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758B1 -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 Google Patents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758B1
KR102029758B1 KR1020180142502A KR20180142502A KR102029758B1 KR 102029758 B1 KR102029758 B1 KR 102029758B1 KR 1020180142502 A KR1020180142502 A KR 1020180142502A KR 20180142502 A KR20180142502 A KR 20180142502A KR 102029758 B1 KR102029758 B1 KR 102029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tube
auger
space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규
Original Assignee
윤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규 filed Critical 윤석규
Priority to KR1020180142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5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 F25C1/147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by using au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3/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1Evapo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냉각부(냉각영역,"b")의 냉매의 순환구조를 개선하여 오거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내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냉기의 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냉매순환 구조로서 냉각효율이 개선된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원통형 중공관으로써, 오거가 설치되도록 중심선상 공간(26)을 형성하고, 이 공간(26)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선형 안내홈(25)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고, 외주면 냉각영역("b")에는 다수의 제2벽부(22)를 형성하고, 이 제2벽부(22)들의 사이사이에는 냉매순환용 공간(23)을 형성하고, 이 제2벽부(22)들과 냉매순환용 공간(23)들이 설치된 양측 외측의 결합영역("c")에는 밀폐용 제1벽부(21)를 형성하고, 일측 제1벽부(21)의 외측의 연장영역("d")에는 연장부(28)에는 실링용 홈부(27)를 형성한 내관(20); 및 내관(20)보다 큰 직경으로 내관(20) 외주면의 냉각영역("b")과 결합영역("c")을 원통형으로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냉매순환용 공간(23)에 연통하도록 냉각시스탬(A)의 냉매가 공급되도록 냉매공급공(32),냉매배출공(31)을 형성하고, 내측 냉각영역("b")에는 양측 제1벽부(21)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냉매가 순환되는 간격("a")을 형성하여 내관(20) 외측에서 관입되는 외관(30);을 포함한다. 이로써 원활한 제빙얼음의 배출을 달성하고, 냉각효율이 개선된다.

Description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Evaporating tube structure of auger type ice maker horizontally installed}
본 발명은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영역("b")의 냉매의 순환구조를 개선하여 오거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내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냉기의 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냉매순환 구조로서 냉각효율이 개선된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이다.
종래에 알려진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100)는 공개특허 10-2017-0105301호로 첨부 도면 도 11과 같이 알려져 있다.
즉, 이 오거식 제빙기는 내통(200), 외통(300), 얼음배출부(400) 및, 냉수생성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통(200)에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내통(200)에는 저장공간(SS)이 형성될 수 있다.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는 물유입구(310)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구조는 물공급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연결관의 물공급밸브가 열리면, 물공급원의 물이 도시된 바와 같이 물유입구(310)를 통해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내통(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일 수 있다.
외통(300)은 내통(200)과의 사이에서 냉매가 유동하도록 내통(200)을 감쌀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외통(300)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통(300)의 수용공간에 내통(200)이 구비되어, 외통(300)과 내통(200) 사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SR)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면(SC)이 내통(200)과 외통(300)의 일측을 동시에 덮으면서 내통(200)과 외통(30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CV)에 의해서 내통(200)과 외통(300)의 개방된 타측이 동시에 덮일 수 있다. 외통(300)도 원통형상일 수 있다. 외통(300)에는 물유입구(310)와, 얼음배출구(320), 냉매유입구(330) 및, 냉매배출구(340)가 구비될 수 있다.
물유입구(310)의 일측은 물공급밸브가 구비된 연결관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유입구(310)의 타측은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연결될 수 있다. 물유입구(310)는 외통(30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얼음배출구(320)는 내통(200)에서 생성된 얼음(I)이 배출될 수 있다.
얼음배출구(320)는 외통(300)을 관통하여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연결될 수 있다.내통(200)에서 생성된 얼음(I)이 얼음배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얼음배출구(320)는 외통(300)의 외주에 구비될 수 있다.
