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755A - 자동 재봉틀 - Google Patents

자동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755A
KR20100098755A KR1020090017397A KR20090017397A KR20100098755A KR 20100098755 A KR20100098755 A KR 20100098755A KR 1020090017397 A KR1020090017397 A KR 1020090017397A KR 20090017397 A KR20090017397 A KR 20090017397A KR 20100098755 A KR20100098755 A KR 20100098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thread
thread
sewing
sewing machine
monitor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497B1 (ko
Inventor
정주식
Original Assignee
정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식 filed Critical 정주식
Priority to KR102009001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4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22Arrangements for cutting-out broken threa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1/00Applications of needle-thread guards; Thread-break detect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4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tension or break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3/00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embroider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cillary apparatus for use with embroidering machines
    • D05C13/02Counting, measuring, 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초부터 손상을 입은 윗실이 공급되거나, 혹은 윗실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봉목을 형성하기 전에 과도한 마찰 등으로 손상을 입은 경우 윗실의 상태를 윗실 상태 감시 수단에 의하여 감시하고 이 감시된 윗실의 상태에 대하여 제어수단에서 손상 여부를 판단하여, 사절장치가 구동하여 강제로 윗실을 절단하도록 이루어진 자동 재봉틀을 제공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윗실의 단사로 인한 봉제 작업의 중단과 작업자의 재봉실 세팅 작업을 해소하며, 아울러 손상된 재봉사에 의하여는 봉목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봉제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재봉틀{AUTOMATIC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실채기, 바늘, 북집, 사절장치 등이 자동으로 구동되는 자동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윗실의 사도를 지나는 윗실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이 마련되어 윗실의 사도를 지나는 윗실의 상태에 이상이 있을 경우 사절장치로 윗실을 절단하도록 이루어진 자동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재봉틀("미싱"이라고도 함.)은 윗실과 밑실에 의하여 박음질 구멍("봉목"이라고도 함.)을 형성함으로서 연속적으로 봉제 작업을 수행하여 봉제물을 제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봉제를 할 때, 윗실은 실채기("천평"이라고도 함.), 중간 실걸이, 바늘, 피봉제물을 통과하여 북집("가마"라고도 함.)에 걸린 후 북집으로부터 공급되는 밑실과 교차되면서 걸리게 되어 밑실과 함께 박음질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박음질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윗실은 실채기, 중간 실걸이, 바늘, 피봉제물에 대하여 상하로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거나 북집과 함께 매우 빠 른 속도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자동 재봉틀에는 사절장치가 마련되어 봉제 작업이 완료되면, 윗실 및/또는 밑실을 사절한다.
아울러 자수용 자동 재봉틀과 같이, 다수의 재봉 헤드가 일렬로 배치되고, 아울러 각각의 재봉 헤드마다 다수의 바늘이 평행하게 배치되며, 또한 각각의 재봉 헤드마다 상기 재봉 헤드에 대응하는 사절장치가 각각 마련되는 형식의 재봉틀의 경우, 하나의 재봉 헤드에 있어서는 각각의 바늘마다 서로 다른 색상의 윗실들이 공급되며, 윗실의 색을 전환시킬 경우 특정 바늘을 통과하는 윗실을 사절하고, 다른 바늘에 준비된 다른 색의 윗실에 의하여 봉제 작업을 계속하게 된다.
