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128B1 -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128B1
KR102146128B1 KR1020190037219A KR20190037219A KR102146128B1 KR 102146128 B1 KR102146128 B1 KR 102146128B1 KR 1020190037219 A KR1020190037219 A KR 1020190037219A KR 20190037219 A KR20190037219 A KR 20190037219A KR 102146128 B1 KR102146128 B1 KR 102146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forming
evaporation
pip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옥
Original Assignee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8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 B23K9/028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for welding tube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5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 F25C1/147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by using au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coiled
    • F28D7/02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coiled the conduits of only one medium being helically coiled and formed by bent members, e.g. plates, the coils having a cylindrical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 발명은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 제1턱부를 형성하고, 이 제1턱부로부터 소정길이(l)하부에 제1턱부와 동일한 높이의 제2턱부를 형성하여 제1턱부와 제2턱부 사이를 요입하여 안내면을 형성하는 내관 가공단계(S1); 상기 내관 가공단계(S1)의 제1,제2턱부에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을 이루고, 상,하 소정위치에 결합공을 형성하는 외관 가공 단계(S2); 냉매가 공급되는 냉매공급관, 순환후 냉매를 배출시키는 냉매배출관을 가공하는 냉매관 가공단계(S3); 상기 외관 가공단계(S2)의 결합공들에 상기 냉매공급관, 냉매배출관을 삽입, 용접하는 냉매관 고정단계(S4); 및 상기 냉매관 고정단계의 외관을 상기 내관의 제1턱부와 제2턱부사이에 위치하도록 압입시켜 증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제2턱부와의 경계부분을 용접,고정하는 내,외관 결합단계(S5);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 가공단계(S1)는, 상기 제2턱부의 하부에 급배수구 하측에 결합플랜지부를 형성하는 플랜지부 형성단계(S11);를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이며, 증발관에 동력전달부와의 조립에 필요한 플랜지부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동력구동부와의 조립이 간편하게 한 증발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Everporater manufacturing method for auger type ice maker}
본 발명은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을 제조함에 있어 증발관을 이루는 구조를 가공함에 있어 동력구동부와 조립함에 필요한 플랜지부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최종 조립공정에서 동력구동부와의 조립이 간편하게 한 증발관 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그와 같은 증발관 제조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증발관의 냉매 순환효율을 개선한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구조로는 등록특허 10-0384812호로 알려진 냉매 파이프의 고착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의 내용은 개략적으로, 나선형의 냉매 파이프의 나선에 따라 인접하는 같은 냉매 파이프 사이와 제빙통과의 사이의 나선형 공간을 완전히 채운 상태로 냉매 파이프를 제빙통을 납땜에 의해 고착 할 수 있으며, 더욱이 작업효율이 좋은 납땜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안정된 풀질이 좋은 얼음을 계속적으로 제조 할 수 있는 오거식 제빙기에 있어 냉매 파이프의 고착방법 및 고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공개특허 10-2011-0126309호로 알려진 제빙관(증발관)제조방법은, 냉매유로가 형성되도록 이중(二重)파이프(내,외관)구조의 오거식 제빙관과, 내,외관 성형과, 이들의 열압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냉매유로의 단면적 형태가 냉각효율을 비교하여 가장 이상적으로 성형하고, 내부 얼음형성 실린더와의 냉기 전도력이 보다 우수해진 새로운 타입의 오거식 제빙기의 제빙관 및 그 제조방법으로써,내주면으로 나선홈이 형성된 외관과;외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나선형 홈과의 사이에 소정의 냉매유로(a)를 형성하고, 내접면측으로 오거가 위치하는 제빙공간(b)을 형성하는 내관으로 이루어지며,외경(L1)을 갖고,외주면에 나선홈을 형성한 원통형 내형성단계와; 내관의 외경(L1)과 같거나 큰 내경(L2)의 외부에 냉매유입공,냉매배출공 갖는 외관을 형성하는 단계와 내관의 외면에 외관을 가열하여 열압착 관입,결합하는 단계;및 외관과 내관의 경계부분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된다.