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75065A1 - 제빙용 증발기 - Google Patents

제빙용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75065A1
WO2023075065A1 PCT/KR2022/008368 KR2022008368W WO2023075065A1 WO 2023075065 A1 WO2023075065 A1 WO 2023075065A1 KR 2022008368 W KR2022008368 W KR 2022008368W WO 2023075065 A1 WO2023075065 A1 WO 20230750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pace
refrigerant
evaporator
protruding
refrigeran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83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재만
김경종
이경민
이권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750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750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making evaporator,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refrigerant flow path so that the refrigerant circulates inside the ice-making evaporator, not only can the size of a plurality of ices generated be uniform, but also the evaporator body can be extended to It relates to an ice-making evaporator capabl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ices that can be created at one time.
  • An evaporator for making ice is used to make ice,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effectively produce ice. Recently, an evaporator body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and a protruding member connected to the evaporator body are provided, and a refrigerant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freezing poin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member is immersed in water contained in a drip tray or water is sprayed with the protruding member. A method in which ice is gener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is used by flowing the ic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03525 of Coway Co., Ltd. discloses a conventional ice-making evaporat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ce-making evaporator.
  • Such an evaporator for ice making discloses an evaporation tube extending in length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in the interior and an immersion member protruding from the evaporation tube.
  • the invention disclosed in No. 10-2021-0003525 divides the inside of the immersion member into four spaces so that the refrigerant circulates through each space of the immersion member, thereby making the ice formed in a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even in size.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ace where the refrigerant moves is different, the flow speed of the refrigerant in each space is different, so there is a limit to evenly forming the size of ice. there is.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92627 of this person discloses a conventional evaporator for an ice maker.
  • the evaporator for an ice maker has a first refrigerant pipe and a second refrigerant pipe, so that ice production can be increased through a plurality of protruding cooling pipes formed in each refrigerant pipe.
  • the invention disclosed in No. 10-1092627 not only reduces the cooling efficiency by interfering with the flow of the refrigerant by branching and recombining the flow paths inside the first refrigerant pipe and the second refrigerant pipe, but also in a plurality of protruding cooling pip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ice formed is not uniformly formed.
  •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09521 of Esso Co., Ltd. discloses a conventional ice generating evaporator.
  • the flow path formed inside the bent upper and lower control tubes does not diverge and circulates inside the ice-making protrusion, thereby increasing ice production efficiency.
  • the invention disclosed in No. 10-2018-0009521 has a problem in that the flow path is formed only in one direction inside the ice-making protrusion, so ice is formed smaller in the direction of the flow path,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ace where the refrigerant moves is differ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ling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n each spa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refrigerant passag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members and a second refrigerant passag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members in reverse order, so that each firs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vaporator for making ice capable of generating uniformly sized ice for each protruding memb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vaporator for ice making capable of minimizing the size of an evaporator body by forming a first refrigerant passage and a second refrigerant passage in paralle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making evaporator capable of minimizing the size of an evaporator body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members in a line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vaporator for ice making that can minimize a change in flow speed when a refrigerant flows by optimiz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a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making evaporator capable of maintaining a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by matching a refrigerant injection direction and a refrigerant flow direction by arranging a refrigerant inl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spa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vaporator for ice making capable of minimizing the size of the evaporator by injecting a hot gas into a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through a hot gas inle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making evaporator in which a hot gas inle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frigerant inlet and a hot gas guide wall is provided so that the hot gas relatively unobstructed in the flow can smoothly move through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 a hot gas inle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frigerant inlet and a hot gas guide wall is provided so that the hot gas relatively unobstructed in the flow can smoothly move through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making evaporator capable of forming a smooth flow of refrigerant by forming a first through hole connecting a first inflow space and a first outflow space inside a first protrusion member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first protrusion member. has a purpose to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making evaporator capable of forming a smooth flow of refrigerant by optimizing the size of a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connecting a first refrigerant passage and a second refrigerant passag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making evaporator capable of preventing lowering of cooling efficiency due to external heat flowing into the first evaporator body by providing an adiabatic space inside the first evaporator bod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making evaporator capable of increasing the amount of ice produced at one time by including a second evaporator body and a second protrud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evaporator body and the first protruding memb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making evaporator capable of forming a smooth flow of refrigerant by optimizing the area of a passage formed inside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a first evaporator body and a second evaporator body.
  • an evaporator for making ice includes a first evaporator body extend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first body space separating wall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into a first body space and a second body space formed side by side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a refrigerant inle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to inject refrigerant into the first body space; a refrigerant outle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and discharging the refrigerant flowing out from the second body space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members extending from the first evaporator body to one side; a first protruding space dividing wall dividing the inside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into a first protruding space and a second protruding space; a first refrigerant passage formed so that the refrigerant mov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 first refrigerant flow path and the second refrigerant flow path may be formed side by side in a lateral direction, and the first protrusion member may be arranged in a lin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 the first body space and the second body space may have a length ratio of a width to a height of 3:1 to 1.5.
  • the ratio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member adjacent to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and the other end surface and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may be 1:0.9 to 1.1.
  • the first protrud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convex outward.
  • the refrigerant inlet may inject the refrigera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space and protrude toward the first protruding space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 a hot gas in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refrigerant inlet to inject a hot gas into the first body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space; and a hot gas guide wall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space to guide the hot gas injected through the hot gas inlet toward the first protrusion space. may further include.
  • the first protruding space is divided into a first inflow space and a first outflow spac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member, and the first inflow space and the first outflow space have one end so that fluid communication is possible.
  •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passes through the first inflow space and the first outflow space sequentially, and the second protrusion spac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member and the second inflow space and the second Divided into an outflow space, the second inflow space and the second outflow space are connected so that one end is fluidly communicable, and the second refrigerant flow path may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second inflow space and the second outflow space .
  • the areas of cross section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space, the second body space, the first inflow space, the first outflow space, the second inflow space, and the second outflow space are the same.
  • the first protruding space is provided with a first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first inflow space and the first outflow space such that cross section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flow space and the first outflow space are the same.
  •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with an area equal to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flow space and the first outflow space, and in the second protrusion space.
  • a second partitioning wall partitioning the second inflow space and the second outflow space is provided so that cross section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flow space and the second outflow space are the same, and one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is provided.
  • a second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n area equal to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flow space and the second outflow space.
  •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formed adjacent to an inner end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 a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such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space separating wall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and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can be formed.
  •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may extend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and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outflow space may be 1.5 to 2:1.
  • a first insulating wall partitioning the first evaporator body up and down so that a heat insulating space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a first guide wall extending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so that the refrigerant moves from the first body space to the first inflow space; and a second guide wall extending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so that the refrigerant moves from the second inlet space to the second body space.
  • the first insulating wall may extend to the first guide wall and the second guide wall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adjacent to a rear end surface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 a discharge space formed to be fluidly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body space is formed inside one end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and the refrigerant outlet is the first protruding member so that the discharge space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t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evaporator body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 the second evaporator body extend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second body space dividing wall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second evaporator body into a third body space and a fourth body space formed side by side along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evaporator body; a plurality of second protruding members extending from the second evaporator body to one side; a second protruding space dividing wall dividing the inside of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into a third protruding space and a fourth protruding space; a third refrigerant passage formed so that the refrigerant moves from the other end to one end through the third body space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protruding spac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ding members; and one end of the third refrigerant passage is connected to the other, and the refrigerant moves from one end to the other through the fourth body space, passing through the fourth protrusion spac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 members.
  •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third refrigerant passag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refrigerant passag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 the other end of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 a hollow connect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vaporator body; and a connecting member separating wall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into a first connecting space and a second connecting space formed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 the other end of the third refrigerant passag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space,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refrigerant passage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space.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separating wall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space separating wall,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separating wall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space separating wall. It can be coupled with the other end.
  • the first body space, the first connection space, and the third body space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 the second body space, the second connection space, and the fourth body space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 a first connection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to on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vaporator body and having a first connec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to the other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vaporator body and having a second connection space formed therein.
  • the other end of the third refrigerant passag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space,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refrigerant passage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space. It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 An ice-making evaporator includes a first refrigerant passag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members and a second refrigerant passag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members in reverse order, so that each first refrigerant passage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 members. Ice having a uniform size may be generated for each protruding member.
  •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and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are formed in parallel, so that the size of the evaporator body can be minimized.
  • the size of the evaporator body can be minimiz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members in a row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 An ice-making evaporator can minimize a change in flow rate when a refrigerant flows by optimizing a cross-sectional area of a passag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 the refrigerant inlet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space, thereby matching the refrigerant injection direction and the refrigerant flow direction to maintain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 the size of the evaporator can be minimized by injecting the hot gas through the hot gas inlet into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 the ice-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t gas guide wall while arranging a hot gas inlet on one side of the refrigerant inlet, so that the hot gas relatively unobstructed in the flow flows smoothly through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can be moved
  • An ice-making evaporator provides a smooth flow of refrigerant by forming a first through-hole connecting the first inflow space and the first outflow space inside the first protrusion member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first protrusion member.