이러한 형식의 자수용 자동 재봉틀의 경우 각각의 재봉 헤드는 다른 재봉 헤드와 동일한 재봉 작업을 수행하여 피봉제물에 동일한 형태의 재봉이 수행되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수용 자동 재봉틀의 전체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재봉 헤드의 확대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본 특허공개 특개평10-295969호 "다침 자수 미싱"에 게재된 도면들로서, 상기 일본 특허공개 특개평10-295969호의 명세서 내지 도면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수 미싱의 경우 하나의 기계에 다수의 재봉 헤드(3)가 일렬로 배치되며, 각각의 재봉 헤드(3)에는 다수의 바늘(20), 바늘대(6), 실채기(7) 등이 각각의 사도를 이루면서 마련된다. 즉 하나의 기계에 다수의 재봉 헤드(3)가 마련되며, 아울러 각각의 재봉 헤드(3)마다 다수의 바늘(20)이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어느 하나의 재봉 헤드(3)에 마련된 바늘과 다른 재봉 헤드(3)에 마련된 동일 위치의 바늘은 서로 동일하게 동작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재봉틀 테이블(1), 프레임(2), 재봉 헤드(3), 지지 케이스(5), 바늘대(6), 실채기(7), 연결 로드(rod)(8), 구동장치(10), 조정대(11), 조정자(12, 13), 실 안내부(18), 바늘(20), 북집(26) 등에 대해서만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 재봉틀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연사된 윗실에 처음부터 손상이 존재할 수 있으며, 혹은 정상적인 윗실(손상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윗실)이 공급되는 경우에도 윗실은 실채기, 중간 실걸이, 바늘, 피봉제물, 북집 등에 대하여 고속 이동하므로, 연사된 윗실의 일부가 고속 왕복 이동과정에서 마찰 등으로 인하여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윗실의 손상은 일축으로만 구동되는 자동 재봉틀의 경우는 물론이며, 특히 전자 자수기와 같이 X축구동장치 및 Y축구동장치를 가지면서 사전에 입력되어진 데이터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는 자수용 자동 재봉틀의 경우에는, X축, Y축의 움직임에 의하여 윗실에 걸리는 장력이 불규칙적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불규칙한 장력의 변화는 윗실의 손상 가능성을 더욱 높인다.
이와 같이 손상을 입은 윗실에 의하여 봉제 작업이 진행될 경우, 윗실은 경 미한 과부하에도 쉽게 실이 끊어져 단사될 수 있다.
단사가 발생한 경우, 자동 재봉틀은 자동적으로 봉제 작업을 중단하며, 작업자가 단사된 실을 다시 봉제할 수 있는 상태로 재봉실을 정리하여 바늘에 넣어 준 후에야 봉제 작업을 다시 시작한다. 이와 같이 단사가 발생할 경우 봉제 작업의 능률이 저하된다.
아울러 윗실이 손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사가 발생되지 않고 봉제 작업이 계속 진행될 수 있다. 즉, 손상을 입을 윗실에 의하여 봉제물이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손상된 재봉사와 손상되지 않은 재봉사는 그 두께의 차이가 발생하여 시각적으로 조잡하게 되며, 또한 재봉사에 보푸라기 현상이 발생하여 봉제물의 촉감이 나빠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윗실의 손상은, 단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작업 능률의 저하를 일으키고, 단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봉제 품질의 저하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애초부터 손상을 입은 윗실이 공급되거나, 혹은 윗실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봉목을 형성하기 전에 과도한 마찰 등으로 손상을 입은 경우 윗실의 상태를 윗실 상태 감시 수단에 의하여 감시하고 이 감시된 윗실의 상태에 대하여 제어수단에서 손상 여부를 판단하여, 사절장치가 구동하여 강제로 윗실을 절단하도록 이루어진 자동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채기, 바늘, 북집, 사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실채기, 상기 바늘, 상기 북집, 상기 사절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들과, 상기 구동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재봉틀에 있어서 : 상기 실채기로부터 상기 북집 사이의 윗실의 사도를 지나는 상기 윗실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윗실 상태 감시 수단에 의하여 감시된 상기 윗실의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절장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윗실이 절단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위실 상태 감시 수단은 이미지 센서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상된 상기 윗실의 영상에 의하여 상기 윗실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재봉틀은 재봉 헤드에 다수의 바늘이 평행하게 배치된 형식의 자동 재봉틀이며, 상기 재봉 헤드에 상기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을 상기 다수의 바늘 중 어느 하나의 바늘을 지나는 사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감시 수단 이동부가 마련되며, 상기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은 상기 감시 수단 이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이 작동 대상인 바늘을 지나는 사도를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감시 수단 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재봉틀은 다수의 재봉 헤드가 일렬로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재봉 헤드마다 대응하는 상기 사절장치가 각각 마련되는 형식의 자동 재봉틀이며, 각각의 상기 재봉 헤드마다 상기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윗실의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된 상기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이 위치한 상기 재봉 헤드에 대응하는 상기 사절장치만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윗실의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지 않은 다른 상기 재봉 헤드에 대응하는 상기 사절장치들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애초부터 손상을 입은 윗실이 공급되거나, 혹은 윗실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봉목을 형성하기 전에 과도한 마찰 등으로 손상을 입은 경우 윗실의 상태를 윗실 상태 감시 수단에 의하여 감시하고 이 감시된 윗실의 상태에 대하여 제어수단에서 손상 여부를 판단하여, 사절장치가 구동하여 강제로 윗실을 절단하도록 이루어진 자동 재봉틀을 제공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윗실의 단사로 인한 봉제 작업의 중단과 작업자의 재봉실 세팅 작업을 해소하며, 아울러 손상된 재봉사에 의하여는 봉목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봉제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그 구체적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의 자동 재봉틀의 주요부 개념도이다.
