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597A -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597A
KR20100100597A KR1020100007044A KR20100007044A KR20100100597A KR 20100100597 A KR20100100597 A KR 20100100597A KR 1020100007044 A KR1020100007044 A KR 1020100007044A KR 20100007044 A KR20100007044 A KR 20100007044A KR 20100100597 A KR20100100597 A KR 20100100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injection
connecting member
tire pressure
th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9597B1 (ko
Inventor
웬-후오 황
Original Assignee
성정 미닛 인더스트리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정 미닛 인더스트리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성정 미닛 인더스트리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00100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91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 B60C23/0496Valve stem attachments positioned outside of the tyre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바퀴의 에어 탭(air tap)에 구비되어 타이어의 압력을 측정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는, 에어 주입부(air-intake device)와 양방향 슬리브(bidirectional sleeve)와 캡(cap)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주입부는 에어 주입 시트(seat)를 포함한다. 그리고 에어 주입 시트는 에어 주입 부재를 통해 에어 탭에 구비된다. 그리고 양방향 슬리브는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 부재들은 분리 부재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1 연결 부재는 타이어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detection device)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 챔버(air chamber)를 형성하도록 에어 주입 시트의 결합 부재(engagement member)로써 구비된다. 캡은 검출부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벽(connection wall)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TIRE PRESSURE DETECTOR}
본 발명은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바퀴의 타이어 압력을 측정하는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행 안전(driving safety)은 운전자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타이어는 주행 안전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바퀴의 타이어는 적절한 압력을 가져야 한다.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타이어 압력은 주행 안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운전자는 외관상으로는 타이어 압력을 알 수 없으며 장비와 차량 정비소의 인력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이에, 관련 제조업체는 타이어 압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다양한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들을 개발하였다.
특허 제M315663호는 케이싱(casing), 캡(cap), 전원공급장치 및 검출 회로기판(detective circuit board)으로 구성된 "검출 가능한 에어 탭 캡 어셈블리"가 기재된다. 캡은 케이싱의 일측에 매립 구비되고, 검출 회로기판은 케이싱의 내부에 가압맞춤 구비된다. 캡은 검출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검출 가능한 에어 탭은 타이어의 에어 탭에 결합되고, 타이어 전체의 에어가 에어 주입구를 통해 케이싱으로 주입된다. 검출 회로기판은 타이어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유닛은 정보를 분석하고 수신 장치에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운전자는 수신 장치로부터 타이어의 상태를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특허는 에어 챔버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나, 타이어 압력 검출부에서 공기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서 에어 탭의 밸브 코어에 대해 가압하는 밸브 코어 니들(needle)을 사용한다. 이러한 수단은 공기 누출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케이싱에 매립된 캡은 타이어 압력 검출부에서 에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와셔(washer)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상기 캡과 케이싱의 종속된 영역 내에서 에어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제한적인 효과를 가질 수밖에 없다. 기존의 특허에 따르면, 검출된 결과와 실제 상태 사이에 일반적으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잘못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주행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불어, 배터리가 캡 내부에 구비된다. 그러나 캡이 케이싱에 매립 구비되므로, 케이싱에서 분해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소모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검출부의 전체 서비스 수명과 배터리의 서비스 수명이 같다. 소비자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제한적인 서비스 수명은 경제적 효율성이 낮음을 의미한다.