  • the evaporator for making 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smooth flow of refrigerant by optimizing the size of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connecting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and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 An ice-making evaporator may prevent lowering of cooling efficiency due to external heat flowing into the first evaporator body by providing an adiabatic space inside the first evaporator body.
  • An ice-making evaporator includes a second evaporator body and a second protrud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evaporator body and the first protruding member,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ice produced at one time. .
  • An ice-making evaporator may form a smooth flow of refrigerant by optimizing the area of a passage formed inside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evaporator body and the second evaporator bod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of the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of the ice-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 FIG. 8 is a view showing a first flow path of the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a second flow path of the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protrudes from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in FIG. 1 is defined as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side into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is defined as the forward direction.
  • this direction means a relative direction, and does not mean an absolute direction in which the ice-making evaporator is dispos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making evaporator,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refrigerant flow path so that the refrigerant circulates inside the ice-making evaporator, not only can the size of a plurality of ices generated be uniform, but also the evaporator body can be extended to It relates to an ice-making evaporator capabl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ices that can be created at one time.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side an ice maker or a water purifier having an ice maker in a manner in which ice is formed outside the first protrusion member by immersing the first protruding member in a gutter containing purified wat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 4 is a view showing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of the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of the ice-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 the evaporator for making ice includes a first evaporator body 100, a first body space partition wall 110, a refrigerant inlet 500, and a discharge hole 102. , a hot gas inlet 700, a hot gas guide wall 720, a first protruding member 200, a first protruding space separation wall 210, and a first insulating wall 140.
  •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is formed extend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and as shown in FIG. 3,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is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It may be partitioned into a first body space 112 and a second body space 113 formed.
  •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is inside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to partition the first body space 112 and the second body space 113.
  • a first body space separating wall 110 extending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ody space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sposed.
  • the first body space 112 and the second body space 113 are each formed to have the same area and shape of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refrigerant moves to the first body space 112 and the second body space 113, and the ratio of the width and height of the first body space 112 and the second body space 113 is 3 :1 to 1.5. That is, the width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moves is greater than the height. Accordingly,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frigerant is prevented from occurring due to heat introdu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and the refrigerant smoothly flows into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to be described later without accumulation.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 the other end, that is,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space separating wall 110 is such that the rear of the first body space 112 and the second body space 113 ar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 a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is formed.
  • the refrigerant moving along the first body space 112 moves to the second body space 113 via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
  • the area of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may be formed equal to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outflow space 224 . Accordingl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body space 112,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and the second body space 113 is maintained constant, so that the refrigerant can move constantly.
  •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frigerant can more smoothly move to the second body space 113 by preventing the refrigerant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space dividing wall 110'.
  •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to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outflow space 224 may be 1.5 to 2:1. That is, the area of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outflow space 224. Accordingly, as the refrigerant collides with the other end surface 103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changed, the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is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may be formed as close to the other end surface 103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as possible. Accordingly,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is formed so that no part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surface 103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thereby changing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body space 112 to the second body space 113. There is an effect of inducing a smooth flow of the refrigerant 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from being obstructed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can be formed by adjusting only th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body space separating wall 110',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ing manufacturing time.
  • the refrigerant inlet 50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that is, at the front.
  • the refrigerant inlet 500 injects refrigerant into the front of the first body space 112 .
  • the refrigerant inlet 500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space 112 to inject the refrigera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space 112 .
  • the refrigerant inlet 50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evaporator body end surface 101 toward the first body space 112 . More specifically, the refrigerant inlet 500 may be formed such th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protrudes toward the first protruding space 222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refrigerant injected from the refrigerant inlet 500 directly flows into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refrigerant can be smoothly circulated.
  • the first evaporator body ( 100), that is, a discharge hole 102 is formed at one end, that is, the front end. More specifically, it is formed on the first evaporator body end surface 101 so that the second body space 113 and the outside can communicate fluidly.
  • the refrigerant inlet 500 and the discharge hole 102 may be formed side by side, and the refrigerant inlet 50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body space 112 to facilitate injection and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and the discharge hole (102)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body space (113).
  • the evaporator for ice making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space 620 and a refrigerant outlet 600 .
  •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may further extend toward the front side, and a discharge space 620 may be formed inside the extended first evaporator body 100 .
  • the discharge space 620 is fluidly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space 113 through the discharge hole 102 . That is, the discharge space 620, the first body space 112, and the second body space 113 are partitioned by the first evaporator body end surface 101,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02 is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space. (620).
  •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 600 is provided to allow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to be described later extends. is formed through A refrigerant discharge pipe 610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outlet 600 .
  • a hot gas inlet 700 for injecting hot gas into the first body space 11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frigerant inlet 500 .
  • the hot gas injected through the hot gas inlet 700 moves along the first body space 112 and the second body space 113 where the refrigerant moves.
  • heat is applied to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to separate the ice adhering to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from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 In this way, since the refrigerant and the hot gas share a moving path, an effect of minimizing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can be obtained.
  • the flow of the hot gas relative to the refrigerant since the flow of the hot gas relative to the refrigerant is not affected by the structure, it may be formed above the refrigerant inlet 500 as shown in FIGS. 2 and 6 .
  • the hot gas guide wall 720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so that the hot gas can be smoothly injected into the first body space 112 during the process of injecting the hot gas. can be formed.
  • the hot gas guide wall 72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and extends. At this time, it may be formed to guide the hot gas injected through the hot gas inlet 700 toward the first protruding space 222 .
  • the hot gas guide wall 720 may be inclined to prevent hot gas from being stagnant.
  • the hot gas guide wall 72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insulating wall 14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hot gas guide wall 720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hot gas and the refrigerant from moving into the first heat insulating space 141 formed by the first heat insulating wall 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hot gas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it easy to manufacture the guide wall 720.
  •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extends downward from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
  •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is formed in plurality and may be arranged in a lin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as shown in FIG. 2 , i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uch that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convex outward. In this way, since the lower end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he fluid is stagnant in the corner space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or hot gas flowing into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to flow out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enomenon in which the flow is smooth.
  •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surface 103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and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disposed most adjacently is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for example, the cylindrical first protruding member ( 200) can be formed similar to the length of the diameter. More specifically, the length of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surface 103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and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disposed most adjacent to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may be 1:0.9 to 1.1. . Accordingly, the refrigerant can more smoothly move from the first body space 112 to the second body space 113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
  •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and the first protruding space separating wall 210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into the first protruding space ( 222) and the second protruding space 232 are formed inside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 the first protruding space separating wall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body space separating wall 110 and extend into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 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space 222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space 112 and the second protrusion space 2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space 113 .
  • the first protruding space 222 is divided into a front first inflow space 223 and a rear first outflow space 224 .
  • the first partition wall 220 protrudes from the first protruding space partition wall 210 .
  • the first partition wall 220 extend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and has a first through hole 221 at a lower end so that the first inflow space 223 and the first outflow space 224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is formed.
  • the first through hole 221 may be formed adjacent to an inner end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 Accordingly, while the refrigerant moves from the first inflow space 223 to the first outflow space 224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21, the refrigerant moves smoothly along the inner end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 the first partition wall 220 is formed such that cross section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flow space 223 and the first outflow space 224 are identical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first body space 112 into the first inflow space 223 and moves to the first outflow space 224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21, and again in the first outflow space 224. While flowing out into the first body space 112, the moving speed of the refrigerant is maintained constant.
  • the area of the first through hole 221 is formed equal to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flow space 223 and the first outflow space 224 .
  • a first guide wall 12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220 .
  • the first guide wall 120 guides the refrigerant moving along the first body space 112 so that it passes through both the first inflow space 223 and the first outflow space 224 without branching.
  • the first guide wall 120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22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or extends upward to the first insulating wall 140 described later. can
  • the flow of the refrigerant can be smoothed by allowing the refrigerant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without being separated into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each first protruding member 200 and the refrigerant no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each first protruding member 200.
  • the second protruding space 232 is divided into a rear second inflow space 233 and a front second outflow space 234 .
  • a second partition wall 230 protrudes from the first protruding space partition wall 2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220 .
  • the second partition wall 230 extend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and has a second through hole 231 at its lower end so that the second inflow space 233 and the second outflow space 234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is formed.
  • the second partition wall 230 is formed such that cross section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flow space 233 and the second outflow space 234 are the same. Accordingly,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second body space 113 into the second inflow space 233 and moves to the second outflow space 234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31, and again in the second outflow space 234. While flowing out into the second body space 113, the moving speed of the refrigerant is maintained constant.
  • the area of the second through hole 231 is formed equal to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inflow space 233 and the second outflow space 234 .
  • a second guide wall 13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230 .
  • the second guide wall 130 guides the refrigerant moving along the second body space 113 so that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both the second inlet space 233 and the second outlet space 234 without branching.
  • the second guide wall 130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23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or extends upward to the first insulating wall 140 described later.
