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418A - 냉각기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냉각기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418A
KR20200007418A KR1020180081516A KR20180081516A KR20200007418A KR 20200007418 A KR20200007418 A KR 20200007418A KR 1020180081516 A KR1020180081516 A KR 1020180081516A KR 20180081516 A KR20180081516 A KR 20180081516A KR 20200007418 A KR20200007418 A KR 20200007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pe
coupling
straight portion
coi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374B1 (ko
Inventor
최명윤
Original Assignee
최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윤 filed Critical 최명윤
Priority to KR102018008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3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coiled
    • F28D7/02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coiled the conduits of only one medium being helically coiled tubes, the coils having a cylindrical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16L27/12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with means for locking the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in the final mounted position
    • F16L27/127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with means for locking the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in the final mounted position by means of a swivel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6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titanium or titanium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이고 상부와 하부가 밀폐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결합홀과 제 2 결합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 1 결합홀에 결합되는 제 1 결합관 및 상기 제 2 결합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 직선부 및 상기 권취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 직선부를 구비하는 코일 튜브와, 상기 코일 튜브의 상부 직선부 및 하부 직선부를 각각 상기 제 1 결합관과 제 2 결합관에 결합시키는 하우징 결합 부재 및 상기 상부 직선부 및 하부 직선부와 각각 결합되면서 냉매 배관을 상기 상부 직선부 및 상기 하부 직선부에 밀봉하여 연결시키는 배관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냉각기용 열교환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냉각기용 열교환기{Heat Exchanger for Chiller}
본 발명은 냉각기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서로 온도가 다르고, 벽으로 분리된 두 유체 사이에 열 교환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난방 장치, 공기조화 장치, 동력 발생 장치, 폐열 회수 장치등에 널리 이용된다. 열교환기는 일반적으로 코일식(coil type), 이중관식(double pipe type), 원통 다관식(shell and tube), 평판식(plate type), 공냉식(air type)등이 있다.
코일식 열교환기는 탱크와 같은 하우징의 내부에 나선형 형상으로 감겨진 코일 튜브가 위치되고, 코일 튜브의 양측 단부는 하우징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냉각수 또는 냉매가 순환되고, 코일 튜브에는 반대로 냉매 또는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다.
코일 튜브는 외주면이 관통홀의 내주면과 용접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코일 튜브의 외주면과 관통홀의 내주면 사이가 밀폐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은 스테인레스스틸로 형성되고, 코일 튜브는 구리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 튜브는 용접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취약하게 되며, 사용 중에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특히, 코일 튜브는 하우징에 외부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 진동을 받게 되면서 더욱 취약해지고 용접 부위가 손상되면서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코일 튜브는 하우징에 용접되어 고정되므로 코일 튜브가 손상되는 경우에 열교환기를 모두 교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식성이 증가되면서도 냉각 성능을 유지하는 냉각기용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냉각기용 열교환기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부와 하부가 밀폐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결합홀과 제 2 결합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 1 결합홀에 결합되는 제 1 결합관 및 상기 제 2 결합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 직선부 및 상기 권취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 직선부를 구비하는 코일 튜브와 상기 코일 튜브의 상부 직선부 및 하부 직선부를 각각 상기 제 1 결합관과 제 2 결합관에 결합시키는 하우징 결합 부재 및 상기 상부 직선부 및 하부 직선부와 각각 결합되면서 냉매 배관을 상기 상부 직선부 및 상기 하부 직선부에 밀봉하여 연결시키는 배관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각기용 열교환기는 코일 튜브가 티타늄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식성이 증가되면서도 열전달 효율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기용 열교환기는 코일 튜브가 분리가능하게 기구적으로 하우징에 결합되므로 진동에 대한 내구성이 증가되고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기용 열교환기는 코일 튜브가 하우징 및 냉매 배관과 다른 금속 재질로 형성되면서도 하우징 및 냉매 배관과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용 열교환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용 열교환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기용 열교환기(1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과 코일 튜브(120) 및 결합 부재(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냉각기용 열교환기(1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코일 튜브(120)가 위치하며, 코일 튜브(120)의 양단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코일 튜브의 양단에는 각각 외부의 냉매 배관(a)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배관은 별도의 냉각 컴프레셔로 연결된다. 상기 냉각기용 열교환기(1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냉각수가 충진되며, 코일 튜브(120)의 내부로 냉매가 흐를 수 있다. 