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815A - 증발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증발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815A
KR20180010815A KR1020160093524A KR20160093524A KR20180010815A KR 20180010815 A KR20180010815 A KR 20180010815A KR 1020160093524 A KR1020160093524 A KR 1020160093524A KR 20160093524 A KR20160093524 A KR 20160093524A KR 20180010815 A KR20180010815 A KR 20180010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flow
main refrigerant
tube
pipe
parti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만
최인두
이경민
이정환
문현석
홍영훈
김규준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0815A/ko
Publication of KR2018001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4Heat exchangers
    • B23K2201/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증발기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은 일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에 연결되고 타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모세관이나 팽창밸브에 연결되는 주냉매유동관과 상기 주냉매유동관에 연결되는 침지관을 포함하는 증발기를 제조하는 증발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외측은 용접에 의해서 연결되고 내측은 용융 접착제를 사용하는 브레이징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증발기 제조방법{EVAPORATO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를 제조하는 증발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발기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또는 팽창밸브와 함께 냉매가 유동하면서 상변화하는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장치이다.
증발기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나 냉수를 만드는 냉수기 등에 포함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만들거나 냉수를 만든다.
여러 종류의 증발기 중 일측은 냉동사이클의 압축기에 연결되고 타측은 내동사이클의 모세관이나 팽창밸브에 연결되는 주냉매유동관과, 주냉매유동관에 연결되는 침지관을 포함하는 증발기가 있다.
이러한 증발기는 제빙기에 포함되어, 침지관이 제빙기에 포함되는 물받이에 담긴 물에 잠긴 상태에서,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침지관 주위의 물을 빙점 이하로 냉각함으로써, 침지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한다.
종래, 이러한 증발기를 만들기 위해서, 침지관을 주냉매유동관에 연결시키는 데에, 용융 접착제를 사용하는 브레이징을 이용하였다.
즉, 침지관을 주냉매유동관에 연결하고, 침지관과 주냉매유동관의 연결 부분의 외측에 용융 접착제를 각각 도포한 상태에서, 침지관이 연결된 주냉매유동관을 용융 접착제의 용융 온도 이상이 형성된 가열로에 소정 시간 있도록 하거나, 소정 시간 통과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서, 침지관과 주냉매유동관의 연결 부분의 외측에 도포된 용융 접착제가 용융된 후 냉각되고 응고되어, 침지관과 주냉매유동관의 외측이 용융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되었다.
종래, 이러한 증발기 제조방법에서는 용융 접착제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용융 접착제에 포함된 독성물질, 예컨대 니켈 등의 중금속이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의해서, 증발기가 포함되는 제빙기 등이 독성물질에 오염되어서, 제빙기 등의 위생성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증발기가 포함되는 제빙기 등의 위생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증발기가 포함되는 제빙기 등이 독성물질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증발기에 포함되는 침지관을 주냉매유동관에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는 용융 접착제에 포함되는 독성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증발기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은 일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에 연결되고 타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모세관이나 팽창밸브에 연결되는 주냉매유동관과 상기 주냉매유동관에 연결되는 침지관을 포함하는 증발기를 제조하는 증발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외측은 용접에 의해서 연결되고 내측은 용융 접착제를 사용하는 브레이징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침지관에는 상기 주냉매유동관에 형성된 냉매유로에 연결되는 냉매유로가 형성되도록 격벽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주냉매유동관에 형성된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주냉매유동관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멍의 주위에는 상기 연결구멍으로부터 소정 길이 일정하게 돌출된 돌출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재의 하부에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통과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침지관의 하단부는 소정 간극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 및 격벽부재를 만드는 구성품 제조단계;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격벽부재에 상기 융융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상기 용융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격벽부재를 상기 침지관에 설치하는 격벽부재 설치단계; 상기 격벽부재가 설치된 침지관을 상기 연결구멍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외측을 용접하는 용접단계; 및 상기 용융 접착제가 용융되도록 하여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내측이 상기 용융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는 브레이징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 및 격벽부재를 만드는 구성품 제조단계; 상기 격벽부재를 상기 침지관에 설치하는 격벽부재 설치단계;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격벽부재에 상기 융융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상기 격벽부재가 설치된 침지관을 상기 연결구멍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외측을 용접하는 용접단계; 및 상기 용융 접착제가 용융되도록 하여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내측이 상기 용융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는 브레이징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징단계에서는 상기 용융 접착제가 용융되도록 하여 상기 격벽부재가 상기 침지관과 주냉매유동관에 상기 용융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격벽부재가 연결되는 상기 