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525A -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525A
KR20210003525A KR1020190079407A KR20190079407A KR20210003525A KR 20210003525 A KR20210003525 A KR 20210003525A KR 1020190079407 A KR1020190079407 A KR 1020190079407A KR 20190079407 A KR20190079407 A KR 20190079407A KR 20210003525 A KR20210003525 A KR 20210003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flow space
partition
space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권재
이경민
김청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3525A/ko
Publication of KR20210003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25C1/045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with the open end pointing downw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met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4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내부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증발관; 상부가 개방된 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간의 개방된 상단부가 상기 냉매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는 침지부재; 및 상기 냉매유로와 상기 유동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냉매유로를 서로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와 제2냉매유로로 구획하면서 상기 유동공간을 상기 제1냉매유로에 연결되는 제1유동공간과 상기 제2냉매유로에 연결되는 제2유동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EVAPORATOR FOR ICE MA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얼음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제빙용 증발기 및 이를 만드는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빙용 증발기는 얼음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관과, 증발관에 연결되는 침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용 증발기가 증발관과, 침지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침지부재가, 예컨대 물받이에 담긴 물에 잠기거나 침지부재에 물이 분사되는 상태에서, 증발관에 빙점보다 낮은 온도의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면,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된다.
종래 이러한 구성의 제빙용 증발기에서는 증발관을 유동하는 냉매가 침지부재에도 유동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종래의 제빙용 증발기에서는 냉매가 침지부재를 일방향으로 1번만 유동하였다. 이에 따라, 침지부재에 얼음이 비교적 빠르게 생성되지 못하여, 제빙효율이 높지 않았다. 더불어, 침지부재가 연결되는 증발관의 부분에 따라 침지부재에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가 달라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제빙용 증발기의 제빙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침지부재가 연결되는 증발관의 부분에 따라 침지부재에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가 달라지지 않고 비교적 균일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용 증발기와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내부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증발관; 상부가 개방된 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간의 개방된 상단부가 상기 냉매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는 침지부재; 및 상기 냉매유로와 상기 유동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냉매유로를 서로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와 제2냉매유로로 구획하면서 상기 유동공간을 상기 제1냉매유로에 연결되는 제1유동공간과 상기 제2냉매유로에 연결되는 제2유동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동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동공간을 냉매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과 냉매가 유출되는 제1유출공간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제2유동공간을 냉매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간과 냉매가 유출되는 제2유출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획부재는 상기 냉매유로에 구비되는 제1냉매유로구획부와, 상기 제1냉매유로구획부에 연결되며 상기 유동공간에 구비되는 제1유동공간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구획부재는 상기 냉매유로에 구비되는 제2냉매유로구획부와, 상기 제2냉매유로구획부에 연결되며 상기 유동공간에 구비되는 제2유동공간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동공간구획부에는 상기 제1냉매유로구획부와 상기 제1유동공간구획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끼움홈은 상기 제2유동공간구획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2냉매유로구획부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냉매유로구획부에는 상기 삽입끼움홈에 대응되는 보조삽입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삽입끼움홈은 상기 제1냉매유로구획부의 상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동공간구획부는 상기 제1유동공간과 상기 제2유동공간이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침지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유동공간구획부에는 상기 삽입끼움홈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동공간구획부와 함께 상기 제1유입공간은 상기 제1유출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유입공간은 상기 제2유출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동공간구획부의 하단부는 상기 침지부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유동공간구획부와 함께 상기 제1유입공간은 상기 제1유출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유입공간은 상기 제2유출공간과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공급관이 상기 제1냉매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며, 냉매배출관이 상기 제2냉매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유로를 유동하는 냉매를 가열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증발관을 관통하여 상기 냉매유로에 구비되는 냉매가열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구획부재에 포함되는 제2냉매유로구획부에는 상기 냉매가열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관은 상기 침지부재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제1관형성부재와, 상기 냉매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관형성부재에 연결되는 제2관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관은 상기 냉매유로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을 각각 덮도록 상기 제1관형성부재와 상기 제2관형성부재에 연결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은 제1관형성부재, 제2관형성부재, 침지부재 및, 제1구획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준비하는 구성품 준비단계; 상기 제1관형성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상기 침지부재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제1조립단계; 상기 제1구획부재를 상기 침지부재에 상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유동공간과 상기 제1관형성부재 위에 배치하여, 상기 유동공간을 제1유동공간과 제2유동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조립단계; 상기 침지부재에 접촉되는 상기 제1구획부재의 부분에 접착물질을 적용하는 접착물질 적용단계; 및 상기 제1구획부재를 덮도록 상기 제2관형성부재를 상기 제1관형성부재에 연결하여, 내부에 서로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와 