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599A - 공기 배출 밸브를 구비한 흡입 펌프 - Google Patents

공기 배출 밸브를 구비한 흡입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599A
KR20100094599A KR1020107017373A KR20107017373A KR20100094599A KR 20100094599 A KR20100094599 A KR 20100094599A KR 1020107017373 A KR1020107017373 A KR 1020107017373A KR 20107017373 A KR20107017373 A KR 20107017373A KR 20100094599 A KR20100094599 A KR 20100094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air
suction pump
air outlet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5677B1 (ko
Inventor
알렉스 스투쯔
에리히 페닝게르
베다 웨버
Original Assignee
메델라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델라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메델라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9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61M1/064Suction cups
    • A61M1/066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2Membrane pumps, e.g. bul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009Special features
    • F04B43/0054Special features particularities of the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4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5/047Pumps having electr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3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0Other safety mea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02Suction pumps by vacuum created above a liquid flowing from a clo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7Controlling, regulating pressure or flow by means of a valve by-passing a p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42Reducing no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72One-way valve the valve member being a diaphragm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입 펌프는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을 구비한 공기 배출 밸브를 포함한다. 이 공기 배출 멤브레인(32)과 진공 형성에 사용되는 진공 멤브레인(31)이 공통 멤브레인 플레이트(3)의 형태로 일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흡입 펌프는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조립이 용이하다.

Description

공기 배출 밸브를 구비한 흡입 펌프{SUCTION PUMP WITH AIR RELEASE VALVE}
본 발명은 공기 배출 밸브(air release valve)를 구비한 흡입 펌프(suction pump)에 관한 것이다.
흡입 펌프(suction pump)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모유(breast milk)를 짜내기 위한 착유기(breast pump device)에 사용되거나 체액을 빼내기 위한 배출 펌프(drainage pump)로서 사용될 수 있다.
펌프 체임버(pump chamber) 내에서 항상 동일한 공기를 이동시키는 폐쇄형 시스템(closed system)에는 흡입 펌프가 존재한다. 그러나, 전자석(electromagnet)을 통해 주기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공기 배출 밸브를 갖는 개방형 펌프 시스템(open pump system)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흡입 펌프에 필요한 요구사항, 특히 이들이 착유기로서 사용될 때의 요구사항은 매우 높다. 이들은 가능한 한 강력해야 하지만, 동시에 비교적 소형이어야 한다. 특히, 착유기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이들은 최소의 유지보수만으로 작동될 수 있어야 하며 청소하기 용이해야 한다.
본 발명은 가능한 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흡입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 특허출원의 청구항 1의 특징을 구비한 흡입 펌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흡입 펌프는 공기 배출 멤브레인을 갖는 공기 배출 밸브를 구비하는데,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과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멤브레인은 공통 멤브레인 플레이트 형태로 일체로 구성된다.
공기 배출 밸브와 진공 멤브레인을 동일 플레이트에 배치하는 것은 이들 구성 요소들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조립하기 용이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펌프는 상부 하우징부, 중간 하우징부 및 하부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멤브레인 플레이트 및 밸브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분은 복수개의 구성 요소들이 동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압력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진공 멤브레인과, 압력을 신속하게 낮추는데 필요한 공기 배출 멤브레인은 동일한 구성 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 플랩(flap) 및 밸브 플랩 또한 동일한 구성 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모터 및 전자석은 동일한 하우징부에 고정될 수 있다. 펌프를 복수개의 레벨 바람직하게는, 5개의 레벨로 분할함으로써, 펌프 어셈블리의 구성의 복잡성(complexity)을 포기하지 않고도 각 부분의 개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이는 펌프 어셈블리의 외부 치수만을 줄일 뿐 아니라 제조 및 조립 비용 또한 최소화시킨다.
이러한 복수개의 레벨을 갖는 모듈 구성의 또 다른 장점은 펌프를 각각의 구성 부품으로 분해하지 않고도 간단한 세척으로 청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배출부 때문에 스폰지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스폰지는 종래 기술에서 펌프 내부로 흡입된 모유를 흡수하고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었다. 그러나, 이는 펌프 내의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불쾌한 냄새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입 펌프 및 그 작동 방법은 가능한 최소 크기의 펌프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동시에 단기의 펌프 사이클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배출 밸브의 공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공기 배출부는 우선 부분적으로만 리프트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스테이지에서 공기 배출구 전체가 개방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적은 힘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 수단 특히 리프팅을 위한 작동 수단인 공기 배출부는 보다 덜 강력해도 되므로 따라서 더 작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전자석이 사용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저전력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공기 배출부를 당기거나 리프팅할 때 전자석은 처음에는 마지막 부분의 움직임의 경우보다 작은 힘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최초에는 작은 힘만이 필요하다는 것이지만 이는 상대적으로 작은 구멍을 개방하기에는 충분한 것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고 또한 저렴한 전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구나, 공기 배출구는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는 압력을 신속하게 낮출 수 있으므로 따라서 펌프의 필요한 기능성을 보장해 준다.
펌프는 분당 120 사이클에 쉽게 도달한다. 그러나, 펌프는 분당 50-72 사이클 비율 정도에서 최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첫번째 사이클 비율은 자극(stimulation)에 특히 적합하고 두번째 사이클 비율은 모유 짜내기에 적합하다.
상술한 방법의 변형예에 있어서, 우선 공기 배출부의 에지 영역만이 공기 배출구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에지 영역이 공기 배출부의 코너와 일치하는 경우 최소양의 힘만이 필요하다.
공기 배출부는 멤브레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트되는 에지 영역이 멤브레인의 나머지 영역보다 덜 두꺼운 경우 에지 영역의 리프팅은 보다 용이하게 된다. 공기 배출구는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사각형 또는 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멤브레인 또한 다각형 특히 사각형 또는 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멤브레인의 리프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커넥팅 핀이 멤브레인에 고정되거나 그 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커넥팅 핀은 리프팅 자석의 아마츄어에 결합된다. 상기 커넥팅 핀은 공기 배출구를 덮는 멤브레인의 에지 영역에 위치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멤브레인은 돌출 플렌지(raised flange)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넥팅 핀은 공기 배출구 위에 배치되지 않으며 그 대신 돌출 플렌지 위에 배치된다.
커넥팅 핀이 멤브레인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제조 오차 및 조립 오차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 전자석의 각도 오차도 또한 보상될 수 있다. 실리콘으로 제조된 공기 배출 멤브레인 위에 일체로 형성되며 재료를 적절하게 두껍게 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갖는 커넥팅 핀을 사용함으로써 바람직한 결과가 달성되었다. 커넥팅 핀은 힌지 방식(hinged manner)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간단한 실시예에서는, 커넥팅 핀 재료의 탄성은 결합의 관점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필요성을 충분히 만족시킨다.
