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306A -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 Google Patents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306A
KR20170114306A KR1020160040778A KR20160040778A KR20170114306A KR 20170114306 A KR20170114306 A KR 20170114306A KR 1020160040778 A KR1020160040778 A KR 1020160040778A KR 20160040778 A KR20160040778 A KR 20160040778A KR 20170114306 A KR20170114306 A KR 20170114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branch
ice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655B1 (ko
Inventor
조철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Priority to KR102016004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65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6Moulds with separate grid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0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varying the cross-section of the flow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 생산을 위한 제빙기의 냉매 유도관에 대한 냉매 흐름을 개선하여 냉각 효율을 증대시키고, 냉매 유도관의 조립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얼음 생산을 위한 제빙기의 냉매 유도관으로서, 냉매가 유입되는 유로 공간(133)을 이용해 유입된 냉매가 순환되게 하고, 일면에 다수의 분기홀(120)이 각각 형성된 냉매관(100)과; 상기 분기홀(120)에 끼워져 조립되어 냉매가 공급되며, 그 공급된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 작용으로 외부 표면에 접촉되는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다수의 분기관(200)과; 상기 분기관(200) 및 냉매관(100)에 삽입되는 구조로 다수의 분기관(200)을 서로 구획하여 냉매가 순차적으로 유입되게 하되, 그 삽입된 중앙 부분으로 비틀려 형성되는 비틀림부(310)가 마련되어 유입되는 냉매의 와류를 유도하는 격벽(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Refrigerant induction device of ice making machine}
본 발명은 얼음 생산을 위한 제빙기의 냉매 유도관에 대한 냉매 흐름을 개선하여 냉각 효율을 증대시키고, 냉매 유도관의 조립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는 냉장고, 정수기 등의 다양한 가전제품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정수하면 그 정수(또는 냉수)를 얼려 얼음을 사용자에게 간편하게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압축기, 응축기 등으로 제공되는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기를 냉매 유도관에 연결하고, 그 냉매 유도관에 물이 직접 접촉됨으로 냉매에 의한 열교환으로 얼음을 생성하는데,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유도관에 물을 분사하는 방식이나, 또는 냉매 유도관을 수조에 침지하는 방식을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제빙 효율이 좋은 침지 방식을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5974호를 살펴보면, 냉매의 순환을 통해 정수된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자동으로 생산하는 제빙기용 냉매파이프에 있어서, 내부에 냉매가 순환되는 유동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며, 몸체에서 순환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됨에 따라 외부에 얼음이 착상되는 핑거와; 상기 몸체의 내부 상측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와 핑거를 가열시켜 핑거에 착상된 얼음의 착상면을 녹여 얼음을 상기 핑거로부터 탈빙시키는 히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0-0936691호를 살펴보면, 냉매가 이동되도록 한번 이상 절곡되고 일면에 다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냉매관; 및 상기 냉매관의 설치공에 위치하되, 냉매의 흐름을 변경시키도록 상기 냉매관과 일단에서 연통되고, 내부가 개방되도록 타단에서 구획되어, 냉매가 이동되도록 형성된 침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침지부는 얼리고자 하는 물에 침지되어 그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에 의해 물을 얼리는 구조이고,
상기 침지부는, 상기 냉매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침지관; 및 상기 침지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격벽판;으로 구성되어 있되, 일단은 상기 냉매관에 접하되 냉매를 상기 침지관의 내부공간으로 유도하며, 타단은 냉매가 외측에 위치한 물질과 열교환 가능하도록 침지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냉매가 유동하는 관에서 하나 이상으로 분기되어 얼음이 직접 생성되는 다수의 분기관(종래;핑거,침지관)은 단순 관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그 분기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냉매의 공급 압력이 약하면 냉매의 흐름이 좋지 않아 냉각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다수의 분기관 내부에 마련되는 격벽의 고정성이 약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격벽이 쉽게 이탈하거나 뒤틀려 분기관의 내부 유로를 좁힐 수 있음에 따라 다수의 분기관에 대한 냉매 흐름이 일정하지 않아 얼음의 크기가 