  • the refrigerant is not separated into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each second protruding member 400 and refrigerant no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each second protruding member 400, and all of them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400, so that the flow of the refrigerant can be smoothed.
  • the second through hole 231 may be formed adjacent to an inner end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 Accordingly, while the refrigerant moves from the second inflow space 233 to the second outflow space 234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31, the refrigerant moves smoothly along the inner end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 the first insulating wall 140 partitions the first body space 112 vertically.
  • the first insulating wall 140 is provided, as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space 112 and the second body space 113 has a first heat insulation.
  • a space 141 is formed.
  • the first insulation space 141 serves to prevent external heat from entering into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first body space 112 and the second body space 113 . Accordingly, the ice-mak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 the first guide wall 120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ition wall 220 extends to the first insulating wall 140 and extends from the second partition wall 230.
  • the second guide wall 130 is extended to the first insulating wall 140.
  • the hot gas guide wall 7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insulating wall 14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hot gas or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first heat insulating space 141 .
  • FIG. 8 is a view showing a first flow path of the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is a view showing a second flow path of the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and a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are formed via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and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members 200. do.
  •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is a path along which the refrigerant injecte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500 moves, and includes a first body space 112, a first inflow space 223, a first I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outflow space 224 and the first body space 112 sequentially.
  •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is formed in plurality, both the first inflow space 223 and the first outflow space 224 formed in each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pass through.
  •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is not branched as a single path, and the first inflow space 223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guide wall 120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220 in the first body space 112
  • the direction is changed to the first through hole 221, the direction is changed to the first outflow space 224,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220 and the first guide wall 120 are again along the rear surface. 1 leads to body space 112.
  •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space 112, the first inflow space 223, and the first outflow space 224 through which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passes is formed to be the same. can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refrigerant to smoothly move along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by preventing the flow velocity of the refrigerant moving along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from being changed by the cross-sectional area.
  •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extends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space 112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is a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is a path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moves, and includes a second body space 113 and a second inlet space 233. , It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outflow space 234 and the second body space 113 sequentially.
  •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is formed in plurality, both the second inlet space 233 and the second outflow space 234 formed in each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pass through.
  •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is not branched as a single path, and the second inlet space 233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wall 130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230 in the second body space 113
  • the direction is chang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231, the direction is changed to the second outflow space 234,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to the second partition wall 230 and the second guide wall 130 along the front surface. It leads to the second body space (113).
  •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space 113, the second inflow space 233, and the second outflow space 234 through which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passes is formed to be the same. can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refrigerant to smoothly move along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by preventing the flow velocity of the refrigerant moving along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from being changed by the cross-sectional area.
  •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extending forward of the second body space 113 leads to the discharge hole 102, and the refrigerant moved along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02. 1 is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body 100 to the outside.
  • the refrigerant absorbs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members 200 so that the temperature thereof gradually increases.
  • the first inlet space 223 has the lowest level based on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disposed in the front.
  • the refrigerant at the second temperature passes through, and the refrigerant at the second lowest temperature passes through the first outflow space 224 .
  • the second highest temperatur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second inflow space 233 and the highest temperatur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second outflow space 234 .
  •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each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s 200 is maintained the same. Accordingly, the size of ice generated in each of the first protruding members 200 is the same.
  •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 the ice-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vaporator body 100, a first body space partition wall 110, a refrigerant inlet 500, and a discharge hole. 102, a hot gas inlet 700, a hot gas guide wall 720, a first protruding member 200, a first protruding space separation wall 210, and a first insulating wall 140,
  • the second evaporator body 300, the second body space separating wall 310,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400, and the second protruding space separating wall 410 can increase the number of ices generated at one time compared to the embodiment.
  • a second insulating wall 340 a third partitioning wall 420, and a fourth partitioning wall 430 are further provided.
  •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 the second evaporator body 300, the second body space partition wall 310,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400, the second protruding space partition wall 410, the second insulating wall 340, the third partition wall 420 ) and the fourth partition wall 430 are the above-described first evaporator body 100, the first body space partition wall 110, the first protruding member 200, the first protruding space partition wall 210, It corresponds to the first insulating wall 140, the first partition wall 220,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230, and has the same shape and function.
  • the third body space 312 and the fourth body space 313 formed by the second body space separating wall 310 correspond to the first body space 112 and the second body space 113, respectively.
  •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 The fourth inflow space 433 and the fourth outflow space 434 formed in the 400 are the first inflow space 223 and the first outflow space 224, the second inflow space 233 and the second outflow space, respectively. Corresponds to (234). As shown in FIG. 11, each corresponding component has a difference only in an arrangement position and has the same shape or function.
  •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111 is not formed in the first body space partition wall 110, and the first refrigerant circulates in front of the second body space partition wall 310.
  • a second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311 corresponding to the hole 111 is formed. Accordingly, the second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311 connects the front ends of the third body space 312 and the fourth body space 313 .
  • a third refrigerant passage 314 and a fourth refrigerant passage 315 passing through the second evaporator body 30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ding members 400 are formed. do.
  • the third refrigerant passage 314 is a path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moves, and includes a third body space 312, a third inflow space 423, and a third outflow space 424. ) and the third body space 312 sequentially.
  •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400 is formed in plurality, both the third inflow space 423 and the third outflow space 424 formed in each second protruding member 400 pass through.
  • the rear end of the third refrigerant passage 314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and the refrigerant moving along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moves to the rear along the third refrigerant passage 314. will move forward from
  • the fourth refrigerant passage 315 is a path for the refrigerant to move, and includes a fourth body space 313, a fourth inflow space 433, and a fourth outflow space 434. ) and the fourth body space 313 sequentially.
  •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400 is formed in plurality, both the fourth inflow space 433 and the fourth outflow space 434 formed in each second protruding member 400 pass through.
  • the front end of the fourth refrigerant passage 315 is connected to the third refrigerant passage 314 through the second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311, and the rear end of the fourth refrigerant passage 315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It is connected with the rear end of (115). Therefore,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fourth refrigerant passage 315 through the second refrigerant circulation hole 311 moves from front to rear along the fourth refrigerant passage 315 and then again along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It moves forwar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600).
  • the ice making evaporator connects the rear end of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and the rear end of the third refrigerant passage 314,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 a connecting member 800 is further provided to connect the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ourth refrigerant passage 315 .
  • the connecting member 800 is formed in a hollow conduit shape.
  •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800 is not limited, and as shown in FIG. 10, i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8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surface 103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8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surface 303 of the second evaporator body.
  • a connecting member separating wall 810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ng member 800 . Accordingly,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ng member 800 is partitioned into a first connecting space 811 and a second connecting space 812 by the connecting member separating wall 810 .
  •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separating wall 810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space separating wall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separating wall 8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space separating wall 310 .
  •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refrigerant passage 314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space 811 .
  • the first body space 112, the first connection space 811, and the third body space 312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ccordingly, the refrigerant can smoothly move through the first body space 112 , the first connection space 811 , and the third body space 312 .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refrigerant passage 315 ar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space 812 .
  • the second body space 113, the second connection space 812, and the fourth body space 313 may als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 first evaporator body 100 and the second evaporator body 30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as shown in FIGS. 10 and 11 . Accordingly, the connecting member 800 may be formed by bending.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 the description is centered 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82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830,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and contents overlapping with the second embodiment are omitted. do.
  • the ice-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member 820 and a second connection instead of the connection member 800 in the second embodiment.
  • a member 830 may be provided.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820 is formed in a hollow conduit shape extending from the rear end,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to the rear end,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vaporator body 300.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820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820 may have one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surface 103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surface 303 of the second evaporator body.
  • a first connection space 821 is form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820 .
  •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rigerant passage 114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refrigerant passage 314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space 821 .
  • the first body space 112, the first connection space 821, and the third body space 312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ccordingly, the refrigerant can smoothly move through the first body space 112 , the first connection space 821 and the third body space 312 .
  •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830 is also formed in a hollow conduit shape extending from the rear end,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to the rear end,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vaporator body 300,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irst connection. Like the cross section of the member 820, i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830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position at which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830 are coupled.
  •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830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ody space 113 of the first evaporator body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830 The end may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fourth body space 313 of the second evaporator body 300 .
  • a second connection space 822 is form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830 .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frigerant passage 115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refrigerant passage 315 ar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space 822 .
  • the second body space 113, the second connection space 822, and the fourth body space 313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ccordingly, the refrigerant can smoothly move through the second body space 113 , the second connection space 822 and the fourth body space 313 .
