악보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음악 정보에 근거한 자동 편곡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악 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정이나 박자 등과 같은 음악적인 특징을 자동으로 추출하거나, 이로부터 악보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음악 데이터는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거나 네트워크 등을 이용해서 다운로드 받은 디지털 신호 형태의 음악 데이터이거나, 사용자가 마이크를 이용해서 직접 부르거나 취득한 노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음악 데이터일 수 있다. 음악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이나 그 음악 데이터의 형태 등은 매우 다양하다. 대개의 경우, 전문적인 음악가는 새로운 음악의 작곡이라던가 기존 음악의 편곡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가이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사용자의 경우는 새로운 음악의 작곡은 물론, 기존 음악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적절히 가공하는 등의 작업이 결코 용이하지 않다. 기존에 이미 작곡된 음악을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적절히 가공하는 일련의 작업을 편곡으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편곡은 전문 음악가가 아닌 이상, 일반 사용자에게는 매우 접근하 기 어려운 문제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일반 사용자도 자신이 직접 편곡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인 수단을 필요로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 채보를 기반으로 원곡을 자동으로 편곡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음악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에 맞게 자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음악 데이터로부터 자동으로 악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악보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음악적인 가공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음악 데이터를 자동으로 편곡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악보가 없는 음악 데이터로부터 자동으로 악보를 얻고, 이를 자동으로 편곡하되, 편곡의 각 단계마다 필요로 하는 설정을 사용자가 개입하여 수정하거나 선택하고, 해당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편곡된 곡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자동 편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음악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이용해서 자동으로 악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악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박자, 조, 악기, 음 높이, 장르 등에 적절하게 해당 음악 데이터를 자동으로 편곡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음악 데이터로부터 자동으로 획득한 악보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특 정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음악 데이터를 자동으로 편곡하고, 편곡된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하거나, 재생하여 감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음악 데이터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 추출된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악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자동 채보부; 생성된 악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특정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편곡을 수행하는 자동 편곡부; 편곡을 위한 특정 정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편곡 방법은, 음악 데이터의 가창부분, 주파수 대역, 음정, 박자, 조, 연주에 참여한 악기, 장르, 반복 주기, 피치, 파워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음악 데이터의 악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박자, 조, 악기, 기본음높이, 장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특정 정보에 따라, 상기 악보에 해당하는 음악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악 데이터를 원곡에서 추출된 특징 정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와 합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악보의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곡으로 즉시 편곡하여 감상할 수 있는 자동 편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음원으로 갖고 있는 곡을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마이크나 다른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얻은 음악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장르, 악기, 템포, 조, 등의 음악 요소를 조정하여 사용자 취향에 최적화된 편곡을 수행하고 이를 감상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감정상태, 장소, 시간 등에 따라 원하는 음악의 종류가 바뀔 경우에도 이 요구를 충족시켜 자동 편곡된 곡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곡을 자유롭게 저장, 전송, 재생 등의 사용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편곡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편곡 시스템은, 음악 데이터 획득을 위한 입력부(101), 획득한 입력 음악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부(102), 음악 데이터 분석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음악 데이터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103), 추출된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악보를 자동으로 획득하기 위한 자동 채보부(104), 획득한 악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특정 정보에 따른 편곡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편곡부(105), 편곡된 음악 데이터에 원곡의 특징 정보를 합성하는 합성부(106), 합성된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107), 음악 데이터의 자동 편곡을 위한 정보들을 설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편곡 과정을 함께 표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음악이 사용자가 원하는 형식으로 편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편곡 시스템은 음악 데이터와 사용자가 원하는 곡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는 편곡 설정 정보를 각각 입력부(101)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8)를 통해서 입력받는다. 