제각각으로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냉매관과 분기관을 조립하기 위해 가조립한 상태에서 용접을 수행하는데, 그 가조립을 위한 고정 구조가 없기 때문에 용접을 이용한 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조립성 역시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5974호(공개일:2013.08.29)가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6691호(등록일:2010.01.06)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냉매 유도관의 분기관 내부로 결합되는 격벽의 외형을 개선하여 냉매 흐름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제작함에 따라 냉매의 공급 압력에 상관없이 냉매 흐름을 좋게 하여 냉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게 하고, 또한 격벽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냉매관의 분기관 결합 부위로 마련함에 따라 격벽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 견고한 고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냉매관과 분기관의 조립위치에 맞게 임시로 가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에 따라 냉매관과 분기관의 용접이 간편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얼음 생산을 위한 제빙기의 냉매 유도관으로서,
냉매가 유입되는 유로 공간을 이용해 유입된 냉매가 순환되게 하고, 일면에 다수의 분기홀이 각각 형성된 냉매관과;
상기 분기홀에 끼워져 조립되어 냉매가 공급되며, 그 공급된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 작용으로 외부 표면에 접촉되는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다수의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 및 냉매관에 삽입되는 구조로 다수의 분기관을 서로 구획하여 냉매가 순차적으로 유입되게 하되, 그 삽입된 중앙 부분으로 비틀려 형성되는 비틀림부가 마련되어 유입되는 냉매의 와류를 유도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 유도관의 분기관 내부로 결합되는 격벽의 형상을 비틀려 제작하면서, 그 격벽이 분기관 내부로 비틀려 삽입되면 냉매의 와류가 형성되게 제작 구성함으로써 냉매의 공급 압력에 상관없이 냉매 흐름이 좋아져 냉각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관의 적소에 격벽이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격벽 안내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격벽이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는 견고한 고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관의 일측으로 냉매관의 적소에 가조립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비딩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냉매관과 분기관이 용접없이 임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완전 조립을 위한 용접을 간편하게 수행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에 대한 각부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냉매 유도관(1)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내부 유로 공간(133)을 이용해 유입된 냉매를 순환되게 하는 냉매관(100)과; 냉매관(100)에 조립되어 냉매가 공급되며 그 공급된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 작용으로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다수의 분기관(200)과; 다수의 분기관(200)을 서로 구획하여 냉매가 순차적으로 유입되게 하는 격벽(300) 및, 상기 격벽(300)을 고정하는 격벽 안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의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매 유도관의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매 유도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매 유도관 중 분기관 및 격벽의 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냉매관(100)은;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131) 및 출구(132)가 마련된 유로 공간(133)을 이용해 유입된 냉매가 순환되게 하고, 일면에 다수의 분기홀(120)이 각각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 및 배출에 의한 순환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냉매관(100)은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열전도가 좋은 금속 재질로 제작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을 이용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은 내구성, 내식성, 내열성이 뛰어나 냉매관(100)을 제작하기에 적당하다.
이때, 상기 냉매관(100)은 중공의 사각 단면을 갖는 관 형태로 내부에 유로 공간(133)이 마련되게 제작하면, 그 냉매관(100)의 일면에 상기 유로 공간(133)에 연결되면서, 후술하는 분기관(200)이 끼워져 조립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분기홀(120)이 관통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분기홀(120)의 크기는 분기관(200)의 직경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냉매관(100)의 일측에는 냉매 공급 파이프가 연결되는 입구(131)가 관통형성되고, 그 입구(131)의 타측에는 유로 공간(133)으로 유입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파이프가 연결되기 위한 출구(132)가 관통형성되어, 그 입구(131) 및 출구(132)는 상기 유로 공간(133)과 통한다.
