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095A -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095A
KR20100103095A KR1020090021527A KR20090021527A KR20100103095A KR 20100103095 A KR20100103095 A KR 20100103095A KR 1020090021527 A KR1020090021527 A KR 1020090021527A KR 20090021527 A KR20090021527 A KR 20090021527A KR 20100103095 A KR20100103095 A KR 20100103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panel
folding
display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882B1 (ko
Inventor
유회준
유담
조수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2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882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는 독립적으로 온/오프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을 갖고, 접을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의 표시패널부,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따라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해당 하드웨어 및 해당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연산부, 표시패널부 및 연산부에 전력을 공급하되,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 중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따라 기설정된 단위표시패널이 온되도록 표시패널부에 전력을 공급하고,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해당 하드웨어 및 해당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도록 연산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표시패널부의 접힘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 받고,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연산부 및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전환 시, 각 기능에 특화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만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 및 연산능력 등의 자원 낭비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기기간의 전환은 단순히 접기만 함으로써 쉽게 바뀔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multi-display), 접는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 인덕티브 커플링(inductive coupling)

Description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APPARATUS FOR MULTIFUNCTIONAL DISPLAY OF FOLDING TYPE}
본 발명은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개인 단말기기들은 노트북컴퓨터,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휴대용 음악 재생기(MP3P), 휴대폰 등으로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장치들을 모두 휴대하기에는 번거롭기 때문에 최근에는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기능을 갖도록 각 장치들을 융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하나의 기기가 여러 기능을 갖는 장치로 여러 가지 휴대용 개인 단말기기 장치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휴대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여러 기능이 융합된 장치(이하, 융합 장치)를 통하여 휴대성이 증대될 수 있으나, 휴대성만을 고려하여 융합 장치를 너무 작게 만들면 화면 표시장치가 너무 작아지는 등의 제약으로 인해, 그 기능성이 제한 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하나의 단말기가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할 때에는 각각의 기능으로 동작 할 경우에 따라, 요구되는 사양(화면의 크기, 기기의 크기, 연산능력, 전원 소비 정도 등)이 모두 다르다.
종래 기술에서는 여러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하나로 합치기 위해, 예를 들어 휴대폰에 차량용 네비게이션 기능을 넣거나, PMP에 휴대폰 기능을 합치는 등의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기존의 융합 장치는 다양한 기능성과 높은 휴대성이 양립할 수 없는 특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형 전화기는 크기가 작아서 들고 다니기 좋으나(높은 휴대성), 개인용 컴퓨터로서 사용하기에는 그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화면이 너무 작으며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낮은 기능성). 한편, 노트북 컴퓨터 혹은 PMP는 휴대폰에 비해 기능이 다양하고 성능이 좋지만(높은 기능성), 그 크기가 휴대폰에 비해 너무 크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엔 불편하다(낮은 휴대성). 따라서 휴대용 개인기기 별로 기능성 혹은 휴대성 가운데 하나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이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기는 어렵다.
