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999A - 입력 장치,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핸드헬드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핸드헬드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999A
KR20100095999A KR1020097016420A KR20097016420A KR20100095999A KR 20100095999 A KR20100095999 A KR 20100095999A KR 1020097016420 A KR1020097016420 A KR 1020097016420A KR 20097016420 A KR20097016420 A KR 20097016420A KR 20100095999 A KR20100095999 A KR 20100095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amount
operation signal
out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유키 야마모토
켄지 하치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8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motion or position input signals, e.g. signals representing the rotation of an input controller or a player's arm motions sensed by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유저가 입력 장치에 설치된 조작부를 조작하는 경우에,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의 오(誤)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입력 장치, 제어 장치 등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
MPU(19)는, 변위 대응량(속도값)을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다. 버튼(11)의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면, 스위치는, 조작 신호의 생성을 개시하고, 이 조작 신호를 MPU(19)에 출력한다. MPU(19)는,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되면,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을 판독출력(讀出; read out)하고,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고, 출력한다. 이 제1 보정 변위량에 의해, 유저가 버튼(11)의 압압(押壓; push)을 개시하고 나서,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기 전의 포인터의 좌표값을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포인터의 오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변위 대응량(속도값), 각속도값,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가속도값), 제1 보정 변위량, 제2 보정 변위량, 좌표값, 보정 좌표값, 제1 시간.

Description

입력 장치,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핸드헬드 장치 및 제어 방법{INPUT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HANDHELD DEVICE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조작하기 위한 공간 조작형 입력 장치, 그 조작 정보에 따라서 GUI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이들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핸드헬드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PC(Personal Computer)에서 보급되어 있는 GUI의 컨트롤러로서, 주로 마우스나 터치 패드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가 이용되고 있다. GUI는, 종래의 PC의 HI(Human Interface)에 머무르지 않고, 예를 들면 텔레비전을 화상 매체로 해서 거실 등에서 사용되는 AV 기기나 게임기의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은 GUI의 컨트롤러로서, 유저가 공간에서 조작할 수 있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여러 종류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및 3 참조).
특허 문헌 1에는, 2축의 각속도 자이로스코프, 다시 말해 2개의 각속도 센서를 구비한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각속도 센서는, 진동형 각속도 센서이다. 예를 들면, 공진 주파수로 압전 진동하는 진동체에 회전 각속도가 가해지면, 진동체의 진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코리올리힘이 생긴다. 이 코리올리힘은, 각속도에 비례하므로, 코리올리힘이 검출됨으로써, 회전 각속도가 검출된다. 특허 문헌 1의 입력 장치는, 각속도 센서에 의해 직교하는 2축 둘레(回; 주위)의 각속도를 검출하고, 그 각속도에 따라서,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커서 등의 위치 정보로서의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제어 기기에 송신한다.
또, 특허 문헌 3에는, 케이싱의 상면에 설치된 윈도우 홀(窓孔; window hole) 내를 평면적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조작 부재를 구비한 공간 조작용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입력 장치는, 조작 부재의 윈도우 홀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기 본체에 출력한다. 기기 본체는, 이 위치 정보에 의거해서 커서의 위치의 이동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런데,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된 입력 장치로 대표되는 바와 같은, 케이싱 자체의 움직임을 커서의 이동량으로서 출력하는 입력 장치에서는, 케이싱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각종 센서 외에, 주로 마우스에서 이용되는 좌우 버튼이나 휠 버튼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은 커맨드 입력 키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저가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아이콘에 어떠한 커맨드를 발행하는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를 조작해서 포인터(커서)를 임의의 아이콘 상에 위치시키고, 커맨드 입력 키를 누른다. 그러나, 유저가 공간 조작형 입력 장치를 이용해서 커맨드 입력 키를 입력하는 경우, 커맨드 입력 키가 눌려질 때의 작용에 의해 포인팅 디바이스 자체가 움직여 버리는 경우가 있으며, 이것에 의해 포인터도 포인팅 디바이스에 따라서 움직여 버린다. 그 결과,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아이콘으로부터 포인터가 벗어나, 커맨드를 발행할 수 없거나, 혹은 유저는 클릭 조작을 한다는 것이,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 포인터가 움직임으로써 드래그 조작으로 되어 버리는 등, 유저가 의도 하지 않은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생각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문헌 2에서는, 포인팅 디바이스(리모트 커맨더)에 의한 엔터 조작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다시 말해 버튼이 눌려져 있는 동안은 포인터의 이동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처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特開) 2001-56743호 공보(단락 [0030], [0031], 도 3)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3264291호 공보(단락 [0062], [0063])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5-63228호 공보(단락 [0012], [0026], 도 1)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엔터 조작의 신호가 발생하고, 포인터의 표시 출력이 정지되기 위해서는, 유저가 버튼을 압압(押壓; press)하기 시작하고 나서, 어느 정도 밀어넣어(押入)져, 스위치가 ON 상태로 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저가 버튼을 누르기 시작하고 나서 스위치가 ON 상태로 될 때까지 입력 장치가 기울어짐으로써,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생각된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포인팅 디바이스(리모콘식 입력 장치)에서는, 유저는,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부재를 윈도우 홀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화면 상에서 포인터를 임의의 아이콘 상으로 이동시키고, 그 후 조작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엔터 조작을 행한다. 이 경우에도, 유저가 조작 부재를 누르기 시작하고 나서 스위치가 ON 상태로 될 때까지, 조작 부재가 윈도우 홀 내에서 움직여 버려,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생각된다. 이 경우, 특히 유저가 조작 부재를 포인팅 디바이스에 대해서 수직으로 압압하지 않으면, 스위치가 ON 상태로 될 때까지 포인터가 화면 상에서 이동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가 입력 장치에 설치된 조작부를 조작하는 경우에,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오(誤)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입력 장치, 제어 장치 등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리량을 검출하는 입력 장치로서, 조작부와, 상기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물리량에 따른,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화상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조작부에서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될 때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변위 대응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화상」에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포인터나, 아이콘, 윈도우, 지도, 전자 프로그램표(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는, 생성 수단에 의해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된 경우,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한다. 이 제1 보정 변위량에 의해, 조작 신호가 생성되기 전, 다시 말해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기 전의 화상(예를 들면, 포인터)의 좌표값을 보정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기 전의 포인터의 오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될 때마다 상기 제1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기 전의 화상의 오이동이 큰 경우에는, 큰 값의 제1 시간이 결정되고, 포인터의 오이동이 작은 경우에는, 작은 값의 제1 시간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될 때마다 제1 시간이 결정됨으로써, 화상의 오이동의 크기에 따른 제1 보정 변위량을 적절히 산출할 수가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의 절대값이 임계값을 하회하는지 여부를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처음으로 상기 임계값을 화회하는 상기 변위 대응량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제1 시간을 결정해도 좋다.
유저는, 입력 장치를 이용해서, 포인터를 아이콘 상으로 이동시키고, 아이콘 상에서 정지시킨 후에 조작부에 대해서 입력 조작하는 일이 많다. 이 경우,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변위 대응량의 절대값은, 포인터의 정지에 의해 제로에 가깝게 되며, 입력 조작에 의한 포인터의 오이동에 의해 커진다. 즉, 포인터의 오이동 분(分)에 상당(相當)하는 변위량은, 변위 대응량이 제로에 가까운 값으로 되었을 때부터, 조작 신호의 입력까지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산출된 변위량인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는,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처음으로 임계값을 하회하는 변위 대응량이 기억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해서 제1 시간을 결정하고, 이 제1 시간 내에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한다.
이것에 의해, 포인터의 오이동의 크기에 따른 제1 보정 변위량이 산출되기 때문에, 적절히 포인터에 표시되는 위치를 보정할 수가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을 기억하고,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이 정(正) 또는 부(負)의 값중 어느것인지를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처음으로 상기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의 값이 정의 값으로부터 부의 값으로 되는 상기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제1 시간을 결정해도 좋다.
유저가, 포인터를 아이콘 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포인터는, 아이콘에 대해서 감속하면서 접근하고,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은, 예를 들면 부의 값으로 된다. 유저가 아이콘 상에 포인터를 정지시키는 경우,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은, 예를 들면 제로 부근의 부의 값으로 되고, 그 후 유저의 입력 조작에 의한 포인터의 오이동에 의해,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은, 예를 들면 정의 값으로 된다. 즉, 포인터의 오이동 분에 상당하는 변위량은,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이 부의 값으로부터 정의 값으로 옮겨졌을 때부터, 조작 신호의 입력까지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산출된 변위량인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는,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처음으로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이 정의 값으로부터 부의 값으로 되는 변위 대응량을 판정하고, 이 변위 대응량이 기억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해서 제1 시간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는, 이 제1 시간 내에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한다.
이것에 의해, 포인터의 오이동의 크기에 따른 제1 보정 변위량이 산출되기 때문에, 적절히 포인터에 표시되는 위치를 보정할 수가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정지되기 제2 시간 전부터,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정지될 때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2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제2 보정 변위량을 출력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조작 신호의 생성이 정지된 경우에, 제2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고,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 신호의 생성이 정지되기 전, 다시 말해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되기 전의 포인터의 오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시간을 가변으로 하는 가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유저의 감각에 맞는 제1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는, 상기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하도록, 또는 상기 변위 대응량을 제로로 해서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는, 변위 대응량의 출력이 정지되거나, 혹은 변위 대응량을 제로로 해서 출력되기 때문에,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고,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된 후도 포인터의 오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는, 변위 대응량이 출력되므로, 예를 들면 화면 상에서, 드래그 동작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정지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는, 상기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하도록, 또는 상기 변위 대응량을 제로로 해서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조작 신호의 생성이 정지되고,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된 후도 포인터의 오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커맨드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된 경우에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하도록, 또한 그 제1 보정 변위량의 출력 후에 상기 조작 커맨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수단을 더 구비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입력 장치로부터의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장치에 대해서,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한 후에, 조작 커맨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가 ON으로 되기 전의 포인터의 오이동을 보정한 후에, 예를 들면 화면 상에서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처리를 실행시킬 수가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의 출력 후로서,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정지된 후에 상기 조작 커맨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수단을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 장치에 대해서, 조작 신호의 생성이 정지된 후, 다시 말해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된 후에 조작 커맨드를 출력한다. 또한, 일반적인 제어 장치에서는,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된 것을 트리거로 해서, 소정의 처리가 실행되는 일이 많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커맨드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정지된 경우에, 상기 제2 보정 변위량을 출력하도록, 또한 그 제2 보정 변위량의 출력 후에 상기 조작 커맨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에 대해서, 제2 보정 변위량을 출력한 후에, 조작 커맨드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가 OFF로 되기 전의 포인터의 오이동량을 보정한 후에, 예를 들면 화면 상에서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처리를 실행시킬 수가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케이싱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물리량을 검출하는 센서이더라도 좋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조작부가 이동가능한 개구를 가지는 케이싱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개구 내에서의 상기 조작부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물리량을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검출 수단이, 케이싱에 대한 조작부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경우, 스위치가 ON으로 되기 전의 포인터의 오이동이 크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보정 변위량에 의해, 포인터의 오이동을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유저가 케이싱에 대해서 조작부를 수직으로 압압할 수 없었다고 해도, 포인터를 유저의 의도에 맞는 적절한 위치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2단계적인 스위칭이 가능한 2단 조작형 조작부이며,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2단 조작형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서, 제1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2단 조작형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서, 제2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제2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커맨드를 출력해도 좋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1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된 경우, 상기 화상의 이동이 개시되도록,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한 상기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2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제2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될 때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해도 좋다.