더욱이, 상기 냉매 공급 및 배출을 위한 파이프의 경우 별도 제작하여 입구(131) 및 출구(132)에 삽입한 후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입구(131) 및 출구(132)에서 파이프 형태로 일체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구(131)는 출구(132)에 비하여 관통 구멍이 작게 형성됨으로 냉매관(100)의 유로 공간(133)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순환을 보다 효율적으로 작용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기관(200)은; 상기 분기홀(120)에 끼워져 조립되어 냉매가 공급되며, 그 공급된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 작용으로 외부 표면에 접촉되는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분기관(200)은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열전도가 좋은 금속 재질로 제작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을 이용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은 가열 및 극저온에서 중금속이나 유해물질의 생성이 없어 사람의 음용을 위한 얼음의 생산 기기, 즉 분기관(200)과 같이 물에 직접 접촉되는 것의 제작에 적합한 것이다.
이때, 상기 분기관(200)은 일면은 개방되고 그 타단의 끝 면은 막힌 원통 관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분기관(200)의 개방된 측 끝 부분 둘레는 상기 냉매관(100)의 분기홀(120)의 내주에 완전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제작된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분기관(200)은; 비딩(2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기관(200)은; 분기홀(120)에 끼워져 조립되는 측의 외주에 돌출형성되되, 그 돌출된 부분이 분기홀(120)에 안착되는 구조로 분기관(200)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비딩(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비딩(210)은 분기관(200)의 개방된 측 끝 부분의 둘레로 분기관(200)이 냉매관(100)의 분기홀(120)에 삽입되는 깊이에 대응한 위치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단턱 구조이며, 상기 비딩(210)이 형성된 분기관(200)이 분기홀(120)에 삽입되면 상기 비딩(210)의 하면이 분기홀(120)의 외측 둘레에 안착되면서 분기관(200)을 고정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딩(210)은 상기 분기관(200)의 하부를 프레스 성형하면서 비딩(210)이 일체로 돌출되게 하거나, 또는 링 형상의 비딩(210)을 분기관(200)의 둘레에 용접으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기관(200)에 비딩(210)의 구조가 부가됨에 따라 냉매관(100)의 분기홀(120)에 분기관(200)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냉매관(100)과 분기관(200)이 용접 없이 임시 고정될 수 있으며, 완전 조립을 위한 용접을 간편하게 수행하여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300)은; 상기 분기관(200) 냉매관(100)에 삽입되는 구조로 다수의 분기관(200)을 서로 구획하여 냉매가 순차적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격벽(300)은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온도차에 의한 형상 변형이 적은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며,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인 경우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을 이용하고, 합성수지 재질인 경우 A.B.S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또는 페놀수지(phenol resin) 재질을 이용하며, 특히 격벽(300)은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의 방식으로 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격벽(300)은 판재 형상을 갖되, 격벽상부(311)는 분기관(200)의 내부 단면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제작되며 격벽하부(312)는 냉매관(1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제작되어 상기 격벽(300)을 이용해 분기관(200) 및 냉매관(100)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고, 상기 격벽상부(311)에 냉매가 통과하는 유입홀(320)이 관통 형성되어 분기관(200) 및 냉매관(100)의 구획된 공간으로 냉매가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격벽(300)은; 비틀림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격벽(300)은; 중앙 부분으로 비틀려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유입되는 냉매의 와류를 유도하게 하는 비틀림부(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비틀림부(310)는 격벽(300)의 제작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이며, 그 비틀림부(310)는 70 ~ 110°각도의 비틀림을 유지하게 형성되지만, 바람직하게는 90°각도로 비틀려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때, 비틀림부(310)는 분기관(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직선 흐름을 회전 흐름으로 방향을 유도 변환시켜 와류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격벽(300)에 비틀림부(310)의 구조가 부가됨에 따라 분기관(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흐름이 