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568A -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568A
KR20100086568A KR1020090005844A KR20090005844A KR20100086568A KR 20100086568 A KR20100086568 A KR 20100086568A KR 1020090005844 A KR1020090005844 A KR 1020090005844A KR 20090005844 A KR20090005844 A KR 20090005844A KR 20100086568 A KR20100086568 A KR 20100086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wer plate
ice making
ice
mak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853B1 (ko
Inventor
양영호
Original Assignee
양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호 filed Critical 양영호
Priority to KR102009000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85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조립 부품들을 용융로내에서 융점 차이를 이용하여 결합(접합)시키도록 한 증발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하판재 성형공정과, 하판재 천공공정과, 제빙돌기 성형공정과,안내부재 가공공정 및 이들을 각 공정에서 용접하여서 되는 증발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정 두께의 동판을 상기 하판재에 대응하도록 요입장홈과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동판 성형공정; 상기 제빙돌기내에서 상기 안내부재가 브레이징 용접되도록 상기 안내부재를 동도금하는 도금공정; 상기 제빙돌기에 상기 안내부재를 강제 압입하고, 상기 동판과 하판재를 적층 결합하고, 상기 안내부재가 압입된 제빙돌기들을 용재와 하판재의 다수 구멍들에 각각 압입시키고, 그 위에 상기 상판재를 덮어 소정위치에 군데 군데 리벳등으로 결합시키는 조립공정; 및 상기 도금된 안내부재의 상부 수평연장부는 상판재 내면에, 안내부재의 지지부는 제빙돌기에, 제빙돌기가 압입된 동판은 하판재에, 리벳 결합된 상,하판재들이 동시에 소정온도의 용융로에서 용융 결합되는 용융 결합공정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이다.
제빙기,증발관.

Description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Evaporater in i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장치에 사용되는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특히, 각 부품들을 성형 가공하고, 가공된 부품들을 조립한 뒤 한번에 용융로내에서 융점 차이를 이용하여 일시에 부품들을 결합(접합)시키도록 한 증발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결과 얻어지는 증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증발관은 수평상태에서 지그재그를 이루는 증발코일과, 여러개의 제빙돌기를 증발관의 저부에서 다수 돌출시키고, 이 돌출된 제빙돌기들은 다시 물이 채워진 제빙접시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빙돌기가 아래를 향하여 침수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빙돌기들은 증발관의 내부 공간을 따라 순환되는 냉매의 증발로 인하여제빙돌기에 냉기를 전도시켜 제빙돌기 주위에 얼음을 형성하는 것으로, 목적하는 제빙상태가 되면 냉매의 순환/증발작용을 일시 정지함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고열을 가하여 제빙된 얼음을 분리시킨다.
이러한 제빙원리를 갖는 증발관의 문제점은,
물에 침수되지 않는 증발관의 상층부에도 냉기가 형성되므로서 일부 제빙접시의 물이 기화되어 제빙접시 상부의 공간을 통하여 증발관의 주위에 서리,얼음을 형성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제빙돌기외의 증발관의 얼음형성은 냉매의 반복순환에 따른 압축에너지 증가의 문제점,양질의 얼음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일으켜 전체적으로 제빙효율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한편, 제빙돌기를 포함한 증발관의 제조과정에서 종래에는 원형단면의 파이프의 저부에 소정구조의 제빙돌기를 결합하고 있으나,증발관 제작에 따른 용접 및 파이프가공상의 작업성이 복잡한 문제점도 있었다.