상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1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된 경우, 상기 화상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한 상기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제1 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1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제1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될 때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서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지는 입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물리량의 신호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서,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화상의 이동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물리량의 신호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물리량에 따른, 상기 화면 상에서의 화상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의 수신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조작 신호의 수신이 개시될 때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변위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에 따라서, 상기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화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조작부와, 상기 물리량에 따른,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화상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조작부에서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변위 대응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가지는 입력 장치와, 상기 변위 대응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변위 대응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에 따라서, 상기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화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가지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장치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이동을 제어하는 핸드헬드 장치로서,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물리량에 따른,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화상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서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변위 대응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에 따라서, 상기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화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은,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리량을 검출하고, 입력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물리량에 따른,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화상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고,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될 때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고, 상기 변위 대응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에 따라서, 상기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화면 상의 표시를 제어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가 입력 장치에 설치된 조작부를 조작하는 경우에,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오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입력 장치, 제어 장치 등의 기술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입력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입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입력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유저가 입력 장치를 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입력 장치를 움직이게 하는 방법 및 이것에 의한 화면 상의 포인터의 움직임의 전형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센서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유저에 의한 공간 조작에 따라서, 화면 상에서 포인터가 이동하는 경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유저가 입력 장치의 조작부를 조작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1은 화면 상에서의 포인터의 움직임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포인터가 도 11에 도시하는 움직임을 한 경우에, 입력 장치가 기억하는 변위 대응량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유저가 버튼의 압압을 개시하고 나서, 그 압압을 다 해제할 때까지의 케이싱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4는 케이싱에 대한 버튼의 위치와, 포인터의 오이동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6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7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8은 포인터가 도 11의 (a)에 도시하는 움직임을 한 경우에, 입력 장치가 기억하는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i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입력 장치의 기능적인 블록도,
도 21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22는 도 2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버튼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3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부호의 설명]
Vx, Vy, Vxi, Vyi: 변위 대응량(속도값), ωx, ωy: 각속도값, ax, ay, ai: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가속도값), Xc, Yc: 제1 보정 변위량, Xc', Yc': 제2 보정 변위량, X(t), Y(t): 좌표값, X", Y": 보정 좌표값, 제1 시간: t1, 제1 시간: t2, 1, 101: 입력 장치, 2: 포인터, 3: 화면, 7: 이동 버튼, 8: 결정 버튼, 10, 110: 케이싱, 11, 12, 13: 버튼, 15: 각속도 센서 유닛, 16: 가속도 센서 유닛, 17: 센서 유닛, 19, 35: MPU, 20: 수정 발진기, 21, 38: 송수신기, 22, 39: 안테나, 23, 112: 조작부, 40: 제어 장치, 94: 제어부, 92: 카운터, 93: 카운트값 설정부, 100: 제어 시 스템, 111: 개구, 151: 요 방향의 각속도 센서, 152: 피치 방향의 각속도 센서, 161: 요 방향의 가속도 센서, 162: 피치 방향의 가속도 센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어 시스템(100)은, 표시 장치(5), 제어 장치(40) 및 입력 장치(1)를 포함한다.
도 2는, 입력 장치(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입력 장치(1)는, 유저가 잡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된다. 입력 장치(1)는, 케이싱(筐體)(10)을 구비하고 있다. 또, 입력 장치(1)는, 케이싱(1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된 버튼(11), 이 버튼(11)에 인접하는 버튼(12) 및, 케이싱의 측면에 설치된 버튼(13) 등의 조작부(23)를 가진다.
버튼(11, 12)은, 전형적으로는 압압 타입의 버튼이며, 푸시 버튼 혹은 정전 용량식 터치 버튼이 이용된다. 버튼(13)은, 전형적으로는, 회전 타입의 휠 버튼이다. 그러나, 조작부(23)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단(一端)을 지점으로 해서 조작되는 스틱 타입의 조작부(23), 슬라이드 타입의 조작부(23)가 이용되어도 좋다.
상기 각 버튼은,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이 스위치는, 유저의 입력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MPU(19)에 출력한다(생성 수단).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로서, 광 센서나, 정전 용량 센서가 이용되어도 좋다.
버튼(11)은, 예를 들면 PC에서 이용되는 입력 디바이스로서의 마우스의 왼쪽 버튼에 상당하는 기능을 가지고, 버튼(11)에 인접하는 버튼(12)은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에 상당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버튼(11)의 클릭에 의해, 아이콘(4)(도 5 참조)을 선택하는 조작, 버튼(11)의 더블 클릭에 의해 파일을 여는 조작, 휠 버튼의 회전에 의해 스크롤 조작이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 아이콘이라 함은, 컴퓨터 상의 프로그램의 기능, 실행 커맨드, 또는 파일의 내용 등이 화면(3) 상에서 화상화된 것이다. 버튼(11, 12) 및 휠 버튼(13)의 배치, 발행되는 커맨드의 내용 등은, 적당히 변경가능하다.
도 3은, 입력 장치(1)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입력 장치(1)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입력 장치(1)는, 센서 유닛(17), 제어 유닛(30), 배터리(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은, 센서 유닛(17)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센서 유닛(17)은, 서로 다른 각도, 예를 들면 직교하는 2축(X'축 및 Y'축)을 따른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유닛(16)을 가진다. 즉, 가속도 센서 유닛(16)은, 요 방향의 가속도 센서(161) 및, 피치 방향의 가속도 센서(162)의 2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또, 센서 유닛(17)은, 그 직교하는 2축 주위(周)의 각가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 유닛(15)을 가진다. 즉, 각속도 센서 유닛(15)은, 요 방향의 각속도 센서(151) 및, 피치 방향의 각속도 센서(152)의 2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이들 가속 도 센서 유닛(16) 및 각속도 센서 유닛(15)은 패키징되고, 회로 기판(25) 상에 탑재되어 있다.
요 방향, 피치 방향의 각속도 센서(151, 152)로서는, 각속도에 비례한 코리올리힘을 검출하는 진동형 자이로 센서가 이용된다. 요 방향, 피치 방향의 가속도 센서(161, 162)로서는, 피에조 저항형, 압전형, 정전 용량형 등, 어떠한 타입의 센서이더라도 좋다.
도 2 및 도 3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케이싱(10)의 긴쪽(長手) 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케이싱(10)의 두께 방향을 X'방향으로 하며, 케이싱(10)의 폭방향을 Y'방향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센서 유닛(17)은, 회로 기판(25)의, 가속도 센서 유닛(16) 및 각속도 센서 유닛(15)을 탑재하는 면이 X'-Y'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케이싱(10)에 내장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양(兩)센서 유닛(16, 15)은 X'축 및 Y'축의 2축에 관한 물리량을 검출한다. 본 명세서중에서는, 입력 장치(1)와 함께 움직이는 좌표계, 다시 말해 입력 장치(1)에 고정된 좌표계를 X'축, Y'축, Z'축으로 나타낸다. 한편, 지구상에서 정지(靜止)한 좌표계, 다시 말해 관성 좌표계를 X축, Y축, Z축으로 나타낸다. 또, 이후의 설명에서는, 입력 장치(1)의 움직임에 관하여, X'축 주위의 회전 방향을 피치 방향, Y'축 주위의 회전 방향을 요 방향이라고 하고, Z'축(롤축) 방향 주위의 회전 방향을 롤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제어 유닛(30)은, 메인 기판(18), 메인 기판(18) 상에 마운트된 MPU(19)(Micro Processing Unit)(혹은, CPU), 수정 발진기(20), 송수신기(21), 메 인 기판(18) 상에 프린트된 안테나(22)를 포함한다.
MPU(19)는, 필요한 휘발성 및 불휘발성 메모리를 내장하고 있다. MPU(19)에는, 센서 유닛(17)에 의한 검출 신호, 조작부(23)에 의한 조작 신호 등이 입력되고, MPU(19)는, 이들 입력 신호에 따른 소정의 제어 신호(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해, 각종 연산 처리 등을 행한다.
송수신기(21)(출력 수단)는, MPU(19)에서 생성된 커맨드를 무선 신호(예를 들면, RF 무선 신호)로서, 안테나(22)를 거쳐서 제어 장치(40)에 송신한다. 또, 송수신기(21)는, 제어 장치(40)로부터 송신된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정 발진기(20)는, 기준 펄스를 생성하고, 이것을 MPU(19)에 공급한다. MPU(19)는, 이 기준 펄스에 의거해서, 여러 가지 주파수의 클럭을 생성할 수 있다. 배터리(14)로서는, 건전지 또는 충전식 전지 등이 이용된다.
제어 장치(40)는 컴퓨터이며, MPU(35)(혹은, CPU), RAM(36), ROM(37), 비디오 RAM(41), 표시 제어부(42), 안테나(39) 및 송수신기(38) 등을 포함한다.
송수신기(38)는, 입력 장치(1)로부터 송신된 각종 신호를, 안테나(39)를 거쳐서 수신한다. 또, 송수신기(38)는, 입력 장치(1)에 소정의 각종 신호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MPU(35)는, 그 커맨드를 해석하고,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 장치(5)의 화면(3) 상에 표시된 UI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 표시 제어부(42)는, MPU(35)의 제어에 따라서, 주로 표시 장치(5)의 화면(3) 상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한다. 비디오 RAM(41)은, 표시 제어부(42)의 작업 영역으로 되어, 생성된 화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格納)한다.
제어 장치(40)는, 입력 장치(1) 전용의 기기이더라도 좋지만, PC 등이더라도 좋다. 제어 장치(40)는, PC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 장치(5)와 일체로 된 컴퓨터이더라도 좋고, 오디오/비주얼 기기, 프로젝터, 게임 기기, 또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기기 등이더라도 좋다.
표시 장치(5)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혹은, 표시 장치(5)는, 텔레비전 방송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된 장치이더라도 좋다.
도 5는, 표시 장치(5)에 표시되는 화면(3)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화면(3) 상에는, 아이콘(4)이나 포인터(2) 등의 UI가 표시되고 있다. 또한, 화면(3) 상의 수평 방향을 X축 방향이라고 하고, 수직 방향을 Y축 방향이라고 한다.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별히 명시가 없는 한, 입력 장치(1)로 조작되는 대상으로 되는 GUI를 포인터(2)(이른바, 커서)라고 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유저가 입력 장치(1)를 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1)는, 조작부(23)로서, 상기 버튼(11, 12, 13) 외에, 예를 들면 텔레비전 등을 조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설치되는 바와 같은 각종 조작 버튼(29)이나 전원 스위치(28)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유저가 입력 장치(1)를 쥔 상태에서, 입력 장치(1)를 공중에서 이동시키거나, 혹은 조작부(23)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커맨드의 신호가 제어 장치(40)에 출력되 고, 제어 장치(40)에 의해 UI가 제어된다.
