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228A - 찜용 항아리 장치 - Google Patents

찜용 항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228A
KR20100086228A KR1020090005489A KR20090005489A KR20100086228A KR 20100086228 A KR20100086228 A KR 20100086228A KR 1020090005489 A KR1020090005489 A KR 1020090005489A KR 20090005489 A KR20090005489 A KR 20090005489A KR 20100086228 A KR20100086228 A KR 20100086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jar body
input
jar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
Original Assignee
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 filed Critical 김진
Priority to KR1020090005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6228A/ko
Publication of KR2010008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전통적인 옹기인 항아리의 내부에 히터를 투입·설치하여 간편하게 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종 찜조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의 가습기 역할 및 난로 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찜용 항아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부의 입구가 넓으며 아래가 좁고 배가 부른 형태를 갖는 전통적인 옹기인 항아리본체와; 상기 항아리본체의 입구 일측을 통하여 항아리본체의 바닥면에 이르도록 투입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발열되는 투입식 히터와; 상기 투입식 히터와 함께 항아리본체의 내부로 끼워져 설치되어 투입식 히터의 발열에 따라 데워지는 항아리내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한쪽 끝부분은 상기 투입식 히터의 외측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외부전원과의 접속을 위한 코드가 연결된 전선과; 투입식 히터와 전선의 경로상에 설치되고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을 통하여 투입식 히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ON/OFF"상태를 제어하고, 투입식 히터의 발열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온도센서로부터 발생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투입식 히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단속(斷續)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를 지지함과 동시에 투입식 히터와 전선 및 온도센서의 연결부를 보호하는 케이싱(Casing)으로 이루어진다.
항아리, 히터, 온도센서

Description

찜용 항아리 장치{Pot device for steamer}
본 발명은 찜용 항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적인 옹기인 항아리의 내부에 히터를 투입·설치하여 간편하게 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종 찜조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의 가습기 역할 및 난로 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찜용 항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아리는 황토나 배토로 빚은 후 고온의 열을 가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비교적 높이가 낮고 입구가 넓으며 아래가 좁고 배가 몹시 부른 형태를 갖는 전통적인 옹기로서 예로부터 각종 곡식류나 물 또는 술 등을 담는 용기로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항아리는 금속, 유리,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다른 용기에 비하여 통기성이 매우 우수하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주로 곡류나 김치류 등의 식품을 장기간 보관하는데 적용되었다.
그러나, 항아리의 용도가 곡물류나 김치 또는 술 등 식품을 담아 보관하는 용도로 국한되는 반면, 최근 기술의 발달로 김치냉장고 등의 다양한 용기류가 개발 됨에 따라 항아리의 이용범위가 점점 축소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이 항아리의 사용범위가 축소됨에 따라 그 제조기술이 점차적으로 사장되는 것은 물론, 항아리제조자의 소득 또한 그게 줄어드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통적인 옹기인 항아리의 내부에 히터를 투입·설치하여 간편하게 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종 찜조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의 가습기 역할 및 난로 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찜용 항아리장치를 새로운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의 입구가 넓으며 아래가 좁고 배가 부른 형태를 갖는 전통적인 옹기인 항아리본체와; 상기 항아리본체의 입구 일측을 통하여 항아리본체의 바닥면에 이르도록 투입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발열되는 투입식 히터와; 상기 투입식 히터와 함께 항아리본체의 내부로 끼워져 설치되어 투입식 히터의 발열에 따라 데워지는 항아리내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한쪽 끝부분은 상기 투입식 히터의 외측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외부전원과의 접속을 위한 코드가 연결된 전선과; 투입식 히터와 전선의 경로상에 설치되고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을 통하여 투입식 히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ON/OFF"상태를 제어하고, 투입식 히터의 발열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온도센서로부터 발생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투입식 히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단속(斷續)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를 지지함과 동시에 투입식 히터와 전선 및 온도센서의 연결부를 보호하는 케이싱(Casing)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전통적인 옹기인 항아리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될 때 발열되는 투입식 히터를 설치하여 물을 손쉽게 데울 수 있도록 하여 찜용으로 이용하거나 실내의 가습기나 난로로 사용할 수 있슴에 따라 단순히 저장용기의 역할로 국한되는 항아리의 사용범위를 크게 확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찜용 항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찜용 항아리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데우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찜용 항아리장치를 이용하여 식품을 찌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통적인 옹기인 항아리의 내부에 히터를 투입·설치하여 간편하게 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종 찜조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의 가습기 역할 및 난로 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찜용 항아리장치(10)에서는 상부의 입구가 넓으며 아래가 좁고 배가 부른 형태를 갖는 전통적인 옹기인 항아리본체(12)가 마련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아리본체(12)의 입구 일측을 통하여 항아리본체(12)의 내측으로는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발열되는 별도의 투입식 히터(140가 바닥면에 이르도록 투입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별도의 온도센서(16)가 상기 투입식 히터(14)와 함께 항아리본체(12)의 내부로 끼워져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투입식 히터(14)의 외측단에는 정해진 길이를 갖는 전선(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선(20)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외부전원과의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코드(18)가 연결된다.
한편, 투입식 히터(14)와 전선(20)의 경로상에는 별도의 콘트롤러(22)가 설치되어 상기 전선(20)을 통하여 투입식 히터(14)로 인가되는 전원의 "ON/OFF"상태를 제어함과 동시에 투입식 히터의 발열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러(22)는 온도센서(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온도센서(16)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투입식 히터(14)로 인가되는 전류를 단속(斷續)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투입식 히터(14)의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항아리본체(12)상부에는 콘트롤러(22)를 지지함과 동시에 투입식 히터(14)와 전선(20) 및 온도센서(16)의 연결부를 보호하는 케이싱(Casing:24)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찜용 항아리장치(10)를 이용하여 물을 데우고자 하는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항아리본체(12)의 내부에 필요 한 만큼의 물(26)을 넣은 상태에서 전선(20)의 외측단에 연결된 코드(18)를 외부전원과 접속시킨 다음 콘트롤러(22)를 "ON"상태로 조작하면 전류가 전선(20)을 통하여 투입식 히터(14)로 흐르면서 투입식 히터(14)가 발열되어 물(26)이 데워진다.
이와 같이 항아리본체(12) 내부에 채워진 물(26)이 데워지는 과정에서 물의 온도는 온도센서(16)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감지되는데, 물(26)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이르면 온도센서(16)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어 콘트롤러(22)로 인가되고, 콘트롤러(22)는 이 신호에 따라 투입식 히터(14)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더 이상의 발열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항아리본체(12) 내부에 채워진 물(26)이 데워지기 때문에 실내에 설치하여 난로나 가습기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찜조리에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항아리본체(12)의 내부에 채워진 물(26) 위에 별도의 부유판(28)을 띄워 놓고, 부유판(28)위에 만두나 빵과 같은 식품(32)이 담겨진 찜판(30)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술한 방식으로 물(26)을 데우면, 물이 가열되면서 스팀이 발생되고, 발생된 스팀에 의하여 찜판(30)에 담겨진 식품(32)이 쪄지는 것이다.
이 경우 황토로 제작된 항아리본체(12)에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식품의 맛이 훨씬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찜용 항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찜용 항아리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데우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찜용 항아리장치를 이용하여 식품을 찌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항아리본체 14 : 투입식 히터
16 : 온도센서 20 : 전선
22 : 콘트롤러 24 : 케이싱
28 : 부유판.

