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168A - 섬유 재료로부터 주조 부품을 제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섬유 재료로부터 주조 부품을 제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168A
KR20100096168A KR1020107013000A KR20107013000A KR20100096168A KR 20100096168 A KR20100096168 A KR 20100096168A KR 1020107013000 A KR1020107013000 A KR 1020107013000A KR 20107013000 A KR20107013000 A KR 20107013000A KR 20100096168 A KR20100096168 A KR 20100096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nozzle
cast part
fibers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4644B1 (ko
Inventor
만프레드 하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뷔클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뷔클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뷔클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9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11/16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comprising fillers or reinfor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5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respective layers or components in angular relation
    • Y10T428/24124F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주형(1, 2)을 사용하여 섬유 재료로부터 3차원 주조 부품(30)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형의 내부 면(1a, 2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조 부품의 윤곽을 결정하며, 섬유가 기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4)을 통해 주형으로 주입되고, 그런 다음 공기는 주형의 개구를 통해 유출되므로 섬유가 주형의 내부 면에 축적되고, 상기 섬유는 가열에 의해 서로 접착되고 마지막으로 주조 부품(30)으로서 주형(1, 2)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상기 섬유는 선택적으로 상기 주형의 내부 면에서 국부적으로 압축된다. 이때 대체로 노즐(4, 24, 34)의 분출 방향이 회전될 수 있고, 피봇 축은 주조 부품의 외부 면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섬유 재료로부터 주조 부품을 제조하는 장치{DEVICE FOR PRODUCING MOULDED PIECES FROM FIBROUS MATERIAL}
본 발명은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주형을 사용하여 섬유 재료로부터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형의 내부 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조 부품의 윤곽을 결정하며, 섬유가 기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을 통해 주형으로 주입되고, 그런 다음 공기는 주형의 개구를 통해 유출되므로 섬유가 주형의 내부 면과 결합하며, 상기 섬유가 가열에 의해 서로 접착되고, 마지막으로 주조 부품으로서 주형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경우에 따라 상기 주형의 내부 면에서 상기 섬유가 압축된다.
상기 장치는 독일특허공보 DE 103 24 735에 공지되어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출원은 상기 문서의 내용을 발명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와 함께 예비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 플라스틱 섬유로 구성된 중공체의 제조는 독일특허공보 DE 2318501에 공지되어 있으며, 회전식으로 펀칭된 주형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주형은 단부에서 개방되어 있고, 섬유뿐 아니라 접착제를 주형의 내부 공간에 주입하는 파이프에 의해 횡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는 주형이 회전하는 동안 점차 주형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이로 인해 상기 주형은 전체 길이를 통해 섬유와 함께 움직인다.
상기 방식은 다만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중공체에만 적합하며, 상기 단부에 주입 파이프가 배열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주입 파이프의 움직임은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주형의 균일한 주입을 어렵게 한다. 특히, 주입시 주형은 회전해야하고 추가 제조비용이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본 출원에서 추구하는 것은 폐쇄된 주형 본체의 제조 및 대체로 고정되어 정지된 상태의 주형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독일특허공보 DE 103 24 735의 경우 동질의 섬유-분배를 구현하거나 또는 상이한 밀도를 갖는 주조 부품-영역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특정 주형에 문제가 있다는 인식을, 본 발명의 기초로 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형이 비록 매우 불균등한 3차원 윤곽을 구비하고 있다 하더라도 주형에서 섬유-분배를 개별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비용면에서 저렴하고 확실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노즐의 분출 방향이 회전될 수 있고 피봇 축이 주조 부품의 외부 면에 근접하여 작동함으로써 해결된다.
이로 인해 독일특허공보 DE 103 24 735에 공지된 것처럼 폐쇄된 고정 주형으로 실행되면서 폐쇄된 비중공형 주형 본체가 생산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강력하게 조절할 수 있는 분출 방향으로 인해 목적에 맞게 노즐 측면에서 주형을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잡한 윤곽의 경우, 특히 주형의 개별 영역이 많거나 또는 적은 섬유와 함께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로 인해 주조 부품 내에서 공간 점유 밀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 밖에 국부적으로 주조 부품의 벽 두께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분출 방향의 회전은 좌우측 또는 상하로 노즐에 인접해 있는 주형의 벽 영역이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게 회전 운동은 적어도 ¼ Hz, 즉 분출 방향이 늦어도 4초 이후에 다시 출발 방향에 도달하도록 진행된다. 바람직하게는 ½ Hz 내지 5 Hz의 주파수로 실행된다.