최근에는 평판상의 상,하판재에 냉매 순환통로를 이루는 요입장홈을 마주보게 대응형성하고, 하판재에는 안내격판을 압입한 제빙돌기가 조립,결합된 타입의 증발관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첨부 도면 도 1a 내지 도 1c는 이러한 증발관의 제조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첨부 도면 도 1a는 이러한 종래 증발관과 달리 판상의 상,하부재(110)(120)를 겹치게 하여 그 외부에서 테두리를 부분용접, 혹은 리벳결합 한 뒤 단열코팅으로 외부와 밀폐되도록 하여서 되는 것으로, 상,하부재의 결합전 첨부 도면 도 1b,도 1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격판(140)을 제빙돌기(130)의 공간(134)에 강제 압입시킨 뒤 이것을 1차 용접하고, 하부부재(120)의 구멍(124)에 이러한 제빙돌기(130)를 통과시켜 하부가 하방으로 노출되게 한 뒤 제빙돌기(130)의 테두리(132)를 하부부재(120)에 용접 결합한 뒤 그 위에 상부부재를 덮은 뒤 전 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필요한 곳에 용접하여 결합하게 되므로,
첫째, 제빙돌기와 안내격판의 조립시 안내격판과 제빙돌기 내벽면상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당히 까다롭고, 숙련된 용접작업(미약한 온도의 용접작업)이 필요로 되고(추후 상당한 압력의 냉매순환시 그 틈새가 쉽게 떨어지고, 용접부위가 손상,변색됨),
둘째, 이러한 제빙돌기를 다시 하부부재의 구멍에 끼워넣은 뒤 2차 용접을 수행하게 되어 용접부위 손상이 발생하고,
셋째, 하부부재(120)의 위에 상부부재를 덮은 뒤 그 외부에서 부분용접한 뒤 단열코팅을 수행하므로서 수십개의 안내격판(140)상단과 상부부재(110)의 저부는 용접이 불가능하여 상단부분 틈새가 발생하며, 마찬가지로 냉매순환시 상기 안내격판(140)의 상단이 쉽게 떨어져, 제빙돌기(130)내벽과의 떨어짐 현상과 함께 안내격판(140)을 통한 순환기능이 거의 없어져 제빙효율이 현저히 낮아지며,
넷째, 보다 근본적으로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의 밀폐 결합을 위하여 중간 리벳 결합하더라도 다시 테두리를 따라 견고하게 용접이 필요로 되어 일일이 3차 용접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후 외부로의 냉기 차단을 위하여 단열코팅을 수행하지만 결국 증발관의 제조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여러번의 스테인레스와 동재질의 제빙돌기들을 결합하기 위하여 정밀하고 숙련된 용접작업(용접중 용접부위가 용융되어 손상)이 3차에 걸친 용접을 요하게 되어 증발관 제조공정에서 많은 용접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시간 과다와,고급 숙련작업자의 필요성이 있고, 스테인레스의 재질손상으로 제품의 외관을 변색시켜 새로운 도금을 요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별도 용접공정이 없이 단지 각 부품의 성형,가공 및 압입조립후 용융로에서의 용융을 통하여 부품들의 결합부위가 용융 접합(결합)되도록 하므로서 각 부품 제조 단계에서 불필요한 용접과정을 배제시키는 증발관 제조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 증발관의 제빙돌기내 안내격판이 증발관의 제조공정에서 도금을 통하여 용융 접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상부부재의 저부와 안내격판의 상단이 용융 접합되도록 하여 안내격판의 누설없는 증발관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은,
평판부재의 어느 한면으로 돌출되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소정 형상의 요입장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요입장홈이 형성된 상부금형과 상기 요입장홈에 대응하는 돌출라인을 형성한 하부금형의 사이에 소정 재질의 평판부재를 집어넣어 가압,성형하여서 되는 상,하판재 성형공정;
상기 상,하판재 성형공정중 얻어진 하판재의 요입장홈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기 위하여 수개의 천공날을 형성한 천공금형에서 상기 하판재에 구멍을 천공하는 하판재 천공공정;
소정 두께의 동판을 상기 하판재에 대응하도록 요입장홈과 다수의 구멍을 형 성하는 동판 성형공정;