에지 영역에서 작동되는 공기 배출 멤브레인을 전술한 실시예는 누출 기밀(leaktightness)을 보장할 수 있어서 특히 착유기로 사용되는 경우 짜내는 모유가 누설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또 다른 장점 특히 멤브레인의 사용과 관련된 장점은 스프링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필요한 각 구성 부품들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스프링이 고정될 필요가 없으므로, 펌프 조립과 관계되는 작업 또한 감소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펌프가 안전 밸브를 가져서, 펌프 내로 흡입되어 그 안에 축적되는 액체, 특히 모유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없다.
이러한 흡입 펌프는 제1 압력에서 개방되는 제1 스테이지와, 제2 압력에서 개방되는 제2 스테이지를 갖는 안전 밸브를 구비한다. 제1 압력은 제2 압력보다 낮은 값을 갖는다.
이러한 안전 밸브의 2스테이지 구성은 모유가 제2 스테이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제1 스테이지는 이상적인 압력에서 아주 조금이라도 벗어나는 경우에도 개방되므로 압력이 보다 높은 레벨인 경우에서 폐쇄(clogging)되는 경우, 즉 응급 상황시에도 여전히 개방되게 된다. 제2 밸브는 작은 값의 변동에 대해 안전 밸브 전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지만 응급 상황시에는 신뢰성 있게 개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흡입 펌프는 비교적 단시간 내에 많은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진공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펌프는 다양한 범위의 응응예에 적합하다. 특히 모유를 짜내는 착유기 및 체액을 빼내는 배출 펌프로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펌프 어셈블리는, 특히 국제 공개될 PCT/CH/000061호의 국제공개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착유기에 특히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을 갖는 실시예들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외부 하우징이 없는 흡입 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흡입 펌프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흡입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흡입 펌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흡입 펌프의 하부 하우징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흡입 펌프의 멤브레인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멤브레인 플레이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멤브레인 플레이트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9는 상부 하우징부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입 펌프의 멤브레인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멤브레인 플레이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멤브레인 플레이트의 확대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흡입 펌프(suction pump)를 나타낸 것으로서, 인체의 모유를 짜내기 위한 착유기(breast pump device)에 특히 적합한 흡입 펌프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상기 펌프는 기타 다른 용도 예컨대 체액의 빼내기 위한 배출 펌프(drainage pump)에도 적합하다.
본 도면에는 실제 펌프 어셈블리(pump assembly)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어셈블리는 보통 외부 하우징(outer housing) 내에 배치된다. 본 도면에는 이러한 외부 하우징과, 상기 펌프를 작동하기 위한 전기장치 또는 축전지(accumulator) 또는 배터리 등과 같은 에너지 저장 수단은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펌프는 매우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다. 가장 큰 구성 요소 중의 하나는 전기 모터(1)이다. 펌프는 또한 함께 조립될 수 있는 상부 하우징부(upper housing part, 2), 중간 하우징부(middle housing part, 4) 및 하부 하우징부(lower housing part, 6)를 구비한다. 이러한 하우징부의 구성 요소이거나 또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하우징부 위에 조립되는 결합부(attachment part, 7)가 또한 제공된다.
결합부(7) 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슴 차폐 결합 부품(breast shield attachment piece, 70)이 존재하는데, 그 위로 가슴 차폐용 연결 튜브가 끼워질 수 있다. 결합부(7)는 또한 배출부(exhaust, 71)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부(71)는 외부 하우징 밖으로도 연장된다.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더 돌출되어 있는 공기 배출 채널(air release channel, 72)과 스페이서 부재(spacer element, 73)가 또한 존재한다. 스페이서 부재(73)는 외부 하우징에 대하여 펌프 어셈블리를 지지하여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소리 차폐가 충분히 보장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결합부의 각 부품(70,71,72)이 각각의 채널을 통해 펌프의 각 영역에 어떠한 방식으로 결합되는지를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모터(1)가 없는 펌프의 종방향 단면도는 펌프의 컴팩트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펌프가 3개의 구분가능한 기능 영역 즉, 펌프 유닛(pump unit, P), 공기 배출 유닛(air release unit, V)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안전 유닛(safety unit, S)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펌프의 구조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가장 잘 알 수 있다.
펌프 유닛(P)은 진공 멤브레인(vacuum membrane, 31)과 유입 및 배출 제어 플랩(inlet and outlet control flap, 51, 52)을 구비하는데, 상기 유입 및 배출 제어 플랩(51, 52)은 유입구 및 배출구(inlet and outlet opening, 62, 63) 및 펌프 체임버 구멍(pump chamber opening, 43′)과 함께 펌프 체임버(pump chamber, 43)와 진공 채널(vacuum channel, 69) 사이를 연결시킨다. 진공 멤브레인(31)은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 11)와, 예컨대 볼 베어링(ball bearing) 등과 같은 커플링 피스(coupling piece, 12)와, 편심부(eccentric, 13)를 통해 전기 모터(1)의 구동 샤프트(drive shaft, 10)와 연결되어, 모터(1)에 의해 미리 정해진 리듬 또는 펌프 커브(pump curve)에 따라서 또는 제어 시스템을 통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리듬 또는 펌프 커브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공기 배출 유닛(V)은 공기 배출 멤브레인(air release membrane, 32)을 구비하는 공기 배출 밸브(air release valve)와,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에 의해 밀폐되며 공기 배출 멤브레인 시트(air release membrane seat, 44) 형태로 된 공기 배출구(air release opening)를 구비한다. 공기 배출 멤브레인 시트(44)를 둘러싼 체임버(44′)는 공기 배출 결합부(air release attachment, 45)를 통해 공기 배출 채널(air release channel, 72)과 연결된다. 공기 배출 멤브레인 시트(44)는 바닥 즉,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valve plate, 5)의 제1 공기 배출구(54)와 하부 하우징부(6)의 제2 공기 배출구(67)과 인접해 있다. 상기 제2 공기 배출구(67)는 진공 채널(69)을 통해 안전 밸브 체임버(safety valve chamber, 68) 및 유입구(62)와 연결된다.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커넥팅 핀(connecting pin, 33)을 통해 리프팅 자석(lifting magnet) 또는 전자석(8)의 아마추어(armature, 80)에 연결된다. 전자석(8)은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을 들어 올려 공기 배출 멤브레인 시트(44)를 개방한다. 이에 의하여, 공기가 공기 배출 채널(72)과 제1 및 제2 공기 배출구(54,67)를 통과하여 진공 채널(69)로 유입되고, 따라서 진공 채널(69) 안의 압력이 감소된다. 이러한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의 상승 및 하강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능 또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는 기능에 의해서도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기능은 진공 멤브레인(31)의 움직임에 따라 조절된다. 진공 멤브레인(31)의 움직임과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의 움직임은 국제공개특허공보 WO 01/47577호에 개시된 바에 같이 획득되는 펌프 커브와 어머니 및 아이의 필요에 따라 조절되거나 유아의 자연스러운 흡입 리듬을 흉내낸 펌프 커브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어셈블리는 모든 위치, 예컨대 누워 있거나 테이블 위에 서 있거나 안고 있을 때와 같은 모든 위치에서 작동된다. 생성된 진공은 본 어셈블리가 공간적으로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가에는 독립적이다.
