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985A - 공조 제어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공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조 제어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공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985A
KR20100085985A KR1020107010988A KR20107010988A KR20100085985A KR 20100085985 A KR20100085985 A KR 20100085985A KR 1020107010988 A KR1020107010988 A KR 1020107010988A KR 20107010988 A KR20107010988 A KR 20107010988A KR 20100085985 A KR20100085985 A KR 20100085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unit
control
temperature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3032B1 (ko
Inventor
아츠시 니시노
사토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5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컨트롤러(1)는, 상태 검지부(11)와 완화 제어부(12)를 구비하고, 공조기(2)를 제어한다. 공조기(2)는, 실내 유닛(30a, 30b, …, 30y) 및 실외 유닛(40)을 가진다. 상태 검지부(11)는 증(增)에너지 상태를 검지한다. 에너지 과잉 상태란, 실내 유닛(30a, 30b, …, 30y)에 의하여 공조되는 셀 공간(Sa, Sb, …, Sy)의 실내 온도가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설정 온도를 냉방 운전 시에 하회하는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회하는 상태가 빈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완화 제어부(12)는, 상태 검지부(11)가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한 경우에, 에너지 과잉 상태를 완화하도록 공조기(2)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여, 공조 대상 공간이 과잉으로 공조되는 것을 피하여, 에너지 절약인 공조 운전을 실현한다.

Description

공조 제어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공조 제어 방법{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공조 제어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조기는, 이용 유닛과 열원 유닛을 가지고 있고, 냉매가 흐르는 냉매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용 유닛은 공조 대상 공간으로 되는 실내에 설치되어 있고, 열원 유닛은 실외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용 유닛의 케이싱 내에는 이용 측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고, 열원 유닛의 케이싱 내에는 열원 측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다. 냉방 운전 시에는, 냉매가 이용 측 열교환기에서 열을 흡수하고, 열원 측 열교환기에서 열을 방출한다. 한편,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가 이용 측 열교환기에서 열을 방출하고, 열원 측 열교환기에서 열을 흡수한다. 이것에 의하여, 이용 유닛이 배치되어 있는 실내가 냉방 또는 난방되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실내 온도를 설정 온도 부근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로부터 소정 온도 ΔT 이상 괴리하면, 이용 유닛이 써모 온(thermo-on) 또는 써모 오프(thermo-off)되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이용 유닛의 써모 온이란, 이용 측 열교환기 내를 냉매가 흐르고 있고, 냉매와 실내 공기의 사이에서 충분한 열교환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이용 유닛의 써모 오프란, 이용 측 열교환기 내를 냉매가 흐르지 않거나 또는 거의 흐르지 않아, 냉매와 실내 공기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열교환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특허 문헌 1은, 이와 같은 써모 온과 써모 오프가 반복되는 것을, 에너지 절약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55832호
그런데, 실내를 과잉으로 공조하는, 즉, 실내 온도를 냉방 운전 시에 설정 온도보다도 낮게 하거나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설정 온도보다도 높게 하는 것은, 에너지 낭비이다. 그러나, 실내가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는 상태여도, 실내 온도와 설정 온도의 차가 작은 상태(상기 ΔT 내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써모 오프되는 것이 없어, 당해 상태가 안정하여 버리는 일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상기 ΔT를 작게 하면, 짧은 주기로 써모 온/오프가 반복되게 되어, 특허 문헌 1에서도 위구(危懼)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리어 에너지 로스(loss)를 가져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써모 온/오프가 반복되면, 실내 온도가 대폭으로 상하하여,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공조 대상 공간이 과잉으로 공조되는 것을 피하고, 에너지 절약인 공조 운전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는, 상태 검지부와 완화 제어부를 구비하고, 공조기를 제어한다. 공조기는 이용 유닛 및 열원 유닛을 가진다. 상태 검지부는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한다. 에너지 과잉 상태란, 공간 온도가 이용 유닛의 설정 온도를 냉방 운전 시에 하회(下廻)하는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회(上廻)하는 상태가 빈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공간 온도란, 이용 유닛의 공조 대상 공간의 온도이다. 완화 제어부는, 상태 검지부가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한 경우에, 에너지 과잉 상태를 완화하도록 공조기를 제어한다.
이 공조 제어 장치는, 공조 대상 공간이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공조기에 의한 공조 운전을 완화한다. 덧붙여,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는 상태란,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공조 대상 공간이 설정 온도보다도 식혀진 상태에서 거의 안정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고,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공조 대상 공간이 설정 온도보다도 데워진 상태에서 거의 안정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것에 의하여, 에너지 절약인 공조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이고, 완화 제어부는, 상태 검지부가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한 경우에, 이용 유닛을 흐르는 냉매량이 적게 되도록 공조기를 제어한다.
이 공조 제어 장치는, 공조 대상 공간이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용 유닛을 흐르는 냉매량을 줄인다. 이것에 의하여, 공조기에 의한 공조 운전을 완화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이고, 상태 검지부는, 공간 온도로부터 설정 온도를 마이너스한 차분을 소정 횟수 검출하고, 냉방 운전 시에 차분의 적산(積算)값이 제1 값보다 작은 경우,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차분의 적산 값이 제2 값보다도 큰 경우에, 에너지 과잉 상태라고 검지한다. 덧붙여, 제1 값과 제2 값은 같은 값이어도 무방하고, 다른 값이어도 무방하다.
이 공조 제어 장치는, 공간 온도로부터 설정 온도를 마이너스한 차분을 소정 횟수 검출한다. 그리고,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검출한 차분의 적산 값이 너무 작은 경우에,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검출한 차분의 적산 값이 너무 큰 경우에,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즉, 냉방 운전 시에는,
∑(공간 온도-설정 온도)<제1 값
으로 되면,
난방 운전 시에는,
∑(공간 온도-설정 온도)>제2 값
으로 되면,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되게 된다. 덧붙여, ∑는, 차분의 검출 횟수분의 적산을 의미한다.
이것에 의하여, 공간 온도가 설정 온도로부터 에너지 과잉 측으로 어느 정도 괴리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이고, 상태 검지부는, 공간 온도와 설정 온도의 대소 관계를 제1 횟수 판정하고, 냉방 운전 시에 공간 온도의 쪽이 작은 것이 제2 횟수 이상 있는 경우, 또는, 난방 운전 시에 공간 온도의 쪽이 큰 것이 제3 횟수 이상 있는 경우에, 에너지 과잉 상태라고 검지한다. 덧붙여, 제1 횟수와 제2 횟수와 제3 횟수는, 같은 값이어도 무방하고, 다른 값이어도 무방하다.