입력 장치(1)의 MPU(19)는, 상기 커맨드로서, 전형적으로는 센서 유닛(17)에 의한 검출 신호에 따른, 화면(3) 상에서의 포인터(2)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이동 커맨드 및, 조작부(23)를 거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커맨드를 생성한다.
다음에, 입력 장치(1)를 움직이게 하는 방법 및 이것에 의한 화면(3) 상의 포인터(2)의 움직임의 전형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그 설명도이다.
도 7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입력 장치(1)를 쥔 상태에서, 입력 장치(1)의 버튼(11, 12)이 배치되어 있는 측을 표시 장치(5) 측으로 향하게 한다. 유저는, 엄지 손가락을 위로 하고 새끼 손가락을 아래로 한 상태, 이른바 악수하는 상태로 입력 장치(1)를 쥔다. 이 상태에서, 센서 유닛(17)의 회로 기판(25)(도 8 참조)은, 표시 장치(5)의 화면(3)에 대해서 평행에 가깝게 되며, 센서 유닛(17)의 검출축인 2축이, 화면(3) 상의 수평축(X축) 및 수직축(Y축)에 대응하도록 된다. 이하, 이와 같은 도 7의 (a), (b)에 도시하는 입력 장치(1)의 자세를 기본 자세라고 한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자세의 상태에서, 유저가 손목이나 팔을 좌우 방향, 다시 말해 요 방향으로 흔든다. 이 때, 요 방향의 가속도 센서(161)는, 요 방향의 가속도값 ax를 검출하고, 요 방향의 각속도 센서(151)는, Y'축 주위의 각속도값 ωΦ를 검출한다. 이들 검출값에 의거해서, 제어 장치(40)는, 포인터(2)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그 포인터(2)의 표시를 제어한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자세의 상태에서, 유저가 손목이나 팔을 상하 방향, 다시 말해 피치 방향으로 흔든다. 이 때, 피치 방향의 가속도 센서(162)는, 피치 방향의 가속도값 ay를 검출하고, 피치 방향의 각속도 센서(152)는, X'축 주위의 각속도값 ωθ를 검출한다. 이들 검출값에 의거해서, 제어 장치(40)는, 포인터(2)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그 포인터(2)의 표시를 제어한다.
다음에, 입력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유저에 의한 공간 조작에 따라서, 화면(3) 상에서 포인터(2)가 이동하는 경우의, 제어 시스템(100)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이 경우의 제어 시스템(100)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전원 스위치(28)의 압압에 의해, 입력 장치(1)에 전원이 입력되면, 각속도 센서 유닛으로부터 2축의 각속도 신호(ωΦ, ωθ)가 출력된다. 이 각속도 신호에 의한 각속도값(ωΦ, ωθ)은 MPU(19)에 입력된다(스텝 101).
또, 입력 장치(1)에 전원이 투입되면, 가속도 센서 유닛(16)으로부터 2축의 가속도 신호(ax, ay)가 출력되고, 이 2축의 가속도값(ax, ay)은, MPU(19)에 입력된다(스텝 102). 또한, MPU(19)는, 전형적으로는 스텝 101 및 102에 나타내는 처리를 소정의 클럭 주기마다 동기해서 행한다.
MPU(19)는, 가속도값(ax, ay) 및 각속도값(ωΦ, ωθ)에 의거해서, 소정의 연산에 의해 속도값(Vx, Vy)을 산출한다(스텝 103). 속도값 Vx는 X'축을 따르는 방향의 속도값이며, 속도값 Vy는 Y'축을 따르는 방향의 속도값이다.
속도값(Vx, Vy)의 산출 방법으로서는, MPU(19)가, 예를 들면 가속도값(ax, ay)을 적분해서 속도값을 구하고, 또한 각속도값(ωΦ, ωθ)을 그 적분 연산의 보조로서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또, 속도값의 산출 방법으로서, MPU(19)가, 센서 유닛(17)으로부터의 가속도값(ax, ay) 및 각속도값(ωΦ, ωθ)에 의거해서 입력 장치(1)의 회전 반경(RΦ, Rθ)을 산출하고, 회전 반경에 각속도값(ωΦ, ωθ)을 곱하는 것에 의해 속도값(Vx, Vy)을 산출하는 방법도 있다. 회전 반경(RΦ, Rθ)은, 예를 들면 가속도값(ax, ay)을 각가속도값(ΔωΦ, Δωθ)으로 나눔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혹은, 회전 반경(RΦ, Rθ)은, 가속도의 변화율(Δax, Δay)을, 각가속도의 변화율(Δ(ΔωΦ), Δ(Δωθ))로 나눔으로써 구해져도 좋다.
상기 산출 방법에 의해, 속도값이 산출됨으로써, 유저의 직감에 합치한 입력 장치(1)의 조작감이 얻어지고, 또 화면(3) 상의 포인터(2)의 움직임도 입력 장치(1)의 움직임에 정확하게 합치한다. 그렇지만, 속도값(Vx, Vy)은, 반드시 상기 산출 방법에 의해, 산출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가속도값(ax, ay)이 단순히 적분되어 속도값(Vx, Vy)이 산출되어도 상관없다.
MPU(19)는, 속도값(Vx, Vy)을 산출하면, 산출된 속도값의 정보를 이동 커맨드로서, 송수신기(21) 및 안테나(22)를 거쳐서 제어 장치(40)에 송신한다(스텝 104).
제어 장치(40)의 MPU(35)는, 안테나(39) 및 송수신기(38)를 거쳐서, 속도값(Vx, Vy)의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105). 이 경우, 입력 장치(1)는, 소정의 클럭마다, 다시 말해 소정 시간마다 속도값(Vx, Vy)을 송신하고, 제어 장치(40)는, 소정의 클럭 수마다 속도값을 수신한다.
제어 장치(40)의 MPU(35)는, 속도값을 수신하면, 하기의 식 (1), (2)에 의해, 속도값을 좌표값에 가산함으로써, 새로운 좌표값(X(t), Y(t))을 생성한다(스텝 106). 이 좌표값의 생성에 의해, 표시 제어부(42)는, 포인터(2)가 화면(3) 상에서 이동하도록 표시를 제어한다(스텝 107).
Figure 112009047939005-PCT00001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유저의 공간 조작에 따라서, 화면(3) 상에 표시된 포인터(2)가 화면(3) 상에서 이동한다.
또한, 속도값(Vx, Vy)의 산출은, 제어 장치(40)가 실행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입력 장치(1)는, 각속도값(ωΦ, ωθ) 및 가속도값(ax, ay)의 정보를 안테나 송수신기(21) 및 안테나(22)를 거쳐서 제어 장치(40)에 송신한다. 제어 장치(40)는, 안테나(39) 및 송수신기(38)를 거쳐서 수신된 각속도값(ωΦ, ωθ) 및 가속도값(ax, ay)의 정보에 의거해서, 속도값(Vx, Vy)을 산출한다. 속도값의 산출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다음에, 유저가 입력 장치(1)의 조작부(23)를 조작한 경우의 1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가 조작부(23)중 버튼(11)을 조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속도값을 변위 대응량으로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속도값은, 포인터(2)의 소정 시간당 변위에 대응하는 양, 다시 말해 변위 대응량이다.
도 11은, 화면(3) 상에서의 포인터(2)의 움직임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는, 유저가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1)를 이용해서 화면(3) 상에서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아이콘(4) 상에서, 버튼(11)을 압압한 경우의, 포인터의 움직임의 1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의 (b)는, 제1 보정 변위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에서는, MPU(19)가 조작 신호를 입력했을 때의 화면(3) 상에서의 포인터(2)의 좌표값이 X0, Y0으로 나타내어지고, 조작 신호의 입력시로부터 i 사이클 전의 포인터의 좌표값이, Xi, Yi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12는, 포인터(2)가 도 11에 도시하는 움직임을 한 경우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1)가 기억하는 변위 대응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2에서는, 조작 신호의 생성 개시시(입력 개시시)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이 vyo로 나타내어지고, 조작 신호의 생성 개시시(입력 개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i 사이클 전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이 vyi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13은, 유저가 버튼(11)의 압압을 개시하고 나서, 그 압압의 해제를 끝낼 때까지의 케이싱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1)는, 예를 들면 MPU(19)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휘발성 메모리에 변위 대응량(vx, vy)을 기억한다(스텝 201)(기억 수단).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변위 대응량이 메모리에 기억된다. 메모리에는, 각속도값(ωΦ, ωθ) 및 가속도값(ωΦ, ωθ)에 의거해서 산출된 변위 대응량이 소정의 클럭 수마다, 소정의 사이클로 기억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버튼(11)의 압압을 개시하면(도 13의 (a)), 버튼(11)은, 케이싱(10) 측으로 밀어넣어져, 스위치가 ON 상태로 된다(도 13의 (b)). 이 경우, 케이싱(10)이 움직임으로써, 센서 유닛(17)이 물리량(ωΦ, ωθ, ax, ay)을 검출하고, 이 물리량에 따른 변위 대응량이 입력 장치(1)로부터 출력된다. 그러면,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면(3) 상에서 포인터(2)의 좌표값이, 예를 들면 (X5, Y5)로부터 (X0, Y0)까지 이동한다.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면, 스위치는 조작 신호의 생성을 개시하고, MPU(19)에 대해서 이 조작 신호의 출력을 개시한다. MPU(19)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스텝 202의 YES),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하거나, 또는 변위 대응량을 제로((vx, vy)=(0, 0))로 한 신호의 출력을 개시한다(스텝 203).
이것에 의해, 스위치가 ON 상태로 된 후에, 포인터(2)가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스위치가 ON으로 된 상태로부터(도 13의 (b)), 또 케이싱(10)이 움직임으로써(도 13의 (c)), 포인터(2)가 화면(3)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MPU(19)는, 스위치에 의한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고,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되면, 이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될 때까지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을 판독출력(讀出; read out)하고, 이 변위 대응량을 적분 연산하여, 제1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한다(스텝 204)(산출 수단).
전형적으로는,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로부터 i사이클 전에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을, vxi, vyi로 하면, MPU(19)는, i=0부터 i=n까지의 변위 대응량에 마이너스를 곱한 값을 가산함으로써,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한다. 이 관계는, 이하의 식 (3), (4)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09047939005-PCT00002
또, 상기 제1 시간은, 변위 대응량이 메모리에 기억되는 사이클 시간을 Δt로 하면, 이하의 식 (5)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09047939005-PCT00003
이 제1 시간 t1은, 전형적으로는, 0.1초∼0.6초로 되지만, 0.1초 이하이더라도 좋고, 0.6초 이상이더라도 좋다. 제1 시간은, 유저에 의해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유저에 의한 커스터마이즈를 실현하기 위해서, 입력 장치(1)에는, 예를 들면 딥 스위치나 가변 저항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유저가 입력 장치(1) 및 조작부(23)를 조작하고, 화면(3) 상의 GUI를 조작함으로써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후술하는 제2 시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식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1 시간 t1이 결정되면, n이 결정되고, 역으로 n이 결정되면 제1 시간 t1이 결정된다. 따라서, 딥 스위치나 가변 저항에 의해, n이 정해짐으로써, 제1 시간이 0.1초∼0.6초로 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사이클 시간 Δt가 0.01초인 경우, n은, 10∼60으로 된다.
