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216B1 -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216B1
KR101332216B1 KR1020130031038A KR20130031038A KR101332216B1 KR 101332216 B1 KR101332216 B1 KR 101332216B1 KR 1020130031038 A KR1020130031038 A KR 1020130031038A KR 20130031038 A KR20130031038 A KR 20130031038A KR 101332216 B1 KR101332216 B1 KR 10133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ersion
refrigerant
flow path
pip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to KR102013003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가 이동되기 위한 냉매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면이 동일한 폭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냉매관, 상기 냉매관의 각 설치공에 설치되도록 다수 개 구비되며,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제빙공간부를 갖고, 제빙을 위한 제빙수에 침지되는 침지관, 상기 각 침지관 제빙공간부의 타단부만 연통시키고, 침지관의 개방된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냉매관의 냉매유로를 구획함에 따라 냉매가 상기 제빙공간부의 타단부를 통해 다시 냉매유로로 이동시키는 유로칸막이, 상기 유로칸막이를 상기 침지관과 냉매관에 접합시키기 위한 제1접합부재, 및 상기 유로칸막이가 설치된 침지관을 상기 냉매관에 설치하되, 상기 침지관의 제빙공간부와 상기 냉매관의 냉매유로를 연통된 상태로 접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설치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냉매유로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침지관의 일단부가 면접촉되기 위한 버링부, 및 상기 버링부와 침지관을 접합시키기 위한 제2접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버링부와 침지관의 접합면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durability Improved refrigerant pipe for ice ma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지관과 냉매관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상호 접합 시, 접합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냉매나 주변의 온도 변화에 의한 열변형됨에 따른 파손을 최소화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 탱크와,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냉각된 상태로 저장하는 냉수 탱크와,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저장하는 온수 탱크와,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부재 및,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각 탱크에 저장된 물은 취수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며, 냉온 정수기는 냉수와 얼음의 제조,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제빙 기능을 구비한 냉온 정수기는 얼음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빙용 증발기가 구비되며, 이러한 증발기는 냉매관이 구비되어 냉매가 이동됨에 따라 얼음을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냉매관은 제빙하고자 하는 제빙수에 침지되는 침지관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얼음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빙용 냉매관과 침지관은 등록특허 제10-0936691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침지관의 내부에는 냉매관의 냉매가 침지관을 거치도록 칸막이가 구비되어 침지관의 내부 저면부만 개방시켜 냉매과 거치도록 함에 따라 침지된 침지관의 외측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 칸막이는 용접부재와 함께 침지관의 내부에 거치된 후, 냉매관에 용접된 다음, 열을 가하여 용접부재를 용융시켜 칸막이를 고정 및 밀폐시키는 것으로, 칸막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장치나 부재가 없어 침지관 내부를 균등하게 격리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냉매의 흐름을 방해함에 따라 일정 부위에 압력이 증가되어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칸막이는 냉매관에 형성된 설치공을 통해 냉매관에 거치되는 것으로, 냉매관의 내부에 형성된 냉매유로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별도의 용접부재에 의해 냉매유로에 용접되어야 된다.