두 번째로, 기존의 융합 장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기존의 융합 장치들은, 하나의 기능에서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기 위해 별도의 스위치를 켜거나, 내부 메뉴에서 설정을 변경하거나, 별도의 장치를 달아주거나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가진 기존 융합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휴대폰에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합친 장치를 들 수 있다.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탑재한 휴대폰은 네비게이션용 거치대를 따로 구매하여 차량에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감수하더라도 휴대폰의 작은 화면은 차량을 운전하면서 길 안내를 받기에는 너무 작은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휴대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는 독립적으로 온/오프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을 갖고, 접을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의 표시패널부,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따라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해당 하드웨어 및 해당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연산부, 표시패널부 및 연산부에 전력을 공급하되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 중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따라 기설정된 단위표시패널이 온되도록 표시패널부에 전력을 공급하고,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해당 하드웨어 및 해당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도록 연산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표시패널부의 접힘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 받고,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연산부 및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부는 양면 표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애플리케이션으로는,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핸드폰 및 MP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는,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 각각과 연결되어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이 부분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는,
표시패널부가 접히는 축에 각각 설치되고, 인덕티브 커플링(inductive coupling)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표시패널부의 접힘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단위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단위감지부 각각은,
접히는 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설치된 제1 단위 감지부, 접히는 축을 중심으로 타측에 제1 단위 감지부와 대응되도록 설치된 제2 단위 감지부 및 비교부를 포함하고,
제1 단위 감지부는,
제1 인덕터 및 제1 인덕터와 연결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인덕티브 송신부를 포함하고,
제2 단위 감지부는,
제2 인덕터 및 제2 인덕터와 연결되고, 제2 인덕터를 통해 인덕티브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덕티브 수신부를 포함하고,
비교부는,
인덕티브 수신부에 수신된 수신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수신신호의 크기가 큰 경우, 제어부로 감지신호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복수 개의 단위 감지부 중 감지신호가 출력된 단위 감지부의 위치에 따라 연산부 및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복수 개의 단위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의 최종 입력 횟수에 따라 연산부 및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전환 시, 각 기능에 특화된 하드웨어만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 및 연산능력 등의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기기간의 전환은 단순히 접기만 함으로써 쉽게 바뀔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휴대용 개인 단말기기를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직관적인 기능 간 전환을 통하여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패널부(100), 연산부(110), 전원부(120), 감지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부>
표시패널부(100)는 양면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별도의 입력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표시패널부(100)는 독립적으로 온/오프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을 갖고, 접을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다.
표시패널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횟수(①, ②, ③, ④회..)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이 부분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부(100)가 16개의 단위표시패널(100n)로 구성되고, 16개의 단위표시부가 모두 온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표시패널부(100)을 반으로 ①회 접게 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단위표시패널가 턴오프되고, 나머지 8개의 단위표시패널은 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온 상태인 8개의 단위표시패널을 통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8개의 단위표시패널이 온 상태인 표시패널부(100)를 한 번 더 반으로 접게 되면(총 ②회 접힘),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상태의 단위표시패널 중 4개는 턴오프되고 나머지 4개는 온 상태를 유지하면서, 온 상태인 4개의 단위표시 패널을 통해 영상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부(100)는 접힌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이 부분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부(100)는 1회 접히더라도 표시패널부(100) 면적의 1/2이 접히는지 혹은 1/4이 접히는지에 따라 단위표시패널의 온/오프 상태가 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 중 어느 부분의 단위표시패널과 어느 부분의 단위표시패널 사이가 접히는지에 따라 동일한 횟수로 접히더라도 온/오프되는 단위표시패널들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표시패널부(100)는 접힌 횟수와 접힌 위치의 조합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이 부분적으로 온/오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패널부(100)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전환되어 실행된다. 즉,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가능하고, 표시패널부(100)가 접힐 때마다 접힌 횟수에 맞게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자동 전환되는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으로는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핸드폰 및 MP3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전환방식은 기존과 달리, 스위치 방식 또는 내부 메뉴에서 설정을 변경하는 방식이 아닌,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를 인식하여 자동 전환되는 방식을 갖는다. 애플리케이션 자동 전환 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연산부>
연산부(110)는 표시패널부(100)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활성화된다. 즉,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표시패널부(100)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따라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 따라 그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활성화 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들도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부(100)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해당 하드웨어 및 해당 소프트웨어만 동작하게 된다.