기존의 타이어 압력 검출부는, 공기 밀폐성(airtightness)이 낮고, 배터리의 교체가 어려우며, 경제성이 낮으며, 검출 결과가 부정확한 경향이 있으며, 장시간 사용 후 에어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적인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의 낮은 공기 밀폐성을 개선하고, 배터리를 교체하는 동안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의 공기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검출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를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에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퀴의 에어 탭에 장착되어 타이어 압력을 검출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는, 에어 주입장치(air-intake device), 양방향 슬리브(bidirectional sleeve) 및 캡(cap)으로 구성된다. 에어 주입장치는 에어 주입 시트(air-intake seat)를 구비한다. 에어 주입 시트는 에어 주입 부재와 상기 에어 주입 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 부재(engagement member)를 구비한다. 양방향 슬리브는 분리 부재,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는 서로 분리 부재의 양쪽 단부를 형성한다. 제1 연결 부재는 에어 주입 시트의 결합 부재와 연결되어 타이어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수용하는 에어 챔버를 형성한다. 캡은 제2 연결 부재에 결합되어 검출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 벽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주입 부재는 에어 주입 잠금 기구(air-intake locking instrument)에 힘을 작용시키는 에어 주입 가압 부재(air-intake force-action member)를 구비한다. 에어 주입 잠금 기구는 에어 주입 가압 부재와 매칭되는 제1 위치 결정 부재(positioning member)를 구비한다. 에어 주입 장치는 도난방지 요소(theft-proof element)를 구비한다. 도난방지 요소는 도난방지 잠금 기구(theft-proof locking instrument)에 힘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난방지 작용 부재(theft-proof force-action member)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난방지 잠금 기구는 도난방지 작용 부재와 매칭되는 제2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효과적으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타이어에서 돌출된 전용 에어 탭(dedicated air tap)으로 구성된다.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는 에어 주입 시트의 에어 주입 부재를 통해 전용 에어 탭에 장착된다. 전용 에어 탭은 에어 튜브와 일체로 형성된 에어 주입 팁으로 구성된다. 에어 주입 팁은 타이어에 연결되며, 에어 튜브는 타이어에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전에 전용 에어 탭에서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를 분리시킬 필요가 없다. 뿐만 아니라, 전용 에어 탭은 새시(chassis)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배치는 바퀴의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의 도난 비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상적인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완전히 기밀성 있는 에어 챔버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확한 타이어 압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출 결과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배터리를 직접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용 에어 탭에서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타이어를 팽창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바퀴의 본래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로(배터리 미도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전용 기구를 보여주는 모식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용 에어 탭에 장착된 본 발명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tire pressure detector)를 보여주는 사시도, 분해도, 단면도 및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퀴에 장착되어 타이어 압력을 측정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20)는 에어 주입장치(an air-intake device)(1), 검출부(detection device)(2), 양방향 슬리브(bidirectional sleeve)(3), 전원부(power source)(4) 및 캡(cap)(5)으로 구성된다.