분출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상이한 가능성이 제공된다. 한편으로는, 분출 방향은 노즐 자체가 이동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회전 운동은 내장된 피봇 축 주변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노즐이 작동하고 있는 연결 경로에 대응하여 종축으로 가이드 됨으로써 움직일 수 있는 피봇 축과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노즐의 배출 영역에 조절 전환 윙이 배열됨으로써 분출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경우, 노즐은 고정되어 주형에 장착될 수 있다. 두 가지 조치의 결합을 통해 분출 방향의 특히 강한 전환을 구현하기 위해 추가로 노즐의 조절 베어링을 위해 전환 윙과 함께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추가 주사 광선을 실행하여 분출 방향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상기 주사 광선은 측면으로부터 가이드 되고, 이로 인해 원래의 분출 방향을 바꾼다. 상기 주사 광선은 두께 및/또는 상기 주사 광선을 각각의 주형의 요구 조건에 맞게 형성하기 위해 분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노즐 및/또는 상기 노즐의 전환 윙 조절 및/또는 활성화와 필요할 경우 주사 광선의 조절은,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모터 운동 및 프로그램 제어 장치로 실행된다. 프로그램 제어 장치는 우선 주조 부품이 원하는 제품 특성을 구비할 때까지 시운전을 상이한 매개 변수로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적합한 매개 변수가 프로그램 제어 장치에 저장된다.
노즐의 베어링은 본 발명에 맞게 주형 자체, 특히 상판 주형에서 실행되며, 상기 상판 주형은 수직 캠만을 실행한다. 본 발명 범위에서 노즐을 분리하여 프레스 프레임에 장착하고, 주입 과정 시 상기 노즐을 주형의 대응하는 주입 개구에서 실행하며 필요할 경우 상기 개구에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에 맞는 다른 형태는 다수의 노즐,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밸브, 특히 스퀴즈 밸브를 통해 공유 링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 하나의 팬을 구비한 주형은 다수의 노즐을 통해 상이한 위치로부터 주입될 수 있다. 그 밖에 링 라인은 섬유 유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그 이유는 전술한 밸브가 시간적 순서에 따른 주입 과정의 조절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컨베이어 라인에서 원하지 않는 섬유의 침전은 불가능해 진다.
동일한 목적을 위해 노즐 전방 또는 노즐에 폐쇄 가능한 개구가 제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해 라인 및 경우에 따라 연결된 노즐 영역이 자유롭게 주입될 수 있다.
나아가 섬유를 주입하는 동안 공기 압력 측정이 실행되고 특정 한계 압력에 도달할 때 주입 과정이 종료된다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때 압력은 주형의 상이한 위치, 또는 노즐에 인접한 부분, 또는 공급 라인 영역에서 측정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노즐에 직접적으로 압력 센서를 장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압력은 점차 증가하는 주형의 섬유-공간 점유와 함께 증가하며, 그 이유는 관류 저항이 공간 점유 밀도에 따라 펀칭 된 주형을 통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주형의 공간 점유 밀도를 측정하고 올바른 시점에 주입 과정을 종료하기 위한 적절한 기준이 생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섬유 주입이 다수의 노즐을 통해 실행된다는 것이며, 상기 노즐은 서로 다른 시점에 활성화된다. 이로 인해 동시에 서로 다른 위치에서 유입되는 섬유 상호 간에 일어나는 방해현상을 배제할 수 있다.
그 밖에 노즐 또는 주입 과정 시 적어도 상기 노즐의 분출 방향이 적어도 0.3 Hz의 주파수로 이리저리 이동한다면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상기 이동은 다만 몇 센티미터 및 각도의 이동을 의미하며 목적에 맞게 수직 방향, 또한 수평 또는 중간 방향에서 실행될 수 있고, 서두에서 개시된 회전 운동에 중첩되고 주입 과정을 바람직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섬유 밀도와 관련하여 주입 과정을 국부적으로 서로 다른 규정에 개별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주형은 상기 주형에 펀칭 된 영역에서 조절 플랩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 플랩을 통해 국부적인 공기 배출이 다소 강력하게 줄어들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랩은 임시 보조 주형으로 실행될 경우에 장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섬유를 접착하기 전에, 특히 상기 섬유의 최종 압축 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톱 시트를 주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에 삽입하거나 또는 이미 주입된 섬유 위에 올려놓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한다. 상기 톱 시트는 장식 박판으로서 외관을 장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미끄럼 방지 또는 내구성 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능 또는 동질의 매끄러운 외부 면을 주조 부품 주변에만 부여하기 위한 추가 기능을 갖는다.
