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642B1 -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642B1
KR100938642B1 KR1020070119692A KR20070119692A KR100938642B1 KR 100938642 B1 KR100938642 B1 KR 100938642B1 KR 1020070119692 A KR1020070119692 A KR 1020070119692A KR 20070119692 A KR20070119692 A KR 20070119692A KR 100938642 B1 KR100938642 B1 KR 100938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evaporation tube
form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057A (ko
Inventor
히데오 나까조
양영호
Original Assignee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9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64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은,
상부부재(110)와; 상기 상부부재(110)에 합쳐져 냉매 순환통로를 형성하는 하부부재(120)와; 상기 하부부재(120)의 구멍(124)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빙돌기(130)와; 상기 제빙돌기(130)의 개방부로 넣어지되 일부는 상기 상부부재(110)의 요입장홈(112)을 가로질러 냉매순환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부(142)를 이루고, 일부는 상기 제빙돌기(130)내부로 넣어져 제빙돌기(130)의 공간을 구분하는 판부(144)로 이루어진 안내격판(140)을 포함하여서 되며, 상기 제빙돌기의 제빙위치를 제외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로 이루어진 증발관의 전체에 걸쳐 단열 코팅되는 것이다.
본 발명 증발관은 제빙위치외 표면적에서의 불필요한 냉열손실에 따른 압축에너지 증가의 문제점을 개선하며, 압축에너지의 증가로 인하여 양질의 얼음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제빙기 전체적인 제빙효율을 개선하며,조립성, 생산성이 향상된 증발관을 제공한다.
제빙기,증발관.

Description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Evaporater in i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증발관의 제조과정의 조립성을 개선하고, 제빙효율을 개선한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첨부 도면 도 1은 종래 증발관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따르는 종래 증발관은 수평상태에서 지그재그를 이루는 증발코일을 구성하고 여러개의 제빙돌기를 저부로 돌출시켜 실제 제빙기에 설치시에는 물이 채워진 제빙접시의 위에 제빙돌기가 아래를 향하여 침수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빙돌기들은 증발관의 내부 공간을 따라 순환되는 냉매의 증발열이 제빙돌기에 냉기를 전도시켜 제빙돌기 주위에 얼음을 형성하는 것으로, 목적하는 제빙상태가 완료되면, 냉매의 순환방향을 반대로 하여 증발작용대신 응축작용토록 하거나, 또는 일부의 응축가스를 증발관에 투입 시켜서, 증발관 전체의 온도를 빙점 이상으로 상승 시켜, 순간적으로 제빙된 얼음을 분리시킨다.
이러한 제빙과정에서 증발코일과 제빙돌기는 냉매에 의한 냉기가 물의 열을 빼앗아 제빙돌기 주위에 소정의 얼음을 형성하지만 이 제빙돌기외에 증발관(증발코일)의 하부는 물론 상부의 전체에 걸쳐 얼음을 형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빙접시의 물속에 침수된 제빙돌기만에 얼음이 형성되도록 제빙돌기와 증발관은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에 침수되지 않는 증발관의 상층부에서도 냉기가 형성되므로서 일부 제빙접시의 물이 기화되어 제빙접시 상부의 공간을 통하여 증발관의 주위에 서리처럼 얼음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빙돌기외의 증발관의 얼음형성은 결국 제빙돌기의 얼음 형성을 지연시켜 제빙돌기의 얼음이 형성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냉매의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냉매의 반복순환에 따른 압축에너지가 증가하는 문제점은 물론 이로 인하여 양질의 얼음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수반하며, 결국 제빙기 전체적으로 제빙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며, 증발관에 불필요하게 형성된 두꺼운 얼음층을 반복적으로 녹여주어야 하는 제빙기 관리상의 단점도 있다.