그러나 이러한 칸막이를 냉매관에 고정시키기 위한 용접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장치 및 부재가 없어 침지관 설치 시, 위치가 변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용접부재의 위치가 변동되면, 냉매관이나 침지관과 고정 및 밀폐되어야 될 칸막이를 용이하게 고정 및 밀폐시키지 못해 이동되는 냉매를 침지관의 내부 저면부까지 유도하지 못해 제빙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냉매관과 침지관의 접촉면은 냉매관의 두께나 침지관의 두께에 해당되는 면만큼의 접촉됨에 따라 열변화나 외부 충격 등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냉매관에 형성된 다수의 설치공 가장자리를 따라 버링부를 형성하고, 이 버링부와 면접촉되도록 침지관을 설치하여 상호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냉매관과 침지관 및 유로칸막이가 상호 접촉되는 부위에 겔(gel)상태의 제1접합부재와 제2접합부재를 도포하여 가열함에 따라 상호 접합시켜 종래 열접합에 따른 열 및 두께 변화 등의 변형을 방지하여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냉매가 이동되기 위한 냉매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면이 동일한 폭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냉매관, 상기 냉매관의 각 설치공에 설치되도록 다수 개 구비되며,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제빙공간부를 갖고, 제빙을 위한 제빙수에 침지되는 침지관, 상기 각 침지관 제빙공간부의 타단부만 연통시키고, 침지관의 개방된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냉매관의 냉매유로를 구획함에 따라 냉매가 상기 제빙공간부의 타단부를 통해 다시 냉매유로로 이동시키는 유로칸막이, 상기 유로칸막이를 상기 침지관과 냉매관에 접합시키기 위한 제1접합부재, 및 상기 유로칸막이가 설치된 침지관을 상기 냉매관에 설치하되, 상기 침지관의 제빙공간부와 상기 냉매관의 냉매유로를 연통된 상태로 접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설치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냉매유로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침지관의 일단부가 면접촉되기 위한 버링부, 및 상기 버링부와 침지관을 접합시키기 위한 제2접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버링부와 침지관의 접합면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매관과 침지관 및 유로칸막이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관은, 조관 파이프 또는 심레스(seamless) 파이프이다.
또한, 상기 냉매관과 침지관은, 전해연마와 도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면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접합부재는, BNi 페이스트(니켈 페이스트)며, 상기 유로칸막이와 침지관의 제빙공간부 내주면이 접촉하는 부위 또는 유로칸막이와 상기 냉매관의 냉매유로 내주면이 접촉하는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도포되고, 가열됨에 따라 접합된다.
또한, 상기 버링부의 내주 직경은 상기 냉매관의 냉매유로의 폭 길이가 동일하고, 상기 버링부의 내주면과 상기 침지관의 일단부 외주면이 면접촉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접합부재는, BNi 페이스트(니켈 페이스트)며, 상기 버링부의 내주면과 침지관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부위 또는 상기 버링부의 단부가 침지관에 접촉되는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도포되고, 가열됨에 따라 접합된다.
또한, 냉매가 이동되기 위한 냉매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면이 동일한 폭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일면에 다수의 설치공을 갖되, 상기 설치공은 상기 냉매유로의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냉매관을 제작하는 냉매관 제작단계, 상기 냉매관의 각 설치공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냉매유로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버링부를 형성하는 버링부 성형단계,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제빙공간부를 갖고, 제빙수에 침지되도록 상기 각 버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침지관을 제작하는 침지관 제작단계, 상기 각 침지관 제빙공간부의 타단부만 연통시키기 위한 유로칸막이를 상기 침지관에 설치하되, 제1접합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유로칸막이 설치단계, 상기 유로칸막이가 설치된 침지관을 냉매관에 설치하되, 제2접합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침지관 설치단계, 상기 다수의 침지관이 거치된 냉매관을 가열시켜 상기 제1접합부재와 제2접합부재를 녹이는 가열단계, 및 상기 가열된 냉매관을 냉각시킴에 따라 녹았던 제1접합부재는 유로칸막이를 침지관과 냉매관에 접합시키고, 녹았던 제2접합부재는 침지관과 버링부를 접합시켜 유로칸막이와 침지관, 냉매관을 상호 접합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로칸막이 설치단계는, 상기 각 침지관 제빙공간부의 타단부만 연통시키고, 침지관의 개방된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유로칸막이를 거치시키는 유로칸막이 거치단계, 및 상기 침지관에 거치된 유로칸막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접합부재를 도포하는 제1접합부재 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접합부재 도포단계에서 제1접합부재는 상기 침지관의 제빙공간부에 위치된 상기 유로칸막이의 가장자리에 도포되고, 상기 