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960B1 -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960B1
KR102483960B1 KR1020210069033A KR20210069033A KR102483960B1 KR 102483960 B1 KR102483960 B1 KR 102483960B1 KR 1020210069033 A KR1020210069033 A KR 1020210069033A KR 20210069033 A KR20210069033 A KR 20210069033A KR 102483960 B1 KR102483960 B1 KR 102483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late
path forming
forming plate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862A (ko
Inventor
정휘동
김용석
조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씨엠
Priority to KR102021006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96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2Details of evaporators
    • F25B2339/022Evaporators constructed from a pair of plates forming a space in which is located a refrigerant carrying c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는, 물이 결빙되는 결빙부재; 결빙부재에 결합되며, 결빙부재로부터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자체적으로 형성된 유로형성플레이트; 및 유로형성플레이트에 결합되고 결빙부재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유입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EVAPORATOR FOR MANUFACTURING ICE AND MANUFACTURING IC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 탱크와,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냉각된 상태로 저장하는 냉수 탱크와,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저장하는 온수 탱크와,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부재 및,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탱크에 저장된 물은 취수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정수기는 냉수뿐만 아니라 얼음을 제조, 공급하는 제빙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빙기능을 구비한 정수기는 얼음 제조 장치를 포함한다.
종래 제빙용 증발기에 관한 등록특허 제10-2233469호의 도 4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얼음이 생성되는 냉각봉(120)에는 상부 확대부(123)와 하부 확대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냉각봉(120)이 단순히 동일한 폭을 갖는 냉각부(121) 하나만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더 넓은 폭을 갖는 확대부(122,123)까지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관(160B)의 제2인입부(163)를 냉각부(121) 하부 깊숙이 중앙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다른 연결관(160B)의 제1인입부(161)는 보다 넓은 폭을 갖는 확대부(122,123)에 인입시킨다.
즉, 상기 문헌의 도 6에서 제1인입부(161)는 확대부(122,123)에 인입되므로 상기 문헌의 발명에서 확대부(122,123)는 발명의 필수 구성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경우 냉매의 냉기가 확대부(122,123)를 통해 열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되므로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헌의 도 6에서와 같이, 연결부(162)는 제2인입부(163)로부터 굽어지도록 절곡되게 연장되는데, 연결부(162)가 냉각봉(120)의 확대부(122,123)의 가장 상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기 방출 면적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유로 길이가 증대되어 이 또한 냉각 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정리하면, 등록특허 제10-2233469호는 냉각봉(120)의 확대부(122,123)에 따른 면적 증가로 인해 냉기가 방출되어 냉각 효율이 나빠지고, 연결부(162)가 제2인입부(163)로부터 굽어지도록 절곡되게 연장되어 냉매의 이동 경로가 증가함에 따라 냉기 방출 면적도 증가하여 이 또한 냉각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연결부(162)와 제2인입부(163)의 굽어진 절곡부를 통해서도 냉기가 방출되므로, 이 또한 냉각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등록특허 제10-2233469호는 다양한 부분에서 냉기가 방출되어 냉각 효율이 아주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2233469호는 연결부(162)가 냉각봉(120)으로부터 상당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공간을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하여 다른 부품들과 부딪히는 등의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제10-2233469호(공고일자: 2021년03월29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 냉기의 방출을 방지하며, 이에 의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이 결빙되는 결빙부재; 상기 결빙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결빙부재로부터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자체적으로 형성된 유로형성플레이트; 및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결빙부재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유입관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용 증발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빙부재는,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텀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의 상기 유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출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결빙부재는 상기 유입구에 결합된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구가 상기 결빙부재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고, 냉매가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결빙부재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유출관을 통해 상기 결빙부재로부터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 용접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빙부재의 가장 상측은 가로방향으로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제1 플레이트; 및 돌출부의 반대측에 유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홈과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사이에 상기 유출관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의 