제2냉매유로로 상기 제1구획부재에 의해서 구획되는 냉매유로가 형성된 증발관이 되도록 하는 증발관형성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조립단계에서는 상기 제1구획부재에 포함되는 제1냉매유로구획부를 상기 제1관형성부재 위에 배치하면서 상기 제1구획부재에 포함되며 상기 제1냉매유로구획부에 연결되는 제1유동공간구획부를 상기 유동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립단계 이후에, 제2구획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유동공간에 배치하여, 상기 제1유동공간을 제1유입공간과 제1유출공간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제2유동공간을 제2유입공간과 제2유출공간으로 구획하는 제3조립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조립단계에서는 상기 제2구획부재에 포함되는 제2냉매유로구획부는 상기 제1관형성부재 위에 배치하면서 상기 제2구획부재에 포함되며 상기 제2냉매유로구획부에 연결되는 제2유동공간구획부는 상기 유동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조립단계에서는 상기 제2유동공간구획부에 형성된 삽입끼움홈에 상기 제1구획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조립단계 이후에, 상기 제1관형성부재 위에 냉매가열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하는 제4조립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에는 상기 침지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도록 아래로 돌출된 돌출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형성부재의 양 측단부에는 상기 제2관형성부재의 양 측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관형성연결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품 준비단계에서는 길이가 너비보다 긴 판형상의 상기 제1관형성부재에 상기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버링(Burring) 가공으로 상기 관통구멍 둘레에 상기 돌출연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관형성부재의 양 측단을 각각 위로 절곡하여 상기 관형성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관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침지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돌출연결부를 용접하여 연결하고 상기 제2관형성부재의 양 측단부와 상기 관형성연결부를 용접하여 연결하는 용접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물 적용단계 이후에, 상기 접착물질이 경화되도록 하는 접착물질 경화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물질 경화단계에서는 상기 침지부재가 연결된 상기 증발관을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이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가 침지부재의 유동공간을 왕복하여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용 증발기의 제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침지부재가 연결되는 증발관의 부분에 따라 침지부재에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가 달라지지 않고 비교적 균일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와 도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3과 도4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구성품 준비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제1조립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제2조립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제3조립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제4조립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접착물질 적용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증발관형성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용접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접착물질 경화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용 증발기와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제빙용 증발기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4는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5와 도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3과 도4와 같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100)의 일실시예는 증발관(200), 침지부재(300) 및, 제1구획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관(200)은 냉동사이클(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될 수 있다. 증발관(200)은 내부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유로(PR)가 형성될 수 있다. 냉매유로(PR)에는 냉매유로(PR)에 연결되는 후술할 냉매공급관(PI)에 의해서 공급된 냉매, 예컨대 빙점보다 낮은 온도의 냉매가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할 수 있다. 이외에, 냉매유로(PR)에는 빙점보다 높은 온도의 냉매가 유동할 수도 있다.
증발관(20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형성부재(210)와 제2관형성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형성부재(210)에는 관통구멍(HI)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관통구멍(HI)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제1관형성부재(2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관형성부재(21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HI)의 개수나 배치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나 어떠한 배치형태라도 가능하다.
제1관형성부재(210)의 관통구멍(HI)에는 침지부재(30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관통구멍(HI)의 둘레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00)의 상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아래로 돌출된 돌출연결부(CP)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형성부재(210)의 양 측단부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성연결부(PP)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형성부재(210)의 관형성연결부(PP)는 제2관형성부재(220)의 양 측단부에 각각 용접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제1관형성부재(21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배출관(PO)이 연결되는 연결구멍(HC)이 형성될 수 있다. 냉매배출관(PO)이 연결되는 연결구멍(HC)은 냉매유로(PR)의 후술할 제2냉매유로(PR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배출관(PO)이 제2냉매유로(PR2)에 연결되도록 증발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관형성부재(220)는 냉매유로(PR)를 형성하도록 제1관형성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관형성부재(220)는 단면이 대략 역 U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2관형성부재(2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매유로(PR)를 형성하도록 제1관형성부재(210)에 연결되는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증발관(2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부재(230)는 냉매유로(PR)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을 각각 덮도록 제1관형성부재(210)와 제2관형성부재(2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마감부재(230)가 냉매유로(PR)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을 각각 덮도록 제1관형성부재(210)와 제2관형성부재(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마감부재(230) 중 하나에는 냉매공급관(PI)이 연결되는 연결구멍(HC)이 형성될 수 있다. 냉매공급관(PI)이 연결되는 연결구멍(HC)은 냉매유로(PR)의 후술할 제1냉매유로(PR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공급관(PI)이 제1냉매유로(PR1)에 연결되도록 증발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구멍(HC)이 형성된 마감부재(230)에는 후술할 냉매가열부재(600)가 통과하여 안착되는 안착홈(GT)도 형성될 수 있다.