입력된 음악 데이터는 음악 데이터 분석부(102)에 의하여 분석되고, 특징 추출부(103)에서 특징이 추출된다. 자동 채보부(104)는 추출된 특징을 이용해서 자동 채보를 수행한다. 그리고 자동 편곡부(105)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108)를 이용해서 설정한 입력을 바탕으로 상기 채보된 악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편곡을 수행한다. 편곡이 완료되면 합성부(106)가 원곡의 박자와 편곡된 곡의 박자를 비교하여 원곡을 사용자가 원하는 박자로 맞추어 전체적인 곡을 만든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그 결과는 원곡에서 특정 특징은 유지하고 전체적인 곡은 사용자가 설정한 곡으로 편곡된 음악이 되며, 이는 출력부(107)를 통해서 출력되는데, 여기서 출력은 편곡된 음악 데이터의 저장, 전송, 재생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력부(101)는 네트워크 등으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음악 데이터를 읽어서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마이크를 이용해서 직접 부르는 노래, 혹은 녹음 등으로 획득한 노래를 입력받아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음악 데이터는 현재 사용 가능한 모든 오디오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를 직접 이용할 수도 있고, 연주 혹은 재생되는 음악을 사용자가 녹음 등의 작업을 통해서 직접 취득한 음악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음악 데이터는 디지털 정보에 근거할 수 있는데, 사용되고 있는 인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포맷들, 예를 들면 ogg 포맷, aac 포맷, wma 포맷, wav 포맷, MP3 포맷 등, 다양한 포맷의 디지털 음악 데이터를 이용해서 자동 편곡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01)로 입력된 음악 데이터는 분석부(102)에서 분석된다. 분석부(102)는 음악 데이터의 형태를 분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시스템이 PCM(Pulse Coded Modulation) 타입의 음악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기반으로 할 때, 입력 음악 데이터가 PCM 형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PCM 형태가 아니면 이를 PCM 형태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분석부(102)는 실시예에서 PCM 타입의 음악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전제로 할 경우에 요구되고 있으나, 디지털 음원에 대해서 그 특징을 직접 추출하는 경우에는 분석부를 배제하여도 무방하다.
음악 데이터 분석부(102)는 입력된 음악 데이터의 형태를 변환시킨다. 예를 들면, 특정 포맷의 음악 데이터를 PCM 형태로 변환시켜 준다.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 데이터를 처리할 때 PCM 수준의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음악 데이터가 음악 데이터 분석부(102)에 입력되면 이 데이터를 PCM 데이터로 바로 처리할 수 있는지, 아니면 인코딩되어 있는 데이터를 PCM 데이터로 복원해 주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입력된 음악 데이터의 형식이 PCM이라면 그대로 통과시켜 다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입력된 음악 데이터의 형식이 PCM이 아니라면 각각의 오디오 포맷에 따라 적절한 변환 절차를 수행하여 PCM 데이터로 변환해 준 후, 다음 단계인 특징 추출로 넘긴다.
특징 추출부(103)는 분석부(102)로부터 전달된 음악 데이터, 즉 원곡의 음악적인 특징을 추출한다. 음악적인 특징 정보는 매우 다양하며 연주에 참여한 악기 소리나 가창자의 목소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악적인 특징 중에 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특징을 추출한다. 자동 편곡을 위한 채보에 사용되지 않을 특징은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자동 편곡을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할 것인가에 따라 추출되는 특징 정보의 종류와 개수는 사전에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추출되는 특징은 원곡의 특정 성분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곡에서 가창자의 음성신호나 악기소리(기타 소리, 드럼 소리), 주파수 대역별 성분(고주파수 대역, 중저주파수 대역 등)을 특징 성분이라고 볼 수 있다. 특징 추출부(103)는 위와 같은 여러가지 특징 중에서 자동 채보를 하고자 하는 특징 만을 추출하여 이를 특징 정보로 저장한다.
특징 추출부(103)의 처리 결과는 전체 길이가 원곡과 동일하고 그 내용은 특징 만을 포함한 PCM 데이터가 된다. 음악 데이터로부터 받아들인 정보가 여러 개의 특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이 중에서 관심있는 특징 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음악 데이터로부터 받아들인 정보가 하나의 특징 만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입력된 데이터의 해당 특징이 그대로 추출된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의 가창자가 악기 연주를 전혀 동반하지 않고 아카펠라로 노래한 데이터가 입력으로 들어오면 특징 추출부(103)를 통해서 출력되는 결과는 입력과 같은 데이터가 된다. 여러 사람의 가창자가 각각 다른 대역의 소리를 내는 아카펠라 음악의 데이터가 입력으로 들어온다면, 여기서 악보로 만들어서 편곡하고자 하는 대역의 소리 만을 추출한다. 특징 정보는 자동 채보를 위하여 자동 채보부(104)에 제공되며, 또한 편곡된 곡과의 합성을 위하여 합성부(106)에도 제공된다.
자동 채보부(104)는 특징 추출부(103)로부터 제공되는 원곡 데이터의 특징에 해당하는 악보를 만들어서 이를 기록한다.