이 공조 제어 장치는, 공간 온도와 설정 온도의 대소 관계를 제1 횟수 판정한다. 그리고,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공간 온도의 쪽이 낮아지는 것이 제2 횟수 이상 있는 경우에,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공간 온도의 쪽이 높아지는 것이 제3 횟수 이상 있는 경우에,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즉, 냉방 운전 시에는,
공간 온도<설정 온도
가 성립하는지 여부가 제1 횟수 판정되고, 제2 횟수 이상 성립하는 경우에,
난방 운전 시에는,
공간 온도>설정 온도
가 성립하는지 여부가 제1 횟수 판정되고, 제3 횟수 이상 성립하는 경우에,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공간 온도가 설정 온도로부터 에너지 과잉 측으로 어느 정도 괴리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이고, 상태 검지부는, 냉방 운전 시에 공간 온도가 설정 온도를 하회하는 상태가 제1 시간보다 길게 계속된 경우, 또는, 난방 운전 시에 공간 온도가 설정 온도를 상회하는 상태가 제2 시간보다 길게 계속된 경우에, 에너지 과잉 상태라고 검지한다. 덧붙여, 제1 시간과 제2 시간은 같은 값이어도 무방하고, 다른 값이어도 무방하다.
이 공조 제어 장치는,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공간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도 낮은 상태가 길게 계속된 경우에,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공간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도 높은 상태가 길게 계속된 경우에,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즉, 냉방 운전 시에는,
공간 온도<설정 온도
가 성립하는 상태가 제1 시간보다 길게 계속된 경우에,
난방 운전 시에는,
공간 온도>설정 온도
가 성립하는 상태가 제2 시간보다 길게 계속된 경우에,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공간 온도가 설정 온도로부터 에너지 과잉 측으로 어느 정도 괴리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이고, 완화 제어부는, 팽창 기구 제어, 과열도 제어, 과냉각도 제어, 압축기 제어, 증발 온도 제어, 응축 온도 제어, 냉방 설정 온도 제어 및 난방 설정 온도 제어로 이루어지는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실행한다. 팽창 기구 제어는, 이용 유닛에 포함되는 팽창 기구의 개도(開度)를 작게 하는 제어이다. 과열도 제어는 과열도를 올리는 제어이다. 과냉각도 제어는 과냉각도를 올리는 제어이다. 압축기 제어는 압축기의 주파수를 내리는 제어이다. 증발 온도 제어는 냉매의 증발 온도를 올리는 제어이다. 응축 온도 제어는 냉매의 응축 온도를 내리는 제어이다. 냉방 설정 온도 제어는 냉방 운전 시에 설정 온도를 올리는 제어이다. 난방 설정 온도 제어는 난방 운전 시에 설정 온도를 내리는 제어이다.
이 공조 제어 장치는, 공조 대상 공간이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하의 8개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행한다. 1) 팽창 기구의 개도를 작게 한다. 2) 과열도를 올린다. 3) 과냉각도를 올린다. 4) 압축기의 주파수를 내린다. 5) 증발 온도를 올린다. 6) 응축 온도를 내린다. 7) 냉방 운전 시에 설정 온도를 올린다. 8) 난방 운전 시에 설정 온도를 내린다.
이것에 의하여, 공조기에 의한 공조 운전을 완화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는, 제1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장치이고, 완화 금지부를 더 구비한다. 완화 금지부는, 실외 습도가 소정 습도 값보다 높은 상황, 우천인 상황, 및, 공조기의 기동(起動) 후의 소정 기간 내인 상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황 하에서는, 완화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금지한다.
이 공조 제어 장치는, 이하의 상황 하에서는, 비록 공조 대상 공간이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여도, 공조 운전을 완화시키지 않는다. 1) 실외 습도가 높다. 2) 우천이다. 3) 공조기의 기동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
상기 1) 및 2)에 의하여, 쓸데없는 에너지의 소비를 줄이면서도, 습도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3)에 의하여, 공조 운전의 효과가 늦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열원 유닛과 이용 유닛과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용 유닛은, 열원 유닛에 냉매 배관을 통하여 접속된다. 제어부는 열원 유닛 및 이용 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상태 검지부와 완화 제어부를 가진다. 상태 검지부는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한다. 에너지 과잉 상태란, 공간 온도가 이용 유닛의 설정 온도를 냉방 운전 시에 하회하는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회하는 상태가 빈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공간 온도란, 이용 유닛의 공조 대상 공간의 온도이다. 완화 제어부는, 상태 검지부가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한 경우에, 에너지 과잉 상태를 완화하도록 열원 유닛 및 이용 유닛을 제어한다.
이 공기 조화 장치는, 공조 대상 공간이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자신에 의한 공조 운전을 완화한다. 덧붙여,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는 상태란,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공조 대상 공간이 설정 온도보다도 식혀진 상태에서 거의 안정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고,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공조 대상 공간이 설정 온도보다도 데워진 상태에서 거의 안정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것에 의하여, 에너지 절약인 공조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조 제어 방법은, 이용 유닛 및 열원 유닛을 가지는 공조기를 제어하는 방법이고, 상태 검지 스텝과 완화 제어 스텝을 구비한다. 상태 검지 스텝은,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한다. 에너지 과잉 상태란, 공간 온도가 이용 유닛의 설정 온도를 냉방 운전 시에 하회하는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회하는 상태가 빈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공간 온도란, 이용 유닛의 공조 대상 공간의 온도이다. 완화 제어 스텝은, 상태 검지 스텝에 있어서 에너지 과잉 상태가 검지된 경우에, 에너지 과잉 상태를 완화하도록 공조기를 제어한다.
이 공조 제어 방법에서는, 공조 대상 공간이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공조기에 의한 공조 운전이 완화된다. 덧붙여,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는 상태란,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공조 대상 공간이 설정 온도보다도 식혀진 상태에서 거의 안정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고,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공조 대상 공간이 설정 온도보다도 데워진 상태에서 거의 안정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것에 의하여, 에너지 절약인 공조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제1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 절약인 공조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의하면, 공조기에 의한 공조 운전을 완화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의하면, 공간 온도가 설정 온도로부터 에너지 과잉 측으로 어느 정도 괴리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의하면, 공간 온도가 설정 온도로부터 에너지 과잉 측으로 어느 정도 괴리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의하면, 공간 온도가 설정 온도로부터 에너지 과잉 측으로 어느 정도 괴리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의하면, 공조기에 의한 공조 운전을 완화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의하면, 쓸데없는 에너지의 소비를 줄이면서도, 습도를 쾌적하게 유지하거나 공조 운전의 효과가 늦어지지 않도록 하거나 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 절약인 공조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 절약인 공조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공조기의 실내 유닛이 설치된 실내 공간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공조기의 냉매 회로도.
도 3은 공조기 및 컨트롤러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의 써모 온/오프의 전환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의 써모 온/오프의 전환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에너지 과잉 상태에서의 온도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에너지 과잉 상태에서의 온도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9는 완화 레벨의 리셋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0은 변형예 (2)에 관련되는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1은 변형예 (3)에 관련되는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기(2)의 컨트롤러(1, 공조 제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공조기의 설치 환경>
도 1은, 공조기(2)의 실내 유닛(이용 유닛, 30a, 30b, …, 30y)이 설치된 실내 공간(A)의 모습을 도시한다.
실내 공간(A)은, 오피스 플로어나 음식점 등이 문을 연 넓은 하나의 공간이다. 실내 공간(A)의 천정에는, 복수의 실내 유닛(30a, 30b, …, 30y)이 적당한 간격을 두고 매립되어 있다. 도 1 중, 파선으로 구분된 셀 공간(Sa, Sb, …, Sy)은, 가상적으로 분할된 공간이고,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실내 유닛(30a, 30b, …, 30y)에 의한 공조 운전의 대상으로 되는 공간이다.