침지부재(300)에는 상부가 개방된 유동공간(SP)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침지부재(300)는 유동공간(SP)의 개방된 상단부가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에 연결되도록 증발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에 냉매가 유동하면,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에도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침지부재(300)의 상단부가 증발관(200)의 제1관형성부재(210)의 관통구멍(HI)에 삽입되어, 유동공간(SP)의 개방된 상단부가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에 연결되도록 침지부재(300)가 증발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침지부재(300)가 물받이(도시되지 않음)에 담긴 물에 잠긴 상태에서,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와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에 빙점보다 낮은 온도의 냉매가 유동하면, 침지부재(300)에 얼음(도시되지 않음)이 생성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침지부재(300)가 증발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증발관(200)에 연결되는 침지부재(30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제1구획부재(400)는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와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구획부재(400)는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를 서로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PR1)와 제2냉매유로(PR2)로 구획하면서,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을 제1냉매유로(PR1)에 연결되는 제1유동공간(SP1)과 제2냉매유로(PR2)에 연결되는 제2유동공간(SP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는 냉매공급관(PI)을 통해 먼저 증발관(200)의 제1냉매유로(PR1)에 유입되어 침지부재(300)의 제1유동공간(SP1)을 유동한 후, 증발관(200)의 제2냉매유로(PR2)와 침지부재(300)의 제2유동공간(SP2)을 유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을 냉매가 왕복하여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침지부재(300)에 얼음(I)이 보다 빠르게 생성되어 제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침지부재(300)가 연결되는 증발관(200)의 부분에 따라 침지부재(300)에 생성되는 얼음(I)의 크기가 달라지지 않고 비교적 균일해질 수 있다.
제1구획부재(400)는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와, 제1유동공간구획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냉매유로구획부(410)는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에 구비되어 냉매유로(PR)를 서로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PR1)와 제2냉매유로(PR2)로 구획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냉매유로구획부(4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길이가 긴 수직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에 구비되어 냉매유로(PR)를 서로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PR1)와 제2냉매유로(PR2)로 구획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의 일측은 증발관(200)의 일측의 마감부재(23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의 타측은 증발관(200)의 타측의 마감부재(230)에 접촉되도록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냉매유로(PR1)와 제2냉매유로(PR2)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에 의해서 구획되는 제1냉매유로(PR1)와 제2냉매유로(PR2)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에 제1냉매유로(PR1)와 제2냉매유로(PR2)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에는 제2구획부재(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제2유동공간구획부(520)에 형성되는 삽입끼움홈(GI)에 대응되는 보조삽입끼움홈(G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동공간구획부(420)가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의 부분의 상부에,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의 상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도록 보조삽입끼움홈(G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구획부재(500)의 삽입끼움홈(GI)에 제1구획부재(400)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질 때, 제1구획부재(400)와 제2구획부재(500)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유동공간구획부(420)는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동공간구획부(420)는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와 일체로 되어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유동공간구획부(420)가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1유동공간구획부(420)는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에 구비되어 유동공간(SP)을 증발관(200)의 제1냉매유로(PR1)에 연결되는 제1유동공간(SP1)과 증발관(200)의 제2냉매유로(PR2)에 연결되는 제2유동공간(SP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를 이해서, 제1유동공간구획부(4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0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1유동공간구획부(4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에 구비되어 유동공간(SP)을 증발관(200)의 제1냉매유로(PR1)에 연결되는 제1유동공간(SP1)과 증발관(200)의 제2냉매유로(PR2)에 연결되는 제2유동공간(SP2)으로 구획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1유동공간구획부(420)는 침지부재(300)에 접촉되어, 제1유동공간구획부(420)에 의해서 구획되는 침지부재(300)의 제1유동공간(SP1)과 제2유동공간(SP2)이 연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매가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을 왕복하여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100)의 일실시예는 제2구획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구획부재(500)는 적어도 일부가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구획부재(500)는 침지부재(300)의 제1유동공간(SP1)을 증발관(200)의 제1냉매유로(PR1)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SI1)과 제1냉매유로(PR1)로 냉매가 유출되는 제1유출공간(SO1)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제2구획부재(500)는 침지부재(300)의 제2유동공간(SP2)을 증발관(200)의 제2냉매유로(PR2)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간(SI2)과 제2냉매유로(PR2)로 냉매가 유출되는 제2유출공간(SO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관(200)의 제1냉매유로(PR1)를 유동하는 냉매는 침지부재(300)의 제1유입공간(SI1)에 유입되어 제1유출공간(SO1)으로 유동한 후 제1냉매유로(PR1)로 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관(200)의 제2냉매유로(PR2)를 유동하는 냉매는 침지부재(300)의 제2유입공간(SI2)에 유입되어 제2유출공간(SO2)으로 유동한 후 제2냉매유로(PR2)로 유출될 수 있다.
제2구획부재(500)는 제2냉매유로구획부(510)와, 제2유동공간구획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냉매유로구획부(510)는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에 구비되어, 증발관(200)의 제1냉매유로(PR1)를 침지부재(300)의 제1유입공간(SI1)에 연결되는 영역과 침지부재(300)의 제1유출공간(SO1)에 연결되는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제2냉매유로구획부(510)는 증발관(200)의 제2냉매유로(PR2)를 침지부재(300)의 제2유입공간(SI2)에 연결되는 영역과 침지부재(300)의 제2유출공간(SO2)에 연결되는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냉매유로구획부(5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증발관(20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2냉매유로구획부(5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에 구비되어, 증발관(200)의 제1냉매유로(PR1)와 증발관(200)의 제2냉매유로(PR2)를 각각 구획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2냉매유로구획부(51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GT)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GT)에는 후술할 냉매가열부재(600)가 안착될 수 있다.
