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275A -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275A
KR20240043275A KR1020220122153A KR20220122153A KR20240043275A KR 20240043275 A KR20240043275 A KR 20240043275A KR 1020220122153 A KR1020220122153 A KR 1020220122153A KR 20220122153 A KR20220122153 A KR 20220122153A KR 20240043275 A KR20240043275 A KR 20240043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ain body
ice
evaporator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3275A/ko
Priority to PCT/KR2023/010132 priority patent/WO2024071611A1/ko
Publication of KR20240043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2Details of evaporators
    • F25B2339/024Evaporators with refrigerant in a vessel in which is situated a heat exchanger
    • F25B2339/0241Evaporators with refrigerant in a vessel in which is situated a heat exchanger having 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제빙용 증발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증발기 본체; 상기 본체 공간을 제 1 본체 공간 및 제 2 본체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본체 공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공간 분리벽; 내부에는 상기 본체 공간이 유체 소통 가능한 열교환 공간이 구비되고 외측부에는 제빙홈이 형성되는 제빙 부재; 상기 열교환 공간이 상기 제 1 본체 공간과 유체 소통 가능한 제 1 열교환 공간 및 상기 제 2 본체 공간과 유체 소통 가능한 제 2 열교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열교환 공간에 배치되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과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과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 부재; 냉매를 상기 제 1 본체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본체 공간과 연결된 냉매 유입 유로; 및 상기 제 2 본체 공간을 흐르는 냉매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본체 공간과 연결된 유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Evaporator for ice ma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 구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는 물을 빙점인 0℃ 이하로 냉각하여 얼음을 만들고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얼음이 필요한 냉장고나 얼음정수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제빙기는 냉매가 흐르는 증발관 및 냉매에 의하여 냉각되는 제빙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빙용 증발기를 구비한다.
제빙기에는 제빙 부재가 물에 잠기도록 하여 제빙 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침지식 제빙기, 제빙 부재에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제빙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분사식 제빙기, 또는 물이 제빙 부재의 외주면을 흐르도록 하여 제빙 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유수식 제빙기 등이 있다.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110874호에는 종래의 제빙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제빙기는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를 반구 형상의 제빙틀 상측부에 접촉시켜 냉각함으로써 얼음을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빙기는 냉매와 제빙틀 사이에 냉매관이 개재되어 냉매가 제빙틀에 곧바로 접촉할 수 없으므로, 냉매가 제빙틀 및 제빙틀 내의 물로부터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제빙기는 제빙틀 상측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지 않아, 유효 대기압이 제빙틀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제조된 얼음의 탈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코웨이 주식회사(COWAY Co., Ltd.)의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20309호에는 종래의 제빙용 증발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제빙용 증발기는 냉매가 증발기본체 및 침지부재의 내부 공간을 흐르며 얼음을 제조하고,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가열부재가 냉매를 가열하여 얼음을 탈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빙용 증발기는 냉매가 침지부재의 내부 공간을 순회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냉매와 침치부재의 접촉 시간이 길지 않아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기 어렵고, 또한, 냉매의 냉각 능력이 복수의 침지부재에 균등하게 분배될 수 없어 침지부재마다 품질이 상이한 얼음이 서로 다른 속도로 제조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제빙용 증발기는 증발기 본체의 내부에 별도의 가열부재가 설치되는 등, 구성요소의 종류가 많고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성요소들 간의 배치 및 결합 구조가 복잡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코웨이 주식회사(COWAY Co., Ltd.)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1-0003525호에는 종래의 제빙용 증발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제빙용 증발기는 증발관 및 침지부재의 내부 공간이 구획부재에 의하여 구획되고, 냉매가 구획된 내부 공간을 순회하며 얼음을 제조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가열부재가 냉매를 가열하여 얼음을 탈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빙용 증발기는 구획부재에 의하여 구획된 증발관 및 침지부재의 내부 공간이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증발관 내부로 유입된 냉매가 침지부재를 순회하지 않은 채 곧바로 증발기 외부로 유출될 수 있어, 제빙 성능이 떨어지는 불량품이 제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110874호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22-003457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1-00035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빙용 증발기의 내부 공간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냉매가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순회하며 얼음을 제조하도록 구성되어,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빙용 증발기의 내부 공간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냉매가 구획된 내부 공간들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얼음을 제조하도록 구성되어, 냉매의 냉각 능력이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고, 균일한 품질을 가지는 복수의 얼음을 동일한 속도로 제조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빙용 증발기의 구획된 내부 공간들이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제빙 성능이 떨어지는 불량품이 제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빙용 증발기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성들이 서로 별도의 부재로 제공된 후 조립될 수 있어, 제조 편의성이 증대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된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빙용 증발기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증발기 본체의 개방된 일 개구로 삽입됨에 따라 증발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어, 조립성 및 제조 편의성이 증대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된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가열 부재를 포함하지 않아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성요소 간의 결합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 편의성이 증대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된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홈 내측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어, 탈빙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매가 제빙용 증발기의 구획된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되어, 냉매가 접촉하는 시간과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매가 제빙용 증발기의 구획된 내부 공간의 단부를 경유하도록 가이드되어, 냉매가 접촉하는 시간과 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매가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부의 둘레에 접하며 흐르도록 강제되어, 냉매가 접촉하는 시간과 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가운 냉매가 곧바로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부와 접촉할 수 있어,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고, 본 증발기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이 증대된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빙용 증발기의 구획된 내부 공간들이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제빙 성능이 떨어지는 불량품이 제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공되는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구성요소 간의 결합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공정이 구성요소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증발기 본체; 상기 본체 공간을 제 1 본체 공간 및 제 2 본체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본체 공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공간 분리벽; 내부에는 상기 본체 공간이 유체 소통 가능한 열교환 공간이 구비되고 외측부에는 제빙홈이 형성되는 제빙 부재; 상기 열교환 공간이 상기 제 1 본체 공간과 유체 소통 가능한 제 1 열교환 공간 및 상기 제 2 본체 공간과 유체 소통 가능한 제 2 열교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열교환 공간에 배치되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과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과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 부재; 냉매를 상기 제 1 본체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본체 공간과 연결된 냉매 유입 유로; 및 상기 제 2 본체 공간을 흐르는 냉매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본체 공간과 연결된 유출 유로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의 연장 방향 측부에 결합되는 본체측 결합부 및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에 결합되는 제빙 부재측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의 연장 방향 측부에는 제 1 결합 부재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의 본체측 결합부에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 홈과 대응 결합되는 본체 공간 분리벽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 본체를 향하는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의 모서리에는 제 2 결합 부재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의 제빙 부재측 결합부에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 홈과 대응 결합되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증발기 본체; 상기 본체 공간을 제 1 본체 공간 및 제 2 본체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본체 공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공간 분리벽; 상부가 상기 증발기 본체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상기 본체 공간이 유체 소통 가능한 열교환 공간이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하부에는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부를 포함하는 제빙 부재; 상기 열교환 공간이 상기 제 1 본체 공간과 유체 소통 가능한 제 1 열교환 공간 및 상기 제 2 본체 공간과 유체 소통 가능한 제 2 열교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열교환 공간에 배치되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과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과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 부재; 냉매를 상기 제 1 본체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본체 공간과 연결된 냉매 유입 유로; 및 상기 제 2 본체 공간을 흐르는 냉매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본체 공간과 연결된 유출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부는 상기 본체 공간에 위치되는 제 1 부분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 1 부분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제빙용 증발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빙부는 상기 증발기 본체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볼록면 및 상기 볼록면에 대향하는 오목면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면 상에 상기 제빙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의 연장 방향 측부에는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은 상기 증발기 본체의 연장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 2 부분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방측 공간 분리벽 및 후방측 공간 분리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에 결합되는 가이드 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제 1 본체 공간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를 향하여 흐르는 냉매가 상기 제 1 열교환 공간을 경유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본체 공간에 배치되는 제 1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제 2 본체 공간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를 향하여 흐르는 냉매가 상기 제 2 열교환 공간을 경유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본체 공간에 배치되는 제 2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제 1 열교환 공간을 제 1 경유 공간 및 제 2 경유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 1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제 1 열교환 공간으로 연장되는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의 연장 방향 단부측에는 상기 제빙홈에 인접한 위치에 