한편, 제빙돌기를 포함한 증발관의 제조과정에서 종래에는 원형단면의 파이프의 저부에 소정구조의 제빙돌기를 결합하기 위하여 브레이징등의 여러가지 결합방법이 사용되나, 하나의 증발관 제작에 따른 용접 및 파이프가공상의 작업성이 복잡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내격판을 마련한 제빙돌기와, 이 제빙돌기를 구비한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로서 조립,결합되는 증발관을 제공하고자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빙부외의 표면적에서의 불필요한 냉열손실에 의한 압축에너지 증가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압축에너지의 증가로 인하여 양질의 얼음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제빙기 전체적인 제빙효율을 개선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립성이 개선되고, 생산성이 향상된 증발관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형의 증발코일에 제빙돌기를 형성하는 경우는 물론 다이캐스팅법으로 제조된 증발관에 소정의 단열코팅을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은,
전체적으로 일측단을 길게 연장하되 동 연장단의 가운데를 돌출시켜 사각의 요입장홈을 이루도록 하고, 이 요입장홈의 상,하 양측은 이보다 낮게 평판부를 이루며, 이 평판부의 각각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절곡부를 형성하여서 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평판부에 합쳐져 상기 요입장홈이 냉매 순환통로를 형성하는 평판부를 이루고, 이 평판부의 양단은 상기 절곡부에 대응하는 절곡부를 형성하며, 이 평판부의 소정위치에는 구멍이 형성된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이 구멍에 걸리는 테두리를 상단부에 형성하되 상부는 개방부를 이루고 하부는 바닥부를 형성한 원통형의 제빙돌기와; 상기 제빙돌기의 상부 개방 부로 넣어지되 일부는 상기 상부부재의 요입장홈을 가로질러 냉매순환통로를 차단하는 상부이고, 일부는 상기 제빙돌기의 상방에서 넣어져 제빙돌기의 공간을 구분하는 안내격판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증발관으로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은 제빙돌기의 제빙위치를 제외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로 이루어진 증발관의 외부에 걸쳐 단열 코팅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의 상기 증발관은 스테인레스 금속 판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은 다이캐스팅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은,
안내격판을 공간내에 삽입한 제빙돌기를 하부부재의 구멍에 끼운 뒤 상부부재의 하방에서 용접하는 조립공정; 및
상기 용접된 증발관의 구조에서 제빙돌기를 제외한 증발관의 전체에 걸쳐 단열코팅이 이루어지는 단열코팅공정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중 조립공정은,
증발관의 상부를 이루도록 전체적으로 일측단을 길게 연장하되 동 연장단의 가운데에 돌출된 사각의 요입장홈과, 이 요입장홈의 상,하 양측보다 낮게 형성된 평판부를 이루는 상부부재 형성단계와,
증발관의 하부를 이루도록 평판부의 양단을 하방으로 절곡하고, 평판부의 소정위치에는 구멍이 천공된 하부부재 형성단계와,
원통형의 상부는 상기 구멍에 걸리도록 테두리를 형성하고 하방은 바닥을 형성한 제빙돌기 형성단계와,
상기 제빙돌기의 공간내에 넣어져 제빙돌기내부 공간을 구분하도록 판상몸체를 이루며, 이 몸체의 상단은 상기 테두리에 걸리는 걸림부를 형성한 안내격판형성단계와,
상기 안내격판을 제빙돌기에, 제빙돌기를 하부부재에, 하부부재를 상부부재에 차례로 조립한 뒤 상,하부부재의 맞접촉부분에 용재를 바르고 상,하부부재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조립성을 개선하고, 단열코팅으로 인하여 종래에 비하여 제빙효율이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안내격판을 마련한 제빙돌기와, 이 제빙돌기를 구비한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로서 조립,결합되는 증발관을 제공하므로서 조립성이 개선되고, 생산성이 향상된 증발관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제빙부외의 표면적에서의 불필요한 냉열손실에 의한 압축에너지 증가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양질의 얼음을 형성하도록 하며, 제빙기 전체적으로 제빙효율을 