원통형을 이루고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바닥을 이루며, 상부는 상기 하판재의 구멍에 넣어져 걸리도록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빙돌기 성형공정;
판체로서 상부는 광폭의 차단부를 형성하고, 차단부에 연하여 하부에는 협폭으로 연장된 격판부를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단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접합부를 이루고, 차단부 양측 하단에도 수평방향 연장된 지지부를 각각 형성하여서 되는 안내부재 가공공정;
상기 제빙돌기내에서 상기 안내부재가 브레이징 용접되도록 상기 안내부재를 동도금하는 도금공정;
상기 제빙돌기에 상기 안내부재를 강제 압입하고, 상기 동판과 하판재를 적층 결합하고, 상기 안내부재가 압입된 제빙돌기들을 용재와 하판재의 다수 구멍들에 각각 압입시키고, 그 위에 상기 상판재를 덮어 소정위치에 군데 군데 리벳,볼팅등으로 결합시키는 조립공정;및
상기 도금된 안내부재의 상부 수평연장부는 상판재 내면에, 안내부재의 지지부는 제빙돌기에, 제빙돌기가 압입된 동판은 하판재에, 리벳 결합된 상,하판재들이 동시에 소정온도의 용융로에서 용융 결합되는 용융 결합공정(로중용접,FURNACE BRAZING)을 포함하여,
상기 용융시 동도금된 안내부재는 그 상부 수평 연장부가 상판재에, 지지부는 제빙돌기(하판재)에 각각 용융 결합되고, 리벳 결합된 상,하판재도 그 접촉면에서 동판이 용융되어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으로 달성된 다.
상기 용융로의 용융온도는 1100℃~1150℃임이 바람직하다.(이때, 상,하판재의 융점은 약1400℃인 스테인레스이고, 동판과 동도금부분은 융점이 1083℃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증발관은,
평판상에 소정 형상의 제1요입장홈을 형성한 상판재와, 상기 상판재에 대응하여 평판부에는 평판부가 대응하여 접촉되고, 상기 제1요입장홈에 제2요입장홈이 대응되어 냉매 순환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평판부의 소정위치에는 구멍이 형성된 하판재와, 상기 하판재의 구멍에 압입되는 외경의 원통부재로서, 상부는 이 구멍에 걸리는 걸림연부를 형성하고, 하부는 바닥부를 형성하여 상기 하판재의 하방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빙돌기와, 상부는 상기 냉매 순환통로를 가로질러 냉매의 순환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이루고, 하부는 상기 제빙돌기 내부로 넣어져 제빙돌기의 공간을 구획하되 하방으로 공간이 연통되는 격판부를 이루고, 차단부와 격판부의 사이에 차단부 하단 양측으로 지지부를 직각 절곡 형성하고, 차단부 상단에는 상기 상판재 내면에 일체로 접촉하는 연장부를 형성한 안내격판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증발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 증발관 제조방법에서 각 부품간 결합이 부품별 용접이 아니라 각 부품의 압입,조립후 용융 접합되도록 한 증발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로써 제조과정이 더욱 간단해지고 효율적이며, 용융 결합부위가 쉽게 떨어지지않는 견고한 구조의 결합구조를 갖는 증발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러한 제조방법에 적당 하도록 동도금후 용융 접합이 이루어지는 안내격판을 포함하는 증발관의 구조를 개선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a는 본 발명 증발관의 예시도로서 외관상 종래 알려진 일반적인 증발관과 같은 형태이다.
이 도면에서 나타내어지는 증발관은 가운데 장공들이 뚫린 상,하판재(110)(120)로 결합되어지고, 하판재(120) 하방으로 제빙돌기(130)들이 나타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2b는 본 발명 증발관 제조공정전 조립되어야 할 각 부품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 증발관의 부품별 발췌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용융 접합전의 증발관의 구조는 크게 상판재(110)와, 하판재(120)와, 제빙돌기(130)와, 안내격판(140)과, 동판(150)으로 이루어진다.
이것들의 개별 구조에 있어 상판재(110)는 평판상에 소정 형상의 제1요입장홈(112)을 형성하며, 그 테두리부분은 자유롭게 처리하여서 된다.