MPU(19)는,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면, 이 산출된 제1 보정 변위량을 송신한다(스텝 205).
제어 장치(40)의 MPU(35)는, 입력 장치(1) 측으로부터 송신된 제1 보정 변위량을, 송수신기(38)를 거쳐서 수신한다. 그러면, MPU(35)는, 하기의 식 (6),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의 좌표값(X0, Y0)에, 제1 보정 변위량(Xc, Yc)을 가산함으로써, 보정 좌표값(X", Y")을 산출한다. MPU(35)는, 보정 좌표값을 산출하면,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보정 좌표값(X", Y")의 위치로 포인터(2)가 이동하도록 화면(3)의 표시를 제어한다.
Figure 112009047939005-PCT00004
입력 장치(1)의 MPU(19)는,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 후, 결정 코드(조작 커맨드의 1종)를 출력한다(스텝 206).
제어 장치(40)의 MPU(35)는, 입력 장치(1)로부터 출력된 결정 코드를 수신하면,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면(3) 상에서의 포인터(2)의 위치가 아이콘(4) 상인 경우, 제어 장치(40)의 MPU(35)는, 그 아이콘(4)을 선택하는 처리를 실행하거나, 그 아이콘(4)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거나 한다. 버튼(11)이 눌렸을 때의 포인터(2)의 위치가 아이콘(4) 상이 아닌 경우, 제어 장치(40)는, 다른 처리를 실행한다.
입력 장치의 MPU(19)는, 결정 코드를 출력하면,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개시한다(스텝 207).
도 10에 도시하는 동작에 의해, 유저가 버튼(11)의 압압을 개시하고 나서, 스위치가 ON으로 되기 전의(도 11의 (a), (b) 참조), 포인터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한 후에, 결정 코드를 출력함으로써, 화면(3) 상에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0의 설명에서는, X'축 방향의 보정 변위량 Xc 및 Y'축 방향의 보정 변위량 Yc의, 양축 방향의 보정 변위량(Xc, Yc)이 출력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MPU(19)는, X'축 방향의 보정 변위량 Xc만, 혹은 Y'축 방향의 보정 변위량 Yc만을 출력해도 좋다. 즉, 출력되는 보정 변위량(Xc, Yc)은, 케이싱에 대한 버튼(11)의 위치나, 포인터(2)가 오이동하는 방향을 고려해서, 적당히 선택되면 좋다.
도 14는, 케이싱에 대한 버튼의 위치와, 포인터(2)의 오이동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4의 (a)는, 입력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14의 (b)는, 입력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튼(11)이 케이싱(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인터(2)는, 화면(3) 상에서의 Y축 방향으로의 오이동이 대부분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입력 장치는, Y'축 방향의 보정 변위량 Yc만을 출력해도 좋다. 한편, 예를 들면 케이싱(10)의 측면에 버튼(11)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인터(2)는, 화면 상에서의 X축 방향의 오이동이 대부분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입력 장치는, X'축 방향의 보정 변위량 Xc만을 출력해도 좋다.
도 10의 설명에서는, MPU(19)는,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한 직후에 결정 코드를 출력한다고 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MPU(19)는,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결정 코드를 출력해도 좋다. 다시 말해, MPU(19)는, 유저에 의해 버튼(11)의 압압이 해제되고,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는 것을 기다리고 나서, 결정 코드를 출력해도 좋다. 또한, 평면 조작형 마우스 등에서는, 압압된 버튼이 놓아진(離; release) 것을 트리거로 해서 결정 코드(결정 커맨드)가 출력되는 경우가 많다.
도 10에 도시한 처리, 다시 말해 보정 변위량의 산출에 관한 처리는, 제어 장치(40)가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제어 장치(40)는, 입력 장치(1)로부터 송신된 변위 대응량과, 조작 신호를 수신한다(수신 수단). 제어 장치(40)는, 이 변위 대응량을, 예를 들면 MPU(35) 내의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한다. 제어 장치(40)의 MPU(35)는, 송수신기(38)를 거쳐서 조작 신호의 수신을 개시하면, 이 수신의 개시로부터 제1 시간 전부터, 조작 신호의 수신까지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을 적분 연산하고, 제1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한다. 이 제1 보정 변위량에 의해, 포인터(2)의 좌표값을 보정한다.
이후에서 설명하는, 유저가 조작부(23)를 조작한 경우의 각 실시형태의 입력 장치(1)의 처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40)가 보정 변위량의 산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다음에, 유저가 입력 장치(1)의 조작부(23)를 조작한 경우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1)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동작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가 화면(3) 상에 표시된 아이콘(4)을 선택하는 경우, 유저는, 포인터(2)를 아이콘(4) 상까지 이동시키고, 그 아이콘(4) 상에 0.5∼1초 정도 포인터(2)를 정지시킨 후에, 버튼(11)의 압압을 개시하는 일이 많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포인터(2)를 아이콘(4)에 접근시킴으로써, 변위 대응량(속도값)은 감소하고, 유저가 포인터를 아이콘(4) 상에 정지시킴으로써, 변위 대응량(속도값)은, 0에 가까운 값으로 된다. 그 후, 유저가 버튼(11)의 압압을 개시하고, 케이싱(10)이 이 압압의 작용에 의해 움직임으로써(도 13의 (a)∼(b) 참조), 변위 대응량(속도값)은 증가한다. 그리고, 스위치가 ON으로 되고(도 13의 (b) 참조), MPU(19)에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포인터의 움직임(오이동)은, 변위 대응량이 제로에 가까운 값으로 되었을 때부터 조작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의 변위 대응량의 적분값에 상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변위 대응량의 추이를 이용해서, 제1 시간을 결정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1)는, MPU(19)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휘발성 메모리에 변위 대응량(vx, vy)을 기억하고 있다(스텝 301).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변위 대응량이 메모리에 기억된다.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면, 스위치는, 조작 신호의 생성을 개시하고, 이 조작 신호의 MPU(19)에의 출력을 개시한다. MPU(19)는,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스텝 302의 YES),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한다(스텝 303).
또, MPU(19)는, 스위치에 의해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고,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되면, 메모리에 기억된, Y'축 방향의 변위 대응량 vyi를 판독출력한다(스텝 304). 그리고, MPU(19)는, 판독출력된 Y'축 방향의 변위 대응량의 절대값|vyi|이 임계값 Th1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305)(판정 수단).
임계값 Th1은, 예를 들면 제로에 가까운 값이 설정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버튼(11)의 압압 개시시의 변위 대응량 및,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의 변위 대응량 등을 고려해서, 적당히 설정된다(도 12 참조).
스텝 304에서는, MPU(19)는, 우선 메모리에 기억된,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의 변위 대응량 vy0을 판독출력한다. MPU(19)는, 이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의 변위 대응량의 절대값이 임계값 Th1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305).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의 변위 대응량 vy0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스텝 305의 NO),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로부터 1사이클 전에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 vy1이 판독출력되고(스텝 304), 이 변위 대응량의 절대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305).
또, 이 1사이클 전의 변위 대응량 vy1의 절대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스텝 305의 NO), 다음의 변위 대응량이 판독출력되고(스텝 304), 임계값 판정이 이루어진다(스텝 305). 이와 같이, 변위 대응량의 절대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이,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되었을 때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순서대로 판독출력되고, 이 판독출력된 변위 대응량의 임계값 판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변위 대응량의 절대값|vyi|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스텝 305의 YES), n이 결정된다(결정 수단). 다시 말해,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처음으로 임계값을 하회하는 변위 대응량이 기억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해서 n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 임계값을 3으로 한 경우,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의 4사이클 전에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의 절대값|vy4|이, 처음으로 임계값 미만으로 되기 때문에, n=4로 결정된다. 또한, n이 결정됨으로써, 제1 시간 t1도 결정된다(식 (5) 참조).
스텝 306에서, n이 결정되면, MPU(19)는, 메모리에 기억된, i=0부터 i=n까지의 변위 대응량에 마이너스를 곱한 값을 가산함으로써, 제1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한다(스텝 307)(식 (3), (4) 참조). 보정 변위량(Xc, Yc)이 산출되면, MPU(19) 는, 산출된 보정 변위량을 제어 장치(40)에 출력한다(스텝 308). 그 후, MPU(19)는, 결정 코드를 출력하고(스텝 309),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개시한다(스텝 310).
도 15에 도시하는 동작에 의해,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기 전의,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포인터의 변위량에 따른 제1 보정 변위량이, 조작 신호의 입력의 개시시마다 산출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 의해 버튼(11)이 압압될 때마다, 적절히 포인터(2)의 표시 위치를 보정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MPU(19)는, 메모리에 기억된 Y'축 방향의 변위 대응량 vyi에 대해서, 임계값 판정했지만, 메모리에 기억된 X'축 방향의 변위 대응량 vxi에 대해서 임계값 판정해도 좋다. 혹은, MPU(19)는, Y'축 방향의 변위 대응량 및, X'축 방향의 변위 대응량 vxi로부터, 변위 대응량의 벡터량을 산출하고, 이 벡터량의 임계값 판정을 행해도 좋다. 다음에 설명하는 도 16에 도시하는 처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임계값 판정을 행해야 할 변위 대응량은, 케이싱에 대한 버튼(11)의 위치나, 포인터(2)가 오이동하는 방향을 고려해서, 적당히 선택되면 좋다.
상술한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튼(11)이 케이싱(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인터(2)는, 화면(3) 상에서의 Y축 방향으로의 오이동이 대부분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경우, MPU(19)는, Y'축 방향의 변위 대응량 vyi의 임계값 판정을 행하면 좋다. 한편, 예를 들면 케이싱(10)의 측면에 버튼(11)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인터(2)는, 화면 상에서의 X축 방향의 오이동이 대부분 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MPU(19)는, X'축 방향의 변위 대응량 vxi의 임계값 판정을 행하면 좋다.
그런데, 버튼(11)이 압압되고,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기억되는 변위 대응량은, 도 12에 도시하는 예와는,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화면(3) 상에서 포인터(2)를 아이콘(4)에 접근시키고 있는 한중간에(한참 접근시키고 있을 때에), 잘못해서 버튼(11)을 압압해 버린 경우 등이다. 이 경우,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변위 대응량의 임계값 판정을 행하면, 예를 들면 아이콘(4)에 포인터(2)를 접근시키기 전의, 포인터(2)가 멈추어 있었을 때에 기억된 대응 변위량이 처음으로 임계값을 하회하는 변위 대응량으로 된다. 이 변위 대응량이 기억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해서, n(제1 시간 t1)을 결정하면, 부적절한 보정 변위량이 산출되고, 포인터(2)의 위치가 되돌려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스텝 304에서, i가, i가 취할 수 있는 값의 최대값 N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위 대응량을 판독출력할 수 없어, n(제1 시간 t1)을 결정하지 않아도 좋다. 다시 말해,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로부터 N회 거슬러 올라가,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을 판독출력하고, 임계값 판정을 행해도, 임계값을 하회하는 변위 대응량이 없었던 경우에는,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지 않아도 좋다.