안전 유닛(safety unit, S)은 안전 밸브(safety valve)를 구비한다. 진공 멤브레인(31)과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제어 전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안전 밸브는 펌프 안의 압력 레벨이 너무 커져서 어머니의 가슴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 유닛(S)은 2 스테이지로 설계되어 있다. 제1 스테이지는 제1 안전 멤브레인(first safety membrane, 55)과 반구형 안전 밸브 폐쇄부(semispherical safety valve closure, 46)로 구성되는데, 상기 반구형 안전 밸브 폐쇄부(46)는 작은 측면 구멍(lateral opening, 46′)을 가지며 제1 안전 멤브레인(55)을 가압한다. 상기 제1 스테이지는 약 120 mmHg의 낮은 압력에서도 개방된다.
제2 스테이지는 조절 스크루(adjusting screw, 9)에 의해 폐쇄되는 제2 안전 멤브레인(35)을 포함한다. 이것이 개방되는 임계값은 조절 스크루(9)를 조절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안전 멤브레인(35)은 제1 스테이지의 경우보다 높은 압력, 예컨대 약 290mmHg에서 개방된다.
모유 또는 기타 다른 흡입된 액체가 펌프 안으로 잘못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액체는 제1 스테이지 영역 안에 고정되어 제2 스테이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체임버를 통해 제2 스테이지로 흘러 들어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액체는 제1 안전 멤브레인(55)만을 덮을 수 있을 뿐이다. 이렇게 덮힌 상태에서, 제2 멤브레인은 미리 설정된 값에서 더 이상 개방되지 않지만 배출을 위해서는 항상 충분히 조기에 개방된다. 제2 멤브레인은 임계값이 실제 초과되거나 펌프가 완화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항상 개방된다. 제2 스테이지는 오염될 수 없으므로 항상 신뢰성 있게 개방된다.
펌프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 분해 사시도는 복수개의 레벨 Ⅰ,Ⅱ,Ⅲ,Ⅳ 및 Ⅴ로 구분된 펌프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에서 펌프 유닛(P), 안전 유닛(S) 및 공기 배출 유닛(V)의 구성 요소들은 공통 레벨로 배치하고 있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인 경우 작동 위치에서 최상위 레벨을 형성하는 제1 레벨(Ⅰ)은 상부 하우징부(2)와, 전술한 모터(1)와, 전자석(8)을 구비한다. 모터(1)는 고정 스크루(fastening screw, 21)에 의해 상부 하우징부(2)의 모터 플레이트(motor plate, 20) 위에 고정된다. 모터는 모터 플레이트(20) 위로 스크루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펌프 어셈블리에 조립될 수 있다. 하우징부(2)는 커넥팅 로드(11)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팅 로드 체임버(connecting rod chamber, 23)와, 여기에 결합되는 볼 베어링(ball bearing, 12)과, 평형추(counterweight, 13)를 구비한 편심부(eccentric)을 구비한다. 평형추(13)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부 하우징부(2)는 또한 커넥팅 로드 체임버(23)와 별도로 분리되어 전자석(8)이 고정되는 자석 체임버(magnet chamber, 24)를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부(2)의 하단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 연장되어 있는 상부 록킹 클립(upper locking clip, 22)이 있다.
안전 밸브의 제2 스테이지용 조절 스크루(9) 또한 상부 하우징부(2)에 조절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2 레벨(Ⅱ)은 상부 하우징부(2) 즉, 펌프 어셈블리의 하부 면의 적어도 거의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멤브레인 플레이트(membrane plate, 3)에 의해 형성된다. 멤브레인 플레이트(3)는 유연성 재료, 특히 실리콘 등과 같은 재료로 제조되며 비교적 얇다. 멤브레인 플레이트(3)는 가장자리 영역에 중심구멍(centering hole, 30)을 가지며 상부 하우징부(2)와 중간 하우징부(4) 각각으로의 공기 기밀 및 액체 기밀 연결을 보장해 주는 상부 및 하부 실링 립(upper and lower sealing lip, 34, 34′, 34″)을 갖는다. 하부 실링 립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멤브레인 플레이트(3)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을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삼각형의 기본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삼각형은 2개의 보조 영역으로 나뉘는데, 제1 보조 영역(32′)은 또한 삼각형 형태이고 제2 보조 영역(32″)은 멤브레인의 나머지 영역으로 형성되므로 사다리꼴 모양을 갖는다. 제1 보조 영역(32′)의 제1 코너는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의 한 코너와 일치한다. 제1 보조 영역(32′)의 반대쪽 변은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의 반대쪽 변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 보조 영역(32′)의 삼각형의 나머지 2변은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의 삼각형의 변과 함께 연장된다. 삼각형 모양의 제1 보조 영역(3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보조 영역(32″)보다는 덜 두껍다.
커넥팅 핀(33)은 제1 보조 영역(32′)의 자유 코너 위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핀(33)은 멤브레인 평면에 대해 적어도 거의 수직으로 위쪽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며 아마츄어(80)에 고정 결합된다.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제1 실링 립(3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멤브레인 플레이트(3)는 커넥팅 로드(11)에 연결되는 진공 멤브레인(31)을 추가로 구비한다. 커넥팅 로드(11)는 보강재(material thickening)에 의해 진공 멤브레인(31) 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2개의 합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로드(11)는 별도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조립 시에 멤브레인(31)에 결합될 수 있다. 진공 멤브레인은 제2 실링 립(34′)에 의해 상부 및 하부 하우징부(2,4)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멤브레인 플레이트(3)는 안전 밸브의 제2 멤브레인(35)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2 멤브레인(35)은 도 7에 보다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 쪽으로 넓어지는 V자 모양의 구멍을 가지고,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제3 실링 립(34″)에 의해 상부 및 중간 하우징부(2, 4)로부터 밀폐된다.
제3 레벨(Ⅲ)은 중간 하우징부(4)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하우징부(2, 6)와 마찬가지로 중간 하우징부(4)는, 예컨대 POM(polyoxymethylene) 등과 같은 고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하우징부(4)는 패널 모양(panel-shaped)이며 상부 평면과 하부 평면을 갖는다. 측면에는,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각각 뻗어 있는 캐취(catches, 40, 41)가 제공되는데, 상부 캐취(upper catches, 40)는 상부 하우징부(2)의 상부 로킹 클립(22)과 결합되고, 하부 캐취(lower catched, 41)는 하부 하우징부(6)의 하부 로킹 클립(60)과 결합된다. 또한, 멤브레인 플레이트(3)의 중심구멍(30)과 정렬되는 중심구멍(42)이 존재한다.