  • the ice-making evaporato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installed only inside the ice maker, but may also be installed in a refrigerator that needs to be installed to make ice. It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제빙용 증발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 증발기 몸체; 제1 몸체 공간 및 제2 몸체 공간으로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 몸체 공간 분리벽;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에 구비되는 냉매주입구;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에 구비되는 냉매배출구; 상기 제1 증발기 몸체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돌출 부재;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 돌출 공간 분리벽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용 증발기
본 발명은 제빙용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용 증발기 내부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냉매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생성되는 복수의 얼음의 크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발기 몸체를 연장하여 한 번에 생성할 수 있는 얼음의 개수를 늘릴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용 증발기는 얼음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얼음을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왔다. 최근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 몸체와, 증발기 몸체에 연결되는 돌출 부재를 구비하고, 돌출 부재를 물받이에 담긴 물에 침지하거나 돌출 부재로 물을 분사하는 상태에서 빙점보다 낮은 온도의 냉매를 돌출 부재 내부로 유동시킴으로써, 돌출 부재의 외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빙용 증발기에서는 냉매가 돌출 부재를 일방향으로 1번만 유동하였는데, 이에 따라 돌출 부재에 얼음이 비교적 빠르게 생성되지 못하여, 제빙 효율이 높지 않았다. 더불어, 돌출 부재가 연결되는 증발기 몸체의 위치에 따라 돌출 부재에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어왔다. 이를 종래 기술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03525호는 종래의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를 개시한다. 이러한 제빙용 증발기에는 길이 연장되어 내무에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관과 증발관으로부터 돌출되는 침지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때, 제10-2021-0003525호에 개시된 발명은 침지부재의 내부를 네 공간으로 구획하여 냉매가 침지부재의 각 공간을 순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침지부재에 형성되는 얼음의 크기를 고르게 한다. 다만, 냉매가 이동하는 공간의 단면적이 상이하여 각 공간에서 냉매의 유동속도가 차이남으로써 얼음의 크기를 고르게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냉매 유동 시 상부로부터 열이 유입되어 냉각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이 인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92627호는 종래의 제빙기용 증발기가 개시한다. 이러한 제빙기용 증발기는 제1 냉매배관과 제2 냉매배관을 구비함으로써 각 냉매배관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 냉각관을 통해 얼음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제10-1092627호에 개시된 발명은 제1 냉매배관과 제2 냉매배관 내부에 유로가 분기되고 다시 합쳐짐으로써 냉매의 유동을 방해하여 냉각 효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복수의 돌출 냉각관에 형성되는 얼음의 크기가 고르게 형성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주)에쏘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9521호는 종래의 얼음 생성용 증발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얼음 생성용 증발기는 굽힘 형성되는 상부관제 및 하부관제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가 분기되지 않고 제빙돌기 내부를 순환함으로써 얼음에 제조 효율을 높이고 있다. 다만, 제10-2018-0009521호에 개시된 발명은 유로가 제빙돌기 내부에서 일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유로의 방향으로 갈수록 얼음이 작게 형성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가 이동하는 공간의 단면적이 상이하여 각 공간에서 냉매의 유동속도가 차이남으로써 냉각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제1 돌출 부재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제1 냉매 유로와 복수의 제1 돌출 부재를 역순으로 경유하는 제2 냉매 유로를 구비함으로써 각 제1 돌출 부재 마다 크기가 균일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1 냉매 유로와 제2 냉매 유로가 나란하게 형성됨으로써, 증발기 몸체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제1 돌출 부재를 일렬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함으로써, 증발기 몸체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의 단면 면적을 최적화함으로써, 냉매가 유동 시 유동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매주입구를 제1 몸체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냉매 주입 방향과 냉매 유동 방향을 일치시켜 냉매의 유동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열가스주입구를 통해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로 열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증발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열가스주입구를 냉매주입구의 일측에 배치하면서도 열가스 가이드벽을 구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유동 흐름에 방해되지 않는 열가스가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를 통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1 돌출 부재 내부에 제1 유입 공간과 제1 유출 공간을 연결하는 제1 관통홀을 제1 돌출 부재 내측에 인접하게 형성함으로써 냉매의 원활한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1 냉매 유로와 제2 냉매 유로를 연결하는 제1 냉매 순환홀의 크기를 최적화함으로써 냉매의 원활한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1 증발기 몸체의 내부에 단열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제1 증발기 몸체로 외부의 열이 유입되어 냉각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1 증발기 몸체 및 제1 돌출 부재에 대응되는 제2 증발기 몸체 및 제2 돌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한 번에 생성되는 얼음의 양을 늘릴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1 증발기 몸체와 제2 증발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면적을 최적화함으로써, 냉매의 원활한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 증발기 몸체;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 몸체 공간 및 제2 몸체 공간으로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 몸체 공간 분리벽;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일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몸체 공간으로 냉매를 주입하는 냉매주입구;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일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몸체 공간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구; 상기 제1 증발기 몸체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돌출 부재;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내부를 제1 돌출 공간 및 제2 돌출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 돌출 공간 분리벽; 상기 냉매가 상기 제1 몸체 공간을 통하여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이동하되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부재의 상기 제1 돌출 공간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제1 냉매 유로; 및 상기 제1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타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냉매가 상기 제2 몸체 공간을 통하여 타 단부에서 일 단부로 이동하되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부재의 상기 제2 돌출 공간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제2 냉매 유로;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냉매 유로와 상기 제2 냉매 유로는 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 부재는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몸체 공간 및 상기 제2 몸체 공간은 폭과 높이의 길이 비가 3:1 ~ 1.5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타 단면에 인접한 상기 제1 돌출 부재와 상기 타 단면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폭의 길이의 비는 1:0.9 ~ 1.1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돌출 부재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외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매주입구는 상기 제1 몸체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매를 주입시키고,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일 단부에 인접한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상기 제1 돌출 공간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매주입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 공간으로 상기 제1 몸체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열가스를 주입하는 열가스주입구; 및 상기 열가스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된 상기 열가스를 상기 제1 돌출 공간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몸체 공간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열가스 가이드벽;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돌출 공간은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유입 공간 및 제1 유출 공간으로 분할되되, 상기 제1 유입 공간 및 제1 유출 공간은 일단부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냉매 유로는 상기 제1 유입 공간 및 상기 제1 유출 공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하고, 상기 제2 돌출 공간은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유입 공간 및 제2 유출 공간으로 분할되되, 상기 제2 유입 공간 및 제2 유출 공간은 일단부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냉매 유로는 상기 제2 유입 공간 및 상기 제2 유출 공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몸체 공간, 상기 제2 몸체 공간, 상기 제1 유입 공간, 상기 제1 유출 공간, 상기 제2 유입 공간 및 상기 제2 유출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돌출 공간에는 상기 제1 유입 공간 및 상기 제1 유출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동일하도록 상기 제1 유입 공간 및 상기 제1 유출 공간을 구획하는 제1 분리벽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분리벽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유입 공간 및 상기 제1 유출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 공간에는 상기 제2 유입 공간 및 상기 제2 유출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동일하도록 상기 제2 유입 공간 및 상기 제2 유출 공간을 구획하는 제2 분리벽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리벽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유입 공간 및 상기 제2 유출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은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내측 일단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몸체 공간 분리벽의 타 단부에는 상기 제1 냉매 유로와 상기 제2 냉매 유로의 타 단부가 연결되도록 제1 냉매 순환홀; 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냉매 순환홀은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내측 하부면에서 상부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냉매 순환홀의 면적과 상기 제1 유출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의 비는 1.5 ~ 2:1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단열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증발기 몸체를 상하로 구획하는 제1 단열벽; 상기 냉매가 상기 제1 몸체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유입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분리벽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가이드벽; 및 상기 냉매가 상기 제2 유입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몸체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분리벽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가이드벽;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열벽은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후방 단면에 인접한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상기 제1 가이드벽 및 상기 제2 가이드벽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일 단부 내부에는 상기 제2 몸체 공간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배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냉매배출구는 상기 배출 공간이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증발기 몸체; 상기 제2 증발기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3 몸체 공간 및 제4 몸체 공간으로 상기 제2 증발기 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2 몸체 공간 분리벽; 상기 제2 증발기 몸체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돌출 부재; 상기 제2 돌출 부재의 내부를 제3 돌출 공간 및 제4 돌출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 돌출 공간 분리벽; 상기 냉매가 상기 제3 몸체 공간을 통하여 타 단부에서 일 단부로 이동하되 상기 복수의 제2 돌출 부재의 상기 제3 돌출 공간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제3 냉매 유로; 및 상기 제3 냉매 유로의 일 단부와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냉매가 상기 제4 몸체 공간을 통하여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이동하되 상기 복수의 제2 돌출 부재의 상기 제4 돌출 공간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제4 냉매 유로; 를 더 포함하고, 제3 냉매 유로의 타 단부가 상기 제1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4 냉매 유로의 타 단부가 상기 제2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냉매 유로의 타 단부가 상기 제2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타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증발기 몸체의 타 단부로 연장되는 중공형의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연결 공간 및 제2 연결 공간으로 상기 연결 부재의 내부를 구획하는 연결 부재 분리벽;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냉매 유로의 타 단부는 상기 제1 연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1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4 냉매 유로의 타 단부는 상기 제2 연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2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 분리벽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몸체 공간 분리벽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부재 