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권장된 나선형 냉매순환관 대신 이중파이프구조의 제빙관으로 그 내부에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순환공간이 형성된 이중파이프타입의 제빙관을 제공하여 종래 일일이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권장하는 방법없이 제빙관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특히, 냉매순환공간이 종래와 달리 제빙관의 제빙공간에 전달되는 제빙효율이 향상된 제빙관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러한 오거식 제빙기의 냉각수단(증발관)이 오거(결빙된 얼음을 밀어올리기 위한 수단 포함)를 중심에 두고 구현하기 위한 오거식 제빙기는 공지되어 있다. 다만, 이들 증발관의 냉매 순환공간을 어떤 방식,구조로 확보할 것인가하는 점에서 개발이 진행중에 있다. 아울러 냉매순환을 통한 냉기의 전달율을 높이는 방법,수단요구되어 왔으며, 이러한 냉각공간의 확보후에도 냉매를 어떻게 순환시킬 것인가하는 점이 기술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48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6309호
본 발명은 종래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냉매순환용 증발관의 가공이 간단한 내,외관 성형과, 냉매관의 압입 결합, 냉매유로의 개선 구조로서 냉각효율을 이상적으로 할 수 있는 가공이 가능한 새로운 타입의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나선상 냉매파이프 대신 냉매순환공간을 갖도록 결합된 구조를 제공하면 내부에 냉매순환용 냉매유로 단면적이 사각형 단면적을 이루어 내부 얼음형성 실린더와의 냉기 전도력이 보다 우수해진 새로운 타입의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매유로가 내,외관사이에 나선 흐름을 형성하는 증발관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관, 외관에 결합되는 냉매관, 외관이 압입될 내관의 하부에 동력전달수단과의 조립용 플랜지부를 내관 가공시에 동시에 가공함으로써 추후 오거식 제빙기의 전체 조립시 동력전달부와의 결합에 별도 플랜지를 생략할 수 있는 증발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주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은,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의 상부는 결합나선부를 형성하고, 이 결합나선부 하측으로 제1턱부를 형성하고, 이 제1턱부로부터 소정길이(l)하부에 제1턱부와 동일한 높이의 제2턱부를 형성하여 제1턱부와 제2턱부 사이를 요입하여 안내면을 형성하는 내관 가공단계(S1);
상기 내관 가공단계(S1)의 제1,제2턱부에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을 이루고, 상,하 소정위치에 결합공을 형성하는 외관 가공 단계(S2);
냉매가 공급되는 냉매공급관, 순환후 냉매를 배출시키는 냉매배출관을 가공하는 냉매관 가공단계(S3);
상기 외관 가공단계(S2)의 결합공들에 상기 냉매공급관, 냉매배출관을 삽입, 용접하는 냉매관 고정단계(S4); 및
상기 냉매관 고정단계의 외관을 상기 내관의 제1턱부와 제2턱부사이에 위치하도록 압입시켜 증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제2턱부와의 경계부분을 용접,고정하는 내,외관 결합단계(S5);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 가공단계(S1)는,
상기 제2턱부의 하부에 급배수구 하측에 결합플랜지부를 형성하는 플랜지부 형성단계(S11);
를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의 상기 내관 가공단계(S1)는,
증발면의 상,하 소정위치에 안내턱을 형성하는 안내턱 형성단계(S15);를 더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의 상기 내관 가공단계(S1)는,
증발면을 따라 나선형 안내부재를 형성하는 안내부재 형성단계(S13);를 더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의 상기 내관 가공단계(S1)는, 상기 냉매공급관과,냉매배출관의 결합공들에 고정 설치할 때 냉매공급관,냉매배출관의 하단부가 상기 내관의 증발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삽착되도록 경사진 안내면을 형성한 안내턱을 형성하는 안내턱 형성단계(S15); 이 안내턱을 형성한 나선형 안내부재를 가공하는 안내부재 가공단계(S16); 및
가공된 안내부재를 상기 내관의 증발면에 결합하는 안내부 결합단계(S14);를 더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의 상기 안내부재 형성단계(S13)는,
상기 안내부재의 한쪽면에 증발면과 안내부재 사이에 수직으로 꺾인 부분을 소정의 용접재로 충전하여 완만한 곡면의 슬립면을 형성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의 상기 내외관 결합단계(S5)는, 판체 굴곡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안내부재에 관공과 안내턱을 형성하는 안내부재 가공단계(S52); 및 상기 내관의 증발면에 둥글게 권한 뒤 맞닿는 양단부를 용접으로 연결하는 안내부재 결합단계(S51);를 더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은 냉매순환용 증발관의 가공이 간단한 내,외관 성형과, 냉매관의 압입 결합, 냉매유로의 개선 구조로서 냉각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나선상 냉매파이프 대신 냉매순환공간을 형성하는 결합구조를 제공하며, 내부에 냉매순환용 냉매 유로 단면적이 사각 원통형의 단면적을 이루어 내부 결빙용 실린더와의 냉기 전달력이 보다 우수해진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냉매유로가 내,외관사이에서 나선상 흐름을 형성하는 증발관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관, 외관에 결합되는 냉매관, 외관이 압입될 내관의 하부에 동력전달수단과의 조립용 플랜지부를 내관 가공시에 동시에 가공함으로써 추후 오거식 제빙기의 전체 조립시 동력전달부와의 결합에 별도 플랜지를 생략할 수 있는 증발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주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 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본 발명 실시 예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내관의 가공후 단면도이다.