공정 공학적으로 톱 시트가 이미 박판을 주입하기 전에 주형에 삽입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톱 시트는 하단 주형 및/또는 상판 주형의 압력을 통해 흡입될 수 있고 홀딩 될 수 있거나 또는 국부적으로 클램프 연결 또는 스냅 연결을 통해 주형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톱 시트는 섬유의 연결 주입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재료와 관련하여 전술한 톱 시트는 거의 임의로 선택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통기성 재료가 선택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서 주입 과정은 나중에 관류에서 처럼 뜨거운 공기로 인해 손상되지 않는다. 특히 천 시트, 직물 시트, 편물 시트 또는 양의 모피 시트가 양탄자 성질의 매트 형태 및 그와 같은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톱 시트가 섬유의 주입 이후에 비로소 주형에 삽입된다면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톱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도면에 입각한 실시 예를 통해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주형에 배열된 주입 노즐을 구비한 상기 주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위에서 바라본 유사한 주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구동 장치를 구비한 회전 노즐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주형 벽의 회전 노즐 베어링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회전 전환 윙을 구비한 노즐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주사 광선을 구비한 노즐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링 라인을 구비한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위에서 바라본 도 7의 상면도이다;
도 9는 선택적 주조 부품의 경우 개방된 주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은 상판 주형(1)과 하단 주형(2)으로 구성된 주형을 도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상판 주형과 하단 주형은 서로 겹쳐진 쪽으로 내부 면(1a) 및 내부 면(2a)이 폐쇄된 중간 공간(3)을 형성하도록 서로 맞닿아 있다. 상기 중간 공간은 제조될 3차원 주조 부품의 윤곽을 이미 결정할 수 있다; 상판 주형(1)과 하단 주형(2)이 우선 예비 형성품 제조를 위해 사용되고, 그런 다음 상기 예비 형성품이 다른 상판 주형을 통해 최종 주조 부품으로 압축된다면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게 된다. 주형의 내부 면(1a, 2a)는 여과기 모양으로 펀칭 되어 있으므로, 플라스틱 섬유가 실려있는 기류가 중간 공간(3)의 측면으로 유입되어 중간 공간(3)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고, 섬유는 중간 공간에 축적된다. 이때 내부 벽(1a, 2a)의 통기성은 섬유의 점유도, 즉 섬유의 밀도를 중간 공간(3) 내에서 변화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체로 중간 공간(3)에 연결된 적어도 몇몇의 노즐(4)은 상기 노즐의 피봇 축(5)이 주조 부품의 외부 에지에 인접, 즉 주형 벽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실시 예에서, 제조할 주조 부품은 주로 수평으로 뻗어 있다. 따라서 노즐용 피봇 축(5)이 수직으로 뻗어 있고, 따라서 노즐은 주조 부품의 전체 횡단면 또는 상기 횡단면의 부분 영역을 통해 수평으로 선회 될 수 있으며, 이것은 무엇보다도 도 2로부터 유추하여 설명된다. 그 대신 또는 추가로 - 주조 부품의 치수에 따라 - 수평적 피봇 축으로의 회전이 의미가 있다.
회전 베어링은 도 1 및 도 3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상기 도 1 및 도 3에 회전 모터(6)가 도시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모터는 회전 레버(7)를 통해 노즐의 연결 라인(8) 및 연결 플랜지(9)와 함께 거의 주형-외부 에지와 일직선상에 놓여 있는 수직 축(5)으로 노즐(4)의 방향을 이리저리 바꾼다. 상기 연결 플랜지(9)는 유연성 있는 라인(10)을 통해 고정된 연결부(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지 않은 링 라인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 라인으로부터 노즐(4)이 위로부터 90˚방향 전환을 통해 섬유 재료를 제공하는 기류와 함께 움직인다.