분리벽의 타단부는 상기 제2 몸체 공간 분리벽의 타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 몸체 공간, 제1 연결 공간 및 제3 몸체 공간은 단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 몸체 공간, 제2 연결 공간 및 제4 몸체 공간은 단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타 단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증발기 몸체의 타 단부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 연결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타 단부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증발기 몸체의 타 단부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2 연결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연결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냉매 유로의 타 단부는 상기 제1 연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1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4 냉매 유로의 타 단부는 상기 제2 연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2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복수의 제1 돌출 부재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제1 냉매 유로와 복수의 제1 돌출 부재를 역순으로 경유하는 제2 냉매 유로를 구비함으로써 각 제1 돌출 부재 마다 크기가 균일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1 냉매 유로와 제2 냉매 유로가 나란하게 형성됨으로써, 증발기 몸체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복수의 제1 돌출 부재를 일렬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함으로써, 증발기 몸체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의 단면 면적을 최적화함으로써, 냉매가 유동 시 유동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냉매주입구를 제1 몸체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냉매 주입 방향과 냉매 유동 방향을 일치시켜 냉매의 유동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열가스주입구를 통해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로 열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증발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열가스주입구를 냉매주입구의 일측에 배치하면서도 열가스 가이드벽을 구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유동 흐름에 방해되지 않는 열가스가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를 통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1 돌출 부재 내부에 제1 유입 공간과 제1 유출 공간을 연결하는 제1 관통홀을 제1 돌출 부재 내측에 인접하게 형성함으로써 냉매의 원활한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1 냉매 유로와 제2 냉매 유로를 연결하는 제1 냉매 순환홀의 크기를 최적화함으로써 냉매의 원활한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1 증발기 몸체의 내부에 단열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제1 증발기 몸체로 외부의 열이 유입되어 냉각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1 증발기 몸체 및 제1 돌출 부재에 대응되는 제2 증발기 몸체 및 제2 돌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한 번에 생성되는 얼음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1 증발기 몸체와 제2 증발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면적을 최적화함으로써, 냉매의 원활한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1 냉매 순환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1 냉매 순환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 선을 따라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1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2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면에서 구성의 특징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나 크기를 과장되게 나타내었으며, 도면에서 나타낸 구성의 두께나 크기를 실제와 같이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제1 증발기 몸체(100)로부터 제1 돌출 부재(200)가 돌출되는 방향을 하측 방향으로, 제1 증발기 몸체(100)에서 냉매가 유입되는 측을 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고, 제빙용 증발기가 배치되는 절대적인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제빙용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용 증발기 내부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냉매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생성되는 복수의 얼음의 크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발기 몸체를 연장하여 한 번에 생성할 수 있는 얼음의 개수를 늘릴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정수가 담긴 물받이에 제1 돌출 부재를 침지하여 제1 돌출 부재의 외측에 얼음이 형성되는 방식의 제빙기 또는 제빙기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1 냉매 순환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1 냉매 순환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 선을 따라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1 증발기 몸체(100), 제1 몸체 공간 분리벽(110), 냉매주입구(500), 배출홀(102), 열가스주입구(700), 열가스 가이드벽(720), 제1 돌출 부재(200), 제1 돌출 공간 분리벽(210) 및 제1 단열벽(140)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증발기 몸체(1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증발기 몸체(100)가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증발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은 제1 증발기 몸체(100)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좌우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 몸체 공간(112) 및 제2 몸체 공간(11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 공간(112)과 제2 몸체 공간(113)을 구획하기 위하여 제1 증발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제1 증발기 몸체(1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몸체 공간 분리벽(110)이 배치된다.
제1 몸체 공간(112)과 제2 몸체 공간(113)은 각각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과 형상이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1 몸체 공간(112)과 제2 몸체 공간(113)으로는 냉매가 이동하게 되는데, 제1 몸체 공간(112) 및 제2 몸체 공간(113)의 폭과 높이의 길이 비는 3:1 ~ 1.5일 수 있다. 즉,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의 폭이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증발기 몸체(100)의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열에 의하여 냉매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온도 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냉매가 적체없이 후술하는 제1 돌출 부재(20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 공간 분리벽(110)의 타 단부, 즉 후방 단부에는 제1 몸체 공간(112)과 제2 몸체 공간(113)의 후방이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제1 냉매 순환홀(1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몸체 공간(112)을 따라 이동하는 냉매는 제1 냉매 순환홀(111)을 거쳐 제2 몸체 공간(113)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1 냉매 순환홀(111)의 면적은 제1 유출 공간(22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몸체 공간(112), 제1 냉매 순환홀(111) 및 제2 몸체 공간(113)을 연결하는 유로의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냉매가 일정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매 순환홀(111')은 제1 증발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면에서 상부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가 제1 몸체 공간 분리벽(110')의 상측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매가 보다 원활하게 제2 몸체 공간(113)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제1 냉매 순환홀(111')의 면적과 제1 유출 공간(22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의 비는 1.5 ~ 2:1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냉매 순환홀(111')의 면적이 제1 유출 공간(22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가 제1 증발기 몸체 타단면(103)에 부딪혀 이동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제1 냉매 순환홀(111')을 통과하는 유량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매 순환홀(111')은 제1 증발기 몸체 타단면(103)에 최대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증발기 몸체 타단면(103)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제1 냉매 순환홀(111')의 형성함으로써 제1 몸체 공간(112)에서 제2 몸체 공간(113)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냉매의 흐름에 최대한 방해가 없도록 하여 원활한 냉매 흐름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몸체 공간 분리벽(110')의 연장 길이만을 조절함으로써 제1 냉매 순환홀(111')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주입구(500)는 제1 증발기 몸체(100)의 일 단부, 즉 전방에 배치된다. 냉매주입구(500)는 제1 몸체 공간(112)의 전방으로 냉매를 주입한다. 이 때, 냉매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냉매주입구(500)는 제1 몸체 공간(112)의 길이 방향으로 냉매를 주입할 수 있도록 제1 몸체 공간(11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주입구(500)는 제1 증발기 몸체 일단면(101)으로부터 제1 몸체 공간(112)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주입구(500)는 후술하는 제1 돌출 부재(200)의 제1 돌출 공간(222) 측으로 단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주입구(500)로부터 주입되는 냉매가 후술하는 제1 돌출 부재(200)의 내부로 바로 유입되어 냉매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주입구(500)를 통해 주입된 냉매가 제1 몸체 공간(112) 및 제2 몸체 공간(113)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기 위하여, 제1 증발기 몸체(100)의 일단부 즉, 전방 단부에는 배출홀(102)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몸체 공간(113)과 외부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제1 증발기 몸체 일단면(101)에 형성된다.
이 때, 냉매주입구(500)와 배출홀(102)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냉매의 주입과 배출이 용이하도록 냉매주입구(500)가 제1 몸체 공간(112) 측에 형성되고, 배출홀(102)이 제2 몸체 공간(113)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배출 공간(620) 및 냉매배출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발기 몸체(100)는 전방 측으로 더 연장되고 연장된 제1 증발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배출 공간(620)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 공간(620)은 제2 몸체 공간(113)과 배출홀(102)을 통하여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1 증발기 몸체 일단면(101)에 의하여 배출 공간(620)과 제1 몸체 공간(112) 제2 몸체 공간(113)이 구획되며, 배출홀(102)을 통해 배출된 냉매는 배출 공간(620)으로 이동된다.
이 때, 배출 공간(620)이 형성되는 제1 증발기 몸체(100)의 전방 단부에는 하측, 즉 후술하는 제1 돌출 부재(20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냉매배출구(600)가 관통 형성된다. 냉매배출구(600)에는 냉매배출관(610)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냉매주입구(500)의 일측에는 제1 몸체 공간(112)으로 열가스를 주입하는 열가스주입구(700)가 형성된다. 열가스주입구(700)를 통해 주입된 열가스는 냉매가 이동하는 제1 몸체 공간(112) 및 제2 몸체 공간(113)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후술하는 제1 돌출 부재(200)에 얼음에 형성된 후 제1 돌출 부재(200)에 열을 가하여 제1 돌출 부재(200)에 붙어있는 얼음을 제1 돌출 부재(200)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냉매와 열가스가 이동 경로를 공유함으로써 제1 증발기 몸체(100)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열가스는 냉매와 상대적으로 유동 흐름이 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주입구(50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열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열가스가 원활히 제1 몸체 공간(112)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증발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열가스 가이드벽(720)이 형성될 수 있다. 열가스 가이드벽(720)은 제1 증발기 몸체(100)의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된다. 이 때, 열가스주입구(700)를 통하여 주입된 열가스를 제1 돌출 공간(222)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가스 가이드벽(720)은 열가스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가스 가이드벽(720)은 후술하는 제1 단열벽(14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가스 가이드벽(720)은 열가스 및 냉매가 후술하는 제1 단열벽(14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단열 공간(141)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열가스 가이드벽(720)을 제조하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1 돌출 부재(200)는 제1 증발기 몸체(10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 때, 제1 돌출 부재(200)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제1 증발기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 부재(200)는 통형으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 부재(200)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단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돌출 부재(200)의 내측으로 유입된 냉매 또는 열가스가 제1 돌출 부재(200)로부터 유출되기 위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유체가 모서리 공간에 정체되어 있는 현상을 줄여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1 증발기 몸체 타단면(103)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돌출 부재(200) 사이의 거리는 제1 돌출 부재(200)의 폭의 길이, 예를 들면 원통형의 제1 돌출 부재(200)의 직경의 길이와 비슷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증발기 몸체 타단면(103)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돌출 부재(200) 사이의 거리와 제1 돌출 부재(200)의 폭의 길이는 1:0.9 ~ 1.1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가 보다 원활하게 제1 냉매 순환홀(111)을 통해 제1 몸체 공간(112)에서 제2 몸체 공간(113)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1 돌출 부재(2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제1 돌출 공간 분리벽(210)은 제1 돌출 부재(200)의 내부 공간을 제1 돌출 공간(222)과 제2 돌출 공간(232)으로 구획하도록 제1 돌출 부재(2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 때, 제1 돌출 공간 분리벽(2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 공간 분리벽(110)과 일체로서 제1 돌출 부재(200)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출 공간(222)은 제1 몸체 공간(112)으로 연결되고 제2 돌출 공간(232)은 제2 몸체 공간(113)으로 연결된다.