<공조기의 구성>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조기(2)는, 이른바 멀티 타입의 공조기이며, 실외 유닛(이용 유닛, 40)과, 복수의 실내 유닛(30a, 30b,…, 30y)과, 실내 유닛(30a, 30b, …, 30y)에 대한 운전 지령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리모컨(50)을 가지고 있다. 실내 유닛(30a, 30b, …, 30y)은, 실외 유닛(40)에 냉매 연락 배관(4)을 통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실외 유닛(40)은 옥외에 설치되어 있고, 리모컨(50)은 실내 공간(A)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실외 유닛(40)과 실내 유닛(30a, 30b, …, 30y)과 리모컨(50)은, 통신선(3)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리모컨(50)은, 각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기동/정지, 운전 모드(냉방 운전 모드, 난방 운전 모드, 송풍 모드 등), 설정 온도(Ts), 풍량, 풍향 등에 관한 운전 지령을 이용자로부터 받아, 제어부(80)로 송신한다.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케이싱 내에는, 실내 측 열교환기(31)와 팽창 밸브(32)와 실내 측 팬(35)이 수납되어 있다. 실외 유닛(40)의 케이싱 내에는, 압축기(41)와 사방 전환 밸브(42)와 실외 측 열교환기(43)와 어큐뮬레이터(44)와 실외 측 팬(45)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기(41)와 사방 전환 밸브(42)와 실외 측 열교환기(43)와 팽창 밸브(32)와 실내 측 열교환기(31)와 어큐뮬레이터(44)가 냉매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는 것으로, 냉매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 공조기(2)의 냉매 회로 내를 냉매가 순환하는 모습에 관하여 설명한다.
냉방 운전 시에는, 사방 전환 밸브(42)가 도 2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상태로 보지(保持)된다. 공조기(2)에 전원이 투입되면, 압축기(41)는, 저압 상태의 가스 냉매를 흡입하고, 고압 상태로 압축한다.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고압 상태의 가스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42)를 통하여 실외 측 열교환기(43)로 유입하고,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한다. 이 때, 실외 유닛(40)의 케이싱 내에서는, 실외 측 팬(45)의 구동에 의하여 기류가 형성되어 있고, 실외 측 열교환기(43)에 있어서의 열교환이 촉진되는 상태가 되어 있다. 실외 측 열교환기(43)에 있어서 액화한 냉매는, 냉매 연락 배관(4)을 통하여 써모 온 상태의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실내 측 열교환기(31)로 이끌려, 셀 공간(Sa, Sb, …, Sy) 내의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증발한다. 이 때,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케이싱 내에서는, 실내 측 팬(35)의 구동에 의하여 기류가 형성되어 있고, 실내 측 열교환기(31)에 있어서의 열교환이 촉진되는 상태가 되어 있다. 덧붙여, 실내 측 열교환기(31)로의 냉매의 유입량은, 그 상류 측의 팽창 밸브(32)의 개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냉매의 증발에 의하여 식혀진 공기는, 실내 측 팬(35)에 의하여 셀 공간(Sa, Sb, …, Sy) 내로 불어내져, 셀 공간(Sa, Sb, …, Sy) 내를 냉방한다. 또한, 실내 측 열교환기(31)에 있어서 기화한 냉매는, 냉매 연락 배관(4) 및 사방 전환 밸브(42)를 통하여 실외 유닛(40)의 압축기(41)로 되돌아온다.
한편, 난방 운전 시에는, 사방 전환 밸브(42)가 도 2에 있어서 파선으로 도시되는 상태로 보지된다. 공조기(2)에 전원이 투입되면, 압축기(41)는, 저압 상태의 가스 냉매를 흡입하고, 고압 상태로 압축한다.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고압 상태의 가스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42) 및 냉매 연락 배관(4)을 통하여 써모 온 상태의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실내 측 열교환기(31)로 유입하고, 셀 공간(Sa, Sb, …, Sy) 내의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한다. 이 때,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케이싱 내에서는, 실내 측 팬(35)의 구동에 의하여 기류가 형성되어 있고, 실내 측 열교환기(31)에 있어서의 열교환이 촉진되는 상태가 되어 있다. 덧붙여, 실내 측 열교환기(31)로의 냉매의 유입량은, 그 하류 측의 팽창 밸브(32)의 개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냉매의 응축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는, 실내 측 팬(35)에 의하여 셀 공간(Sa, Sb, …, Sy) 내로 불어내어져 셀 공간(Sa, Sb, …, Sy) 내를 난방한다. 또한, 실내 측 열교환기(31)에 있어서 액화한 냉매는, 냉매 연락 배관(4)을 통하여 실외 유닛(40)의 실외 측 열교환기(43)로 이끌려 실외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증발한다. 이 때, 실외 유닛(40)의 케이싱 내에서는, 실외 측 팬(45)의 구동에 의하여 기류가 형성되어 있고, 실외 측 열교환기(43)에 있어서의 열교환이 촉진되는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실외 측 열교환기(43)에 있어서 기화한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42)를 통하여 압축기(41)로 되돌아온다.
덧붙여, 압축기(41)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44)는,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운전 부하에 따라 냉매 회로 내에 발생하는 잉여 냉매를 모으는 것이 가능한 용기이다.
실외 유닛(40)의 케이싱 내에는, 각종 센서(60 ~ 67)가 장착되어 있다. 센서(60)는, 압축기(41)의 흡입관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을 검출한다. 센서(61)는 압축기(41)의 토출관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을 검출한다. 센서(62)는 압축기(41)로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63)는,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64)는 실외 측 열교환기(43)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응축 온도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증발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65)는 실외 측 열교환기(43)의 액측에 장착되어 있고, 액 상태 또는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의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66)는 실외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67)는 실외 습도(Wr)를 검출한다.
또한,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케이싱 내에도, 각종 센서(70 ~ 72)가 장착되어 있다. 센서(70)는 실내 측 열교환기(31)의 액측에 장착되어 있고, 액 상태 또는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의 온도(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응축 온도 또는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의 증발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71)는 실내 측 열교환기(31)의 가스 측에 장착되어 있고, 가스 상태 또는 기액이상 상태의 냉매의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72)는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는 실내 공기의 흡입구의 근방에 장착되어 있고, 실내 온도(Tr)를 검출한다.
각종 센서(60 ~ 67, 70 ~ 72)에 있어서의 검출값은, 소정의 시간 간격(K1)으로(본 실시예에서는, 5분마다) 제어부(8)로 송신된다.
