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420A -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420A
KR20100088420A KR1020090007625A KR20090007625A KR20100088420A KR 20100088420 A KR20100088420 A KR 20100088420A KR 1020090007625 A KR1020090007625 A KR 1020090007625A KR 20090007625 A KR20090007625 A KR 20090007625A KR 20100088420 A KR20100088420 A KR 20100088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nection path
connection
cylind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162B1 (ko
Inventor
옥지태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7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1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44Apparatus for mounting on conductive members, e.g. leadframes or conductors on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01L2224/757Means for aligning
    • H01L2224/75754Guid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는 신축 가능한 실린더 축을 갖는 실린더 부; 및 서로 다른 이종 장치가 접속되는 접속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접속 경로에 상기 이종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도입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시키어 상기 접속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접속 경로 개폐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종 장치들이 서로 접속 되는 접속 경로 상에 어느 하나의 장치가 도입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DOCKING GUIDE APPARATUS FOR VARIETY APPARATU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PART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부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이종 장치들이 서로 접속 되는 접속 경로 상에 어느 하나의 장치가 도입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접속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칩 마운터(Chip Mounter)와 같은 전자 부품 제조 장치는 다양한 전자 부품을 부품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 받아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부품 공급 장치는 칩 마운터의 본체의 일정 위치에서 서로 결합된다.
종래의 다수개의 전자 부품을 갖는 테이프 피더와 같은 부품 공급 장치는 피더 베이스에 장착되고, 도킹 카트와 같은 이송 수단을 통하여 칩 마운터 본체로 도입된다.
이러한 부품 공급 장치는 일정 주기로 새로운 장치로 교체하여한다. 종래에 는 장치 교체시 본체에 장착되어 있던 피더 베이스를 분리한 후 다른 피더베이스를 공급하는 일괄 교체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작업자는 부품 공급 장치를 본체와 접속시키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도입되는 부품 공급 장치와 칩 마운터 본체에 설치되는 헤드나 기타 모듈과의 충돌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하기 위하여, 부품 공급 장치와 같은 부가 장치인 이종 장치를 칩 마운터의 본체와 서로 접속할 경우에, 작업자는 부품 공급 장치가 본체 측으로 도입되기 전에 본체의 커버를 열거나 해당 보호 장치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본체의 내부 모듈을 보호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작업자가 칩 마운터의 본체에 마련되는 커버를 열면, 상기 커버에 부착된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헤드나 기타 내부모듈은 안전한 위치로 이송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은 경우에 본체의 전원 등에 이상이 발생되면, 헤드 또는 기타 모듈이 안전한 위치로 이송될 수 없기 때문에, 도입되는 부품 공급 장치와 충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칩 마운터와 같은 본체에 이와 다른 이종 장치인 부품 공급 장치가 접속 경로를 통하여 서로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접속 경로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운용 상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접속 경로를 즉시 폐쇄함으로써 다른 이종 장치가 본체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는 신축 가능한 실린더 축을 갖는 실린더 부; 및 서로 다른 이종 장치가 접속되는 접속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접속 경로에 상기 이종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도입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시키어 상기 접속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접속 경로 개폐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부는 공압 제공부와 연결되고, 상기 공압 제공부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시키는 공압을 상기 실린더 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 경로 개폐 유닛은, 상기 접속 경로 상에 배치되며 그 길 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활주홀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실린더 축에 설치되며 상기 활주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축의 신축 동작에 따라 상기 활주홀을 따라 활주되는 가이드 축과, 상기 활주홀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마련되는 힌지단에 회전 지지되어 시소 회전 가능하고, 그 일단부에 상기 힌지단 측을 따라 하향 경사지며 상기 가이드 축이 외면이 밀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후크 부재와, 상기 힌지단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후크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후크 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탄성 부재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접속 경로로의 상기 이종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도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 동작 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축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힌지단에 근접되도록 이동되면, 상기 후크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접속 경로의 외곽을 따라 회전되고, 상기 후크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접속 경로에 노출되도록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축은 상기 실린더 축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 축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 제한 부재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부품 제조 장치는 접속부가 마련되며 상기 접속부로의 부품 공급 장치가 도입되는 접속 경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접속부 근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신축 