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914Y1 - 제빙용 증발기 - Google Patents

제빙용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14Y1
KR200496914Y1 KR2020210002269U KR20210002269U KR200496914Y1 KR 200496914 Y1 KR200496914 Y1 KR 200496914Y1 KR 2020210002269 U KR2020210002269 U KR 2020210002269U KR 20210002269 U KR20210002269 U KR 20210002269U KR 200496914 Y1 KR200496914 Y1 KR 200496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guide
immers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216U (ko
Inventor
이근학
손재구
김철진
윤정근
Original Assignee
(주) 에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타 filed Critical (주) 에타
Priority to KR2020210002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14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2Details of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1Evap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매이송관 및 침지관을 연결하는 끼움 결합식 안내부재를 적용하여 결합을 위한 용접 공정을 최소화하고, 증발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침지관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유로를 개선하여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를 가지고, 하부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을 가지는 냉매이송관; 상기 설치공에 결합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냉매이송관의 냉매가 출입하는 침지관; 및 상기 설치공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냉매이송관에서 상기 침지관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부에 삽입된 채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벽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침지관의 내부에 삽입된 채 상기 침지관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냉매유로의 상류와 상기 침지관의 하부공간을 연결하는 내측안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침지관의 내벽을 대향하는 외측면에는 나선 형상의 유로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침지관의 하부공간과 상기 냉매유로의 하류를 연결하는 나선 형상의 외측안내유로가 형성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제빙용 증발기{ICE MAKING EVAPORATOR}
본 고안은 제빙용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냉매이송관 및 침지관을 연결하는 끼움 결합식 안내부재를 적용하여 결합을 위한 용접 공정을 최소화하고, 증발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침지관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유로를 개선하여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가정용 냉장고나 정수기는 원수를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정수와 냉수 및 온수 공급뿐만 아니라 정수(또는 냉수)를 얼려 얼음을 공급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가정용 냉장고나 정수기에 사용되는 제빙 장치는 트레이에 담겨진 제빙수에 침지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침지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침지방식의 제빙 장치는 기본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게 된다. 즉, 팽창밸브를 거치며 빙점보다 낮은 온도의 냉매를 증발기에 순환시키고, 증발기의 일부를 제빙수에 침지시켜 얼음을 생성하게 된다.
제빙용 증발기는 기본적으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이송관과, 냉매이송관에서 돌출 연장되어 제빙수에 침지되는 침지관을 포함한다. 즉, 냉매이송관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침지관으로 출입하고, 침지관 내부의 냉매와 제빙수가 열교환되면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침지관 내부에는 격벽이 설치될 수 있는데, 격벽은 냉매이송관의 냉매가 침지관에 출입할 때 침지관의 상부와 하부 전체에 냉매가 균일하게 이동하도록 하여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하지만, 만일 격벽이 침지관과 냉매이송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용접되지 않고 틈새가 발생하면 냉매가 침지관 내부로 균일하게 이동하지 못하여 냉각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얼음이 작아지거나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등 품질이 저하된다.