상기 냉각수는 외부에서 사용되면서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용 열교환기(1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유입되는 냉각수와 코일 튜브(120)를 접촉시켜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 튜브는 하나의 연결된 냉매 배관을 통하여 냉매가 유입되어 흐르고 다시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냉각수는 냉각된 상태로 하우징(110)의 외부로 유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인 10은 냉각기용 열교환기가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이며, 고정 플레이트는 나사 체결을 통하여 필요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하우징 본체(111)와 유입관(112)과 유출관(113)과 제 1 결합관(114) 및 제 2 결합관(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1)는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와 하부가 밀폐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1)는 원통 형상, 또는 사각통 형상, 오각통 형상, 육각통 형상과 같은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1)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내부식성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1)는 유입홀(111a)과 유출홀(111b)과 제 1 결합홀(111c) 및 제 2 결합홀(11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111a)은 하우징 본체(111)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며, 하우징 본체(1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111a)은 하우징 본체(11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의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111a)은 냉각수가 하우징 본체(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111a)에는 유입관(11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출홀(111b)은 하우징 본체(111)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며, 하우징 본체(1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홀(111b)은 하우징 본체(11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의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출홀(111b)은 냉각수가 하우징 본체(111)의 외부로 유출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111a)과 유출홀(111b)은 그 위치가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홀(111a)과 유출홀(111b)은 각각 일측 상부와 일측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홀(111c)은 하우징 본체(111)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며, 하우징 본체(1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홀(111c)은 하우징 본체(11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을 기준으로 전측 또는 후측으로 쉬프트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홀(111c)은 하우징 본체(111)의 외주면에 따라 접선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홀(111c)은 코일 튜브(120)가 관통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홀(111d)은 하우징 본체(111)의 타측 하부에 위치하며, 하우징 본체(1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홀(111d)은 하우징 본체(111)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을 기준으로 후측 또는 전측으로 쉬프트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홀(111d)은 하우징 본체(111)의 외주면에 따라 접선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홀(111d)은 하우징 본체(11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 1 결합홀(111c)과 대칭이면서 하부인 위치, 즉, 중심선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홀(111d)은 하우징 본체(11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 1 결합홀(111c)의 하부인 위치 측, 중심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홀(111d)은 코일 튜브(120)가 관통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12)은 소정 직경을 가지며 양측이 개방된 원통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12)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 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적어도 1cm이상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12)은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12)은 내부식성이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12)은 하우징 본체(1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12)은 하우징 본체(111)의 유입홀(111a)에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12)은 유입홀(111a)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12)은 별도의 냉각수 공급관(미도시)과 나사 결합되며, 하우징 본체(111)의 내부로 냉각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유출관(113)은 소정 직경을 가지며 양측이 개방된 원통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관(113)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 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적어도 1cm이상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관(113)은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관(113)은 내부식성이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관(113)은 하우징 본체(1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관(113)은 하우징 본체(111)의 유출홀(111b)에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출관(113)은 유출홀(111b)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출관(113)은 별도의 냉각수 회수관(미도시)과 나사 결합되며, 하우징 본체(111)의 내부에서 냉각수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관(114)은 소정 직경을 가지며 양측이 개방된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관(114)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 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적어도 1cm이상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관(114)은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관(114)은 내부식성이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관(114)은 하우징 본체(1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관(114)은 하우징 본체(111)의 제 1 결합홀(111c)에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관(114)은 하우징 본체(111)의 외주면의 접선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 1 결합홀(111c)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관(114)은 제 1 결합홀(111c)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관(114)은 코일 튜브(120)가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관(114)은 결합 부재(1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관(115)은 소정 직경을 가지며 양측이 개방된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관(115)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 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적어도 1cm이상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관(115)은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관(115)은 내부식성이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관(115)은 하우징 본체(1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관(115)은 하우징 본체(111)의 제 2 결합홀(111d)에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관(115)은 하우징 본체(111)의 외주면의 접선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 1 결합홀(111c)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관(115)은 제 2 결합홀(111d)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관(115)은 코일 튜브(120)가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관(115)은 결합 부재(1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코일 튜브(120)는 권취부(121)와 상부 직선부(122) 및 하부 직선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튜브(120)는 