공조기(2)의 제어부(8)는, 주로, 실외 유닛(40)의 케이싱 내에 수납되어 있는 실외 측 제어부(8a)와,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케이싱 내에 수납되어 있는 실내 측 제어부(8b)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8a, 8b)는, 각각 마이크로컴퓨터나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실외 측 제어부(8a)와 실내 측 제어부(8b)는, 통신선(3)을 통하여 필요한 제어 신호를 교환하면서, 리모컨(50)을 통하여 입력된 이용자로부터의 운전 지령에 따라 공조기(2)에 의한 공조 운전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는, 이용자로부터의 운전 지령에 따른 공조 운전을 실현하는데 적당한 피제어 부품(32, 35, 41, 42, 44, 45)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당해 제어 파라미터를 대응하는 피제어 부품(32, 35, 41, 42, 44, 45)으로 송신한다. 덧붙여, 제어부(8)에 의한 제어 파라미터의 결정에는, 각종 센서(60 ~ 67, 70 ~ 72)에 있어서의 검출값이 이용된다.
또한, 제어부(8)는, 냉방 운전 중 및 난방 운전 중에 써모 온/오프의 전환 제어를 행한다. 써모 온/오프의 전환 제어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 온도(Tr)가 설정 온도(Ts)로부터 소정 온도 ΔT(본 실시예에서는, 1℃) 괴리한 경우에,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써모 온 상태와 써모 오프 상태를 전환하는 제어이다. 덧붙여, 써모 온 상태란, 실내 측 열교환기(31) 내를 냉매가 흐르고 있는 상태의 것을 말하고, 써모 오프 상태란, 팽창 밸브(32)가 최대 닫혀져 있어, 실내 측 열교환기(31) 내를 냉매가 전혀 흐르고 있지 않는 또는 거의 흐르고 있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당해 전환 제어에 의하여, 실내 온도(Tr)가 설정 온도(Ts)로부터 크게 괴리하여 버리는 것이 없게 되어 있다.
<컨트롤러의 구성>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는, 통신선(3)을 통하여 공조기(2)의 제어부(8, 실외 측 제어부(8a) 및 실내 측 제어부(8b))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8)를 통하여 공조기(2)에 의한 공조 운전을 감시 및 제어한다. 컨트롤러(1)는, 제어부(10) 및 기억부(20)를 가지고 있다.
제어부(10)는, 기억부(20)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상태 검지부(11), 완화 제어부(12), 완화 금지부(13) 및 데이터 수집부(14)로서 동작한다.
데이터 수집부(14)는, 소정의 시간 간격(K1)으로(본 실시예에서는, 5분마다), 공조기(2)의 제어부(8)로부터 센서(60 ~ 67, 70 ~ 72)에 있어서의 검출값을 수집하고, 수집한 검출값을 수집 시각에 대응지어 기억부(20) 내에 보존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4)는, 각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기동/정지, 운전 모드, 설정 온도(Ts), 풍량, 풍향 등에 관한 운전 지령의 데이터를 이용자에 의한 입력 시에 공조기(2)의 제어부(8)로부터 리얼타임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수집 시각에 대응지어 기억부(20) 내에 보존한다. 기억부(20)에는, 소정의 시간(본 실시예에서는, 1시간)분의 상기 데이터를 보존해 둘 만큼의 기억 용량이 확보되어 있다.
상태 검지부(11)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본 실시예에서는, 1시간마다), 각 셀 공간(Sa, Sb, …, Sy)이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는 상태(에너지 과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에너지 과잉 상태로서는, 실내 온도(Tr)가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천하는 상태가 상정된다. 즉, 냉방 운전 시(도 6 참조)이면, 실내 온도(Tr)가 설정 온도(Ts)를 하회하는 상태가 빈발하고 있는데에도 불구하고, 실내 온도(Tr)가 설정 온도(Ts)로부터 ΔT 이상 괴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써모 오프도 되는 것이 없는 것과 같은 상태이다. 한편, 난방 운전 시(도 7 참조)이면, 실내 온도(Tr)가 설정 온도(Ts)를 상회하는 상태가 빈발하고 있는데에도 불구하고, 실내 온도(Tr)가 설정 온도(Ts)로부터 ΔT 이상 괴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써모 오프도 되는 것이 없는 것과 같은 상태이다.
완화 제어부(12)는, 상태 검지부(11)에 의하여 어느 셀 공간(Sa, Sb, …, Sy)이 에너지 과잉 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그와 같은 에너지 과잉 상태를 완화하도록, 당해 셀 공간(Sa, Sb, …, Sy)에 대응하는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공조 운전을 완화하도록 공조기(2)의 제어부(8)에 명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완화 레벨을 올리는 설정을 행한다. 완화 레벨이란, 제어부(8)가 공조 운전의 제어 시에 참조하는 제어 파라미터이다.
완화 레벨에는, Lv0 ~ Lv5의 6단계가 마련되어 있고, 완화 레벨이 높게 설정되어 있는 실내 유닛(30a, 30b, …, 30y)일수록, 공조 운전이 보다 완화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완화 레벨이 Lv0으로 설정되어 있는 실내 유닛(30a, 30b, …, 30y)은 통상의 공조 운전을 행하지만, 완화 레벨이 Lv1, Lv2,…로 오르는 것에 따라,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팽창 밸브(32)가 보다 조여져 실내 측 열교환기(31)에서의 열교환량이 적게 된다. 여기서, Lv0 ~ Lv5에서의 팽창 밸브(32)의 개도를 각각 H0 ~ H5로 하면, 개도 H1 ~ H5는 이하의 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H1=H0-Δh1
H2=H0-Δh2
H3=H0-Δh3
H4=H0-Δh4
H5=H0-Δh5
단,
Δh1<Δh2<Δh3<Δh4<Δh5
라 한다. 따라서,
H0>H1>H2>H3>H4>H5
로 되어 있고, 개도 H5일 때, 팽창 밸브(32)는 가장 조여진 상태로 된다. 제어 정수 Δh1 ~ Δh5는, 기억부(20)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20)에는, 후술하는 그 외의 제어 정수도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완화 금지부(13)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본 실시예에서는, 5분마다), 완화 제어부(12)로부터 설정된 각 실내 유닛(30a, 30b, …, 30y)의 완화 레벨을 필요에 따라 리셋한다(완화 레벨을 Lv0으로 되돌린다).
덧붙여, 제어부(10)는, 데이터 수집부(14)로써 수집한 각종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완화 레벨의 설정 이외의 제어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의 흐름>
도 8을 참조하여,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당해 처리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본 실시예에서는, 1시간마다) 각 실내 유닛(30a, 30b, …, 30y)에 관하여 실행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내 유닛(30a)에 관하여 실행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스텝 S11에서는, 상태 검지부(11)는, 과거의 시간(K2, 본 실시예에서는, 1시간)분의 실내 온도(Tr) 및 설정 온도(Ts)의 데이터를 기억부(20)로부터 읽어낸다.
계속되는 스텝 S12에서는, 상태 검지부(11)는, 스텝 S11에서 취득한 과거의 시간(K2)분의 실내 온도(Tr) 및 설정 온도(Ts)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온도(Tr)로부터 당해 실내 온도(Tr)의 검출 시의 설정 온도(Ts)를 마이너스한 차분을 과거의 시간(K2)분 산출하고, 산출한 차분을 적산한다.