이를 개선하려면 침지관 및 냉매이송관에 대하여 격벽을 틈새 없이 완벽하게 용접하면 되겠지만, 이는 공정 상 쉽지 않고 최적의 용접방식으로 알려진 브레이징 용접을 활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즉, 브레이징 용접의 경우 우선 침지관의 내주면과 격벽 사이에 용접제를 도포하여 용융시키면서 모세관 현상으로 틈새를 메우고, 이후 격벽이 용접된 침지관을 냉매이송관에 조립하여 재차 용접하게 된다. 이때, 침지관 및 냉매이송관은 기본적으로 모두 원형 단면의 관인 이유에서, 용접 시 격벽과 면 밀착도를 높이기 어려워 용접 불량이 발생되기 쉽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며, 고품질의 제품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침지관 내부에 격벽이 설치될 경우, 침지관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격벽을 중심으로 침지관의 전방영역으로 유입된 후 침지관의 후방영영역으로 배출되는 유동의 흐름을 가지게 된다. 즉, 침지관 내부에서 냉매는 격벽을 중심으로 U자 형상의 흐름을 따라 침지관의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냉매의 유동으로 인하여 침지관의 외주면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없고, 냉각효율이 떨어져 얼음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제조된 얼음의 크기가 작거나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32217호 (2013.11.22.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는 냉매이송관 및 침지관을 연결하는 끼움 결합식 안내부재를 적용하여 결합을 위한 용접 공정을 최소화하고, 증발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침지관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유로를 개선하여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를 가지고, 하부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을 가지는 냉매이송관; 상기 설치공에 결합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냉매이송관의 냉매가 출입하는 침지관; 및 상기 설치공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냉매이송관에서 상기 침지관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부에 삽입된 채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벽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침지관의 내부에 삽입된 채 상기 침지관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냉매유로의 상류와 상기 침지관의 하부공간을 연결하는 내측안내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침지관의 내벽을 대향하는 외측면에는 나선 형상의 유로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침지관의 하부공간과 상기 냉매유로의 하류를 연결하는 나선 형상의 외측안내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안내부는 상기 침지관의 내부에 삽입 시 상기 침지관의 내벽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에 결합된 상기 안내부재의 분리가 차단되도록,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벽에 밀착되는 상기 안내부재의 상단부의 외측 윤곽의 폭은, 상기 설치공의 지름 보다 클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설치공에 결합되는 상기 침지관의 상단이 걸림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 있어서, 냉매의 유동 압력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의 결합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침지관의 저면으로부터 밀착 지지되는 하단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내측안내유로 및 상기 외측안내유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에는 냉매통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냉매이송관 및 침지관에 삽입 결합되는 안내부재를 적용하여, 용접 개수를 줄여 용접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증발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침지관의 하부 공간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안내유로와 침지관 내벽과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외측안내유로를 형성하는 안내부재를 적용하여, 침지관의 외벽에 접촉되는 제빙수와의 높은 열전달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침지관의 외벽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크기가 일정한 고품질의 얼음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냉매이송관, 침지관 및 안내부재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안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이송관 및 안내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저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냉매이송관, 침지관 및 안내부재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안내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100)는 냉매이송관(110), 침지관(120), 안내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이송관(110)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113)를 가질 수 있다. 즉, 일측 냉매입구(111)에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여 타측 냉매출구(112)로 배출하는 냉매유로(113)를 가질 수 있다.
냉매입구(111)는 연결관 등에 의해 냉동사이클에 포함된 팽창밸브에 연결될 수 있고, 냉매출구(112)는 연결관 등에 의해 냉동사이클에 포함된 압축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빙점보다 낮은 온도의 냉매는 냉매입구(111)로 유입되어 냉매유로(113)를 유동한 후 냉매출구(112)로 배출되면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또한, 냉매입구(111)는 탈빙용 바이패스관 등에 의해 압축기의 냉매배출 라인과도 연결될 수 있고, 이때, 탈빙용 바이패스관에 구비된 탈빙용 밸브의 개방에 의해 빙점보다 높은 온도의 냉매가 냉매입구(111)로 유입되어 냉매유로(113)를 유동할 수도 있다. 이처럼 냉매유로(113)에 빙점보다 높은 온도의 냉매가 유동하면, 침지관(120)에 생성된 얼음(I)은 침지관(1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냉매이송관(110)은 반원 형상에 가까운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냉매이송관(110)의 상면 및 측면 부분은 곡선부로 형성될 수 있고, 냉매이송관(110)의 하면 부분은 평편한 수평부로 형성될 수 있다.
냉매이송관(110)의 하부에는 설치공(11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설치공(115)은 냉매이송관(110)의 평편한 수평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설치공(115)에는 안내부재(130)가 관통 결합될 수 있고, 안내부재(130)를 감싸면서 침지관(120)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설치공(115)은 침지관(120)의 수량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설치공(115)은 냉매이송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매이송관(110)의 하부에는 설치공(115)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116)가 구비될 수 있다. 플랜지부(116)는 설치공(115)에 결합된 침지관(120)의 상단부 외주면을 압착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냉매이송관(110)은 냉매입구(111) 및 냉매출구(112)를 연결하는 U자 형상의 냉매유로(113)를 가질 수 있다.