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 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제빙 부재의 내벽과 상기 유동홈 사이로 상기 제 1 경유 공간과 상기 제 2 경유 공간이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빙홈의 내벽에 형성되는 제빙 부재측 개구와 상기 증발기 본체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본체측 개구를 서로 연결하는 공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과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은 동일한 평면 상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 본체에는 상기 제 1 본체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본체 공간으로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회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 공간과 상기 선회 공간 사이에는 상기 본체 공간과 상기 선회 공간을 구획하되, 상기 제 1 본체 공간과 상기 선회 공간을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홀 및 상기 제 2 본체 공간과 상기 선회 공간을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홀이 형성된 구획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빙홈은 반구 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빙 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빙 부재는 상기 본체 공간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 본체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반 구 형상 또는 반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되 양 단부가 개방된 본체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증발기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본체 공간이 제 1 본체 공간 및 제 2 본체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증발기 본체에 본체 공간 분리벽을 조립하는 단계; 내부에는 열교환 공간이 구비되고 외측부에는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열교환 공간을 제 1 열교환 공간 및 제 2 열교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상기 증발기 본체 및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 중 어느 하나에 조립하는 단계; 상기 제빙 부재를 상기 증발기 본체에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 공간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본체 공간을 구획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본체 공간의 개방된 양 단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을 상기 증발기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 본체의 연장 방향 측부에는 결합홀이 제공되고,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증발기 본체의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에 결합 부재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증발기 본체의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에 조립된 결합 부재에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한 상기 제 1 본체 공간 및 상기 제 1 열교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검사 대상 공간과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한 상기 제 2 본체 공간 및 상기 제 2 열교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검사 대상 공간이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리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증발기 본체의 개방된 양 단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 1 검사 대상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홀 및 상기 제 2 검사 대상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홀이 형성된 구획 부재를 상기 본체 공간의 양 단부 중 다른 어느 하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2 홀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 1 검사 대상 공간 및 상기 제 2 검사 대상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소정의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검사 대상 공간 및 상기 제 2 검사 대상 공간 중 다른 어느 하나로 상기 주입된 유체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본체 공간 분리벽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이 증발기 본체 및 제빙 부재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냉매가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순회하며 제빙 부재를 냉각하도록 구성되므로, 냉매와 제빙 부재의 접촉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본체 공간 분리벽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이 복수의 제빙 부재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냉매가 구획된 제빙 부재의 내부 공간들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며 복수의 제빙 부재를 냉각하도록 구성되므로, 냉매의 냉각 능력이 복수의 제빙 부재에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어, 복수의 제빙 부재 마다 동일한 속도로 균일한 품질의 얼음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 2 구획 부재가 증발기 본체 및 제빙 부재의 내부 공간이 본체 공간 분리벽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에 의하여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므로, 제빙 성능이 떨어지는 불량품이 제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증발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본체 공간 분리벽과 제빙 부재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열교환 공간 분리벽이 서로 별도의 부재로 제공된 후 조립될 수 있으므로, 제조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본체 공간 분리벽이 증발기 본체의 개방된 일 개구로 삽입됨에 따라 증발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어, 조립성 및 제조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고, 각 구성이 단순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별도의 가열 부재를 포함하지 않으며,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성요소 간의 결합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조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홈 내측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관을 포함하므로, 탈빙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공기관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기관이 얼음이나 물에 의하여 막히는 것이 방지되므로, 냉매가 제빙틀의 상측에서 제빙틀을 냉각하여도 탈빙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가이드 벽이 본체 공간을 흐르는 냉매를 열교환 공간 공간으로 가이드하고, 동시에 열교환 공간을 흐르는 냉매를 상하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여, 제빙 부재와 냉매가 접촉하는 시간과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 1 경유 공간과 제 2 경유 공간을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동홈이 열교환 공간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냉매가 제 1 경유 공간에서 제 2 경유 공간으로 흐를 때 열교환 공간의 하단부를 경유하도록 강제되므로, 제빙부와 냉매가 접촉하는 시간과 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 1 경유 공간과 제 2 경유 공간을 유체소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동홈이 제빙 부재의 제빙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냉매가 제빙부의 둘레에 접하며 흐르는 것이 강제되므로, 냉매와 제빙부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이 증가될 수 있어,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는 제빙 부재의 제빙부의 일부, 즉 제 1 부분이 증발기 본체의 본체 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제빙부가 증발기 내부를 흐르는 차가운 냉매와 직접 접촉할 수 있어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고, 제빙 부재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은 제 2 구획 부재를 이용하여 제빙용 증발기의 내부 공간이 서로 구획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제빙 성능이 떨어지는 불량품이 제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은 제공되는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구성요소 간의 결합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공정이 구성요소들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도록 구성되므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증발기 본체의 본체부 일부를 내부가 보이도록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빙 부재의 일부를 내부가 보이도록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때, 증발기 본체의 몸체부 및 제빙 부재는 점선으로 표시되었고, 이에 의하여 투시되는 구성은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폐쇄 마개, 분리 부재, 구획 부재, 본체 공간 분리벽, 가이드벽, 결합 부재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Ⅱ-Ⅱ’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제빙용 증발기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 2 구획 부재를 이용하여 증발기 본체 및 제빙 부재 내부의 구획된 공간들이 유체적으로 격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서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조립하는 단계를 세분화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서 증발기 본체 및 제빙 부재의 구획된 내부 공간들이 격리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세분화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X축의 양의 방향을 우측 방향이라 규정하고, X축의 음의 방향을 좌측 방향이라 규정하고, Y축의 양의 방향을 상측 방향이라 규정하고, Y축의 음의 방향을 하측 방향이라 규정하고, Z축의 양의 방향을 전방이라 규정하고, Z축의 음의 방향을 후방이라 규정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1)는 반 구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용 증발기로서, 증발기 본체(100) 및 복수의 제빙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 본체(100)는 차가운 냉매가 순환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 방향,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 본체(100)의 연장 방향 측부에는 복수의 제빙 부재(200)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빙 부재(20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얼음이 형성되도록 하는 틀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에 따른 제빙 부재(200)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구 형상을 가지는 제빙홈(221)이 형성된다.
증발기 본체(100)를 흐르는 냉매는 복수의 제빙 부재(200)의 내부를 순환하며 제빙 부재(200)를 냉각할 수 있다. 이때, 본 제빙용 증발기(1)의 일측에는 제빙 부재(200)의 제빙홈(221)으로 물을 분무하기 위한 분무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무 장치에서 분무된 물은 제빙 부재(200)의 제빙홈(221) 내벽에 접촉하게 되고, 제빙홈(221) 내부에는 물이 얼음에 따라 제빙홈(221)의 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의 얼음이 제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빙홈(221)은 반 구 형상을 가지므로 본 제빙용 증발기(1)는 반 구 형상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제빙홈(221)의 형상은 제조하려는 얼음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면체 형상의 얼음을 제조하기 위하여, 제빙홈(221)의 형상은 그에 대응하는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빙홈(221)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어느 하나와 다른 형상을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형상의 얼음을 동시에 제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다른 실시예에서 제빙용 증발기(1)는 제빙 부재(200)의 제빙홈(221)과 대응하도록 마주볼 수 있는 반 구형의 제빙홈이 형성된 별도의 하부틀(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제빙 부재(200)와 상기 하부틀이 구 형상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구체적인 구성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증발기 본체의 본체부 일부를 내부가 보이도록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빙 부재의 일부를 내부가 보이도록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때, 증발기 본체의 몸체부 및 제빙 부재는 점선으로 표시되었고, 이에 의하여 투시되는 구성은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폐쇄 마개, 분리 부재, 구획 부재, 본체 공간 분리벽, 가이드벽, 결합 부재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Ⅰ-Ⅰ’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Ⅱ-Ⅱ’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제빙용 증발기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1)의 증발기 본체(100)는 본체부(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10)는 냉매가 순환하는 본체 공간(A)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순환하는 냉매를 복수의 제빙 부재(200)에 분배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외부의 열 에너지가 본체 공간(A)을 흐르는 차가운 냉매로 전달되어, 냉매의 냉각 능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열전달율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1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체부(110)의 형상은 본 제빙용 증발기(1)가 배치되는 공간의 형상, 제빙 부재(200)들의 배열 방식 등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굽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본체부(110)는 연장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상측 방향으로 볼록한 반 구 형상 또는 반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 내부를 흐르는 냉매에 의하여 본체부(110) 외측면에 발생된 이슬은 외측면의 경사를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양 단부는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부(110)의 전방측에는 제 1 개구(111)가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제 2 개구(113)가 형성된다.