연산부(110)는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해당 하드웨어 및 해당 소프트웨어만 활성화되므로 전원부(120)로부터 연산부(100) 구동에 필요한 전력만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연산부(110)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부분만이 활성화됨으로써 연산부(11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전원부>
전원부(120)는 표시패널부(100) 및 연산부(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원부(120)는 표시패널부(100)와 연산부(110) 동작에 필요한 전력만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전원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 각각과 연결되어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 중 표시패널부(100)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따라 기설정된 단위표시패널이 온 되도록 표시패널부(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표시패널부(100)가 접히게 되면, 제어부(140)는 표시패널부(100)의 접힌 횟수를 인식하고, 접힌 횟수에 따라 제어신호를 전원부(120)로 출력한다. 전원부(120)는 제어부(140)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단위표시패널에만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부(100)가 n회 접힐 경우 전원부(120)는 표시패널부(100)가 n회 접힘에 따라 설정된 소정 레벨을 갖는 제어신호를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제어신호의 레벨에 따라 설정된 해당 단위표시패널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어신호의 레벨에 따라서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 중 어떠한 단위표시패널이 온/오프되는지가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다.따라서 전원부(120)는 표시패널부(100)의 접힌 횟수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이 부분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전원부(120)는 표시패널부(100)의 접힌 위치에 따라 설정된 단위표시패널들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 중 어느 부분의 단위표시패널이 접히는가에 따라서 온/오프되는 단위표시패널이 설정되어 있어, 설정된 단위표시패널로 전력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표시패널부(100)는 접힌 횟수와 접힌 위치의 조합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이 부분적으로 온/오프될 수도 있다.
<감지부>
도 4는 표시패널부에 설치된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4는 감지부에 포함된 복수 개의 단위 감지부 중 임의의 단위 감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감지부(130)는 표시패널부(100)가 접히는 축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는 인덕티브 커플링(inductive coupling)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표시패널부(100)의 접힘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단위감지부(Sn)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위 감지부(Sn)는 표시패널부(100)의 접힘을 각각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복수 개의 단위감지부(Sn) 각각은 접히는 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설치된 제1 단위 감지부(101-a, 103-a), 타측에 제1 단위 감지부(101-a, 103-a)와 대응되도록 설치된 제2 단위 감지부(101-b, 103-b) 및 비교부(105)를 포함한다.
제1 단위 감지부(101-a, 103-a)는 제1 인덕터(103-a) 및 인덕티브 송신부(101-a)를 포함한다. 인덕티브 송신부(101-a)는 제1 인덕터(103-a)와 연결되고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2 단위 감지부(101-b, 103-b)는 제2 인덕터(103-b) 및 인덕티브 수신부(101-b)를 포함한다. 인덕티브 수신부(101-b)는 제2 인덕터(103-b)와 연결되고 인덕티브 송신부(101-a)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제2 인덕터(103-b)를 통해 수신한다.
비교부(105)는 인덕티브 수신부(101-b)에 수신된 수신신호를 기준신호(Vref)와 비교하여 수신신호의 크기가 큰 경우, 제어부(140)로 감지신호 출력한다.
<제어부>
제어부(140)는 감지부(13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입력 받고, 표시패널부(100)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연산부(110) 및 전원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가 표시패널부(100)의 접힌 횟수에 따라 동작할 경우, 제어부(140)는 단위 감지부(Sn)들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최종 입력 횟수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설정된 연산부(110) 및 전원부(12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가 표시패널부(100)의 접힌 위치에 따라 동작할 경우, 제어부(140)는 복수 개의 단위 감지부(Sn) 중 감지신호가 출력된 단위 감지부(Sn)의 위치에 따라 설정된 연산부(110) 및 전원부(12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제어부(140)는 표시패널부(100)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대하여 조합된 정보에 이용하여 연산부(110) 및 전원부(12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2. 동작 예
이하에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및 접히는 횟수에 따라 기능이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힌 횟수에 따라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단계와 같이, 표시패널부(100-a)는 A4 용지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으며, 접히지 않고 펼쳐져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먼저, 도 5의 (a)단계에서의 표시패널부(100-a)는 도 6a에 도시된 스크린 터치 입력방식의 노트북 컴퓨터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 표시패널부(100-a)를 (a)'단계에서와 같이 반으로 접게 되면, 접힘이 감지되고 현재 접힌 횟수(①회 접힘)에 따라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자동 전환된다. 이때, ①회 접힌 표시패널부(100-b)는 (a)단계에서의 표시패널부(100-a) 크기의 1/2이 되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6a에 도시된 노트북 컴퓨터에서 도 6b에 도시된 차량용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전환된다.