가열단계에서 상기 각 침지관이 위치된 냉매관이 하측에 위치되도록 수납하여 가열함에 따라, 상기 제1접합부재가 녹아 유로칸막이의 돌출된 일단부 가장자리와 냉매관의 냉매유로 내측면이 접촉하는 부위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냉각단계에서 도포된 제1접합부재가 냉각되어 유로칸막이와 침지관 및 냉매관을 상호 접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로칸막이 설치단계는, 상기 각 침지관 제빙공간부의 타단부만 연통시키고, 침지관의 개방된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유로칸막이가 상기 제빙공간부의 내주면과 상기 냉매관의 냉매유로와 접촉되는 부분에 제1접합부재를 도포하는 제1접합부재 도포단계, 및 상기 제1접합부재가 도포된 유로칸막이를 상기 침지관의 제빙공간부로 끼워 거치시키는 유로칸막이 거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침지관 설치단계는, 상기 유로칸막이가 거치된 각 침지관을 상기 각 버링부에 거치시키는 침지관 거치단계, 및 상기 버링부의 단부가 위치된 상기 침지관의 외주면을 따라 제2접합부재를 도포하는 제2접합부재 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침지관 설치단계는, 상기 유로칸막이가 거치된 각 침지관과 해당 버링부가 접촉되는 부위에 제2접합부재를 도포하는 제2접합부재 도포단계, 및 상기 제2접합부재가 도포된 침지관을 상기 버링부에 거치시키는 침지관 거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침지관이 버링부에 끼워짐에 따라 냉매관과의 접촉면을 증가시킨 상태로 상호 접합시킴에 따라, 접합력을 향상시키고, 냉매나 주변의 온도 변화에 의한 열변형됨에 따른 파손을 최소화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침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침지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관 침지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침지부 제조방법에 따른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침지부 제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침지부 제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침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침지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관 침지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침지부 제조방법에 따른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침지부 제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침지부 제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용 침지부(10)는 냉매관(100)과 침지관(200), 유로칸막이(300), 제1접합부재(400) 및 고정부재(500)으로 구성된다.
냉매관(100)은 냉매가 이동되기 위한 냉매유로(110)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면이 동일한 폭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며, 이 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설치공(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평평한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설치공(120)은 냉매유로(110)와 연통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침지관(200)은 냉매관(100)의 각 설치공(120)에 설치되도록 다수 개 구비되며,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제빙공간부(210)를 갖고, 제빙을 위한 제빙수(미 도시)에 침지된다.
다시 말해, 제빙수에 침지되는 침지관(200)은 냉매유로(1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제빙공간부(210)로 이동되는 것으로, 이 냉매에 의해 제빙수가 침지관(200) 외면에 결빙됨에 따라 얼음이 만들어진다.
유로칸막이(300)는 각 침지관(200) 제빙공간부(210)의 타단부만 연통시키도록 구비되어 냉매유로(1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제빙공간부(210)의 연통된 타단부를 거쳐 다시 냉매유로(110)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로칸막이(300)는 침지관(200)의 개방된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냉매관(100)의 냉매유로(110)를 구획함에 따라 냉매가 제빙공간부(210)의 타단부를 통해 다시 냉매유로(110)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접합부재(400)은 유로칸막이(300)를 침지관(200)과 냉매관(100)에 접합시키게 되고, 고정수단(500)은 유로칸막이(300)가 설치된 침지관(200)을 냉매관(100)에 설치하되, 침지관(200)의 제빙공간부(210)와 냉매관(100)의 냉매유로(110)를 연통시키게 된다.
여기서, 냉매관(100)과 침지관(200) 및 유로칸막이(300)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되고, 냉매관(100)은 조관 파이프 또는 심레스(seamless) 파이프로 제작된다.
그리고 냉매관(100)과 침지관(200)은 전해연마와 도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면처리된다.
다시 말해, 냉매관(100)과 침지관(200)은 전해연마만 되던지, 도금만 될 수 있으며, 또는 전해연마 후 도금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금은 니켈이나 크롬 등이 사용된다.
또한 제1접합부재(400)은 BNI 페이스트(니켈 페이스트)이며, 유로칸막이(300)와 침지관(200)의 제빙공간부(210) 내주면이 접촉하는 부위 또는 유로칸막이(300)와 냉매관(100)의 냉매유로(110) 내주면이 접촉하는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도포된다.
