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804B1 - 제빙용 증발기 - Google Patents

제빙용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804B1
KR102501804B1 KR1020210074450A KR20210074450A KR102501804B1 KR 102501804 B1 KR102501804 B1 KR 102501804B1 KR 1020210074450 A KR1020210074450 A KR 1020210074450A KR 20210074450 A KR20210074450 A KR 20210074450A KR 102501804 B1 KR102501804 B1 KR 10250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passage
wall
instal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889A (ko
Inventor
이근학
손재구
김철진
윤정근
Original Assignee
(주) 에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타 filed Critical (주) 에타
Priority to KR102021007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80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이송관 및 침지관을 연결하는 끼움 결합식 안내부재를 적용하여 결합을 위한 용접 공정을 최소화하고, 증발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침지관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유로를 개선하여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를 가지고, 하부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을 가지는 냉매이송관; 상기 설치공에 결합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냉매이송관의 냉매가 출입하는 침지관; 및 상기 설치공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냉매이송관에서 상기 침지관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벽 및 상기 침지관의 상단부 내벽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침지관의 내벽에서 이격된 채 상기 침지관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냉매유로의 상류와 연통되는 내측안내유로가 형성되고, 외측면과 상기 침지관의 내벽 사이에는 상기 냉매유로의 하류와 연통되는 외측안내유로가 형성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제빙용 증발기{ICE MAKING EVAPORATOR}
본 발명은 제빙용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냉매이송관 및 침지관을 연결하는 끼움 결합식 안내부재를 적용하여 결합을 위한 용접 공정을 최소화하고, 증발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침지관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유로를 개선하여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가정용 냉장고나 정수기는 원수를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정수와 냉수 및 온수 공급뿐만 아니라 정수(또는 냉수)를 얼려 얼음을 공급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가정용 냉장고나 정수기에 사용되는 제빙 장치는 트레이에 담겨진 제빙수에 침지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침지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침지방식의 제빙 장치는 기본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게 된다. 즉, 팽창밸브를 거치며 빙점보다 낮은 온도의 냉매를 증발기에 순환시키고, 증발기의 일부를 제빙수에 침지시켜 얼음을 생성하게 된다.
제빙용 증발기는 기본적으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이송관과, 냉매이송관에서 돌출 연장되어 제빙수에 침지되는 침지관을 포함한다. 즉, 냉매이송관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침지관으로 출입하고, 침지관 내부의 냉매와 제빙수가 열교환되면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침지관 내부에는 격벽이 설치될 수 있는데, 격벽은 냉매이송관의 냉매가 침지관에 출입할 때 침지관의 상부와 하부 전체에 냉매가 균일하게 이동하도록 하여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하지만, 만일 격벽이 침지관과 냉매이송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용접되지 않고 틈새가 발생하면 냉매가 침지관 내부로 균일하게 이동하지 못하여 냉각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얼음이 작아지거나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등 품질이 저하된다.