종래의 자동 재봉틀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자동 재봉틀은, 실채기(110), 중간 실걸이(120), 바늘(130), 북집(140), 사절장치(150)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실채기(110), 바늘(130), 북집(140), 사절장치(150) 등에는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의 구동수단들(210, 230, 240, 250) 등이 마련된다.
또한 이들 구동수단들(210, 230, 240, 250)은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된다.
본 실시례에서 바늘(130)과 실채기(110) 등에 각각의 구동수단들(230, 210)이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바늘(130)과 실채기(110) 등이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바늘(130)은 바늘대에 마련되며, 바늘대가 구동수단(230)에 의하여 구동되어 결과적으로 바늘(130)이 상하로 구동되지만, 이와 같이 중간에 매개되는 구성은 자동 재봉틀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자동 재봉틀에는 상기의 구성 요소들 이외에도 다수의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 그다지 관련이 없으므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통상 윗실(20)은 실채기(110)로부터 중간 실걸이(120), 바늘(130), 피봉제물(10)을 지나 북집(140)을 경유하여, 북집(140)으로부터 공급되는 밑실과 교차됨으로써 박음질 구멍(봉목)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채기(110)로부터 북집(140)까지 윗실(20)이 통과하는 길을 사도(絲道)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윗실(20)의 사도는, 실채기(110), 바늘(130), 북집(140)의 구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패턴으로 움직이며, 또한 일정한 위치를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실채기(110)로부터 북집(140) 사이의 윗실(20)의 사도를 지나는 윗실(20)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윗실 상태 감시 수단으로서 이미지 센서(300)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300)에 의해 촬상된 윗실(20)의 영상은 제어수단(200)으로 전송되며, 제어수단(200)은 전송된 윗실(20)의 영상을 판독하여 윗실(2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미지 센서(300)는 이미지 촬상에 의하여 윗실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적용될 수 있으며, 감시 대상물의 화상을 입력받는 것이라면 모두 이미지 센서(300)의 일종이라 볼 수 있다.
아울러 이미지 센서(300)에서 촬상하는 이미지는 정지 화상이거나 윗실(20)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동화상일 수 있다.
아울러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은 이와 같은 광학적 수단 이외에도 윗실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면 무엇이든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실걸이(120)를 지나는 윗실(20)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도록 이미지 센서(300)가 마련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 이미지 센서(300)는 실채기(110)로부터 북집(140) 사이의 윗실(20)의 사도를 지나는 윗실(20)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300)는 피봉제물(10)의 인접한 상부 내지 경우에 따라서는 피봉제물(10)의 하부와 북집(140) 사이에도 마련될 수 있다.
윗실(20)의 이상 여부, 즉 윗실(20)이 손상되었는지 여부는 윗실(20)의 굵기 변화를 이용하여 판단하거나 혹은 윗실(20)에서 발생한 보푸라기 현상을 확인함으로써 그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수단(200)이 이미지 센서(300)에 의하여 촬상된 윗실(20)의 영상에 의하여 윗실(20)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면, 제어수단(200)은 사절장치(150)가 구동되도록 사절장치 구동수단(250)을 제어하며, 이에 의거하여 사절장치(150)는 윗실(20)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사절장치(150)는 윗실(20)과 밑실 모두를 절단하거나 혹은 윗실(20)만을 절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윗실(20)이 사절장치(150)에 의하여 절단되면, 윗실(20)의 손상 부위는 윗실(20)에 남겨진 상태로 사절된다. 즉 윗실(20)의 손상된 부위는 피봉제물(10)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바늘(130)에 걸려있는 윗실(20)의 단부에 위치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사절장치는 봉제 작업이 완료된 직후 구동되거나 혹은 자수용 자동 재봉틀에서 다른 색의 재봉사가 공급되기 이전에 직전의 재봉사를 끊기 위하여 사용될 뿐, 본 실시예와 같이 동일한 재봉사를 계속 사용하면서 윗실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 후 사절을 하는 예는 없다.