여기서,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로부터 N회 거슬러 올라가, 임계값 판정을 행해도, 임계값을 하회하는 변위 대응량이 없는 경우라 함은, 유저가 포인터(2)를 이동시키면서 버튼(11)을 압압해 버린 경우이다. 따라서, 유저가 의도한 버튼(11) 의 압압이 아니라, 잘못해서 버튼(11)을 압압해 버린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텝 309에서 결정 코드를 출력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유저가 조작부(23)를 조작한 경우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1)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동작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면, 스위치는, 조작 신호의 생성을 개시하고, 이 조작 신호의 MPU(19)에의 출력을 개시한다.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되면(스텝 402), 우선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에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 vy0이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되고(스텝 404), 이 입력시의 변위 대응량의 절대값|vy0|이 임계값 Th1 이상인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405). 또한, 이 임계값은, 상술한 도 15에 도시하는 임계값과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되었을 때의 변위 대응량 vy0의 절대값이 임계값 Th1 미만인 경우(스텝 405의 NO), 다음의 변위 대응량 vy1이 판독출력되고(스텝 404), 이 판독출력된 변위 대응량 vy1의 임계값 판정이 이루어진다. 변위 대응량 vyi의 절대값이 임계값 Th1 미만인 경우, 이후 이 동작이 반복된다(스텝 404∼스텝 405의 NO).
한편, 변위 대응량 vyi의 절대값이 임계값 Th1 이상인 경우(스텝 405의 YES), MPU(19)는, 이 임계값 이상의 변위 대응량 vyi의 1사이클 전에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 vy (i+1)을 판독출력한다. 그리고, 이 판독출력된 변위 대응량 vy (i+1)의 절대값이 임계값 Th1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406).
이 변위 대응량 vy (i+1)의 절대값이 임계값 Th1 이상인 경우(스텝 406의 NO), 다시, 스텝 404로 되돌아간다.
한편, 변위 대응량 vy(i+1)의 절대값이 임계값 Th1 미만인 경우(스텝 406의 YES), 이 변위 대응량에 의해서 n이 결정된다(스텝 407).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 임계값을 3으로 한 경우, 조작 신호의 생성 개시시(입력 개시시)로부터 3사이클 전에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의 절대값 |vy3|이 임계값 Th1 이상이며(스텝 405의 YES), 조작 신호의 4사이클 전에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의 절대값 |vy4|이 임계값 Th1 이하이기 때문에(스텝 406의 YES), n=4로서 결정된다(스텝 407). 또한, n이 결정되면, 제1 시간 t1이 결정된다.
스텝 407에서, n이 결정되면, 제1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하고(스텝 408)(식 (3), (4) 참조), 이 산출된 보정 변위량을 출력한다(스텝 409).
도 16에 도시하는 처리에 의해서도, 도 15에 도시하는 처리와 마찬가지로, 유저가 버튼(11)을 압압할 때마다, 적절히 포인터(2)의 표시 위치를 보정할 수가 있다.
또한, 유저가 버튼(11)을 압압한 경우에, 포인터(2)가 거의 움직이지 않는 경우도 상정(想定)된다. 이 경우, 유저가 버튼(11)의 압압을 개시하기 시작하고 나서 스위치가 ON 상태로 될 때까지, vyi가 임계값 이상이며, vy(i+1)이 임계값 미만인 개소(箇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스텝 404에서, i가, i가 취할 수 있는 값의 최대값 N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위 대응량을 판독출력하지 않고, n(제1 시간 t1)을 결정하지 않아도 좋다. 다시 말해,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로부터 N회 거슬러 올라가,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을 판독출력하고, 임계값 판정을 행해도, 조건에 맞는 변위 대응량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지 않아도 좋다. 혹은, 이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 n(제1 시간 t1)에 의해, 제1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해도 좋다.
다음에, 유저가 조작부(23)를 조작한 경우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1)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6에 도시하는 동작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포인터(2)가 도 11의 (a)에 도시하는 움직임을 한 경우에, 입력 장치가 기억하는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가속도) ai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위 대응량의 벡터량의 차분을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로서 기억한다. 따라서, 도 18의 세로축의 정의 값은, 가속을 나타내고, 부의 값은, 감속을 나타낸 다. 또한, 도 12에서는,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의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이 a0으로 나타내어지고, 조작 신호의 입력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i사이클 전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이 ai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면(3) 상에서 포인터(2)가 도 11에 도시하는 동작을 하는 경우, 유저가 포인터(2)를 아이콘(4)에 접근시킴으로써,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i는 부의 값을 취하면서 제로에 가까워진다. 다음에, 유저가 아이콘(4) 상에서 포인터를 정지시킴으로써,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은, 제로에 가까운 값의 정, 또는 부의 값을 취한다. 그 후, 유저가 버튼(11)의 압압을 개시하고, 케이싱(10)이 이 압압 작용에 의해 움직임으로써(도 12의 (a)∼(b) 참조),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은, 제로에 가까운 값에서 정의 값으로 되고, 증가한다. 그리고, 스위치가 ON으로 되고, MPU(19)에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입력된다.
도 18로부터, 버튼(11)의 압압이 개시되면,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이 부의 값에서 정의 값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관계를 이용해서, 제1 시간을 결정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PU(19)는,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을 기억하고 있다(스텝 501)(도 18 참조). 예를 들면, 이하의 식 (8), (9)에 의해 구해지는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이 메모리에 기억된다. 다시 말해, MPU(19)는, 변위 대응량의 벡터량의 차분을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로서 기억하고 있다.
Figure 112009047939005-PCT00005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면, 스위치는, 조작 신호의 생성을 개시하고, MPU(19)에의 출력을 개시한다. MPU(19)는,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되면(스텝 502의 YES),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한다(스텝 503). 또, MPU(19)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i를 판독출력하고(스텝 504), 이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i가 0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505).
이 경우, 우선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되었을 때의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0이 판독출력되고(스텝 504),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의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0이 0 이상인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505). 이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0이 0 미만인 경우(스텝 505의 NO), MPU(19)는, 조작 신호의 입력시로부터 1사이클 전에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1을 판독출력하고(스텝 504), 이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1이 0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505). 이와 같이,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이 0 미만인 경우,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순서대로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i를 판독출력하고, 임계값 판정을 행한다.
한편,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i가 0 이상인 경우(스텝 505의 YES), MPU(19)는, 이 0 이상인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i의 1사이클 전에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 응량 a(i+1)을 판독출력한다. 그리고, 이 판독출력된 변위 대응량 a(i+1)이 0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506).
이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i+1)이 0 이상인 경우(스텝 506의 NO), 다시, 스텝 504로 되돌아간다.
한편,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i+1)이 0 미만인 경우(스텝 506의 YES), 이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i+1)에 의해서 n이 결정된다(스텝 507).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조작 신호의 입력 개시시로부터 4사이클 전에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4가 0 이상이며(스텝 505의 YES), 조작 신호의 입력시의 5사이클 전에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 a5가 0 미만이기 때문에(스텝 506의 YES), n=5로서 결정된다(스텝 507). 또한, n이 결정되면, 제1 시간 t1이 결정된다.
MPU(19)는, n이 결정되면, 이 n에 따라서 제1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하고(스텝 508)(식 (3), (4) 참조), 이 산출된 보정 변위량을 출력한다(스텝 509).
도 17에 도시하는 처리에 의해, 포인터의 오이동의 크기에 따른 제1 보정 변위량이,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될 때마다 산출되기 때문에, 적절히 포인터의 좌표값을 보정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의 벡터량의 임계값 판정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포인터(2)가 아이콘에 대해서, 어느 방향으로부터 접근하고, 어느 방향으로 오이동했다고 해도, 적절히 포인터(2)의 좌표값 을 보정할 수가 있다.
또한, 유저가 버튼(11)의 압압을 개시하기 시작하고 나서 스위치가 ON 상태로 될 때까지, ai가 0 이상이며, a(i+1)이 0 미만인 개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 경우도 상정된다. 따라서, 스텝 504에서, i가, i가 취할 수 있는 값의 최대값 N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위 대응량을 판독출력하지 않고, n(제1 시간 t1)을 결정하지 않아도 좋다. 혹은, 이 경우, 미리 결정되어 있는 n(제1 시간 t1)에 의해, 제1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해도 좋다.
또, 입력 장치(1)에, 도 15,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처리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처리를 실행시키고, n(제1 시간 t1)이 공통되는 값을 취한 경우에, n(제1 시간 t1)을 결정하고,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도 17의 설명에서는,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 ai로서, 변위 대응량의 벡터량의 차분을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장치(1)는, 센서 유닛(17)으로부터 출력되는 X'축 방향의 가속도값 ax,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값 ay를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로서 기억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입력 장치의 계산량을 경감할 수 있고, 입력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가 있다.
이 경우, MPU(19)는, 메모리에 기억된 X'축 방향의 가속도값 ax,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값 ay를 순서대로 판독출력하고, 임계값 판정을 행함으로써, n(제1 시 간 t1)을 결정한다. X'축 방향의 가속도값 ax,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값 ay중, 어느 쪽의 값을 이용할지는, 케이싱에 대한 버튼(11)의 위치나, 포인터(2)가 오이동하는 방향을 고려해서, 적당히 선택되면 좋다(도 14 참조).
다음에, 유저가 조작부(23)를 조작한 경우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버튼(11)이 압압되고,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된 경우에, 보정 변위량(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한다고 해서 설명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튼(11)의 압압이 해제되고,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된 경우에도 보정 변위량(제2 보정 변위량)이 출력된다는 점에서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상위(相違)하고 있다. 또, 버튼(11)의 압압이 개시되고, 스위치가 ON 상태로 된 후의 소정 시간 및 버튼(11)의 압압이 해제되고,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된 후의 소정 시간은, 포인터(2)의 이동이 규제된다는 점에 대해서도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다. 따라서, 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2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시간을 제2 시간으로서 설명한다. 또, 버튼(11)의 압압이 개시되고,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되고 나서 포인터(2)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는 시간을 제1 규제 시간으로 하고, 버튼(11)의 압압이 해제되고,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고 나서 포인터(2)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는 시간을 제2 규제 시간으로서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1)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 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입력 장치(1)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분주기(99)는, 수정 발진기(20)로부터 공급되는 펄스에 의거해서 소정의 주파수의 클럭 펄스를 생성한다. 카운터(92)는, 분주기(99)에서 생성된 클럭 펄스를 카운트한다. 카운트값 설정부(93)에서는, 예를 들면 소정 수의 카운트값이 설정되고 그 카운트값을 기억한다. 제어부(94)는, 카운터(92)로부터 공급되는 카운트값과 카운트값 설정부(93)로부터 공급되는 카운트값을 비교함으로써, 제1 규제 시간 및 제2 규제 시간을 카운트한다.