제2유동공간구획부(520)는 제2냉매유로구획부(5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유동공간구획부(5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냉매유로구획부(510)와 일체로 되어 제2냉매유로구획부(5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유동공간구획부(520)가 제2냉매유로구획부(5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유동공간구획부(520)는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에 구비되어, 침지부재(300)의 제1유동공간(SP1)을 증발관(200)의 제1냉매유로(PR1)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SI1)과 제1냉매유로(PR1)로 냉매가 유출되는 제1유출공간(SO1)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제2유동공간구획부(520)는 침지부재(300)의 제2유동공간(SP2)을 증발관(200)의 제2냉매유로(PR2)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간(SI2)과 제2냉매유로(PR2)로 냉매가 유출되는 제2유출공간(SO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유동공간구획부(5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0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2유동공간구획부(5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에 구비되어, 침지부재(300)의 제1유동공간(SP1)은 제1유입공간(SI1)과 제1유출공간(SO1)으로 구획하고 제2유동공간(SP2)은 제2유입공간(SI2)과 제2유출공간(SO2)으로 구획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2유동공간구획부(52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끼움홈(GI)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끼움홈(GI)에는 제1구획부재(400)의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와 제1유동공간구획부(4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이 제1구획부재(400)의 제1유동공간구획부(420)에 의해서 제1유동공간(SP1)과 제2유동공간(SP2)으로 구획되면서, 제2유동공간구획부(520)에 의해서 제1유동공간(SP1)은 제1유입공간(SI1)과 제1유출공간(SO1)으로 구획되고 제2유동공간(SP2)은 제2유입공간(SI2)과 제2유출공간(SO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삽입끼움홈(GI)은 제2유동공간구획부(520)의 하단부로부터 제2냉매유로구획부(510)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제2유동공간구획부(5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동공간구획부(52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구멍(HM)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구멍(HM)은 삽입끼움홈(GI)에 연결되며 제1구획부재(400)의 제1유동공간구획부(420)와 함께 제1유입공간(SI1)은 제1유출공간(SO1)과 연통되고 제2유입공간(SI2)은 제2유출공간(SO2)과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유입공간(SI1)에 유입된 냉매는 제1유출공간(SO1)으로 유동하고, 제2유입공간(SI2)에 유입된 냉매는 제2유출공간(SO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외, 제2유동공간구획부(520)의 하단부가 침지부재(3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1구획부재(400)의 제1유동공간구획부(420)와 함께 제1유입공간(SI1)은 제1유출공간(SO1)과 연통되고 제2유입공간(SI2)은 제2유출공간(SO2)과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100)의 일실시예는 냉매가열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매가열부재(600)는 적어도 일부가 증발관(200)을 관통하여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냉매가열부재(600)는 적어도 일부가 증발관(200)의 마감부재(230)의 안착홈(GT)과 제2관형성부재(220) 사이를 통과하여 증발관(200)의 냉매유로(PR)에 구비될 수 있다. 마감부재(230)의 안착홈(GT)과 제2관형성부재(220) 사이를 통과한 냉매가열부재(600)의 부분은 전술한 제2구획부재(500)의 제2냉매유로구획부(510)의 안착홈(GT)에 안착될 수 있다.
냉매가열부재(600)는 냉매유로(PR)를 유동하는 냉매를 가열할 수 있다. 냉매가열부재(600)에 의해서 냉매유로(PR)가 가열되면, 침지부재(300)에 생성된 얼음이 침지부재(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냉매가열부재(600)는 일측이 개방된 관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냉매가열부재(600)가 관 형상인 경우, 냉매가열부재(6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대략 원통 형상의 히터(HT)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일측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이외, 냉매가열부재(600)가 관 형상인 경우, 냉매가열부재(600)에는 빙점보다 높은 온도의 냉매가 유동할 수도 있다. 한편, 냉매가열부재(600)는 히터(HT)가 될 수도 있다.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이하, 도7 내지 도1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구성품 준비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제1조립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제2조립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제3조립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제4조립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접착물질 적용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증발관형성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용접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접착물질 경화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구성품 준비단계(S100), 제1조립단계(S200), 제2조립단계(S300), 접착물질 적용단계(S600) 및, 증발관형성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제3조립단계(S400)나 제4조립단계(S500), 용접단계(S800) 또는 접착물질 경화단계(S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형성부재(210), 제2관형성부재(220), 침지부재(300) 및, 제1구획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준비할 수 있다. 이외,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는 마감부재(230)나, 제2구획부재(500), 냉매가열부재(600), 냉매공급관(PI), 또는 냉매배출관(PO)을 더 준비할 수도 있다.