다시 말해, 제1접합부재(400)은 유로칸막이(300)의 상단부와 양측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도포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접합부재(400)은 페이스트임에 따라 도포가 가능하며, 열이 가해질 경우, 녹아 유로칸막이(300)와 침지관(200)의 제빙공간부(210) 내주면이 접촉하는 부위 또는 유로칸막이(300)와 냉매관(100)의 냉매유로(110)와 접촉하는 부위 중 도포된 부위에 틈이 없도록 스며든 후, 냉각되면 굳어서 상호 접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수단(500)은 버링부(510)와 제2접합부재(520)으로 구성된다.
먼저, 버링부(510)는 설치공(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되, 냉매유로(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침지관(200)의 일단부가 면접촉되는 것이다.
제2접합부재(520)은 버링부(510)와 침지관(200)을 접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버링부(510)와 침지관(200)의 접합면을 증가시킴에 따라 상호 접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여기서, 버링부(510)의 내주 직경은 냉매관(100)의 냉매유로(110)의 폭 길이가 동일하고, 버링부(510)의 내주면과 침지관(200)의 일단부 외주면이 면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버링부(510)의 돌출높이(t1)는 냉매관(100)의 두께(t)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일 실시 예로, 냉매관(100)의 두께(t)보다 약 1.5 ~ 2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접합부재(520)은 BNI 페이스트(니켈 페이스트)이며, 버링부(510)의 내주면과 침지관(200)의 외주면이 접촉하는 부위에 도포된다.
이러한 제2접합부재(520)은 페이스트임에 따라 도포가 가능하며, 열이 가해질 경우, 녹아 버링부(510)의 내주면과 침지관(200)의 외주면이 접촉하는 부위에 틈이 없도록 스며든 후, 냉각되면 굳어서 상호 접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빙용 침지부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관 제작단계(S10)와 버링부 성형단계(S20), 침지관 제작단계(S30), 유로칸막이 설치단계(S40), 침지관 설치단계(S50), 가열단계(S60) 및 냉각단계(S70)로 구성된다.
냉매관 제작단계(S10)는 냉매가 이동되기 위한 냉매유로(110)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면이 동일한 폭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며, 이 일면에 다수의 설치공(120)을 갖되, 설치공(120)은 냉매유로(110)의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냉매관(100)을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버링부 성형단계(S20)는 냉매관(100)의 각 설치공(120) 가장자리를 따라 냉매유로(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버링부(510)를 형성하게 된다.
침지관 제작단계(S30)는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제빙공간부(210)를 갖고, 제빙수에 침지되도록 각 버링부(510)에 설치되는 다수의 침지관(200)을 제작하는 것이다.
또한 유로칸막이 설치단계(S40)는 각 침지관(200) 제빙공간부(210)의 타단부만 연통시키기 위한 유로칸막이(300)를 침지관(200)에 설치하되, 제1접합부재(400)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침지관 설치단계(S50)는 유로칸막이(300)가 설치된 침지관(200)을 냉매관(100)에 설치하되, 제2접합부재(520)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가열단계(S60)는 다수의 침지관(200)이 거치된 냉매관(100)을 가열시켜 제1접합부재(400)와 제2접합부재(520)를 녹이게 된다.
냉각단계(S70)는 가열된 냉매관(100)을 냉각시킴에 따라 녹았던 제1접합부재(400)은 유로칸막이(300)를 침지관(200)과 냉매관(100)에 접합시키고, 녹았던 제2접합부재(520)는 침지관(200)과 버링부(510)를 접합시켜 유로칸막이(300)와 침지관(200), 냉매관(100)을 상호 접합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 예로, 유로칸막이 설치단계(S40)는 유로칸막이 거치단계(S41)와 제1접합부재 도포단계(S42)로 구성된다.
유로칸막이 거치단계(S41)는 각 침지관(200) 제빙공간부(210)의 타단부만 연통시키고, 침지관(200)의 개방된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유로칸막이(300)를 거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접합부재 도포단계(S42)는 침지관(200)에 거치된 유로칸막이(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접합부재(400)를 도포하게 된다.
또한 침지관 설치단계(S50)는 침지관 거치단계(S51)와 제2접합부재 도포단계(S52)로 구성된다.