도 3a,3b,3c는 본 발명 실시 예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외관, 외관에 결합되는 냉매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조립,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 실시 예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가공단계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8a,8b는 본 발명 실시 예2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가공단계를 나타내는 공정도들이다.
도 9a,9b,9c는 본 발명 실시 예2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내관,외관 및 이 내외관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실시 예2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안내부재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1a,11b는 본 발명 실시 예2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안내부재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실시 예3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결합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실시 예3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 실시 예3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단계별 가공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 1>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 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본 발명 실시 예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내관의 가공후 단면도이고, 도 3a,3b,3c는 본 발명 실시 예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외관, 외관에 결합되는 냉매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조립,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 실시 예1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가공단계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을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공정(단계)은, 내관 가공단계(S1)와, 외관 가공단계(S2)와, 냉매관 가공단계(S3)와,냉매관 고정단계(S4)와, 내,외관 결합단계(S5)로 이루어진다.
(1) 내관 가공단계(S1)는 첨부 도면 도 2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 본체의 내부는 종래와 같이 별도 공정을 통하여 완만한 곡면각의 미세나선을 형성(구체적인 설명 생략)하고, 본체의 외주면을 여러 가지 가공수단과 방법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먼저 상부 결합나선부(13)는 나사없는 임시나선부를 일정폭으로 돌출 형성한 뒤, 이 결합나선부(13) 하측으로 제1턱부(11)를 돌출,형성하고, 이 제1턱부(11)로부터 소정길이(l)하부에 제1턱부(11)와 동일한 높이의 제2턱부(12)를 형성하되 제2턱부(12)에 연하여 더 높은 단턱(12a)을 형성한다. 동시에 제1턱부(11)와 제2턱부(12) 사이에는 증발면(15a)을 요입 형성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외관 결합시 증발부(15)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기본 가공을 완료한 원통형 본체는 가형성된 결합나선부(13)에 나선을 소정의 가공수단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턱부(12)하측으로 소정위치에 급,배수관 연결용 급배수구(17)를 형성하는 단계(S12)를 포함하는 플랜지부(16) 형성단계(S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중 특히 결합플랜지부(16)를 증발관(내관,10)에 일체로 가공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제빙기 작업자는 본 발명 내,와관 결합단계(S5)를 거쳐 제조된 증발관에 동력전달유닛(오거식 제빙기의 오거를 회전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의 플랜지에 조립,결합함이 한층 편리하고 간단해지는 잇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증발면(15a)의 소정위치에 안내면(14a)을 형성한 안내턱(14)을 별도 공정을 통하여 가공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설명될 냉매공급관(20a)과 냉매배출관(20b)을 결합공(21)(22)에 연결하여 냉매의 공급,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내관(10)의 증발면(15a) 소정위치에 냉매의 공급,배출시 증발면(15a)을 향하여 경사지게 안내하는 안내면(14a)을 형성한 안내턱(14)을 형성하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이것은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의 결합공(21)(22)삽입시 지나치게 깊이 위치하거나 낮게 위치하여 고정되 는 경우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의 하단부가 밀착되거나,고정상태가 약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냉매공급관,냉매배출관의 삽착시에 삽착 깊이를 정확히 위치하도록 하고, 아울러 별도 가공된 소정 형상의 안내면(14a)을 형성한 안내턱(14)을 증발면(15a)소정위치에 용접 고정 할 수 있다. 안내면(14a)는 냉매의 공급,배출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2) 외관 가공단계(S2)는, 내관(10)의 제1,제2턱부(11)(12)의 외면에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을 형성하되, 상,하 소정위치에 피어싱(piercing), 버링(burring)공정으로 결합공(21)(22)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3) 냉매관 가공단계(S3)는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은 동일한 직경,길이의 파이프이므로 이하에서는 냉매관(20)으로 약칭하여 설명,도시할 수 있다. 냉매가 공급되는 냉매공급관(20a)과, 증발후 냉매를 배출시키는 냉매배출관(20b)은 동일직경,길이의 파이프상의 원통관으로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파이프를 절단가공하여 가공한다.
(4) 냉매관 결합단계(S4)는 외관 가공단계(S2)에서 형성된 결합공(21)(22)에 냉매공급관(20a), 냉매배출관(20b)을 삽입한 뒤 용접(19a)하여 고정한다.이때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의 하단부는 삽착시에 안내턱(14)에 걸려 그 위치가 정하여진다. 안내턱(14)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일방향으로 경서진 안내면(14a)을 이루고 있어 냉매의 공급시에 증발면(15a)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고, 순환후의 냉매가 경사진 안내면(14a)을 타고 원활하게 냉매배출관(20b)로 배출할 수 있다.