상기 상판재(110)에 대응하는 하판재(120)는 평판부(114)에는 평판부(124)가 대응하여 접촉되고, 상기 제1요입장홈(112)에는 제2요입장홈(122)이 대응 형성되어 냉매 순환통로(a)를 형성하고, 상기 평판부(122)의 소정위치에는 구멍(124)을 형성 하여서 된다.
동판(150)은 하판재(120)과 같은 형상,구조로서 추후 용융시 쉽게 녹도록 비교적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용제(溶劑)이며, 추후 용융로에서 고열 침잠으로 용융되어 없어지며, 상,하판재(110)(120)의 밀접부분 사이 혹은 후술하는 제빙돌기(130),안내격판(140)과의 접촉부분등에 사이에 끼여 용융되어 접합된다.따라서 추후 부품의 구성에서는 동판(150)은 나타나지 않는다.
제빙돌기(130)는 상기 하판재(120)의 구멍(124)에 압입되는 외경의 원통부재로서, 상부는 이 구멍(124)에 걸리는 걸림연부(132)를 형성하고, 하부는 바닥부를 형성하여 상기 하판재(120)의 하방으로 하향 연장되며, 내부는 제빙공간(134)를 형성한다.
안내격판(140)은,
상부가 상기 냉매 순환통로(a)를 가로질러 냉매의 순환을 차단하는 차단부(142)를 이루고, 하부는 상기 제빙돌기(130)내부로 넣어져 제빙돌기(130)의 공간을 구획하되 하방으로 공간이 연통되는 격판부(144)를 이루며, 차단부(142)와 격판부(144)의 사이에 차단부(142) 하단 양측으로 지지부(141)를 직각 절곡 형성하고, 차단부(142)상단에는 상기 상판재(110)내면에 일체로 접촉하는 연장부(143)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증발관의 각 부품의 제조과정은 크게 상,하판재 성형공정(가)와, 하판재 천공공정(나)와, 동판 성형공정(다)과, 제빙돌기 성형공정(라)와, 안내부재 가공공정(마)으로 이루어진다.
상,하판재(110)(120) 성형공정(가)는,
평판부재의 어느 한면으로 돌출되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소정 형상의 요입장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요입장홈이 형성된 상부금형과 상기 요입장홈에 대응하는 돌출라인을 형성한 하부금형의 사이에 소정 재질의 평판부재를 집어넣어 가압,성형한다.
하판재(120) 천공공정(나)은,
상기 상,하판재 성형공정중 얻어진 하판재(120)의 요입장홈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기 위하여 수 개의 천공날을 형성한 천공금형에서 상기 하판재에 구멍을 천공한다.
동판(150) 성형공정(다)은,
소정 두께의 동판(150)을 상기 하판재(120)에 대응하도록 요입장홈과 다수의 구멍을 형성한다. 동판(150)은 추후 용융로내에서 상기 상,하판재(110)(120)의 밀착부분에 개재되어 용융 접합되므로서 일종의 용제로 사용된다.
제빙돌기 성형공정(라)은,
원통형을 이루고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바닥을 이루며, 상부는 상기 하판재의 구멍에 넣어져 걸리도록 테두리를 형성하혀서 된다.
안내부재(140) 가공공정(마)은,
판체로서 상부는 광폭의 차단부를 형성하고, 차단부에 연하여 하부에는 협폭으로 연장된 격판부를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단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접합부를 이루고, 차단부 양측 하단에도 수평방향 연장된 지지부를 각각 형성하여 서 된다.
이렇게 이루어진 본 발명 증발관의 각 부품들의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 도면중 도 4a는 본 발명 증발관 제조공정중 제빙돌기와 안내격판의 조립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 증발관 제조공정중 안내격판이 압입된 제빙돌기를 하판재에 결합한 도면이고,도 4c는 본 발명 증발관 제조공정중 제빙돌기가 압입된 하판재위에 상판재가 덮여져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도 4d는 본 발명 조립후 증발관이 용융로 내에 침잠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하판재 성형공정(가)와, 하판재 천공공정(나)와, 동판 성형공정(다)과, 제빙돌기 성형공정(라)와, 안내부재 가공공정(마)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일부 생략한다.