다음, 표시패널부(100-b)를 (b)'단계에서와 같이 반으로 접게 되면 접힘이 감지되고, 현재 접힌 횟수(②회 접힘)에따라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자동 전환된다. 이때, ②회 접힌 표시패널부(100-c)는 (a)단계에서의 표시패널부(100-a) 크기의 1/4이 되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6b에 도시된 차량용 네이게이션에서 도 6c에 도시된 PMP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전환된다.
다음, 표시패널부(100-c)를 반으로 접게 되면, 접힘이 감지되고, 현재 접힌 횟수(③회 접힘)에 따라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자동 전환된다. 이때, ③회 접힌 표시패널부(100-d)는(a)의 단계에서의 표시패널부(100-a) 크기의 1/8이 되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6c에 도시된 PMP에서 도 6d에 도시된 핸드폰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전환된다.
다음, 표시패널부(100-d)를 반으로 접게 되면, 접힘이 감지되고, 현재 접힌 횟수(④회 접힘)에 따라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자동 전환된다. 이때, 표시패 널부(100-d)는 도 5의 (a)단계에서의 표시패널부(100-a) 크기의 1/16이 되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6d에 도시된 핸드폰에서 도 6e에 도시된 MP3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전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힌 횟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전환되므로, 그 역방향(펼쳐짐)으로도 기능 전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4회 접힌 상태에서 표시패널부를 한번 펼치게 되면 총 3회 접힌 상태가 되므로, MP3에서 핸드폰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이 전환될 수 있다.
표시패널부의 접힌 위치에 따라 기능이 전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에 따라 기능이 전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과 달리,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들 중 어느 위치에 있는 단위표시패널 간이 접히는가에 따라 기능이 전환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표시패널부의 접힌 위치에 따라 기능이 전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은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에 따라 기능이 전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과 대동소이하므로, 표시패널부의 접힌 위치에 따라 기능이 전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에 따라 기능이 전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가 접을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고, 접음과 동시에 접힌 횟수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장치로 자동 변환된다. 이 때, 전원 및 화면 등은 각 기기(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폰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노트북 컴퓨터로 동작시키는 경우에 비해, 그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을 줄이는 대신 전력 소모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전환 시, 각 기능에 특화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만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 및 연산능력 등의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기기간의 전환은, 단순히 접고 펼치기만 하면 쉽게 바뀔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휴대용 개인 단말기기를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직관적인 기능간 전환을 통하여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부의 온/오프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부와 전원부와의 연결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및 접히는 횟수에 따라 기능이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힌 횟수에 따라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표시패널부
110: 연산부
120: 전원부
130: 감지부
140: 제어부

Claims (8)

  1. 독립적으로 온/오프 가능한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을 갖고, 접을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의 표시패널부;
    상기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따라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상기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해당 하드웨어 및 해당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연산부;
    상기 표시패널부 및 상기 연산부에 전력을 공급하되 상기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 중 상기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따라 기설정된 단위표시패널이 온되도록 상기 표시패널부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기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해당 하드웨어 및 해당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도록 상기 연산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표시패널부의 접힘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연산부 및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부는 양면 표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는,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핸드폰 및 MP3를 포함하는,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단위표시패널 중 상기 표시패널부의 접힌 횟수 또는 접힌 위치에 따라 기설정된 단위표시패널이 온되도록 상기 표시패널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표시패널부가 접히는 축에 각각 설치되고, 인덕티브 커플링(inductive coupling)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부의 접힘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단위감지부를 포함하는,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감지부 각각은,
    상기 접히는 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설치된 제1 단위 감지부;
    상기 접히는 축을 중심으로 타측에 상기 제1 단위 감지부와 대응되도록 설치된 제2 단위 감지부; 및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감지부는,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1 인덕터와 연결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인덕티브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 감지부는,
    제2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인덕터를 통해 상기 인덕티브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덕티브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인덕티브 수신부에 수신된 수신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크기가 큰 경우 상기 제어부로 상기 감지신호 출력하는,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감지부 중 상기 감지신호가 출력된 단위 감지부의 위치 에 따라 상기 연산부 및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감지부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감지신호의 최종 입력 횟수에 따라 상기 연산부 및 상기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21527A 2009-03-13 2009-03-13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6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527A KR101063882B1 (ko) 2009-03-13 2009-03-13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527A KR101063882B1 (ko) 2009-03-13 2009-03-13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095A true KR20100103095A (ko) 2010-09-27
