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265A -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265A
KR20090032265A KR1020070097326A KR20070097326A KR20090032265A KR 20090032265 A KR20090032265 A KR 20090032265A KR 1020070097326 A KR1020070097326 A KR 1020070097326A KR 20070097326 A KR20070097326 A KR 20070097326A KR 20090032265 A KR20090032265 A KR 2009003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glove
manufacturing
nonwoven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8113B1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filed Critical 김종철
Priority to KR1020070097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1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06F59/04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fo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 장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부직포 장갑은 사용목적에 따라 두꺼운 부직포 혹은 얇은 부직포시트를 여러 조각으로 재단하여 사용하고자하는 목적에 맞게 봉제하게 됨으로써 부직포장갑을 얻을 수가 있었다. 그러므로 인하여 봉제에 대한 인력의 소요뿐 아니라, 장갑을 착용하였을시 그 착용감이 둔탁하여 섬세한 작업을 요하는 산업현장에서의 사용에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통상의 부직포 섬유사의 분사기술을 이용한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피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티 테레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유기화학사로 분사 성형되는 부직포 단섬유사 분사노즐 앞에 장갑금형을 배치하여 부직포 단섬유사를 장갑금형에 분사한 후 장갑금형에 분사된 부직포 섬유사를 장갑금형과 모양이 같은고 장갑의 두께만큼 크기가 큰 좌우판으로 나누어진 프레스 금형으로 프레스하여 생산되는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장갑, 부직포, 성형, 성형장갑, 컷팅

Description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및 장치{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NONWOVEN FABRICS GLOVES}
본 발명은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피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티 테레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유기화학사로 분사 성형되는 부직포 단섬유사 분사노즐 앞에 장갑금형을 배치하여 부직포 단섬유사를 장갑금형에 분사한 후 장갑금형에 분사된 부직포 섬유사를 장갑금형과 모양이 같은고 장갑의 두께만큼 크기가 큰 좌우판으로 나누어진 프레스 금형으로 프레스하여 생산되는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란 천을 재직하지 않고 원사를 적층시켜서 만들어지는 피륙을 일컫는 것으로 일반적인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은 크게 화학접착제를 이용하는 접착방법과 니들펀칭에 의한 기계적인 접착방법, 그리고 열융착에 의한 접착방법등이 있다.
일반적인 부직포의 용도는 가정용, 토목용, 농업용, 기타의 산업용 또는 쿠 션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부직포 메트리스에도 많이 사용될 뿐 아니라, 부직포 가방, 부직포 물티슈 등도 생산하며 자동차의 마감재 등 실내에서도 사용되며 그 사용은 편의성에 따라 광범위하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부직포섬유가 갖는 다양한 재질과 부드럽고 따뜻한 촉감이나 임의되로 두껍게 생산할 수 있는 부직포의 특징으로 인하여 작업용장갑 혹은 일회용장갑, 방한용장갑, 실험실장갑 등에도 그 용도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부직포가 갖는 두께로 인하여 봉제부위 접혀진 곳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둔탁하거나 손가락의 놀림이 부자유스러운 문제점이 있어 그 사용도가 왕성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직포 천을 이용하여 장갑을 만들기 위해서는 원단을 재단하여 손가락 모양의 각 모서리를 각각 재단하여 봉제하여야 함으로 제조를 위한 실제적인 인력의 소모가 많아서 장갑생산을 위해서는 원재료비보다 인건비가 더 많이 드는 것으로 생산에 