소정 길이의 튜브로 형성되며, 권취부(121)를 중심으로 상단에 상부 직선부(122)가 형성되고, 하단에 하부 직선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 튜브(120)는 하우징 본체(111)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 튜브(120)는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가 있는 티타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티타늄은 기존에 사용되는 구리에 대비하여 더 높은 내식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 튜브(120)는 내구성이 증가되며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용 열교환기(100)에 진동이 유입되는 경우에, 티타늄으로 형성되는 코일 튜브(120)는 연성을 구비하므로 다른 구성들과 연결 또는 접촉 부위에서 진동에 의한 손상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타늄은 내식성을 구비하므로 냉각수 또는 냉매와 접촉시에 부식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타늄은 기계적 강도가 구리에 비하여 높으므로 코일 튜브(12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 튜브(120)는 두께 감소에 따른 높은 열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일 튜브(120)는 코일 튜브(120)의 내주면에 별도의 보강 튜브(12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튜브(125)는 코일 튜브(1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코일 튜브(1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튜브(125)는 외경이 코일 튜브(120)의 내경보다 작은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튜브(125)는 외주면이 코일 튜브(12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내부에 끼워맞춤 또는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튜브(125)는 코일 튜브(125)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적정한 연성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 튜브(125)가 위치하는 영역은 코일 튜브(120)의 열전도성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적정한 열전도율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보강 튜브(125)는 티타늄보다 연성과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상기 보강 튜브(125)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튜브(125)는 코일 튜브(120)의 내부에 결합되어 코일 튜브(12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 튜브(125)는 바람직하게는 코일 튜브(120)의 상부 직선부(122)와 하부 직선부(123)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직선부(122)와 하부 직선부(123)는 하우징 본체(111)의 제 1 결합관(114)과 제 2 결합관(115)을 관통하면서 결합 부재(130)와 결합되어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상부 직선부(122)와 하부 직선부(123)는 결합 부재(130)의 체결력에 의하여 일부 변형될 수 있으며, 사용중에 냉각수가 리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직선부(122)와 하부 직선부(123)는 권취부(12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요구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튜브(125)는 상부 직선부(122)와 하부 직선부(123)에서 결합 부재(130)와 결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121)는 코일 튜브(120)가 코팅 형상 또는 나선 형상으로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121)는 권취된 형상을 기준으로 외경이 하우징 본체(111)의 내경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부(121)는 전체 높이가 하우징 본체(111)의 내부 높이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부(121)는 바람직하게는 상단의 높이가 제 1 결합홀(111c)의 높이에 대응되며, 하단의 높이가 제 2 결합홀(111d)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121)는 권취될 때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튜브들과 외주면이 접촉되도록 권취되거나 외주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권취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121)는 하우징 본체(1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외주면이 하우징 본체(111)의 내부에 수용되는 냉각수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직선부(122)는 권취부(121)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직선부(122)는 하우징 본체(111)의 제 1 결합홀(111c)을 관통하여 하우징 본체(111)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직선부(122)는 소정 길이가 하우징 본체(11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직선부(122)의 노출 영역은 결합 부재(1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직선부(123)는 권취부(121)의 하부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직선부(123)는 하우징 본체(111)의 제 2 결합홀(111d)을 관통하여 하우징 본체(111)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직선부(123)는 소정 길이가 하우징 본체(11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직선부(123)의 노출 영역은 결합 부재(1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130)는 하우징 결합 부재(131) 및 배관 결합 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결합 부재(131)는 하우징 본체(111)의 제 1 결합관(114)과 코일 튜브(120)의 상부 직선부(122)와 결합되면서 제 1 결합관(114)과 상부 직선부(122)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결합 부재(131)는 하우징 본체(111)의 제 2 결합관(115)과 코일 튜브(120)의 하부 직선부(123)와 결합되면서 제 2 결합관(115)과 하부 직선부(123)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결합 부재(135)는 상부 직선부(122)와 냉매 배관(a)과 결합되면서 냉매 배관(a)을 상부 직선부(122)에 밀봉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결합 부재(135)는 하부 직선부(123)와 냉매 배관(a)과 결합되면서 냉매 배관(a)을 하부 직선부(123)에 밀봉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결합 부재(131)는 하우징 니플(132)과 하우징 너트(133) 및 하우징 밀봉링(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결합 부재(131)는 하우징 본체(111)에 결합되고, 타측이 코일 튜브(12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우징 결합 부재(131)는 일측이 제 1 결합관(114) 또는 제 2 결합관(1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결합 부재(131)는 제 1 결합관(114) 또는 제 2 결합관(115)과 코일 튜브(120)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면서 코일 튜브(120)를 하우징(1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니플(132)은 하우징 조임부(132a)와 제 1 하우징 나사부(132b)와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 및 하우징 통로(132d)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니플(132)은 하우징 압착부(132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니플(132)은 하우징 조임부(132a)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 1 하우징 나사부(132b)와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 나사부(132b)와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 나사부(132b)는 제 1 결합관(114)과 나사 결합되며,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는 하우징 너트(13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통로(132d)는 하우징 니플(13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통로(132d)는 코일 튜브(120)가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 