에어 주입장치(1)는 에어 주입 시트(air-intake seat)(11)와 도난 방지 요소(theft-proof element)(13)로 구성되고, 에어 주입 시트(11)와 도난 방지 요소(1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에어 주입 시트(11)는 에어 주입 부재(111)와 결합 부재(engagement member)(112)를 구비한다. 수평 분리기(113)는 에어 주입 부재(111)와 결합 부재(112) 사이에 형성된다. 수평 분리기(113)는 에어 주입 부재(111)와 결합 부재(112)를 서로 연결하는 밸브 홀(114)을 구비한다. 밸브부(12)는 에어 탭(10)에 대해 밸브 홀(114)을 지지한다. 밸브부(12)는 밸브 마우스(valve mouth)(121)와 밸브 링(valve ring)(122)을 구비한다. 밸브 마우스(121)는 타이어 내부로 에어 주입장치(1)가 들어가도록 에어 탭(10)을 가압한다. 에어 주입 시트(11)는 에어 주입 부재(111)의 나사를 통해 에어 탭(10)에 장착된다. 에어 주입 부재(111)의 나사의 다른 일측에는 에어 주입 잠금 기구(air-intake locking instrument)(6)에 힘을 작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 주입 가압 부재(air-intake force-action member)(115)가 형성된다. 에어 주입 잠금 기구(6)는 에어 주입 가압 부재(115)와 매칭되는 제1 위치 결정 부재(positioning member)(61)를 구비한다. 도난 방지 요소(13)는 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도난 방지 요소(13)를 에어 탭(10)에 스크류 결합된다. 도난 방지 요소(13)의 나사의 다른 일측에는 도난 방지 잠금 기구(theft-proof locking instrument)(7)에 힘을 작용시키는 도난 방지 가압 부재(theft-proof force-action member)(131)가 형성된다. 도난 방지 잠금 기구(7)는 도난 방지 가압 부재(131)와 매칭되는 제2 위치 결정 부재(71)를 구비한다. 실질적으로, 우선 도난 방지 요소(13)는 에어 탭(10)에 스크류 결합되고, 다음으로 에어 주입 시트(11)가 에어 탭(10)에 스크류 결합된다. 여기서, 에어 주입 시트(11)와 도난 방지 요소(13)는 둘 다 에어 탭(10)의 종단부에 스크류 결합되고, 에어 주입 잠금 기구(6)의 제1 위치 결정 부재(61)와 도난 방지 잠금 기구(7)의 제2 위치 결정 부재(71)는 에어 주입 가압 부재(115)와 도난 방지 가압 부재(131)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 주입 잠금 기구(6)는 에어 주입 가압 부재(115)에 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도난 방지 잠금 기구(7)는 도난 방지 가압 부재(131)에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에어 주입 시트(11)는 도난 방지 요소(13)에 대해 타이트하게 가압한다. 에어 주입 잠금 기구(6)와 도난 방지 잠금 기구(7)는 전용 기구이므로, 전용 기구 없이는 도둑이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20)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만약, 도둑이 비전용 기구 또는 힘을 가하여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20)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20)는 손상된다. 따라서, 도난 방지 효과가 있다.
검출부(2)는 인쇄회로기판(21)을 포함한다. 검출부(2)는 또한 인쇄회로기판(21) 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출 요소(22)와 모두 인쇄회로기판(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통신 도체(wireless transmission conductor)(23) 및 연관 전기 요소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도체(23)는 인쇄회로기판(21)을 관통하여 에어 주입 시트(11)와 접촉되고, 금속 재질의 에어 주입 시트(11)는 무선 통신의 안테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검출부(2)에 의해 측정된 타이어 압력 데이터는 수신 장치로 무선 통신된다. 수신 장치는 차량의 전면 내부 및 운전자가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는 차량 컴퓨터와 연동될 수 있으며, 타이어 압력 데이터는 대시 보드에 표시될 수 있다.
양방향 슬리브(3)에서, 제1 연결 부재(31)와 제2 연결 부재(32)는 분리 부재(33)의 양쪽 측부에 형성되며, 분리 부재(33)는 환상의 벽 형태를 갖는 제1 연결 부재(31)와 제2 연결 부재(32)에서 양쪽 반대 방향 단부에 대해 외측 모서리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연결 부재(31)는 에어 주입 시트(11)의 나사에 매칭되는 나사(thread)(311)를 구비한다. 제1 연결 부재(31)는 에어 챔버(35)에서 에어 주입 시트(11)의 결합 부재(112)에 결합된다. 분리 부재(3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루홀(through-hole)(37)을 구비한다. 접착제(adhesive)(36)는 에어 챔버(35)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제1 연결 부재(31)와 에어 주입 시트(11)의 결합 부재(112)의 결합부에 개재된다. 접착제(36)는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에 사용할 수 있는 글루로써, 예들 들어 에폭시 레진(epoxy resin)일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32)는 캡(5)의 나사에 매치되는 나사(321)를 구비한다. 제2 연결 부재(32)는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notch)(34)를 구비한다. 슬리브 링(8)은 분리 부재(33)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제1 연결 부재(31)의 나사(311)와 제2 연결 부재(32)의 나사(321) 사이에서 구비된다.
전원부(4)는 배터리(4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도 요소(conduction element)(42)를 구비한다. 전도 요서(32)는 양극 전도체(positive conductor)(421)와 음극 전도체(a negative conductor)(422) 및 이동 가압 전도체(movable pressing conductor)(423)를 구비한다. 이동 가압 전도체(423)는 양극 전도체(421)의 접촉단(contact end)(424)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단(fixing end)(427)을 구비한다.