(5) 내,외관 결합단계(S5)는 상기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이 고정된 외관(20)을 내관(10)의 제1턱부(11)를 내측에 두고 압입시켜 외관(20)의 하단부가 제2턱부(12)를 지나 단턱(12a)까지 압입시킨다. 이어서 증발면(15a)과의 사이에 증발공간(15)을 형성하게 되고, 제1,제2턱부(11)(12)와의 외측 경계부분을 용접(19b),고정한다.
결합플랜지부(16)은 오거(도시생략)을 동력전달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동력전달플랜지(도시생략)에 결합볼트등으로 결할할 수 있다. 결합플랜지부(16)은 오거의 제빙통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플랜지로서, 동력전달유닛의 결합브라켓부에 대응하여 결합플랜지부(16)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날개부(부호생략)와, 이 플랜지날개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볼트결합부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플랜지부(16)은 플랜지 형태로 중공의 판(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빙통의 증발관에서 돌출 형성되어 동력전달유닛의 케이싱과 결합플랜지부(16)로서 결합되고, 동력전달유닛의 케이싱과 결합플랜지부(16)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유닛과,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사이의 결합을 간소화하고, 조립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발면(15a)의 두께는 0.3~1mm로 할 수 있으므로 냉각 열전달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안내부재(18)의 나사산의 높이를 낮게 하고, 외관(20)내면과의 사이에 증발공간(15)가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내관(10)의 내주면에는 오거날과 접하는 나선형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내관의 나사산의 위쪽면을 따라 두터운 슬립면(경사면)을 형성하여 냉매의 순환시 나사산 부딪힘에 의한 순환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 내관 가공공정(S1)에서 플랜지부(16)를 결합나선부(13),증발면(15a),등과 함께 금형가공등으로 가공함으로써 전체 제빙기 조립시의 동력전달부와의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예 2>
첨부 도면중 도 8a,8b는 본 발명 실시 예2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가공단계를 나타내는 공정도들이고, 도 9a,9b,9c는 본 발명 실시 예2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내관,외관 및 이 내외관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실시 예2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안내부재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실시 예2의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제2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실시 예 1과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1) 내관 가공단계(S1)는 원통형 본체의 내부는 종래와 같이 별도 공정을 통하여 완만한 곡면각의 미세나선을 형성(구체적인 설명 생략)하고, 본체의 외주면을 여러 가지 가공수단과 방법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먼저 상부 결합나선부(13)는 나사없는 임시나선부를 일정폭으로 돌출 형성한 뒤, 이 결합나선부(13) 하측으로 제1턱부(11)를 돌출,형성하고, 이 제1턱부(11)로부터 소정길이(l)하부에 제1턱부(11)와 동일한 높이의 제2턱부(12)를 형성하되 제2턱부(12)에 연하여 더 높은 단턱(12a)을 형성한다.
동시에 제1턱부(11)와 제2턱부(12) 사이에는 증발면(15a)을 요입 형성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외관 결합시 증발부(15)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본 가공을 완료한 원통형 본체는 가형성된 결합나선부(13)에 나선을 소정의 가공수단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턱부(12) 하측으로 소정위치에 급,배수관 연결용 급배수구(17)를 형성하는 단계(S12)를 포함하는 플랜지부(16) 형성단계(S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중 특히 결합플랜지부(16)를 증발관(내관,10)에 일체로 가공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제빙기 작업자는 본 발명 내,와관 결합단계(S5)를 거쳐 제조된 증발관에 동력전달유닛(오거식 제빙기의 오거를 회전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의 플랜지에 조립,결합함이 한층 편리하고 간단해지는 잇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증발면(15a)의 소정위치에 안내턱(14)과 안내면(14a)을 형성한 나선형 안내부재(18)를 별도 공정을 통하여 가공할 수 있다.