이를 개선하려면 침지관 및 냉매이송관에 대하여 격벽을 틈새 없이 완벽하게 용접하면 되겠지만, 이는 공정 상 쉽지 않고 최적의 용접방식으로 알려진 브레이징 용접을 활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즉, 브레이징 용접의 경우 우선 침지관의 내주면과 격벽 사이에 용접제를 도포하여 용융시키면서 모세관 현상으로 틈새를 메우고, 이후 격벽이 용접된 침지관을 냉매이송관에 조립하여 재차 용접하게 된다. 이때, 침지관 및 냉매이송관은 기본적으로 모두 원형 단면의 관인 이유에서, 용접 시 격벽과 면 밀착도를 높이기 어려워 용접 불량이 발생되기 쉽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며, 고품질의 제품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침지관 내부에 격벽이 설치될 경우, 침지관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격벽을 중심으로 침지관의 전방영역으로 유입된 후 침지관의 후방영영역으로 배출되는 유동의 흐름을 가지게 된다. 즉, 침지관 내부에서 냉매는 격벽을 중심으로 U자 형상의 흐름을 따라 침지관의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냉매의 유동으로 인하여 침지관의 외주면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없고, 냉각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얼음이 작아지거나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32217호 (2013.11.22.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냉매이송관 및 침지관을 연결하는 끼움 결합식 안내부재를 적용하여 결합을 위한 용접 공정을 최소화하고, 증발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침지관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유로를 개선하여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를 가지고, 하부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을 가지는 냉매이송관; 상기 설치공에 결합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냉매이송관의 냉매가 출입하는 침지관; 및 상기 설치공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냉매이송관에서 상기 침지관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벽 및 상기 침지관의 상단부 내벽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침지관의 내벽에서 이격된 채 상기 침지관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냉매유로의 상류와 연통되는 내측안내유로가 형성되고, 외측면과 상기 침지관의 내벽 사이에는 상기 냉매유로의 하류와 연통되는 외측안내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설치공에 관통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벽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상기 침지관의 상단부 내벽에 밀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침지관의 내벽에서 이격된 채 상기 침지관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측안내유로 및 상기 외측안내유로를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내부에 상기 냉매유로의 상류와 상기 내측안내유로를 연결하는 내측유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냉매유로의 하류와 상기 외측안내유로를 연결하는 외측배출구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연장부는 일체로 결합되어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벽 및 상기 침지관의 상단부의 내벽과의 기밀이 확보되도록 탄성 재질을 가지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내측안내유로 및 상기 외측안내유로 간에 열전달이 촉진되도록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내측유입구에 상단부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유입구에 결합된 상기 연장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유입구의 내벽 또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 외벽에는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에 결합된 상기 안내부재의 분리가 차단되도록,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벽에 밀착되는 상기 안내부재의 상단부의 수평 단면적은, 상기 설치공의 수평 단면적 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에 있어서, 냉매의 유동 압력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의 결합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침지관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고, 상기 내측안내유로 및 상기 외측안내유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부에는 냉매통과부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이송관 및 침지관에 삽입 결합되는 안내부재를 적용하여, 용접 개수를 줄여 용접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증발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지관의 저면 중심 영역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안내유로와 침지관 내벽과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외측안내유로를 가지는 안내부재를 적용하여, 침지관의 외벽에 접촉되는 제빙수와의 균일한 열전달을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침지관의 외벽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가 일정한 고품질의 얼음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나타낸 전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일부분의 분리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일부분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나타낸 전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일부분의 분리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일부분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100)는 냉매이송관(110), 침지관(120), 안내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이송관(110)은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113)를 가질 수 있다. 즉, 일측 냉매입구(111)에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여 타측 냉매출구(112)로 배출하는 냉매유로(113)를 가질 수 있다.
냉매입구(111)는 연결관 등에 의해 냉동사이클에 포함된 팽창밸브에 연결될 수 있고, 냉매출구(112)는 연결관 등에 의해 냉동사이클에 포함된 압축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빙점보다 낮은 온도의 냉매는 냉매입구(111)로 유입되어 냉매유로(113)를 유동한 후 냉매출구(112)로 배출되면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또한, 냉매입구(111)는 탈빙용 바이패스관 등에 의해 압축기의 냉매배출 라인과도 연결될 수 있고, 이때, 탈빙용 바이패스관에 구비된 탈빙용 밸브의 개방에 의해 빙점보다 높은 온도의 냉매가 냉매입구(111)로 유입되어 냉매유로(113)를 유동할 수도 있다. 이처럼 냉매유로(113)에 빙점보다 높은 온도의 냉매가 유동하면, 침지관(120)에 생성된 얼음(I)은 침지관(1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냉매이송관(110)은 반원 형상에 가까운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냉매이송관(110)의 상면 및 측면 부분은 곡선부로 형성될 수 있고, 냉매이송관(110)의 하면 부분은 평편한 수평부로 형성될 수 있다.