침지관(120)은 설치공(115)에 결합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이송관(110)의 냉매유로(113)를 유동하는 냉매는 설치공(115)을 통하여 침지관(120)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침지관(120)은 설치공(115)에 안내부재(130)가 먼저 설치된 이후 안내부재(130)를 감싸도록 침지관(120)의 상단부가 설치공(11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침지관(120)의 상단부는 플랜지부(116)에 끼워져 삽입될 수 있고, 플랜지부(116)의 내주면에 압착 지지될 수 있다.
침지관(120)은 적어도 하단부의 일부분이 제빙수에 접촉될 수 있고, 내부에 유입된 냉매와 제빙수와의 열교환 과정을 거치면서 외주면 주변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안내부재(130)는 설치공(115)에 관통 결합될 수 있고, 냉매이송관(110)의 냉매유로(113)에서 침지관(120)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안내부재(130)는 설치공(115)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측안내부(131) 및 하측안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측안내부(131)는 안내부재(130)의 상단부를 형성하며, 설치공(115)에 삽입된 채 냉매이송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측안내부(131)는 외측면이 냉매이송관(110)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유로(113)는 상측안내부(131)를 기준으로 상류(113a) 및 하류(113b)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측안내부(131)의 외측면은 냉매이송관(110)의 내벽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측안내부(131)는 냉매이송관(110)의 내벽과 대응하게 반원 형상에 가까운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안내부(131)를 기준으로 냉매유로(113)의 상류(113a) 및 하류(113b) 간에는 기밀이 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안내부(131)는 회전방지용 접촉부(131a)를 더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방지용 접촉부(131a)는 상측안내부(131)의 외측면 상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냉매이송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방지용 접촉부(131)는 냉매이송관(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냉매이송관(110)의 내벽과 면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설치공(115)에 삽입된 안내부재(130)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이송관 및 안내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저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추가 참조하면, 상측안내부(131)는 설치공(115)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측안내부(131)의 외측 윤곽의 폭(W1)은 설치공(115)의 지름(R1)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공(115)에 관통 결합된 상측안내부(131)는 가장자리 하면이 설치공(115)의 가장자리 상면에 걸림 지지되어 외부로 분리가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설치공(115)에 안내부재(130)를 관통하여 삽입시키는 것만으로 안내부재(130)의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후 설치공(115)에 침지관(12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냉매이송관(110), 안내부재(130) 및 침지관(120)의 조립 공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침지관(120)의 수량이 많을 경우 제조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측안내부(131)에는 냉매유로(113)의 상류(113a)와 연통되는 유입구(130a)가 형성될 수 있고, 냉매유로(113)의 상류(113a)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유입구(130a)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측안내부(131)에는 냉매유로(113)의 하류(113b)와 연통되는 배출구(130b)가 형성될 수 있고, 침지관(120)에서 제빙수와 열교환된 냉매는 배출구(130b)를 통하여 냉매유로(113)의 하류(113b)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측안내부(131)의 외측면에는 배출구(130b)를 통하여 배출되는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리브(138)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안내리브(138)에는 외측안내유로(136)에서 배출구(130b)를 향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냉매의 흐름이 냉매유로(113)의 하류(113b)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곡선의 경사안내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하측안내부(132)는 안내부재(130)의 하단부를 형성하며, 설치공(115)의 외부에 배치된 채 침지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측안내부(132)는 침지관(120)의 저면을 향하여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측안내부(132)에는 침지관(120)의 하부공간과 연통되는 유출구(130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측안내부(131) 및 하측안내부(132)의 경계부 외측면에는 걸림턱(13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137)은 설치공(115)에 삽입 결합되는 침지관(120)의 상단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공(115)에 침지관(120)을 압착 결합하면, 이와 동시에 상측안내부(131)는 냉매이송관(110)의 내벽에 균일한 가압력으로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안내부재(130)는 냉매유로(113)의 상류(113a)와 침지관(120)의 하부공간을 연결하는 내측안내유로(135)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안내부재(130)에는 유입구(130a) 및 유출구(130c)를 연결하는 ㄱ자 형상의 