고정단(427)은 가압맞춤 슬롯(press-fit slot)을 구비하고, 접촉단(424)은 가압맞춤 훅(press-fit hook)을 구비하며, 가압맞춤 훅은 가압맞춤 슬롯에 가압맞춤 결합될 수 있다. 양극 전도체(421)와 음극 전도체(422)는 각각 전도 로드(conduction rod)(425, 426)를 구비한다. 양극 전도체(421)와 음극 전도체는 양방향 슬리브(3)에 장착된다. 전도 로드(425, 426)는 양방향 슬리브(3)의 제2 연결 부재(32)에 연장되고, 스루홀(37)을 관통하여 제1 연결 부재(31) 내측의 에어 챔버(35)에 접촉된다.
캡(5)은 제2 연결 부재(32)와 결합되어 전원부(4)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accommodation space)(38)을 형성하는 연결 벽(connection wall)(51)을 구비한다. 양극 전도체(421)의 전도 로드(425)와 음극 전도체(422)의 전도 로드(426)는 수용 공간(38)에서 연장되고, 분리 부재(33)의 스루홀(37)을 관통하여, 에어 챔버(35)에서 인쇄회로기판(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부(4)는 검출부(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20)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전도 로드(425, 426)가 스루홀(37)을 관통한 후, 에어 챔버(35)의 기밀성을 보장하고 에어 챔버(35)를 둘러싸고 있는 타이어의 높은 공기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38)과 에어 챔버(35)의 측면에서 스루홀(37)을 각각 밀폐시키도록 접착제(36)가 사용된다.
도 5a와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도 2에 예시한 실시예와 그 구조 및 원리가 유사하다. 도 5a와 도 5b에서, 양방향 슬리브(3)의 제1 연결 부재(31)는 에어 주입 시트(11)의 결합 부재(112)와 가압맞춤 되는 경사면(inclined face)(312)을 구비한다. 접착제(36)는 양방향 슬리브(3)와 에어 주입 시트(11)의 결합부의 갭을 밀폐시키도록 사용된다. 도 6a와 도 6b에서, 양방향 슬리브(3)의 제2 연결 부재(32)는 캡(5)의 연결벽(51)과 가압맞춤 되는 경사면(322)을 구비한다. 도 6a와 도 6b에서 양극 전도체(421)는 배터리(41)의 양극에 접촉된다는 점에서 도 2의 양극 전도체(421)와 약간 상이하다. 따라서, 전원부(4)의 전도 요소(42)는 도 6a와 도 6b에서 배터리(41)로부터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서 양극 전도체(421)와 음극 전도체(422)만을 필요로 한다. 뿐만 아니라, 제2 연결 부재(32)의 노치(34)는 사용자가 배터리(41)를 교체하기 용이하게 한다. 도 5a와 도 6a에서, 본 발명이 양방향 슬리브(3)의 제1 연결 부재(31)는 나사(311) 또는 경사면(312)을 갖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방향 슬리브(3)의 제2 연결 부재(32) 역시 나사(321) 또는 경사면(322)을 갖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연결 부재(31)와 제2 연결 부재(32)는 서로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제1 연결 부재(31)와 제2 연결 부재(32)가 동일한 형태의 구조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연결 부재(31)와 에어 주입 시트(11)의 결합부는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항상 접착제(36)에 의해 밀봉된다.