분주기(99), 카운터(92), 카운트값 설정부(93), 제어부(94) 등의 블록은, 예를 들면 MPU(19)가 가지고 있다. 이들 블록은, MPU(19)에 한정되지 않고, DSP(Digital Signal Processor),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이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상기 각 블록은, MPU(19)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고, 제어부(94)의 처리는, MPU(19)의 처리로서 설명한다.
카운트값 설정부(93)에는, 미리 제1 규제 시간에 상당하는 제1 카운트값과, 제2 규제 시간에 상당하는 제2 카운트값이 설정된다. 제1 규제 시간이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11)의 압압이 개시되고,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고 나서(도 13의 (b) 참조), 포인터(2)의 이동이 규제되는 시간이다. 또, 제2 규제 시간이라 함은, 버튼(11)의 압압이 해제되고,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되고 나서(도 13의 (d) 참조), 포인터(2)의 이동이 규제되는 시간이다.
제1 규제 시간과 제2 규제 시간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전형적으로는 제1 규제 시간 및 제2 규제 시간은, 0.2초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규제 시간 및 제2 규제 시간중 적어도 한쪽은, 유저에 의해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유저에 의한 커스터마이즈를 실현하기 위해서, 입력 장치(1)에는, 예를 들면 딥 스위치나 가변 저항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유저가 입력 장치(1) 및 조작부(23)를 조작하고, 화면(3) 상의 GUI를 조작함으로써, 제1 규제 시간, 제2 규제 시간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1 규제 시간 및/또는 제2 규제 시간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음으로써, 유저는 자기의 조작감에 맞는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버튼(11)의 조작시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PU(19)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휘발성 메모리에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고 있다(스텝 601)(도 12 참조). 스위치가 조작 신호의 생성을 개시하고,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되면(스텝 602의 YES), MPU(19)는, 타이머를 ON으로 하고(스텝 603),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한다(스텝 604).
MPU(19)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고(스텝 605), 이 산출된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한다(스텝 606). 여기서, 제1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하기 위한 제1 시간 t1, 또는 n은, 도 15,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결정되어도 좋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에 의거해서 결정되어도 좋다. 혹은, 제1 시간 t1, 또는 n은, 고정값으로서 미리 설정된 값이 이용되어도 좋다. 제2 시간 t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타이머가 ON으로 되면(스텝 603), MPU(19)는, 카운트값 설정부(93)에서 설정된 제1 카운트값과 카운터(92)로부터 공급되는 카운트값을 비교함으로써, 조작 신호의 입력으로부터 제1 규제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607).
양카운트값이 다른 경우, 다시 말해 조작 신호의 입력으로부터 제1 규제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607의 NO), MPU(19)는 타이머를 계속 작동시키고, 다음의 스텝 608로 진행한다. 스텝 608에서는, MPU(19)는, 눌려진 버튼(11)이 놓아졌는지 여부, 다시 말해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눌려진 버튼(11)이 놓아져 있지 않은 경우(스텝 608의 NO), MPU(19)는, 카운트값을 1인크리먼트하고(스텝 609), 스텝 607로 되돌아간다.
한편, 양카운트값이 일치하는 경우, 다시 말해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지 않고(스텝 608의 NO 참조) 조작 신호의 입력으로부터 제1 규제 시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607의 YES), MPU(19)는,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개시한다(스텝 610).
이와 같이, MPU(19)는, 카운터(92)로부터 공급되는 카운트값이 제1 카운트값과 일치할 때까지, 다시 말해 조작 신호의 입력시로부터 제1 규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한다. 혹은, MPU(19)는, 변위 대응량이 제로((vx, vy)=(0, 0))인 신호를 계속해서 출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스위치가 ON 상태로 된 후에(도 13의 (b) 참조), 케이싱(10)이 움직이고 센서 유 닛(17)에 의해 그 움직임이 검출되어도(도 13의 (c), (d) 참조), 화면(3) 상에서의 포인터(2)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따라서, 포인터(2)나 아이콘(4) 등이 화면 상에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조작 신호의 입력으로부터 제1 규제 시간 경과 전에(스텝 607의 NO 참조),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된 경우(스텝 608의 YES), MPU(19)는, 결정 코드를 출력하고(스텝 611),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개시한다(스텝 612). 즉, MPU(19)는, 조작 신호의 입력으로부터 제1 시간 경과 전이더라도, 버튼(11)의 압압이 해제되고,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된 경우(예를 들면, 유저가 버튼(11)을 클릭한 경우)에는,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개시한다.
스텝 610에서, 변위 대응량의 출력이 개시되면, 다음에 MPU(19)는, 눌려진 버튼(11)이 놓아졌는지 여부를 감시, 다시 말해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스텝 613).
여기서, 스텝 610에서는, 조작 신호의 입력이 아직도 해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스텝 608의 NO 참조), 유저가 버튼(11)을 누른 상태를 유지한 채 입력 장치(1)를 움직이게 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스텝 610에서, 입력 장치(1)로부터 변위 대응량의 출력이 개시되면, 제어 장치(40)는, 이 변위 대응량을 수신한다. 제어 장치(40)는, 화면 상에서의 포인터(2)의 위치가 아이콘(4) 상인 경우, 수신한 변위 대응량에 따라서, 포인터(2) 및 아이콘(4)을 화면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드래그 동작의 표시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유저가 버튼(11)을 제1 규제 시간 이상 계속 압압한 경우(길게 누름)에는, 입력 장치(1)로부터 변위 대응량의 출력이 개시되고, 화면 상에서 드래그 동작이 표시된다.
MPU(19)는,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되며(도 13의 (d) 참조),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된 경우(스텝 613의 YES), 다시 타이머를 온으로 하고(스텝 614), 카운터(92)에 의한 카운트 업을 개시한다. 그렇게 하면, MPU(19)는,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시킨다(스텝 615). 혹은, MPU(19)는, 변위 대응량이 제로((vx, vy)=(0, 0))인 신호의 출력을 개시한다.
또, MPU(19)는,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면, 이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기 제2 시간 전부터,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될 때까지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을 판독출력한다. MPU(19)는, 판독출력된 변위 대응량을 적분 연산하고, 제2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한다(스텝 616).
전형적으로는, 하기의 식 (10),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신호의 입력의 해제시로부터 i사이클 전에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을 vxi, vyi로 하면, MPU(19)는, i=0부터 i=n까지의 변위 대응량에 마이너스를 곱한 값을 가산함으로써, 제2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한다.
Figure 112009047939005-PCT00006
상기 제2 시간은, 변위 대응량이 메모리에 기억되는 사이클 시간을 Δt로 하 면, 이하의 식 (12)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09047939005-PCT00007
제2 보정 변위량이 산출되면, MPU(19)는, 제2 보정 변위량을 출력하고(스텝 617), 이 제2 보정 변위량 출력 후에 결정 코드를 출력한다(스텝 618).
제어 장치(40)는, 제2 보정 변위량을 수신하면, 조작 신호의 입력 해제시의 좌표값에, 제2 보정 변위량을 가산함으로써, 보정 좌표값을 산출하고, 이 보정 좌표값에 포인터(2) 및 아이콘(4)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유저가 버튼(11)의 압압의 해제를 개시하고 나서,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되기 전의(도 13의 (c)∼(d) 참조) 포인터의 오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드래그 동작의 경우, 버튼(11)이 압압되어 있는 상태이더라도, 변위 대응량이 출력된다. 따라서, 버튼(11)의 압압이 해제되고,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된 경우에, 제2 보정 변위량에 의해, 포인터(2) 및 아이콘(4)의 표시 위치를 보정하는 것이, 포인터(2)나 아이콘(4) 등의 오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 된다.
스텝 614에서, 타이머가 ON으로 되면, MPU(19)는, 카운트값 설정부(93)에서 설정된 제2 카운트값과, 카운터(92)로부터 공급되는 카운트값을 비교함으로써,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고 나서 제2 규제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619).
양카운트값이 다른 경우, 다시 말해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고 나서 제2 규제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619의 NO), MPU(19)는 타이머를 계속 작동시키고, 다음의 스텝 620으로 진행한다. 스텝 620에서는, MPU(19)는, 놓아진 버튼(11)이 다시 눌려졌는지 여부, 다시 말해 조작 신호의 입력이 다시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버튼(11)이 눌려져 있지 않은 경우, MPU(19)는, 카운트값을 1인크리먼트하고(스텝 621), 스텝 619로 되돌아간다.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고 나서 제2 규제 시간 경과 전에, 조작 신호가 다시 입력된 경우(스텝 620의 YES), MPU(19)는, 타이머를 리셋하고, 스텝 607로 되돌아간다.
MPU(19)는, 양카운트값이 일치하는 경우(스텝 619의 YES), 다시 말해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고 나서, 제2 규제 시간이 경과한 경우, 타이머를 종료한다. 이 경우, 변위 대응량의 출력이 개시되고(스텝 612), 포인터(2)는 화면(3) 상에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된 후에, 케이싱이 움직이고 센서 유닛(17)에 의해 그 움직임이 검출되어도(도 13의 (d)∼(e)), 화면(3) 상에서의 포인터(2)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따라서,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된 후에, 포인터(2)나 아이콘(4) 등이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9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MPU(19)는,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고, 결정 코드가 출력된 후(스텝 611), 스텝 619 이후의 처리로 진행해도 좋다.
도 19에 도시하는 처리에 의해,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기 전, 스위치가 ON 상태로 된 후,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되기 전,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된 후, 모두에서, 포인터(2)의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오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처리를 제어 장치(40)가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제어 장치(40)는, 입력 장치(1)로부터 송신된 변위 대응량의 정보와, 조작 신호를 수신한다(수신 수단). 제어 장치(40)의 MPU(35)는, 수신된 변위 대응량을, 예를 들면 MPU(35) 내의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한다. 제어 장치(40)의 MPU(35)는, 송수신기(38)를 거쳐서 조작 신호의 수신을 개시하면, 이 수신의 개시로부터 제1 시간 전부터, 조작 신호의 수신까지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을 적분 연산하고, 제1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한다. 또, MPU(19)는, 화면(3) 상에서, 드래그 동작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조작 신호의 수신이 해제되면, 이 수신의 해제의 제2 시간 전부터, 수신의 해제시까지 메모리에 기억된 변위 대응량을 적분 연산하고, 제2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한다. 제어 장치(40)는, 산출된 제1 및 제2 보정 변위량에 의해, 포인터(2)의 좌표값를 보정한다.