이때, 본체부(110)의 연장 방향 측부,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에는 전후방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5)에는 전술한 제빙 부재(20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빙 부재(200)와 본체부(1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 제공되되 결합홀(115)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되나, 제빙 부재(200)와 본체부(110)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체부(110)의 연장 방향 타측부,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측부에는 제빙 부재(200)의 배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 1 공기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기홀(117)은 후술하는 공기관(160)(도 8에 도시됨)의 일 단부가 삽입되기 위하여 제공되는 구성이다. 제 1 공기홀(117)에 대해서는 공기관(160)(도 8에 도시됨)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1)의 제빙 부재(200)는 몸체부(210), 제빙부(220) 및 바닥부(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빙 부재(200)는 얼음이 형성되도록 틀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효율적으로 얼음을 제조하기 위하여 열전달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210)는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 공간(B)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몸체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 제공되되, 상측부가 본체부(110)의 결합홀(115)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내부에 냉매가 흐를 수 있는 열교환 공간(B)을 구비할 수 있다면, 몸체부(21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몸체부(210) 내부의 열교환 공간(B)과 본체부(110) 내부의 본체 공간(A)은 서로 유체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몸체부(210)의 타측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의 하부에는 제빙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제빙부(220)는 본체 공간(A) 및 열교환 공간(B)을 흐르는 냉매에 의하여 냉각되며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빙부(220)의 하측에는 제빙홈(221)이 형성된다.
이때, 제빙부(220)는 몸체부(210)의 내부를 가로지르며 몸체부(21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볼록한 반 구 형상을 가지되, 제빙부(220)의 상부는 몸체부(21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하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빙부(220)의 볼록한 외면을 볼록면(220a)이라 한다. 몸체부(210)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 1 부분(222)이라 한다. 그리고, 몸체부(210)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제 1 부분(222)의 둘레에 구비된 부분을 제 2 부분(224)이라 한다.
이때, 제빙부(220)에는 볼록면(220a)에 대향하는 오목면(220b)이 구비된다. 오목면(220b) 상에는 전술한 제빙홈(221)이 구비된다. 제빙홈(221)은 제빙부(220)의 하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 1 부분(222)은 본체 공간(A)을 흐르는 냉매와 직접 접하며 냉각되고, 제 2 부분(224)은 본체 공간(A)으로부터 유출되어 열교환 공간(B)을 흐르는 냉매에 의하여 냉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부(220)의 적어도 일부, 즉, 제 1 부분(222)이 본체 공간(A) 내측에 배치되어 차가운 냉매와 곧바로 접촉하며 냉각될 수 있으므로, 냉매의 냉각 능력을 최대한 발휘될 수 있어 얼음이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부(220)의 적어도 일부, 즉 제 1 부분(222)이 본체 공간(A)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빙부(220)가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빙부(220)에는 전술한 제 1 공기홀(117)(도 4에 도시됨)과 공기관(160)(도 8에 도시됨)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2 공기홀(2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공기홀(223)은 탈빙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빙부(220)의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공기홀(223)은 바람직하게는 탈빙 과정이 더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빙부(220)의 상측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공기홀(223)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공기관(160)(도 8에 도시됨)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빙부(220)의 테두리부와 몸체부(210)의 하측 테두리부 사이에는 바닥부(230)가 구비된다. 바닥부(230)는 몸체부(210) 내부의 열교환 공간(B)의 하부를 폐쇄하여 외부와 격리한다.
이때, 바닥부(230)는 필요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빙부(220)의 테두리부가 몸체부(210)의 내벽에 접함으로써 제빙부(220)가 열교환 공간(B)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다면, 바닥부(230)는 별도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몸체부(210), 제빙부(220) 및 바닥부(230)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부재로 제공될 수도 있고, 각각 별개의 부재로 제공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각 구성은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열 에너지가 열교환 공간(B)의 냉매로 전달되어 냉매의 냉각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부(210) 및 바닥부(230)는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효율적으로 얼음을 제조하기 위하여 제빙부(220)는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 본체(100)의 본체부(110)에는 외측으로 개방된 양 단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 마개(120,140)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부(110)의 전방에 구비된 제 1 개구(111)에는 이를 폐쇄하기 위한 제 1 폐쇄 마개(120)가 결합되고, 본체부(110)의 후방에 구비된 제 2 개구(113)에는 이를 폐쇄하기 위한 제 2 폐쇄 마개(140)가 결합된다.
폐쇄 마개(120,140)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본체부(110)의 단부에 용접 공정 등으로 결합되거나, 가요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폐쇄 마개(120)에는 냉매 유입관(122), 히트가스 유입관(124) 및 배출관(126)이 구비될 수 있다.
냉매 유입관(122)은 본체부(110)의 본체 공간(A)으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히트가스 유입관(124)은 본체부(110)의 본체 공간(A)으로 가열된 히트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배출관(126)은 본체 공간(A)을 흐르는 냉매 또는 히트가스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이때, 냉매 유입관(122) 및 히트가스 유입관(124)의 일단부는 후술하는 제 1 본체 공간(A1)에 위치되고, 배출관(126)의 일단부는 후술하는 제 2 본체 공간(A2)에 위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제 1 및 제 2 본체 공간(A1,A2)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히트가스 유입관(124)은 필요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빙 부재(200)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히트가스 유입관(124)이 제 1 폐쇄 마개(120)에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2 폐쇄 마개(14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폐쇄 마개(140)는 외측 제 2 폐쇄 마개(142) 및 내측 제 2 폐쇄 마개(1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제 2 폐쇄 마개(1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제 2 개구(113)에 결합되고, 내측 제 2 폐쇄 마개(144)는 제 2 개구(113)로부터 본체부(110) 내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외측 제 2 폐쇄 마개(142)와 내측 제 2 폐쇄 마개(144) 사이의 공간은 본체 공간(A)과 유체적으로 격리된다. 따라서, 외측 제 2 폐쇄 마개(142)와 내측 제 2 폐쇄 마개(144)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 중 냉매가 흐를 수 있는 구간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제 1 폐쇄 마개(120)로부터 본체부(110) 내측으로 다소 이격된 위치에는 제 1 구획 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고, 제 2 폐쇄 마개(140)로부터 본체부(110) 내측으로 다소 이격된 위치에는 제 2 구획 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구획 부재(130) 및 제 2 구획 부재(150)의 구체적인 형상 및 기능에 대해서는 분리 부재(300)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제빙용 증발기는 분리 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부재(300)는 증발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과 제빙 부재(200)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거나 냉매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증발기 본체(100)와 제빙 부재(200) 내부의 구획된 공간들은 분리 부재(300)에 의하여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이때, 두 공간이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되었다는 것은 두 공간이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지 않도록 분리된 것을 의미한다.