개선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증발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제빙기의 증발관의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의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은 크게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와, 제빙돌기(130)와, 안내격판(140)으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의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에서 상기 상부부재(110)는 전체적으로 일측단을 길게 연장하되 동 연장단의 가운데를 돌출시켜 사각의 요입장홈(112)을 이루도록 하고, 이 요입장홈(112)의 상,하 양측은 이보다 낮게 평판부(114)를 이루며, 이 평판부(114)의 각각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절곡부(115)를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하부부재(120)는 상기 상부부재(110)의 평판부(114)에 합쳐져 상기 요입장홈(112)이 냉매 순환통로를 형성하는 평판부(122)를 이루고, 이 평판부(122)의 양단은 상기 절곡부(115)에 대응하는 절곡부(125)를 형성하며, 이 평판부(122)의 소정위치에는 구멍(124)을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제빙돌기(130)는 상기 하부부재(120)의 구멍(124)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이 구멍(124)에 걸리는 테두리(132)를 상단부에 형성하되 상부 개방부를 이루 고 하부는 바닥부를 형성하여 개방부로 부터 바닥부까지 원통형의 공간(134)을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안내격판(140)은 제빙돌기(130)의 개방부로 넣어지되 일부는 상기 상부부재(110)의 요입장홈(112)을 가로질러 냉매순환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부(142)를 이루고, 일부는 상기 제빙돌기(130)내부로 넣어져 제빙돌기(130)의 공간을 구분하는 판부(144)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진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은 상기 안내격판(140)을 제빙돌기(130)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부부재(120)의 구멍(124)에 압입하여 넣어진 제빙돌기(130) 일체의 하부부재(120)와 상부부재(110)를 결합하여서 조립된다.
이때 상,하부부재(110)(120)끼리 접속된 경계부분은 로중에서 브레이징 용접한다.
특히, 상기 제빙돌기의 제빙위치를 제외한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로 이루어진 증발관은 누설검사후 전체에 걸쳐 단열 코팅하며, 여러 방법이 가능하다.
상기 증발관은 스테인레스판재를 드로잉 성형하여서 된다.
상기 증발관은 다이캐스팅법으로도 실시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 증발관 제조공정은 크게 안내격판(140))을 공간내에 삽입한 제빙돌기(130)를 하부부재(120)의 구멍에 압입한 뒤 상부부재(110)의 하방에서 용접하는 조립공정(가)과 상기 용접된 증발관의 구조에서 제빙돌기를 제외한 증발관의 전체에 걸쳐 단열코팅이 이루어지는 단열코팅공정(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공정(가)은 구체적으로 상부부재 형성단계, 하부부재 형성단계와, 제빙돌기 형성단계와, 안내격판 형성단계와, 용접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부부재 형성단계는,
증발관의 상부를 이루도록 전체적으로 일측단을 길게 연장하되 동 연장단의 가운데에 돌출된 사각의 요입장홈과, 이 요입장홈의 상,하 양측보다 낮게 형성된 평판부를 이루도록 스테인레스판재를 드로잉성형하여서 된다.
하부부재 형성단계는,
증발관의 하부를 이루도록 평판부의 양단을 절곡하고, 평판부의 소정위치에는 구멍을 천공하며, 역시 스테인레스 판재를 드로잉성형 하여서 된다.
제빙돌기 형성단계는 원통형의 상부는 상기 구멍에 걸리도록 테두리를 형성하고 하방은 바닥을 형성하여서 된다.
안내격판 형성단계는 상기 제빙돌기의 공간내에 넣어져 제빙돌기내부 공간을 구분하도록 판상몸체를 이루며, 이 몸체의 상단은 상기 테두리에 걸리는 걸림부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각부재들중 상기 안내격판(140)은 제빙돌기(130)에 넣어 그 위치를 고정시키고, 이 제빙돌기(130)는 다시 하부부재(120)의 구멍(124)에 압입 조립한 뒤 하부부재(120)를 상부부재(110)에 대응시킨 뒤 상,하부부재(110)(120)의 대응접촉부분에 용접재를 도포한 뒤 로중에서 브레이징 용접하여서 된다.
단열코팅공정(나)은 앞에서 조립과 용접 및 누설검사가 끝난 증발관의 제빙 부를 제외한 부분을 단열코팅하는 것이다.