비틀림부(310)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어 냉매의 공급 압력에 상관없이 냉매 흐름이 좋아져 냉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 안내부(110)는; 상기 분기홀(120)의 내주 양 측벽에 한 쌍의 끼움홈(111)이 일체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끼움홈(111)에 격벽(300)의 양측이 각각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격벽 안내부(110)는 분기홀(120)의 내주 양 측벽에 한 쌍의 끼움홈(111)이 수직의 홈 형태로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11)의 크기는 격벽(300)의 두께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11)에 격벽하부(312)의 양측단이 끼워지면 격벽(300)에 대한 견고한 고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매관(100)에 격벽 안내부(110)의 구조가 부가됨에 따라 상기 격벽 안내부(110)에 격벽(300)이 끼워져 고정되어 격벽(300)이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는 견고한 고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4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매 유도관 중 격벽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냉매 유도관(1) 중 상기 격벽(300)은, 그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격벽(300)이 분기관(200) 및 냉매관(100)에 삽입되면, 그 분기관(200) 및 냉매관(100)의 내벽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밀폐부재(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재(330)는 격벽(300)의 테두리에 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되, 그 밀폐부재(330)는 고무, 우레탄, 에폭시 등의 발포 재질을 이용해 성형하여 탄성력을 갖음으로 밀폐부재(330)가 분기관(200) 및 냉매관(100)의 내벽에 밀착되면 탄성력에 의한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격벽(300)에 밀폐부재(330)의 구조가 부가됨에 따라 격벽(300)을 이용해 구획된 공간에 대한 기밀이 완벽히 유지되어 냉매의 흐름이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5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냉매 유도관의 사시도 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냉매 유도관(1) 중 상기 냉매관(100)은, 다수의 분기홀(120)이 형성된 반대쪽 면으로 히터(10)의 일측 둘레를 감싸서 면 접촉되어 그 히터(10)의 열전달 면적을 크게 하는 히터 홈(1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히터 홈(130)은 히터(10)의 둘레 크기 및 외형에 대응한 라운드 홈으로 냉매관(100)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빙기에 본 발명의 냉매 유도관(1)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그 제빙기에 구비된 히터(10)의 일측 둘레를 상기 히터 홈(130)이 감싸면서 면 접촉되게 냉매 유도관(1)을 설치하여 히터(10)의 열전달 면적을 크게 한다.
이때, 상기 히터(10)는 직접적인 열을 냉매관(100)에 절단하여 다수의 분기관(200)에 생성되는 얼음이 히터(1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보다 쉽게 탈빙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매관(100)에 히터 홈(130)의 구조가 부가됨에 따라 제빙기의 히터(10)에 대한 열전달 효율을 높여 분기관(200)에 생성되는 얼음의 탈빙 시간을 개선하여 얼음 제공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냉매 유도관 100; 냉매관
110; 격벽 안내부 120; 분기홀
200;분기관 210; 비딩
300; 격벽 310; 비틀림부
320; 유입홀

Claims (4)

  1. 얼음 생산을 위한 제빙기의 냉매 유도관으로서,
    냉매가 유입되는 유로 공간(133)을 이용해 유입된 냉매가 순환되게 하고, 일면에 다수의 분기홀(120)이 각각 형성된 냉매관(100)과;
    상기 분기홀(120)에 끼워져 조립되어 냉매가 공급되며, 그 공급된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 작용으로 외부 표면에 접촉되는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다수의 분기관(200)과;
    상기 분기관(200) 및 냉매관(100)에 삽입되는 구조로 다수의 분기관(200)을 서로 구획하여 냉매가 순차적으로 유입되게 하는 격벽(300) 및;
    상기 분기홀(120)의 내주 양 측벽에 한 쌍의 끼움홈(111)이 일체로 형성되어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끼움홈(111)에 상기 격벽(300)의 양측이 각각 끼워져 조립되게 하는 격벽 안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100)은, 다수의 분기홀(120)이 형성된 반대쪽 면으로 히터(10)의 일측 둘레를 감싸서 면 접촉되어 그 히터(10)의 열전달 면적을 크게 하는 히터 홈(130)을 더 포함하는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00)은, 중앙 부분으로 비틀려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유입되는 냉매의 와류를 유도하게 하는 비틀림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00)은, 분기홀(120)에 끼워져 조립되는 측의 외주에 돌출형성되되, 그 돌출된 부분이 분기홀(120)에 안착되는 구조로 분기관(200)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비딩(210)을 더 포함하는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KR1020160040778A 2016-04-04 2016-04-04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KR10181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778A KR101813655B1 (ko) 2016-04-04 2016-04-04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778A KR101813655B1 (ko) 2016-04-04 2016-04-04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306A true KR20170114306A (ko) 2017-10-16