주냉매유동관의 부분과 상기 격벽부재의 상단부와 양 측단부의 중앙부에 용융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재 설치단계에서는 상기 격벽부재를 상기 침지관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침지관에 적어도 일부 삽입시켜 끼워넣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접단계에서는 상기 침지관의 개방된 일측 단부가 상기 연결구멍보다 소정 높이 높게 상기 연결구멍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냉매유동관에 탈빙용 히터를 설치하는 히터설치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에 포함되는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외측은 용접에 의해서 연결되고 내측은 용융 접착제를 사용하는 브레이징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융 접착제에 포함되는 독성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가 포함되는 제빙기 등이 독성물질에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가 포함되는 제빙기 등의 위생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의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이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의해서 제조된 증발기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구성품 제조단계에서 만들어지는 주냉매유동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증발기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의해서 제조된 증발기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3 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구성품 제조단계에서 만들어지는 주냉매유동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의해서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증발기(100)가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100)는 주냉매유동관(200)과, 주냉매유동관(200)에 연결되는 침지관(300)을 포함할 수 있다. 주냉매유동관(200)에는 복수개의 침지관(30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주냉매유동관(200)에는 하나의 침지관(300)만이 연결될 수도 있다.
주냉매유동관(200)의 일측은 냉동사이클(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주냉매유동관(200)의 일측은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압축기에 연결될 수 있다.
주냉매유동관(200)의 타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모세관(도시되지 않음)이나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주냉매유동관(200)의 타측은 연결관에 의해서 모세관이나 팽창밸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냉매유동관(200)에 형성된 냉매유로(PR1)에 냉동사이클에서 유동하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연결관은 용접에 의해서 주냉매유동관(200)의 일측이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관은 레이저 용접이나 티그 용접 등에 의해서 주냉매유동관(200)의 일측이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관이 주냉매유동관(200)에 연결되는 용접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용접방법에 의해서도 연결될 수 있다.
침지관(300)에는 침지관(300)의 내부공간이 나뉘어, 주냉매유동관(200)에 형성된 냉매유로(PR1)에 연결되는 냉매유로(PR2, PR3)가 형성되도록 격벽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격벽부재(400)는 주냉매유동관(200)에 형성된 연결구멍(210)을 통해 주냉매유동관(200)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격벽부재(400)의 하부에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통과구멍(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냉매유동관(200)의 냉매유로(PR1)에 유입된 냉매는 격벽부재(400)에 의해서 구획되어 침지관(300)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한 냉매유로(PR2)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침지관(300)의 한 냉매유로(PR2)에 유입된 냉매는 격벽부재(400)의 냉매통과구멍(410)을 통과하여 격벽부재(400)에 의해서 구획되어 침지관(300)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다른 냉매유로(PR3)로 유동할 수 있다.
침지관(300)의 다른 냉매유로(PR3)로 이동한 냉매는 주냉매유동관(200)의 냉매유로(PR1)에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이 냉매에 의해서 고르게 냉각되거나 가열될 수 있다.
한편, 격벽부재(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에 냉매통과구멍(410)이 형성되지 않고, 격벽부재(400)의 하단부와 침지관(300)의 하단부가 소정 간극(도시되지 않음) 이격되어, 침지관(300)의 한 냉매유로(PR2)의 냉매가 격벽부재(400)의 하단부와 침지관(300)의 하단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다른 냉매유로(PR3)로 유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서는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외측은 용접에 의해서 연결되고, 내측은 용융 접착제(PS)를 사용하는 브레이징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융 접착제(PS)에 의해서는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내측만을 연결하기 때문에, 용융 접착제(PS)에 포함되는 독성 물질, 예컨대 니켈 등의 중금속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100)가 포함되는 제빙기(도시되지 않음) 등이 독성물질에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빙기 등의 위생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외측과 내측을 각각 용접과 브레이징으로 연결시키기 때문에,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이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도3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품 제조단계(S100), 접착제 도포단계(S200), 격벽부재 설치단계(S300), 용접단계(S400) 및, 브레이징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품 제조단계(S100)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00)의 구성품인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 및 격벽부재(400)를 만들 수 있다.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은 예컨대 스테인레스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주냉매유동관(200)이 부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증발기(100)가 포함되는 제빙기 등이 금속의 부식의 의해서 생성되는 녹에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빙기 등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스틸은 열전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빙기 등의 제빙효율과 탈빙효율 등이 향상될 수 있다.