중간 하우징부(4)에는 작은 측면 연결구멍(small lateral connecting openings)을 가지며 바닥이 폐쇄되어 있는 2개의 리세스(recess)가 존재한다. 이 리세스들 중 하나는 진공 멤브레인을 위한 진공 멤브레인 시트(vacumm membrane seat, 43)를 형성하는데, 이는 결국 펌프 체임버를 형성한다. 이 리세스들 중 두번째는 제1 안전 스테이지의 안전 덮개(safety closure, 46)를 형성한다.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을 위한 멤브레인 시트(44)가 내부에 구비된 체임버(44′)가 또한 중간 하우징부(4)에 존재한다. 상기 시트(44)는 본 실시예에서는 삼각형 모양을 갖는다. 체임버(44′)는 오목하게 형성된 h자 모양의 트로프(trough)인데, 상기 트로프는 공기 배출 결합부(45)와 연결되어 있다.
제4 레벨 Ⅳ 또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된 유연성 플레이트(flexible plate)를 구비한다. 제4 레벨은 밸브 플레이트(valve plate, 5)에 의해 형성된다. 이 또한 중심구멍(50)들을 갖는데 이들 중심구멍(50) 중 적어도 한 쌍은 중간 하우징부(4) 및 멤브레인 플레이트(3)의 중심구멍들과 정렬된다.
밸브 플레이트(5)는 진공 체임버용 유입구를 형성하는 제1 제어 플랩(first control flap, 51)을 구비한다. 밸브 플레이트(5)는 또한 진공 체임버용 배출구를 형성하는 제2 제어 플랩(second control flap, 52)을 추가로 구비한다. 하부 하우징부(6)에 배치된 위쪽으로 개방된 커넥팅 채널(connecting channel, 64)을 둘러싸며 위쪽에서 상기 커넥팅 채널(64)을 밀폐하는 이중 실링 립(double sealing lip, 53)이 제2 제어 플랩(52)으로부터 길게 뻗어 존재한다.
안전 밸브의 제1 멤브레인(55) 또한 밸브 플레이트(5) 내에 일체로 형성된다. 밸브 플레이트(5)는 공기 배출 멤브레인 시트(44)와 하부 하우징부(6)에 배치된 제2 공기 배출구멍(67) 사이의 연결을 보장해 주는 제1 공기 배출구멍(first air release opening, 54)을 추가로 구비한다. 밸브 플레이트(5)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에도 이들을 중간 및 하부 하우징부(4, 6)에 대해 밀폐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실링 립들이 형성된다. 밸브 플레이트(5)의 모든 구성 요소들은 밸브 플레이트(5)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레벨(Ⅴ)은 하부 하우징부(6)와 결합부(7)를 구비한다. 이들 두 부분은 하나의 공통 부품으로 형성하거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부(6)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다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부(6) 또한 플레이트 모양(plate-shaped)으로 구성되며 그 밑면은 펌프 어셈블리의 하부를 형성한다. 하부 로킹 클립(60)들은 중간 하우징부(4)의 하부 캐취(41)가 그 내에서 잠겨질 수 있도록 측면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심 핀(centering pin, 61)들 또한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멤브레인 플레이트(3), 중간 하우징부(4) 및 밸브 플레이트(5)의 중심구멍(30, 42, 50)들을 통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들 중심 핀들과 중심구멍들은 각각의 레벨들에 대해 서로 적층되기 쉽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하우징부(6)는 중앙부가 돌출되어 있는 제1 원형 리세스(circular recess)를 추가로 구비하는데, 이것은 유입 구멍(inlet opening, 62)을 형성한다. 제2 원형 리세스는 배출 구멍(outlet opening, 63)을 형성한다. 상기 유입 구멍(62)은 하부 하우징부(6)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진공 채널(69)과 연결된다. 상기 채널(69)은 또한 트로프(trough)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위에 제1 스테이지의 안전 멤브레인(55)가 배치되어 있는 안전 밸브 구멍(safety valve opening, 68)을 먼저 통과한다.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실링 립(53)에 의해 밀폐된 커넥팅 채널(connecting channel, 64)은 하부 하우징부(6)로 연장되어 배출 구멍(63) 내부로 개방된다. 상기 커넥팅 채널(64)은 하부 하우징부(6)에 있는 제2 공기 배출구(67)와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채널(64)은 배출부(71)에 결합되어 있는 배출 결합부(exhaust attachment, 66)에서 종료된다. 제2 공기 배출구(67)는 가슴 차폐 결합 부품(70)에 연결되는 가슴 차폐 결합부(breast shield attachment part, 65)에 도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펌프를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모유나 기타 흡입 액체가 펌프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펌프는 물이나 공기로 간단하게 세척될 수 있다. 청소 매체(cleaning medium)은 가슴 차폐 결합 부품(70)을 통해 가압되거나 분출되고 공기 배출 채널(72)과 배출부(71)에 의해 펌프를 나오게 된다.
도 9는 상부 하우징부(2)의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밸브(S)의 조절 스크루(9)는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사각형의 나사 구멍(square thread opening, 25)내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공기 통로가 항상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공기 배출 밸브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다른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에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삼각형이 아닌 사각형이다. 그러나, 6각형 또는 8각형 등 기타 필요에 따른 다각형 모양으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의 경우 사각형 모양이 삼각형 모양에 비해 보다 신뢰성 있게 개폐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공기 배출 멤브레인은 마찬가지로 두껍고 얇은 보조 영역(32′, 32″)으로 구분되는데, 얇은 보조 영역(32′) 위에는 커넥팅 핀(33)이 배치된다. 2개의 보조 영역(32′, 32″) 또한 거의 사각형 모양이며, 두꺼운 보조 영역(32″)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얇은 보조 영역(32′)의 긴 변 위에는 커넥팅 핀(33)이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커넥팅 핀(33)이 코너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긴 변의 거의 중간 부분에 고정된다. 커넥팅 핀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임버(44′)의 측벽(side wall, 44″) 위에 일체로 형성될 때 그 기능성이 보다 확실히 보장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그 아래에 놓이는 구멍 즉, 공기 배출 멤브레인 시트(44)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팅 핀(33)은 삼각형 홀(44)의 코너 바로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흡입 펌프는 여러 가지의 장점을 제공한다. 흡입 펌프는 매우 작은 공간 내에서 광범위한 기능성을 제공하며 또한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고 조립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은 공기 배출 밸브를 갖는 흡입 펌프(suction pump)와, 안전 밸브(safety valve)를 갖는 흡입 펌프를 작동하는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본원은 적어도 다음에 열거되는 사항들을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흡입 펌프, 특히 진공을 형성하는 멤브레인 펌프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입 펌프는, 주기적으로 공기 배출구(44, 54, 67)를 개방하고 또한 다시 이를 밀폐하도록 폐쇄하는 공기 배출부(32)를 갖는 공기 배출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배출부(32)는 우선 공기 배출구(44, 54, 67)만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리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작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32)는 우선 에지 영역에서 공기 배출구(44, 54, 6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작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32)는 우선 공기 배출구(44, 54, 67)의 코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작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32)의 제1 부분이 우선 제1 공기 배출 채널을 개방하도록 리프트되고, 또한 공기 배출부(32)의 제2 부분이 제2 공기 배출 채널을 개방하도록 리프트되며, 상기 제2 공기 배출 채널은 제1 공기 배출 채널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2 채널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작동 방법.