여기서는 안내부재 도금공정(바)과, 조립공정(사)와, 결합공정(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안내부재(140) 도금공정(바)은 상기 제빙돌기(130)내에서 상기 안내부재(140)가 브레이징(brazing) 용접되도록 상기 안내부재(140)의 외부를 동 도금하게 된다.
조립공정(사)은,
이와 같이 전술한 각 부품 의 성형 및 가공공정을 통하여 얻어진 부품들을 ㅂ차 조립하는 공정으로 먼저, 상기 제빙돌기(130)에 상기 안내부재(140)를 강제 압입하고, 이어서 상기 동판(150)과 하판재(120)를 적층 결합하고, 상기 안내부 재(140)가 압입된 제빙돌기(130)들을 동판(150)와 하판재(120)의 다수 구멍들에 각각 압입시키고, 그 위에 상기 상판재(110)를 덮은 뒤 군데 군데 리벳,볼트등으로 체결 결합시켜 1차 조립을 완료한다. (체결방법은 리벳외에 나사체결공법, 프레스를 이용한 STACKING공법, SPOT WELDING공법 등이 있음)
용융 공정(아)은,
상기 각 부품이 조립된 셋트의 본 발명 증발관을 용융로에 집어넣어 용융 결합하는 공정으로 상기 도금된 안내부재(140)의 상부 수평 연장부(143)는 상판재(110) 내저면에, 안내부재(140)의 지지부(141)는 제빙돌기(130)의 상연부 혹은 제빙돌기(130)가 압입된 동판(150)에, 혹은 동판(150)이 적층된 하판재(120)의 내상면에서, 또한, 리벳 결합된 상,하판재(110)(120)들의 접촉부분들 사이에 개재된 동판(150)이 용융온도 약 1100℃~1150℃의 용융로에서 약 1시간 동안 함침상태를 유지하다가 꺼내면 동판(150)은 용융되어 각 부분에서 로중용접(FURNACE BRAZING)으로 용융 결합되고, 동 도금된 안내부재(140)의 연장부(143),지지부(141)들도 각각 접촉부분에서 용융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하판재(110)(120)의 융점은 1400℃인 스테인레스이고, 동판과 동도금부분은 융점이 1083℃이므로 상,하판재(110)(120)는 그대로 유지되지만 동판과 동 도금부분은 용융되는 것이다.
상기 용융시 동도금된 안내부재는 그 상부 수평 연장부가 상판재에, 지지부는 제빙돌기(하판재)에 각각 용융 결합되고, 리벳 결합된 상,하판재도 그 접촉면에서 동판이 용융되어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으로 달성된다.
첨부 도면중 도 5a,5b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증발관의 여러 방향으로 절개된 단면도들이고, 도 6a,6b는 본 발명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증발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공정을 거쳐 완성된 본 발명 증발관은 첨부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요입장홈(112)에 대응하여 제2요입장홈(122)이 형성되어 냉매 순환통로(a)를 형성하고,이 냉매 순환통로(a)를 가로질러 냉매의 순환을 차단부(142)가 차단하고, 동시에 하판재(120)의 하방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빙돌기(130)내부 제빙공간(134)를 따라 냉매가 순환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이러한 냉매순환통로(a)를 형성함에 있어서, 안내격판(140)의 상단 연장부(143)가 상판재(110) 저부에 동도금으로 용융 접합되고, 안내격판(140)의 지지부(141)역시 제빙돌기(130)상부에 동도금 접합되며, 그 나머지 대부분은 동판(150)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접합이 이루어져 결합된다.