즉, 상태 검지부(11)는,
∑(Tr-Ts)
를 산출한다. 덧붙여, ∑는, 과거의 시간(K2)에 있어서의 실내 온도(Tr)의 검출 횟수(K2/K1, 본 실시예에서는, 1시간/5분=12회)분의 적산을 의미한다.
계속되는 스텝 S13에서는, 상태 검지부(11)는, 실내 유닛(30a)의 현재의 운전 모드를 체크하여, 현재의 운전 모드가 냉방 운전 모드이면 스텝 S14로 진행되고, 난방 운전 모드이면 스텝 S19로 진행된다.
스텝 S14에서는, 상태 검지부(11)는, 스텝 S12에서 산출한 ∑(Tr-Ts)의 값과 소정값(V1, 본 실시예에서는 0℃)을 비교한다.
즉, 상태 검지부(11)는,
∑(Tr-Ts)<V1
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성립하는 경우에는 스텝 S15로 진행되고,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진행된다. 덧붙여, ∑(Tr-Ts)<V1이 성립한다고 하는 것은, 과거의 K2시간의 동안, 셀 공간(Sa) 내의 실내 온도(Tr)가 설정 온도(Ts)를 하회하는 상태에 치우쳐 있던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스텝 S14에서는, 에너지 과잉 상태인지 여부가 판단되어 있다.
스텝 S15에서는, 완화 제어부(12)는, 실내 유닛(30a)의 완화 레벨을 1단계 올리도록 공조기(2)의 제어부(8)에 명령한다. 덧붙여, 이미 완화 레벨이 최대 레벨 Lv5에 달하고 있는 경우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스텝 S15가 종료하면,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6에서는, 상태 검지부(11)는, 스텝 S11에서 취득한 과거의 시간(K2)분의 실내 온도(Tr) 및 설정 온도(Ts)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온도(Tr)로부터 당해 실내 온도(Tr)의 검출 시의 설정 온도(Ts)에 ΔT(도 4 및 5 참조)를 더한 온도를 마이너스한 차분을 과거의 시간(K2)분 산출하고, 산출한 차분을 적산한다.
즉, 상태 검지부(11)는,
∑{Tr-(Ts+ΔT)}
를 산출한다. 덧붙여, ∑는, 과거의 시간(K2)에 있어서의 실내 온도(Tr)의 검출 횟수(K2/K1, 본 실시예에서는, 1시간/5분=12회)분의 적산을 의미한다.
계속되는 스텝 S17에서는, 스텝 S16에서 산출한 ∑{Tr-(Ts+ΔT)}의 값과 소정값(V2, 본 실시예에서는 0℃)을 비교한다.
즉, 상태 검지부(11)는,
∑{Tr-(Ts+ΔT)}≥V2
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성립하는 경우에는 스텝 S18로 진행되고,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를 종료시킨다. 덧붙여, {Tr-(Ts+ΔT)}≥V2가 성립한다고 하는 것은, 실내 온도(Tr)가 설정 온도(Ts)를 ΔT 이상 상회하는 상태가 빈발하고 있는(즉, 써모 온하고 있지만, 충분히 냉방되어 있지 않는 능력 부족의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계속되는 스텝 S18에서는, 완화 제어부(12)는, 실내 유닛(30a)의 완화 레벨을 1단계 되돌리도록 공조기(2)의 제어부(8)에 명령한다. 덧붙여, 이미 완화 레벨이 통상 레벨 Lv0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스텝 S18이 종료하면,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도 종료한다.
한편, 난방 운전 모드의 경우에 실행되는 스텝 S19에서는, 상태 검지부(11)는, 스텝 S12에서 산출한 ∑(Tr-Ts)의 값과 소정값(V3, 본 실시예에서는 0℃)을 비교한다.
즉, 상태 검지부(11)는,
∑(Tr-Ts)>V3
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성립하는 경우에는 스텝 S20으로 진행하고,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21로 진행된다. 덧붙여, ∑(Tr-Ts)>V3이 성립한다라고 하는 것은, 과거의 K2시간의 동안, 셀 공간(Sa) 내의 실내 온도(Tr)가 설정 온도(Ts)를 상회하는 상태에 치우쳐 있던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스텝 S19에서는, 에너지 과잉 상태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있다.
스텝 S20에서는, 완화 제어부(12)는, 실내 유닛(30a)의 완화 레벨을 1단계 올리도록 공조기(2)의 제어부(8)에 명령한다. 덧붙여, 이미 완화 레벨이 최대 레벨 Lv5에 달하고 있는 경우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스텝 S20이 종료하면,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1에서는, 상태 검지부(11)는, 스텝 S11에서 취득한 과거의 시간(K2)분의 실내 온도(Tr) 및 설정 온도(Ts)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온도(Tr)로부터 당해 실내 온도(Tr)의 검출 시의 설정 온도(Ts)로부터 ΔT(도 4 및 5 참조)를 마이너스한 온도를 마이너스한 차분을 과거의 시간(K2)분 산출하고, 산출한 차분을 적산한다.
즉, 상태 검지부(11)는,
∑{Tr-(Ts-ΔT)}
를 산출한다. 덧붙여, ∑는, 과거의 시간(K2)에 있어서의 실내 온도(Tr)의 검출 횟수(K2/K1, 본 실시예에서는, 1시간/5분=12회)분의 적산을 의미한다.
계속되는 스텝 S22에서는, 스텝 S21에서 산출한 ∑{Tr-(Ts-ΔT)}의 값과 소정값(V4, 본 실시예에서는 0℃)을 비교한다.
즉, 상태 검지부(11)는,
∑{Tr-(Ts-ΔT)}≤V4
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성립하는 경우에는, 스텝 S23으로 진행되고,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를 종료시킨다. 덧붙여, ∑{Tr-(Ts-ΔT)}≤V4가 성립한다고 하는 것은, 실내 온도(Tr)가 설정 온도(Ts)를 ΔT 이상 하회하는 상태가 빈발하고 있는(즉, 써모 온하고 있지만, 충분히 난방되어 있지 않는 능력 부족의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계속되는 스텝 S23에서는, 완화 제어부(12)는, 실내 유닛(30a)의 완화 레벨을 1단계 되돌리도록 공조기(2)의 제어부(8)에 명령한다. 덧붙여, 이미 완화 레벨이 통상 레벨 Lv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스텝 S23이 종료하면,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도 종료한다.
<완화 레벨의 리셋 처리의 흐름>
도 9를 참조하여, 완화 레벨의 리셋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당해 처리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본 실시예에서는, 5분마다) 각 실내 유닛(30a, 30b, …, 30y)에 관하여 실행된다. 완화 레벨의 리셋 처리란, 정기적으로 기동되는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에 의하여 설정된 완화 레벨을 필요에 따라 리셋하는(완화 레벨을 Lv0으로 되돌리는) 처리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내 유닛(30a)에 관하여 실행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스텝 S31에서는, 완화 금지부(13)는, 현재의 완화 레벨을 판정한다. 현재의 완화 레벨이 Lv0이면, 완화 레벨의 리셋 처리는 종료하고, 현재의 완화 레벨이 Lv1 이상이면, 스텝 S32로 진행된다.