상측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유출관은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빙부재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냉매는 상기 복수의 결빙부재에 순차적으로 채워져 모든 상기 결빙부재에 냉매가 채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관을 통해서는 상기 냉매가 상기 결빙부재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상기 유출관을 통해서는 상기 냉매가 상기 결빙부재로부터 유출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얼음 제조용 증발기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냉매의 이동 경로를 단순하게 하고 냉기가 방출될 수 있는 면적을 감소시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X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결빙부재가 유로형성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에서 결빙부재와 유출관이 유로형성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유출관이 유로형성플레이트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에서 제1 플레이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에서 제2 플레이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에서 제2 플레이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A-A'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에 결빙부재에 얼음이 결빙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란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X 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결빙부재가 유로형성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에서 결빙부재와 유출관이 유로형성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유출관이 유로형성플레이트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에서 제1 플레이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에서 제2 플레이트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에서 제2 플레이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1의 A-A'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에 결빙부재에 얼음이 결빙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 장치(미도시)는, 물을 공급받아 얼음(400)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얼음 제조용 증발기(10)가 구비된다. 얼음 제조 장치(미도시)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정수기나 생수기와 같은 각종 장치에 설치된 후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 장치(미도시)는 제빙 방식에 따라 침지형과 노즐형으로 나눌 수 있다. 침지형은 얼음(400) 또는 냉수를 제조하기 위해 결빙부재(100)를 침지시킨 후 물을 냉각하여 얼음(400)을 제조하는 방식이고, 노즐형은 물 분사노즐을 통해 결빙부재(100)로 물을 분사하여 얼음(400)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본 명세서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침지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10)는, 결빙부재(100)와, 유로형성플레이트(200)와, 유입관(300)을 포함한다.
결빙부재(100)는 물이 결빙되도록 마련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결빙부재(100)의 내부로 냉매가 이동(도 10의 화살표 A 참조)하면서 결빙부재(100)가 냉각되고, 이에 의해 결빙부재(100)의 둘레에 물이 결빙되어 얼음(400)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결빙부재(100)는 헤드부(110)와, 바디부(120)와, 바텀부(130)를 포함한다. 헤드부(110)는 결빙부재(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유로형성플레이트(200)에 결합된다. 그리고, 바디부(120)는 결빙부재(10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며 헤드부(110)로부터 연장된다. 그리고, 바텀부(130)는 결빙부재(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바디부(120)로부터 연장되어 바닥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헤드부(110)와 바디부(120)의 내경(d1 및 d2)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결빙부재(100)의 가장 상측은 가로방향으로 유로형성플레이트(200)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선행문헌 등록특허 제10-2233469호의 경우 도 6을 참조하면, 냉각봉(120)은 상측에 위치하는 확대부(122,123)와 중간에 위치하는 냉각부(121)와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측의 확대부(122,123)와 중간의 냉각부(121)의 내경이 다르게, 보다 상세히는 확대부(122,123)의 내경이 냉각부(121)의 내경보다 훨씬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넓은 면적의 확대부(122,123)를 통해 냉기가 빠져나가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부(162)가 냉각봉(120)의 확대부(122,123)의 가장 상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기 방출 면적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유로 길이가 증대되어 이 또한 냉각 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10)의 결빙부재(100)는 헤드부(110)의 내경(d1)과 바디부(120)의 내경(d2)이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헤드부(110)를 통한 냉기의 이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결빙부재(100)의 가장 상측이 가로방향으로 유로형성플레이트(200)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유로형성플레이트(200)에 밀착되게 결합되므로,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의 길이와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이 또한 냉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로형성플레이트(200)는 결빙부재(100)에 결합되며,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결빙부재(100)로부터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230)이 유로형성플레이트(200)에 자체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유입관(300)은 유로형성플레이트(200)에 결합되고 결빙부재(100)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마련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로형성플레이트(200)에는 유입구(211)와 유출구(2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유입관(300)은 유로형성플레이트(200)의 유입구(211)에 결합된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냉매는 유입구(211)와 유입관(300)을 통해 유로형성플레이트(200)에 결합된 결빙부재(100)로 유입된다.