대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부직포장갑의 상기한 제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수지(PE) 혹은 폴리에스티 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 프로필렌(PP)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부직포 원료로 하여 용융하여 부직포 섬유사를 분출할 때 그 분출구 앞에 장갑을 성형할 수 있는 금형을 설치하여 분출구에서 뿜어나오는 부직포 섬유사가 장갑금형에 융착되고 융착된 장갑금형을 사이에 두고 부직포가 융착된 장갑금형을 내부금형으로 두고 원하는 부직포장갑의 용도에 따른 두께가 계산된 외부금형을 사용하여 양 방향에서 압축하여서 만들어지는 제단과 봉제작업이 제외된 부직포장갑의 성형제조에 관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성형기에 투입되는 원사를 일정량 용도에 맞게 혼합하는 원사혼합공정과 성형되는 부직포의 원사방향이 장갑금형에 고르게 융착될수 있도록 분사하는 공정과 장갑금형에 분사된 부직포가 융착된 장갑금형은 밸트를 이용하여 장갑금형의 외각금형 라인으로 이송되어 지는 공정과 이송되어 진 부직포가 융착된 내부장갑금형을 외부금형으로 압착하는 공정, 압착할 때 양편의 외부금형에는 손가락 사이와 장갑의 형성에서 필요없는 부위를 컷팅할 수 있는 컷팅기의 기능을 함께 갖춘다. 압착과 컷팅이 이루어진 부직포장갑은 탈형작업을거쳐 완성되어 져서 포장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부직포 장갑은 부직포 펠트를 제단하여 손가락 각 부위를 조각조각 봉제하지 아니하고 제조하게 되므로 인력의 감소는 물론 봉제선으로 인하여 둔탁해질 수 있는 부자연스런 착용감을 해소하고 부직포장갑의 제조시 두께를 임의로 선정하여 압착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사용용도에 적합한 부직포장갑의 제조 및 사용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도 3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부직포장갑을 내부금형에 부직포원사를 분사한 후 외부금형을 압착 프레스하게 완성되므로 해서 생산속도가 빠를 뿐 아니라 제조공정상 인건비가 대폭 절감되며 봉제선이 없으므로 해서 천이 손가락마다 접혀서 발생하는 툭박하거나 둔탁함이 없어 착용감이 좋으므로 생산시 두께에 대한 조절에 따라 얇은 장갑이나 두꺼운 장갑을 제단과 봉제 없이 생산할 수 있어 산업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직포장갑은 폴리프로피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티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유기화학사 원료를 이용하여 용융기에서 180℃~230 ℃로 가열하여 용융된 재료를 가스의 힘을 이용하여 블로우하여 분사기를 거쳐 장갑금형에 분사하는 공정을 나타낸 용융분사공정도이다.
여기에서 일컫는 세가지 원료는 제각기 그 용융점이 폴리에스티 테레프탈레이트(PET)가 제일 높고 그 다음이 폴리에틸렌(PE), 그 다음으로 폴리프로피렌(PP)의 용융점으로 성형 후의 장갑에 요구되는 재질과 용도에서 적합한 재료를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분사 성형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 부직포장갑의 성형공정은 제 1도의 용융분사공정과 도 3의 압착프레스공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지는데 압착프레스공정은 압착하는 프레스금형에 히팅라인이 매설되어 있어 80℃~230℃까지 열을 올릴 수가 있어 사용된 재료의 특성에 따라 압착시 장갑의 표면을 매끈하게 하기 위하여 통상의 온도조절장치를 사용하여 80℃~230℃의 열을 1초~10초 정도 가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압착금형은 손모양의 내부금형에 분사하여 융착된 부직포섬유사의 표면을 용도에 따른 두께의 간격만을 여유로 한 내부금형과 외부금형의 크기의 차이가 있어 압착시 사전에 조성된 두께를 유지하여 압착된다.
또한 외부금형에는 장갑으로서 불필요한 면으로까지 분사되어 된 부직포를 컷팅할 수 있는 컷팅칼이 장착되어 압착성형시 동시에 불필요한 부분은 컷팅되어 부직포장갑을 금형에서 탈형시 완성된 부직포장갑을 얻을 수가 있다.
이렇게 완성된 부직포장갑은 포장공정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송콘베이스를 통과하여 운반되어 진 부직포섬유사가 분사된 내부금형이 압착공정의 프레스금형 속으로 진입하게 되어 상기의 제조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부직포 장갑의 제조방법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용융분사 공정도에서 용융기(1)에 투입된 폴리에스티 테레프탈레이트(PET) 혹은 PP, PE로 투입된 재료는 선택된 원재료의 통상의 융점 180℃~230℃의 온도로 용융되어 이송관을 통하여 블로우가스(2)에 의하여 방사노즐(3)에서 부직포섬유사를 내부금형(5)(6)에 분사(4)하게 된다. 이때 내부금형(5)(6)은 분사량의 적층이 내부금형(5)(6)둘레에 고르게 만족 되도록 모타(22)의 동력의 전달이 모타벨트(7)를 통하여 전달되어 회전하게 된다.