가능한 실린더 축을 갖는 실린더 부; 및 상기 접속 경로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접속 경로에 상기 다른 장치의 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시키어 상기 접속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접속 경로 개폐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부는 공압 제공부와 연결되고, 상기 공압 제공부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시키는 공압을 상기 실린더 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 경로 개폐 유닛은, 상기 접속 경로 상에 배치되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활주홀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실린더 축에 설치되며 상기 활주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축의 신축 동작에 따라 상기 활주홀을 따라 활주되는 가이드 축과, 상기 활주홀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마련되는 힌지단에 회전 지지되어 시소 회전 가능하고, 그 일단부에 상기 힌지단 측을 따라 하향 경사지며 상기 가이드 축이 외면이 밀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후크 부재와, 상기 힌지단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후크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후크 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탄성 부재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접속 경로로의 상기 다른 장치의 도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 동작 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축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힌지단에 근접되도록 이동되면, 상기 후크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접속 경로의 외곽을 따라 회전되고, 상기 후크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접속 경로에 노출되도록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축은 상기 실린더 축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 축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 제한 부재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칩 마운터와 같은 본체에 이와 다른 이종 장치인 부품 공급 장치가 접속 경로를 통하여 서로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접속 경로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운용 상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접속 경로를 즉시 폐쇄함으로써 다른 이종 장치가 본체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품 공급 장치가 본체에 접속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접속 가이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가이드 프레임과 회전축과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접속 가이드 장치의 동작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6은 도 5의 접속 가이드 장치의 동작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접속 경로에 부품 공급 장치가 도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접속 가이드 장치에 위치 제한 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 하면, 상기 전자 부품 제조 장치는 본체(100)를 갖는다. 상기 본체(100)는 칩 마운터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에는 전자 부품(미도시)을 픽업 위치(P1)에서 픽업 하여 실장 위치(P2)로 이송하는 이송 모듈(110)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 모듈(110)은 노즐부(111)와 이송부(112)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노줄부(111)는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진공을 사용하여 픽업 위치(P1)의 전자 부품을 집을 수 있는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이송부(112)는 상기 노즐부(111)를 픽업 위치(P1)에서 실장 위치(P2)로 이송할 수 있도록 X,Y,Z축으로 가변 가능한 겐트리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픽업 위치(P1)에 근방에 위치되는 접속부(150)가 마련된다. 상기 접속부(150)에는 이종 장치인 부품 공급 장치(200)가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부품 공급 장치(200)는 테이프 피더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품 공급 장치(200)는 본체(100)의 접속부(150)에 접속됨으로써 픽업 위치(P1)에 전자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부품 공급 장치(200)는 본체(100)에 형성되어 접속부(150)로 안내하는 접속 경로(a)를 통하여 상기 접속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150)는 부품 공급 장치(20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공간 경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150) 근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0)에는 실린더 부(3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부(300)는 하나의 신축 가능한 실린더 축(310)을 갖는 단동식 실린더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부(300)는 상기 접속 경로(a)의 양측방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부(300)는 외부로부터 제공 받는 진공을 사용하여 일정 길이 신축 가능한 실린더 축(31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부(300)는 공압 제공부(320)와 연결된다. 상기 공압 제공부(320)는 외부로부터 예컨대, 하기에 기술되는 제어부(45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실린더 부(300)로 진공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접속 경로(a)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접속 경로(a)에 상기 다른 장치, 즉 부품 공급 장치(200)의 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 축(310)을 신축시키어 상기 접속 경로(a)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접속 경로 개폐 유닛(400)이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상기 접속 경로 개폐 유닛(4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접속 경로 개폐 유닛(400)은 상기 접속 경로(a) 상에 배치되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활주홀(411)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410)과, 상기 실린더 축(310)에 설치되며 상기 활주홀(41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축(310)의 신축 동작에 의하여 상기 활주홀(411)을 따라 활주되는 가이드 축(420)과, 상기 활주홀(411)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프레임(410)에 마련되는 힌지단(433)에 회전 지지되어 시소 회전 가능하고, 그 일단부에 상기 힌지단(433) 측을 따라 하향 경사지며 상기 가이드 축(420)의 외면이 밀착되는 경사면(431)이 형성되는 후크 부재(430)와, 상기 