도 3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1 돌출 공간(222)은 전방의 제1 유입 공간(223)과 후방의 제1 유출 공간(224)으로 구획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돌출 공간 분리벽(210)으로부터 제1 분리벽(220)이 돌출된다. 제1 분리벽(220)은 제1 돌출 부재(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제1 유입 공간(223)과 제1 유출 공간(224)이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제1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제1 관통홀(2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 부재(200)의 내측 일단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가 제1 관통홀(221)을 거쳐 제1 유입 공간(223)에서 제1 유출 공간(224)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돌출 부재(200)의 내측 일단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제1 분리벽(220)은 제1 유입 공간(223) 및 제1 유출 공간(22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몸체 공간(112)으로부터 냉매가 제1 유입 공간(223)으로 유입되고 제1 관통홀(221)을 거쳐 제1 유출 공간(224)으로 이동되며 다시 제1 유출 공간(224)에서 제1 몸체 공간(112)으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냉매의 이동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특히, 제1 관통홀(221)의 면적은 제1 유입 공간(223) 및 제1 유출 공간(22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제1 분리벽(220)의 상단부에는 제1 가이드벽(120)이 형성된다. 제1 가이드벽(120)은 제1 몸체 공간(112)을 따라 이동하는 냉매가 분지되지 않고 모두 제1 유입 공간(223)과 제1 유출 공간(224)을 거치도록 냉매를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제1 가이드벽(120)은 제1 분리벽(220)의 상단부로부터 제1 증발기 몸체(100)의 내측면까지 상측으로 연장되거나, 후술하는 제1 단열벽(140)까지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가 각 제1 돌출 부재(200)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와 경유하지 않는 냉매로 분리되지 않고 모두 제1 돌출 부재(200)의 내부를 경유하게 함으로써 냉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의 온도 분포를 명확하게 하여 각 제1 돌출 부재(200)의 냉각 효율을 일정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2 돌출 공간(232)은 후방의 제2 유입 공간(233)과 전방의 제2 유출 공간(234)으로 구획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분리벽(220)의 반대측에는 제1 돌출 공간 분리벽(210)으로부터 제2 분리벽(230)이 돌출된다. 제2 분리벽(230)은 제1 돌출 부재(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하단부에는 제2 유입 공간(233)과 제2 유출 공간(234)이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제2 관통홀(231)이 형성된다.
이 때, 제2 분리벽(230)은 제2 유입 공간(233) 및 제2 유출 공간(23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몸체 공간(113)으로부터 냉매가 제2 유입 공간(233)으로 유입되고 제2 관통홀(231)을 거쳐 제2 유출 공간(234)으로 이동되며 다시 제2 유출 공간(234)에서 제2 몸체 공간(113)으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냉매의 이동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특히, 제2 관통홀(231)의 면적은 제2 유입 공간(233) 및 제2 유출 공간(23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제2 분리벽(230)의 상단부에는 제2 가이드벽(130)이 형성된다. 제2 가이드벽(130)은 제2 몸체 공간(113)을 따라 이동하는 냉매가 분지되지 않고 모두 제2 유입 공간(233)과 제2 유출 공간(234)을 거치도록 냉매를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제2 가이드벽(130)은 제2 분리벽(230)의 상단부로부터 제1 증발기 몸체(100)의 내측면까지 상측으로 연장되거나, 후술하는 제1 단열벽(140)까지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가 각 제2 돌출 부재(400)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와 경유하지 않는 냉매로 분리되지 않고 모두 제2 돌출 부재(400)의 내부를 경유하게 함으로써 냉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의 온도 분포를 명확하게 하여 각 제2 돌출 부재(400)의 냉각 효율을 일정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관통홀(23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 부재(200)의 내측 일단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가 제2 관통홀(231)을 거쳐 제2 유입 공간(233)에서 제2 유출 공간(234)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돌출 부재(200)의 내측 일단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열벽(140)은 제1 몸체 공간(112)을 상하로 구획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열벽(140)이 구비됨으로써 제1 증발기 몸체(100)의 내측 상부로서, 제1 몸체 공간(112)과 제2 몸체 공간(113)의 상측에는 제1 단열 공간(141)이 형성된다. 제1 단열 공간(141)은 제1 몸체 공간(112) 및 제2 몸체 공간(113)을 지나는 냉매로 외부의 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제1 단열벽(140)이 형성되는 경우, 제1 분리벽(22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가이드벽(120)은 제1 단열벽(140)까지 연장되며, 제2 분리벽(23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가이드벽(130)은 제1 단열벽(140)까지 연장된다. 또한, 열가스 가이드벽(720)은 제1 단열벽(1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가스나 냉매가 제1 단열 공간(14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1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2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는 제1 증발기 몸체(100) 및 복수의 제1 돌출 부재(200)를 경유하는 제1 냉매 유로(114)와 제2 냉매 유로(115)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매 유로(114)는 냉매주입구(500)를 통하여 주입되는 냉매가 이동하는 경로로서, 제1 몸체 공간(112), 제1 유입 공간(223), 제1 유출 공간(224) 및 제1 몸체 공간(112)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1 돌출 부재(200)가 복수 개로 형성되므로, 각각의 제1 돌출 부재(200)에 형성되는 제1 유입 공간(223) 및 제1 유출 공간(224)을 모두 경유하게 된다.
제1 냉매 유로(114)는 단일 경로로서 분지되지 않으며, 제1 몸체 공간(112)에서 제1 가이드벽(120) 및 제1 분리벽(220)의 전방면을 따라 제1 유입 공간(223)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제1 관통홀(221)을 거치며 제1 유출 공간(224)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다시 제1 분리벽(220) 및 제1 가이드벽(120)의 후방면을 따라 제1 몸체 공간(112)으로 이어진다.
이 때, 제1 냉매 유로(114)가 경유하는 제1 몸체 공간(112), 제1 유입 공간(223) 및 제1 유출 공간(22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냉매 유로(114)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의 유속이 단면적에 의하여 바뀌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냉매가 원활하게 제1 냉매 유로(11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제1 냉매 유로(114)는 제1 증발기 몸체(100)의 제1 몸체 공간(112)의 후방 단부까지 연장되며, 제1 냉매 유로(114)의 후방 단부는 후술하는 제2 냉매 유로(115)가 제1 냉매 순환홀(111)을 통해 연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냉매 유로(115)는 제1 냉매 순환홀(111)으로 통해 유입된 냉매가 이동하는 경로로서, 제2 몸체 공간(113), 제2 유입 공간(233), 제2 유출 공간(234) 및 제2 몸체 공간(113)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1 돌출 부재(200)가 복수 개로 형성되므로, 각각의 제1 돌출 부재(200)에 형성되는 제2 유입 공간(233) 및 제2 유출 공간(234)을 모두 경유하게 된다.
제2 냉매 유로(115)는 단일 경로로서 분지되지 않으며, 제2 몸체 공간(113)에서 제2 가이드벽(130) 및 제2 분리벽(230)의 후방면을 따라 제2 유입 공간(233)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제2 관통홀(231)을 거치며 제2 유출 공간(234)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다시 제2 분리벽(230) 및 제2 가이드벽(130)의 전방면을 따라 제2 몸체 공간(113)으로 이어진다.