KR101063882B1 KR101063882B1 (ko) 2011-09-15

Family

ID=4300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527A KR101063882B1 (ko) 2009-03-13 2009-03-13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88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161A (ko) * 2013-11-26 2015-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WO2015133658A1 (en) * 2014-03-03 2015-09-11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298221B2 (en) 2013-12-30 2016-03-29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displaying folding information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10054987B2 (en) 2015-03-20 2018-08-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0481720B2 (en) 2015-04-24 2019-11-19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0684714B2 (en) 2016-09-20 2020-06-16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10014188A (ko) * 2013-06-21 2021-02-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정보 처리 장치
KR20210122220A (ko) * 2020-03-30 2021-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RE49755E1 (en) 2013-02-01 2023-12-12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740B1 (ko) 2012-10-05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19843B1 (ko) 2014-02-10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77785B1 (ko) 2014-02-10 202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31956B1 (ko) 2014-02-10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EP3105666B1 (en) 2014-02-10 2020-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254671B1 (ko) 2014-09-25 2021-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위치에 따라 데이터 전송 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KR20200120837A (ko) 2019-04-12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701A (ja) * 1995-10-31 1997-05-16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
JPH1063195A (ja) * 1996-08-13 1998-03-06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706151B2 (ja) * 2001-08-30 2011-06-2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5115554A (ja) * 2003-10-06 2005-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電子機器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9755E1 (en) 2013-02-01 2023-12-12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10014188A (ko) * 2013-06-21 2021-02-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정보 처리 장치
KR20150060161A (ko) * 2013-11-26 2015-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US9298221B2 (en) 2013-12-30 2016-03-29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displaying folding information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method
WO2015133658A1 (en) * 2014-03-03 2015-09-11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66669B2 (en) 2014-03-03 2018-01-09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298734B2 (en) 2014-03-03 2019-05-21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054987B2 (en) 2015-03-20 2018-08-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0481720B2 (en) 2015-04-24 2019-11-19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1169642B2 (en) 2015-04-24 2021-11-09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1886670B2 (en) 2015-04-24 2024-01-3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1347336B2 (en) 2016-09-20 2022-05-3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684714B2 (en) 2016-09-20 2020-06-16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10122220A (ko) * 2020-03-30 2021-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882B1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882B1 (ko) 폴딩형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US859916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dynamically adjusted touch area
TWI296754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200964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enu item
KR101431362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0548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7281864A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40138189A (ko) 컴퓨터 단말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40160025A1 (en) Stylus Keyboard
CN101414229A (zh) 手持电子装置触控荧幕执行切换功能的控制方法及其装置
CN104317483A (zh) 一种移动终端屏幕上的光标位置控制及操作方法
JP5058083B2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2008090345A (ja) 携帯式コンピュータ、画面表示方向の変更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CN102761649A (zh) 移动通讯网络终端
US20090303074A1 (en) Wireless contro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101118609B1 (ko) 휴대용기기에 기울기를 적용한 키패드의 운영방법
JP5233500B2 (ja) 携帯型電子機器の電源制御回路および電源制御方法
US20140347279A1 (en) Keyboard device with switchable connection path and its switching method
JP2012079283A (ja) 光学式ポインティング機能と指紋認識機能とが統合された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システムの操作方法
WO2011108267A1 (ja) 端末装置及び端末システム制御方法
KR101062658B1 (ko) 풍속 및 온도 센서를 구비한 전자기기 및 제어 방법
JP4651575B2 (ja) 携帯無線端末装置
EP3416033A1 (en) Capacitance det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20110148802A1 (en) Present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a touch panel
CN109842830A (zh) 一种车载音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