일반적으로 채보란 곡조를 듣고 그 것을 악보로 만드는 행위를 말한다. 채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음악을 듣는 행위와 들은 음을 판별한 후 종이 위에 악보로 기록하는 행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음악의 악보가 없을 경우 많은 음악가, 작곡가들이 편곡을 할 때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자동 채보는 사람이 직접 악보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기기를 이용해서 특정 프로세스를 통해 자동적으로 악보를 얻는 과정이다. 자동 채보를 하기 위해서는 기기에 입력되는 음악 데이터로부터 악보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정보들을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자동 채보부(104)는 음악 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악의 반복주기, 피치정보, 파워정보를 추출하고, 피치정보와 파워정보 등을 이용해서 음신호를 동일 음정으로 간주하는 구간을 설정하며, 이 구간의 음정을 악보에 기록하기 위하여 절대음정으로 만드는 과정을 수행하여 자동으로 악보를 획득한다.
특징 추출부(103)로부터 나온 데이터가 허밍과 같은 사람의 음성이라면 자동 채보부(104)에서는 이 허밍을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과정을 통하여 악보를 생성한다. 허밍이 아니더라도 각각의 악기 소리나 주파수 대역별 특징을 이용해도 마찬가지로 이를 분석하여 악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악보는 저장매체에 자동으로 저장된다. 여기서 저장매체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저장된 악보는 후에 이어질 자동 편곡의 악보로 이용되고, 필요하다면 인쇄 매체를 이용해서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자동 채보부(104)는 입력되는 특징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박자와 각각의 음들의 높이를 정하고, 이를 박자 단위에 맞게 마디로 나누어서 오선지에 기록하는데, 채 보된 악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서 표시해 주거나, 시스템과 연결된 인쇄장치를 이용해서 인쇄할 수 있다.
자동 채보부(104)에 의해서 획득한 악보는 자동 편곡부(105)에 제공된다. 자동 편곡부(105)는 획득한 원곡의 악보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특정 정보에 따라 해당 음악 데이터를 자동으로 편곡한다.
편곡은 기존 곡을 다른 형식으로 바꾸어 꾸미거나, 다른 악기를 사용하도록 하여 연주효과를 달리하는 작업 혹은 그렇게 만든 곡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편곡을 하기 위해서는 음악가 또는 편곡자가 직접 악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악기를 이용해서 연주를 직접 해야 한다. 반면, 자동 편곡은 일정한 형식이나 규칙으로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편곡 혹은 작곡된 자료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악기를 이용하여 기기에 의해 편곡이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자동 편곡부(105)에는 일정한 형식이나 규칙으로 편곡 자료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으며, 편곡에 사용될 형식이나 규칙은 일반적인 음악적인 정보들에 해당되는데, 예를 들면 장르에 따라 각각 다른 음악적인 특징 정보들이 해당될 수 있다.
자동 편곡부(105)는 자동 채보부(104)로부터 제공되는 악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8)에 의하여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곡을 생성한다.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편곡될 장르와 악기들, 그리고 박자 및 조 등의 정보를 제공받고, 자동 채보부(104)로부터 편곡할 악보를 제공받았으므로, 자동 편곡부(105)에서는 지정된 악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르의 음악으로 편곡을 수행한다. 만약, 악기들이 지정되지 않았다면 선택된 장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악기들로 곡을 생성 한다. 편곡을 수행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각 장르와 각 조에 대한 곡의 설정, 박자 변환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미리 확보하여 이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편곡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8)는 자동 채보부(104)에 의해서 얻은 악보를 이용하여 곡을 편곡할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곡의 유형과 같은 정보를 설정한다.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곡의 유형을 위하여 다양한 요소들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박자, 조, 악기, 기본 음 높이, 장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모든 설정 요소들을 바꿀 수도 있고, 일부분 만을 바꿀 수도 있다. 곡 유형을 위한 요소들 중에서 일부분 만을 설정할 경우에는 각각의 장르에 맞는 기본 설정들로 나머지 설정하지 않은 요소들의 설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장르에 따른 기본 설정은 음악적으로 이미 알려진 기법에 근거하므로 이를 사전에 구축하여 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8)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을 받는 부분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8)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곡의 편곡에 대한 조건이 주어지게 된다.