통로(132d)는 코일 튜브(1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통로(132d)는 하우징 밀봉링(134)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압착부(132e)는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의 타측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오목한 링 형상 또는 챔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압착부(132e)는 하우징 밀봉링(134)의 일측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압착부(132e)는 하우징 너트(133)가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에 결합될 때 하우징 밀봉링(134)의 일측과 접촉하며 하우징 밀봉링(134)의 일측을 균일하게 압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너트(133)는 일측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며,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밀봉링(134)은 링 형상이며, 양측이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밀봉링(134)은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와 하우징 너트(1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밀봉링(134)은 하우징 너트(133)가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와 체결될 때 변형되면서 코일 튜브(120)와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상기 배관 결합 부재(135)는 배관 니플(136)과 배관 너트(137) 및 배관 밀봉링(1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결합 부재(135)는 일측이 코일 튜브(120)에 결합되고 타측이 냉매 배관(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관 결합 부재(135)는 코일 튜브(120)를 외부의 냉매 배관(a)과 밀폐된 상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배관 니플(136)은 배관 조임부(136a)와 제 1 배관 나사부(136b) 및 배관 통로(136d)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니플(136)은 배관 압착부(136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니플(136)은 배관 조임부(136a)의 일측에 제 1 배관 나사부(136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관 니플(136)은 배관 조임부(136a)의 타측에 나사부가 구비될 필요는 없다. 상기 제 1 배관 나사부(136b)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관 나사부(136b)는 배관 너트(137)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압착부(136e)는 제 1 배관 나사부(136b)의 일측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오목한 링 형상 또는 챔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압착부(136e)는 배관 밀봉링(138)의 타측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압착부(136e)는 배관 너트(137)가 제 1 배관 나사부(136b)에 결합될 때 배관 밀봉링(138)의 타측과 접촉하며 배관 밀봉링(138)의 타측을 균일하게 압착할 수 있다.
상기 배관 통로(136d)는 하우징 니플(13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통로(132d)는 코일 튜브(120)가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 통로(132d)는 코일 튜브(1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통로(132d)는 하우징 밀봉링(134)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압착부(132e)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오목한 링 형상 또는 챔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압착부(132e)는 하우징 밀봉링(134)의 일측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너트(133)는 일측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며,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밀봉링(134)은 링 형상이며, 양측이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밀봉링(134)은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와 고정 너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밀봉링(134)은 고정 너트가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와 체결될 때 변형되면서 코일 튜브(120)와 제 2 하우징 나사부(132c)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00: 냉각기용 열교환기
110: 하우징 111: 하우징 본체
111a: 유입홀 111b: 유출홀
111c: 제 1 결합홀 111d: 제 2 결합홀
112: 유입관 113: 유출관
114: 제 1 결합관 115: 제 2 결합관
120: 코일 튜브 121: 권취부
122: 상부 직선부 123: 하부 직선부
130: 결합 부재 131: 하우징 결합 부재
132: 하우징 니플 132a: 하우징 조임부
132b: 제 1 하우징 나사부 132c: 제 2 하우징 나사부
132d: 하우징 통로 132e: 하우징 압착부
133: 하우징 너트 134: 하우징 밀봉링
135: 배관 결합 부재 136: 배관 니플
136a: 배관 조임부 136b: 제 1 배관 나사부
136d: 배관 통로 136e: 배관 압착부
137: 배관 너트 138: 배관 밀봉링

Claims (6)

  1. 내부가 중공이고 상부와 하부가 밀폐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결합홀과 제 2 결합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제 1 결합홀에 결합되는 제 1 결합관 및 상기 제 2 결합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 직선부 및 상기 권취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 직선부를 구비하는 코일 튜브와,
    상기 코일 튜브의 상부 직선부 및 하부 직선부를 각각 상기 제 1 결합관과 제 2 결합관에 결합시키는 하우징 결합 부재 및
    상기 상부 직선부 및 하부 직선부와 각각 결합되면서 냉매 배관을 상기 상부 직선부 및 상기 하부 직선부에 밀봉하여 연결시키는 배관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용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홀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타측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을 기준으로 전측으로 쉬프트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결합홀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타측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을 기준으로 후측으로 쉬프트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용 열교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튜브는 티타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코일 튜브의 내부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보강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용 열교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튜브는 상기 코일 튜브보다 연성과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용 열교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결합 부재는
    상기 상부 직선부가 관통되며 일측이 상기 제 1 결합관에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 니플과,
    상기 하우징 니플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 너트 및
    상기 하우징 니플의 타측과 상기 하우징 너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 니플과 하우징 너트가 체결될 때 상기 하우징 니플의 타측과 상기 상부 직선부의 외주면 사이를 밀봉하는 하우징 밀봉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용 열교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결합 부재는
    상기 상부 직선부가 관통되는 배관 니플과,
    상기 배관 니플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는 배관 너트 및
    상기 배관 니플의 일측과 상기 배관 너트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배관 니플과 배관 너트가 체결될 때 상기 배관 니플의 일측과 상기 상부 직선부의 외주면 사이를 밀봉하는 배관 밀봉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기용 열교환기.
