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436A - 관체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관체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436A
KR20100084436A KR1020090003942A KR20090003942A KR20100084436A KR 20100084436 A KR20100084436 A KR 20100084436A KR 1020090003942 A KR1020090003942 A KR 1020090003942A KR 20090003942 A KR20090003942 A KR 20090003942A KR 20100084436 A KR20100084436 A KR 20100084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ube
shape
shape retain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579B1 (ko
Inventor
장동원
Original Assignee
장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원 filed Critical 장동원
Priority to KR102009000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5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패릿)의 레진으로 우오수관과 같은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고,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되어 배출되는 관체의 형상ㆍ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면서 냉각시켜 형성하며, 형상ㆍ모양이 유지되는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괘도형으로 작동되는 인취장치에 의해 인취하면서 컷팅장치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컷팅하여 배출시키는 관체 성형장치를 개선한 것이다.
Figure P1020090003942
관체성형장치. 압출기. 성형금형틀조립부. 성형품형상유지장치부. 냉각장치부. 인취장치부. 컷팅장치부. 배출전이장치부. 분형성형금형틀. 성형품형상유지장치.

Description

관체 성형장치{A Device of Molding Rectangular Tube for Corrugated Pipe }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암거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수를 우수와 분리시켜 이송시키는 우오수관과 같은 관체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패릿)의 레진으로 우오수관과 같은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고,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되어 배출되는 관체의 형상ㆍ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면서 냉각시켜 형성하며, 형상ㆍ모양이 유지되는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괘도형으로 작동되는 인취장치에 의해 인취하면서 컷팅장치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컷팅하여 배출시키도록 하는 관체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우오수관과 같은 관체와 유사한 것으로는 국내의 특허등록 제10-733608호의 '하수암거 부착식 우오수분리장치'에 '오수분리관'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오수분리관(1)은 밑면(2)의 양단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짧은 장수직 면(3)과 단수직면(5)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장수직면(3)의 상단에는 상면(4)이 밑면(2)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4)의 선단과 단수직면(5)의 상단은 경사면(6)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오수분리관과 같은 다각형 관체를 성형하는 장치로서는, 국내의 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86-395호(흡입냉각 합성수지관 성형기)와 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97-4852호(압출성형기의 진공식 냉각장치) 및 특허 등록 제10-361937호(소형4각관의 성형장치)가 알려져 있다.
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86-395호(흡입냉각 합성수지관 성형기)에 예시된 관체성형장치는, 관압출기의 배출구 측에 흡입냉각 합성수지관 성형기를 구비하여, 관압출기에서 성형되어 배출되는 관체를 미세공이 조밀하게 뚫어진 흡입냉각 합성수지관 성형기의 실린더(유통관)로 통과시키면서 미세공을 통해 실린더(유통관)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성형되어 이송되는 관체의 형상을 유지하고, 실린더(유통관)의 외측에 형성된 냉각실에서 냉각수를 순환시켜 실린더(유통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관체를 냉각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실린더의 내부공기를 조밀하게 뚫어진 미세공으로 흡입하므로 실린더의 내부를 통과하는 관체의 외면이 실린더의 내벽에 연접되면서 통과되도록 하므로 관체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다소 방지할 수 있으나, 관압출기에 구비되는 성형다이(금구)의 구조가 단순하여 고도의 성형기능이 요구되는 다각형 관체를 효율적으로 성형시킬 수 없게 되고, 성형된 관체를 간접냉각방식에 의해 일 회만 실시하므로 냉각효과가 떨어져 두께가 두꺼운 관체의 생산에는 부적합하며, 성형 냉 각된 관체가 관압출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공고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1997-4852호(압출성형기의 