다음에, 유저가 조작부(23)를 조작한 경우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1)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동작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2의 (a)∼도 22의 (c)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1)의 버튼(11)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1)의 버튼(11)은, 2단계 액션을 가지는 버튼이다. 버튼(11)은, 예를 들면 이동 버튼(7)(제1 버튼)과, 이 이동 버튼(7)과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설치된 결정 버튼(8)(제2 버튼)과, 이동 버튼(7) 및 결정 버튼(8)을 연속적으로 누르는 것이 가능한 표면 버튼(6)을 가진다. 이동 버튼(7)은,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제1 스위치)를 가지고, 결정 버튼(8)도,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제2 스위치)를 가진다. 이동 버튼(7) 및 결정 버튼(8)의 각 스위치는, 메인 기판(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동 버튼(7)이라 함은, 포인터(2)의 이동의 개시 및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동 버튼(7)이 눌려지고, 제1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면, 제1 스위치는, 제1 조작 신호의 생성을 개시하고, 이 제1 조작 신호를 MPU(19)에 출력한다. 한편, 결정 버튼(8)이 눌려지고, 제2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면, 제2 스위치는, 제2 조작 신호의 생성을 개시하고, 이 제2 조작 신호를 MPU(19)에 출력한다.
도 22의 (a)는, 버튼(11)이 유저에 의해 눌려져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면 버튼(6)은, 케이싱(10)에 설치된 축(9)에 접속되고, 그의 반대측 단부(端部)에서 스프링(24)을 거쳐서 케이싱에 접속되어 있다. 유저의 손가락(34)으로 표면 버튼(6)의 표면이 눌려지는 것에 의해, 표면 버튼(6)은, 축(9)을 중심으로 해서 스프링(24)의 스프링력(spring force)에 저항(抗; against)해서 회동한다. 이동 버튼(7) 및 결정 버튼(8)은 푸시 타입의 버튼이다. 표면 버튼(6)의 이면에는, 이동 버튼(7) 및 결정 버튼(8)을 각각 누르는 것이 가능한 돌기(6a 및 6b)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버튼(7) 및 결정 버튼(8)은, 예를 들면 케이싱(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표면 버튼(6)이 소정 거리 눌려짐으로써(도 22의 (b) 참조), 돌기(6a)에 의해 이동 버튼(7)이 눌려지고, 계속해서 표면 버튼(6)이 소정 거리 더 눌려짐으로써(도 22의 (c) 참조), 돌기(6b)에 의해 결정 버튼(8)이 눌려진다. 도 22의 (b)는, 이동 버튼(7)이 눌려지고, 결정 버튼(8)이 눌려져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의 (c)는, 이동 버튼(7) 및 결정 버튼(8)이 양쪽 모두 눌려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눌려진 표면 버튼(6)이 해제되는 경우, 스프링(24)의 복원력(戾力; spring force)에 의해, 표면 버튼(6)은 도 22의 (c)→도 22의 (b)→도 22의 (a)의 순으로 움직이고, 결정 버튼(8), 이동 버튼(7)의 순으로, 그들의 눌려진 상태가 해제된다.
이상과 같은 버튼(11)에서는, 이동 버튼(7)이 눌려지고, 또한 결정 버튼(8)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도 22의 (b))가 유지되는, 이른바 반 누름(半押; halfway pressing)도 가능하다. 유저는 버튼(11)을 반 누름 상태에서 입력 장치(1)를 움직이게 하는 것에 의해, 포인터(2)를 소망의(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해 버튼(11)의 이동 버튼(7)이 눌려져 있지 않고, 제1 스위치로부터 제1 조작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스텝 701의 NO), MPU(19)는,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하고 있다(스텝 702). 혹은, MPU(19)는, 변위 대응량을 제로((vx, vy)=(0, 0))로 한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즉, 유저가 입력 장치(1)를 잡고 움직이게 했다고 해도, 화면(3) 상에서 포인터(2) 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포인터(2)의 이동을 규제할 수가 있다.
이동 버튼(7)이 눌려지고, 제1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며, 제1 스위치로부터의 제1 조작 신호의 입력이 개시되면, MPU(19)는,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개시한다(스텝 703)(출력 제어 수단). 제어 장치(40)의 MPU(35)는, 이 변위 대응량을 수신하면, 이 변위 대응량에 따른 포인터(2)의 이동을 개시하도록, 포인터(2)의 표시를 제어한다.
MPU(19)는,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개시하면, 예를 들면 MPU(19)에 내장된 메모리에 변위 대응량의 기억을 개시한다(스텝 704).
이동 버튼(7)이 눌려진 상태에서, 결정 버튼(8)이 눌려지고, 제2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면, 제2 스위치는, 제2 조작 신호의 생성을 개시하고, 이 제2 조작 신호를 MPU(19)에 출력한다. MPU(19)는, 제2 스위치로부터의 제2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스텝 705의 YES)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한다(스텝 706). 혹은, MPU(19)는, 변위 대응량을 제로((vx, vy)=(0, 0))로 한 신호의 출력을 개시한다.
또, MPU(19)는, 제2 스위치로부터의 제2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고(스텝 707), 이 산출된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한다(스텝 708). 여기서, 제1 보정 변위량(Xc, Yc)을 산출하기 위한 제1 시간 t1, 또는 n은, 도 15,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결정되어도 좋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처리에 의해,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에 의거해서 결정되어도 좋다. 혹은, 제1 시간 t1, 또는 n은, 고정값으로서 미리 설정된 값이 이용되어도 좋다.
MPU(19)는,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하면, 제2 조작 신호에 따라서, 결정 코드를 출력한다(스텝 709). 이 결정 코드는, 결정 버튼(8)의 압압이 해제되고, 제2 스위치로부터의 제2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된 경우에 출력해도 좋다.
도 21에 도시하는 처리에 의해, 결정 버튼(8)이 압압되고, 제2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기 전의, 포인터(2)의 오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에 의해 이동 버튼(7)이 눌려지고 제1 조작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결정 버튼(8)이 눌려지고 제2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결정 코드가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이동 버튼(7)이 눌려짐으로써 포인터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계속해서 결정 버튼(8)이 눌려짐으로써 결정 코드의 출력이 가능하게 되므로, 유저는 직감적으로 조작할 수가 있다.
특히, 유저는, 버튼(11)의 하나의 표면 버튼(6)을 누름으로써, 상기한 연속된 조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직감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MPU(19)는, 도 21의 스텝 701∼704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한 후에, 도 19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도 19중의 스텝 602, 608, 613 및 620에 나타내는, 조작 신호가, 제2 조작 신호로 대체(讀替; replace)된다. 이것에 의해, 결정 버튼(8)의 제2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기 전, ON 상태로 된 후, OFF 상태로 되기 전, OFF 상태로 된 후, 모든 경우에, 포인터(2)의 유저가 의도하 지 않은 움직임(오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유저가 조작부(23)를 조작한 경우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1)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상술한 도 21에 도시한 처리에서는, 이동 버튼(7)이 압압됨으로써, 포인터(2)의 이동이 개시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버튼(7)이 압압됨으로써 포인터(2)의 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PU(19)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휘발성 메모리에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고 있다(스텝 801).
유저에 의해 버튼(11)의 이동 버튼(7)이 압압되어 있지 않고, 제1 스위치로부터의 제1 조작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스텝 802의 NO), MPU(19)는, 변위 대응량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유저가 케이싱(10)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포인터(2)는, 화면(3) 상에서 이동한다.
이동 버튼(7)이 압압되고, 제1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며, 제1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스텝 802의 YES), MPU(19)는,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한다(스텝 803).
또, MPU(19)는, 이동 버튼(7)이 압압되고 제1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고(스텝 804), 이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한다(스텝 805).
이동 버튼(7)이 눌려진 상태에서, 결정 버튼(8)이 눌려지고, 제2 스위치로부터의 제2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스텝 806의 YES), MPU(19)는, 결정 코드를 출력한다(스텝 807). 이 결정 코드는, 결정 버튼(8)의 압압이 해제되고, 제2 조작 신호 의 입력이 해제된 경우에 출력해도 좋다.
도 23에 도시하는 처리에 의해, 이동 버튼(7)의 제1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기 전의, 포인터의 오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입력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101)는, 케이싱(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싱(110)은, 유저가 쥔 손에 들어갈 정도의 크기로 된다. 또한, 도 24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케이싱(110)의 긴쪽 방향을 Y'방향으로 하고, 케이싱(110)의 폭방향을 X'방향으로 하며, 두께 방향을 Z'방향으로 해서 설명한다.
케이싱(110)의 상면(110a)에는, 개구(1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개구(111) 내를 X'-Y'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조작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저항 기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으며, 개구(111) 내에서의 조작부(112)의 움직임에 따른 저항값을 검출한다. 이 저항값의 신호가 MPU(19)에 출력되고, 이 저항값에 따른 변위 대응량이 입력 장치(101)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저항 기판은, 조작부(112)의 개구(111) 내에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하지만, 이 위치 검출 수단은 저항 기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것이더라도 좋다.
또, 케이싱(110) 내부에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저가 조작부(112)를 Z'방향으로 압압한 경우에, MPU(19)에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유저는, 입력 장치(101)를 손에 잡고, 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부(112)를 조작하고, 개구(111) 내에서 조작부(112)를 X'-Y'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입력 장치(101)로부터 변위 대응량이 출력되고, 포인터(2)가, 화면(3) 상에서, X-Y방향으로 이동한다. 유저는, 입력 장치(101)를 이용해서, 임의의 아이콘(4) 상에 포인터(2)를 위치시키고, 조작부(112)를 예를 들면 Z'방향으로 압압한다. 유저가 조작부(112)를 압압하면, 화면(3) 상에서, 아이콘(4)에 따른 처리가 실행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101)에서도,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예로 설명하면, 입력 장치(101)의 MPU(19)는,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고, 이 기억된 변위 대응량으로부터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고,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112)의 압압이 개시되고 나서,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기 전의 포인터의 오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유저가, 조작부(112)를 Z'방향으로 압압할 때, 이 조작부(112)가 X'-Y'방향으로 오이동하는 경우가 많고,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기 전에 포인터(2)가 화면 상에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을 하는 일이 많다. 따라서, 제1 보정 변위량에 의해, 포인터(2)의 화면(3)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특히 크다.
이상 설명한 제어 시스템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23)중, 버튼(11)이 조작되는 경우에 대해 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버튼(12), 휠 버튼(13)이나, 그 밖의 조작 버튼(29) 등이 조작된 경우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나타낸 처리가 실행되어도 좋다.
도 22의 설명에서는, 2단 조작형 조작부로서, 제1 버튼(7)과, 제2 버튼(8)과, 표면 버튼(6)을 가지는 형태의 조작부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2단형 조작부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2단형 조작부는, 2단계적인 스위칭이 가능한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이더라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버튼(11)이 압압되었을 때에 조작 신호가 입력된다고 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버튼(11)이 압압되었을 때에 조작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는 형태도 생각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장치(1)는, 공간에서 조작된다고 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케이싱(10)의 일부가 테이블과 당접(當接; contact)되어 조작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무선으로 입력 정보를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형태를 나타냈지만, 유선에 의해 입력 정보가 송신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표시부를 구비하는 핸드헬드형 정보처리 장치(핸드헬드 장치)에 적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유저에 의해 핸드헬드 장치의 본체가 움직여지면, 표시부에 표시된 포인터가 움직인다. 핸드헬드 장치로서,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휴대 전화기, 휴대 음악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장치(1)의 움직임에 따라서 화면(3) 상에서 움직이는 포인터(2)를, 화살표의 화상으로서 나타냈다. 그러나, 포인터(2)의 화상은 화살표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한 원형, 각형(角形) 등이더라도 좋고, 캐릭터(문자) 화상, 또는 그 밖의 화상이더라도 좋다.