힌지단(433)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4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후크 부재(430)에 고정되어 상기 후크 부재(4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탄성 부재(440)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410)에 배치되며 상기 접속 경로(a)로의 상기 부품 공급 장치(200)의 도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460)와, 상기 센서(4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46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실린더 축(310)을 신축 동작 시키는 제어부(4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 부재(430)의 타단에는 일정 두께의 탄성체(4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470)는 상기 후크 부재(430)의 타단과 상기 도입되는 부품 공급 장치(200)의 단부가 서로 충돌되는 경우에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단(433)은 상기 후크 부재(430)의 중앙부 근방에 마련되는 회전축(433a)과 가이드 프레임(410)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33a)이 끼워져 회전 지지되는 회전홀(410a)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축(420)이 상기 경사면(431)을 따라 상기 힌지단(433)에 근접되도록 이동되면, 상기 후크 부재(430)의 일단부는 상기 접속 경로(a)의 외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후크 부재(430)의 타단부는 상기 접속 경로(a)에 노출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축(420)은 상기 실린더 축(310)의 끝단에서 롤링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경사면(431)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 축(420)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 제한 부재(432)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에 언급되는 이송 모듈(110)을 구동하는 구동부(120) 및 상기 구동부(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30)는 상기 제어부(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130)는 상기 구동부(120)로 제공되는 전원량을 상기 제어부(45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원부(130)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50)에는 기준 전원량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원량이 기준 전원량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이상 상태로 간주하여 상기 실린더 부(300)를 작동시키어 상기 후크 부재(430)를 접속 경로(a)로 돌출하게 하여 접속 경로(a)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이송 모듈(110)에 설치되는 모터들과 같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들과 같은 장치는 동작시 상기 제어 부(450)로 일정의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구동부(120)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50)에는 정상 상태의 모터 구동 신호가 기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모터로부터 전송 받는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정상 상태의 모터 구동 신호와 다른 경우에, 구동부(120)의 이상 상태로 간주하여 상기 실린더 부(300)를 작동시키어 상기 후크 부재(430)를 접속 경로(a)로 돌출하게 하여 접속 경로(a)를 폐쇄할 수 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 하면,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접속부(150)에는 이종 장치인 부품 공급 장치(200)가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 공급 장치(200)는 접속 경로(a)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접속부(150)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품 공급 장치(200)가 상기 도입 경로(a)에 도입되기 전에는 도 6과 같이 접속 가이드 장치가 작동 전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도입 경로(a)는 후크 부재(430)의 타단부가 도입 경로(a)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됨으로써 패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되는 실린더 축(310)은 일정 길이 신장된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부품 공급 장치(200)가 도입 경로(a)로 도입되는 경 우에, 가이드 프레임(410)에 설치되는 센서(460)는 상기 도입되는 부품 공급 장치(200)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센서(460)는 광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부품 공급 장치(200)가 근접되면 이를 인지하여 이 인지된 신호를 제어부(4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부(450)는 공압 제공부(32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공압 제공부(32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공압 제공부(320)는 상기 실린더 부(300)로 공압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부(300)는 실린더 축(310)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끌어 당길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 축(310)의 끝단에 설치되는 가이드 축(420)은 가이드 프레임(410)에 형성되는 활주홀(411)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상기 후크 부재(430)는 힌지단(433)에 설치되는 복귀 탄성 부재(440)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다. 즉, 상기 힌지단(433)에 설치되는 복귀 탄성 부재(440)는 토션 스프링의 구조를 갖고 이의 일단은 가이드 프레임(410)에 고정되고 타단은 후크 부재(430)에 고정됨으로써, 후크 부재(430)의 타단부가 항상 접속 경로(a)로 돌출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상기 후크 부재(43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31)은 상기 가이드 축(420)의 외면에 항상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 축(31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실린더 축(310)의 끝단에 설치되는 가이드 축(420)은 활주홀(411)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동되고, 상기 후크 부재(430)의 일단부는 상기 이동되는 가이드 축(420)에 의하여 눌려 지면서 시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축(310)이 원 위치로 완전하게 복귀되면, 상기 후크 부재(430)는 힌지단(43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소 회전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후크 부재(430)는 가이드 프레임(4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후크 부재(430)의 타단부는 접속 경로(a)로부터 이탈되어 가이드 프레임(4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 경로(a)는 개방되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후크 부재(430)와 가이드 프레임(410)의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복귀 탄성 부재(440)는 상기 후크 부재(43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을 갖는다.