이 때, 제2 냉매 유로(115)가 경유하는 제2 몸체 공간(113), 제2 유입 공간(233) 및 제2 유출 공간(234)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냉매 유로(115)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의 유속이 단면적에 의하여 바뀌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냉매가 원활하게 제2 냉매 유로(115)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제2 몸체 공간(113)의 전방으로 연장된 제2 냉매 유로(115)는 배출홀(102)로 이어지며, 제2 냉매 유로(115)를 따라 이동된 냉매는 배출홀(102)을 통해 제1 증발기 몸체(100)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냉매는 복수의 제1 돌출 부재(200)를 거치면서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점점 높아지게 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냉매 유로(114)와 제2 냉매 유로(115)가 형성됨으로써,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돌출 부재(200)를 기준으로 제1 유입 공간(223)에는 가장 낮은 온도의 냉매가 지나가고, 제1 유출 공간(224)에는 두 번째로 낮은 온도의 냉매가 지나가게 된다. 반대로, 제2 유입 공간(233)에는 두 번째로 높은 온도의 냉매가 지나가고, 제2 유출 공간(234)에는 가장 높은 온도의 냉매가 지나가게 된다.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제1 돌출 부재(200)를 지나는 냉매의 평균 온도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제1 돌출 부재(200)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1 증발기 몸체(100), 제1 몸체 공간 분리벽(110), 냉매주입구(500), 배출홀(102), 열가스주입구(700), 열가스 가이드벽(720), 제1 돌출 부재(200), 제1 돌출 공간 분리벽(210) 및 제1 단열벽(140)을 구비하며, 제1 실시예에서 보다 한 번에 생성되는 얼음의 개수를 늘릴 수 있도록 제2 증발기 몸체(300), 제2 몸체 공간 분리벽(310), 제2 돌출 부재(400), 제2 돌출 공간 분리벽(410), 제2 단열벽(340), 제3 분리벽(420) 및 제4 분리벽(430)을 더 구비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증발기 몸체(300), 제2 몸체 공간 분리벽(310), 제2 돌출 부재(400), 제2 돌출 공간 분리벽(410), 제2 단열벽(340), 제3 분리벽(420) 및 제4 분리벽(430)은 각각 상술한 제1 증발기 몸체(100), 제1 몸체 공간 분리벽(110), 제1 돌출 부재(200), 제1 돌출 공간 분리벽(210), 제1 단열벽(140), 제1 분리벽(220) 및 제2 분리벽(230)에 대응되며, 형상과 기능이 동일하다.
또한, 제2 몸체 공간 분리벽(3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3 몸체 공간(312) 및 제4 몸체 공간(313)은 각각 제1 몸체 공간(112) 및 제2 몸체 공간(113)에 대응되며, 제3 분리벽(420)에 의하여 제2 돌출 부재(400)에 형성되는 제3 유입 공간(423) 및 제3 유출 공간(424)과 제4 분리벽(430)에 의하여 제2 돌출 부재(400)에 형성되는 제4 유입 공간(433) 및 제4 유출 공간(434)은 각각 제1 유입 공간(223) 및 제1 유출 공간(224), 제2 유입 공간(233) 및 제2 유출 공간(234)에 대응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각 구성은 배치되는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이며 형상이나 기능이 동일하다.
이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몸체 공간 분리벽(110)에 제1 냉매 순환홀(111)이 형성되지 않으며, 제2 몸체 공간 분리벽(310)의 전방에 제1 냉매 순환홀(111)에 대응되는 제2 냉매 순환홀(31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냉매 순환홀(311)은 제3 몸체 공간(312)과 제4 몸체 공간(313)의 전방 측 단부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는 제2 증발기 몸체(300) 및 복수의 제2 돌출 부재(400)를 경유하는 제3 냉매 유로(314)와 제4 냉매 유로(31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3 냉매 유로(314)는 냉매가 이동하는 경로로서, 제3 몸체 공간(312), 제3 유입 공간(423), 제3 유출 공간(424) 및 제3 몸체 공간(312)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2 돌출 부재(400)가 복수 개로 형성되므로, 각각의 제2 돌출 부재(400)에 형성되는 제3 유입 공간(423) 및 제3 유출 공간(424)을 모두 경유하게 된다.
이 때, 제3 냉매 유로(314)는 후방 단부가 제1 냉매 유로(114)의 후방 단부와 연결되고 제1 냉매 유로(114)를 따라 이동한 냉매가 제3 냉매 유로(314)를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4 냉매 유로(315)는 냉매가 이동하는 경로로서, 제4 몸체 공간(313), 제4 유입 공간(433), 제4 유출 공간(434) 및 제4 몸체 공간(313)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2 돌출 부재(400)가 복수 개로 형성되므로, 각각의 제2 돌출 부재(400)에 형성되는 제4 유입 공간(433) 및 제4 유출 공간(434)을 모두 경유하게 된다.
이 때, 제4 냉매 유로(315)는 전방 단부가 제2 냉매 순환홀(311)을 통하여 제3 냉매 유로(314)와 연결되며, 제4 냉매 유로(315)의 후방 단부는 제2 냉매 유로(115)의 후방 단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2 냉매 순환홀(311)을 통하여 제4 냉매 유로(315)로 유입된 냉매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제4 냉매 유로(315)를 따라 이동한 뒤 제2 냉매 유로(115)를 따라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여 냉매배출구(600)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1 냉매 유로(114)의 후방 단부와 제3 냉매 유로(314)의 후방 단부를 연결하고, 제2 냉매 유로(115)의 후방 단부와 제4 냉매 유로(315)의 후방 단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 부재(800)를 더 구비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800)는 중공형의 관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 부재(800)의 단면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10에서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800)의 일단부는 제1 증발기 몸체 타단면(103)에 결합되고, 연결 부재(800)의 타단부는 제2 증발기 몸체 타단면(303)에 결합된다.
이 때, 도 10에서와 같이, 연결 부재(800)의 내부에는 연결 부재 분리벽(810)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연결 부재 분리벽(810)에 의하여 연결 부재(800)의 내부 공간이 제1 연결 공간(811) 및 제2 연결 공간(812)으로 구획된다.
이 때, 연결 부재 분리벽(810)의 일단부는 제1 몸체 공간 분리벽(110)에 연결되고 연결 부재 분리벽(810)의 타단부는 제2 몸체 공간 분리벽(310)에 연결된다. 제1 연결 공간(811)을 통해 제1 냉매 유로(114)의 타 단부와 제3 냉매 유로(314)의 타 단부가 연결된다.
이 때, 제1 몸체 공간(112), 제1 연결 공간(811) 및 제3 몸체 공간(312)은 단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가 제1 몸체 공간(112), 제1 연결 공간(811) 및 제3 몸체 공간(312)을 경유하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 연결 공간(812)을 통하여는 제2 냉매 유로(115)의 타 단부와 제4 냉매 유로(315)의 타 단부가 연결된다. 제2 몸체 공간(113), 제2 연결 공간(812) 및 제4 몸체 공간(313)도 마찬가지로 단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증발기 몸체(100)와 제2 증발기 몸체(3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800)는 굽힘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제1 연결 부재(820)와 제2 연결 부재(830)를 중심으로 설명하여, 제2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서의 연결 부재(800) 대신 제1 연결 부재(820) 및 제2 연결 부재(8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820)는 제1 증발기 몸체(100)의 타 단부인 후방 단부로부터 제2 증발기 몸체(300)의 타 단부인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중공형의 관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연결 부재(820)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1 연결 부재(820)는 도 12에서와 같이, 제1 증발기 몸체 타단면(103)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제2 증발기 몸체 타단면(303)에 타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820)의 내부에는 제1 연결 공간(821)이 형성된다. 제1 연결 공간(821)을 통해 제1 냉매 유로(114)의 타 단부와 제3 냉매 유로(314)의 타 단부가 연결된다.
이 때, 제1 몸체 공간(112), 제1 연결 공간(821) 및 제3 몸체 공간(312)은 단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가 제1 몸체 공간(112), 제1 연결 공간(821) 및 제3 몸체 공간(312)을 경유하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 연결 부재(830)도 제1 증발기 몸체(100)의 타 단부인 후방 단부로부터 제2 증발기 몸체(300)의 타 단부인 후방 단부로 연장되는 중공형의 관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연결 부재(820)의 단면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연결 부재(830)의 양단부가 가 결합되는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와 같이, 제2 연결 부재(830)의 일단부는 제1 증발기 몸체(100)의 제2 몸체 공간(113) 측 측면에 결합되고, 제2 연결 부재(830)의 타단부는 제2 증발기 몸체(300)의 제4 몸체 공간(313) 측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 부재(830)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재료 단가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제2 연결 부재(830)의 내부에는 제2 연결 공간(822)이 형성된다. 제2 연결 공간(822)을 통해 제2 냉매 유로(115)의 타 단부와 제4 냉매 유로(315)의 타 단부가 연결된다.