냉매유입구(330)에는 냉매가 유입될 수 있다. 냉매유입구(330)의 일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팽창밸브 또는 모세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냉매유입구(330)의 타측은 내통(200)과 외통(300) 사이에 형성된 냉매유동공간(SR)에 연결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가 구동되면 빙점 이하의 저온의 냉매가 냉매유입구(330)를 통해 내통(200)과 외통(300) 사이의 냉매유동공간(SR)에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냉매유입구(330)는 외통(300)의 외주에 구비될 수 있다.
냉매배출구(340)로부터는 냉매가 배출될 수 있다. 냉매배출구(340)의 일측은 내통(200)과 외통(300) 사이의 냉매유동공간(SR)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냉매배출구(340)의 타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전술한 압축기에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가 구동되면 냉매유동공간(SR)을 유동한 빙점 이하의 저온의 냉매가 냉매배출구(340)를 통해 배출되어 압축기에 유입될 수 있다. 얼음배출부(400)는 내통(200)에 구비될 수 있다. 얼음배출부(400)는 외통(200)과 내통(30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내통(200)에 생성된 얼음(I)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외통(200)과 내통(300) 사이의 냉매유동공간(SR)에 빙점 이하의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면,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어 내통(200)의 내면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얼음배출부(400)는 내통(200)의 내면에 생성된 얼음(I)을 분리하여 얼음배출구(3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얼음배출부(400)는 축부재(410)와 이송블레이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축부재(410)는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축부재(410)는 구동모터나 기어 등을 포함하는 회전구동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송블레이드(420)는 축부재(410)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축부재(410)가 회전하면 이송블레이드(420)도 회전될 수 있다. 내통(200)의 내면에 형성된 얼음(I)이 이송블레이드(420)에 의해서 긁혀서 내통(200)의 내면으로 부터 분리되고 얼음배출구(32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얼음배출구(320) 측으로 이송된 얼음(I)은 얼음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축부재(410)의 회전속도를 비교적 느리게 하면, 얼음(I)이 비교적 단단한 상태로 얼음배출구(320)로 배출 될 수 있다. 또한, 축부재(310)의 회전속도를 비교적 빠르게 하면, 얼음(I)이 슬러시 상태로 얼음배출구(320) 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는 얼음의 빙질을 제어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수도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얼음을 만들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오거가 회전되는 제빙공간(SC)에서는 제빙후 얼음이 나선식 오거날의 회전력으로 이동력이 가해지므로 제빙중이거나 제빙후 얼음의 이동을 위하여 오거축의 일단부에는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방해하는 것은 결국 단단한 얼음을 얻기 위한 종래 제빙기에서도 제빙공간(SC)내에서의 얼음의 이동시 빙질의 단단함으로 인하여 이동력을 방해하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도 있었다.
또한, 수평설치된 오거식 제빙기는 냉각부(400)의 구조가 냉매순환 파이프 혹은 냉매가 순환되는 공간(SR)만으로 구성됨으로써 냉매가 순환되면서 내관측의 물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순환능력은 물론 열교환 능력이 저하되어 비능률적인 구조였다. 또한, 이러한 오거식 제빙기에서 가장 큰 소형,능률화의 방해는 조립 구조의 복잡함이었다. 예컨대, 아무리 능률적인 냉각영역(냉매가 열교환되는 영역, 이하 냉각영역, "b"라 함)을 구성한다 하더라도 그 제조구조가 복잡하거나 조립구조가 복잡하면 대부분 능률보다 제조공정 및 제조단가에서 불리하여 그 실현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냉각영역의 간단한 조립구조화가 필요로 되었고, 냉각부의 공간(SR)의 효과적인 열전달 구조가 필요로 되었다.