증발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분리 부재(300)에 의하여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순차적으로 순회하도록 강제되며, 구획된 공간들을 순회하는 냉매는 복수의 제빙 부재(200)를 순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는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순회하며 제빙 부재를 냉각하도록 강제되므로, 냉매와 제빙 부재의 접촉 시간이 길어질 수 있어,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가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순차적으로 순회하며 제빙 부재를 냉각하므로, 냉매의 냉각 능력이 복수의 제빙 부재에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어, 복수의 제빙 부재 마다 동일한 속도로 균일한 품질의 얼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부재(300)의 구체적인 구성과 제 1 및 제 2 구획 부재(130,15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리 부재(300)는 본체 공간 분리벽(310), 가이드 벽(320), 결합 부재(330)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으로 이루어진다.
본체 공간 분리벽(310)은 증발기 본체(100)의 본체부(110) 내부에 구비된 본체 공간(A)을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본체 공간(A1) 및 제 2 본체 공간(A2)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체 공간 분리벽(310)은 본체 공간(A) 내부에 배치되되, 본체부(11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 공간 분리벽(310)은 본체 공간(A)을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되는 제 1 본체 공간(A1) 및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되는 제 2 본체 공간(A2)으로 구획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으로 이루어진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연장 방향 측부에는 안착홈(311), 가이드 벽 결합홈(313) 및 제 1 결합 부재 홈(315)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311)에는 전술한 제빙 부재(200)의 제 1 부분(222)이 접하며 안착될 수 있다. 안착홈(311)은 제 1 부분(222)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안착홈(311)은 복수의 제빙 부재(200)에 맞추어 복수개로 구비되되, 제빙 부재(200)의 배열에 대응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벽 결합홈(313)에는 후술하는 가이드 벽(320)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벽 결합홈(313)은 복수의 가이드 벽(320)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되, 제빙 부재(200)의 배열에 대응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벽(320)은 제빙 부재(200)와 본체 공간 분리벽(310) 사이에 배치되므로, 가이드 벽 결합홈(313)은 안착홈(311)의 내측 중앙에 위치된다.
이때, 가이드 벽(320)이 본체부(110)의 결합홀을 통하여 본체 공간 분리벽(3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벽 결합홈(313)은 본체부(110)의 하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 1 결합 부재 홈(315)에는 후술하는 결합 부재(330)의 일측부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으나, 결합 부재(330)는 후술하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을 본체 공간 분리벽(310)에 조립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은 제빙부(220)의 전방에서 열교환 공간을 구획하는 전방측 분리벽(342)과 제빙부(220)의 후방에서 열교환 공간을 구획하는 후방측 분리벽(344)으로 이루어진다.
결합 부재(330)는 전방측 분리벽(342)과 후방측 분리벽(344)을 본체 공간 분리벽(310)에 각각 결합시키기 위하여, 제빙부(220)를 중심으로 전후방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 1 결합 부재 홈(315)은 전후방을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 1 결합 부재 홈(315)은 제빙부(220)의 제 1 부분(222)이 안착되는 안착홈(311)을 중심으로 전후방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 1 결합 부재 홈(315)은 복수의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되, 그 배열 방식에 따라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연장 방향 측부에는 열교환 공간(B)을 제 1 열교환 공간(B1) 및 제 2 열교환 공간(B2)으로 구획하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이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은 제빙부(220)의 전방에서 열교환 공간(B)의 전방부를 구획하는 전방측 분리벽(342) 및 제빙부(220)의 후방에서 열교환 공간(B)의 후방부를 구획하는 후방측 분리벽(34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측 분리벽(342) 및 후방측 분리벽(34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절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방측 분리벽(342)의 증발기 본체(100) 측 모서리부에는 후술하는 결합 부재(330)가 결합될 수 있는 전방측 제 2 결합 부재 홈(343)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방측 분리벽(344)의 증발기 본체(100) 측 모서리부에는 결합 부재(330)가 결합될 수 있는 후방측 제 2 결합 부재 홈(345)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분리벽(342)과 후방측 분리벽(344)은 제 1 열교환 공간(B1)과 제 2 열교환 공간(B2)이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될 수 있도록, 상측 모서리부는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하측 모서리부와 접하고, 제빙부(220) 측 모서리부는 제빙부(220)에 접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나머지 모서리부는 몸체부(210) 및 바닥부(230)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 1 열교환 공간(B1)은 제 1 본체 공간(A1)과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열교환 공간(B2)은 제 2 본체 공간(A2)과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은 본체 공간 분리벽(310)과 동일한 평면상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과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상대적인 배치 관계가 전술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 구성은 제 1 및 제 2 본체 공간(A1,A2)과 제 1 및 제 2 열교환 공간(B1,B2)을 각각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배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과 본체 공간 분리벽(310) 사이에 결합 부재(330)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 부재(33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과 본체 공간 분리벽(310)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거나 조립되기 어려운 경우에, 본체 공간 분리벽(310)과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때, 결합 부재(330)는 전방측 분리벽(342)과 후방측 분리벽(344)을 각각 본체 공간 분리벽(3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 부재(330)는 전방측 분리벽(342)과 후방측 분리벽(344)에 대응하여 제빙부(220)를 중심으로 전후방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330)는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연장 방향 측부와 결합되는 본체측 결합부(332)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과 결합되는 제빙 부재측 결합부(3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체측 결합부(33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제 1 결합 부재 홈(315)에 대응 결합될 수 있는 본체 공간 분리벽 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 부재측 결합부(334)에는 전술한 전방측 분리벽(342)의 전방측 제 2 결합 부재 홈(343) 및 후방측 분리벽(344)의 후방측 제 2 결합 부재 홈(345) 중 어느 하나와 대응 결합될 수 있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 홈(33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330)는 결합홀(115)을 통하여 본체부(110) 내부에 배치된 본체 공간 분리벽(310)과 조립(또는, 결합)될 수 있다. 그 후,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은 결합홀(115)을 통하여 본체 공간 분리벽(310)과 조립(또는, 결합)된 결합 부재(330)와 조립(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의 결합홀(115)을 통하여 본체 공간 분리벽(310), 결합 부재(330)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이 순차적으로 조립(또는, 결합)될 수 있어, 제조 편의성 및 구성요소 간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33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절편으로 이루어지나, 본체 공간 분리벽(310)과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을 결합시킬 수 있다면, 굴곡지게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330)와 본체 공간 분리벽(310)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은 서로 대응되는 절개홈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되나, 후크-걸림 구조 등 동 구성들을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결합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결합 부재(330)는 본체 공간 분리벽(310)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어, 다른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부재(330)와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제공되어, 본체부(110)의 결합홀(115)을 통하여 본체 공간 분리벽(310)에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연장 방향 측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벽(3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벽(320)은 본체 공간 분리벽(310)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벽(320)은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와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는 본체 공간(A1,A2)을 흐르는 냉매를 열교환 공간(B1,B2)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는 제 1 및 제 2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a,3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a)는 제 1 본체 공간(A1)에 배치되어 제 1 본체 공간(A1)을 흐르는 냉매를 제 1 열교환 공간(B1)으로 가이드하는 제 1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a) 및 제 2 본체 공간(A2)에 배치되어 제 2 본체 공간(A2)을 흐르는 냉매를 제 2 열교환 공간(B2)으로 가이드하는 제 2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의 상부에는 전술한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가이드 벽 결합홈(313)에 대응 결합될 수 있는 본체 공간 분리벽 결합홈(323)이 형성된다.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의 일측부,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에는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가 구비된다.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는 열교환 공간(B1,B2)을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는 제 1 및 제 2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32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는 제 1 열교환 공간(B1)에 배치되어, 제 1 열교환 공간(B1)을 제 1 경유 공간(B1a) 및 제 2 경유 공간(B1b)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는 제 1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a)로부터 제 1 열교환 공간(B1)으로 연장되어, 제 1 열교환 공간(B1)을 흐르는 냉매의 상하방향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는 제 1 열교환 공간(B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의 일측부, 도 10에서 볼 때 좌측부는 제빙부(2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빙부(220)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의 연장 방향 단부,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단부에는 제 1 유동홈(32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경유 공간(B1a)과 제 2 경유 공간(B1b)은 제 1 유동홈(325a)과 제 1 열교환 공간(B1)을 규정하는 제빙 부재(200)의 내벽 사이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 유동홈(325a)은 제빙홈(221)(또는, 제빙부(2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유동홈(325a)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의 하단부의 좌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경유 공간(B1a)을 흐르는 냉매는 제빙 부재(200)의 하단부에 도달하여야 제 2 경유 공간(B1b)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제 1 경유 공간(B1a)을 흐르는 냉매에 의하여 제빙부(220)의 전 영역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유동홈(325a)이 제빙홈(221)(또는, 제빙부(220))에 인접하게 위치되므로, 제 1 경유 공간(B1a)을 흐르는 냉매가 제 2 경유 공간(B1b)으로 유입되려면 제빙부(220)의 둘레부에 접하며 흐르는 것이 강제되어, 냉매와 제빙부(220)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빙부(22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 1 유동홈(325a)은 제빙홈(211)(또는, 제빙부(220))에 인접하게 위치되나, 냉매가 제빙부(220)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다면, 제 1 유동홈(325a)은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제 1 유동홈(325a)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유동홀이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b)의 일측에는 제 2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2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b)는 제빙부(220)를 중심으로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와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 2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b)의 상세한 구조는 전술한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의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한편, 다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전술한 제 1 및 제 2 구획 부재(130,15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제 1 폐쇄 마개(120) 측 단부,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측 단부에는 제 1 구획 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구획 부재(130)는 제 1 본체 공간(A1)(또는, 제 2 본체 공간(A2))을 흐르는 냉매가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후방 단부를 선회하여 제 2 본체 공간(A2)(또는, 제 1 본체 공간(A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 1 구획 부재(130)는 제 1 폐쇄 마개(120)와 본체 공간 분리벽(310) 사이에 구비되는 소정의 공간과 본체 공간(A)을 구획하되, 제 1 본체 공간(A1)의 전방 단부측을 폐쇄한다.