침지관 거치단계(S51)는 유로칸막이(300)가 거치된 각 침지관(200)을 각 버링부(510)에 거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접합부재 도포단계(S52)는 버링부(510)의 단부가 위치된 침지관(200)의 외주면을 따라 제2접합부재(520)를 도포하게 된다.
여기서, 제1접합부재 도포단계(S42)에서 제1접합부재(400)는 침지관(200)의 제빙공간부(210)에 위치된 유로칸막이(300)의 가장자리에 도포되고, 가열단계(S60)에서 각 침지관(200)이 위치된 냉매관(100)이 하측에 위치되도록 수납하여 가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접합부재(400)가 녹아 유로칸막이(300)의 돌출된 일단부 가장자리와 냉매관(100)의 냉매유로(110) 내측면이 접촉하는 부위를 따라 이동되며, 냉각단계(S70)에서 도포된 제1접합부재(400)가 냉각되어 유로칸막이(300)와 침지관(200) 및 냉매관(100)을 상호 접합시키게 된다.
한편, 제2접합부재 도포단계(S52)에서 제2접합부재(520)는 유로칸막이(300가 거치된 각 침지관(200)과 해당 버링부(510)가 접촉되는 부위에 도포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 유로칸막이 설치단계(S40')는 제1접합부재 도포단계(S41')와 유로칸막이 거치단계(S42')로 구성된다.
제1접합부재 도포단계(S41')는 각 침지관(200) 제빙공간부(210)의 타단부만 연통시키고, 침지관(200)의 개방된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유로칸막이(300)가 제빙공간부(210)의 내주면과 냉매관(100)의 냉매유로(110)와 접촉되는 부분에 제1접합부재(400)를 도포하게 된다.
그리고 유로칸막이 거치단계(S42')는 제1접합부재(400)가 도포된 유로칸막이(300)를 침지관(200)의 제빙공간부(210)로 끼워 거치시키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침지관 설치단계(S50')는 제2접합부재 도포단계(S51')와 침지관 거치단계(S52')로 구성된다.
제2접합부재 도포단계(S51')는 유로칸막이(300)가 거치된 각 침지관(200)과 해당 버링부(510)가 접촉되는 부위에 제2접합부재(520)를 도포하게 된다.
그리고 침지관 거치단계(S52')는 제2접합부재(520)가 도포된 침지관(200)을 버링부(510)에 거치시켜 유도칸막이(300)가 거치된 침지관(200)을 냉매관(100)에 거치시키게 된다.
물론, 제2접합부재 도포단계(S52')에서 제2접합부재(520)는 버링부(510)의 단부가 위치된 침지관(200)의 외주면에만 도포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접합부재(400)와 제2접합부재(520)는 BNi 페이스트(니켈 페이스트)임에 따라 도포가 가능하다.
10 : 제빙용 침지부 100 : 냉매관
110 : 냉매유로 120 : 설치공
200 : 침지관 210 : 제빙공간부
300 : 유로칸막이 400 : 제1접합부재
500 : 고정수단 510 : 버링부
520 : 제2접합부재

Claims (13)

  1. 냉매가 이동되기 위한 냉매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면이 동일한 폭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냉매관;
    상기 냉매관의 각 설치공에 설치되도록 다수 개 구비되며,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제빙공간부를 갖고, 제빙을 위한 제빙수에 침지되는 침지관;
    상기 각 침지관 제빙공간부의 타단부만 연통시키고, 침지관의 개방된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냉매관의 냉매유로를 구획함에 따라 냉매가 상기 제빙공간부의 타단부를 통해 다시 냉매유로로 이동시키는 유로칸막이;
    상기 유로칸막이를 상기 침지관과 냉매관에 접합시키기 위한 제1접합부재; 및
    상기 유로칸막이가 설치된 침지관을 상기 냉매관에 설치하되, 상기 침지관의 제빙공간부와 상기 냉매관의 냉매유로를 연통된 상태로 접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설치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냉매유로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침지관의 일단부가 면접촉되기 위한 버링부; 및
    상기 버링부와 침지관을 접합시키기 위한 제2접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버링부와 침지관의 접합면을 증가시키고,
    상기 냉매관과 침지관 및 유로칸막이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되며,
    상기 냉매관은, 조관 파이프 또는 심레스(seamless)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과 침지관은,
    전해연마와 도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표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부재는,