도 4는 중간 공간(3)에 인접해 있는 주형 외부 벽의 회전 베어링을 도시하고 있고, 상기 주형 외부 벽은 하단 주형(2)의 상단 프레임 종류의 에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하단 주형은 바람직하게는 휴지상태에 놓여 있고, 이와 반대로 상판 주형은 수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베어링 슬리브(14)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베어링 슬리브에는 서로 자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두 개의 전환 턱(4a, 4b)으로 구성된 노즐-부속물이 있으며, 상기 전환 턱은 주형으로 깊숙히 방향 전환할 수 있고, 게다가 이전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주형 외부 벽(13)과 일직선상에 놓여 있는 수직 축 방향으로 실행된다.
노즐-부속물(4a)의 내부에는 노즐(4)이 회전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수직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노즐(4) 및 상기 노즐의 부속물(4a)은 노즐(4)의 회전이 부속물(4a)의 강력한 회전에 영향을 미치도록 전환-전동 장치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노즐(4)이 중립 위치로부터 주형 벽에 대해 수직으로 측면 쪽으로 - 도면에서 하단으로 - 45˚방향 전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전환-전동 장치는 전환 턱(4a)이 동일한 회전 방향에서 상기 전환 턱의 전방으로 회전된 내부 벽(4a')이 주형 내에서 주형 벽(13)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도록 90˚로 회전되어 있는 것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반대로 반대 방향에 있는 후방으로 회전된 내부 플랜지는 다만 약 30˚로 회전되고 베어링 슬리브(14)에서 끝난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즐을 45˚만 회전시킴으로써 유출되는 섬유 재료가 벽(13)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주형으로 주입되도록 노즐-부속물(4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노즐(4)이 45˚역방향으로 중립 위치로부터 회전된다면 도면에서 섬유 원료-배출은 하단 주형 벽에 대해 평행하게 실행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노즐(4)의 90˚회전은 상당히 강력한 노즐-부속물(4a)을 회전시키게 된다. 당연히 상기 전환율이 강화될 수 있다. 실제로 전방으로 회전된 내부 벽(4a')이 주형 외부 벽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뻗어 있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도 5는 분출 방향의 회전을 위한 선택적 배열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노즐(24)은 고착된 주형 벽(13)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노즐의 배출 횡단면에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전환 윙(25)이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환 윙은 서보 모터(26)을 통해 원하는 각 위치로 조절된다.
도 6은 세 번째 선택적 배열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선택적 배열에서도 마찬가지로 노즐(34)은 고착된 주형 벽(13)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분출 방향의 회전은 측면으로 공급된 전환 유동을 통해 실행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노즐은 분출 횡단면에 인접하여 링 챔버(35)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링 챔버는 분할된 공기-공급 라인(36)의 둘레에 있는, 선택적으로는 상기 공급 라인의 일부분에 있는 다수의 공급 라인을 통해 압축 공기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압축 공기는 노즐(34) 관통시 기류를 목적에 맞게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 시킨다.
압축 공기가 채워지는 라인(36)의 전환을 통해 섬유는 새로운 방향으로 확실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장치의 전체도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우측에 중간 공간(3)을 따라 둘레에 분할되어 있는 다수의 노즐(4)을 구비한 상판 주형(1)과 하단 주형(2)으로 구성된 주형 박스가 위치해 있다. 상기 노즐 모두는 각각 스퀴즈 밸브(12)를 통해 공동 링 라인(1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 라인은 팬(40)에 배열되어 있고 이로 인해 섬유로 뒤덮인 기류와 함께 움직인다. 팬(40)의 상단부에 비축 챔버(41)가 배열되어 있고, 링 라인(15)의 역류가 상기 비축 챔버의 상단 단부에 도달하게 된다. 비축 챔버(41) 방향으로 섬유 공급은 자체로 공지된 방식대로 라인(42)을 통해 상기 챔버의 상단 면에서 실행되며, 상기 라인은 공기 분리기(43)을 통해 비축 챔버(41)에 도달하게 된다.
프로세스는 모든 변형된 실시 예의 경우 다음과 같다: 우선 중간 공간(3)은 주형-둘레에 분할된 노즐(4)을 통해 원하는 주입량 및 원하는 분할이 제공될 때까지 섬유와 함께 채워진다. 섬유는 뜨겁게 밀봉될 수 있는 재료로 덮여 있거나 또는 섬유 결합제와 함께 혼합된다.