이와 같은 부품의 접합방법은 상,하판재(110)(120)의 절곡부분이 어느 방향으로 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것은 도 6a,6b에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증발관의 제조방법은 종래 반복하여 용접함에 따른 공정성 저하와 스테인레스재질의 손상을 방지하며, 특히, 증발관 완성후 외부에 가해지는 단열코팅등의 보강공정이 상기 용융공정에서 동시에 수행함이 가능하며, 그럴 경우 더욱 간단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증발관의 완성후의 사시도와, 증발관의 요부 절개 도 및 증발관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 증발관의 예시도로서 외관상 종래 알려진 일반적인 증발관과 같은 형태이고,
도 2b는 본 발명 증발관 제조공정전 조립되어야 할 각 부품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 증발관의 부품별 발췌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 증발관 제조공정중 제빙돌기와 안내격판의 조립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 증발관 제조공정중 안내격판이 압입된 제빙돌기를 하판재에 결합한 도면이고,도 4c는 본 발명 증발관 제조공정중 제빙돌기가 압입된 하판재위에 상판재가 덮여져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도 4d는 본 발명 조립후 증발관이 용융로 내에 침잠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5b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증발관의 여러 방향으로 절개된 단면도들이고,
도 6a,6b는 본 발명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증발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Claims (3)

  1.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판부재의 어느 한면으로 돌출되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소정 형상의 요입장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요입장홈이 형성된 상부금형과 상기 요입장홈에 대응하는 돌출라인을 형성한 하부금형의 사이에 소정 재질의 평판부재를 집어넣어 가압,성형하여서 되는 상,하판재 성형공정;
    상기 상,하판재 성형공정중 얻어진 하판재의 요입장홈에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기 위하여 수개의 천공날을 형성한 천공금형에서 상기 하판재에 구멍을 천공하는 하판재 천공공정;
    소정 두께의 동판을 상기 하판재에 대응하도록 요입장홈과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동판 성형공정;
    원통형을 이루고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바닥을 이루며, 상부는 상기 하판재의 구멍에 넣어져 걸리도록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빙돌기 성형공정;
    판체로서 상부는 광폭의 차단부를 형성하고, 차단부에 연하여 하부에는 협폭으로 연장된 격판부를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단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접합부를 이루고, 차단부 양측 하단에도 수평방향 연장된 지지부를 각각 형성하여서 되는 안내부재 가공공정;
    상기 제빙돌기내에서 상기 안내부재가 브레이징 용접되도록 상기 안내부재를 동도금하는 도금공정;
    상기 제빙돌기에 상기 안내부재를 강제 압입하고, 상기 동판과 하판재를 적층 결합하고, 상기 안내부재가 압입된 제빙돌기들을 용재와 하판재의 다수 구멍들에 각각 압입시키고, 그 위에 상기 상판재를 덮어 소정위치에 리벳등으로 결합시키는 조립공정;및
    상기 도금된 안내부재의 상부 수평연장부는 상판재 내면에, 안내부재의 지지부는 제빙돌기에, 제빙돌기가 압입된 동판은 하판재에, 리벳 결합된 상,하판재들이 동시에 소정온도의 용융로에서 용융 결합되는 용융 결합공정을 포함하여,
    상기 용융시 동도금된 안내부재는 그 상부 수평 연장부가 상판재에, 지지부는 제빙돌기(하판재)에 각각 용융 결합되고, 리벳 결합된 상,하판재도 그 접촉면에서 동판이 용융되어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로의 용융온도는 1100℃~1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3. 평판상에 소정 형상의 제1요입장홈(112)을 형성한 상판재(110)와,
    상기 상판재(110)에 대응하여 평판부(114)에는 평판부(124)가 대응하여 접촉되고, 상기 제1요입장홈(112)에 제2요입장홈(122)이 대응되어 냉매 순환통로(a)를 형성하고, 상기 평판부(122)의 소정위치에는 구멍(124)이 형성된 하판재(120)와,
    상기 하판재(120)의 구멍(124)에 압입되는 외경의 원통부재로서, 상부는 이 구멍(124)에 걸리는 걸림연부(132)를 형성하고, 하부는 바닥부를 형성하여 상기 하 판재(120)의 하방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빙돌기(130)와,
    상부는 상기 냉매 순환통로(a)를 가로질러 냉매의 순환을 차단하는 차단부(142)를 이루고, 하부는 상기 제빙돌기(130)내부로 넣어져 제빙돌기(130)의 공간을 구획하되 하방으로 공간이 연통되는 격판부(144)를 이루고, 차단부(142)와 격판부(144)의 사이에 차단부(142) 하단 양측으로 지지부(141)를 직각 절곡 형성하고, 차단부(142)상단에는 상기 상판재(110)내면에 일체로 접촉하는 연장부(143)를 형성한 안내격판(140)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증발관.