특허 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13269호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6309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5301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종래 오거식 제빙기의 단점을 개선하여 원활한 제빙얼음의 배출을 달성할 수 있는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냉각효율이 개선된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냉각영역("b")의 냉매의 열전달구조를 개선하여 오거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내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냉매가 근접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냉기의 전달이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냉매순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냉각효율이 크게 개선 된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원통형 중공관으로써, 오거가 설치되는 내측에는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선형 안내홈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고, 외주면 냉각영역("b")에는 다수의 제2벽부를 형성하고, 이 제2벽부들의 사이에는 냉매순환용 공간을 형성하고, 이 제2벽부들과 냉매순환용 공간들이 형성된 양외측의 결합영역("c")에는 제1벽부를 형성하고, 일측 제1벽부)의 외측 연장영역("d")의 연장부에는 실링용 홈부를 형성한 내관; 및
상기 내관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제1벽부의 외측으로 냉각영역("b")과 결합영역("c")을 커버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냉매순환용 공간에 연통하도록 냉각시스탬(A)의 냉매가 공급되는 냉매공급공,냉매배출공을 형성하고, 냉각영역("b")에는 상기 제2벽부들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a")을 형성하도록 내관 외측에서 관입되는 외관;
을 포함함으로써 오거의 제빙얼음을 향한 이동압력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고, 구동모터의 수평 배치설계에 따른 구조가 개선된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상기 내관의 냉각영역("b")에 상기 외관의 바디부를 형성하고, 이 바디부의 내저면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 사이에 간격("a")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부의 양측 결합영역("c")에 상기 내관 일체의 제1벽부를 형성함으로써, 냉각영역("b")의 간격("a")을 통하여 내관측으로 순환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외관과 내관의 결합영역("c")에 상기 외관 일체의 제1벽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내관(20)은,외관(30) 내주면에 접촉하는 나사산형의 제2벽부(22)와 이 나사산 사이에 냉매순환용 공간(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종래 오거식 제빙기의 단점을 개선하여 원활한 제빙얼음의 배출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냉각효율이 개선된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냉각부 혹은 냉각영역("b")의 냉매의 순환구조를 개선하여 오거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내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순환냉매가 근접 순환되어 냉기의 전달이 급속하고도 신속할 수 있는 냉매순환 구조를 제공하여 냉각효율이 크게 개선 된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발췌된 외부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내관과 외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결합상태의 발췌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알려진 수평 설치방식의 오거식 제빙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발췌된 외부 모습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내관과 외관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결합상태의 발췌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의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구조는 크게 내관(20)과, 외관(30)으로 이루어진 증발관(10)이다.
내관(20)은,
수평 설치되는 원통형으로써 중공의 동심원상에 오거가 회전하는 원통형 공간(26)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길게 형성된 선형 안내홈(25)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고, 외주면은 다수의 제2직경의 링형 칸막이로 이루어진 제2벽부(22)를 형성하고, 제2벽부(22) 사이사이에는 냉매체류공간(23)을 형성하고, 이 제2벽부(22)들이 설치된 가장 바깥의 양측면에는 제2벽부(22)의 직경보다 큰 제1직경의 링형 칸막이로 이루어진 제1벽부(21)를 각각 형성하고, 제1벽부(21)의 일외측으로는 원통부를 연장 형성하되 그 원통주면에 실링용 홈부(27)를 형성한다. 상기 제1벽부(21)의 제1직경과 제2벽부(22)의 제2직경의 차이는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간격("a")이며, 이 간격("a")을 따라 냉매순환공간이 형성된다.
외관(30)은,
내관(20)의 바깥쪽에서 냉각시스탬(A)의 냉매가 순환되도록 냉매공급,배출관(도시생략)을 연결하는 냉매배출공(31),냉매흡입공(32)을 형성하여 내관(20)의 제1벽부(21)의 외측까지 커버하도록 관입 설치되어 결합되며, 제2벽부(22)들의 상단면과 외관(30)내주면 사이에는 냉매순환용 틈(a)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냉매를 통한 냉각시스템(A)에 의하여 순환되는 냉매가 냉매흡입공(32)를 통하여 공급되고 간격("a")을 이루는 틈을 거쳐 냉매배출공(31)으로 배출,순환되면서 내관(20)의 중공 공간(26) 내주면에 접촉하는 물을 냉각시켜 제빙함과 동시에 이동시키며 오거날의 종단부에 이를 때에는 제빙된 얼음들이 소정의 얼음 배출부(40)를 통하여 원통형으로 배출된다. 냉매의 순환은 공간(23)을 따라 선형 공간에서는 통과되지만 제2벽부(22)사이의 공간(23)에서는 내관(20)단면을 통과하는 열교환으로 내관(20) 내주면의 물을 냉각시키면서 순환된다.