격벽부재(400)는 스테인레스스틸이나 구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테인레스스틸과 구리는 열전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빙기 등의 제빙효율과 탈빙효율 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성품 제조단계(S100)에서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 및 격벽부재(400)를 만드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조나 판금, 압출, 인발 또는 절삭이나 펀칭 등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구성품 제조단계(S100)에서 만들어지는 주냉매유동관(200)의 연결구멍(210)의 주위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멍(210)으로부터 소정 길이 일정하게 돌출된 돌출연결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냉매유동관(200)의 연결구멍(210) 주위에 돌출연결부(211)가 형성되면, 후술할 바와 같이 용접단계(S400)에서 침지관(300)을 연결구멍(210)에 끼웠을 때, 침지관(300)의 일부가 돌출연결부(211)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침지관(300)이 연결구멍(2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용접단계(S400)에서의 후술할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외측의 용접을 돌출연결부(211)를 통해 불량 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침지관(300)이 주냉매유동관(200)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단계(S200)에서는 주냉매유동관(200)과 격벽부재(400)에 용융 접착제(PS)를 도포할 수 있다.
접착제 도포단계(S200)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재(400)가 연결되는 주냉매유동관(200)의 부분, 예컨대 주냉매유동관(200)의 연결구멍(210)과 마주보는 주냉매유동관(200)의 부분에 용융 접착제(PS)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도포단계(S200)에서는 격벽부재(400)의 상단부와 양 측단부의 중앙부에 용융 접착제(PS)를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용융 접착제(PS)가 도포되는 주냉매유동관(200)과 격벽부재(400)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격벽부재(400)가 침지관(300)과 주냉매유동관(200)에 용융 접착제(PS)에 의해서 연결되고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내측이 용융 접착제(PS)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이라면 어떠한 부분에도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단계(S400)에서 주냉매유동관(200)과 격벽부재(400)에 도포되는 용융 접착제(PS)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융되어 접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페이스트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격벽부재 설치단계(S3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융 접착제(PS)가 도포된 격벽부재(400)를 침지관(300)에 설치할 수 있다.
격벽부재 설치단계(S300)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재(400)를 침지관(30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침지관(300)에 적어도 일부 삽입시켜 끼워넣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침지관(300)의 내부공간이 격벽부재(400)에 의해서 구획되어 2개의 공간으로 나뉘어 주냉매유동관(200)의 냉매유로(PR1)에 연결되는 냉매유로(PR2, PR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격벽부재(400)가 침지관(30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용접단계(S400)에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재(400)가 설치된 침지관(300)을 주냉매유동관(200)의 연결구멍(210)에 끼운 상태에서,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외측을 용접할 수 있다.
용접단계(S400)에서는 침지관(300)의 개방된 일측 단부가 주냉매유동관(200)의 연결구멍(210) 보다 소정 높이 높게 연결구멍(210)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주냉매유동관(200)의 연결구멍(210)의 맞은편이나 격벽부재(400)의 상단부에 도포된 용융 접착제(PS)가 용융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 접착제(PS)가 자중에 의해서 주냉매유동관(200)과, 주냉매유동관(200)과 격벽부재(400) 사이의 틈(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중에 의해서 주냉매유동관(200)과, 주냉매유동관(200)과 격벽부재(400) 사이의 틈을 흐른 용융 접착제(PS)는, 주냉매유동관(200)의 연결구멍(210) 보다 소정 높이 높게 위치한 침지관(300)의 개방된 일측 단부에 의해서 침지관(300)으로는 유입되지 못하고, 주냉매유동관(200)의 내부에서 침지관(300)의 개방된 일측 단부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주냉매유동관(200)의 내부에서 침지관(300)의 개방된 일측 단부 주위에 위치한 용융 접착제(PS)가 냉각되어 응고되는 것에 의해서,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내측이 용융 접착제(PS)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침지관(300)의 개방된 일측 단부가 주냉매유동관(200)의 연결구멍(210) 보다 높게 위치되는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융되어 흐른 용융 접착제(PS)가 침지관(300)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내측을 연결할 수 있는 높이라면 어떠한 높이라도 가능하다.