    BNi 페이스트(니켈 페이스트)며, 상기 유로칸막이와 침지관의 제빙공간부 내주면이 접촉하는 부위 또는 유로칸막이와 상기 냉매관의 냉매유로 내주면이 접촉하는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도포되고, 가열됨에 따라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부의 내주 직경은 상기 냉매관의 냉매유로의 폭 길이가 동일하고, 상기 버링부의 내주면과 상기 침지관의 일단부 외주면이 면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합부재는,
    BNi 페이스트(니켈 페이스트)며, 상기 버링부의 내주면과 침지관의 외주면이 접촉되는 부위 또는 상기 버링부의 단부가 침지관에 접촉되는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도포되고, 가열됨에 따라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8. 냉매가 이동되기 위한 냉매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면이 동일한 폭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일면에 다수의 설치공을 갖되, 상기 설치공은 상기 냉매유로의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냉매관을 제작하는 냉매관 제작단계;
    상기 냉매관의 각 설치공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냉매유로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버링부를 형성하는 버링부 성형단계;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제빙공간부를 갖고, 제빙수에 침지되도록 상기 각 버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침지관을 제작하는 침지관 제작단계;
    상기 각 침지관 제빙공간부의 타단부만 연통시키기 위한 유로칸막이를 상기 침지관에 설치하되, 제1접합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유로칸막이 설치단계;
    상기 유로칸막이가 설치된 침지관을 냉매관에 설치하되, 제2접합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침지관 설치단계;
    상기 다수의 침지관이 거치된 냉매관을 가열시켜 상기 제1접합부재와 제2접합부재를 녹이는 가열단계; 및
    상기 가열된 냉매관을 냉각시킴에 따라 녹았던 제1접합부재는 유로칸막이를 침지관과 냉매관에 접합시키고, 녹았던 제2접합부재는 침지관과 버링부를 접합시켜 유로칸막이와 침지관, 냉매관을 상호 접합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칸막이 설치단계는,
    상기 각 침지관 제빙공간부의 타단부만 연통시키고, 침지관의 개방된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유로칸막이를 거치시키는 유로칸막이 거치단계; 및
    상기 침지관에 거치된 유로칸막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접합부재를 도포하는 제1접합부재 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제조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합부재 도포단계에서 제1접합부재는 상기 침지관의 제빙공간부에 위치된 상기 유로칸막이의 가장자리에 도포되고,
    상기 가열단계에서 상기 각 침지관이 위치된 냉매관이 하측에 위치되도록 수납하여 가열함에 따라, 상기 제1접합부재가 녹아 유로칸막이의 돌출된 일단부 가장자리와 냉매관의 냉매유로 내측면이 접촉하는 부위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냉각단계에서 도포된 제1접합부재가 냉각되어 유로칸막이와 침지관 및 냉매관을 상호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칸막이 설치단계는,
    상기 각 침지관 제빙공간부의 타단부만 연통시키고, 침지관의 개방된 일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유로칸막이가 상기 제빙공간부의 내주면과 상기 냉매관의 냉매유로와 접촉되는 부분에 제1접합부재를 도포하는 제1접합부재 도포단계; 및
    상기 제1접합부재가 도포된 유로칸막이를 상기 침지관의 제빙공간부로 끼워 거치시키는 유로칸막이 거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제조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에 있어서, 상기 침지관 설치단계는,
    상기 유로칸막이가 거치된 각 침지관을 상기 각 버링부에 거치시키는 침지관 거치단계; 및
    상기 버링부의 단부가 위치된 상기 침지관의 외주면을 따라 제2접합부재를 도포하는 제2접합부재 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제조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1에 있어서, 상기 침지관 설치단계는,
    상기 유로칸막이가 거치된 각 침지관과 해당 버링부가 접촉되는 부위에 제2접합부재를 도포하는 제2접합부재 도포단계; 및
    상기 제2접합부재가 도포된 침지관을 상기 버링부에 거치시키는 침지관 거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제조방법.