특히, 내관(20)과 외관(30)은 제1벽부(21)사이에 외관(30)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구조이므로 간단하게 내,외관의 배치 설계 및 가공이 용이할 수 있고, 결합영역("c")에서 나사맞춤 혹은 접착에 의한 결합구조로서 간단하게 조립되는 조립구성을 가지며, 안내홈(25)에 의하여 오거날의 회전 압력으로 제빙 얼음의 이동이 안내홈(25)을 타고 원활하게 이동함으로써 그동안 오거날의 회동을 방해하는 제빙된 얼음덩어리의 이동을 방해하는 이동력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냉각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내관(20)과 외관(30)으로 구성된다.
내관(20)은,
수평 설치되는 원통형으로써 중공의 동심원상에 오거가 회전하는 원통형 공간(26)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길게 형성된 선형 안내홈(25)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고, 외주면 양측으로 제1벽부(21)를 각각 양측에 설치하고, 이 제1벽부(21)사이의 빈공간은 냉매체류공간(23)을 형성하고, 제1벽부(21)의 일외측으로는 원통부를 연장 형성하되 그 원통주면에 실링용 홈부(27)를 형성한다.
외관(30)은,
내관(20)의 바깥쪽에서 냉각시스탬(A)의 냉매가 순환되도록 냉매공급,배출관(도시생략)을 연결하는 냉매배출공(31),냉매흡입공(32)을 형성하여 내관(20)의 제1벽부(21)의 외측까지 커버하도록 관입 설치되어 결합되며, 상기 내관(20) 양측의 제1벽부(21)사이의 냉매체류공간(23)에 위로부터 형성되는 다수의 제2벽부(35)를 형성하고, 제2벽부(35) 사이마다 냉매체류공간(23)을 형성하되 이 제2벽부(35)의 하단면과 내관(30) 외주면 사이에는 냉매순환용 간격("a")을 형성한다. 상기 제2벽부(35)의 제2직경과 내관(30)의 외주면사이에는 도면에서 도시하는 간격("a")을 형성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관(20) 및 외관(30)의 구성이 상기 제1 실시 예와 일치하고, 다만, 내관(20)의 양측에 형성된 제1벽부(21)를 제외한 제2벽부(35)를 외관(30)의 냉각영역("b")에서 하향 형성함으로써 제1 실시 예와 같은 내관을 향한 신속한 냉기 전달에 의한 냉각효과가 있다.
첨부 도면중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관(20) 및 외관(30)의 구성이 상기 제2 실시 예와 일치하고, 다만, 제2벽부(22)들에 공통적으로 통공(36)을 형성하여 냉매의 순환이 간격("a")으로만 순환되는 것이 아니라 통공(24)들을 통하여 공간(23)으로 냉매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냉매순환을 통한 냉각시스템(A)에 의하여 가압된 냉매가 냉매흡입공(32)를 통하여 냉매배출공(31)으로 배출,순환되도록 증발관(10) 구조를 이루되 외관(30) 내측으로 다수의 제2벽부(35)를 구성함으로써 내관(20) 외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a")을 통하여 냉매가 순환되는 순환로를 이룸과 동시에 제2벽부(35)들 각각의 중간에 통공(36)를 형성함으로써 냉매체류공간(23)의 냉매 체류 시간을 더 신속하게 함과 아울러 제2벽부(36)의 하단부를 통한 냉각이 신속화하여 내관(22)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물의 제빙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상기 실시예들과 같이 외관(30) 및 내관(20)의 연장영역("d"=연장부;28),결합영역("c")에서는 일치하고, 다만, 냉각영역("b")에서 차이를 갖는다.
외관(30)은 냉각시스탬(A)의 냉매가 순환되도록 냉매공급,배출관이 연결되는 냉매흡입공(32),냉매배출공(31)을 각각 형성한 일정한 직경의 원통관이다.