용접단계(S3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부재(400)가 설치된 침지관(300)을 연결구멍(210)에 끼운 상태에서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외측을 용접할 수 있다.
예컨대, 용접단계(S300)에서는 레이저용접이나 티그용접에 의해서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외측을 용접할 수 있다. 그러나,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외측을 용접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용접방법에 의해서도 용접될 수 있다.
브레이징단계(S500)에서는 용융 접착제(PS)가 용융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브레이징단계(S500)에서는 격벽부재(400)가 설치된 침지관(300)이 연결된 주냉매유동관(200)가 가열로(도시되지 않음)에 소정 시간 있게 하거나, 소정 시간 동안 가열로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로에는 용융 접착제(PS)의 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 예컨대 섭씨 1000도 내지 1100도의 온도가 형성될 수 있다.
격벽부재(400)가 연결되는 주냉매유동관(200)의 부분과 격벽부재(400)의 상단부와 양 측단부의 중앙부에 도포된 용융 접착제(PS)가 용융되면, 주냉매유동관(200)과, 주냉매유동관(200)과 격벽부재(400) 사이의 틈 및, 침지관(300)과 격벽부재(400) 사이의 틈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에 의해서, 용융 접착제(PS)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냉매유동관(200)의 내부에서 침지관(300)의 개방된 일측 단부 주위와, 주냉매유동관(200)과 격벽부재(400) 사이의 틈 및, 침지관(300)과 격벽부재(400) 사이의 틈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융 접착제(PS)가 냉각되어 응고되는 것으로, 주냉매유동관(2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내측이 용융 접착제(PS)에 의해서 연결되고, 격벽부재(400)가 침지관(300)과 주냉매유동관(200)에 용융 접착제(PS)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서 접착제 도포단계(S200)와 격벽부재 설치단계(S300)는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즉, 구성품 제조단계(S100) 후에 격벽부재(400)를 침지관(300)에 설치하는 격벽부재 설치단계(S300)를 먼저 실시 한 후, 주냉매유동관(200)과 격벽부재(400)에 융융 접착제(PS)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200)를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후 격벽부재(400)가 설치된 침지관(300)을 주냉매유동관(200)의 연결구멍(210)에 끼운 상태에서 주냉매유동관(2000과 침지관(300)의 연결부분의 외측을 용접하는 용접단계(S400)를 실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히터설치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설치단계(S600)에서는 주냉매유동관(200)에 탈빙용 히터(500)를 설치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설치브라켓(BR)을 사용하여 탈빙용 히터(500)를 주냉매유동관(200)에 설치할 수 있다. 설치브라켓(BR)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탈빙용 히터(500)를 주냉매유동관(200)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제조방법을 사용하면, 증발기에 포함되는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외측은 용접에 의해서 연결되고 내측은 용융 접착제를 사용하는 브레이징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으며, 용융 접착제에 포함되는 독성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고, 증발기가 포함되는 제빙기 등이 독성물질에 오염되지 않을 수 있으며, 증발기가 포함되는 제빙기 등의 위생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고, 증발기의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이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증발기 제조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증발기 200 : 주냉매유동관
210 : 연결구멍 300 : 침지관
400 : 격벽부재 410 : 냉매통과구멍
500 : 탈빙용 히터 PS : 용융 접착제
PR1, PR2, PR3 : 냉매유로 BR : 설치브라켓

Claims (13)

  1. 일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에 연결되고 타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모세관이나 팽창밸브에 연결되는 주냉매유동관과 상기 주냉매유동관에 연결되는 침지관을 포함하는 증발기를 제조하는 증발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외측은 용접에 의해서 연결되고 내측은 용융 접착제를 사용하는 브레이징에 의해서 연결되는 증발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관에는 상기 주냉매유동관에 형성된 냉매유로에 연결되는 냉매유로가 형성되도록 격벽부재가 구비되는 증발기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주냉매유동관에 형성된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주냉매유동관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증발기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멍의 주위에는 상기 연결구멍으로부터 소정 길이 일정하게 돌출된 돌출연결부가 형성되는 증발기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의 하부에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통과구멍이 형성되는 증발기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침지관의 하단부는 소정 간극 이격되는 증발기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 및 격벽부재를 만드는 구성품 제조단계;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격벽부재에 상기 융융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상기 용융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격벽부재를 상기 침지관에 설치하는 격벽부재 설치단계;