주조 부품에서 높은 밀도 차이가 추구된다면 알려진 것처럼 우선 주조 부품에 대응하는 것보다 큰 중간 공간을 제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시 보조 상판 주형으로 제조하는 것과, 상기 보조 상판 주형을 주입 과정 이후에 제거하는 것, 특히 상판 주형(1) 및 내부 벽(1a)이 정확하게 원하는 주조 부품의 윤곽에 대응하는 다른 상판 주형을 통해 방향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섬유의 부분적 압축이 실행된다. 이때 주형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부분적으로 줄이기 위해 임시 보조 상판 주형과 최종 상판 주형을 조절할 수 있는 플랩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압축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상판 주형 및 하단 주형을 다른 위치로 이동한 이후에 섬유를 자체로 공지된 방식대로 서로 접착시키거나 또는 결합시키기 위해 뜨거운 공기가 중간 공간(3)에 가두어 둔 섬유 재료를 통해 관통하여 가이드되므로 결국 완성된 주조 부품이 제조된다.
주형을 개방하기 전 및 주조 부품을 제거하기 전에 주조 부품의 경화에 영향을 주고 반복되는 시간 간격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차가운 공기로 관류 된다.
도 9는 선택적 주형 부품으로서 개방된 주형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완성된 주조 부품(30)이 도시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주조 부품은 하단 면과 상단 면에 장식 박편(30a, 30b)의 형태로 톱 시트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톱 시트는 섬유를 주형에 주입하기 전에 삽입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주형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임시 보조 주형으로 제조된다면 최종 주형이 사용될 경우, 즉 주조 부품의 최종 압축이 실행된다면 톱 시트를 우선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임시 보조 상판 주형으로 제조된다면 장식 박편을 우선 하단 주조 부품에 위치시키고 상단 톱 시트 없이 선 압축을 실행하고 최종 상단 주조 부품이 사용된다면 후자가 사용된다.
주조 부품을 뜨거운 공기 및 차가운 공기로 관류시킬 때 손상을 줄이기 위해 톱 시트로서 높은 통기성을 구비한 재료가 사용된다.
톱 시트와 주형 재료의 결합은 접착을 통해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동일한 결합제가 사용되고, 상기 결합제를 통해 섬유가 서로 연결된다.

Claims (23)

  1. 주형의 내부 면(1a, 2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조 부품의 윤곽을 결정하며, 섬유가 기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4)을 통해 주형으로 주입되고, 그런 다음 공기는 주형의 개구를 통해 유출되므로 섬유가 주형의 내부 면에 축적되고, 상기 섬유가 가열에 의해 서로 접착되고 냉각 이후에 주조 부품(30)으로서 주형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선택적으로 상기 섬유는 상기 주형의 내부 면에서 국부적으로 압축되고,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주형(1, 2)을 사용하여 섬유 재료로부터 3차원 주조 부품(30)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노즐(4, 24, 34)의 분출 방향이 회전될 수 있고 피봇 축이 주조 부품의 외부 면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분출 방향의 조절은 상기 노즐(4)의 조절을 통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은 상기 노즐의 맞은편에 있는 조절 가능한 노즐-부속물(4a, 4b)을 구비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속물(4a, 4b)은 전환 전동장치를 통해 노즐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분출 방향의 조절은 배출 영역에 배열된 전환 윙(25)의 조절을 통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분출 방향의 조절은 추가 전환 유동, 즉 측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전환 유동을 통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전환 유동은 양 및/또는 방향에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 및/또는 상기 노즐의 전환 윙(25)의 조절 및/또는 전환 유동의 활성화는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고 프로그램 제어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 24, 34)은 상기 주형 부품(1, 2)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4, 24, 34)이 주형(1, 2)의 둘레에 분포되어 있고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4, 24, 34),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노즐이 밸브를 통해 공동 링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 24, 34)에 또는 상기 노즐 전방에 자유롭게 주입하기 위해 폐쇄 가능한 개구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섬유를 주입하는 동안에 공기 압력-측정은 노즐-공급 라인, 노즐 또는 주형에서 실행되고 소정의 한계 압력에 도달할 때 주입 과정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공기 압력-측정은 동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섬유의 주입은 복수의 노즐(4, 24, 34)을 통해 실행되며, 상기 노즐은 상이한 시점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4, 24, 34) 또는 상기 노즐의 분출 방향은 주입 과정 시 적어도 0.3 Hz의 주파수로 이리저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섬유의 선 압축 또는 최종 압축이 임시 보조 상판 주형을 통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8. 제1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주형 또는 임시 보조 상판 주형이 부분적 공기 배출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 가능한 플랩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주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접착 전에, 특히 섬유를 최종 압축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톱 시트(30a, 30b)가 상기 주형(1, 2)의 적어도 일부분에 삽입되어 있거나 또는 주입된 섬유 위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섬유의 주입 전에 톱 시트(30a, 30b)가 이미 주형(1, 2)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특히 하단 압력의 형성을 통해 또는 국부적인 클램프 연결 또는 스냅 연결을 통해, 톱 시트(30a, 30b)가 주형(1, 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30a, 30b)로서 통기성 재료, 특히 천, 직물, 편물 또는 양의 모피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 또는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주조 부품에 있어서,
    상기 주조 부품(30)은 밀도의 분포가 이질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부품.