KR1020130031038A 2013-03-22 2013-03-22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038A KR101332216B1 (ko) 2013-03-22 2013-03-22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038A KR101332216B1 (ko) 2013-03-22 2013-03-22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216B1 true KR101332216B1 (ko) 2013-11-22

Family

ID=4985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038A KR101332216B1 (ko) 2013-03-22 2013-03-22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2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268B1 (ko) * 2014-01-23 2015-09-07 (주) 에타 제빙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1500A (ko) * 2016-08-22 2018-03-05 주식회사 태성 냉매와 직접접촉방식으로 제빙과 냉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증발기의 제조방법
KR101855672B1 (ko) * 2017-02-22 2018-05-09 (주) 에타 제빙기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제빙기
KR101844043B1 (ko) 2016-11-10 2018-05-14 (주)에쏘 얼음 생성유닛
KR101859953B1 (ko) * 2016-09-22 2018-05-21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얼음 제조 장치
KR20180128698A (ko) * 2017-05-24 2018-12-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KR20190026405A (ko) * 2017-09-05 2019-03-13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057A (ko) * 2007-11-22 2009-05-27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20100086568A (ko) * 2009-01-23 2010-08-02 양영호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200457271Y1 (ko) * 2010-09-29 2011-12-16 주식회사 태성 제빙용 침지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057A (ko) * 2007-11-22 2009-05-27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20100086568A (ko) * 2009-01-23 2010-08-02 양영호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200457271Y1 (ko) * 2010-09-29 2011-12-16 주식회사 태성 제빙용 침지부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268B1 (ko) * 2014-01-23 2015-09-07 (주) 에타 제빙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1500A (ko) * 2016-08-22 2018-03-05 주식회사 태성 냉매와 직접접촉방식으로 제빙과 냉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증발기의 제조방법
KR101871741B1 (ko) * 2016-08-22 2018-06-27 주식회사 태성 냉매와 직접접촉방식으로 제빙과 냉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증발기의 제조방법
KR101859953B1 (ko) * 2016-09-22 2018-05-21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얼음 제조 장치
KR101844043B1 (ko) 2016-11-10 2018-05-14 (주)에쏘 얼음 생성유닛
KR101855672B1 (ko) * 2017-02-22 2018-05-09 (주) 에타 제빙기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제빙기
KR20180128698A (ko) * 2017-05-24 2018-12-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KR102538570B1 (ko) * 2017-05-24 2023-05-31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KR20190026405A (ko) * 2017-09-05 2019-03-13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KR102581580B1 (ko) * 2017-09-05 2023-09-22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21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6691B1 (ko) 제빙용 냉매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649916B1 (ko) 냉장고용 물탱크 및 그 제조방법과 냉장고용 물탱크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332217B1 (ko) 경첩유로칸막이를 갖는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ITTO20000655A1 (it) Piatra di evaporazione per macchine per la produzione del ghiaccio.
KR100938642B1 (ko)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20210003525A (ko)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KR200457271Y1 (ko) 제빙용 침지부
JP2017022374A (ja) コールドプ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44840B1 (ko)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US9951501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plastic water channel main body of temperature regulating faucet
KR20160149022A (ko) 냉매 유로 일체형 제빙 트레이 및 방법
KR101810206B1 (ko)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를 적용한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방법
EP1549898A1 (en)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anufacturing refrigerant tube of the same
KR101459002B1 (ko) 제빙기용 증발기 및 그 제조방법
US20150102716A1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10815A (ko) 증발기 제조방법
JP2008304101A (ja) 製氷皿
CN105636415A (zh) 新型水冷散热板
KR20160082645A (ko) 제빙기
JP2016036956A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の内蔵部品の取付構造
KR101550268B1 (ko) 제빙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1741B1 (ko) 냉매와 직접접촉방식으로 제빙과 냉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증발기의 제조방법
CN205726815U (zh) 新型水冷散热板
KR102010889B1 (ko) 냉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