내관(20)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원통형 중공관으로써, 오거 설치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이 오거 설치공간(26)에는 방사상으로 길게 형성된 선형 안내홈(25)을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하고, 외측으로 냉각영역("b")와 연장부(28)를 형성하되 연장부(28)의 주면에는 실링용 홈부(27)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양측으로 제1벽부(21)를 각각 형성하고, 이 제1벽부(21)의 내측으로 상기 외관(3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격("a")를 두고 냉매체류공간(29)을 나선상 형성하는 나선형 벽부(28)를 형성한다.
이러한 내관(20)의 외측으로 외관(30)이 커버하듯이 관입 설치되고 제1벽부(21)의 상단면에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나사맞춤 결합하거나 혹은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단면도이다.
도 9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크게 내관(20)과 외관(30)으로 이루어진다.
내관(20)은 수평 설치되는 원통형으로써 동심원상 중심에 오거를 설치하고, 오거(오거날)가 회전하면서 슬립 접촉하는 공간(26)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길게 형성된 선형 안내홈(25)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고, 내관(20)의 외측은 냉각영역("b")을 형성하는 양측에 제1벽부(21)를 형성하고, 이 제1벽부(21)의 사이에는 냉매체류공간(23)을 형성하고, 같은 원통상태로 소정길이("d") 연장된 연장부(28)를 형성할 수 있고, 연장부(28)에는 홈부(27)를 형성할 수 있다.
외관(30)은 제1 실시 예와 달리 내관(20)의 양측 제1벽부(21) 사이에 소정 폭으로 냉각영역("b")을 이루는 몸체부(33)를 형성하되 내관(20) 외주면과의 사이에 냉매순환공간(23)을 형성하는 간격("a")을 형성함으로써 냉매가 갖고 있는 냉기가 내관(20)의 내측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오거의 제빙시의 제빙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냉각시스템(A)에 의하여 가압된 냉매가 냉매흡입공(32)를 통하여 냉매배출공(31)으로 배출,순환되면서 열을 빼앗는 증발 구조를 이루되 내관(20) 외측으로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냉각영역("b")의 몸체부(33)를 구성함으로써 외관(30)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격("a")을 통하여 냉매가 통과되는 순환통로(공간,23)를 이룸으로써 냉매가 순환하는 동안 냉매가 갖고 있는 냉기가 훨씬 근접되어 전달됨으로써(냉매의 순환 다른 통로가 없음) 신속하게 찬 냉기가 순환되는 통안 내관(22)의 냉각영역("b") 내주면에 접촉하는 오거의 제빙공간(26)에 공급되는 제빙수의 제빙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제빙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외관(30)과 내관(20)의 체결부분("c")은 실링부재로 밀폐된 나사맞춤, 혹은 접착제로 처리하여 결합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단면도이고, 도 10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의 내관(20) 및 외관(30)의 구성은 상기 제5 실시 예와 동일하지만, 다만 제1벽부(34)를 외관(30)에 구성함으로써 제1벽부(34)의 하단면에 내관(20)의 결합영역("c")에서 나사맞춤 혹은 특수접착(용접등)으로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르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은 냉매순환을 통한 냉각시스템(A)에 의하여 가압된 냉매가 냉매흡입공(32)를 통하여 냉매배출공(31)으로 배출,순환되도록 증발 구조를 이루되 내관(20) 외측의 냉각영역("b")에 걸쳐 단열재질의 몸체부(33)를 구성함으로써 외관(30)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격("a")을 통하여 냉매가 통과되는 유일한 순환로를 이룸으로써 냉매가 통과하는 동안 냉기의 근접된 간격으로 전달되어 신속하게 오거의 내부 제빙수 제빙을 급속화하여 내관(22)의 냉각영역("b")내주면에 접촉하는 얼음의 제빙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외관(30)과 내관(20)의 결합부분("c")은 실링부재로 밀폐된 나사맞춤, 혹은 특수 접착(용접,나사맞춤)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증발관, 20:내관,
21:제1벽부, 22:제2벽부,
23:냉매체류공간, 24:통공,
25:안내홈, 26:공간,
27:홈부, 28;연장부,
29:냉매체류공간, 30:외관,
31:냉매배출공, 32:냉매흡입공,
33:몸체부, 34:제1벽부,
35:제2벽부, 36:통공,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원통형 중공관으로써, 오거가 설치되는 내측에는 공간(26)을 형성하고, 이 공간(26)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선형 안내홈(25)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고, 외주면 냉각영역("b")은 냉매순환용 공간(23)을 형성하고, 냉매순환용 공간(23)이 형성된 양외측의 결합영역("c")에는 제1벽부(21)를 형성하고, 일측 제1벽부(21)의 외측 연장영역("d")의 연장부(28)에는 실링용 홈부(27)를 형성한 내관(20); 및