5. 공기 배출 밸브를 갖는 흡입 펌프, 특히 진공을 형성하는 멤브레인 펌프인 흡입 펌프로서, 상기 공기 배출 밸브는 공기 배출구(44, 54, 67)와, 상기 공기 배출구(44, 54, 67)를 밀폐하도록 폐쇄할 수 있는 공기 배출부(32)와, 상기 공기 배출부(32)를 작동하는 작동 수단(8)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배출부(32)는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경우 우선 상기 공기 배출구(44, 54, 67)의 일부 영역만을 개방하고 그 후 공기 배출구(44, 54, 67)의 보다 큰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을 개방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이며,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에지 영역(32′)을 가지며,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경우 우선 상기 에지 영역(32′)에서 상기 공기 배출구(44, 54, 6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8)은 리프팅 자석이며,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커넥팅 핀(33)을 통해 상기 리프팅 자석(8)의 아마츄어(11)와 결합되고, 상기 커넥팅 핀(33)은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의 에지 영역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핀은 상기 공기 배출구의 한 코너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핀(33)은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핀(33)은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플라스틱, 특히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적어도 하나의 코너를 가지며, 상기 에지 영역(3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다각형의 기본 모양, 특히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기본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14.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덜 두꺼운 제1 부분 영역(32′)과 보다 두꺼운 제2 부분 영역(32″)을 가지며, 상기 에지 영역은 상기 제1 부분 영역(3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사각형의 기본 모양을 가지며, 상기 2개의 부분 영역(32′, 32″) 각각은 사각형의 기본 모양을 가지고, 상기 커넥팅 핀(33)은 상기 두꺼운 부분 영역(32″)으로부터 뻗어 있는 얇은 부분 영역(32′)의 긴 변 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긴 변은 중심을 가지며, 상기 커넥팅 핀(33)은 상기 얇은 부분 영역(32′) 위의 상기 중심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17. 제5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44, 54, 67)은 다각형의 기본 모양, 특히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기본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18. 제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19. 공기 배출 밸브 특히 제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공기 배출 밸브를 갖는 흡입 펌프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밸브는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을 가지며,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 및 진공 형성에 사용되는 진공 멤브레인(31)은 공통 멤브레인 플레이트(3)의 형태로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플레이트(3)의 일부는 안전 밸브의 안전 멤브레인(35)으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21. 제15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을 작동하는 리프팅 자석(8)을 수용하며 상기 진공 멤브레인(31)을 작동하는 전기 모터(1)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부(2)와,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를 위해 제공되며 공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공기 배출 멤브레인 시트(44)와 진공 멤브레인(31)에 대한 진공 멤브레인 시트(43)를 갖는 중간 하우징부(4)와, 공기 배출구(44, 54, 67)와 상기 진공 멤브레인 시트(43)의 유입구(62, 51, 43′) 사이의 진공 채널(69)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부(6)를 구비하며, 상기 멤브레인 플레이트(3)는 상기 상부 및 중간 하우징부(2,4) 사이에 배치되고, 밸브 플레이트(5)는 상기 중간 및 하부 하우징부(4, 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5)와 상기 멤브레인 플레이트(3)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5)와 상기 멤브레인 플레이트(3)는 플라스틱, 특히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24. 제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부(71)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의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진공 결합부(70) 및 공기 배출 결합부(72)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25. 제21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배출 결합부(66)가 상기 하부 하우징부(6) 위에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부(7) 위에 일체로 형성된 배출부(71)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중간 및 상부 하우징부(2, 4, 6)는 서로 결합되어 폐쇄된 하우징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함께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는 실질적으로 수밀식(watertight)이고, 착유기 결합부(70)를 통해 배출부(71) 및 공기 배출구(72)에 의하여 세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28. 안전 밸브를 갖는 흡입 펌프로서 특히 제19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의 흡입 펌프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밸브는 제1 압력에서 개방되는 제1 스텝(55, 46)과, 제2 압력에서 개방되는 제2 스텝(35, 9)를 가지며, 상기 제1 압력은 상기 제2 압력보다 낮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2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제1 및 제2 보조부(320, 321)를 가지며, 상기 제1 보조부(320)는 리프팅 자석(8)의 아마츄어(8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보조부(321)는 제1 스프링 부재(322)를 통해 상기 제1 보조부(32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보조부(321)는 상기 제1 보조부(3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제1 공기 배출 채널(326)을 가지고, 상기 제2 보조부(321)는 제2 공기 배출 채널(327)을 폐쇄하며, 상기 제2 공기 배출 채널(327)은 상기 제1 공기 배출 채널(326)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펌프.