Claims (1)

  1. 상부의 입구가 넓으며 아래가 좁고 배가 부른 형태를 갖는 전통적인 옹기인 항아리본체(12)와;
    상기 항아리본체(12)의 입구 일측을 통하여 항아리본체(12)의 바닥면에 이르도록 투입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발열되는 투입식 히터(14)와;
    상기 투입식 히터(14)와 함께 항아리본체(12)의 내부로 끼워져 설치되어 투입식 히터(14)의 발열에 따라 데워지는 항아리본체(12)내 물(26)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온도센서(16)와;
    한쪽 끝부분은 상기 투입식 히터(14)의 외측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외부전원과의 접속을 위한 코드(18)가 연결된 전선(20)과;
    상기 투입식 히터(14)와 전선(20)의 경로상에 설치되고, 온도센서(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20)을 통하여 투입식 히터(14)로 인가되는 전원의 "ON/OFF"상태를 제어하고, 투입식 히터(14)의 발열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온도센서(16)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투입식 히터(14)로 인가되는 전류를 단속(斷續)제어하는 콘트롤러(22)와;
    상기 콘트롤러(22)를 지지함과 동시에 투입식 히터(14)와 전선(20) 및 온도센서(16)의 연결부를 보호하는 케이싱(Casing: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용 항아리장치.
KR1020090005489A 2009-01-22 2009-01-22 찜용 항아리 장치 KR20100086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489A KR20100086228A (ko) 2009-01-22 2009-01-22 찜용 항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489A KR20100086228A (ko) 2009-01-22 2009-01-22 찜용 항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28A true KR20100086228A (ko) 2010-07-30

Family

ID=4264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489A KR20100086228A (ko) 2009-01-22 2009-01-22 찜용 항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62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186A (ko) 2018-08-22 2020-03-03 오상기 옹기 난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186A (ko) 2018-08-22 2020-03-03 오상기 옹기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57268B (zh) 饭煲及其控制方法
US20170181564A1 (en) Multifunctional Cooking Pot
CN108652433B (zh) 烹饪米饭的方法及电磁加热烹饪器具
CN105982526A (zh) 电饭煲烹饪方法
CN203987495U (zh) 电蒸锅
CN108158393B (zh) 煮饭器和使用该煮饭器进行保温的方法
CN204467798U (zh) 一种由led灯变色提示温度的电热水壶装置
MY133321A (en) Rice cooker
KR20100086228A (ko) 찜용 항아리 장치
CN108652440A (zh) 防溢养生壶
JP2013252361A (ja) 調理器
ES2924035T3 (es) Aparato y método de cocción
JP2012228445A (ja) 炊飯器
CN201911891U (zh) 电加热锅
CN105615613B (zh) 烹饪装置
CN203987470U (zh) 一种电磁加热煮食器
CN203591157U (zh) 一种电热锅
JP5338942B2 (ja) 電気炊飯器
CN103222797B (zh) 一种电热煲具
CN205697212U (zh) 一种大功率电热壶
KR100664605B1 (ko) 조리기구 뚜껑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구 가열 제어 장치
KR101379335B1 (ko) 스팀 조리기구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방법
KR101140261B1 (ko) 전기 압력 보온밥솥용 밥 건조방지장치
CN205006617U (zh) 一种炒蒸煮同时进行的节能防溢智能锅
JP4923286B2 (ja) 電気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