냉매이송관(110)의 하부에는 설치공(11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설치공(115)은 냉매이송관(110)의 평편한 수평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설치공(115)에는 안내부재(130)가 관통 결합될 수 있고, 안내부재(130)를 감싸면서 침지관(120)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설치공(115)은 침지관(120)의 수량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설치공(115)은 냉매이송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매이송관(110)의 하부에는 설치공(115)의 가장자리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116)가 구비될 수 있다. 플랜지부(116)는 설치공(115)에 결합된 침지관(120)의 상단부 외주면을 압착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냉매이송관(110)은 냉매입구(111) 및 냉매출구(112)를 연결하는 U자 형상의 냉매유로(113)를 가질 수 있다.
침지관(120)은 설치공(115)에 결합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이송관(110)의 냉매유로(113)를 유동하는 냉매는 설치공(115)을 통하여 침지관(120)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침지관(120)은 설치공(115)에 안내부재(130)가 먼저 설치된 이후 안내부재(130)를 감싸도록 침지관(120)의 상단부가 설치공(11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침지관(120)의 상단부는 플랜지부(116)에 끼워져 삽입될 수 있고, 플랜지부(116)의 내주면에 압착 지지될 수 있다.
침지관(120)은 적어도 하단부의 일부분이 제빙수에 접촉될 수 있고, 내부에 유입된 냉매와 제빙수와의 열교환 과정을 거치면서 외주면 주변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안내부재(130)는 설치공(115)에 관통 결합될 수 있고, 냉매이송관(110)의 냉매유로(113)에서 침지관(120)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안내부재(130)는 결합부(140) 및 연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40)는 설치공(115)을 관통하여 냉매이송관(110) 및 침지관(120)에 결합될 수 있고, 냉매이송관(110)의 내벽 및 침지관(120)의 상단부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40)는 내부에 냉매유로(113)의 상류(113a)와 침지관(120)의 내부를 연결하는 내측유입구(14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140)의 내부에는 ㄱ자 형상의 내측유입구(14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40)는 외측면에 냉매유로(113)의 하류(113b)와 침지관(120)의 내부를 연결하는 외측배출구(14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50)는 결합부(14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침지관(120)의 내벽에서 이격된 채 침지관(120)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50)는 내부에 내측유입구(141)와 연결되는 내측안내유로(15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50)는 외측면과 침지관(120)의 내벽 사이에 외측배출구(142)와 연결되는 외측안내유로(15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유로(113)의 상류(113a)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내측유입구(141)를 통하여 하부방향으로 흐름이 변경되면서 내측안내유로(151)로 유입될 수 있고, 내측안내유로(151)를 통하여 침지관(120)의 저면 중심 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침지관(120)의 저면 중심 영역에 공급된 냉매는 침지관(120)의 저면에 부딪히면서 방사방향으로 흐름이 변경되면서 외측안내유로(152)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연장부(150)의 외측면과 침지관(12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안내유로(152)에서 유동하는 냉매는 침지관(120)의 외벽에 접촉된 제빙수와 열교환되면서 침지관(120)의 외벽에 얼음(I)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빙수와 열교환된 냉매는 외측배출구(142)를 통하여 냉매유로(113)의 하류(113b)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내측안내유로(151)를 통하여 침지관(120)의 저면 중심 영역으로 공급된 냉매는 연장부(150)의 주변 둘레부에 배치된 외측안내유로(152)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고, 침지관(120)의 외벽에 접촉된 제빙수와의 균일한 열전달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지관(120)의 외벽에 생성되는 얼음(I)의 크기를 일정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결합부(140)는 상부결합부(145) 및 하부결합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결합부(145)는 설치공(115)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어 냉매유로(113)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부결합부(145)는 냉매이송관(110)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냉매유로(113)는 상부결합부(145)를 기준으로 상류(113a) 및 하류(113b)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부결합부(145)는 냉매이송관(110)의 내벽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결합부(145)는 냉매이송관(110)의 내벽과 대응하게 반원 형상에 가까운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결합부(145)를 기준으로 냉매유로(113)의 상류(113a) 및 하류(113b) 간에는 기밀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상부결합부(145)는 설치공(115)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결합부(145)의 수평 단면적은 설치공(115)의 수평 단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공(115)에 관통 결합된 상부결합부(145)는 가장자리 하면이 설치공(115)의 가장자리 상면에 걸림 지지되어 외부로 분리가 차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설치공(115)에 안내부재(130)를 관통하여 삽입시키는 것만으로 안내부재(130)의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후 설치공(115)에 침지관(12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냉매이송관(110), 안내부재(130) 및 침지관(120)의 조립 공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침지관(120)의 수량이 많을 경우 제조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하부결합부(146)는 설치공(115)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어 침지관(12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하부결합부(146)는 침지관(120)의 상단부 내벽에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냉매유로(113)와 침지관(120)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다.