이에 따라, 제 1 본체 공간(A1)의 전방 단부측과 제 2 본체 공간(A2)의 전방 단부측은 제 1 구획 부재(130)에 의하여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제 1 구획 부재(130)의 제 1 본체 공간(A1)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복수의 유입관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유입관 관통홀(131)이 제공된다.
복수의 유입관 관통홀(131)에는 전술한 냉매 유입관(122) 및 히트가스 유입관(124)이 각각 관통 결합된다. 제 1 구획 부재(130)의 제 2 본체 공간(A2)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제 2 본체 공간(A2)의 전방 단부측과 연통되는 연통홀(13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냉매 유입관(122) 및 히트가스 유입관(124)의 단부는 제 1 구획 부재(130)의 후방에 위치되고, 배출관(126)의 단부는 제 1 구획 부재(130)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냉매 유입관(122) 또는 히트가스 유입관(124)에서 나오는 냉매 또는 히트가스는 제 1 구획 부재(130)에 막혀 전방으로 흐를 수 없고, 제 1 본체 공간(A1)을 따라 후방으로 흐르도록 강제된다.
또한, 제 2 본체 공간(A2)에서 연통홀(133)로 유입된 냉매 또는 히트가스는 제 1 구획 부재(130)에 막혀 제 1 본체 공간(A1)으로 유입될 수 없고 배출관(126)으로 유입되도록 강제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본체 공간(A)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 공간(A)의 후방측 단부에는 선회 공간(C)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체 공간(A)과 선회 공간(C) 사이에는 제 2 구획 부재(150)가 위치되어, 본체 공간(A)과 선회 공간(C)을 구획할 수 있다.
제 2 구획 부재(150)는 증발기 본체(100) 및 제빙 부재(200)의 내부 공간이 분리 부재(300)에 의하여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되도록 구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관련된 제 2 구획 부재(150)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도 12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제 2 구획 부재(150)는 금속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부(110)의 내벽에 용접 공정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2 구획 부재(150)에는 제 1 및 제 2 홀(151,15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홀(151)은 제 1 본체 공간(A1)과 선회 공간(C)을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고, 제 2 홀(153)은 제 2 본체 공간(A2)과 선회 공간(C)을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본체 공간(A1)을 흐르는 냉매는 제 1 홀(153a)을 통하여 선회 공간(C)으로 유입된 후, 제 2 홀(153b)을 통하여 제 2 본체 공간(A2)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체부(110) 내부에는 공기관(160)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관(160)은 제빙 부재(200)에 형성된 얼음의 탈빙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공기관(160)은 양 단부가 각각 전술한 본체부(110)의 제 1 공기홀(117)(도 4에 도시됨) 및 제빙부(220)의 제 2 공기홀(223)(도 5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관(160)은 본체 공간(A)을 가로지르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공기관(160)은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다소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공기관(160)에 의하여, 제빙부(220)의 제빙홈(221) 상측부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얼음이 제빙홈(221)으로부터 탈락될 때, 공기관(160)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제빙홈(221)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어, 탈빙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공기관(16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기관(160)이 얼음이나 물에 의하여 막히는 것이 방지되므로, 냉매가 제빙 부재(200)의 상측에서 제빙 부재(200)를 냉각하도록 구성되어도 얼음의 탈빙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냉매가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내부를 흐르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냉매 유입관(122)으로부터 제 1 본체 공간(A1)으로 차가운 냉매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냉매는 제 1 본체 공간(A1)의 연장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흐른다.
제 1 본체 공간(A1)을 흐르는 냉매는 제 1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a)에 의하여 제 1 본체 공간(A1)으로부터 제 1 열교환 공간(B1)의 제 1 경유 공간(B1a)으로 유출된다.
도 1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경유 공간(B1a)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에 의하여 제 1 경유 공간(B1a)의 하단부로 가이드되고, 가이드된 냉매는 제빙부(220)의 우측 전방부를 냉각한다.
제 1 경유 공간(B1a)의 하단부에 도달한 냉매는 제 1 유동홈(325a)을 통과하여 제 1 경유 공간(B1a)의 하단부로부터 제 2 경유 공간(B1b)의 하단부로 유출된다.
제 2 경유 공간(B1b)의 하단부로 유입된 냉매는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a)에 의하여 제 2 경유 공간(B1b)의 상부로 가이드되며, 제빙부(220)의 우측 후방부를 냉각한다.
냉매는 상술한 과정을 제 1 본체 공간(A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복수의 제 1 열교환 공간(B1)을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되고,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빙부(220)의 우측부는 냉매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냉각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본체 공간(A1)의 전방 단부측에 도달한 냉매는 제 2 구획 부재(150)를 통과하여 선회 공간(C)으로 유입된다. 선회 공간(C)으로 유입된 냉매는 다시 제 2 구획 부재를 통과하여 선회 공간(C)으로부터 제 2 본체 공간(A2)의 전방 단부측으로 유출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본체 공간(A2)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322b)에 의하여 제 2 본체 공간(A2)으로부터 제 2 열교환 공간(B2)의 제 1 경유 공간(B2a)으로 유출된다.
제 1 경유 공간(B2a)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b)에 의하여 제 1 경유 공간(B2a)의 하단부로 가이드되고, 가이드된 냉매는 제빙부(220)의 좌측 후방부를 냉각한다.
제 1 경유 공간(B2a)의 하단부에 도달한 냉매는 제 2 유동홈(325b)을 통과하여 제 1 경유 공간(B2a)의 하단부로부터 제 2 경유 공간(B2b)의 하단부로 유출된다.