진공식 냉각장치)에 예시된 압출성형장치는, 성형다이가 장착된 압출기의 후측에 진공냉각장치와 인수장치를 차례로 구비하되, 진공냉각장치는 진공냉각조와 진공조를 상하로 연통되게 구비하여, 압출기에서 용융되어 배출되는 용융물(성형재료)이 성형다이를 통과하면서 성형품(관체)을 형성하고, 성형다이에서 성형 배출되는 성형품(관체)을 진공냉각수조로 통과시키면서 살수수단에 의해 살수되는 유체(냉각수)에 의해 냉각시키고, 진공냉각수조의 내부로 살수되는 냉각수를 하측의 진공조로 흡입 배출시켜 진공냉각수조를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성형다이가 구비된 압출기에 의해 성형되는 성형품(관체)을 살수수단이 구비된 진공냉각조로 통과시켜 냉각시키고 냉각된 성형품(관체)을 인수(인취)장치에 의해 효율적으로 인수(인취)하므로 생산성을 다소 향상시킬 수 있으나, 성형다이(금구)의 구조가 단순하여 고도의 성형기능이 요구되는 다각형 관체를 효율적으로 성형시킬 수 없게 되고, 성형된 관체를 직냉방식에 의해 일 회만 실시하므로 냉각효과가 떨어지고 관체의 형상이 변형될 염려가 있으며, 진공냉각수조의 내부로 살수되는 냉각수를 하측의 진공조로 단순하게 흡입 배출시켜 진공냉각수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주므로 진공냉각수조의 내부에서 상하 및 전후의 진공도(압력)가 서로 다르게 되어 오히려 관체의 형상이 변형되는 염려를 배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 등록 제10-361937호의 '소형4각관의 성형장치'는, 압출다이스가 구 비된 압출기의 배출측에 진공박스를 구비하되 진공박스의 선단에 냉각수단을 구비하여, 압출기에서 성형되어 공급되는 소형원형관을 진공박스의 선단에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시켜 진공박스의 중앙선상에 형성된 4각형 사이징통로로 통과시켜 4각파이프로 성형하되, 사이징통로의 주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밀하게 흡입홀을 통해 4각형 사이징통로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소형원형관이 4각형 사이징통로를 통과할 때에 4각파이프로 성형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압출기에서 성형되는 소형원형관을 냉각수단에 의해 냉각시킨 후에 4각파이프로 성형시키므로 원형관을 4각파이프로 용이하게 성형시킬 수 없게 디고, 원형관을 4각파이프로 성형(변형)시키기 위해서는 사이징통로에 형성된 흡입홀을 통해 강한 흡입력으로 흡입하여야 하므로 성형이 더디게 진행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며, 압출기의 배출측에 구비(장착)되는 압출다이스가 단순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대구경파이프를 성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패릿)의 레진으로 우오수관과 같은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고,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되어 배출되는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의 형상ㆍ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면서 냉각시켜 형성하며, 형상ㆍ모양이 유지되는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괘도형으로 작동되는 인취장치에 의해 인취하면서 컷팅장치 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컷팅하여 배출시키도록 하는 관체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 패릿)의 레진을 조립된 성형금형틀로 공급하여 우오수관과 같은 다각형 관체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고, 조립된 성형금형틀에서 연속적으로 성형되어 배출되는 다각형관체를 성형품형상유지장치로 통과시키면서 냉각시켜 성형품의 형상ㆍ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며, 성형품형상유지장치를 통과하여 형상ㆍ모양이 유지되는 다각형 관체를 진공냉각장치로 통과시켜 완전히 냉각시키면서 괘도형으로 작동되는 인취장치에 의해 인취하며, 인취장치에 의해 견인 공급되는 다각형 관체를 컷팅장치에 의해 컷팅하여 배출시키도록 된 관체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되는 레진을 우오수관과 같은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는 성형금형틀을 다단으로 분할 형성하여 용이하게 성형 및 조립할 수 있고, 레진이 유입되는 입구와 유통로 및 배출 성형구의 두께를 점진적으로 좁게 형성하여 성형되는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의 내부에 기포(공기홀)가 발생하지 않도록 레진의 밀도를 조밀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품질을 향상(제품강도 등)시킬 수 있도록 된 관체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성형금형틀을 형성하는 각 분할금형틀의 관체성형공에는 진공흡입세선공을 세로로 조밀하게 형성하여 성형되는 관체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고, 각 분할금형틀의 내부에는 냉각물질(냉각수 또는 냉기)를 유통시켜 성형되는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간접 냉각시키면서 성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성형되는 관체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관체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성형되어 배출되는 안치판에 안치되는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상하로 작동하는 전이받침판으로 전이시키고,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가 안치된 전이받침판을 하향시키면 안치된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가 슬라이딩바로 전이되어 