KR101813655B1 KR101813655B1 (ko) 2018-01-30

Family

ID=6029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778A KR101813655B1 (ko) 2016-04-04 2016-04-04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6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572A (ko)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태성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KR102151885B1 (ko) * 2019-11-15 2020-09-03 엄세운 열교환기용 원통형 분배관과 분기관의 결합 구조체
KR102151886B1 (ko) * 2019-11-15 2020-09-03 엄세운 열교환기용 반원통형 분배관과 분기관의 결합 구조체
CN112703356A (zh) * 2018-09-14 2021-04-23 熊津科唯怡株式会社 制冰机用蒸发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914Y1 (ko) * 2021-07-19 2023-06-05 (주) 에타 제빙용 증발기
KR102578095B1 (ko) * 2021-07-26 2023-09-13 강대혁 무용접 결합구조를 갖는 제빙기용 증발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929B1 (ko) 2002-12-10 2005-08-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JP2008064450A (ja) 2006-09-06 2008-03-21 Korea Nakajo Kk 製氷機の蒸発管
KR100814613B1 (ko) 2006-12-26 2008-03-18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얼음을 이용한 냉수 제조가 가능한 얼음 정수기
KR100936691B1 (ko) 2009-06-16 2010-01-13 주식회사 태성 제빙용 냉매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337080B1 (ko) 2012-08-28 201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제빙용 증발기
KR101332217B1 (ko) * 2013-03-25 2013-11-22 주식회사 태성 경첩유로칸막이를 갖는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1802B1 (ko) * 2013-05-15 2014-11-13 주식회사 태성 열전도율이 향상된 제빙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572A (ko) *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태성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CN112703356A (zh) * 2018-09-14 2021-04-23 熊津科唯怡株式会社 制冰机用蒸发器
US11493253B2 (en) * 2018-09-14 2022-11-08 Coway Co., Ltd. Evaporator for ice maker
CN112703356B (zh) * 2018-09-14 2023-03-28 熊津科唯怡株式会社 制冰机用蒸发器
KR102151885B1 (ko) * 2019-11-15 2020-09-03 엄세운 열교환기용 원통형 분배관과 분기관의 결합 구조체
KR102151886B1 (ko) * 2019-11-15 2020-09-03 엄세운 열교환기용 반원통형 분배관과 분기관의 결합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655B1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655B1 (ko)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KR102023619B1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US10654699B2 (en) Water dispenser
RU2498757C2 (ru) Диспенсер для горячей и холодной воды
KR101813653B1 (ko)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일체형 냉매 유도관
AU2013100894A4 (en) Heat exchanger
US20180056217A1 (en) Cooling water stirr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0938642B1 (ko)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20170116493A (ko) 냉장고
WO2009077966A2 (en) Heater tank
KR101893533B1 (ko) 제빙장치
KR102066478B1 (ko) 유체 냉각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02991A (ko) 정수기용 냉각장치
US10088217B2 (en) Refrigeration device comprising a water tank
KR20160131787A (ko) 직접 접촉방식을 적용한 정수기 냉각장치
KR101904736B1 (ko) 제빙기용 냉수 및 얼음 생성장치
KR101813648B1 (ko) 제빙기용 냉매 유도관을 갖는 단열 커버
RU2468311C2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и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CN109556339A (zh) 具有存放室和蒸发器室的制冷器具
KR20170023277A (ko) 제빙기
KR102619014B1 (ko)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CN104776684B (zh) 饮水设备
KR200484456Y1 (ko) 유체 저장탱크 어셈블리
KR20200007418A (ko) 냉각기용 열교환기
KR20190074572A (ko)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