또한, 하부결합부(146)는 상부결합부(145)와 단차(147)를 이루면서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단차(147)는 설치공(115)에 삽입 결합되는 침지관(120)의 상단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공(115)에 침지관(120)을 압착 결합하면, 이와 동시에 상부결합부(145)는 냉매이송관(110)의 내벽에 균일한 가압력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부결합부(145) 및 하부결합부(146)에는 냉매유로(113)의 상류(113a)와 내측안내유로(151)가 연결되도록 내부에 내측유입구(141)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냉매유로(113)의 하류(113b)와 외측안내유로(152)가 연결되도록 외측면에 외측배출구(14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결합부(145)의 외측면에는 외측배출구(142)를 통하여 배출되는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리브(148)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안내리브(148)에는 외측안내유로(152)에서 외측배출구(142)를 향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냉매의 흐름을 냉매유로(113)의 하류(113b)를 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곡선의 경사안내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안내부재(130)를 구성하는 결합부(140) 및 연장부(150)는 서로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고, 일체로 결합되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안내부재(130)를 구성하는 결합부(140) 및 연장부(150)는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질 수도 있고, 이때 결합부(140) 및 연장부(150)는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조립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부(140)는 우레탄고무 등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탄성 재질의 결합부(140)는 냉매이송관(110)의 내벽 및 침지관(120)의 내벽과의 기밀 확보가 더욱 보장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50)는 구리, 스테인리스 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 재질의 연장부(150)는 내측안내유로(151) 및 외측안내유로(152) 간에 열전달이 촉진될 수 있기 때문에 제빙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 재질의 결합부(140) 및 금속 재질의 연장부(150)는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현장에서 조립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연장부(150)는 결합부(140)에 형성되는 내측유입구(141)에 상단부가 압입 결합되면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내측유입구(141)에 연장부(150)가 압입 결합될 경우, 내측유입구(141)의 내벽 또는 연장부(150)의 외벽에는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내측유입구(141)에 연장부(150)의 상단부를 압입 결합하면 걸림돌기에 의해 내측유입구(141)로부터 연장부(150)가 반대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작동 중 냉매의 유동 압력에 의해 내측유입구(141)로부터 연장부(150)가 흔들리거나 분리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50)의 하단부는 침지관(120)의 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측안내유로(151) 및 외측안내유로(152)는 자연스레 연통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50)의 하단부는 침지관(120)의 저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공(115)에 침지관(120)을 결합할 시, 연장부(150)의 하단부가 침지관(120)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면서 결합부(140)는 냉매유로(113)의 내벽에 보다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냉매유로(113)의 상류(113a) 및 하류(113b) 간에 기밀이 더욱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중 냉매의 유동 압력에 의해 안내부재(130)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등 안내부재(130)의 결합 위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50)의 하단부가 침지관(120)의 저면에 밀착 지지될 시, 연장부(150)의 하단부에는 냉매통과부(155)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측안내유로(151) 및 외측안내유로(152)는 연통될 수 있다.