여기서, 실린더 축(310)의 이동 경로와 힌지단(433)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고, 후크 부재(430)의 경사면(431)은 힌지단(433) 측으로부터 일단부 끝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원위치로 복귀되는 실린더 축(310)에 설치되는 가이드 축(420)은 상기 후크 부재(430)의 일단부 끝단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후크 부재(43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면(431)의 일단측과 타단측에는 위치 제한 부재(432)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위치 제한 부재(432)는 경사면(431)을 타고 이동되는 가이드 축(420)이 후크 부재(43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이드 축(420)의 이동 위치 제한을 명확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부재(430)의 경사면(431)에 밀착되는 상태로 이동되는 가이드 축(420)은 실린더 축(310)의 끝단에서 롤링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가이드 축(420)이 상기 경사면(431)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축(420)과 상기 가이드 축(420)이 밀착되는 후크 부재(430)의 경사면(431)과의 마찰력은 원활하게 감소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축(420)은 상기 후크 부재(430)의 경사면(431)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후크 부재(430)가 시소 회전하여 가이드 프레임(410)의 내측에 위치됨으로써, 접속 경로(a)는 개방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공급 장치(200)는 접속 경로(a)를 통하여 도입되고, 본체(100)에 마련되는 접속부(15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실린더 부(300)의 이상 동작으로 인하여 화살표 방향을 따라 후크 부재(430)의 타단부가 접속 경로(a)로 돌출되는 경우에, 상기 후크 부재(430)의 원위치로의 복귀력은 힌지단(433)에 설치되는 복귀 탄성 부재(440)의 탄성력 만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접속 경로(a)에 위치되는 부품 공급 장치(200)는 상기 탄성력으로 인하여 전달되는 후크 부재(430)의 회전력만으로 큰 손상을 입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부품 공급 장치(200)가 본체(100)의 접속부(150)와 결합되면, 상기 부품 공급 장치(200)는 일정량의 전자 부품을 픽업 위치(P1)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450)는 구동부(120)를 작동시키어 이송 모듈(110)을 구동시킨 다. 따라서, 상기 이송 모듈(110)은 상기 픽업 위치(P1)에 공급된 전자 부품을 실장 위치(P2)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120)는 전원부(130)로부터 일정량의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30)는 상기 제어부(450)로 상기 구동부(120)로 제공되는 전원량을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원부(130)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50)에는 기준 전원량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전원량이 기준 전원량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이상 상태로 간주하여 상기 실린더 부(300)를 작동시키어 상기 후크 부재(430)를 접속 경로(a)로 돌출하게 하여 접속 경로(a)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이송 모듈(110)에 설치되는 모터들과 같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들과 같은 장치는 동작시 상기 제어부(450)로 일정의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구동부(120)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50)에는 정상 상태의 모터 구동 신호가 기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모터로부터 전송 받는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정상 상태의 모터 구동 신호와 다른 경우에, 구동부(120)의 이상 상태로 간주하여 상기 실린더 부(300)를 작동시키어 상기 후크 부재(430)를 접속 경로(a)로 돌출하게 하여 접속 경로(a)를 폐쇄할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00)에 설치되는 상기와 같은 이송 모듈(110)과 전 원부(130) 등의 장치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에, 즉시 접속 경로(a)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접속부(150)에 결합된 부품 공급 장치(200)가 도입 경로(a)를 통하여 상기 접속부(150)로부터 이탈되면, 센서(46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5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450)는 공압 제공부(320)를 통하여 실린더 부(300)를 작동시키어 실린더 축(310)을 도 6의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실린더 축(310)이 신장되면서 실린더 축(310)의 끝단에 설치되는 가이드 축(420)이 후크 부재(30)의 경사면(431)을 타고 힌지단(433) 측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후크 부재(430)가 힌지단(433)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시소 회전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상기 후크 부재(430)의 타단부는 접속 경로(a)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접속 경로(a)를 다시 폐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품 공급 장치가 본체에 접속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접속 가이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가이드 프레임과 회전축과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접속 가이드 장치의 동작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접속 가이드 장치의 동작 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접속 경로에 부품 공급 장치가 도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접속 가이드 장치에 위치 제한 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설명
100 : 본체
150 : 접속부
200 : 부품 공급 장치
300 : 실린더 부
310 : 실린더 축
400 : 접속 경로 개폐 유닛
410 : 가이드 프레임
420 : 가이드 축
430 : 후크 부재
440 : 복귀 탄성 부재
450 : 제어부
460 : 센서

Claims (12)

  1. 신축 가능한 실린더 축을 갖는 실린더 부; 및
    서로 다른 이종 장치가 접속되는 접속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접속 경로에 상기 이종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도입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시키어 상기 접속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접속 경로 개폐 유닛을 포함하는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부는 공압 제공부와 연결되고,
    상기 공압 제공부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시키는 공압을 상기 실린더 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경로 개폐 유닛은,