제1관형성부재(2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HI)이 형성되고 관통구멍(HI)의 둘레에는 아래로 돌출된 돌출연결부(CP)가 형성되며 제1관형성부재(210)의 양 측단부에는 관형성연결부(PP)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예컨대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는 길이가 너비보다 긴 판형상의 제1관형성부재(210)에 관통구멍(HI)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버링(Burring) 가공으로 관통구멍(HI) 둘레에 돌출연결부(CP)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는 제1관형성부재(210)의 양 측단을 각각 위로 절곡하여 관형성연결부(PP)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관형성부재(210)에는 연결구멍(HC)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멍(HC) 둘레에도 버링 가공에 의해서 돌출연결부(CP)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형성부재(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역 U자 형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예컨대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는 길이가 너비보다 긴 판을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구부려서 제2관형성부재(220)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제2관형성부재(220)를 만드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는, 예컨대 판금 등에 의해서, 상부가 개방된 유동공간(SP)이 형성된 침지부재(300)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침지부재(300)를 만드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는, 예컨대 판을 절단하여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와 제1유동공간구획부(420)를 포함하는 제1구획부재(400)를 만들고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에 보조삽입끼움홈(G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1구획부재(400)를 만드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이외,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는, 예컨대 판을 절단하거나 판으로부터 절단된 구성품을 서로 연결하여 마감부재(230)를 만들며 마감부재(230) 중 하나에는 연결구멍(HC)과 안착홈(GT)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마감부재(230)를 만드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는, 예컨대 판을 절단하여 제2냉매유로구획부(510)와 제2유동공간구획부(520)를 포함하는 제2구획부재(500)를 만들고, 제2냉매유로구획부(510)에 안착홈(GT)을 형성하며 제2유동공간구획부(520)에 삽입끼움홈(GI)과 연통구멍(HM)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2구획부재(500)를 만드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는, 예컨대 소정의 원하는 직경의 관의 일부를 절단하여 냉매가열부재(600)를 만들거나, 냉매가열부재(600)로 히터(HT)를 준비할 수 있다. 그러나, 냉매가열부재(600)를 만드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는, 소정의 원하는 직경의 관(도시되지 않음)의 일부를 절단하여 냉매공급관(PI)이나 냉매배출관(PO)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냉매공급관(PI)이나 냉매배출관(PO)을 만드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 전술한 제1관형성부재(210), 제2관형성부재(220), 제1구획부재(400), 마감부재(230), 제2구획부재(500), 냉매가열부재(600), 냉매공급관(PI) 및, 냉매배출관(PO)을 모두 준비할 수 있다. 그러나, 구성품 준비단계(S100)에서는 후술할 제1조립단계(S200)에서 필요한 제1관형성부재(210)와 침지부재(300)만을 준비하고, 나머지 구성들은 각각 필요한 단계에서 준비할 수도 있다.
제1조립단계(S200)에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형성부재(210)의 관통구멍(HI)에 침지부재(30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구멍(HI)의 둘레에는 돌출연결부(CP)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침지부재(300)의 상단부는 돌출연결부(CP)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지부재(300)의 상단부가 관통구멍(HI)에 삽입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조립단계(S300)에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획부재(400)를 제1관형성부재(210) 위와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에 배치하여,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을 제1유동공간(SP1)과 제2유동공간(SP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조립단계(S300)에서는 제1구획부재(400)의 제1냉매유로구획부(410)를 제1관형성부재(210) 위에 배치하면서, 제1유동공간구획부(420)는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이 제1유동공간구획부(420)에 의해서 제1유동공간(SP1)과 제2유동공간(SP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3조립단계(S400)에서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획부재(500)의 적어도 일부를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에 배치하여, 침지부재(300)의 제1유동공간(SP1)을 제1유입공간(SI1)과 제1유출공간(SO1)으로 구획하면서 침지부재(300)의 제2유동공간(SP2)을 제2유입공간(SI2)과 제2유출공간(SO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예컨대, 제3조립단계(S400)에서는 제2구획부재(500)의 제2냉매유로구획부(510)는 제1관형성부재(210) 위에 배치하면서, 제2구획부재(500)의 제2유동공간구획부(520)는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조립단계(S400)에서는 제2유동공간구획부(520)의 삽입끼움홈(GI)에 제1구획부재(400)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제1구획부재(400)의 제1냉매유로구획부(410)와 제1유동공간구획부(4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이 제1구획부재(400)의 제1유동공간구획부(420)에 의해서 제1유동공간(SP1)과 제2유동공간(SP2)으로 구획되면서, 제1유동공간(SP1)이 제2구획부재(500)의 제2유동공간구획부(520)에 의해서 제1유입공간(SI1)과 제1유출공간(SO1)으로 구획되고 제2유동공간(SP2)이 제2유동공간구획부(520)에 의해서 제2유입공간(SI2)과 제2유출공간(SO2)로 구획될 수 있다.
제4조립단계(S500)에서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열부재(600)의 적어도 일부를 제1관형성부재(210)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4조립단계(S500)에서는 제2구획부재(500)의 제2냉매유로구획부(510)의 안착홈(GT)에 냉매가열부재(600)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할 수 있다. 제1관형성부재(210) 위에 배치되는 냉매가열부재(600)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매가열부재(600)의 어떠한 부분도 제1관형성부재(2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4조립단계(S500)에서는 제1관형성부재(210) 위에 마감부재(230)를 더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마감부재(230)가 제1관형성부재(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마감부재(230) 중 하나에는 안착홈(GT)이 형성되어, 냉매가열부재(600)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마감부재(230) 중 하나에는 연결구멍(HC)이 형성되어 냉매공급관(PI)이 연결될 수 있다.