이때, 냉매통과부(155)는 연장부(150)의 하단부에 방사 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측안내유로(151)의 냉매는 외측안내유로(152)를 향하여 균일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제빙용 증발기
110: 냉매이송관
120: 침지관
130: 안내부재
151: 내측안내유로
152: 외측안내유로

Claims (8)

  1. 상면 및 측면은 곡선부로 형성되고 하면은 평편한 수평부로 형성되며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를 가지고, 상기 수평부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을 가지는 냉매이송관;
    상기 설치공에 결합되어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냉매이송관의 냉매가 출입하는 침지관; 및
    상기 설치공에 상기 침지관을 결합하기 이전에 미리 상기 설치공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냉매이송관에서 상기 침지관으로 출입하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내부에는 상기 냉매유로의 상류와 연통되는 내측안내유로가 형성되고, 외측면과 상기 침지관의 내벽 사이에는 상기 냉매유로의 하류와 연통되는 외측안내유로가 형성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공을 관통한 후 상기 설치공의 가장자리 상면에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설치공의 수평 단면적보다 큰 수평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냉매이송관의 내벽에 밀착되는 상부결합부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공에 결합되는 상기 침지관의 상단부가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상부결합부의 하단부에서 단차를 이루면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침지관의 상단부 내벽에 밀착되는 하부결합부와,
    상기 내측안내유로 및 상기 외측안내유로 간에 열전달이 촉진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결합부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침지관의 내벽에서 이격된 채 상기 침지관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측안내유로 및 상기 외측안내유로를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 증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부 및 상기 하부결합부는,
    내부에 상기 냉매유로의 상류와 상기 내측안내유로를 연결하는 내측유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냉매유로의 하류와 상기 외측안내유로를 연결하는 외측배출구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 증발기.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내측유입구에 상단부가 압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 증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유입구에 결합된 상기 연장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유입구의 내벽 또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 외벽에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 증발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냉매의 유동 압력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의 결합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침지관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고,
    상기 내측안내유로 및 상기 외측안내유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부에는 냉매통과부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 증발기.
KR1020210074450A 2021-06-08 2021-06-08 제빙용 증발기 KR102501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450A KR102501804B1 (ko) 2021-06-08 2021-06-08 제빙용 증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450A KR102501804B1 (ko) 2021-06-08 2021-06-08 제빙용 증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889A KR20220165889A (ko) 2022-12-16
KR102501804B1 true KR102501804B1 (ko) 2023-02-22

Family

ID=8453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450A KR102501804B1 (ko) 2021-06-08 2021-06-08 제빙용 증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8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537B1 (ko) * 2018-12-03 2020-07-02 정호민 제빙기와 제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853B1 (ko) * 2009-01-23 2012-01-16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101332217B1 (ko) 2013-03-25 2013-11-22 주식회사 태성 경첩유로칸막이를 갖는 제빙용 침지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9521A (ko) * 2016-07-19 2018-01-29 (주)에쏘 얼음 생성용 증발기
KR102445797B1 (ko) * 2018-12-13 2022-09-2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537B1 (ko) * 2018-12-03 2020-07-02 정호민 제빙기와 제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889A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691B1 (ko) 제빙용 냉매관 및 그 제조방법.
AU747158B2 (en) Refrigerator
US20070044498A1 (en) Refrigerator
US8726685B2 (en) Water tank for refrigerator, manufacturing method of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water tank for refrigerator
CN102455087B (zh) 集管单元和具有该集管单元的热交换器
US20120096888A1 (en) Refrigerator with water tank
KR102501804B1 (ko) 제빙용 증발기
EP3719417B1 (en) Refrigerator
KR20090053057A (ko)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US4589261A (en) Ice mak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2501805B1 (ko) 제빙용 증발기
CN110160284B (zh) 制冷设备
KR101813653B1 (ko)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일체형 냉매 유도관
KR200496914Y1 (ko) 제빙용 증발기
JP2008008584A (ja) 熱交換器
KR20230089160A (ko)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KR102233469B1 (ko) 내부 격벽을 제거한 제빙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제빙장치
KR101622700B1 (ko) 제빙장치용 열교환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제빙장치용 열교환기
KR102265422B1 (ko)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7290A (ko) 모세관용 냉매 분배기
KR20180010815A (ko) 증발기 제조방법
KR20240006882A (ko) 제빙용 증발기
KR102483960B1 (ko)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
KR102670381B1 (ko) 유하액막식 증발기
KR101863513B1 (ko)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