제 2 경유 공간(B2b)의 하단부로 유입된 냉매는 제 2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324b)에 의하여 제 2 경유 공간(B2b)의 상단부로 가이드되며, 가이드된 냉매는 제빙부(220)의 좌측 전방부를 냉각한다.
냉매는 상술한 과정을 제 2 본체 공간(A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복수의 제 2 열교환 공간(B2)을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되고,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빙부(220)의 좌측부는 냉매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냉각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는 증발기 본체(100) 및 제빙 부재(200) 내부의 구획된 공간(A1,A2,B1,B2)을 순회하며 복수의 제빙 부재(200)를 순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와 제빙 부재(200)가 서로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어, 냉매의 냉각 능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고 얼음이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의 냉각 능력이 복수의 제빙 부재(200)에 균등하게 배분되어, 복수의 제빙 부재(200)가 균일하게 냉각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제빙 부재(200)마다 균일한 품질의 얼음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탈빙 과정이 수행될 때에는, 히트가스 유입관(124)(도 7에 도시됨)에서 토출된 히트가스가 본체 공간(A), 열교환 공간(B) 및 선회 공간(C)을 순회하며 제빙 부재(200)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구획 부재의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 2 구획 부재를 이용하여 증발기 본체 및 제빙 부재 내부의 구획된 공간들이 유체적으로 격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1)는 본체부(110)의 제 2 개구(113)에 제 2 폐쇄 마개(140)(도 4를 참조)가 설치되지 않아, 본체 공간(A)의 일측부가 외부로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상태를 검사 준비 상태라 한다.
검사 준비 상태에서는 검사용 부재(2)가 개방된 제 2 개구(113)를 통하여 본체부(11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검사용 부재(2)는 본 제빙용 증발기(1)의 구획된 내부 공간이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부재로서, 본 제빙용 증발기(1)와는 다른 별개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개구(113)의 내측에는 제 2 구획 부재(150)가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후방 단부측에는 제 2 구획 부재(150)가 위치된다. 검사용 부재(2)는 제 1 홀(151)에 대응하는 제 1 검사 마개(2a) 및 제 2 홀(153)에 대응하는 제 2 검사 마개(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검사 마개(2a)는 제 1 홀(151)에 삽입되어 제 1 홀(151)을 폐쇄하고, 제 2 검사 마개(2b)는 제 2 홀(153)에 삽입되어 제 2 홀(153)을 폐쇄한다. 이하에서, 제 1 및 제 2 홀(151,153)이 검사용 부재(2)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를 검사 준비 완료 상태라 한다.
그리고, 제 1 본체 공간(A1)과 제 1 열교환 공간(B1)이 연결되어 형성된 공간을 제 1 검사 대상 공간(A1,B1)이라 하고, 제 2 본체 공간(A2)과 제 2 열교환 공간(B2)이 연결되어 형성된 공간을 제 2 검사 대상 공간(A2,B2)이라 한다.
검사 준비 완료 상태에서는 검사용 부재(2)에 의하여 제 1 본체 공간(A1)과 제 2 본체 공간(A2)이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된다. 따라서, 분리 부재(300)가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 1 검사 대상 공간(A1,B1)과 제 2 검사 대상 공간(A2,B2)은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된다.
이때, 제 1 검사 대상 공간(A1,B1)과 제 2 검사 대상 공간(A2,B2)이 분리 부재(300)에 의하여 유체적으로 완전히 격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 대상 공간(A1,B1,A2,B2)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사 대상 공간(A1,B1,A2,B2)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냉매 유입관(122) 또는 히트가스 유입관(124)을 통해 소정의 유체를 제 1 검사 대상 공간(A1,B1)으로 주입하고, 주입된 유체의 물리적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소정의 유체는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입된 유체의 물리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입된 유체가 제 1 검사 대상 공간(A1,B1)에서 제 2 검사 대상 공간(A2,B2)으로 누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누출 여부는 배출관(126)을 통하여 주입된 유체가 배출되는지 여부로 확인될 수 있다.
배출관(126)을 통하여 유출되는 유체가 없다면 제 1 검사 대상 공간(A1,B1)과 제 2 검사 대상 공간(A2,B2)은 분리 부재(300)에 의하여 유체적으로 완전히 격리된 것으로 판달할 수 있고, 배출관(126)을 통하여 유출되는 유체가 있다면 분리 부재(300)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분리 부재(300)에 결함이 있는 제빙용 증발기(1)는 내부로 유입된 냉매가 곧바로 배출관(126)과 연결된 공간으로 누출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함이 있는 제빙용 증발기(1)는 냉매의 냉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고, 그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얼음이 제조될 수 없다.
분리 부재(300)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빙용 증발기(1)는 폐기되거나, 결함이 있는 부분을 수리한 후 상술한 과정에 따라 다시 격리 여부를 검사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1)에 의하면, 제 2 구획 부재(150)를 이용하여, 제빙 성능이 떨어지는 제빙용 증발기, 즉 불량품이 제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서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조립하는 단계를 세분화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서 증발기 본체 및 제빙 부재의 구획된 내부 공간들이 격리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세분화한 흐름도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개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빙용 증발기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을 도 3 및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증발기 본체(100)를 제공한다(S100). 이때, 증발기 본체(100)는 본체부(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관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10)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일측부는 반 원 또는 반 타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타측부가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평평한 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10)는 원형의 파이프를 단조 공정이나 펀칭 공정 등을 통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 본체(100)를 비교적 저렴한 원재료인 원형 파이프를 단순한 공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비용 및 제조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다시 도 13을 도 4 및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서는 증발기 본체(100)를 제공한 후(S100), 본체 공간 분리벽(310)을 증발기 본체(100)에 조립한다(S200).
본체 공간 분리벽(310)에 의하여 증발기 본체(100) 내부의 본체 공간(A)은 제 1 본체 공간(A1) 및 제 2 본체 공간(A2)으로 구획된다.
이때, 본체 공간 분리벽(310)을 조립하는 단계(S200)에서는 본체 공간 분리벽(310)이 본체부(110)의 개방된 제 1 및 제 2 개구(111,113)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 공간 분리벽(310)이 증발기 본체(100)에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공간 분리벽(310)을 증발기 본체(100) 내부에 조립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공정으로 본체부(110)의 형상을 변형시키거나 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제조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 제빙용 증발기를 이루는 구성 요소의 형상이 간단하고 결합 관계가 단순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다시 도 13을 도 6 내지 도 10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서는 본체 공간 분리벽을 조립한 후(S200), 제빙 부재(200)의 열교환 공간(B)을 제 1 열교환 공간(B1) 및 제 2 열교환 공간(B2)으로 구획할 수 있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을 증발기 본체(100) 및 본체 공간 분리벽(310) 중 어느 하나에 조립한다(S300).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은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길이 방향 측부에 결합된다.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을 조립하는 단계(S300)에서는, 본체부(110)의 결합홀(115)을 통하여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제 1 결합 부재 홈(315)에 결합 부재(330)의 본체 공간 분리벽 홈(333)을 대응 결합시켜, 결합 부재(330)와 본체 공간 분리벽(310)을 조립할 수 있다(S310).
그리고,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을 조립하는 단계(S300)에서는, 결합 부재(330)를 조립한 후(S310), 본체부(110)의 결합홀(115)을 통하여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가이드 벽 결합홈(313)에 가이드 벽(320)의 본체 공간 분리벽 결합홈(323)을 대응 결합시켜, 본체 공간 분리벽(310)과 가이드 벽(320)을 조립할 수 있다(S320).
이때, 결합 부재(330)와 본체 공간 분리벽(310)을 조립하는 단계(S310)와 가이드 벽(320)과 본체 공간 분리벽(310)을 조립하는 단계(S320)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한편, 도 14를 다시 참조하면,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을 조립하는 단계(S300)에서는, 가이드 벽(320)을 조립(또는, 결합)한 후(S320), 본체부(110)의 결합홀(115)을 통하여 본체 공간 분리벽(310)과 조립된 결합 부재(330)의 열교환 공간 분리벽 홈(335)에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의 제 2 결합 부재 홈(343,345)을 대응 결합시켜, 결합 부재(330)와 열교환 공간 분리벽(310)을 조립할 수 있다(S330).