제4조립단계(S500)에서는 냉매공급관(PI)을 마감부재(230)의 연결구멍(HC)에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냉매공급관(PI)의 적어도 일부가 연결구멍(HC)을 통과하여 제1관형성부재(210) 위에 위치되도록, 냉매공급관(PI)이 마감부재(230)의 연결구멍(HC)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조립단계(S500)에서는 냉매배출관(PO)을 제1관형성부재(210)의 연결구멍(HC)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구멍(HC)의 둘레에도 돌출연결부(CP)가 형성되어 있으면, 냉매배출관(PO)의 상단부가 돌출연결부(CP)에 접촉되기 때문에, 냉매배출관(PO)의 상단부가 연결구멍(HC)에 삽입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접착물질 적용단계(S600)에서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00)에 접촉되는 제1구획부재(400)의 부분에 접착물질(BM)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주사기 형태의 접착물질 적용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침지부재(300)의 유동공간(SP)을 통해 침지부재(300)에 접촉되는 제1구획부재(400)의 부분 중 일 부분에 액상(液狀)의 접착물질(BM)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상의 접착물질(BM)이 흐르면서 침지부재(300)에 접촉되는 제1구획부재(400)의 부분에 접착물질(BM)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외, 고상(固相)의 접착물질(BM)을 침지부재(300)에 접촉되는 제1구획부재(400)의 부분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접착물질 적용단계(S600)에서는 제1관형성부재(210)에 접촉되는 마감부재(230)의 부분에 접착물질(BM)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외에, 접착물질 적용단계(S600)에서는 제2관형성부재(220)에 접촉되는 제1구획부재(400)의 부분이나 제2관형성부재(220)에 접촉되는 마감부재(230)의 부분에 접착물질(BM)을 적용할 수 있다.
제1구획부재(400)나 마감부재(230)에 적용되는 접착물질(BM)은 후술할 바와 같이 별도의 접착물질 경화단계(S900)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제1구획부재(400)나 마감부재(230)에 적용되는 접착물질(BM)은 별도의 접착물질 경화단계(S900) 없이 접착물질(BM)의 적용과 함께 또는 접착물질(BM)을 적용하고 소정 시간 후에 경화될 수도 있다.
제1구획부재(400)나 마감부재(230)에 적용되는 접착물질(BM)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구획부재(400)나 마감부재(230)에 적용되어 제1구획부재(400)가 침지부재(300)나 제2관형성부재(220)에 접착되거나 마감부재(230)가 제1관형성부재(210)나 제2관형성부재(220)에 접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의 일실시예가 전술한 제3조립단계(S400)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접착물질 적용단계(S600)에서는 침지부재(300)에 접촉되는 제2구획부재(500)의 부분에도 접착물질(BM)을 적용할 수 있다.
증발관형성단계(S700)에서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획부재(400)를 덮도록 제2관형성부재(220)를 제1관형성부재(210)에 연결하여, 증발관(20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관(200) 내부에는 서로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PR1)와 제2냉매유로(PR2)로 제1구획부재(400)에 의해서 구획되는 냉매유로(PR)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관형성부재(220)의 양측 단부가 제1관형성부재(210)의 관형성연결부(PP)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감부재(230)에 의해서 냉매유로(PR)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이 덮일 수 있다.
용접단계(S800)에서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00)의 상단부와 제1관형성부재(210)의 관통구멍(HI)의 돌출연결부(CP)를 용접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용접단계(S800)에서는 제2관형성부재(220)의 양 측단부와 제1관형성부재(210)의 관형성연결부(PP)를 용접하여 연결할 수 있다. 용접단계(S800)에서는 레이저용접에 의해서 침지부재(300)의 상단부와 제1관형성부재(210)의 돌출연결부(CP)를 용접하여 연결하거나 제2관형성부재(220)의 양 측단부와 제1관형성부재(210)의 관형성연결부(PP)를 용접하여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용접단계(S800)에서 사용되는 용접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르곤용접이나, TIG용접, 아크용접 또는 전기용접 등 주지의 어떠한 용접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외, 용접단계(S800)에서는 냉매배출관(PO)의 상단부와 제1관형성부재(210)의 연결구멍(HC)의 돌출연결부(CP)를 용접하여 연결할 수 있다.