유출관(230)은 유출구(212)에 연통되도록 유로형성플레이트(200)에 자체적으로 형성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관(300)은 유로형성플레이트(200)와 별개로 제작되어 유로형성플레이트(200)에 용접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유출관(230)은 유로형성플레이트(200)와 별개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유로형성플레이트(200) 자체에 형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결빙부재(100)는 유입구(211)에 결합된 유입관(300)과, 유출구(212)가 결빙부재(100) 내측에 위치하도록 유로형성플레이트(2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관(300)을 통해 결빙부재(100)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도 10에서와 같이 유출관(230)을 통해 결빙부재(100)로부터 유출된다.
유로형성플레이트(200)는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를 포함하며, 도 1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가 결합되어 유로형성플레이트(200)를 형성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210)에는 유입구(211)와 유출구(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220)에는 돌출부(221)의 반대측에 유로홈(222)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220)가 제1 플레이트(210)에 결합되어 유로홈(222)과 제1 플레이트(210)의 사이에 유출관(230)이 형성된다.
즉,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가 결합되어 유로형성플레이트(200) 자체에 유출관(230)이 형성되므로 유출관(230)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유출관(230)은 최단 길이와 최단 면적을 가지므로 냉기의 방출을 방지할 수 있어서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출관(230)은 유로형성플레이트(200)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유로형성플레이트(200의 상측을 기준으로 복수의 유출관(230)은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유출관(230)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냉매는 유출관(230)을 통해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없고 결빙부재(100)로부터 유출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유입관(300)을 통해서는 냉매가 결빙부재(100)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복수의 유출관(230)이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 즉, 서로 분리되게 형성되고, 냉매가 유입관(300)을 통해서는 결빙부재(100)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또한, 유출관(230)을 통해서는 결빙부재(100)로부터 유출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마련되면, 냉매는 복수의 결빙부재(100)에 순차적으로 채워지되, 모든 결빙부재(100)에 냉매가 채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 사이에는 단차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유로형성플레이트(200)는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제2 플레이트(220)의 유로홈(222)과 제1 플레이트(210) 사이에 유출관(2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플레이트(210)에는 유입구(211)와 유출구(212)가 형성되는데, 유입구(211)에는 파이프 형상의 유입관(300)이 용접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유출구(212)는 유로형성플레이트(200)에 자체적으로 형성된 유출관(230)에 연통된다. 그리고, 유로형성플레이트(200)의 하측에는 결빙부재(100)가 결합된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유입구(211)와 유입관(300)을 통해 결빙부재(100) 내부로 이동한 냉매는 유출구(212)와 유출관(230)을 통해 결빙부재(100)로부터 유출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유출관(230)의 길이 및 면적을 최소화하여 냉매의 이동 경로를 단순하게 하고 냉기의 방출을 감소시키며, 이에 의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출관(230, 도 9 참조)이 유로형성플레이트(200)에 자체적으로 형성되어 공간을 차지하는 부피가 감소되므로 다른 부품들과 부딪히는 등의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10)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 사이에는 경사부(250)가 형성된다.
제1 플레이트(210)에 성에가 발생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발생된 성에가 녹아서 물이된 경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 사이의 경사부(250)를 통해 물이 흘러내려 제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10)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유로형성플레이트(20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절곡부(260)가 형성된다.