일반적인 기술에 따르면,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는 일반적인 에어 탭(10)에 장착되며, 사용자는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전에 일반적인 에어 탭(10)에서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를 분리해야 한다. 도 7은 전용 에어 탭(9)에 설치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20)는 통상적인 에어 탭(10) 또는 전용 에어 탭(9)에 설치될 수 있다. 전용 에어 탭(9)은 일체로 형성된 에어 튜브(91)와 에어 주입 팁(9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에어 주입 팁(92)은 타이어와 연결되고, 에어 튜브(91)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20)에서 돌출된다. 전용 에어 탭(9)은 통상적인 에어 탭(10)의 반대쪽, 즉, 새시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전에 에어 탭(10)에서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20)를 분리시킬 필요가 없으며,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20)의 도난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바퀴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에어 주입 부재와 상기 에어 주입 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결합 부재(engagement member)로 구성된 에어 주입 시트(seat)가 상기 에어 주입 부재를 통해 상기 에어 탭에 장착되는 에어 주입장치(air-intake device);
    제1 연결 부재,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를 분리하는 분리 부재를 포함하고, 타이어 압력을 측정하는 검출부(detection device)를 수용하기 위한 에어 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에어 주입 시트의 상기 결합 부재와 연결되는 양방향 슬리브(bidirectional sleeve); 및
    상기 검출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 벽(connection wall)을 포함하는 캡;
    을 포함하고, 바퀴의 에어 탭에 구비되어 타이어 압력을 측정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외측 모서리 부분에서 양쪽 단부에 대해 서로 반대쪽 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환상의 외주면을 갖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에어 주입 시트에 결합된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캡과 결합되는 나사를 포함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에어 주입 시트에 가압맞춤(press-fit) 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캡에 가압맞춤 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notch)를 구비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에어 주입 시트의 상기 결합 부재 사이의 결합부에 접착제가 개재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주입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 사이에 형성된 수평 분리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분리기는 상기 에어 주입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를 상호 연결시키는 밸브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탭에 대해 상기 밸브 홀을 지지하는(prop) 밸브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에어 챔버를 상호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루홀(through-hole)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와 상기 에어 챔버를 통해 상기 분리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검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원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측면과 상기 에어 챔버의 측면에서 상기 스루홀을 밀봉시키도록 접착제가 사용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요소는 양극 전도체(positive conductor), 음극 전도체(negative conductor) 및 이동 가압 전도체(movable pressing conductor)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압 전도체는 상기 양극 전도체의 접촉단(contact end)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단(fixing end)을 구비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은 가압맞춤 슬롯(press-fit slot)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단은 가압맞춤 훅(press-fit hook)을 구비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주입 시트의 상기 에어 주입 부재는 에어 주입 잠금 기구(air-intake locking instrument)에 힘을 작용시키는 에어 주입 가압 부재(air-intake force-action member)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주입 잠금 기구는 상기 에어 주입 가압 부재와 매칭되는 제1 위치 결정 부재(positioning member)를 구비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주입장치는 도난방지 요소(theft-proof element)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난방지 요소는 도난방지 잠금 기구(theft-proof locking instrument)에 힘을 가하는 도난방지 작용 부재(theft-proof force-action member)를 구비하고;
    상기 도난방지 잠금 기구는 상기 도난방지 작용 부재와 매칭되는 제2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탭은 금속 휠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탭은 상기 타이어 압력 측정을 위해서 타이어의 표면에 구비된 전용 에어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KR1020100007044A 2009-03-06 2010-01-26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KR101139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8107208 2009-03-06
TW098107208A TW201033032A (en) 2009-03-06 2009-03-06 Tire pressure dete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597A true KR20100100597A (ko) 2010-09-15
KR101139597B1 KR101139597B1 (ko) 2012-04-27

Family

ID=4253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044A KR101139597B1 (ko) 2009-03-06 2010-01-26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51680B2 (ko)
KR (1) KR101139597B1 (ko)
DE (1) DE102009060445B4 (ko)
TW (1) TW2010330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1328B4 (de) * 2010-12-17 2013-03-21 Sung Jung Minute Industry Co., Ltd. Reifendruckanzeige und Befestigungs- und Lösungswerkzeug für dieselbe
JP2012144246A (ja) * 2010-12-17 2012-08-02 Bridgestone Europe Nv 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
JP5334955B2 (ja) * 2010-12-21 2013-11-06 嵩鎔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タイヤ空気圧測定装置及びその着脱工具
MY179101A (en) * 2014-11-07 2020-10-28 Salutica Allied Solutions Sdn Bhd Wireless tire monitoring device
CN109050177B (zh) * 2018-09-18 2023-12-29 铁将军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外置式胎压计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015A (ja) * 1993-09-06 1995-03-14 Calsonic Corp タイヤ空気圧検知装置
US5540092A (en) * 1994-10-31 1996-07-30 Handfield; Michael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neumatic tire
TW315663U (en) * 1996-09-26 1997-09-11 song-cun Wu Improved baby bed structure
US5889464A (en) 1998-03-13 1999-03-30 Huang; Tien-Tsai Tire pressure indicator including pressure gauges that have a self-generating power capability
TW404354U (en) * 1999-03-30 2000-09-01 Huang Teng Yi Power supply unit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hiding type tire pressure detector
ES2310568T3 (es) 2000-11-21 2009-01-16 Torbjorn B. Lundqvist Dispositivo de control de la presion de los neumaticos.