부직포섬유사가 적절하게 융착된 내부금형(5)(6)은 이송컨베이어(17)을 따라 외부금형(12)의 사이에 제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프레스 축(23)의 동력전달에 의하여 외부금형의 금형(5')(6')
Figure 112007069439631-PAT00001
부 속에 부직포섬유사가 융착된 내부금형(5)(6)이
Figure 112007069439631-PAT00002
가 되어 적절하게 압착되게 된다. 이때 외부금형(5')(6')의 둘레에는 장갑 이외의 불필요부분에 대한 컷팅을 할 수 있는 컷팅칼(25)을 매설하였다. 외부금형(12)은 프레스축(23)의 힘을 받아서 밀핀(13)의 작용으로 압착될 때 사용된 재료의 특성과 제조 완성되었을 때 필요한 장갑의 두께를 감안한 금형의 갭을 여유로 둔 상태에서 컷팅칼(25)은 반대편금형의 컷팅칼(25')과 교합되면서 불필요부분을 컷팅하게 된다. 컷팅과 압착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본 공정에서 용융분사시 표면이 거칠게 엉켜진 부직포 섬유사를 사용된 재료와 장갑의 용도에 따라 표면의 질감을 매끈하게 하기 위하여 히팅부(15)의 조작된 열(80 ℃~230℃)에 의하여 1초~10초 동안 압착하게 된다.
본 공정에서 완성된 부직포장갑(33)을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부직포장갑(33)은 포장공정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송콘베이어(17)를 통하여 외부금형(12) 사이에 운반되어 진 부직포섬유사가 분사된 내부금형(5)(6)을 외부금형(12)이 프레스축(23)을 통하여 가해진 힘을 전달받아 밀핀(13)과 금형조정축(11)의 힘작용으로 정확하게 압착프레스 함으로써 완성되어 진 부직포 장갑을 탈형하여 검사를 거쳐 포장하게 되는 상기의 제조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1은 용융분사 공정도,
도 2는 분사노즐 확대사시도,
도 3은 압착프레스 공정도,
도 4는 압착프레스 부분 단면도,
도 5는 컷팅부분 확대도,
도 6은 A-A'선 단면 부분확대도,
도 7은 부직포장갑,
도 8은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용융기 (2)--블로우 가스
(3)--방사노즐 (4)--부직포섬유
(5)(6)--내부금형 (7)--모타벨트
(10)--분사구 (11)--금형조정축
(12)(12')--외부금형 (13)--밀핀
(15)--히팅부 (17)--이송컨베이어
(22)--모타 (23)--프레스축
(25)(25')--컷팅칼 (33)--부직포장갑

Claims (3)

  1. 부직포를 생산할 수 있는 PP, PE,PET 등의 원료를 용융기(1)에 투입하여 블로우가스(2)의 분출력에 의하여 방사노즐(3)을 통하여 분사되는 부직포섬유(4) 분사가 장갑 내부금형(5)(6)에 분사될때 모타(22)의 힘이 모타벨트(7)을 통하여 전달된 힘에 의하여 고루분사되게 회전하면서 용융분사된 부직포섬유사가 입혀진 내부금형(5)(6)이 이송콘베이어(17)가 컨베이어모타의 힘에 의하여 외부금형(12)(12')의 금형
    Figure 112007069439631-PAT00003
    의 둘레에는 히팅부(15)가 있고 외부금형(12)(12')의 양측 사이에 내부금형(5)(6)이 위치한 후 프레스축(23)의 프레스 힘에 의하여 전달된 동력이 외부금형(12)의 뒷면에 자리한 밀핀(13)과 외부금형(12)(12')의 상부와 둘레에 자리한 금형조정축(11)의 조정으로 정확하게 압축프레스하여 제조되어 지는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및 장치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외부금형(12)(12')의 내부금형(5)(6)과 맞닿는 부위의 내측 둘레에는 히팅부(15)가 내장된 부직포 장갑의 제조방법 및 장치
  3.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외부금형(12)(12')에 컷팅칼(15)이 매설되어 있어서 내부금형(5)(6)이 유입되고 장갑의 부분 이외의 불필요부분은 컷팅될 수 있도록 하 여 제조되어 지는 부직포 장갑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20070097326A 2007-09-27 2007-09-27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KR100938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326A KR100938113B1 (ko) 2007-09-27 2007-09-27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326A KR100938113B1 (ko) 2007-09-27 2007-09-27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265A true KR20090032265A (ko) 2009-04-01
KR100938113B1 KR100938113B1 (ko) 2010-01-21

Family