유로형성플레이트(200)는 얇은 판의 형태로 제작되므로 용접시 또는 취급시에 뒤틀림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로형성플레이트(200)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유로형성플레이트(200)의 가장자리에 절곡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얼음 제조용 증발기 100 : 결빙부재
110 : 헤드부 120 : 바디부
130 : 바텀부 200 : 유로형성플레이트
210 : 제1 플레이트 211 : 유입구
212 : 유출구 220 : 제2 플레이트
221 : 돌출부 222 : 유로홈
230 : 유출관 240 : 단차부
250 : 경사부 260 : 절곡부
300 : 유입관 400 : 얼음

Claims (13)

  1. 물이 결빙되는 결빙부재;
    상기 결빙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결빙부재로부터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이 자체적으로 형성된 유로형성플레이트; 및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결빙부재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유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의 상기 유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출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결빙부재는 상기 유입구에 결합된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구가 상기 결빙부재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고,
    냉매가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결빙부재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유출관을 통해 상기 결빙부재로부터 유출되며,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 복수로 형성되며,
    냉매는 상기 유출관을 통해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없고 상기 결빙부재로부터 유출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의 상측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유출관은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이격되고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결빙부재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냉매는 상기 복수의 결빙부재에 순차적으로 채워져 모든 상기 결빙부재에 냉매가 채워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용 증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부재는,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바텀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용 증발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 용접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용 증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부재의 가장 상측은 가로방향으로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용 증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제1 플레이트; 및
    돌출부의 반대측에 유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홈과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사이에 상기 유출관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용 증발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용 증발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용 증발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플레이트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용 증발기.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을 통해서는 상기 냉매가 상기 결빙부재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상기 유출관을 통해서는 상기 냉매가 상기 결빙부재로부터 유출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용 증발기.
  13.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9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얼음 제조용 증발기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
KR1020210069033A 2021-05-28 2021-05-28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 KR102483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33A KR102483960B1 (ko) 2021-05-28 2021-05-28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33A KR102483960B1 (ko) 2021-05-28 2021-05-28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62A KR20220160862A (ko) 2022-12-06
KR102483960B1 true KR102483960B1 (ko) 2023-01-03

Family

ID=8440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033A KR102483960B1 (ko) 2021-05-28 2021-05-28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9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881B1 (ko) * 2017-02-21 2018-08-13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 장치
KR102233469B1 (ko) * 2020-10-26 2021-03-29 이진구 내부 격벽을 제거한 제빙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제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840B1 (ko) * 2016-10-31 2024-03-08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881B1 (ko) * 2017-02-21 2018-08-13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 장치
KR102233469B1 (ko) * 2020-10-26 2021-03-29 이진구 내부 격벽을 제거한 제빙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제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62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6888A1 (en) Refrigerator with water tank
KR101092627B1 (ko) 제빙기용 증발기
KR101705662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61964A (ko) 냉장고용 물탱크 및 그 제조방법과 냉장고용 물탱크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12240658A (zh) 制冰电器
KR102483960B1 (ko)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
CN106257170A (zh) 制冷剂通道集成制冰盘及用于制造其的方法
EP1786721B1 (en) Cooled beverage dispenser with a python and an additional chiller
KR102354052B1 (ko) 제빙기
KR101459002B1 (ko) 제빙기용 증발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754374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050104129A (ko) 투명제빙장치
KR20160010143A (ko) 냉동기용 제상 시스템 장치
KR101295292B1 (ko) 제빙기용 제빙관 및 이를 구비하는 제빙기
KR102619014B1 (ko)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KR102501805B1 (ko) 제빙용 증발기
CN105091451A (zh) 冰箱
KR101094223B1 (ko) 서랍식 김치냉장고의 결빙 방지 증발기 파이프 구조
KR20140062847A (ko) 정수기용 일체형 직타원 증발기유닛
CN100549588C (zh) 冰箱的除霜水处理装置
CN104776667A (zh) 风道组件以及具有其的冰箱
KR102501804B1 (ko) 제빙용 증발기
US20080163638A1 (en) Ice-machine evaporator and control system
CN108895755A (zh) 一种冷柜内胆结构及冷柜
CN214581935U (zh) 一种具有蒸发外管的蒸发器及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