단열코팅을 하므로서 유해물질 규제로 부터 해제되며, 저가형 제빙용 증발기를 제조가능하게 되며, 동 표면에 크롬 도금을 하던 것을 스테인레스 소재로 성형하게 되며, 제빙돌기이외의 모든 부분을 열전달율이 낮은 합성수지(SUS:열전달계수 12kcal/m.℃,합성수지: 0.01~0.1kcal/m.℃)로 단열 코팅처리하므로서 냉열손실면적을 줄이게 되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5a,5b는 본 발명 제빙기 증발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 제빙기 증발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a는 본 발명 증발관 제빙기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5b는 스테인레스판재를 상,하부부재로 하여 제조된 증발관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을 파이프형상의 증발코일의 저부에 구멍을 형성한 뒤 그에 맞게 격판과 제빙돌기를 드로잉 성형한 뒤 격판을 내장한 제빙돌기를 브레이징 용접한 예를 나타낸다.
그외에도 본 발명은 여러가지의 재료에 따라 파이프형의 증발코일 혹은 상,하부부재에 의한 결합 방법등의 실시가 가능하며 제빙기의 효율등을 감안하여 제빙기의 능력에 맞추어 설게변경하여 실시가능하며, 변경하여 실시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증발관 및 그 제조방법의 범위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알려진 제빙기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이 적용된 제빙기의 증발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증발관의 요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증발관의 요부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5a,5b는 본 발명 제빙기 증발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 제빙기 증발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Claims (8)

  1. 삭제
  2. 제빙기의 증발관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일측단을 길게 연장하되 동 연장단의 가운데를 돌출시켜 사각의 요입장홈(112)을 이루도록 하고, 이 요입장홈(112)의 상,하 양측은 이보다 낮게 평판부(114)를 이루며, 이 평판부(114)의 각각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절곡부(115)를 형성하여서 되는 상부부재(110)와;
    상기 상부부재(110)의 평판부(114)에 합쳐져 상기 요입장홈(112)이 냉매 순환통로를 형성하는 평판부(122)를 이루고, 이 평판부(122)의 양단은 상기 절곡부(115)에 대응하는 절곡부(125)를 형성하며, 이 평판부(122)의 소정위치에는 구멍(124)이 형성된 하부부재(120)와;
    상기 하부부재(120)의 구멍(124)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이 구멍(124)에 걸리는 테두리(132)를 상단부에 형성하되 상부 개방부를 이루고 하부는 바닥부를 형성하여 개방부로 부터 바닥부까지 원통형의 공간(134)을 형성한 제빙돌기(130)를, 구멍(124)에 넣어진 제빙돌기 일체형의 하부부재를 상부부재와 결합하여 만들어 지는 제빙기의 증발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돌기(130)는 그 상부 개방부로 넣어지되 일부는 상기 상부부재(110)의 요입장홈(112)을 가로질러 냉매순환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부(142)를 이루고, 일부는 상기 제빙돌기(130)내부로 넣어져 제빙돌기(130)의 공간을 구분하는 판부(144)로 이루어진 안내격판(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증발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돌기의 제빙위치를 제외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로 이루어진 증발관의 외부에 걸쳐 단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증발관.