접착물질 경화단계(S900)에서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획부재(400)나 제2구획부재(500) 또는 마감부재(230)에 적용된 접착물질(BM)이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물질 경화단계(S900)에서는 침지부재(300)가 연결된 증발관(200)을 가열하여 접착물질(BM)이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물질 경화단계(S900)에서는 침지부재(300)가 연결된 증발관(200)을 가열로(HE)에서 가열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구획부재(400)나 제2구획부재(500)가 침지부재(300)나 제1관형성부재(210) 또는 제2관형성부재(220)에 접착물질(BM)에 의해서 접착되고, 마감부재(230)가 제1관형성부재(210)나 제2관형성부재(220)에 접착물질(BM)에 의해서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침지부재(300)가 연결된 증발관(200)은 가열로(HE)에 뒤집어져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침지부재(300)에 접촉되는 제1구획부재(400)나 제2구획부재(500)의 부분에 적용된 접착물질(BM)이 제2관형성부재(220)에 접촉되는 제1구획부재(400)나 제2구획부재(500)의 부분으로 유동하거나, 제1관형성부재(210)에 접촉되는 마감부재(230)의 부분에 적용된 접착물질(BM)이 제2관형성부재(220)에 접촉되는 마감부재(230)의 부분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물질 적용단계(S600)에서 제2관형성부재(220)에 접촉되는 제1구획부재(400)나 제2구획부재(500)의 부분이나 제2관형성부재(220)에 접촉되는 마감부재(230)의 부분에 접착물질(BM)을 적용하지 않아도, 제1구획부재(400)나 제2구획부재(500)가 제2관형성부재(220)에 접착물질(BM)에 의해서 접착되거나, 마감부재(230)가 제2관형성부재(220)에 접착물질(BM)에 의해서 접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와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을 사용하면, 냉매가 침지부재의 유동공간을 왕복하여 유동할 수 있으며, 제빙용 증발기의 제빙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침지부재가 연결되는 증발관의 부분에 따라 침지부재에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가 달라지지 않고 비교적 균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용 증발기와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제빙용 증발기 200 : 증발관
210 : 제1관형성부재 220 : 제2관형성부재
230 : 마감부재 300 : 침지부재
400 : 제1구획부재 410 : 제1냉매유로구획부
420 : 제1유동공간구획부 500 : 제2구획부재
510 : 제2냉매유로구획부 520 : 제2유동공간구획부
600 : 냉매가열부재 PR : 냉매유로
PR1 : 제1냉매유로 PR2 : 제2냉매유로
HI : 관통구멍 CP : 돌출연결부
PP : 관형성연결부 SP : 유동공간
SP1 : 제1유동공간 SP2 : 제2유동공간
SI1 : 제1유입공간 SO1 : 제1유출공간
SI2 : 제2유입공간 SO2 : 제2유출공간
PI : 냉매공급관 PO : 냉매배출관
GI : 삽입끼움홈 GA : 보조삽입끼움홈
GT : 안착홈 HM : 연통구멍
HC : 연결구멍 HE : 가열로
BM : 접착물질 HT : 히터

Claims (27)

  1. 내부에 냉매유로가 형성된 증발관;
    상부가 개방된 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간의 개방된 상단부가 상기 냉매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는 침지부재; 및
    상기 냉매유로와 상기 유동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냉매유로를 서로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와 제2냉매유로로 구획하면서 상기 유동공간을 상기 제1냉매유로에 연결되는 제1유동공간과 상기 제2냉매유로에 연결되는 제2유동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부재;
    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동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동공간을 냉매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과 냉매가 유출되는 제1유출공간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제2유동공간을 냉매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간과 냉매가 유출되는 제2유출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구획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획부재는 상기 냉매유로에 구비되는 제1냉매유로구획부와, 상기 제1냉매유로구획부에 연결되며 상기 유동공간에 구비되는 제1유동공간구획부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획부재는 상기 냉매유로에 구비되는 제2냉매유로구획부와, 상기 제2냉매유로구획부에 연결되며 상기 유동공간에 구비되는 제2유동공간구획부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공간구획부에는 상기 제1냉매유로구획부와 상기 제1유동공간구획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끼움홈이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끼움홈은 상기 제2유동공간구획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2냉매유로구획부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유로구획부에는 상기 삽입끼움홈에 대응되는 보조삽입끼움홈이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삽입끼움홈은 상기 제1냉매유로구획부의 상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공간구획부는 상기 제1유동공간과 상기 제2유동공간이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침지부재에 접촉되는 제빙용 증발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공간구획부에는 상기 삽입끼움홈에 연결되며 상기 제1유동공간구획부와 함께 상기 제1유입공간은 상기 제1유출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유입공간은 상기 제2유출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공간구획부의 하단부는 상기 침지부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유동공간구획부와 함께 상기 제1유입공간은 상기 제1유출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유입공간은 상기 제2유출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는 제빙용 증발기.