P: 펌프 유닛 V: 공기 배출 유닛
S: 안전 유닛
Ⅰ: 제1 레벨 Ⅱ: 제2 레벨
Ⅲ: 제3 레벨 Ⅳ: 제4 레벨
Ⅴ: 제5 레벨
1: 모터
10: 구동 샤프트 11: 커넥팅 로드
12: 볼 베어링 13: 평형추를 갖는 편심부
2: 상부 하우징부
20: 모터 플레이트 21: 고정 스크루
22: 상부 로킹 클립 23: 커넥팅 로드 체임버
24: 자석 체임버 25: 나사 구멍
3: 멤브레인 플레이트
30: 중심구멍 31: 진공 멤브레인
32: 공기 배출 멤브레인 32′: 제1 보조 영역
32″: 제2 보조 영역 33: 커넥팅 핀
34: 제1 실링 립 34′: 제2 실링 립
34″: 제3 실링 립 35: 안전 밸브의 제2 멤브레인
320: 제1 공기 배출 블록 321: 제2 공기 배출 블록
322: 제1 스프링 부재 323: 고정 클립
324: 제2 스프링 부재 325: 베이스 보디
326: 제1 공기 배출 채널 327: 제2 공기 배출 채널
4: 중간 하우징부
40: 상부 캐치 41: 하부 캐치
42: 중심구멍 43: 진공 멤브레인 시트
43′:펌프 체임버 구멍 44: 공기 배출 멤브레인 시트
44′: 체임버 44″: 측벽
45: 공기 배출 결합부 46: 제1 스테이지의 안전 밸브 폐쇄부
46′: 측면 구멍
5: 밸브 플레이트
50: 중심구멍 51: 제1 제어 플랩
52: 제2 제어 플랩 53: 커넥팅 채널용 실링 립
54: 제1 공기 배출구 55: 안전 밸브의 제1 멤브레인
6: 하부 하우징부
60: 하부 로킹 클립 61: 커넥팅 핀
62: 유입구 63: 배출구
64: 커넥팅 채널 65: 가슴 차폐 결합부
66: 배출 결합부 67: 제2 공기 배출구
68: 안전 밸브 체임버 69: 진공 채널
7: 결합부
70: 착유기 결합 부품 71: 배출부
72: 공기 배출 채널 73: 스페이서
8: 리프팅 자석
80: 아마츄어
9: 조절 스크루

Claims (16)

  1. 진공 형성에 사용되는 진공 멤브레인(31) 및 공기 배출구를 구비한 공기 배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배출 밸브가 상기 공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을 가지고,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 및 진공 멤브레인(31)이 공통 멤브레인 플레이트(3)의 형태로 일체로 구성된,
    흡입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플레이트(3)의 일부가 안전 밸브의 안전 멤브레인(35)으로서 구성된, 흡입 펌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펌프는,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을 작동하는 리프팅 자석(8)을 수용하며 상기 진공 멤브레인(31)을 작동하는 전기 모터(1)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부(2); 및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를 위해 제공되며 공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공기 배출 멤브레인 시트(44)와 진공 멤브레인(31)에 대한 진공 멤브레인 시트(43)를 갖는 중간 하우징부(4)
    를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 플레이트(3)가 상기 상부 및 중간 하우징부(2,4)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입 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펌프는 공기 배출구(44, 54, 67)와 상기 진공 멤브레인 시트(43)의 유입구(62, 51, 43′) 사이의 진공 채널(69)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부(6)를 더 포함하고, 밸브 플레이트(5)가 상기 중간 및 하부 하우징부(4, 6)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흡입 펌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5)와 상기 멤브레인 플레이트(3)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흡입 펌프.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5)와 상기 멤브레인 플레이트(3)는 플라스틱, 특히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흡입 펌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펌프는 배출부(71)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의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진공 결합부(70) 및 공기 배출 결합부(72)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한, 흡입 펌프.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 결합부(66)가 상기 하부 하우징부(6) 위에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부(7) 위에 일체로 형성된 배출부(71)에 결합될 수 있는, 흡입 펌프.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중간 및 상부 하우징부(2, 4, 6)는 서로 결합되어 폐쇄된 하우징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함께 조립되는, 흡입 펌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는 실질적으로 수밀식(watertight)이고, 착유기 결합부(70)를 통해 배출부(71) 및 공기 배출구(72)에 의하여 세척될 수 있는, 흡입 펌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에지 영역(32′)을 가지며,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경우 우선 상기 에지 영역(32′)에서 상기 공기 배출구(44, 54, 67)로부터 분리되는, 흡입 펌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8)은 리프팅 자석이며,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커넥팅 핀(33)을 통해 상기 리프팅 자석(8)의 아마츄어(11)와 결합되고, 상기 커넥팅 핀(33)은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의 에지 영역에서 결합되는, 흡입 펌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핀은 상기 공기 배출구의 한 코너 위에 배치되는, 흡입 펌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핀(33)은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과 일체로 형성되는, 흡입 펌프.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핀(33)은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흡입 펌프.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멤브레인(32)은 덜 두꺼운 제1 부분 영역(32′)과 보다 두꺼운 제2 부분 영역(32″)을 가지며, 상기 에지 영역은 상기 제1 부분 영역(32′)에 배치되어 있는, 흡입 펌프.
KR1020107017373A 2004-09-20 2005-09-06 공기 배출 밸브를 구비한 흡입 펌프 KR101285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541/04 2004-09-20
CH15412004 2004-09-20
PCT/CH2005/000529 WO2006032156A1 (de) 2004-09-20 2005-09-06 Membranpume mit entlüftungsventi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082A Division KR101280397B1 (ko) 2004-09-20 2005-09-06 배출 밸브를 갖는 멤브레인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599A true KR20100094599A (ko) 2010-08-26
KR101285677B1 KR101285677B1 (ko) 2013-07-12

Family

ID=3497394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082A KR101280397B1 (ko) 2004-09-20 2005-09-06 배출 밸브를 갖는 멤브레인 펌프
KR1020107017373A KR101285677B1 (ko) 2004-09-20 2005-09-06 공기 배출 밸브를 구비한 흡입 펌프
KR1020107017374A KR101285678B1 (ko) 2004-09-20 2005-09-06 안전 밸브를 구비한 흡입 펌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082A KR101280397B1 (ko) 2004-09-20 2005-09-06 배출 밸브를 갖는 멤브레인 펌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374A KR101285678B1 (ko) 2004-09-20 2005-09-06 안전 밸브를 구비한 흡입 펌프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3) US8512010B2 (ko)
EP (3) EP1791579B1 (ko)
JP (3) JP4851460B2 (ko)
KR (3) KR101280397B1 (ko)
CN (3) CN101905043B (ko)
AT (3) ATE495770T1 (ko)
AU (3) AU2005287843B9 (ko)
BR (1) BRPI0515664A (ko)
CA (1) CA2579162C (ko)
DE (4) DE502005010898D1 (ko)
ES (3) ES2359126T3 (ko)
HK (3) HK1104487A1 (ko)
IL (1) IL181461A (ko)
MX (1) MX2007003117A (ko)
PL (3) PL2105151T3 (ko)
RU (1) RU2392975C2 (ko)
SG (2) SG158151A1 (ko)
WO (1) WO2006032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25129D0 (en) 2003-10-28 2003-12-03 Smith & Nephew Apparatus in situ
GB0409446D0 (en) 2004-04-28 2004-06-02 Smith & Nephew Apparatus
US7779625B2 (en) 2006-05-11 2010-08-24 Kalypto Medical, Inc. Device and method for wound therapy
US20100086419A1 (en) * 2007-03-13 2010-04-08 Medela Holding Ag Membrane Suction Pump Unit
GB0712737D0 (en) * 2007-07-02 2007-08-08 Smith & Nephew Apparatus
CA2705896C (en) 2007-11-21 2019-01-08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HUE043133T2 (hu) 2007-11-21 2019-07-29 Smith & Nephew Sebkötözés
US8545438B2 (en) * 2009-06-22 2013-10-01 Lansinoh Laboratories, Inc. Breast pump
CH703813A1 (de) * 2010-09-17 2012-03-30 Medela Holding Ag Membranvakuumpumpe.