하향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관체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패릿)의 레진을 성형금형틀로 공급하여 관체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고, 성형된 관체를 냉각시키고 인취장치에 의해 인취하면서 일정한 길이로 컷팅하여 배출시키는 것에 있어서;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패릿)의 레진을 분할 형성되어 조립된 성형금형틀에 의해 관체로 연속적으로 성형하고, 성형되어 배출되는 관체를 성형품형상유지장치로 통과시키면서 냉각시켜 성형품의 형상ㆍ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며, 형상ㆍ모양이 유지되는 관체를 진공냉각장치로 통과시켜 완전히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관체성형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패릿)의 레진을 성형금형틀로 공급하여 관체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고, 성형된 관체를 냉각시키고 인취장치에 의해 인취하면서 일정한 길이로 컷팅하여 배출시키는 것에 있어서;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패릿)의 레진을 분할 형성되어 조립된 성형금형틀에 의해 관체로 연속적으로 성형하고, 성형되어 배출되는 관체를 성형품형상유지장치로 통과시키면서 냉각시켜 성형품의 형상ㆍ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며, 소정의 길이로 컷팅되어 공급되는 관체를 안치하여 전이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성형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 패릿)의 레진을 조립된 성형금형틀로 공급하여 우오수관과 같은 관체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고, 조립된 성형금형틀에서 연속적으로 성형되어 배출되는 관체를 성형품형상유지장치로 통과시키면서 냉각시켜 성형품의 형상ㆍ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며, 성형품형상유지장치를 통과하여 형상ㆍ모양이 유지되는 관체를 진공냉각장치로 통과시켜 완전히 냉각시키면서 괘도형으로 작동되는 인취장치에 의해 인취하며, 인취장치에 의해 견인 공급되는 관체를 컷팅장치에 의해 컷팅하여 배출시키도록 된 관체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레진을 우오수관과 같은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는 성형금형틀을 다단으로 분할 형성하여 용이하게 성형 및 조립할 수 있고, 레진이 유입되는 입구와 유통로 및 배출 성형구의 두께를 점진적으로 좁게 형성하여 성형되는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의 내부에 기포(공기홀)가 발생하지 않도록 레진의 밀도를 조밀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품질을 향상(제품강도 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성형금형틀을 형성하는 각 분할금형틀의 관체성형공에는 진공흡입세선공을 세로로 조밀하게 형성하여 성형되는 관체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고, 각 분할금형틀의 내부에는 냉각물질(냉각수 또는 냉기)를 유통시켜 성형되는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간접 냉각시키면서 성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성형되는 관체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성형되어 배출되는 안치판에 안치되는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상하로 작동하는 전이받침판으로 전이시키고,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가 안치된 전이받침판을 하향시키면 안치된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가 슬라이딩바로 전이되어 하향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관체(다각형관 또는 원통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성형장치(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성형과정을 보인 관체성형장치(10)의 공정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성형장치(10)의 성형금형틀조립부(21)에 설치되는 분할성형금형틀(30)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성형장치(10)의 성형품형상유지장치부(22)에 설치되는 성형품형상유지장치(40)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성형장치(10)의 배출전이장치부(26)에 설치되는 배출전이장치(100)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체성형장치(1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 패릿)을 열에 의해 용융하여 레진으로 배출시키는 압출기(20)와; 압출기(20)에서 공급되는 레진을 압출성형관체(1-1)로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성형금형틀조립부(21)와; 성형금형틀조립부(21)에서 연속적으로 성형되어 배출되는 압출성형관체(1-1)의 형상ㆍ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성형품형상유지장치부(22)와; 성형품형상유지장치부(22)를 통과하여 형상ㆍ모양이 유지되는 압출성형관체(1-1)를 통과시키면서 완전히 냉각시켜 주는 냉각장치부(23)와; 냉각장치부(23)를 통과하여 완전히 냉각된 압출성형관체(1-1)를 강제로 인취하는 인취장치부(24)와; 인취장치부(24)에 의해 견인되는 압출성형관체(1-1)를 소정의 일정한 길이로 컷팅시켜 주는 컷팅장치부(25)와; 컷팅장치부(25)에서 일정한 길이로 컷팅되어 배출되는 성형품(관체)을 안치하여 배출 전이시키는 배출전이장치부(26);를 차 례로 형성하였다.