  5.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안내격판을 공간내에 삽입한 제빙돌기를 하부부재의 구멍에 끼운 뒤 상부부재의 하방에서 용접하는 조립공정; 및
    상기 용접된 증발관에서 제빙돌기를 제외한 상,하부부재의 전체에 걸쳐 단열코팅이 이루어지는 단열코팅공정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정은,
    증발관의 상부를 이루도록 전체적으로 일측단을 길게 연장하되 요입장홈을 형성하고, 이 요입장홈의 양측에 평판부를 형성하는 상부부재 형성단계와, 증발관의 하부를 이루도록 평판부를 형성하고, 평판부의 소정위치에 구멍이 천공된 하부부재 형성단계와,
    원통형의 상부는 상기 구멍에 걸리도록 테두리를 형성하고 하방은 바닥을 형성한 제빙돌기 형성단계와,
    상기 제빙돌기의 공간내에 넣어져 제빙돌기내부 공간을 구분하도록 판상몸체를 이루며, 이 몸체의 상단은 상기 테두리에 걸리는 걸림부를 형성한 안내격판형성단계와,
    상기 안내격판을 제빙돌기에, 제빙돌기를 하부부재에 차례로 조립한 뒤 상,하부부재의 대응 접촉부분에 용재를 바르고 상,하부부재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7. 삭제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관은 다이캐스팅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KR1020070119692A 2007-11-22 2007-11-22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100938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692A KR100938642B1 (ko) 2007-11-22 2007-11-22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692A KR100938642B1 (ko) 2007-11-22 2007-11-22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057A KR20090053057A (ko) 2009-05-27
KR100938642B1 true KR100938642B1 (ko) 2010-01-25

Family

ID=4086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692A KR100938642B1 (ko) 2007-11-22 2007-11-22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6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804A (ko) *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은성산업 간접가열방식과 직접가열방식의 탈빙히터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제빙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1816A (ko) *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은성산업 단수 또는 복수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복수 연결 시 다양한 탈빙히터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제빙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853B1 (ko) * 2009-01-23 2012-01-16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101332216B1 (ko) * 2013-03-22 2013-11-22 주식회사 태성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2217B1 (ko) * 2013-03-25 2013-11-22 주식회사 태성 경첩유로칸막이를 갖는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1741B1 (ko) * 2016-08-22 2018-06-27 주식회사 태성 냉매와 직접접촉방식으로 제빙과 냉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증발기의 제조방법
KR102644840B1 (ko) * 2016-10-31 2024-03-08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1893533B1 (ko) * 2017-09-04 2018-08-30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장치
CN108679884A (zh) * 2018-04-11 2018-10-19 常州孚华电器有限公司 制冰蒸发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7824A (ja) 1996-08-05 1998-02-20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製氷部
JPH10227548A (ja) 1997-02-13 1998-08-25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製氷部構造
KR20060036986A (ko) * 2004-10-27 2006-05-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빙기판 및 이를 구비한 제빙기
KR100845151B1 (ko) * 2007-02-02 2008-07-09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7824A (ja) 1996-08-05 1998-02-20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製氷部
JPH10227548A (ja) 1997-02-13 1998-08-25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製氷部構造
KR20060036986A (ko) * 2004-10-27 2006-05-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빙기판 및 이를 구비한 제빙기
KR100845151B1 (ko) * 2007-02-02 2008-07-09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804A (ko) *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은성산업 간접가열방식과 직접가열방식의 탈빙히터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제빙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1816A (ko) *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은성산업 단수 또는 복수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복수 연결 시 다양한 탈빙히터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제빙모듈
KR102333713B1 (ko) * 2019-11-20 2021-12-02 주식회사 은성산업 간접가열방식과 직접가열방식의 탈빙히터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제빙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2346562B1 (ko) * 2019-11-20 2022-01-05 주식회사 은성산업 복수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복수 연결 시 다양한 탈빙히터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제빙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057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642B1 (ko)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US6205807B1 (en) Low cost ice making evaporator
RU2419045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размораживателем
JP6504229B2 (ja) 製氷装置
CN101886860B (zh) 冷却器和物品储藏装置
AU2016286893B2 (en) Refrigerator
US11073323B2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WO2015029409A1 (ja) 冷蔵庫
KR101640421B1 (ko) 유로구조를 갖는 직냉방식 제빙장치
KR880001433B1 (ko) 냉장고등의 증발기
RU2259519C2 (ru) Холодильник с испарителем
CN111854275A (zh) 冰箱
JPS6050247B2 (ja) 冷凍装置
KR100820675B1 (ko) 제빙기의 증발관
KR100344802B1 (ko) 냉장고용 증발 열교환기
JPWO2019175965A1 (ja) 冷蔵庫
CN114111185A (zh) 一种冷冻柜化霜水的排水结构
KR102619014B1 (ko)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KR100357994B1 (ko) 제빙용 양면증발기
JP2003004361A (ja) 冷蔵庫
JP6976565B2 (ja) 冷蔵庫
JPH0490481A (ja) 冷蔵庫
CN112254405A (zh) 冰箱
KR20060036986A (ko) 제빙기판 및 이를 구비한 제빙기
KR20150140244A (ko) 유로구조를 갖는 직냉방식 제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