내측안내유로(135)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유로(113)의 상류(113a)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유입구(130a)를 통하여 하부방향으로 흐름이 변경되면서 내측안내유로(135)로 유입될 수 있고, 유출구(130c)를 통하여 침지관(120)의 하부 공간 중심부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부재(130)는 침지관(120)의 하부공간과 냉매유로(113)의 하류(113b)를 연결하는 외측안내유로(136)가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침지관(120)의 내벽을 대향하는 안내부재(130)의 외측면에는 나선 형상의 유로안내부(1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안내부(133)는 안내부재(130)를 감싸면서 냉매이송관(110)에 침지관(120)을 결합할 시, 침지관(120)의 내벽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부재(130)의 외측면과 침지관(120)의 내벽 사이에는 나선 형상의 외측안내유로(13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침지관(120)의 하부 공간 중심부에 공급된 냉매는 침지관(120)의 저면에 부딪히면서 방사방향으로 흐름이 변경되면서 외측안내유로(136)로 유입될 수 있고, 외측안내유로(136)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침지관(120)의 외벽에 접촉된 제빙수와 열교환되면서 침지관(120)의 외벽에 얼음(I)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외측안내유로(136)를 경유하면서 제빙수와 열교환된 냉매는 배출구(130b)를 통하여 냉매유로(113)의 하류(113b)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나선 형상의 외측안내유로(136)는 침지관(120)의 하부 공간에서 배출구(130b)를 향하여 유동하는 냉매의 흐름을 지연시킬 수 있어, 침지관(120)과의 열전달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지관(120)의 외벽에 생성되는 얼음(I)의 생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내측안내유로(135)를 통해 침지관(120)의 하부 공간 중심부로 공급된 냉매는 외측안내유로(136)를 통해 침지관(120)의 내벽 전체적으로 균일한 유동이 보장될 수 있기 때문에, 침지관(120)의 외벽에 접촉된 제빙수와의 균일한 열전달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지관(120)의 외벽에 생성되는 얼음(I)의 크기를 일정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유로안내부(133)는 침지관(120)의 내부에 삽입 시 침지관(120)의 내벽에 밀착 지지되므로, 안내부재(130) 및 침지관(120)의 결합 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고, 냉매의 유동 압력으로부터 안내부재(130)의 진동 및 떨림 현상을 억제할 수도 있다.
한편, 안내부재(130)는 금속 혹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구리, 스테인리스 등 금속 재질로 안내부재(130)를 제작할 경우에는 내측안내유로(135) 및 외측안내유로(136) 간에 열전달이 촉진될 수 있기 때문에, 침지관(120) 측으로 열전달을 높일 수 있고, 제빙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우레탄고무 등 탄성 재질로 안내부재(130)를 제작할 경우에는 냉매이송관(110)의 내벽 및 침지관(120)의 내벽과의 기밀 확보가 더욱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재질로 안내부재(130)를 제작할 경우에는 냉매이송관(110), 안내부재(130) 및 침지관(120)의 조립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도 발생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130)의 하단부는 침지관(120)의 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측안내유로(135) 및 외측안내유로(136)는 자연스레 연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130)의 하단부는 침지관(120)의 저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130)는 침지관(120)의 저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게 하단부에 하단지지부(139)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공(115)에 침지관(120)을 결합할 시, 하단지지부(139)가 침지관(120)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면서 안내부재(130)의 상측안내부(131)는 냉매유로(113)의 내벽에 보다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고, 냉매유로(113)의 상류(113a) 및 하류(113b) 간에 기밀이 더욱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중 냉매의 유동 압력에 의해 안내부재(130)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등 안내부재(130)의 결합 위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단지지부(139)에는 냉매통과부(139a)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측안내유로(135) 및 외측안내유로(136)는 연통될 수 있다. 이때, 냉매통과부(139a)는 하단지지부(139)의에 대해 방사 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측안내유로(151)의 냉매는 외측안내유로(152)를 향하여 균일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제빙용 증발기
110: 냉매이송관
120: 침지관
130: 안내부재
133: 유로안내부
135: 내측안내유로
136: 외측안내유로

Claims (5)

  1.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를 가지고, 하부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을 가지는 냉매이송관;
    상기 설치공에 결합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냉매이송관의 냉매가 출입하는 침지관; 및