즉, 증발면(15a)을 절삭등의 방법으로 형성하기 전에 나선형의 안내부재(18)를 절삭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혹은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별도 가공된 나선형 안내부재(18)를 증발면(15a)에 용접,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별도 공정에 의하여 가공된 안내부재(18)에는 안내턱(14)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안내턱(14)에는 안내면(14a)가 형성 할 수 있다. 안내면(14a)은 냉매의 순환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설명될 냉매공급관(20a)과 냉매배출관(20b)을 결합공(21)(22)에 연결하여 냉매의 공급,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내관(10)의 증발면(15a) 소정위치에 냉매의 공급,배출시 증발면(15a)을 향하여 경사지게 안내하는 안내면(14a)을 형성한 안내턱(14)을 형성하는 단계(S13)를 포함한다. 이것은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의 결합공(21)(22)삽입시 지나치게 깊이 위치하거나 낮게 위치하여 고정되 는 경우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의 하단부가 밀착되거나,고정상태가 약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냉매공급관,냉매배출관의 삽착시에 삽착 깊이를 정확히 위치하도록 하고, 아울러 별도 가공된 소정 형상의 안내면(14a)을 형성한 안내턱(14)을 증발면(15a) 소정위치에 용접 고정 할 수 있다. 안내면(14a)는 냉매의 공급,배출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내관 가공단계(S1)는 실시 예1과 달리 안내턱(14)을 구비한 나선형 안내부재(18)를 가공하는 안내턱 형성단계(S13)와, 이 안내턱(14)을 갖는 안내부재 가공단계(S14)와, 내관(10)의 증발부(15)에 이 나선형 안내부재(18)를 삽입하고, 이 나선형 안내부재(18)를 증발면(15a)에 고정(절삭가공,용접등)하는 나선형 안내부재 결합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매공급관(20a)과 냉매배출관(20b)이 삽착되는 결합공(21)(22)이 위치한 내관(10)의 증발면(15a)에 냉매의 공급시 증발면(바닥)을 향하여 경사지게 안내하도록 안내면(14a)을 형성하는 안내턱(14)을 증발부(15) 상,하에 병설하고, 상기 상부 안내턱(14)에서 하부 안내턱(14)사이에 증발면(15)을 따라 소정 간격을 갖는 나선형 안내부재(18)를 형성한다. 이 안내부재(18)는 (1) 안내부재(18)을 별도 제조 가공한 뒤 증발면(15a)에 삽입하여 위치시킨 뒤 그 증발면(15a)을 따라 용접,고정할 수 있다.
특히, 냉매의 원활한 순환을 위하여 안내부재(18)에 슬립면(18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안내부재(18)은 외관 결합후 형성되는 안내공간(15)상에서 냉매가 순환시 고압의 냉매가 순간적으로 막힘 없이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냉매와의 접촉면을 보강하는 슬립면(18a)을 용접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11a와 도 11b는 이러한 보강된 슬립면(18a)이 안내부재(18)의 한쪽에 형성됨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슬립면(18a)은 냉매 순환과 동시에 증발로서 냉기가 전달되도록 함과 아울러 순환시에 빙해 요소없이 원활하게 이동,순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안내부재 가공단계(S14)에서 상기 안내부재(18)의 한쪽면에 증발면(15a)과 안내부재(18) 사이에 수직으로 꺾인 부분을 소정의 용접재로 충전하여 완만한 곡면의 슬립면(18a)을 형성함으로써, 슬립면(18a)을 따라 냉매 증발과 동시에 순환시에 밑걸림등이 없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2) 외관 가공단계(S2)는, 내관(10)의 제1,제2턱부(11)(12)의 외면에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을 형성하되, 상,하 소정위치에 피어싱(piercing), 버링(burring)공정으로 결합공(21)(22)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3) 냉매관 가공단계(S3)는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은 동일한 직경,길이의 파이프이므로 이하에서는 냉매관(20)으로 약칭하여 설명,도시할 수 있다. 냉매가 공급되는 냉매공급관(20a)과, 증발후 냉매를 배출시키는 냉매배출관(20b)은 동일직경,길이의 파이프상의 원통관으로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파이프를 절단가공하여 가공한다.
(4) 냉매관 결합단계(S4)는 외관 가공단계(S2)에서 형성된 결합공(21)(22)에 냉매공급관(20a), 냉매배출관(20b)을 삽입한 뒤 용접(19a)하여 고정한다.이때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의 하단부는 삽착시에 안내턱(14)에 걸려 그 위치가 정하여진다. 안내턱(14)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일방향으로 경서진 안내면(14a)을 이루고 있어 냉매의 공급시에 증발면(15a)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고, 순환후의 냉매가 경사진 안내면(14a)을 타고 원활하게 냉매배출관(20b)로 배출할 수 있다.
(5) 내,외관 결합단계(S5)는 상기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이 고정된 외관(20)을 내관(10)의 제1턱부(11)를 내측에 두고 압입시켜 외관(20)의 하단부가 제2턱부(12)를 지나 단턱(12a)까지 압입시킨다. 이어서 증발면(15a)과의 사이에 증발공간(15)을 형성하게 되고, 제1,제2턱부(11)(12)와의 외측 경계부분을 용접(19b),고정한다.