ID=4075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326A KR100938113B1 (ko) 2007-09-27 2007-09-27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1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663B1 (ko) * 2013-11-12 2014-03-13 임석민 섬유 코팅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인 전극봉 금형
KR101389946B1 (ko) * 2013-11-04 2014-04-30 임석민 내면코팅 고무장갑과 그 제조방법
CN107259679A (zh) * 2017-08-01 2017-10-20 重庆市中定科技有限公司 手套熨烫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020B1 (ko) * 2017-01-19 2017-12-06 유군일 부직포형 함침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3413A (ja) 1981-09-25 1983-03-30 Masahiko Ishiwata 通気性ポリウレタン手袋の製造法
JPH05132804A (ja) * 1991-11-09 1993-05-28 Kanebo Ltd 作業用手袋
KR100446168B1 (ko) * 2001-11-10 2004-08-30 (주)한성크린소재 습식 물속가공 장갑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67784Y1 (ko) 2004-08-06 2004-11-17 김원중 복합부직포를 이용한 장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46B1 (ko) * 2013-11-04 2014-04-30 임석민 내면코팅 고무장갑과 그 제조방법
KR101373663B1 (ko) * 2013-11-12 2014-03-13 임석민 섬유 코팅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인 전극봉 금형
CN107259679A (zh) * 2017-08-01 2017-10-20 重庆市中定科技有限公司 手套熨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113B1 (ko) 201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70657B (zh) 一种用于汽车内饰表皮的水刺再生革的制备方法
CN102303430B (zh) 玻璃纤维增强聚丙烯纤维复合材料的制备方法
CA2886444C (en) Method of making a semifinished product and semifinished product for making a composite molded part
CN107587264B (zh) 一种轻薄高强的无纺布生产工艺
JP7037200B2 (ja) ニードルパンチ不織布の製造方法
KR20140144733A (ko)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텍스처가 있는 요소 및 텍스처가 있는 요소의 제조 방법
KR100938113B1 (ko) 부직포장갑의 제조방법
CN101613910A (zh) 一种非织造布
CN102747578A (zh) 压花设备、工艺及复合无纺布吸收体及其生产设备、工艺
CN109159500A (zh) 一种以竹纤维为基材的汽车顶棚及其制备方法
CN107548339A (zh) 纤维增强构件或半成品的制备方法
WO20131448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non-woven fabric from recycled carbon fibers and the non-woven fabric so formed
CN105946206B (zh) 汽车仪表板的再生革表皮的真空吸塑成型工艺及装置
KR101098999B1 (ko) 부직포장갑의 제조를 위한 장치
CN109153192A (zh) 由纤维复合材料制造部件的方法
CN102371682A (zh) 将射出钩直接形成在织物基材上的方法、设备及制成之物
CN103862797A (zh) 可降解无纺布的生产方法
KR100855940B1 (ko) 경량화와 흡음성을 개선한 내장 흡음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JP4076023B2 (ja) 繊維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N106521806B (zh) 一种应用于家具的环保立体棉及其制备方法
KR100541362B1 (ko) 자동차 내장용 흡음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흡음 단열재
KR100704041B1 (ko) 고탄력 폐섬유 견면의 제조방법
KR100347613B1 (ko) 부직포가 부착된 견면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752768B1 (ko)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034383A (ja) 成形構造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