  12. 제1항에 있어서, 냉매공급관이 상기 제1냉매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며, 냉매배출관이 상기 제2냉매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관에 연결되는 제빙용 증발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로를 유동하는 냉매를 가열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증발관을 관통하여 상기 냉매유로에 구비되는 냉매가열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획부재에 포함되는 제2냉매유로구획부에는 상기 냉매가열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관은 상기 침지부재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제1관형성부재와, 상기 냉매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관형성부재에 연결되는 제2관형성부재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관은 상기 냉매유로의 개방된 일측과 타측을 각각 덮도록 상기 제1관형성부재와 상기 제2관형성부재에 연결되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17. 제1관형성부재, 제2관형성부재, 침지부재 및, 제1구획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준비하는 구성품 준비단계;
    상기 제1관형성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상기 침지부재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제1조립단계;
    상기 제1구획부재를 상기 침지부재에 상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유동공간과 상기 제1관형성부재 위에 배치하여, 상기 유동공간을 제1유동공간과 제2유동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조립단계;
    상기 침지부재에 접촉되는 상기 제1구획부재의 부분에 접착물질을 적용하는 접착물질 적용단계; 및
    상기 제1구획부재를 덮도록 상기 제2관형성부재를 상기 제1관형성부재에 연결하여, 내부에 서로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와 제2냉매유로로 상기 제1구획부재에 의해서 구획되는 냉매유로가 형성된 증발관이 되도록 하는 증발관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단계에서는 상기 제1구획부재에 포함되는 제1냉매유로구획부를 상기 제1관형성부재 위에 배치하면서 상기 제1구획부재에 포함되며 상기 제1냉매유로구획부에 연결되는 제1유동공간구획부를 상기 유동공간에 배치하는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단계 이후에,
    제2구획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유동공간에 배치하여, 상기 제1유동공간을 제1유입공간과 제1유출공간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제2유동공간을 제2유입공간과 제2유출공간으로 구획하는 제3조립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조립단계에서는 상기 제2구획부재에 포함되는 제2냉매유로구획부는 상기 제1관형성부재 위에 배치하면서 상기 제2구획부재에 포함되며 상기 제2냉매유로구획부에 연결되는 제2유동공간구획부는 상기 유동공간에 배치하는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조립단계에서는 상기 제2유동공간구획부에 형성된 삽입끼움홈에 상기 제1구획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하는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단계 이후에,
    상기 제1관형성부재 위에 냉매가열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하는 제4조립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에는 상기 침지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도록 아래로 돌출된 돌출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형성부재의 양 측단부에는 상기 제2관형성부재의 양 측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관형성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품 준비단계에서는 길이가 너비보다 긴 판형상의 상기 제1관형성부재에 상기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버링(Burring) 가공으로 상기 관통구멍 둘레에 상기 돌출연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관형성부재의 양 측단을 각각 위로 절곡하여 상기 관형성연결부를 형성하는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관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침지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돌출연결부를 용접하여 연결하고 상기 제2관형성부재의 양 측단부와 상기 관형성연결부를 용접하여 연결하는 용접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 적용단계 이후에,
    상기 접착물질이 경화되도록 하는 접착물질 경화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 경화단계에서는 상기 침지부재가 연결된 상기 증발관을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이 경화되도록 하는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KR1020190079407A 2019-07-02 2019-07-02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KR20210003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407A KR20210003525A (ko) 2019-07-02 2019-07-02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407A KR20210003525A (ko) 2019-07-02 2019-07-02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525A true KR20210003525A (ko) 2021-01-12

Family

ID=7412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407A KR20210003525A (ko) 2019-07-02 2019-07-02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352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7782A (zh) * 2021-09-27 2021-12-31 宁波天思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蒸发器的制造工艺
WO2023075065A1 (ko) 2021-10-29 2023-05-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KR20230089160A (ko) 2021-12-13 2023-06-2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KR102619014B1 (ko) * 2023-09-20 2023-12-28 (주)신우엠테크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KR20240014938A (ko) 2022-07-26 2024-02-02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WO2024048991A1 (ko) * 2022-08-29 2024-03-07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KR20240043275A (ko) 2022-09-27 2024-04-03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7782A (zh) * 2021-09-27 2021-12-31 宁波天思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蒸发器的制造工艺
WO2023075065A1 (ko) 2021-10-29 2023-05-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KR20230062075A (ko) 2021-10-29 2023-05-09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KR20230089160A (ko) 2021-12-13 2023-06-2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KR20240014938A (ko) 2022-07-26 2024-02-02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WO2024048991A1 (ko) * 2022-08-29 2024-03-07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KR20240029957A (ko) 2022-08-29 2024-03-07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KR20240043275A (ko) 2022-09-27 2024-04-03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WO2024071611A1 (ko) * 2022-09-27 2024-04-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KR102619014B1 (ko) * 2023-09-20 2023-12-28 (주)신우엠테크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3525A (ko)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KR100349399B1 (ko) 냉매 증발기
JP2737987B2 (ja) 積層型蒸発器
KR100390235B1 (ko) 열교환기
KR101292362B1 (ko) 플레이트 열교환기
JPH11287587A (ja) 冷媒蒸発器
KR101455136B1 (ko) 열교환기
EP0862035B1 (en) Refrigerant evaporator having a plurality of tubes
JP6583141B2 (ja) パラレルフロー型熱交換器
KR20090020616A (ko) 열 교환기의 배관 커넥터
KR102445797B1 (ko)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WO2006028296A1 (en) Laminated heat exchanger
US5341872A (en) Heat exchanger and manifold therefor,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KR102538570B1 (ko) 제빙기용 증발기
JP6250818B2 (ja) エバポレータを膨張弁に結合する装置
EP3851765A1 (en) Evaporator for ice maker
KR10133221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135218A1 (en) Heat Exchang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5894886A (en) Heat exchanger with flui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flow of a heat exchange mediu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221580B1 (en) Heat exchanger
KR20040019320A (ko) 차량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적층형 증발기, 증발기를제공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시스템
JPH03247993A (ja) 積層型熱交換器
KR20210001340A (ko)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및 제빙용 증발기
US6098703A (en) Lamination type heat exchanger having refrigerant passage divided by inner fin into subpassages
JP7086279B2 (ja) 冷媒分配器、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