상기에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 패릿)을 열에 의해 용융시켜 레진으로 배출시키는 압출기(20)는; 호퍼(20-1)를 통해 패릿의 형상으로 된 원료(버진재료) 즉, 염화비닐,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역성수지조성물이 공급하고, 호퍼(20-1)를 통해 공급되는 열가역성수지조성물을 압출기(20)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 용융하며, 이와 같이 용융상태의 열가역성수지조성물(레진)은 출구를 통해 성형금형틀조립부(21)의 분할성형틀(30)로 압출한다.
상기와 같은 압출기(20)의 구성 및 작동은 기히 공지 공용된 기술사상이므로 보다 구성 및 작동관계(원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압출기(20)의 출구 선단에는 공급되는 레진을 압출성형관체(1-1)로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성형금형틀조립부(21)의 분할성형금형틀(30)을 설치하여 상기 압출기(20)에서 가열 용융되어 압출되는 레진(열가역성수지조성물)을 통상적인 소정의 형상으로 압출 성형하며, 압출 성형되는 압출성형관체(1-1)는 원통관을 비롯하여 다각형 관체(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분할성형금형틀(30)은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측금형(31)과 내측금형(32)으로 분리하여 형성하되, 외측금형(31)과 내측금형(32)을 여러 개의 금형으로 분할하고 조립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분할성형금형틀(30)은, 중앙선상에 뚫어진 수지주입공(32)을 통해 용융된 수지(레진:열가역성수지조성물)이 주입되는 제1외측금형(31-1); 제1외측금 형(31-1)의 배출단면에 당접되게 장착되어 외측금형의 내주연과 내측금형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원뿔확산공(34)을 형성하는 제2외측금형(31-2) 및 제1내측원뿔금형(32-1); 상기 제2외측금형(31-2) 및 제1내측원뿔금형(32-1)의 배출단면에 당접되게 장착되어 외측금형의 내주연과 내측금형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이송공(35)(36)을 형성하는 제3외측금형(31-3)과 제n-3외측금형(31-(n-3)) 및 제2내측금형(31-2)과 제n-2내측금형(31-(n-2)); 상기 제3외측금형(31-3)과 제n-3외측금형(31-(n-3)) 및 제2내측금형(31-2)과 제n-2내측금형(31-(n-2))의 배출단면에 당접되게 장착되어 협소공(37)과 협소이송공(37-1)을 형성하도록 내주연이 내경사면(37-1)으로 된 제n-2외측금형(31-(n-2))과 내주면이 원통으로 된 제n-1외측금형(31-(n-1)) 및 내주연이 원통으로 된 제n-1내측금형(32-(n-1)); 상기 제n-2외측금형(31-(n-2))과 제n-1외측금형(31-(n-1)) 및 제n-1내측금형(32-(n-1))의 배출단면에 당접되게 장착되어 재차 협소되는 입출구(38)를 형성하도록 하는 내주면 선단에 내경사면(38-1)이 형성된 제n외측금형(31-n)과 제n내측금형(32-n);으로 분할 형성하였고, 이와 같이 분할 형성된 외측금형 및 내측금형 들은 상호 일체형으로 조립하여 형성하였다.
특히, 상기에서 외측금형의 내주연과 내측금형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이송공(35)(36)을 형성하는 제3외측금형(31-3)과 제n-3외측금형(31-(n-3)) 및 제2내측금형(31-2)과 제n-2내측금형(31-(n-2))을 반복적으로 연결하여 용융된 수지(레진:열가역성수지조성물)가 이송되는 이송공(35)(36)의 길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형금형틀조립부(21)에서 연속적으로 성형되어 배출되는 압출성형관체(1-1) 의 형상ㆍ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성형품형상유지장치부(22)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성형품형상유지장치(40)로 형성하였다.
하측받침대(41)의 상부에서 전후는 하측고정대(42)를 고정시켰고, 각 하측고정대(42)의 양측에는 내측고정대(43)와 외측고정대(44)를 각각 고정 설치하였으며, 상기 좌우 이격 고정된 각 외측고정대(43)의 상측에는 상측고정대(50)을 힌지(51)와 고정수단(55)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여 형상유지금구장치틀을 형성하였다.