도 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8)를 이용해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설정 정보들의 예와 그 과정을 예로 들어서 보여주고 있다. 자동 채보부(104)에 의해서 확보된 악보에 대하여 어떤 박자의 곡으로 변결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고(S201 참조), 장조나 단조와 같은 조 설정을 수행할 수 있고(S202 참조), 연주에 참여시킬 악기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고(S203 참조), 음 높이(옥타브)를 설정할 수 있으며(S204 참조), 편곡된 곡을 어떤 장르-예를 들면 발라드나 록, 힙합, 댄스 등의 장르-에 맞출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S205 참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8)의 설정 정보에 따라 이루어진 자동 편곡된 음악 데이터는 합성부(106)에 제공된다. 합성부(106)는 자동 편곡부(105)에 의해서 편곡된 음악 데이터와 원곡에 해당되는 음악 데이터로부터 특징 추출부(103)에서 추출한 특징 데이터를 합성하여 최종적인 음악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는 원곡 특징 데이터와 편곡 음악 데이터의 합성을 예로 들었지만, 원곡에서 추출된 특징 데이터의 합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 편곡부(105)에서 편곡된 곡을 그대로 사용(저장, 재생, 전송 등)하고자 한다면 합성부(106)에 의한 음악 데이터 합성은 배제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합성부(106)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합성 과정의 예를 보여준다. 원곡의 특징 데이터, 즉 특징 정보가 특징 추출부(103)로부터 합성부(106)에 입력된다(S301). 합성부(106)는 편곡된 음악 데이터와 원곡 특징 데이터를 합성하기 전에 두 데이터의 박자를 비교한다(S302). 두 데이터의 박자가 같을 경우에는 그대로 두 데이터를 합성한다(S304). 원곡 특징 데이터의 박자와 편곡 음악 데이터의 박자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박자의 차이를 보정한다(S303). 즉, 편곡 설정을 할 때 원곡의 박자를 변경하였다면 두 데이터를 합성할 때 박자의 차이를 보정해 준다. 사용자가 원하는 곡은 편곡된 곡이므로 원곡의 특징 데이터의 박자를 편곡 음악 데이터의 박자로 맞춰주는 처리를 한다. 이 처리가 완료되면 두 데이터를 합성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의 곡으로 편곡된 음악이 획득된다.
최종적으로 획득된 편곡 음악 데이터는 출력부(107)로 전달된다. 출력 부(107)는 획득된 음악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재생하여 출력한다. 또한, 획득된 음악 데이터는 PCM 형식으로 저장하거나 PCM 형식으로부터 재생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 예를 들면 MP3 포맷 등의 적당한 디지털 음악 데이터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포맷 변환 모듈(코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변환된 디지털 음악 데이터는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재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07)가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부(107)로부터 다른 기기로의 전송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편곡된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 출력부(107)가 음악 데이터 재생 수단, 예를 들면 코덱이라거나 디지털/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변환기, 증폭기,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편곡된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자동 편곡 과정을 원곡이 4/4 박자인 MP3 파일의 음악 데이터를 예로 들어 살펴본다. 사용자는 원곡을 한국의 전통 악기들로 연주되는 6/8박자의 발라드 풍으로 편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8)를 이용해서 편곡과 관련된 위와 같은 정보를 설정한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편곡 시스템은 원곡 MP3 파일을 분석하여 이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데이터로부터 원곡의 가사에 대한 목소리 부분(가창 부분)을 추출한다. 추출된 목소리의 특징을 이용해서 해당 악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악보에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토대로 한국 전통 악기를 이용해서 발라드 풍의 6/8 박자 연주곡을 생성한다. 생성된 연주곡에는 가사가 없는 상태이다. 연주곡이 생성된 후에는 원곡에서 추출된 가사(가창 부분)를 6/8 박자로 맞추어 준 후 이를 연주곡과 합성한다. 이로써, 최종 적으로 편곡된 곡은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 즉 한국 전통 악기로 연주되는 6/8 박자의 발라드 풍의 곡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편곡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 중의 어느 한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은, 음악 데이터와 사용자 설정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분석과 채보 및 편곡에 이르는 일련의 모든 과정을 한꺼번에 순차적으로 완료한 후, 편곡된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분석, 채보, 편곡 등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각각의 단계의 수행 시작을 사용자가 직접 지시하여 매 단계마다 그 수행 결과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더 유연하고 사용자 의향이 충실하게 반영되는 편곡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편곡 시스템은 PC에 탑재될 수도 있겠으나, MP3 재생기기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기기, 혹은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능을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의 한가지 기능으로 탑재할 수 있다. 해당 기기에서 자동 편곡 기능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입력으로 편곡할 원곡, 장르, 박자, 악기의 종류, 조 등을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구성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제반 정보들의 선택이 끝나면 편곡할 원곡을 분석하여 곡의 특징을 기반으로 자동 채보를 수행하고, 편곡할 곡의 설정 정보를 이용해서 편곡을 수행한 후, 원곡의 특징과 편곡된 곡을 합성하여 최종적으로 해당 기기에서 곡을 재생시켜 주거나 저장해 두거나, 필요하면 전송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편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편곡 시스템에서 사용자 설정부에 의해서 설정되는 음악 정보의 종류와 그 과정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편곡 시스템에서 합성부의 합성 과정의 예를 나타낸 도면