GB201015656D0 (en) 2010-09-20 2010-10-27 Smith & Nephew Pressure control apparatus
CN103930139B (zh) * 2011-09-26 2017-04-05 Vasa应用技术有限公司 用于通过吸奶器控制母乳分泌的流速和模式的方法和装置
EP2747803B1 (de) 2011-10-04 2016-11-16 Medela Holding AG Vakuumpumpe
US9084845B2 (en) 2011-11-02 2015-07-21 Smith & Nephew Plc Reduced pressure therapy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same
EP2604300A1 (en) * 2011-12-12 2013-06-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reast shield for a breast pump
WO2013136181A2 (en) 2012-03-12 2013-09-19 Smith & Nephew Plc Reduced pressure apparatus and methods
US9427505B2 (en) 2012-05-15 2016-08-30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GB2502342A (en) * 2012-05-25 2013-11-27 Richard Weatherley Disposable diaphragm pump
GB2504774A (en) * 2012-08-10 2014-02-12 Munster Simms Eng Ltd Diaphragm pump with integral motor housing and rear pump housing
CN104284686B (zh) * 2012-09-24 2016-06-29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带致动器的吸乳器系统
JP6246368B2 (ja) * 2013-08-12 2017-12-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安全弁
WO2016033107A1 (en) 2014-08-26 2016-03-03 Mimeo Labs, Inc. Breast fluid expression device
JP6991067B2 (ja) 2014-12-22 2022-01-12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 陰圧閉鎖療法の装置および方法
AU2016221969B2 (en) * 2015-02-20 2020-06-04 Medela Holding Ag Breast pump and cap therefor
CN113367890B (zh) 2015-04-27 2023-02-21 史密夫及内修公开有限公司 减压装置
KR102446249B1 (ko) * 2015-04-27 2022-09-22 아이디얼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퍼스널 에어 샘플링 펌프 어셈블리
CN105148335A (zh) * 2015-06-05 2015-12-16 范红梅 负压吸引装置
CA2989318C (en) 2015-08-14 2023-09-26 Medela Holding Ag Mflp-valve for a pressure source
MX2018002379A (es) * 2015-08-27 2018-04-11 Medela Holding Ag Sistema de seguridad de extractor de leche y metodo para sistema de bomba.
EP3416697B1 (en) * 2016-02-19 2022-07-20 Koninklijke Philips N.V. Drive unit for a breast pump and breast pump
AU2017230775B2 (en) 2016-03-07 2021-12-23 Smith & Nephew Plc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methods with negative pressure source integrated into wound dressing
EP3429654B1 (de) 2016-03-17 2020-11-11 Medela Holding AG Medizinische saugpumpe
AU2017256692B2 (en) 2016-04-26 2022-03-03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s and methods of use with integrated negative pressure source having a fluid ingress inhibition component
AU2017259003B2 (en) 2016-05-03 2022-09-22 Smith & Nephew Plc Systems and methods for driving negative pressure sources in negative pressure therapy systems
WO2017191149A1 (en) 2016-05-03 2017-11-09 Smith & Nephew Plc Optimizing power transfer to negative pressure sources in negative pressure therapy systems
WO2017191154A1 (en) 2016-05-03 2017-11-09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 activation and control
CN109561994B (zh) 2016-08-25 2022-03-15 史密夫及内修公开有限公司 吸收性负压伤口疗法敷料
US11564847B2 (en) 2016-09-30 2023-01-31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method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JP7361606B2 (ja) 2017-03-08 2023-10-16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 障害状態の存在下での陰圧創傷療法装置の制御
JP7121050B2 (ja) 2017-05-09 2022-08-17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 陰圧創傷療法システムの冗長制御
AU2018331954A1 (en) 2017-09-13 2020-03-19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method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GB201718070D0 (en) 2017-11-01 2017-12-13 Smith & Nephew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method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EP3461513A1 (en) * 2017-09-27 2019-04-03 Koninklijke Philips N.V. Pump device, comprising a pump and a housing accommodating the pump
GB201718072D0 (en) 2017-11-01 2017-12-13 Smith & Nephew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method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GB201718054D0 (en) 2017-11-01 2017-12-13 Smith & Nephew Sterilization of integrated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sterilization methods
US11497653B2 (en) 2017-11-01 2022-11-15 Smith & Nephew Plc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apparatuses and method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EP3482782A1 (de) 2017-11-14 2019-05-15 Medela Holding AG Medizinische saugpumpe
USD898925S1 (en) 2018-09-13 2020-10-13 Smith & Nephew Plc Medical dressing
EP3769798A1 (de) 2019-07-25 2021-01-27 Medela Holding AG Motorbetriebene medizinische saugpumpe
US20220325813A1 (en) * 2019-08-10 2022-10-13 Padmini Vna Mechatronics Ltd. Air ventilation valve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7658A (en) * 1925-01-26 1932-03-01 Lasker Edward Breast pump
DE1230634B (de) * 1963-02-28 1966-12-15 Siemens Ag Ventil fuer Vakuumanlagen, insbesondere von Korpuskularstrahlgeraeten
US3425444A (en) * 1966-01-10 1969-02-04 Henry Valve Co Relief valve
JPS517758Y2 (ko) * 1973-04-28 1976-03-01
US4070001A (en) * 1976-07-06 1978-01-24 Musgrove Ronald R Vacuum safety valve
US4231824A (en) * 1978-11-30 1980-11-04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bellows
JPS5796659A (en) * 1980-12-10 1982-06-16 Hitachi Ltd Milker
US4503887A (en) * 1982-01-19 1985-03-12 Automatic Switch Company Pilot-operated dual flow rate valve
CH662949A5 (de) * 1984-03-14 1987-11-13 Ameda Ag Brustpumpe zum absaugen von muttermilch.