KR1020107013000A 2007-11-13 2008-11-10 섬유 재료로부터 주조 부품을 제조하는 장치 KR101524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4424A DE102007054424A1 (de) 2007-11-13 2007-11-13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ormteilen aus Fasermaterial
DE102007054424.5 2007-11-13
PCT/EP2008/009459 WO2009062646A2 (de) 2007-11-13 2008-11-10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ormteilen aus faser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168A true KR20100096168A (ko) 2010-09-01
KR101524644B1 KR101524644B1 (ko) 2015-06-01

Family

ID=4053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000A KR101524644B1 (ko) 2007-11-13 2008-11-10 섬유 재료로부터 주조 부품을 제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55064B2 (ko)
EP (1) EP2209600B1 (ko)
JP (1) JP5398729B2 (ko)
KR (1) KR101524644B1 (ko)
CN (1) CN101855051B (ko)
BR (1) BRPI0820046A2 (ko)
DE (1) DE102007054424A1 (ko)
ES (1) ES2390098T3 (ko)
PL (1) PL2209600T3 (ko)
WO (1) WO20090626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8952B4 (de) * 2008-11-25 2011-08-25 Daimler AG, 70327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textilen Formbauteilen
DE102009048001A1 (de) * 2009-10-02 2011-04-14 Robert Bürkl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Formteilen aus Fasermaterial
CN102776719B (zh) * 2012-07-11 2014-04-16 常熟市飞龙无纺机械有限公司 空气填充法汽车内饰件预成型机的预成型箱结构
DE102012019534A1 (de) 2012-10-05 2014-04-10 Fiber Engineeri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Formteilen aus Fasermaterial
KR101442556B1 (ko) 2013-06-13 2014-09-30 주식회사 우레아텍 믹싱헤드 배치방법
KR101683957B1 (ko) * 2014-01-21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층 구조의 펠트 제조 장치 및 방법
DE102015112187A1 (de) * 2015-07-27 2017-02-02 Fiber Engineering Gmbh Textiles dreidimensionales Form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extilen dreidimensionalen Formteils
DE102016213407A1 (de) * 2016-07-22 2018-01-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ffizienten Herstellung von Bauteilrohlingen aus Verbundwerkstoffen
DE102016115901A1 (de) 2016-08-26 2018-03-01 Ernst Roschanzamir Biologisch abbaubarer Pflanzbehält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11351702B1 (en) 2016-10-05 2022-06-07 Auria Solutions Uk I Ltd. Three dimensional fiber deposited multi-layered/multi-blend molded fiber parts
DE102017101128A1 (de) 2017-01-20 2018-07-26 Fiber Engineering Gmbh Dreidimensionales Faserformtei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eidimensionalen Faserformteils
FR3070301B1 (fr) 2017-08-22 2021-02-12 Hutchinson Ensemble thermoforme 3d
CN109483900A (zh) * 2018-09-11 2019-03-19 上海新安汽车隔音毡有限公司 一种汽车用pet超细纤维零件的制作方法
DE102019208275A1 (de) * 2019-06-06 2020-12-10 Adidas Ag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s Vliesstoffes
AT522574B1 (de) * 2020-05-18 2020-12-15 Rettenwander Thoma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kunststoffverbunds
CN114687060A (zh) * 2022-03-18 2022-07-01 惠州市众畅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内衬无纺布的蒸汽成型方法
DE102022129362A1 (de) 2022-11-07 2024-05-08 Fiber Engineering Gmbh Dreidimensionaler Formkörp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eidimensionalen Formkörper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5915C3 (de) * 1970-05-27 1979-06-21 Norbert 5240 Betzdorf Geisl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rientierten Verteilen von als Verstärkungsmaterial dienenden Glasfasersträngen
US3791783A (en) 1971-06-28 1974-02-12 Structural Fibers Apparatus for forming fiber preforms
JPS56169042A (en) * 1980-05-31 1981-12-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olding method of patterning frp molded component
US4923731A (en) * 1988-12-27 1990-05-08 Ppg Industries, Inc. Novel preform screens and preform product