결합플랜지부(16)은 오거(도시생략)을 동력전달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동력전달플랜지(도시생략)에 결합볼트등으로 결할할 수 있다. 결합플랜지부(16)은 오거의 제빙통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플랜지로서, 동력전달유닛의 결합브라켓부에 대응하여 결합플랜지부(16)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날개부(부호생략)와, 이 플랜지날개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볼트결합부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플랜지부(16)은 플랜지 형태로 중공의 판(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빙통의 증발관에서 돌출 형성되어 동력전달유닛의 케이싱과 결합플랜지부(16)로서 결합되고, 동력전달유닛의 케이싱과 결합플랜지부(16)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유닛과,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사이의 결합을 간소화하고, 조립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 예3>
첨부 도면중 도 11a,11b는 본 발명 실시 예2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안내부재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실시 예3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결합후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 실시 예3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 실시 예3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의 단계별 가공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들 첨부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실시 예 3에 따르는 오거식 제빙기용 증발관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3의 설명중 상술한 실시 예1,2와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1) 내관 가공단계(S1)는 첨부 도면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 본체의 내부는 종래와 같이 별도 공정을 통하여 완만한 곡면각의 미세나선을 형성(구체적인 설명 생략)하고, 본체의 외주면을 여러 가지 가공수단과 방법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먼저 상부 결합나선부(13)는 나사없는 임시나선부를 일정폭으로 돌출 형성한 뒤, 이 결합나선부(13) 하측으로 제1턱부(11)를 돌출,형성하고, 이 제1턱부(11)로부터 소정길이(l)하부에 제1턱부(11)와 동일한 높이의 제2턱부(12)를 형성하되 제2턱부(12)에 연하여 더 높은 단턱(12a)을 형성한다. 동시에 제1턱부(11)와 제2턱부(12) 사이에는 증발면(15a)을 요입 형성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외관 결합시 증발부(15)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기본 가공을 완료한 원통형 본체는 가형성된 결합나선부(13)에 나선을 소정의 가공수단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턱부(12)하측으로 소정위치에 급,배수관 연결용 급배수구(17)를 형성하는 단계(S12)를 포함하는 플랜지부(16) 형성단계(S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중 특히 결합플랜지부(16)를 증발관(내관,10)에 일체로 가공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제빙기 작업자는 본 발명 내,와관 결합단계(S5)를 거쳐 제조된 증발관에 동력전달유닛(오거식 제빙기의 오거를 회전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의 플랜지에 조립,결합함이 한층 편리하고 간단해지는 잇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증발면(15a)의 소정위치에 안내면(34a)을 형성한 안내턱(34)을 별도 공정을 통하여 가공된 안내부재(30)의 상,하 소정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9도면에는 상부만 도시하고 하부는 생략함).
이 안내부재(30)는 내,외관 결합단계(S5)에서 별도 가공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구부러짐이 가능한 판상의 굴곡면(31)을 형성한 판상의 안내부재(30)를 증발면(15a)에 둥글게 위치시킨 뒤 그 양단부를 용접(19b)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냉매공급관(20a)과 냉매배출관(20b)을 각각의 결합공(32)에 연결하여 냉매의 공급,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내관(10)의 증발면(15a) 소정위치에 냉매의 공급,배출시 증발면(15a)을 향하여 경사지게 안내하는 안내면(34a)을 형성한 안내턱(34)을 형성한 안내부재(30) 가공단계(S52)를 포함한다. 이것은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의 결합공(21)(22)삽입후 관공(32)에서 증발면(15a)를 향하여 지나치게 깊이 위치하거나 낮게 위치하는 경우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의 하단부가 밀착되거나,고정상태가 약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냉매공급관,냉매배출관의 삽착시에 삽착 깊이를 정확히 위치하도록 하고, 아울러 별도 가공된 소정 형상의 안내부재(30)의 안내면(34a)을 형성한 안내턱(34)을 관공(32)을 거쳐 증발면(15a)을 향하여 소정위치에 삽착후 용접 고정 할 수 있다. 안내면(34a)은 냉매의 공급,배출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사면이다.
(2) 외관 가공단계(S2)는, 내관(10)의 제1,제2턱부(11)(12)의 외면에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을 형성하되, 상,하 소정위치에 피어싱(piercing), 버링(burring)공정으로 결합공(21)(22)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3) 냉매관 가공단계(S3)는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은 동일한 직경,길이의 파이프이므로 이하에서는 냉매관(20)으로 약칭하여 설명,도시할 수 있다. 냉매가 공급되는 냉매공급관(20a)과, 증발후 냉매를 배출시키는 냉매배출관(20b)은 동일직경,길이의 파이프상의 원통관으로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도록 파이프를 절단가공하여 가공한다.
(4) 냉매관 결합단계(S4)는 외관 가공단계(S2)에서 형성된 결합공(21)(22)에 냉매공급관(20a), 냉매배출관(20b)을 삽입한 뒤 용접(19a)하여 고정한다.이때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의 하단부는 삽착시에 안내턱(14)에 걸려 그 위치가 정하여진다. 안내턱(14)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일방향으로 경서진 안내면(14a)을 이루고 있어 냉매의 공급시에 증발면(15a)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고, 순환후의 냉매가 경사진 안내면(14a)을 타고 원활하게 냉매배출관(20b)로 배출할 수 있다.