    상기 접속 경로 상에 배치되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활주홀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실린더 축에 설치되며 상기 활주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축의 신축 동작에 따라 상기 활주홀을 따라 활주되는 가이드 축과, 상기 활주홀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마련되는 힌지단에 회전 지지되어 시소 회전 가능하고, 그 일단부에 상기 힌지단 측을 따라 하향 경사지며 상기 가이드 축이 외면이 밀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후크 부재와, 상기 힌지단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후크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후크 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탄성 부재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접속 경로로의 상기 이종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도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 동작 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힌지단에 근접되도록 이동되면, 상기 후크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접속 경로의 외곽을 따라 회전되고, 상기 후크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접속 경로에 노출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은 상기 실린더 축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 축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 제한 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7. 접속부가 마련되며 상기 접속부로의 부품 공급 장치가 도입되는 접속 경로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접속부 근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신축 가능한 실린더 축을 갖는 실린더 부; 및
    상기 접속 경로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접속 경로에 상기 다른 장치의 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시키어 상기 접속 경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접속 경로 개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부는 공압 제공부와 연결되고,
    상기 공압 제공부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시키는 공압을 상기 실린더 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경로 개폐 유닛은,
    상기 접속 경로 상에 배치되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활주홀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실린더 축에 설치되며 상기 활주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축의 신축 동작에 따라 상기 활주홀을 따라 활주되는 가이드 축과, 상기 활주홀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마련되는 힌지단에 회전 지지되어 시소 회전 가능하고, 그 일단부에 상기 힌지단 측을 따라 하향 경사지며 상기 가이드 축이 외면이 밀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후크 부재와, 상기 힌지단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후크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후크 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탄성 부재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접속 경로로의 상기 다른 장치의 도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실린더 축을 신축 동작 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힌지단에 근접되도록 이동되면, 상기 후크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접속 경로의 외곽을 따라 회전되고, 상기 후크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접속 경로에 노출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축은 상기 실린더 축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 축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 제한 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가이드 장치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KR1020090007625A 2009-01-30 2009-01-30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KR101412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625A KR101412162B1 (ko) 2009-01-30 2009-01-30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625A KR101412162B1 (ko) 2009-01-30 2009-01-30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420A true KR20100088420A (ko) 2010-08-09
KR101412162B1 KR101412162B1 (ko) 2014-06-30

Family

ID=4275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625A KR101412162B1 (ko) 2009-01-30 2009-01-30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4815A (zh) * 2018-04-11 2018-07-13 珠海比昂电子设备有限公司 防压安全脱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934B2 (ja) * 1995-01-23 2000-08-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部品の自動補給装置
KR0163848B1 (ko) * 1996-01-31 1999-04-15 배순훈 부품이송장치
JP4369301B2 (ja) 2004-05-31 2009-11-1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実装機
JP5925540B2 (ja) 2012-03-16 2016-05-25 Juki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4815A (zh) * 2018-04-11 2018-07-13 珠海比昂电子设备有限公司 防压安全脱勾装置
CN108274815B (zh) * 2018-04-11 2024-01-19 珠海比昂电子设备有限公司 防压安全脱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162B1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8155B2 (ja) 実装ヘッド、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
WO2017056292A1 (ja) 実装ヘッド、及び表面実装機
KR100497574B1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픽앤플레이스 장치
US10874040B2 (en) Rotary head and surface mounter
KR100374438B1 (ko) 전자부품 장착장치
KR20100088420A (ko) 이종 장치용 접속 가이드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부품 제조 장치
JP5347466B2 (ja) 教示治具によって教示する基板搬送用マニピュレータ
JP6572317B2 (ja) ロータリー型の実装ヘッド、及び表面実装機
JP5005556B2 (ja) 部品移載装置、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試験装置
KR102533338B1 (ko) 와이어리스 밸브 매니폴드
CN108353535B (zh) 表面安装机
US8789266B2 (en) Apparatus for placing electronic parts
JP2010228027A (ja) ねじ締め機
US10897841B2 (en) Rotary head of a surface mounter
KR100324006B1 (ko) 간격조절기능을가지는모듈디바이스용척킹장치
KR20130080288A (ko) 수직 이송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습식 처리 장치
JP5005360B2 (ja) ノズル交換装置および表面実装機
KR100668238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터에서 스테핑 모터를 이용한 피커 장치
KR19980053074A (ko) 이송장치의 그리퍼 구조
JP6832454B2 (ja) 部品実装機
JP4572744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US20230150120A1 (en) Substrate Conveying Robot and Substrate Conveying Robot System
KR100292786B1 (ko) 모듈디바이스용척킹장치
KR100608099B1 (ko)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JP2008103412A (ja) 表面実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