이때, 가이드 벽(320)과 본체 공간 분리벽(310)을 조립하는 단계(S320)와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과 결합 부재(330)를 조립하는 단계(S330)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의 결합홀(115)을 통하여 본체 공간 분리벽(310), 가이드 벽(320), 결합 부재(330)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이 순차적으로 조립될 수 있어, 제조 편의성 및 구성요소 간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 절감 및 제조 공정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 제빙용 증발기를 이루는 구성 요소의 형상이 간단하고 결합 관계가 단순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한편,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을 조립하는 단계(S300)에서는 증발기 본체(100), 본체 공간 분리벽(310), 가이드 벽(320), 결합 부재(330)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증발기 본체(100), 본체 공간 분리벽(310), 가이드 벽(320), 결합 부재(330) 및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는 레이저 용접 공정, 용접용 파우더 또는 용접용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브레이징 용접 공정 및 고주파 용접 공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3을 도 5 내지 도 10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서는 증발기 본체(100)와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을 조립한 후(S300), 증발기 본체(100)에 제빙 부재(200)를 조립한다(S400).
제빙 부재(200)를 조립하는 단계(S400)에서는, 제빙 부재(200) 몸체부(210)의 상부를 본체부(110)의 결합홀(115)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 부재(200) 내부의 열교환 공간(B)은 열교환 공간 분리벽(340)에 의하여 제 1 열교환 공간(B1) 및 제 2 열교환 공간(B2)으로 구획된다.
제 1 열교환 공간(B1)은 제 1 본체 공간(A1)과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열교환 공간(B2)은 제 2 본체 공간(A2)과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빙 부재(200)를 증발기 본체(100)에 조립하는 단계(S400)에서는 제빙 부재(200)와 증발기 본체(1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빙 부재(200)와 증발기 본체(100)를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는 레이저 용접 공정, 용접용 파우더 또는 용접용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브레이징 용접 공정 및 고주파 용접 공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3을 도 11 및 도 1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서는 증발기 본체(100)와 제빙 부재(200)를 조립한 후(S400), 증발기 본체(100)와 제빙 부재(200) 내부의 구획된 공간이 서로 격리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500).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격리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에서는 먼저 증발기 본체(100)의 개방된 양 단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할 수 있다(S510).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0) 전방의 제 1 개구(111)(도 4에 도시됨)를 통하여 제 1 구획 부재(130)를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일 단부에 배치하고, 제 1 폐쇄 마개(120)로 제 1 개구(111)(도 4에 도시됨)를 폐쇄한다.
이를 위해, 제 1 폐쇄 마개(120)는 본체부(110)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폐쇄 마개(120)를 본체부(110)에 결합하는 공정은 레이저 용접 공정, 용접용 파우더 또는 용접용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브레이징 용접 공정 및 고주파 용접 공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격리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에서는 증발기 본체(100)의 일 단부를 폐쇄한 후(S510), 증발기 본체(100)의 개방된 타 단부를 통하여 증발기 본체(100) 내부에 제 2 구획 부재(150)를 배치한다(S520).
이때, 증발기 본체(100)의 일 단부를 폐쇄하는 단계(S510)와 제 2 구획 부재(150)를 배치하는 단계(S520)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제 2 구획 부재(150)를 배치하는 단계(S520)에서는 본체부(110)의 개방된 제 2 개구(113)(도 4에 도시됨)를 통하여 본체 공간 분리벽(310)의 타 단부에 제 2 구획 부재(150)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격리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에서는 제 2 구획 부재(150)를 증발기 본체(100) 내부에 배치한 후(S520), 제 2 구획 부재(150)의 제 1 및 제 2 홀(151,153)을 각각 제 1 및 제 2 검사용 마개(2a,2b)로 폐쇄한다(S530).
이에 의해, 제 1 본체 공간(A1) 및 제 1 본체 공간(A1)과 연통된 제 1 열교환 공간(B1)은 제 2 본체 공간(A2) 및 제 2 본체 공간(A2)과 연통된 제 2 열교환 공간(B2)과 유체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본체 공간(A1) 및 제 1 열교환 공간(B1)을 제 1 검사 대상 공간(A1,B1)이라 하고, 제 2 본체 공간(A2) 및 제 2 열교환 공간(B2)을 제 2 검사 대상 공간(A2,B2)이라 한다.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격리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에서는 제 2 구획 부재(150)의 제 1 및 제 2 홀(151,153)을 폐쇄한 후(S530), 제 1 검사 대상 공간(A1,B1) 및 제 2 검사 대상 공간(A2,B2) 중 어느 하나로 소정의 유체를 주입하고(S540), 제 1 검사 대상 공간(A1,B1) 및 제 2 검사 대상 공간(A2,B2) 중 다른 어느 하나로 주입된 유체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50).
본 실시예에서는 주입된 유체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 1 검사 대상 공간(A1,B1)과 제 2 검사 대상 공간(A2,B2)이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격리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의 보다 구체적인 과정은 앞서 도 12와 함께 설명한 바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도 13을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서는 격리 여부를 검사한 후(S500), 증발기 본체(100)의 개방된 단부, 즉 제 2 개구(113)(도 4에 도시됨)를 폐쇄한다(S600).
증발기 본체(100)의 단부를 폐쇄하는 단계(S600)에서는 제 2 폐쇄 마개(140)를 이용하여 본체부(110)의 제 2 개구(113)(도 4에 도시됨)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증발기 본체(1000)의 단부를 폐쇄하는 단계(S600)에서는 격리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에서 획득한 결과가 제 1 검사 대상 공간(A1,B1)과 제 2 검사 대상 공간(A2,B2)이 서로 완전히 격리되지 않은 것을 포함할 경우에는, 본 제빙용 증발기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폐기하거나 수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내부 공간이 완전하게 구획되지 않아 제빙 성능이 떨어지는 제빙용 증발기, 즉 불량품이 제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증발기 본체(1000)의 단부를 폐쇄하는 단계(S600)에서는 격리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에서 획득한 결과가 제 1 검사 대상 공간(A1,B1)과 제 2 검사 대상 공간(A2,B2)이 서로 완전히 격리된 것을 포함할 경우에는, 개방된 제 2 개구(113)(도 4에 도시됨)를 통하여 본체부(110)의 내부에 내측 제 2 폐쇄 마개(144)를 배치하고, 본체부(110)의 단부에 외측 제 2 폐쇄 마개(142)를 설치하고, 내측 및 외측 제 2 폐쇄 마개(142,144)를 본체부(110)와 결합한다.