(5) 내,외관 결합단계(S5)는 기 기공된 내관(10)과 외관(2)외에 안내부재(30)을 가공하여 외관(20) 압입전에 내관(10)의 증발면(15a)을 향하여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안내부재(30)는 구부러짐이 가능한 판상의 굴곡면(31)을 형성한 안내부재(30)로서 증발면(15a)에 둥글게 위치시킨 뒤 그 양단부를 용접(19b)하여 연결함으로써 증발공간(15)내에 굴곡면(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증발면(15a)에 대한 굴곡면(31)의 형성은 증발면(15a)측으로 개방되고, 외관(20)측으로 중첩되어 내측으로는 나선형 안내부재(18) 보다는 냉매의 증발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외측으로 단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특히, 굴곡면(31)은 나선형을 이루어 증발면(15a)을 향하여 냉기를 전달 함과 동시에 굴곡면(31)을 따라 신속 순환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안내부재(30)는 별도의 판상부재를 굴곡 가공하여 굴곡면(31)을 형성하는 안내부재 가공공정(S52)과, 안내면(34a,34b)를 형성한 안내턱(34)을 가공하는 안내턱 가공공정(S53)을 포함할 수 있고, 이어서 가공된 안내부재(30)는 내관 가공단계(S1)를 거친 내관(10)의 증발면(15a)을 따라 둥글게 위치시킨 뒤 양단부를 용접(19c)하여 결합하는 안내부재 결합공정(S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부재(30)을 결합 한 뒤 냉매공급관(20a),냉매배출관(20b)이 고정된 외관(20)을 내관(10)의 제1턱부(11)를 안쪽에 두고 압입시켜 외관(20)의 하단부가 제2턱부(12)를 지나 단턱(12a)까지 압입되도록 하여 외관(20)을 결합한 뒤 상,하 내,외관 경계부,즉, 제1,제2턱부(11)(12)와의 외측 경계부분을 용접(19b) 고정한다. 이로써 본 발명 오거식 제빙용 증발관의 제 3실시 예의 증발관을 완성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결합플랜지부(16)는 오거(도시생략)을 동력전달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동력전달플랜지(도시생략)에 결합볼트등으로 결할할 수 있다. 결합플랜지부(16)은 오거의 제빙통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플랜지로서, 동력전달유닛의 결합브라켓부에 대응하여 결합플랜지부(16)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날개부(부호생략)와, 이 플랜지날개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볼트결합부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플랜지부(16)은 플랜지 형태로 중공의 판(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빙통의 증발관에서 돌출 형성되어 동력전달유닛의 케이싱과 결합플랜지부(16)로서 결합되고, 동력전달유닛의 케이싱과 결합플랜지부(16)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유닛과,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사이의 결합을 간소화하고, 조립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내관,11:제1턱부,12:제2턱부,12a:단턱,13:결합나선부,14:안내턱,
14a:안내면,15a:증발면,15:증발공간,16:플랜지부,17:급배수구,
18;나선형 안내부재,18a;슬립면, 19a,19b,19c;용접부, 20:외관,
20a;냉매공급관,20b;냉매배출관,21,22:결합공, 30:안내부재, 31:굴곡면,
32;결합공,34;안내턱,34a;안내면,

Claims (6)

  1.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의 상부는 결합나선부를 형성하고, 이 결합나선부 하측으로 제1턱부를 형성하고, 이 제1턱부로부터 소정길이(l)하부에 제1턱부와 동일한 높이의 제2턱부를 형성하여 제1턱부와 제2턱부 사이를 요입하여 안내면을 형성하는 내관 가공단계(S1);
    상기 내관 가공단계(S1)의 제1,제2턱부에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을 이루고, 상,하 소정위치에 결합공을 형성하는 외관 가공 단계(S2);
    냉매가 공급되는 냉매공급관, 순환후 냉매를 배출시키는 냉매배출관을 가공하는 냉매관 가공단계(S3);
    상기 외관 가공단계(S2)의 결합공들에 상기 냉매공급관, 냉매배출관을 삽입, 용접하는 냉매관 고정단계(S4); 및
    상기 냉매관 고정단계의 외관을 상기 내관의 제1턱부와 제2턱부사이에 위치하도록 압입시켜 증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제2턱부와의 경계부분을 용접,고정하는 내,외관 결합단계(S5);
    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 가공단계(S1)는,
    상기 제2턱부의 하부에 급배수구 하측에 결합플랜지부를 형성하는 플랜지부 형성단계(S11);
    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 가공단계(S1)는,
    증발면의 상,하 소정위치에 안내턱을 형성하는 안내턱 형성단계(S15);
    를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 가공단계(S1)는,
    증발면을 따라 나선형 안내부재를 형성하는 안내부재 형성단계(S13);
    를 더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 가공단계(S1)는,
    상기 냉매공급관과,냉매배출관의 결합공들에 고정 설치할 때 냉매공급관,냉매배출관의 하단부가 상기 내관의 증발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삽착되도록 경사진 안내면을 형성한 안내턱을 형성하는 안내턱 형성단계(S15);
    이 안내턱을 형성한 나선형 안내부재를 가공하는 안내부재 가공단계(S16); 및
    가공된 안내부재를 상기 내관의 증발면에 결합하는 안내부 결합단계(S14);
    를 더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 형성단계(S13)는,