KR1020180081516A 2018-07-13 2018-07-13 냉각기용 열교환기 KR102088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516A KR102088374B1 (ko) 2018-07-13 2018-07-13 냉각기용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516A KR102088374B1 (ko) 2018-07-13 2018-07-13 냉각기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418A true KR20200007418A (ko) 2020-01-22
KR102088374B1 KR102088374B1 (ko) 2020-03-13

Family

ID=6936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516A KR102088374B1 (ko) 2018-07-13 2018-07-13 냉각기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412A (ko) * 2020-06-10 2021-12-17 손성욱 튜브 교체형 열교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2895A (ja) * 1988-03-30 1989-10-09 Nippon Denso Co Ltd 冷凍サイクルの熱交換器
JPH0552558U (ja) * 1991-11-25 1993-07-13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二重管式熱交換器
KR20000000641A (ko) * 1998-06-02 2000-01-15 박재봉 냉수기용 증발기
JP2002195767A (ja) * 2000-12-21 2002-07-10 Komatsu Ltd 熱交換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2895A (ja) * 1988-03-30 1989-10-09 Nippon Denso Co Ltd 冷凍サイクルの熱交換器
JPH0552558U (ja) * 1991-11-25 1993-07-13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二重管式熱交換器
KR20000000641A (ko) * 1998-06-02 2000-01-15 박재봉 냉수기용 증발기
JP2002195767A (ja) * 2000-12-21 2002-07-10 Komatsu Ltd 熱交換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412A (ko) * 2020-06-10 2021-12-17 손성욱 튜브 교체형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374B1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9969C1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и оснащенный им кондиционер
KR100225276B1 (ko) 열저장장치의 운전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EP2844941B1 (en) Heat exchanger
EP1336809A2 (en) Heat exchanger with two-stage heat transfer
CN104412059B (zh) 热交换器
KR20200007418A (ko) 냉각기용 열교환기
CN111156841A (zh) 一种根据出口温度智能控制的板式换热器
CA2763210C (en) Improved refrigerant compensator
CN207146705U (zh) 散热器及空调室外机
KR100737159B1 (ko)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연결구조
KR20140129630A (ko) 배관 급속 결빙 모듈
CN206399045U (zh) 蒸发盘管和蒸发器
JP2012077939A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586412B2 (ja) 冷凍サイクルの熱交換器
JP2010025460A (ja) 二重管式熱交換器用継手
CN211903826U (zh) 一种可拆式换热器
CN214199774U (zh) 一种具有新型密封接头的钛管换热器
CN217560414U (zh) 一种便于拆装的组合管式换热器
CN215725287U (zh) 引流机构、热交换单元及换热设备
CN217686722U (zh) 一种机械密封外循环冷却系统换热器
CN209991816U (zh) 一种换热器用钛管
CN211782905U (zh) 一种高效耐腐蚀型套管换热器
CN217155078U (zh) 冷冻/冷藏车用螺旋强化传热管同轴套管热交换器
CN213627920U (zh) 一种风冷空压机余热回收系统
CN2499763Y (zh) 内埋焊接管壳管干式蒸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