    상기 설치공에 상기 침지관을 결합하기 이전에 미리 상기 설치공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냉매이송관에서 상기 침지관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상기 냉매유로의 상류와 상기 침지관의 하부공간을 연결하는 내측안내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침지관의 내벽을 대향하는 외측면에는 나선 형상의 유로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침지관의 하부공간과 상기 냉매유로의 하류를 연결하는 나선 형상의 외측안내유로가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부에 삽입된 채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벽에 밀착되는 상측안내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침지관의 내부에 삽입된 채 상기 침지관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하측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선 형상의 유로안내부는 상기 하측안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침지관의 내부에 삽입 시 나선 형상의 산부가 상기 침지관의 내벽에 면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상측안내부는 상기 설치공을 관통하여 상기 냉매이송관에 결합된 후 분리가 차단되도록 외측 윤곽의 폭이 상기 설치공의 지름 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냉매이송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벽과 면 접촉되는 회전방지용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안내부 및 상기 하측안내부의 경계부 외측면에는 상기 설치공에 결합되는 상기 침지관의 상단이 걸림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 증발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냉매의 유동 압력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의 결합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침지관의 저면으로부터 밀착 지지되는 하단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안내유로 및 상기 외측안내유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에는 냉매통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 증발기.
KR2020210002269U 2021-07-19 2021-07-19 제빙용 증발기 KR200496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69U KR200496914Y1 (ko) 2021-07-19 2021-07-19 제빙용 증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69U KR200496914Y1 (ko) 2021-07-19 2021-07-19 제빙용 증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16U KR20230000216U (ko) 2023-01-27
KR200496914Y1 true KR200496914Y1 (ko) 2023-06-05

Family

ID=8510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269U KR200496914Y1 (ko) 2021-07-19 2021-07-19 제빙용 증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1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655B1 (ko) * 2016-04-04 2018-01-30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KR102129537B1 (ko) * 2018-12-03 2020-07-02 정호민 제빙기와 제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853B1 (ko) * 2009-01-23 2012-01-16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101332217B1 (ko) 2013-03-25 2013-11-22 주식회사 태성 경첩유로칸막이를 갖는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5797B1 (ko) * 2018-12-13 2022-09-2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655B1 (ko) * 2016-04-04 2018-01-30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KR102129537B1 (ko) * 2018-12-03 2020-07-02 정호민 제빙기와 제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16U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691B1 (ko) 제빙용 냉매관 및 그 제조방법.
US10914525B2 (en) Side mounted refrigerant distributor in a flooded evaporator and side mounted inlet pipe to the distributor
KR101813655B1 (ko)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KR200496914Y1 (ko) 제빙용 증발기
KR20090053057A (ko)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102501804B1 (ko) 제빙용 증발기
US10184710B2 (en) Ice maker tray with integrated flow channel for a fluid, ice maker and household refrigeration apparatus
KR102501805B1 (ko) 제빙용 증발기
KR101813653B1 (ko)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일체형 냉매 유도관
KR101640421B1 (ko) 유로구조를 갖는 직냉방식 제빙장치
KR101696864B1 (ko) 냉장고의 제빙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JP2009019781A (ja) 熱交換器
JPWO2018073898A1 (ja) 熱交換器及び室外機並びに熱交換器の製作装置及び製作方法
KR102233469B1 (ko) 내부 격벽을 제거한 제빙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제빙장치
KR101622700B1 (ko) 제빙장치용 열교환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제빙장치용 열교환기
KR101871741B1 (ko) 냉매와 직접접촉방식으로 제빙과 냉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증발기의 제조방법
KR20180010815A (ko) 증발기 제조방법
KR20210140986A (ko) 제빙용 증발기
CN112344601A (zh) 制冰蒸发器及其制造方法
US20060254760A1 (en) Heat exchanging device
KR102483960B1 (ko)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
KR102466208B1 (ko) 제빙용 냉각장치
KR101332711B1 (ko)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20140062847A (ko) 정수기용 일체형 직타원 증발기유닛
KR200224524Y1 (ko) 냉동기용 서비스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