Claims (7)

  1. 음악 데이터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
    추출된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악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자동 채보부;
    생성된 악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특정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편곡을 수행하는 자동 편곡부;
    편곡을 위한 특정 정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의 형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음악 데이터를 시스템에서 처리될 형태로 변환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편곡된 음악 데이터에 원곡에서 추출된 특징 정보를 합성하는 합성부를 더 포함하는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되는 특징 정보는 가창자의 음성신호, 악기 소리, 주파수 대역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인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음악의 반복 주기, 피치 정보, 파워 정보를 추출하고, 추 출된 정보를 이용해서 절대 음정을 생성 함으로써, 상기 자동 채보가 이루어지는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서 편곡을 위해 설정되는 특정 정보는 박자, 조, 악기, 기본음높이, 장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인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7. 음악 데이터의 가창부분, 주파수 대역, 음정, 박자, 조, 연주에 참여한 악기, 장르, 반복 주기, 피치, 파워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음악 데이터의 악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박자, 조, 악기, 기본음높이, 장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특정 정보에 따라, 상기 악보에 해당하는 음악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악 데이터를 원곡에서 추출된 특징 정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와 합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편곡 방법.
KR1020070089028A 2007-09-03 2007-09-03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20090023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028A KR20090023912A (ko) 2007-09-03 2007-09-03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028A KR20090023912A (ko) 2007-09-03 2007-09-03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912A true KR20090023912A (ko) 2009-03-06

Family

ID=4069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028A KR20090023912A (ko) 2007-09-03 2007-09-03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39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303B1 (ko) * 2009-03-24 2011-06-14 이찬우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KR101325722B1 (ko) * 2012-02-16 2013-11-08 김태민 사용자 입력 노래에 대응한 악보 생성 장치와 그 방법
KR20170058504A (ko) * 2015-11-18 2017-05-29 김준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5257B1 (ko) * 2019-05-08 2020-11-06 이은희 전자악보 제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303B1 (ko) * 2009-03-24 2011-06-14 이찬우 성부 음악파일 전송 시스템
KR101325722B1 (ko) * 2012-02-16 2013-11-08 김태민 사용자 입력 노래에 대응한 악보 생성 장치와 그 방법
KR20170058504A (ko) * 2015-11-18 2017-05-29 김준호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5257B1 (ko) * 2019-05-08 2020-11-06 이은희 전자악보 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869B1 (ko) 음악생성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717491B1 (ko) 음악 작곡 장치 및 그 운용방법
JP3598598B2 (ja) カラオケ装置
KR101136974B1 (ko)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US5986199A (en) Device for acoustic entry of musical data
CN1750116B (zh) 自动表演风格确定设备和方法
JP2010518459A (ja) 配布オーディオファイル編集用ウェブポータル
WO2008089647A1 (fr) Procédé de recherche musicale basé sur une demande d'information de pièce musicale
KR20090023912A (ko) 음악 데이터 처리 시스템
JP2009063714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早送り再生方法
WO2014142200A1 (ja) 音声処理装置
JP3176273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
JP3750533B2 (ja) 波形データ録音装置および録音波形データ再生装置
JP3613859B2 (ja) カラオケ装置
JP3214623B2 (ja) 電子楽音再生装置
JP2002372981A (ja) 音声変換機能付カラオケ装置
JP4537490B2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早送り再生方法
JP4263070B2 (ja) カラオケ歌唱力採点システム
JP3903492B2 (ja) カラオケ装置
JP3744247B2 (ja) 波形圧縮方法及び波形生成方法
JP2004184506A (ja) カラオ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24907B2 (ja) 演奏情報検索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当該演奏情報検索方法および演奏情報検索装置
JP2007233078A (ja) 評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788096B2 (ja) 波形圧縮方法及び波形生成方法
JPS58152291A (ja) 自動学習型伴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