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572A -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 Google Patents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572A
KR20190074572A KR1020170176035A KR20170176035A KR20190074572A KR 20190074572 A KR20190074572 A KR 20190074572A KR 1020170176035 A KR1020170176035 A KR 1020170176035A KR 20170176035 A KR20170176035 A KR 20170176035A KR 20190074572 A KR20190074572 A KR 20190074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ube
pipe
immersion
refriger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470B1 (ko
Inventor
권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to KR1020170176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4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25C1/06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open or openable at both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용 냉매관에 있어서, 냉매가 이동되도록 한번 이상 절곡되고 일면에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냉매관;및 상기 냉매관의 설치공에 위치하되, 냉매의 흐름을 변경시키도록 상기 냉매관과 일단에서 연통되고, 내부가 개방되도록 타단에서 구획되어, 냉매가 이동되도록 형성된 침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침지부는,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에서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침지관;및 상기 침지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면서 상기 냉매관의 냉매의 흐름을 가로막는 격벽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격벽판에서 냉매관에 배치되는 부분은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격벽판에서 상기 침지관에 배치되는 부분은 침관의 끝면과 틈새를 두어 냉매순환부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냉매관에서 차단된 냉매가 상기 침지관의 일부분을 거치면서 끝부분까지 유도된후 상기 냉매순환부를 통해 상기 침지관의 타부분을 거쳐 다시 냉매관으로 유도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매관의 냉매의 흐름이 상기 침지관의 끝부분까지 유도되어 상기 침지관의 주위온도를 빙점 이하로 형성하는 속도를 높일수 있으며, 작은 크기의 얼음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Refrigerant tube for ice-making}
본 발명은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관에서 차단된 냉매가 상기 침지관의 일부분을 거치면서 끝부분까지 유도된후 상기 냉매순환부를 통해 상기 침지관의 타부분을 거쳐 다시 냉매관으로 유도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 기능을 구비한 냉온 정수기는 얼음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빙용 증발기를 구비하고 이에 사용되는 냉매관은 증발기의 일부인 침지부를 물받이에 침지시켜 물을 냉각시킨다.
그러나, 냉매를 침지시키기 위한 통상의 침지관을 사용하는 경우 침지관의 끝부분에 효과적으로 냉매의 흐름이 전달되지않아 상기 침지관의 타부분의 온도를 빙점 이하로 형성시키는데에 오랜 시간이 걸릴뿐만 아니라 상기 침지관에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매가 이동되도록 한번 이상 절곡되고 일면에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냉매관;및 상기 냉매관의 설치공에 위치하되, 냉매의 흐름을 변경시키도록 상기 냉매관과 일단에서 연통되고, 내부가 개방되도록 타단에서 구획되어, 냉매가 이동되도록 형성된 침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침지부는,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에서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침지관;및 상기 침지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면서 상기 냉매관의 냉매의 흐름을 가로막는 격벽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격벽판에서 냉매관에 배치되는 부분은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격벽판에서 상기 침지관에 배치되는 부분은 침관의 끝면과 틈새를 두어 냉매순환부를 구비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가 이동되도록 한번 이상 절곡되고 일면에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냉매관;및 상기 냉매관의 설치공에 위치하되, 냉매의 흐름을 변경시키도록 상기 냉매관과 일단에서 연통되고, 내부가 개방되도록 타단에서 구획되어, 냉매가 이동되도록 형성된 침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침지부는,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에서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침지관;및 상기 침지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면서 상기 냉매관의 냉매의 흐름을 가로막는 격벽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격벽판에서 냉매관에 배치되는 부분은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격벽판에서 상기 침지관에 배치되는 부분은 침관의 끝면과 틈새를 두어 냉매순환부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냉매관에서 차단된 냉매가 상기 침지관의 일부분을 거치면서 끝부분까지 유도된후 상기 냉매순환부를 통해 상기 침지관의 타부분을 거쳐 다시 냉매관으로 유도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침지관의 외부면에는 오목부를 두고 상기 오목부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오목부에 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침지관을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해 좌측과 우측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침지관을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과 일치하게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격벽판은 판재로 이루어져 냉매를 흐름을 유도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측면에 위치한 측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냉매관에 배치되는 부분에서 평면부는 냉매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측면부는 상기 냉매관의 내부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침지관에 배치되는 부분에서 평면부는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평면부의 양쪽에 상기 얼음을 형성하는 오목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판은 판재로 이루어져 냉매를 흐름을 유도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측면에 위치한 측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냉매관에 배치되는 부분에서 평면부는 냉매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측면부는 상기 냉매관의 