    내관(20)보다 큰 직경으로 내관(20)의 제1벽부(21)의 외측으로 냉각영역("b")과 결합영역("c")을 커버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관(20)의 냉각영역("b")에 외관(30)의 내측으로 하향 형성된 몸체부(33)를 형성하고, 몸체부(33)의 내저면과 내관(20)의 외주면 사이에 간격("a")을 형성하고, 몸체부(33)의 양측 결합영역("c")에 내관(20)의 제1벽부(21)가 위치하도록 내관(20) 외측에서 관입되는 외관(30);
    을 포함하여 제빙공간을 향한 냉각열의 전달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6. 삭제
KR1020180142502A 2018-11-19 2018-11-19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KR102029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502A KR102029758B1 (ko) 2018-11-19 2018-11-19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502A KR102029758B1 (ko) 2018-11-19 2018-11-19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758B1 true KR102029758B1 (ko) 2019-10-08

Family

ID=6820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502A KR102029758B1 (ko) 2018-11-19 2018-11-19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7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740A (ja) * 1992-10-01 1994-04-28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KR100413269B1 (ko) 2002-02-20 2004-01-03 히데오 나까조 오거식 제빙기
JP2006023063A (ja) * 2004-07-10 2006-01-26 Taku Kawanami 製氷装置
JP2006220369A (ja) * 2005-02-10 2006-08-24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に用いられる製氷シリンダの製造方法
KR20110126309A (ko) * 2010-05-17 2011-11-23 양영호 제빙관과 그 제조방법
KR20180075359A (ko) * 2016-12-26 2018-07-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740A (ja) * 1992-10-01 1994-04-28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KR100413269B1 (ko) 2002-02-20 2004-01-03 히데오 나까조 오거식 제빙기
JP2006023063A (ja) * 2004-07-10 2006-01-26 Taku Kawanami 製氷装置
JP2006220369A (ja) * 2005-02-10 2006-08-24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に用いられる製氷シリンダの製造方法
KR20110126309A (ko) * 2010-05-17 2011-11-23 양영호 제빙관과 그 제조방법
KR20180075359A (ko) * 2016-12-26 2018-07-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6309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5301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3877B1 (ko) 만액식 증발기
US8443621B2 (en) Ic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ice
US8408023B2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US20100269534A1 (en) Ice making drum for drum type ice making machine
CN103946659A (zh) 热交换器及其制造方法
KR910002810Y1 (ko) 제빙기의 증발기 구조
JP2008095999A (ja) ドラム式製氷機の製氷ドラム
KR102482620B1 (ko) 제빙기
WO2008130196A1 (en) Drum unit for piece ice manufacture device
US84484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ce
KR20190096531A (ko) 개선된 압축구조를 갖는 오거식 제빙기
KR980010284A (ko) 분리형 냉장고
KR100296653B1 (ko) 냉각시스템에 있어서 제빙장치용 열교환기
KR101552613B1 (ko) 드럼 제빙기의 냉동유 회수장치
KR100525401B1 (ko) 냉장고
KR102029758B1 (ko) 수평 설치방식 오거식 제빙기의 증발관
WO2001004552A1 (en) Method for making an auger type ice making machine
KR101437560B1 (ko) 수냉식 열교환기
KR20160149022A (ko) 냉매 유로 일체형 제빙 트레이 및 방법
KR102544432B1 (ko) 제빙기
US1559883A (en) Air-cooled refrigerating machine
KR101545508B1 (ko) 조립 분해 결합식 외부 냉매팽창용 빙삭기
US20180209710A1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clear icemaker
KR102396593B1 (ko) 제빙기
US6470701B2 (en) Ice maker and method of making 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