    상기 격벽부재가 설치된 침지관을 상기 연결구멍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외측을 용접하는 용접단계; 및
    상기 용융 접착제가 용융되도록 하여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내측이 상기 용융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는 브레이징단계;
    를 포함하는 증발기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 및 격벽부재를 만드는 구성품 제조단계;
    상기 격벽부재를 상기 침지관에 설치하는 격벽부재 설치단계;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격벽부재에 상기 융융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상기 격벽부재가 설치된 침지관을 상기 연결구멍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외측을 용접하는 용접단계; 및
    상기 용융 접착제가 용융되도록 하여 상기 주냉매유동관과 침지관의 연결부분의 내측이 상기 용융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는 브레이징단계;
    를 포함하는 증발기 제조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단계에서는 상기 용융 접착제가 용융되도록 하여 상기 격벽부재가 상기 침지관과 주냉매유동관에 상기 용융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는 증발기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격벽부재가 연결되는 상기 주냉매유동관의 부분과 상기 격벽부재의 상단부와 양 측단부의 중앙부에 용융 접착제를 도포하는 증발기 제조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 설치단계에서는 상기 격벽부재를 상기 침지관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침지관에 적어도 일부 삽입시켜 끼워넣는 증발기 제조방법.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계에서는 상기 침지관의 개방된 일측 단부가 상기 연결구멍보다 소정 높이 높게 상기 연결구멍에 끼워지도록 하는 증발기 제조방법.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냉매유동관에 탈빙용 히터를 설치하는 히터설치단계; 를 더 포함하는 증발기 제조방법.
KR1020160093524A 2016-07-22 2016-07-22 증발기 제조방법 KR20180010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524A KR20180010815A (ko) 2016-07-22 2016-07-22 증발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524A KR20180010815A (ko) 2016-07-22 2016-07-22 증발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815A true KR20180010815A (ko) 2018-01-31

Family

ID=6108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524A KR20180010815A (ko) 2016-07-22 2016-07-22 증발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08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7782A (zh) * 2021-09-27 2021-12-31 宁波天思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蒸发器的制造工艺
WO2022239880A1 (ko) 2021-05-10 2022-11-17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9880A1 (ko) 2021-05-10 2022-11-17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CN113857782A (zh) * 2021-09-27 2021-12-31 宁波天思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蒸发器的制造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691B1 (ko) 제빙용 냉매관 및 그 제조방법.
US8020607B2 (en) Heat exchanger having a header
KR10133221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US11493253B2 (en) Evaporator for ice maker
KR20180010815A (ko) 증발기 제조방법
KR100938642B1 (ko)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20180128698A (ko) 제빙기용 증발기
JP6132674B2 (ja) 冷媒分流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56920A (en)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ing systems
SG189070A1 (en) Heat exchange device, evaporator, and refrigeration storage unit
KR102644840B1 (ko)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JP4980128B2 (ja) 熱交換器及びその熱交換器を用いた冷凍回路
KR102581580B1 (ko) 제빙기용 증발기
KR20210001340A (ko)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및 제빙용 증발기
CN107787436B (zh) 冷凝器
KR101550268B1 (ko) 제빙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7376A (ko) 입출구파이프를 포함한 열교환기 제조방법
KR102501805B1 (ko) 제빙용 증발기
JP7069350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694671B1 (ko) 입출구파이프를 포함한 열교환기 제조방법
KR101694670B1 (ko) 열교환기용 입출구파이프 연결부재
JP7106215B2 (ja) オーガ式製氷機
EP0788860B1 (en) Heat exchange assembly and relative process and production plant
JP6837552B2 (ja) 冷却装置の製造方法
JP2013002682A (ja) 管部材の接合体、接合方法、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の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