US5413750A (en) * 1992-04-08 1995-05-09 Davidson Textron Inc. Method of fabricating a preform
KR950011012A (ko) * 1993-10-16 1995-05-15 한승준 섬유강화금속의 부품제조방법
JPH081799A (ja) * 1994-06-24 1996-01-09 Sumitomo Chem Co Ltd 繊維強化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CA2192945C (en) * 1994-07-13 2005-05-24 Thomas A. Curran Fiber clusters molding process and equipment
JP2847037B2 (ja) * 1994-08-02 1999-01-13 東レ株式会社 繊維状クッション部材の一体圧縮成形方法と装置
WO1997002377A1 (fr) * 1995-07-04 1997-01-23 Teijin Limited Procede et appareil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de matelassage au moyen d'un ensemble de fibres
US5679296A (en) * 1995-09-29 1997-10-21 Davidson Textron, Inc. Cushioned automotive interior trim part and process or making same
CA2244731C (en) * 1996-12-05 2005-06-07 Teijin Limited Fiber aggregate molding method
JP3697474B2 (ja) * 1997-07-30 2005-09-21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繊維集合体の型詰め方法
JP3348172B2 (ja) * 1997-08-05 2002-11-20 アラコ株式会社 繊維弾性体の成形方法
FR2779746B1 (fr) * 1998-06-11 2000-07-21 Novalis Fibres Utilisation de fibres a frisure tridimensionnelle pour la fabrication de tissu ou toile de renfort, et tissu de renfort obtenu
JP3900753B2 (ja) * 1999-08-24 2007-04-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防音材の再生方法
AU2002213970A1 (en) * 2000-09-29 2002-04-08 Owens Corning Composites S.P.R.L. Dispensing chopped reinforcement strand using oriented dispensing nozzles
DE10324735B3 (de) 2003-05-30 2004-11-11 Fiber Engineer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dreidimensional ausgeprägten Formteilen sowie Formteil
JP2007152718A (ja) * 2005-12-05 2007-06-21 Teijin Techno Products Ltd Frp成形品とそ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55051A (zh) 2010-10-06
PL2209600T3 (pl) 2012-11-30
BRPI0820046A2 (pt) 2015-10-06
ES2390098T3 (es) 2012-11-06
KR101524644B1 (ko) 2015-06-01
EP2209600A2 (de) 2010-07-28
JP5398729B2 (ja) 2014-01-29
EP2209600B1 (de) 2012-06-27
WO2009062646A3 (de) 2009-07-30
JP2011505268A (ja) 2011-02-24
US20100279059A1 (en) 2010-11-04
WO2009062646A2 (de) 2009-05-22
DE102007054424A1 (de) 2009-05-28
US7955064B2 (en) 2011-06-07
CN101855051B (zh)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6168A (ko) 섬유 재료로부터 주조 부품을 제조하는 장치
US11014279B2 (en)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articles
CN1102493C (zh) 用于模制塑性物品的方法和装置
US2018011134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mold
US200601637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preforms in mold
US9144943B2 (en) Fiber mold filling system and method
US20100032870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iber-reinforced polypropylene molded parts containing pores
WO2008113932A3 (fr) Dispositif de moulage pour la fabrication de recipients en materiau thermoplastique
JP7049753B2 (ja) コンポーネントまたはプロファイ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60176087A1 (en) Process for producing reinforced plastic material part
US6126433A (en) Molding installation for the production of molded parts from plastic
KR102145040B1 (ko) Pp보드와 피복원단 간의 균일한 접합을 위한 변위 및 변각형 노즐을 갖는 자동차의 내장재 제조방법
KR20090032265A (ko)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JP3805423B2 (ja) 部分加飾を有する樹脂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
JP2023514603A (ja) ボートの型を積層造形によって製造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3545644A (ja) 特にプラスチック材料のための押出成形装置
CN203236715U (zh) 用于成型汽车制动气室橡胶隔膜上胶层的装置
WO20161562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a fibre reinforced composite product
KR100856755B1 (ko) 천 인서트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JP4182316B2 (ja) 合成樹脂発泡成型品の製造方法
JP2004276257A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
KR20070084794A (ko) 천 인서트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