ATE375873T1 (de) * 2001-02-20 2007-11-15 Torbjoern B Lundqvist Reifendrucküberwachungsvorrichtungen
JP2005172476A (ja) 2003-12-08 2005-06-30 Honda Motor Co Ltd タイヤ空気圧センサ
ITBO20030737A1 (it) * 2003-12-09 2005-06-10 Marcello Pellicciari Dispositivo per la sorveglianza della pressione dei fluidi
US7196616B2 (en) 2005-02-28 2007-03-27 Tien-Tsai Huang Tire pressure warning device with adjustable tire pressure setting
JP2006298292A (ja) * 2005-04-25 2006-11-02 Piyo:Kk タイヤ空気圧監視システム
JP2007038993A (ja) * 2005-08-01 2007-02-15 Aruma Tools:Kk Led発光式タイヤ空気圧チェッカー
TWI257903B (en) * 2005-08-31 2006-07-11 Teng-Wen Huang Tire pressure detector
TWM333321U (en) * 2007-06-21 2008-06-01 Mobiletron Electronics Co Ltd Tire pressure sensor
DE202008003182U1 (de) * 2008-03-06 2008-05-08 Atrium Enterprises Gmbh Vorrichtung zur drahtlosen Drucküberwachung
DE202008009412U1 (de) * 2008-07-12 2008-09-18 Atrium Enterprises Gmbh Vorrichtung zum Aufschrauben auf ein Ventil, insbesondere ein Reifenventil o.dg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60445A1 (de) 2010-09-09
JP2010210612A (ja) 2010-09-24
TW201033032A (en) 2010-09-16
KR101139597B1 (ko) 2012-04-27
TWI380918B (ko) 2013-01-01
DE102009060445B4 (de) 2017-10-05
JP4951680B2 (ja)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097B1 (en) Tire pressure detector
KR101139597B1 (ko) 타이어 압력 검출 장치
TWI257903B (en) Tire pressure detector
CN104626892A (zh) 内置式胎压传感器
CN204623029U (zh) 内置式胎压传感器
US20080094196A1 (en) Hidden wireless tire pressure monitor
TWM454940U (zh) 無線式溫度及壓力感應器
US8863581B2 (en) Digital pressure gauge
US8915130B1 (en) Battery-replaceable tire pressure sensor
EP2927658B1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CN104417293A (zh) 胎压传感器
CN205009893U (zh) 胎压计
CN215811465U (zh) 气密性检测机构
TWM286138U (en) Tire pressure detector
CN210912285U (zh) 车辆及其车牌防盗防掉落系统
CN109050177B (zh) 外置式胎压计
TWM532390U (zh) 輪胎胎壓偵測器構造
JP2015059809A (ja) 電池交換可能なタイヤ空気圧センサ
CN211810061U (zh) 电动滑板车
TWI529075B (zh) Replaceable battery tire pressure sensor
KR101521709B1 (ko) 타이어 압력 센서
CN111879455A (zh) 用于床的压力传感器
CN215244177U (zh) 适用于多型号的胎压传感器
CN216621655U (zh) 一种汽车喷油嘴气密性检测装置
CN205941651U (zh) 霍尔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