스텝 S32에서는, 완화 금지부(13)는, 실내 유닛(30a)이 기동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K5, 본 실시예에서는, 1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 S33으로 진행되고,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완화 레벨을 리셋하는 후술의 스텝 S35로 진행된다. 기동 후의 소정의 시간(본 실시예에서는, 1시간) 내에 완화 레벨이 Lv1 이상으로 설정되어 버리면, 셀 공간(Sa) 내의 실내 온도(Tr)가 설정 온도(Ts)에 달하는 것이 늦어져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완화 레벨을 리셋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계속되는 스텝 S33에서는, 완화 금지부(13)는, 실내 유닛(30a)의 현재의 운전 모드를 체크하고, 현재의 운전 모드가 냉방 운전 모드이면 스텝 S34로 진행되고, 난방 운전 모드이면 스텝 S34를 실행하는 것 없이, 완화 레벨의 리셋 처리를 종료시킨다.
스텝 S34에서는, 완화 금지부(13)는, 실외 유닛(40)에 장착되어 있는 습도 센서(67)로부터 실외 습도(Wr)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실외 습도(Wr)와 소정값(W0, 본 실시예에서는 90%)을 비교한다.
즉, 완화 금지부(13)는,
Wr≥W0
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완화 레벨을 리셋하는 스텝 S35를 실행하는 것 없이, 완화 레벨의 리셋 처리를 종료시키고, 성립하는 경우에는 완화 레벨을 리셋하는 스텝 S35로 진행된다. 실외 습도(Wr)가 높아져 있을 때에 냉방 운전이 완화되어 있으면, 셀 공간(Sa) 내가 충분히 제습되지 않아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완화 레벨을 리셋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스텝 S35에서는, 완화 금지부(13)는, 실내 유닛(30a)의 완화 레벨을 Lv0으로 설정하도록 공조기(2)의 제어부(8)에 명령한다. 스텝 S35가 종료하면, 완화 레벨의 리셋 처리도 종료한다.
<특징>
상기 컨트롤러(1)는, 셀 공간(Sa, Sb, …, Sy)이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팽창 밸브(32)의 개도를 조여, 실내 유닛(30a, 30b, …, 30y)을 흐르는 냉매량을 줄이도록 공조기(2)에 명령한다. 이것에 의하여, 에너지 절약인 공조 운전이 실현되게 된다. 덧붙여, 과잉으로 공조되어 있는 상태(에너지 과잉 상태)란, 냉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셀 공간(Sa, Sb, …, Sy)이 설정 온도(Ts)보다도 식혀진 상태에서 거의 안정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고, 난방 운전 시에 있어서는 셀 공간(Sa, Sb, …, Sy)이 설정 온도(Ts)보다도 데워진 상태에서 거의 안정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변형예>
(1)
컨트롤러(1)의 상태 검지부(11), 완화 제어부(12), 완화 금지부(13) 및 데이터 수집부(14)가 공조기(2)의 제어부(8)에 짜넣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즉, 컨트롤러(1)에 의한 완화 레벨의 설정 처리 및 리셋 처리가 제어부(8)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검지부(11)에 의한 에너지 과잉 상태의 검지를 이하와 같이 행하여도 무방하다.
즉,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12를 생략하고, 스텝 S14 대신에 스텝 S114를, 스텝 S19 대신에 스텝 S119를 삽입하여도 무방하다.
냉방 운전 모드의 경우에 실행되는 스텝 S114에서는, 상태 검지부(11)는, 스텝 S11에서 취득한 과거의 시간(K2)분의 실내 온도(Tr) 및 설정 온도(Ts)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과거의 시간(K2) 내에 검출된 실내 온도(Tr)와, 당해 실내 온도(Tr)의 검출 시의 설정 온도(Ts)의 비교를 행한다.
즉, 상태 검지부(11)는,
Tr<Ts
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K2/K1회(본 실시예에서는, 1시간/5분=12회) 판단하고, V5회(본 실시예에서는, 10회) 이상 성립하는 경우에는 스텝 S15로 진행되고,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진행된다.
또한, 난방 운전 모드의 경우에 실행되는 스텝 S119에서는, 상태 검지부(11)는, 스텝 S11에서 취득한 과거의 시간(K2)분의 실내 온도(Tr) 및 설정 온도(Ts)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과거의 시간(K2) 내에 검출된 실내 온도(Tr)와, 당해 실내 온도(Tr)의 검출 시의 설정 온도(Ts)의 비교를 행한다.
즉, 상태 검지부(11)는,
Tr>Ts
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K2/K1회(본 실시예에서는, 1시간/5분=12회) 판단하고, V6회(본 실시예에서는, 10회) 이상 성립하는 경우에는 스텝 S20으로 진행되고,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21로 진행된다.
(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검지부(11)에 의한 에너지 과잉 상태의 검지를 이하와 같이 행하여도 무방하다.
즉,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12를 생략하고, 스텝 S14 대신에 스텝 S214를, 스텝 S19 대신에 스텝 S219를 삽입하여도 무방하다.
냉방 운전 모드의 경우에 실행되는 스텝 S214에서는, 상태 검지부(11)는, 스텝 S11에서 취득한 과거의 시간(K2)분의 실내 온도(Tr) 및 설정 온도(Ts)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온도(Tr)가 당해 실내 온도(Tr)의 검출 시의 설정 온도(Ts)보다도 낮은 상태가 어느 정도 계속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태 검지부(11)는,
Tr<Ts
가 성립하는 상태가 소정의 시간(K3, 본 실시예에서는 30분) 이상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5로 진행되고, 연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진행된다.
또한, 난방 운전 모드의 경우에 실행되는 스텝 S219에서는, 상태 검지부(11)는, 스텝 S11에서 취득한 과거의 시간(K2)분의 실내 온도(Tr) 및 설정 온도(Ts)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온도(Tr)가 당해 실내 온도(Tr)의 검출 시의 설정 온도(Ts)보다도 높은 상태가 어느 정도 계속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태 검지부(11)는,
Tr>Ts
가 성립하는 상태가 소정의 시간(K4, 본 실시예에서는, 30분) 이상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0으로 진행되고, 연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로 진행된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완화 금지부(13)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완화 레벨을 리셋하고 있다. 그러나, 완화 금지부(13)는, 일단 완화 레벨을 Lv1 이상으로 설정한 후에 리셋하는 것이 아니라, 완화 레벨을 Lv1 이상으로 설정하기 직전에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의 조건 하에서는 원래 완화 레벨을 Lv1 이상으로 설정하지 않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완화 레벨이 높아지는 것에 따라 팽창 밸브(32)의 개도를 작게 하여 가는 것에 의하여, 공조 운전을 완화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그 외의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공조 운전을 완화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완화 레벨이 높아지는 것에 따라 열교환기(31, 43)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열도를 올리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완화 레벨이 높아지는 것에 따라 열교환기(31, 43)의 출구에 있어서의 냉매의 과냉각도를 올리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완화 레벨이 높아지는 것에 따라 압축기(41)의 주파수를 내리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완화 레벨이 높아지는 것에 따라 냉매의 증발 온도를 올리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완화 레벨이 높아지는 것에 따라 냉매의 응축 온도를 내리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냉방 운전 시이면, 완화 레벨이 높아지는 것에 따라 설정 온도(Ts)를 올리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난방 운전 시이면, 완화 레벨이 높아지는 것에 따라 설정 온도(Ts)를 내리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6)
상기 실시예의 완화 레벨의 리셋 처리에서는, 실외 습도(Wr)가 소정값(W0, 본 실시예에서는 90%)보다도 높은 경우에, 완화 레벨이 리셋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완화 금지부(13)가, 기상(氣像) 데이터(우천이다, 우기이다 등)를 이용자의 수동 입력에 의하여, 혹은, 통신 회선을 통하여 소정의 데이터 서버로부터 자동적으로 취득하고 실외 공기의 다습 상태를 검지하여, 완화 레벨을 리셋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7)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1시간마다) 완화 레벨이 재점검되고, 완화 레벨을 올려 갈 때는, 1단계씩밖에 올려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에너지 과잉의 정도가 큰 경우, 그 정도에 따라, 한 번에 2단계 이상 올려도 무방하다.