내부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침지관에 배치되는 부분에서 평면부는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평면부의 양쪽에 상기 얼음을 형성하는 오목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판은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져 냉매관에 배치되는 평면부와 침지관에 배치되는 평면부가 90도 차이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격벽판은 냉매관과 침지관의 사이에서 90도 꼬아진 꼬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침지관은 복수개 설치되며 각각의 침지관에 형성된 오목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노즐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 이 배치되고 하나의 물공급관에는 다수의 노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발명의 상기 물공급관은 상기 냉매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냉매관의 측면에는 상기 물공급관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냉매관의 냉매의 흐름이 상기 침지관의 끝부분까지 유도되어 상기 침지관의 주위온도를 빙점 이하로 빠르게 형성하여 얼음의 제조가 용이하며 작은 크기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빙용 냉매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냉매관의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의 우측면을 도시한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지부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격벽판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격벽판과 침지부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있어서 침지부에 물을 공급하여 얼음이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의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지부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격벽판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100)은 냉매가 이동되도록 한번 이상 절곡된 냉매관(100);및 냉매의 흐름을 변경시키도록 상기 냉매관과 일단에서 연통되고, 내부가 개방되도록 타단에서 구획되어, 냉매가 이동되도록 형성된 침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의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오목부(320)는 침지관을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냉매관(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해 좌측과 우측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공급관(400)은 상기 냉매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냉매관(100)의 측면에는 상기 물공급관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420)가 배치되고 상기 침지관(310)은 복수개 설치되며 각각의 침지관에 형성된 오목부(320)에는 물을 공급하는 노즐부(41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노즐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400);이 배치되고 하나의 물공급관에는 다수의 노즐부(4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의 우측면을 도시한것이다.
상기 냉매관(100)은 침지부(300)와 결합하되 상기 침지관(310)은 상기 냉매관(100)의 길이방향에서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지부(300)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격벽판(200)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침지부(300)는 상기 침지관(3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면서 상기 냉매관(100)의 냉매의 흐름을 가로막는 격벽판(200);으로 구성되되, 상기 격벽판에서 냉매관(100)에 배치되는 부분은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격벽판에서 상기 침지관(310)에 배치되는 부분은 침관의 끝면과 틈새를 두어 냉매순환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침지관(310)의 외부면에는 오목부(320)를 둔다.
또한 상기 격벽판(200)은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져 냉매관(100)에 배치되는 평면부(220)와 침지관에 배치되는 평면부가 90도 차이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격벽판(200)은 냉매관(100)과 침지관의 사이에서 90도 꼬아진 꼬임부(230);가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의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오목부(320)는 침지관(100)을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냉매관(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과 일치하게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지부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격벽판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을 참조하면 상기 격벽판(200)은 판재로 이루어져 냉매를 흐름을 유도하는 평면부(220)와 상기 평면부의 측면에 위치한 측면부(240)로 이루어지되 상기 냉매관(100)에 배치되는 부분에서 평면부(220)는 냉매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측면부(240)는 상기 냉매관(100)의 내부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침지관(310)에 배치되는 부분에서 평면부(220)는 상기 냉매관(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평면부(220)의 양쪽에 상기 얼음을 형성하는 오목부(32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격벽판과 침지부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냉매관(100)의 일면에는 다수의 설치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침지부(300)는 상기 냉매관(100)의 설치공(110)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격벽판(200)은 판재로 이루어져 냉매를 흐름을 유도하는 평면부(220)와 상기 평면부의 측면에 위치한 측면부(240)로 이루어지되 상기 냉매관에 배치되는 부분에서 평면부(220)는 냉매관(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측면부(240)는 상기 냉매관의 내부면과 접하도록 배치된다.(도5의 b참조)
상기 침지관에 배치되는 부분에서 평면부(220)는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평면부의 양쪽에 상기 얼음을 형성하는 오목부(320)가 배치된다.(도5의 a참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에 있어서 침지부에 물을 공급하여 얼음(20)이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100)에서 차단된 냉매는 상기 침지관(310)의 일부분을 거치면서 끝부분까지 유도된후 상기 냉매순환부(210)를 통해 상기 침지관의 타부분을 거쳐 다시 냉매관(100)으로 유도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오목부(320)에는 물(10)을 공급하여 상기 오목부에 얼음(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물 20 얼음