특히 다수의 재봉 헤드를 가진 자수용 자동 재봉틀의 경우 각각의 재봉 헤드마다 마련된는 사절장치는, 모든 사절장치가 동시에 동작하며 사절장치가 별개로 동작하는 경우란 전혀 없다.
이와 같은 사절장치(150)의 구동 후 봉제 작업이 자동으로 다시 시작되며, 이때 윗실(20)의 손상 부위는, 윗실(20)의 단부가 일정 길이만큼 피봉제물(10) 하부로 끌어내려진 상태에서 봉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윗실(20)의 단부는 봉목을 형성하지 않고 피봉제물(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와 같이 봉목을 형성하지 않고 피봉제물(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재봉실에 윗실(20)의 손상 부위가 위치하게 된다. 즉 윗실(20)의 손상 부위를 지난 이후부터 윗실(20)은 봉목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윗실(2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본 자동 재봉틀은 자동적으로 사절장치(150)를 구동한 후 다시 재봉 작업을 자동적으로 재개하므로 단사에 의한 작업 중단이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손상된 부위를 가진 재봉사는 봉목을 형성하지 않고 피봉제물(10)의 하부(배면)에 하부로 돌출되어 위치하게 되므로, 재봉 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손상된 부위를 가진 재봉사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재봉 품질 내지 자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손상된 부위를 가진 재봉사는 제품의 표면이 아닌 배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굳이 손상된 부위를 가진 재봉사를 제거하지 않더라도 크게 자수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서는 윗실(20)의 손상 여부를 발견한 후 사절장치(150) 가 구동된 직후에 자동 재봉틀을 작업을 중단시키고, 작업자가 직접 윗실(20)의 손상 부위를 제거하도록 대기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동 재봉틀에 있어서는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윗실의 손상 부위 제거는 불필요하며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수용 자동 재봉틀의 경우, 다수의 재봉 헤드가 일렬로 배치되며, 각각의 재봉 헤드마다 다수의 바늘이 평행하게 배치된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재봉 헤드에서는, 각각의 바늘마다 서로 색상이 다른 윗실이 공급되며, 따라서 각각의 바늘마다 각각의 사도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형식의 자수용 자동 재봉틀의 경우에도 각각의 사도마다 이미지 센서 등의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을 마련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자동 재봉틀의 제작비가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바늘간의 간격이 매우 좁으므로 이미지 센서 등을 그 좁은 간격을 따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인 이미지 센서를 하나의 재봉 헤드에 대하여 하나만 마련하되, 이미지 센서가 다수의 바늘 중 어느 하나의 바늘을 지나는 사도를 감시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미지 센서를 감시 수단 이동부에 장착하며, 제어수단이 상기 감시 수단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감시 수단 이동부가 상기 이미지 센서를 작동 대상인 바늘을 지나는 사도를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는 감시 수단 이동부에 장착된 상태로 재봉 헤드에 마련되며, 감시 수단 이동부가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적정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이미지 센서가 작동 대상인 바늘을 지나는 사도를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하나의 재봉 헤드에 다수의 바늘이 마련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로서 이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자동 재봉틀의 제작비가 저렴하게 된다.