센서 유닛(17)의, 각속도 센서 유닛(15) 및 가속도 센서 유닛(16)의 검출축은, 상술한 X'축 및 Y'축과 같이 반드시 서로 직교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 삼각 함수를 이용한 계산에 의해서, 서로 직교하는 축방향으로 투영된 각각의 가속도가 얻어진다. 또 마찬가지로, 삼각 함수를 이용한 계산에 의해서, 서로 직교하는 축 주위의 각각의 각속도를 얻을 수가 있다.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센서 유닛(17)에 대해서, 각속도 센서 유닛(15)의 X' 및 Y'의 검출축과, 가속도 센서 유닛(16)의 X' 및 Y'축의 검출축이 각각 일치하고 있는 형태를 설명했다. 그러나, 그들 각 축은,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각속도 센서 유닛(15) 및 가속도 센서 유닛(16)이 기판 상에 탑재되는 경우, 각속도 센서 유닛(15) 및 가속도 센서 유닛(16)의 검출축의 각각이 일치하지 않도록, 각속도 센서 유닛(15) 및 가속도 센서 유닛(16)이 그 기판의 주면 내에서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어긋나 탑재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삼각 함수를 이용한 계산에 의해서, 각 축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얻을 수가 있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입력 장치(1)는, 2방향의 가속도값 및 2축 주위의 각속도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장치(1)는, 1방향의 가속도값 및 1축 주위의 각속도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3방향의 가속도값 및 3축 주위의 각속도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각속도값을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 유닛(15) 대신에, 자기 센서 등의 각도 센서가 이용되어도 좋다. 가속도 센서 유닛(16) 및 각속도 센서 유닛(15)중 적어도 한쪽이 CCD 센서나 CMOS 센서 등의 이미지 센서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조작하기 위한 공간 조작형 입력 장치, 그 조작 정보에 따라서 GUI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이들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핸드헬드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기술 분야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20)

  1.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리량을 검출하는 입력 장치로서,
    조작부와,
    상기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물리량에 따른,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화상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조작부에서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될 때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변위 대응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구비하는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될 때마다 상기 제1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의 절대값이 임계값을 하회하는지 여부를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처음으로 상기 임계값을 하회하는 상기 변위 대응량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제1 시간을 결정하는 입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을 기억하고,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이 정(正), 또는 부(負)의 값중 어느것인지를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처음으로 상기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의 값이 정의 값으로부터 부의 값으로 되는 상기 변위 대응량의 변화율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제1 시간을 결정하는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정지되기 제2 시간 전부터,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정지될 때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2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고,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제2 보정 변위량을 출력하는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을 가변으로 하는 가변 수단을 더 구비하는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는, 상기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하도록, 또는 상기 변위 대응량을 제로로 해서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입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정지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는, 상기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정지하도록, 또는 상기 변위 대응량을 제로로 해서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입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커맨드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된 경우에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하도록, 또한 그 제1 보정 변위량의 출력 후에 상기 조작 커맨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의 출력 후로서,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정지된 후에 상기 조작 커맨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입력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커맨드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정지된 경우에, 상기 제2 보정 변위량을 출력하도록, 또한 그 제2 보정 변위량의 출력 후에 상기 조작 커맨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입력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케이싱(筐體)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물리량을 검출하는 센서인 입력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조작부가 이동가능한 개구를 가지는 케이싱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개구 내에서의 상기 조작부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물리량을 검출하는 입력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2단계적인 스위칭이 가능한 2단 조작형 조작부이며,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2단 조작형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서, 제1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2단 조작형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서, 제2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제2 조작 신호에 따른 조작 커맨드를 출력하는 입력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1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된 경우, 상기 화상의 이동이 개시되도록,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한 상기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2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제2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될 때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는 입력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1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된 경우, 상기 화상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한 상기 변위 대응량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제1 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1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제1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될 때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는 입력 장치.
  17.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서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가지는 입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물리량의 신호 및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서,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화상의 이동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물리량의 신호 및, 상기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물리량에 따른, 상기 화면 상에서의 화상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의 수신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조작 신호의 수신이 개시될 때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변위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에 따라서, 상기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화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수단
    을 구비하는 제어 장치.
  18.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조작부와,
    상기 물리량에 따른,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화상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조작부에서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변위 대응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가지는 입력 장치와,
    상기 변위 대응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변위 대응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에 따라서, 상기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화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가지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하는 제어 시스템.
  19.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이동을 제어하는 핸드헬드 장치로서,
    상기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리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물리량에 따른,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화상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서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의 개시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변위 대응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에 따라서, 상기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화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핸드헬드 장치.
  20. 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이동시키기 위한 물리량을 검출하고,
    입력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물리량에 따른, 상기 화면 상에서의 상기 화상의 변위량에 대응하는 변위 대응량을 기억하고,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되기 제1 시간 전부터, 상기 조작 신호의 생성이 개시될 때까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변위 대응량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의 상기 화면 상에서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제1 보정 변위량을 산출하고,
    상기 변위 대응량 및, 상기 제1 보정 변위량에 따라서, 상기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화면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1020097016420A 2007-12-07 2008-12-01 입력 장치,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핸드헬드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000959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17324 2007-12-07
JPJP-P-2007-00317324 2007-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999A true KR20100095999A (ko) 2010-09-01

Family

ID=4071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420A KR20100095999A (ko) 2007-12-07 2008-12-01 입력 장치,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핸드헬드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52977B2 (ko)
EP (1) EP2219102B1 (ko)
JP (1) JP5440176B2 (ko)
KR (1) KR20100095999A (ko)
CN (1) CN101611371B (ko)
TW (1) TW200941299A (ko)
WO (1) WO20090724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415A1 (ko) * 2013-01-08 2014-07-17 Lee Ju Hyup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3790B2 (ja) * 2009-08-18 2014-04-09 ソニー株式会社 操作入力システム、制御装置、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操作入力方法
JP5588992B2 (ja) * 2010-03-10 2014-09-1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押し込み位置制御装置、押し込み位置制御方法及びタッチセンサシステム
JP5038465B2 (ja) * 2010-05-25 2012-10-03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542091B2 (en) 2010-06-04 2017-01-1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dynamic object selection indicator
CN102033630A (zh) * 2010-12-01 2011-04-27 邓仕林 光学与加速度联合定位鼠标及其加速度校正方式
CN102789333A (zh) * 2011-05-19 2012-11-21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触控装置传送坐标的方法及触控装置传送位移向量的方法
US9032338B2 (en) 2011-05-30 2015-05-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and editing text
US8779915B2 (en) * 2011-08-15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Improving motion sensing by identifying a keystroke
US10423248B2 (en) * 2011-10-28 2019-09-24 Wacom Co., Ltd. Touch-sensitive system with motion filtering
CN102708301A (zh) * 2012-05-28 2012-10-03 北京像素软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游戏中场景管理方法
CN103197860A (zh) * 2012-06-06 2013-07-10 顾红波 一种可回溯的抗抖动操控系统和方法
TWI515632B (zh) 2012-06-26 2016-01-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隨觸即用輸入裝置以及操作方法
CN103197775A (zh) * 2012-08-03 2013-07-10 顾红波 一种用于手持式电脑设备的操控系统和方法
US20140152558A1 (en) * 2012-11-30 2014-06-05 Tom Salter Direct hologram manipulation using imu
TWI486814B (zh) * 2013-03-04 2015-06-01 Delta Electronics Inc 游標控制裝置以及方法
JP6277786B2 (ja) * 2014-03-11 2018-0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US9898162B2 (en) 2014-05-30 2018-02-20 Apple Inc. Swiping functions for messaging applications
US9971500B2 (en) 2014-06-01 2018-05-15 Apple Inc. Displaying options, assigning notification, ignoring messages, and simultaneous user interface displays in a messaging application
US10534447B2 (en) 2014-09-01 2020-01-14 Yinbo Li Multi-surface controller
US10444849B2 (en) 2014-09-01 2019-10-15 Yinbo Li Multi-surface controller
US10739972B2 (en) 2016-06-10 2020-08-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DE112018002980T5 (de) 2017-06-12 2020-02-20 Sony Corporation Informationsverarbeitungssystem, informationsverarbeitungsverfahren und program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4291A (ja) 1990-03-12 1991-11-25 Mita Ind Co Ltd ロール紙裁断装置
JP3264291B2 (ja) 1993-05-14 2002-03-11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3857504B2 (ja) 1993-05-21 2006-12-13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
US5912659A (en) * 1997-09-03 1999-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ics display pointer with integrated selection
JP2003067136A (ja) 2001-08-27 2003-03-07 Zetta Technology Kk 座標指示装置の指示位置補正方法
US7030856B2 (en) * 2002-10-15 2006-04-18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JP4746828B2 (ja) 2003-06-18 2011-08-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ポインタ位置制御システムと該システム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5063228A (ja) 2003-08-15 2005-03-10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JP4171375B2 (ja) * 2003-08-18 2008-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EP1804154A3 (en) 2005-12-27 2012-08-08 Poston Timothy Computer input device enabling three degrees of freedom and related input and feedback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415A1 (ko) * 2013-01-08 2014-07-17 Lee Ju Hyup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방법
US10082882B2 (en) 2013-01-08 2018-09-25 Ju Hyup Lee Data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72475A1 (ja) 2011-04-21
CN101611371A (zh) 2009-12-23
CN101611371B (zh) 2016-06-08
JP5440176B2 (ja) 2014-03-12
EP2219102B1 (en) 2013-11-06
EP2219102A4 (en) 2012-03-14
TWI372990B (ko) 2012-09-21
WO2009072475A1 (ja) 2009-06-11
TW200941299A (en) 2009-10-01
EP2219102A1 (en) 2010-08-18
US20110199289A1 (en) 2011-08-18
US8552977B2 (en)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5999A (ko) 입력 장치,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핸드헬드 장치 및 제어 방법
US8994658B2 (en) Input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handheld apparatus
US8413077B2 (en) Input apparatus, handhel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5163291B2 (ja) 入力装置、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EP215749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pointer control
KR20100038279A (ko) 입력 장치, 제어 장치,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핸드헬드 장치
WO2009035124A4 (ja) 入力装置、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ハンドヘルド装置
US8395583B2 (en) Input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handheld apparatus
KR20120105818A (ko) 이벤트 기반의 정보입력 장치 및 방법
US8441436B2 (en) Input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handheld apparatus
US8456422B2 (en) Input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handheld apparatus
JP5412812B2 (ja) 入力装置、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ハンドヘルド装置
JP2011108270A (ja) 入力装置、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