100 냉매관 110 설치공
200격벽판 210 냉매순환부
220 평면부 230 꼬임부
240 측면부 300 침지부
310 침지관 320 오목부
400 물공급관 410노즐부
420 고정부

Claims (7)

  1. 냉매가 이동되도록 한번 이상 절곡되고 일면에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냉매관;및
    상기 냉매관의 설치공에 위치하되, 냉매의 흐름을 변경시키도록 상기 냉매관과 일단에서 연통되고, 내부가 개방되도록 타단에서 구획되어, 냉매가 이동되도록 형성된 침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침지부는,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에서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침지관;및 상기 침지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면서 상기 냉매관의 냉매의 흐름을 가로막는 격벽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격벽판에서 냉매관에 배치되는 부분은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격벽판에서 상기 침지관에 배치되는 부분은 침관의 끝면과 틈새를 두어 냉매순환부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냉매관에서 차단된 냉매가 상기 침지관의 일부분을 거치면서 끝부분까지 유도된후 상기 냉매순환부를 통해 상기 침지관의 타부분을 거쳐 다시 냉매관으로 유도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관의 외부면에는 오목부를 두고 상기 오목부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오목부에 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침지관을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해 좌측과 우측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침지관을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과 일치하게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관은 복수개 설치되며 각각의 침지관에 형성된 오목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노즐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에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이 배치되고 하나의 물공급관에는 다수의 노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은 상기 냉매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냉매관의 측면에는 상기 물공급관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KR1020170176035A 2017-12-20 2017-12-20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KR102089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035A KR102089470B1 (ko) 2017-12-20 2017-12-20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035A KR102089470B1 (ko) 2017-12-20 2017-12-20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72A true KR20190074572A (ko) 2019-06-28
KR102089470B1 KR102089470B1 (ko) 2020-05-27

Family

ID=6706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035A KR102089470B1 (ko) 2017-12-20 2017-12-20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065A1 (ko) * 2021-10-29 2023-05-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8889B2 (ja) * 2010-02-01 2014-03-1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流下式製氷機の散水ガイド
KR20140062847A (ko) * 2012-11-15 2014-05-26 (주) 유앤아이 정수기용 일체형 직타원 증발기유닛
KR20140102529A (ko) * 2013-02-14 2014-08-2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얼음정수기용 증발기 및 그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생성방법
KR20170114306A (ko) * 2016-04-04 2017-10-16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8889B2 (ja) * 2010-02-01 2014-03-1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流下式製氷機の散水ガイド
KR20140062847A (ko) * 2012-11-15 2014-05-26 (주) 유앤아이 정수기용 일체형 직타원 증발기유닛
KR20140102529A (ko) * 2013-02-14 2014-08-22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얼음정수기용 증발기 및 그 증발기를 이용한 얼음생성방법
KR20170114306A (ko) * 2016-04-04 2017-10-16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065A1 (ko) * 2021-10-29 2023-05-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470B1 (ko)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6063049B3 (de) Kühlschranktür
KR100936691B1 (ko) 제빙용 냉매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813655B1 (ko)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KR20110006998A (ko) 냉장고
KR20110061964A (ko) 냉장고용 물탱크 및 그 제조방법과 냉장고용 물탱크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90074572A (ko)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KR101813653B1 (ko)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일체형 냉매 유도관
KR200457271Y1 (ko) 제빙용 침지부
KR102621916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US7510471B2 (en) Flow spreading mechanism
KR101990351B1 (ko)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형상의 얼음제조가 가능한 유수식 제빙장치
KR101810206B1 (ko)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를 적용한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방법
KR101184257B1 (ko) 냉각수로 어셈블리 및 냉각수로 유닛
KR102279415B1 (ko)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KR200207422Y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구
KR101904736B1 (ko) 제빙기용 냉수 및 얼음 생성장치
KR102619014B1 (ko)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KR100476752B1 (ko) 사출 성형기의 몰드 냉각 장치
KR100556793B1 (ko) 냉장고의 측부냉기덕트
KR102285765B1 (ko)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형상의 얼음제조가 가능한 유수식 제빙장치
KR0152414B1 (ko) 냉장고
JP3110416U (ja) 恒温槽
KR100745805B1 (ko) 냉장고용 물탱크
KR950010582Y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1957687B1 (ko)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