KR1020090005844A 2009-01-23 2009-01-23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10110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844A KR101104853B1 (ko) 2009-01-23 2009-01-23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844A KR101104853B1 (ko) 2009-01-23 2009-01-23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568A true KR20100086568A (ko) 2010-08-02
KR101104853B1 KR101104853B1 (ko) 2012-01-16

Family

ID=4275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844A KR101104853B1 (ko) 2009-01-23 2009-01-23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8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16B1 (ko) * 2013-03-22 2013-11-22 주식회사 태성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2217B1 (ko) * 2013-03-25 2013-11-22 주식회사 태성 경첩유로칸막이를 갖는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83820A1 (ko) * 2016-04-21 2017-10-26 조철연 제빙장치
KR101893533B1 (ko) * 2017-09-04 2018-08-30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장치
KR20220165889A (ko) * 2021-06-08 2022-12-16 (주) 에타 제빙용 증발기
KR20220165890A (ko) * 2021-06-08 2022-12-16 (주) 에타 제빙용 증발기
KR20230000216U (ko) * 2021-07-19 2023-01-27 (주) 에타 제빙용 증발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642B1 (ko) * 2007-11-22 2010-01-25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16B1 (ko) * 2013-03-22 2013-11-22 주식회사 태성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2217B1 (ko) * 2013-03-25 2013-11-22 주식회사 태성 경첩유로칸막이를 갖는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83820A1 (ko) * 2016-04-21 2017-10-26 조철연 제빙장치
KR101893533B1 (ko) * 2017-09-04 2018-08-30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장치
KR20220165889A (ko) * 2021-06-08 2022-12-16 (주) 에타 제빙용 증발기
KR20220165890A (ko) * 2021-06-08 2022-12-16 (주) 에타 제빙용 증발기
KR20230000216U (ko) * 2021-07-19 2023-01-27 (주) 에타 제빙용 증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853B1 (ko)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853B1 (ko)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EP3343132B1 (en) Evaporator assembly for ice-mak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90056162A1 (en) Ice cube evaporator plate assembly
US6286331B1 (en) Evaporation plate for ice making machines
KR100938642B1 (ko)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102073911B1 (ko) 단부 분리형 결로 방지 방화문
WO2000023755A9 (en) Low cost ice making evaporator
US6161396A (en) Evaporator plate assembly for use in a machine for producing ice
US6247318B1 (en) Evaporator device for an ice mak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177434B1 (ko) 브레이징 용접접합 지그 장치
JP2004198041A (ja) 冷凍装置のドレンパン構造
KR200432601Y1 (ko) 열교환기용 헤더파이프
US20190293355A1 (en) Microchannel-type aluminum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65422B1 (ko)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46128B1 (ko)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JPH10205943A (ja) 製氷皿
US20060048929A1 (en) Header and coil connections for a heat exchanger
JP7328585B1 (ja) 冷媒流路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冷媒流路モジュール、及び空気調和機
KR101871741B1 (ko) 냉매와 직접접촉방식으로 제빙과 냉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증발기의 제조방법
JPH10205942A (ja) 製氷皿
KR102578095B1 (ko) 무용접 결합구조를 갖는 제빙기용 증발관
JP7106215B2 (ja) オーガ式製氷機
JP2002054871A (ja) 冷蔵庫の排水装置
JP7038892B2 (ja) 積層型ヘッダ、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100567801B1 (ko) 냉장고용 열 교환기 및 이의 냉매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