    상기 안내부재의 한쪽면에 증발면과 안내부재 사이에 수직으로 꺾인 부분을 소정의 용접재로 충전하여 완만한 곡면의 슬립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관 결합단계(S5)는,
    판체 굴곡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안내부재에 관공과 안내턱을 형성하는 안내부재 가공단계(S52); 및
    상기 내관의 증발면에 둥글게 권한 뒤 맞닿는 양단부를 용접으로 연결하는 안내부재 결합단계(S51);
    를 더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KR1020190037219A 2019-03-29 2019-03-29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KR102146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219A KR102146128B1 (ko) 2019-03-29 2019-03-29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219A KR102146128B1 (ko) 2019-03-29 2019-03-29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128B1 true KR102146128B1 (ko) 2020-08-19

Family

ID=72291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219A KR102146128B1 (ko) 2019-03-29 2019-03-29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843A (ko) 2022-01-17 2023-07-25 양영호 가정용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모듈 케이싱 제조방법과 그에 의하여 제조된 증발모듈 케이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3287A (ja) * 1991-06-21 1993-08-10 Carpigiani Srl アイスクリーム製造機等の冷凍シリンダの製造方法
JPH07260299A (ja) * 1994-03-23 1995-10-13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
KR100384812B1 (ko) 2000-10-04 2003-05-22 히데오 나까조 오거(Auger)식 제빙기에 있어 냉매 파이프의 고착방법 및 고착구조
KR20110126309A (ko) 2010-05-17 2011-11-23 양영호 제빙관과 그 제조방법
KR101509215B1 (ko) * 2014-07-18 2015-04-09 지엔비아이스(주) 냉매흐름을 가이드 하는 순간제빙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3287A (ja) * 1991-06-21 1993-08-10 Carpigiani Srl アイスクリーム製造機等の冷凍シリンダの製造方法
JPH07260299A (ja) * 1994-03-23 1995-10-13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
KR100384812B1 (ko) 2000-10-04 2003-05-22 히데오 나까조 오거(Auger)식 제빙기에 있어 냉매 파이프의 고착방법 및 고착구조
KR20110126309A (ko) 2010-05-17 2011-11-23 양영호 제빙관과 그 제조방법
KR101509215B1 (ko) * 2014-07-18 2015-04-09 지엔비아이스(주) 냉매흐름을 가이드 하는 순간제빙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843A (ko) 2022-01-17 2023-07-25 양영호 가정용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모듈 케이싱 제조방법과 그에 의하여 제조된 증발모듈 케이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128B1 (ko)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제조방법
KR100927948B1 (ko) 용가재홈이 구비된 열교환기용 헤더파이프
ITTO20000655A1 (it) Piatra di evaporazione per macchine per la produzione del ghiaccio.
CN107003045B (zh) 蒸发器和具有该蒸发器的冰箱
CN109073325B (zh) 换热器板、板式换热器及制造板式换热器的方法
CN101610664A (zh) 液体冷却器及其制造方法
EP2336702B1 (en) Refrigerant evaporator and air-conditioning device utilizing the same
KR100938642B1 (ko)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US11073323B2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101104853B1 (ko)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WO2018214912A1 (zh) 多通道换热器
KR20110126309A (ko) 제빙관과 그 제조방법
KR200432601Y1 (ko) 열교환기용 헤더파이프
ES2205365T3 (es) Frigorifico.
KR102265422B1 (ko)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29758B1 (ko)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US200802835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copper tubes
KR20130016999A (ko) 튜브의 내부에 설치된 제상히터를 구비한 증발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226687B1 (ko) 접합분기탱크가 구비된 열교환기
JPH10205943A (ja) 製氷皿
GB2428774A (en) Apparatus for use in a refrigeration unit
JP4998163B2 (ja) 熱交換器
KR102338074B1 (ko) 오거식 제빙기의 소형화를 위한 조립구조
CN110864491A (zh) 冰箱
KR100344802B1 (ko) 냉장고용 증발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