아울러 다수의 재봉 헤드가 일렬로 마련되는 형식의 자동 재봉틀에서, 각각의 재봉 헤드마다 사절장치가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아울러 각각의 사절장치는 동시에 동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에 의하여 윗실의 상태를 감시하게 되면, 윗실의 이상이 발견된 재봉 헤드에 대하여만 해당 재봉 헤드의 사절장치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재봉 헤드가 동시에 재봉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윗실의 이상이 발견된 특정 재봉 헤드와 대응하는 하나의 사절장치만이 구동되도록 하고, 윗실의 이상이 발견되지 않은 나머지 재봉 헤드와 대응하는 다른 사절장치들은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재봉틀, 내지 자수용 자동 재봉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수용 자동 재봉틀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재봉 헤드의 확대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 파단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례의 자동 재봉틀의 주요부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피봉제물 20 : 윗실
110 : 실채기(천평) 120 : 중간 실걸이
130 : 바늘 140 : 북집(가마)
150 : 사절장치

Claims (4)

  1. 실채기, 바늘, 북집, 사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실채기, 상기 바늘, 상기 북집, 상기 사절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들과, 상기 구동수단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재봉틀에 있어서 :
    상기 실채기로부터 상기 북집 사이의 윗실의 사도를 지나는 상기 윗실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윗실 상태 감시 수단에 의하여 감시된 상기 윗실의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사절장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윗실이 절단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재봉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실 상태 감시 수단은 이미지 센서이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상된 상기 윗실의 영상에 의하여 상기 윗실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재봉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재봉틀은 재봉 헤드에 다수의 바늘이 평행하게 배치된 형식의 자 동 재봉틀이며, 상기 재봉 헤드에 상기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을 상기 다수의 바늘 중 어느 하나의 바늘을 지나는 사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감시 수단 이동부가 마련되며, 상기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은 상기 감시 수단 이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이 작동 대상인 바늘을 지나는 사도를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감시 수단 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재봉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재봉틀은 다수의 재봉 헤드가 일렬로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재봉 헤드마다 대응하는 상기 사절장치가 각각 마련되는 형식의 자동 재봉틀이며,
    각각의 상기 재봉 헤드마다 상기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윗실의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된 상기 윗실 상태 감시 수단이 위치한 상기 재봉 헤드에 대응하는 상기 사절장치만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윗실의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지 않은 다른 상기 재봉 헤드에 대응하는 상기 사절장치들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재봉틀.
KR1020090017397A 2009-03-02 2009-03-02 자동 재봉틀 KR101095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397A KR101095497B1 (ko) 2009-03-02 2009-03-02 자동 재봉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397A KR101095497B1 (ko) 2009-03-02 2009-03-02 자동 재봉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755A true KR20100098755A (ko) 2010-09-10
KR101095497B1 KR101095497B1 (ko) 2011-12-19

Family

ID=4300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397A KR101095497B1 (ko) 2009-03-02 2009-03-02 자동 재봉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4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969A (ja) 1997-04-28 1998-11-10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針刺繍ミシン
JP2000024357A (ja) 1998-07-14 2000-01-25 Brother Ind Ltd ミシンの上糸張力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497B1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1380B2 (ja) 二本針ミシン
JP2007107134A (ja) 横編機の糸案内装置
EP1967629B1 (en) Sewing machine with upper thread cutting and holding mechanisms
KR100983973B1 (ko) 재봉틀
JP6045392B2 (ja) ミシン
JP3431800B2 (ja) 多頭式ミシン
JP4943803B2 (ja) 編機での張力設定方法および編機
JP3186538U (ja) ミシン用の糸引きブレード、糸切断アセンブリ、及びこの種の糸引きブレードを備えたミシン
KR101095497B1 (ko) 자동 재봉틀
US621303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read breakage in sewing machine
JP3449589B2 (ja) ミシン
JP3821098B2 (ja) ミシン
JP5026231B2 (ja) ミシンの上糸つかみ装置
JP2003103080A (ja) ミシン
TW201804046A (zh) 刺繡機,尤其是梭車刺繡機
JPH07303781A (ja) 自動ミシンの制御装置
CN102691177B (zh) 钮扣孔缝纫机和用于缝制具有镶边线的钮扣孔线缝的方法
JP2000328425A (ja) 多頭式刺繍装置
JP2008274474A (ja) 弾性糸の給糸機能を備える編機
WO2011105248A1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H06101157A (ja) 多頭形刺繍ミシン
JPH11222763A (ja) タフティング用ミシン
JP2024039799A (ja) 縫製装置
KR200202704Y1 (ko) 자수장치
JP4078711B2 (ja) 刺繍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