(8)
상기 실시예의 완화 레벨의 리셋 처리에서는, 완화 레벨을 내리는 방법으로서는, 완화 레벨을 Lv0으로 설정한다고 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방법 대신 「리셋 전의 완화 레벨을 기억해 두고, 완화 금지의 조건이 없어지는 대로, 리셋 전의 완화 레벨로 되돌린다」라고 하는 방법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9)
상기 실시예의 완화 레벨의 리셋 처리는, 모든 실내 유닛(30a, 30b, …, 30y)을 대상으로 하여 실행되어 있다. 그러나, 완화 레벨의 리셋 처리를 행하는 대상을, 같은 실내에 있는 일부의 실내 유닛(30a, 30b, …, 30y)에 한정하여(예를 들어, 대수를 한정하는, 혹은, 특정의 위치의 실내 유닛(30a, 30b, …, 30y)에만 한정하는 등)도 무방하다.
(10)
상기 변형예를 임의로 조합하여도 무방하다.
1: 컨트롤러
2: 공조기
8: 제어부
10: 제어부
11: 상태 검지부
12: 완화 제어부
13: 완화 금지부
30a, 30b, …, 30y: 실내 유닛(이용 유닛)
31: 실내 측 열교환기
32: 팽창 밸브(팽창 기구)
40: 실외 유닛(열원 유닛)
41: 압축기
Sa, Sb, …, Sy: 셀 공간(공조 대상 공간)
Tr: 실내 온도
Ts: 설정 온도
Wr: 실외 습도

Claims (9)

  1. 이용 유닛(30a, 30b, …, 30y) 및 열원 유닛(40)을 가지는 공조기(2)를 제어하는 공조 제어 장치(1)이고,
    상기 이용 유닛의 공조 대상 공간(Sa, Sb, …, Sy)의 공간 온도(Tr)가 상기 이용 유닛의 설정 온도(Ts)를 냉방 운전 시에 하회(下廻)하는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회(上廻)하는 상태가 빈발하고 있는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하는 상태 검지부(11)와,
    상기 상태 검지부가 상기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에너지 과잉 상태를 완화하도록 상기 공조기를 제어하는 완화 제어부(12)
    를 구비하는,
    공조 제어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제어부(12)는, 상기 상태 검지부(11)가 상기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이용 유닛(30a, 30b, …, 30y)을 흐르는 냉매량이 적게 되도록 상기 공조기(2)를 제어하는,
    공조 제어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지부(11)는, 상기 공간 온도(Tr)로부터 상기 설정 온도(Ts)를 마이너스한 차분을 소정 횟수(K2/K1) 검출하고, 냉방 운전 시에 상기 차분의 적산(積算)값이 제1 값(V1)보다 작은 경우,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기 차분의 적산 값이 제2 값(V3)보다도 큰 경우에, 상기 에너지 과잉 상태라고 검지하는,
    공조 제어 장치(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지부(11)는, 상기 공간 온도(Tr)와 상기 설정 온도(Ts)의 대소 관계를 제1 횟수(K2/K1) 판정하고, 냉방 운전 시에 상기 공간 온도의 쪽이 작은 것이 제2 횟수(V5) 이상 있는 경우,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기 공간 온도의 쪽이 큰 것이 제3 횟수(V6) 이상 있는 경우에, 상기 에너지 과잉 상태라고 검지하는,
    공조 제어 장치(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지부(11)는, 냉방 운전 시에 상기 공간 온도(Tr)가 상기 설정 온도(Ts)를 하회하는 상태가 제1 시간(K3)보다 길게 계속된 경우,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기 공간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를 상회하는 상태가 제2 시간(K4)보다 길게 계속된 경우에, 상기 에너지 과잉 상태라고 검지하는,
    공조 제어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제어부(12)는, 상기 이용 유닛(30a, 30b, …, 30y)에 포함되는 팽창 기구(32)의 개도(開度)를 작게 하는 팽창 기구 제어, 과열도를 올리는 과열도 제어, 과냉각도를 올리는 과냉각도 제어, 압축기(41)의 주파수를 내리는 압축기 제어, 냉매의 증발 온도를 올리는 증발 온도 제어, 냉매의 응축 온도를 내리는 응축 온도 제어, 냉방 운전 시에 상기 설정 온도(Ts)를 올리는 냉방 설정 온도 제어, 및, 난방 운전 시에 상기 설정 온도를 내리는 난방 설정 온도 제어로 이루어지는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실행하는,
    공조 제어 장치(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외 습도(Wr)가 소정 습도 값(W0)보다 높은 상황, 우천인 상황, 및, 상기 공조기(2)의 기동(起動) 후의 소정 기간(K5) 내인 상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황 하에서는, 상기 완화 제어부(12)에 의한 제어를 금지하는 완화 금지부(13),
    를 더 구비하는,
    공조 제어 장치(1).
  8. 열원 유닛(40)과,
    상기 열원 유닛에 냉매 배관(4)을 통하여 접속되는 이용 유닛(30a, 30b, …, 30y)과,
    상기 열원 유닛 및 상기 이용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용 유닛(30a, 30b, …, 30y)의 공조 대상 공간(Sa, Sb, …, Sy)의 공간 온도(Tr)가 상기 이용 유닛의 설정 온도(Ts)를 냉방 운전 시에 하회하는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회하는 상태가 빈발하고 있는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하는 상태 검지부(11)와,
    상기 상태 검지부가 상기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에너지 과잉 상태를 완화하도록 상기 열원 유닛 및 상기 이용 유닛을 제어하는 완화 제어부(12)
    를 가지는,
    공기 조화 장치(2).
  9. 이용 유닛(30a, 30b, …, 30y) 및 열원 유닛(40)을 가지는 공조기(2)를 제어하는 공조 제어 방법이고,
    상기 이용 유닛의 공조 대상 공간(Sa, Sb, …, Sy)의 공간 온도(Tr)가 상기 이용 유닛의 설정 온도(Ts)를 냉방 운전 시에 하회하는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회하는 상태가 빈발하고 있는 에너지 과잉 상태를 검지하는 상태 검지 스텝(S14, S19)과,
    상기 상태 검지 스텝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과잉 상태가 검지된 경우에, 상기 에너지 과잉 상태를 완화하도록 상기 공조기를 제어하는 완화 제어 스텝(S15, S20)
    을 구비하는,
    공조 제어 방법.