이 때, 제2 몸체 공간(113), 제2 연결 공간(822) 및 제4 몸체 공간(313)은 단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가 제2 몸체 공간(113), 제2 연결 공간(822) 및 제4 몸체 공간(313)을 경유하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빙기의 내부에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얼음을 제조하기 위하여 설치가 필요한 냉장고 등에도 설치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 증발기 몸체;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 몸체 공간 및 제2 몸체 공간으로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 몸체 공간 분리벽;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일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몸체 공간으로 냉매를 주입하는 냉매주입구;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일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몸체 공간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구;
    상기 제1 증발기 몸체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돌출 부재;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내부를 제1 돌출 공간 및 제2 돌출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 돌출 공간 분리벽;
    상기 냉매가 상기 제1 몸체 공간을 통하여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이동하되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부재의 상기 제1 돌출 공간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제1 냉매 유로; 및
    상기 제1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타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냉매가 상기 제2 몸체 공간을 통하여 타 단부에서 일 단부로 이동하되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부재의 상기 제2 돌출 공간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제2 냉매 유로; 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매 유로와 상기 제2 냉매 유로는 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 부재는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일렬로 배치되는, 제빙용 증발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공간 및 상기 제2 몸체 공간은 폭과 높이의 길이 비가 3:1 ~ 1.5인, 제빙용 증발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타 단면에 인접한 상기 제1 돌출 부재와 상기 타 단면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폭의 길이의 비는 1:0.9 ~ 1.1인, 제빙용 증발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부재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외측으로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주입구는 상기 제1 몸체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냉매를 주입시키고,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일 단부에 인접한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상기 제1 돌출 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제빙용 증발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주입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 공간으로 상기 제1 몸체 공간의 길이 방향으로 열가스를 주입하는 열가스주입구; 및
    상기 열가스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된 상기 열가스를 상기 제1 돌출 공간 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몸체 공간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열가스 가이드벽; 을 더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공간은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유입 공간 및 제1 유출 공간으로 분할되되, 상기 제1 유입 공간 및 제1 유출 공간은 일단부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냉매 유로는 상기 제1 유입 공간 및 상기 제1 유출 공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하고,
    상기 제2 돌출 공간은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유입 공간 및 제2 유출 공간으로 분할되되, 상기 제2 유입 공간 및 제2 유출 공간은 일단부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냉매 유로는 상기 제2 유입 공간 및 상기 제2 유출 공간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제빙용 증발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공간, 상기 제2 몸체 공간, 상기 제1 유입 공간, 상기 제1 유출 공간, 상기 제2 유입 공간 및 상기 제2 유출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공간에는 상기 제1 유입 공간 및 상기 제1 유출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동일하도록 상기 제1 유입 공간 및 상기 제1 유출 공간을 구획하는 제1 분리벽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분리벽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유입 공간 및 상기 제1 유출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 공간에는 상기 제2 유입 공간 및 상기 제2 유출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동일하도록 상기 제2 유입 공간 및 상기 제2 유출 공간을 구획하는 제2 분리벽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리벽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유입 공간 및 상기 제2 유출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은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내측 일단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공간 분리벽의 타 단부에는 상기 제1 냉매 유로와 상기 제2 냉매 유로의 타 단부가 연결되도록 제1 냉매 순환홀; 이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매 순환홀은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내측 하부면에서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제빙용 증발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매 순환홀의 면적과 상기 제1 유출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의 비는 1.5 ~ 2:1인, 제빙용 증발기.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단열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증발기 몸체를 상하로 구획하는 제1 단열벽;
    상기 냉매가 상기 제1 몸체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유입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분리벽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가이드벽; 및
    상기 냉매가 상기 제2 유입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몸체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분리벽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가이드벽;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열벽은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후방 단면에 인접한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상기 제1 가이드벽 및 상기 제2 가이드벽까지 연장되는, 제빙용 증발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일 단부 내부에는 상기 제2 몸체 공간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배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냉매배출구는 상기 배출 공간이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돌출 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에 관통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17. 제1 항에 있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증발기 몸체;
    상기 제2 증발기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3 몸체 공간 및 제4 몸체 공간으로 상기 제2 증발기 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2 몸체 공간 분리벽;
    상기 제2 증발기 몸체로부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돌출 부재;
    상기 제2 돌출 부재의 내부를 제3 돌출 공간 및 제4 돌출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 돌출 공간 분리벽;
    상기 냉매가 상기 제3 몸체 공간을 통하여 타 단부에서 일 단부로 이동하되 상기 복수의 제2 돌출 부재의 상기 제3 돌출 공간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제3 냉매 유로; 및
    상기 제3 냉매 유로의 일 단부와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냉매가 상기 제4 몸체 공간을 통하여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이동하되 상기 복수의 제2 돌출 부재의 상기 제4 돌출 공간을 경유하도록 형성되는 제4 냉매 유로; 를 더 포함하고,
    제3 냉매 유로의 타 단부가 상기 제1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4 냉매 유로의 타 단부가 상기 제2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냉매 유로의 타 단부가 상기 제2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되는, 제빙용 증발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타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증발기 몸체의 타 단부로 연장되는 중공형의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연결 공간 및 제2 연결 공간으로 상기 연결 부재의 내부를 구획하는 연결 부재 분리벽;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냉매 유로의 타 단부는 상기 제1 연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1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4 냉매 유로의 타 단부는 상기 제2 연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2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 분리벽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몸체 공간 분리벽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 부재 분리벽의 타단부는 상기 제2 몸체 공간 분리벽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제빙용 증발기.
  19. 제18 항에 있어서,
    제1 몸체 공간, 제1 연결 공간 및 제3 몸체 공간은 단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 몸체 공간, 제2 연결 공간 및 제4 몸체 공간은 단면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타 단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 증발기 몸체의 타 단부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 연결 공간이 형성되는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증발기 몸체의 타 단부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증발기 몸체의 타 단부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2 연결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연결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냉매 유로의 타 단부는 상기 제1 연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1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4 냉매 유로의 타 단부는 상기 제2 연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제2 냉매 유로의 타 단부와 연결되는, 제빙용 증발기.
PCT/KR2022/008368 2021-10-29 2022-06-14 제빙용 증발기 WO202307506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979 2021-10-29
KR1020210146979A KR20230062075A (ko) 2021-10-29 2021-10-29 제빙용 증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065A1 true WO2023075065A1 (ko) 2023-05-04

Family

ID=8616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8368 WO2023075065A1 (ko) 2021-10-29 2022-06-14 제빙용 증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2075A (ko)
WO (1) WO2023075065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627B1 (ko) 2011-09-14 2011-12-13 인 이 제빙기용 증발기
KR20130013475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 이앤이로하텍 제빙 자화 육각 정수기
KR101337080B1 (ko) * 2012-08-28 201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제빙용 증발기
KR20180009521A (ko) 2016-07-19 2018-01-29 (주)에쏘 얼음 생성용 증발기
KR101893533B1 (ko) * 2017-09-04 2018-08-30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장치
KR20190074572A (ko)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태성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KR20210003525A (ko) 2019-07-02 2021-01-12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KR20210146979A (ko) 2019-04-02 2021-12-06 베나토알엑스 파마슈티컬스, 인크. 경구 전달 베타-락타마제 억제제의 고체 형태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475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 이앤이로하텍 제빙 자화 육각 정수기
KR101092627B1 (ko) 2011-09-14 2011-12-13 인 이 제빙기용 증발기
KR101337080B1 (ko) * 2012-08-28 201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제빙용 증발기
KR20180009521A (ko) 2016-07-19 2018-01-29 (주)에쏘 얼음 생성용 증발기
KR101893533B1 (ko) * 2017-09-04 2018-08-30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장치
KR20190074572A (ko)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태성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KR20210146979A (ko) 2019-04-02 2021-12-06 베나토알엑스 파마슈티컬스, 인크. 경구 전달 베타-락타마제 억제제의 고체 형태 및 이의 용도
KR20210003525A (ko) 2019-07-02 2021-01-12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075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73842A1 (en) Heat exchanger
EP2440866A2 (en)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WO2011007960A2 (en) Refrigerator
CZ285464B6 (cs) Způsob výroby celulózových tvarových těles a zařízení k provedení tohoto způsobu
FI72593B (fi) Rostblock hos ett rosttak till en foerbraenningsrost foer avfallsfoerbraenning.
WO2012023801A2 (ko) 유체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판 세정 시스템 및 방법
WO2023075065A1 (ko) 제빙용 증발기
WO2011152666A2 (ko) 식기 세척기
WO2011152667A2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6099219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WO2020122601A1 (ko)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및 제빙용 증발기
WO2011093652A2 (ko) 중공사막 모듈
WO2014065638A1 (ko) 제빙기
WO2015093706A1 (ko) 잉곳의 성장공정을 관찰하기 위한 뷰 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잉곳성장장치
WO2015108370A1 (ko) 냉각스크류 및 이를 이용하는 냉각스크류의 냉각방법
WO2022124568A1 (en) Refrigerator
WO2022255589A1 (ko) 직수 정수기용 냉수 탱크
WO2021025395A1 (ko) 냉장고
KR100637418B1 (ko) 선재(線材) 도금 장치
WO2018026086A1 (ko) 냉각장치
WO2020251119A1 (ko) 냉장고
WO2019151782A1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WO2015060700A1 (ko) 에너지차단과 완충기능을 가진 패널 제작용 압출다이스
WO2022181956A1 (ko) 냉장고
WO2022154336A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872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872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