DE3419613A1 (de) * 1984-05-25 1985-11-28 Kirchner & Wilhelm, 7000 Stuttgart Muttermilchabsaugvorrichtung
DE3475040D1 (en) * 1984-08-29 1988-12-15 Ahi Operations Ltd Pressure regulating valves
JPS6294170A (ja) * 1985-10-21 1987-04-30 ピジヨン株式会社 搾乳器
US4992033A (en) * 1986-08-22 1991-02-12 Copeland Corporation Scroll-type machine having compact Oldham coupling
DE3631984C1 (de) * 1986-09-19 1987-12-17 Hans Ing Kern Dosierpumpe
US4886494A (en) * 1987-04-09 1989-12-12 Yasuo Morifuji Milking apparatus
JPH01171564A (ja) * 1987-12-28 1989-07-06 Jiekusu Kk 搾乳器
US4874012A (en) * 1988-10-12 1989-10-17 Mallard Products, Inc. Magnetic operator flow device
US5167397A (en) * 1990-05-29 1992-12-01 Porton Instruments, Inc. Diaphragm valve with mechanically linked diaphragm
US5083746A (en) * 1990-05-29 1992-01-28 Porton Instruments, Inc. Diaphragm valve with mechanically linked diaphragm
JP2549957Y2 (ja) * 1991-03-30 1997-10-08 タキロン株式会社 吸引ダクト
JPH07111173B2 (ja) * 1991-05-30 1995-11-29 株式会社鷺宮製作所 比例弁及びその作動方法
DE4121086A1 (de) * 1991-06-26 1993-01-14 Laengerer & Reich Kuehler Ueberdruckventileinrichtung fuer den kuehlkreislauf einer fluessigkeitsgekuehlten brennkraftmaschine
CN2107276U (zh) * 1991-11-18 1992-06-17 吴安全 一种电动吸气装置
US5295957A (en) * 1991-12-23 1994-03-22 Pigeon Co., Ltd. Breast pump having a pressure adjusting mechanism
DE4244619A1 (de) * 1992-12-31 1994-07-07 Knf Neuberger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embranpumpe sowie Membranpumpe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JP3260231B2 (ja) 1993-09-27 2002-02-25 ピジョン株式会社 搾乳器
US5776098A (en) * 1995-08-03 1998-07-07 Medela, Incorporated Diaphragm pump and pump mounted in a carrying case useful in breast pumping
DE19529724A1 (de) * 1995-08-12 1997-02-13 Teves Gmbh Alfred Elektro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anlagen mit Radschlupfregelung
US6139521A (en) * 1996-06-03 2000-10-31 Medela Holding Ag Breastpump having particular application as a small motorized pump capable of double-breast pumping
US5902267A (en) * 1996-08-09 1999-05-11 Medo; Elena M. Breast pump system using wall vacuum source
DE19700545A1 (de) * 1997-01-10 1998-07-16 Nueesch Logistik Muttermilchpumpe
DE19747842A1 (de) * 1997-10-30 1999-05-06 Nueesch Logistik Muttermilchpumpe und Überlaufschutz für Absaugvorrichtungen zum Absaugen von Körperflüssigkeiten
US6090065A (en) * 1998-07-06 2000-07-18 Evenflo Company, Inc. Self-cycling breast pump
AU2609200A (en) * 1999-01-12 2000-08-01 Elena Taggart Medo Breast pump with overflow sensor and automatic flush feature
JP2000316969A (ja) * 1999-05-06 2000-11-21 Hirose Electric Co Ltd 脈動式搾乳器
US6263908B1 (en) * 1999-10-05 2001-07-24 Emerson Electric Co. Slow opening gas valve
ES2589732T3 (es) 1999-12-10 2016-11-16 Medela Holding Ag Sacaleches
US6729351B2 (en) * 2000-02-22 2004-05-04 Delphi Technologies, Inc. Expanded range multiple-stage metering valve
US6948697B2 (en) * 2000-02-29 2005-09-27 Arichell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uid flow
JP4080150B2 (ja) * 2000-07-28 2008-04-23 ピジョン株式会社 脈動搾乳器
DK1221319T3 (da) * 2001-01-03 2004-08-30 Medela Ag Brystpumpe
JP2002336347A (ja) * 2001-05-18 2002-11-26 Univ Nihon 搾乳器
AU2002357392A1 (en) 2001-12-27 2003-07-24 Playtex Products, Inc. Bag system
US6786468B2 (en) * 2002-10-07 2004-09-07 Delphi Technologies, Inc. Unibody valve and techniques for making same for a purge control device
US20040158198A1 (en) 2003-02-10 2004-08-12 Erich Pfenninger Portable breast pump
CN2633299Y (zh) * 2003-05-14 2004-08-18 林哥婴儿用品(昆山)有限公司 吸奶器
US7381197B2 (en) * 2003-08-20 2008-06-03 Kelly Patricia A Electric breast pump
US7284966B2 (en) * 2003-10-01 2007-10-23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 Research Micro-pump
DE102004004708B3 (de) * 2004-01-30 2005-04-21 Karl Dungs Gmbh & Co. Kg Magnetventil
US7637284B1 (en) * 2008-10-03 2009-12-29 Feldmeier Robert H Sanitary diaphragm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58083T3 (es) 2011-05-05
MX2007003117A (es) 2007-06-07
SG158151A1 (en) 2010-01-29
IL181461A0 (en) 2007-07-04
US20130294942A1 (en) 2013-11-07
PL1791579T3 (pl) 2009-10-30
KR101285678B1 (ko) 2013-07-12
KR20070067161A (ko) 2007-06-27
CN101022839A (zh) 2007-08-22
RU2007112933A (ru) 2008-10-27
HK1104487A1 (en) 2008-01-18
CN101905042B (zh) 2013-09-11
DE502005007667D1 (de) 2009-08-20
EP1791579A1 (de) 2007-06-06
AU2009251193A1 (en) 2010-01-28
ATE495770T1 (de) 2011-02-15
JP4851460B2 (ja) 2012-01-11
DE502005010897D1 (de) 2011-03-03
BRPI0515664A (pt) 2008-07-29
US8512010B2 (en) 2013-08-20
EP1791579B1 (de) 2009-07-08
ES2328266T3 (es) 2009-11-11
HK1135628A1 (en) 2010-06-11
DE502005010898D1 (de) 2011-03-03
CA2579162C (en) 2013-06-11
PL2105152T3 (pl) 2011-06-30
EP2105152B1 (de) 2011-01-19
RU2392975C2 (ru) 2010-06-27
CN101905043B (zh) 2012-07-18
ATE435669T1 (de) 2009-07-15
CN101022839B (zh) 2010-12-08
AU2009251212B2 (en) 2010-10-07
AU2005287843B9 (en) 2010-08-19
CA2579162A1 (en) 2006-03-30
EP2105152A1 (de) 2009-09-30
DE202005021858U1 (de) 2010-09-02
ES2359126T3 (es) 2011-05-18
EP2105151B1 (de) 2011-01-19
SG158152A1 (en) 2010-01-29
JP5346355B2 (ja) 2013-11-20
JP5543403B2 (ja) 2014-07-09
EP2105151A1 (de) 2009-09-30
ATE495771T1 (de) 2011-02-15
CN101905043A (zh) 2010-12-08
HK1136513A1 (en) 2010-07-02
AU2005287843A1 (en) 2006-03-30
AU2009251193B2 (en) 2010-10-07
CN101905042A (zh) 2010-12-08
WO2006032156A1 (de) 2006-03-30
IL181461A (en) 2012-05-31
KR20100094600A (ko) 2010-08-26
KR101280397B1 (ko) 2013-07-01
US20170173234A1 (en) 2017-06-22
JP2011179510A (ja) 2011-09-15
PL2105151T3 (pl) 2011-04-29
AU2005287843B2 (en) 2009-11-12
KR101285677B1 (ko) 2013-07-12
US20070292276A1 (en) 2007-12-20
US9644622B2 (en) 2017-05-09
AU2009251212A1 (en) 2010-01-28
JP2011179509A (ja) 2011-09-15
JP2008513652A (ja)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677B1 (ko) 공기 배출 밸브를 구비한 흡입 펌프
US7029245B2 (en) Blood pumping unit, with a coplanar disk inlet valve and an annular outlet valve
KR20200076699A (ko) 착유기
KR101697707B1 (ko) 림프 순환을 돕는 피부운동 마사지기
KR200327301Y1 (ko) 모유착유기
US9151285B2 (en) Air pump structure
JPS60125787A (ja) 膜式ポンプ
JP3146855U (ja) リード式逆止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