KR1020107010988A 2007-11-05 2008-11-04 공조 제어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공조 제어 방법 KR101183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7856 2007-11-05
JP2007287856A JP2009115359A (ja) 2007-11-05 2007-11-05 空調制御装置、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調制御方法
PCT/JP2008/003161 WO2009060586A1 (ja) 2007-11-05 2008-11-04 空調制御装置、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調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985A true KR20100085985A (ko) 2010-07-29
KR101183032B1 KR101183032B1 (ko) 2012-09-14

Family

ID=4062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988A KR101183032B1 (ko) 2007-11-05 2008-11-04 공조 제어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공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41287A1 (ko)
EP (1) EP2226579A1 (ko)
JP (1) JP2009115359A (ko)
KR (1) KR101183032B1 (ko)
CN (1) CN101849143A (ko)
AU (1) AU2008325932B8 (ko)
WO (1) WO2009060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3470B2 (ja) * 2008-07-23 2013-07-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群管理装置および群管理システム
CN102762928B (zh) * 2010-02-17 2015-09-09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和系统
JP5672088B2 (ja) * 2010-03-31 2015-02-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コントローラ
JP5152251B2 (ja) * 2010-05-07 2013-0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
US9645014B2 (en) * 2011-03-21 2017-05-09 Philips Lighting Holding B.V.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ervisory control of an HVAC system
JP5927576B2 (ja) 2011-04-21 2016-06-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エネルギー管理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5527300B2 (ja) * 2011-09-30 2014-06-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10354345B2 (en) 2012-01-23 2019-07-16 Whisker Labs, Inc. Optimizing and controll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a building
US9612591B2 (en) 2012-01-23 2017-04-04 Earth Networks, Inc. Optimizing and controll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a building
US9261863B2 (en) * 2012-01-23 2016-02-16 Earth Networks, Inc. Optimizing and controll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a building
KR20130134349A (ko) * 2012-05-30 2013-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냉난방제어방법
DE102012011519A1 (de) * 2012-06-08 2013-12-12 Yack SAS Klimaanlage
JP5998984B2 (ja) * 2013-02-26 2016-09-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装置
JPWO2014162509A1 (ja) * 2013-04-02 2017-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制御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5725114B2 (ja) * 2013-09-24 2015-05-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5790729B2 (ja) * 2013-09-30 2015-10-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5169386A (ja) * 2014-03-07 2015-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4748301B (zh) * 2015-03-06 2017-03-15 深圳达实智能股份有限公司 一种消除中央空调温度控制系统稳态误差的方法及系统
JP6048549B1 (ja) * 2015-08-07 2016-12-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6645377B2 (ja) * 2016-08-02 2020-02-14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
EP3781879A4 (en) 2018-04-20 2022-01-1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WITH VARIABLE ATTENUATION THRESHOLDS
US11994313B2 (en) 2018-04-20 2024-05-28 Copeland Lp Indoor air quality sensor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WO2019204779A1 (en) 2018-04-20 2019-10-2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Indoor air quality and occupan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11486593B2 (en) 2018-04-20 2022-11-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with variable mitigation thresholds
US11421901B2 (en) 2018-04-20 2022-08-2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ordinated control of standalone and building indoor air quality devices and systems
CN109114759B (zh) * 2018-10-15 2020-05-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控制终端、一拖多空调器的控制方法及装置和存储介质
EP3733885A4 (en) 2019-03-07 2020-12-30 Mitsubishi Power, Ltd. HEAT EXCHANGER
CN111795485A (zh) 2019-04-03 2020-10-20 群光电能科技股份有限公司 空调箱控制系统
US11486597B2 (en) * 2019-04-03 2022-11-01 Chicony Power Technology Co., Lt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system
KR20230050106A (ko) * 2021-10-07 2023-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6755A (en) * 1980-05-21 1982-08-31 General Electric Company Two stage control circuit for reversible air cycle heat pump
JPS57207773A (en) * 1981-06-17 1982-12-20 Taiheiyo Kogyo Kk Method of controlling cooling circuit and its control valve
JP2856512B2 (ja) * 1990-06-28 1999-02-10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KR0157021B1 (ko) * 1996-01-29 1999-01-15 구자홍 공기조화기 제상방법
JP2943685B2 (ja) * 1996-02-29 1999-08-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
KR100210086B1 (ko) * 1996-12-20 1999-07-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가변장치 및 방법
JP2002061925A (ja) * 2000-08-23 2002-02-28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3076411U (ja) * 2000-09-19 2001-04-06 船井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
CN1258664C (zh) * 2002-01-11 2006-06-07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拖多空调的控制方法
JP2005147410A (ja) * 2003-11-11 2005-06-09 Hitachi Ltd 空気調和機
US6968707B2 (en) * 2003-12-02 2005-11-2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Variable speed, electronically controlled, room air conditioner
KR100720811B1 (ko) * 2004-03-31 2007-05-2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시스템
JP3709482B2 (ja) * 2004-03-31 2005-10-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EP1775528A1 (en) * 2004-08-02 2007-04-18 Daikin Industries, Ltd. Refrigeration unit
US7886550B2 (en) * 2005-05-06 2011-02-15 Panasonic Corporation Refrigerating machine
JP4811077B2 (ja) * 2006-03-24 2011-11-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15359A (ja) 2009-05-28
AU2008325932A1 (en) 2009-05-14
AU2008325932B2 (en) 2011-08-04
US20100241287A1 (en) 2010-09-23
CN101849143A (zh) 2010-09-29
EP2226579A1 (en) 2010-09-08
AU2008325932B8 (en) 2011-08-25
WO2009060586A1 (ja) 2009-05-14
KR101183032B1 (ko) 201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032B1 (ko) 공조 제어 장치, 공기 조화 장치 및 공조 제어 방법
CN105371545B (zh) 空调器及其制冷系统的制冷剂循环量调节方法
JP5012777B2 (ja) 空気調和機
CN110207314A (zh) 空调器及其空调控制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AU2010253331A1 (en) Air conditioner
JP5958503B2 (ja) 室温調整システム
CN104949210B (zh) 空调系统、空调器和空调系统的控制方法
WO2018173120A1 (ja) 除湿機
JP6785987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3835453B2 (ja) 空気調和装置
WO2019116599A1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4270274B2 (ja) 室外機
CN115031351B (zh) 空调器和空调器除霜控制方法
JP2009058222A (ja) 室外機
JP5213372B2 (ja) 空気調和機
JP2012193952A (ja) 空調制御装置、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調制御方法
JP2020153646A (ja) 空気調和機
JP6755396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480058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10281544A (ja) 空気調和機
CN113614469B (zh) 空调装置
JP7374633B2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70138703A (ko)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395343A (ja)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7400583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