이때, 내측 및 외측 제 2 폐쇄 마개(142,144)와 본체부(110)를 결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레이저 용접 공정, 용접용 파우더 또는 용접용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브레이징 용접 공정 및 고주파 용접 공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빙용 증발기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빙용 증발기 외에도,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하여 차가운 냉매가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순회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제빙용 증발기를 제조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제빙용 증발기 2: 검사용 부재
100: 증발기 본체 110: 본체부
120 140: 폐쇄 마개 130 150: 구획 부재
160: 공기관 200: 제빙 부재
210: 몸체부 220: 제빙부
230: 바닥부 300: 분리 부재
310: 본체 공간 분리벽 320: 가이드벽
330: 결합 부재 340: 열교환 공간 분리벽

Claims (23)

  1.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증발기 본체;
    상기 본체 공간을 제 1 본체 공간 및 제 2 본체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본체 공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공간 분리벽;
    내부에는 상기 본체 공간이 유체 소통 가능한 열교환 공간이 구비되고 외측부에는 제빙홈이 형성되는 제빙 부재;
    상기 열교환 공간이 상기 제 1 본체 공간과 유체 소통 가능한 제 1 열교환 공간 및 상기 제 2 본체 공간과 유체 소통 가능한 제 2 열교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열교환 공간에 배치되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과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과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 부재;
    냉매를 상기 제 1 본체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본체 공간과 연결된 냉매 유입 유로; 및
    상기 제 2 본체 공간을 흐르는 냉매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본체 공간과 연결된 유출 유로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의 연장 방향 측부에 결합되는 본체측 결합부 및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에 결합되는 제빙 부재측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의 연장 방향 측부에는 제 1 결합 부재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의 본체측 결합부에는 상기 제 1 결합 부재 홈과 대응 결합되는 본체 공간 분리벽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본체를 향하는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의 모서리에는 제 2 결합 부재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의 제빙 부재측 결합부에는 상기 제 2 결합 부재 홈과 대응 결합되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5.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증발기 본체;
    상기 본체 공간을 제 1 본체 공간 및 제 2 본체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본체 공간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공간 분리벽;
    상부가 상기 증발기 본체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상기 본체 공간이 유체 소통 가능한 열교환 공간이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하부에는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부를 포함하는 제빙 부재;
    상기 열교환 공간이 상기 제 1 본체 공간과 유체 소통 가능한 제 1 열교환 공간 및 상기 제 2 본체 공간과 유체 소통 가능한 제 2 열교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열교환 공간에 배치되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과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과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 부재;
    냉매를 상기 제 1 본체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본체 공간과 연결된 냉매 유입 유로; 및
    상기 제 2 본체 공간을 흐르는 냉매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본체 공간과 연결된 유출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부는 상기 본체 공간에 위치되는 제 1 부분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 1 부분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제빙용 증발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부는 상기 증발기 본체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볼록면 및 상기 볼록면에 대향하는 오목면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면 상에 상기 제빙홈이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의 연장 방향 측부에는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은 상기 증발기 본체의 연장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 2 부분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방측 공간 분리벽 및 후방측 공간 분리벽을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9. 제 1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에 결합되는 가이드 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제 1 본체 공간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를 향하여 흐르는 냉매가 상기 제 1 열교환 공간을 경유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본체 공간에 배치되는 제 1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제 2 본체 공간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를 향하여 흐르는 냉매가 상기 제 2 열교환 공간을 경유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본체 공간에 배치되는 제 2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제 1 열교환 공간을 제 1 경유 공간 및 제 2 경유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 1 본체 공간측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제 1 열교환 공간으로 연장되는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 공간측 가이드부의 연장 방향 단부측에는 상기 제빙홈에 인접한 위치에 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 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제빙 부재의 내벽과 상기 유동홈 사이로 상기 제 1 경유 공간과 상기 제 2 경유 공간이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빙용 증발기.
  13. 제 1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홈의 내벽에 형성되는 제빙 부재측 개구와 상기 증발기 본체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본체측 개구를 서로 연결하는 공기관을 더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14. 제 1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과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은 동일한 평면 상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빙용 증발기.
  15. 제 1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본체에는 상기 제 1 본체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본체 공간으로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회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 공간과 상기 선회 공간 사이에는 상기 본체 공간과 상기 선회 공간을 구획하되, 상기 제 1 본체 공간과 상기 선회 공간을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홀 및 상기 제 2 본체 공간과 상기 선회 공간을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홀이 형성된 구획 부재가 배치되는, 제빙용 증발기.
  16. 제 1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홈은 반구 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을 가지는, 제빙용 증발기.
  17. 제 1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빙 부재는 상기 본체 공간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빙용 증발기.
  18. 제 1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본체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반 구 형상 또는 반 타원 형상을 가지는, 제빙용 증발기.
  19.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되 양 단부가 개방된 본체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증발기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본체 공간이 제 1 본체 공간 및 제 2 본체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증발기 본체에 본체 공간 분리벽을 조립하는 단계;
    내부에는 열교환 공간이 구비되고 외측부에는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열교환 공간을 제 1 열교환 공간 및 제 2 열교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는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상기 증발기 본체 및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 중 어느 하나에 조립하는 단계;
    상기 제빙 부재를 상기 증발기 본체에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 공간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공간을 구획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본체 공간의 개방된 양 단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을 상기 증발기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본체의 연장 방향 측부에는 결합홀이 제공되고,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증발기 본체의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에 결합 부재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증발기 본체의 결합홀을 통하여 상기 본체 공간 분리벽에 조립된 결합 부재에 상기 열교환 공간 분리벽을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
  22. 제 19항에 있어서,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한 상기 제 1 본체 공간 및 상기 제 1 열교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검사 대상 공간과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한 상기 제 2 본체 공간 및 상기 제 2 열교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검사 대상 공간이 서로 유체적으로 격리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증발기 본체의 개방된 양 단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 1 검사 대상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홀 및 상기 제 2 검사 대상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홀이 형성된 구획 부재를 상기 본체 공간의 양 단부 중 다른 어느 하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2 홀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 1 검사 대상 공간 및 상기 제 2 검사 대상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소정의 유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검사 대상 공간 및 상기 제 2 검사 대상 공간 중 다른 어느 하나로 상기 주입된 유체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KR1020220122153A 2022-09-27 2022-09-27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KR20240043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153A KR20240043275A (ko) 2022-09-27 2022-09-27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PCT/KR2023/010132 WO2024071611A1 (ko) 2022-09-27 2023-07-14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153A KR20240043275A (ko) 2022-09-27 2022-09-27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275A true KR20240043275A (ko) 2024-04-03

Family

ID=9047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153A KR20240043275A (ko) 2022-09-27 2022-09-27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3275A (ko)
WO (1) WO202407161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0874A (ko) 2012-03-30 2013-10-1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KR20210003525A (ko) 2019-07-02 2021-01-12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KR20220034571A (ko) 2020-09-11 2022-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에 포함된 커맨드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080B1 (ko) * 2012-08-28 201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제빙용 증발기
KR101640421B1 (ko) * 2014-06-05 2016-07-19 (주) 유앤아이 유로구조를 갖는 직냉방식 제빙장치
US10184710B2 (en) * 2016-09-07 2019-01-22 Bsh Hausgeraete Gmbh Ice maker tray with integrated flow channel for a fluid, ice maker and household refrigeration apparatus
KR20200031455A (ko) * 2018-09-14 2020-03-2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0874A (ko) 2012-03-30 2013-10-1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KR20210003525A (ko) 2019-07-02 2021-01-12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KR20220034571A (ko) 2020-09-11 2022-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에 포함된 커맨드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611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0673B2 (en) Cold-storage heat exchanger
KR100821823B1 (ko) 증발기
US20040206490A1 (en) Heat exchanger
US20060162917A1 (en) Heat exchanger
US20040256091A1 (en) Evaporator and vehicle provided with refrigeration cycle having the same
US6145587A (en) Evaporator
CN108886188A (zh) 电池模块的调温装置、用于制造电池模块的方法以及电池模块
KR20240043275A (ko)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JP2008008584A (ja) 熱交換器
KR20240029957A (ko)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KR20120037617A (ko) 차량용 증발기의 파이프 연결부재
KR101947659B1 (ko) 축냉 열교환기
JP2015194327A (ja) 熱交換器
JPH09178297A (ja) 冷媒蒸発器
KR101437055B1 (ko) 축냉 열교환기
KR20080087419A (ko) 증발기
US10871335B2 (en) Heat exchanger
KR20240030599A (ko)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의 제조 방법
KR20240014938A (ko) 제빙용 증발기
KR20090015582A (ko) 열교환기
KR101527887B1 (ko) 축냉 열교환기
KR101408906B1 (ko) 증발기
KR101462459B1 (ko) 열교환기
RU2741171C1 (ru) Кожухопластинчат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и теплообмен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кожухопластинчатого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JPH0749240Y2 (ja) 積層型エバポレー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