상기 상측고정대(50)의 상면에 개폐판(50-1)을 볼트에 의해 일체형으로 장차하여, 상측고정대(50)의 일면을 힌지(51)에 의해 동일위치의 외측고정대(44)에 장착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상측고정대(50)의 타측에서 개폐판(50-1)의 단부에는 홀을 뚫어 상단에 핸들(56)이 구비된 장볼트(57)를 끼우고 동일위치의 외측고정대(44)에는 너트공(59-1)이 상측으로 형성된 너트블록(59)을 장착하여, 장볼트(57)를 너트블록(59)의 너트공(59-1)에 나사 결합하였으며, 너트블록(59)의 상측에서 장볼트(57)에는 너트(58)를 나사 결합하여 장볼트(57)를 억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하측받침대(41)ㆍ내측고정대(43)ㆍ외측고정대(44)ㆍ상측고정대(50)로 형성된 형상유지금구장치틀의 내부에는 관체형성유지공(60-3)을 통과하는 압출성형관체(1-1)의 외면을 외측으로 흡입하여 형상을 유지시키고 냉각물질을 순환시켜 압출성형관체(1-1)를 일차로 간접 냉각시키는 형상유지금구(60)를 장착하되, 형상유지금구(60)의 상하 및 전후에는 상측지지금구(64)와 하측지지금구(63) 및 전면지지금구(65)와 배면지지금구(66)로 형성된 지지금구틀을 결합하여 장착하였다.
상기 형상유지금구장치틀의 내부에는 형상유지금구지지틀(45)을 이용하여 실링패드(46)에 의해 밀폐되도록 형상유지금구(60)를 장착하였다.
상기 형상유지금구장치틀의 내부에 장착되는 형상유지금구(60)는 상측형상유지금구(60-1)와 하측형상유지금구(6-2)로 분할 형성하여 용이하게 성형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하였고, 조립되는 상측형상유지금구(60-1)와 하측형상유지금구(6-2)의 접속면 중앙에는 관체형성유지공(60-3)을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하였으며, 상기 관체형성유지공(60-3)은 단면으로 보아 원형 또는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원형 및 다각형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할 형성되는 상측형상유지금구(60-1)와 하측형상유지금구(60-2)에는 관체형성유지공(60-3)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흡입세공(62)을 내부의 관체형성유지공(60-3)과 연통되도록 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주었고, 각 상측형상유지금구(60-1)와 하측형상유지금구(6-2)의 내부에는 관체형성유지공(60-3)과 근접하게 냉각물질순환관(62)을 서로 연통되도록 조밀하게 뚫어 냉각물질인 냉각수 또는 냉기 또는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측형상유지금구(60-1)와 하측형상유지금구(60-2)에 형성되는 관체형성유지공(60-3)을 폭이 서로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하측형상유지금구(60-2)의 전면과 밑면에 진공흡입세공(62)으로서 단부진공흡입세공(62-3)과 밑면진공흡입세공(62-1)으로 분할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측형상유지금 구(60-1)의 배면과 상면 및 전방 경사면에는 장부진공흡입세공(62-2)과 상면진공흡입세공(62-4) 및 경사면진공흡입세공(62-5)로 분할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형상유지금구(60-1)와 하측형상유지금구(60-2)의 내부에 관체형성유지공(60-3)과 근접되도록 서로 연통되게 뚫어지는 냉각물질순환관(62)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뚫어지는 진공흡입세공(62)과 진공흡입세공(62)과의 사이에 하나 이상씩을 뚫어 줄 수 있으며, 단부진공흡입세공(62-3)ㆍ밑면진공흡입세공(62-1)ㆍ장부진공흡입세공(62-2)ㆍ상면진공흡입세공(62-4)ㆍ경사면진공흡입세공(62-5)들의 사이에 냉각물질순환관(62)을 하나 이상씩 각각 뚫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측형상유지금구(60-1)와 하측형상유지금구(60-2)를 결합하여 형성한 형상유지금구(60)의 외면(상하 전후)에는 상측지지금구(64)와 하측지지금구(63) 및 전면지지금구(65)와 배면지지금구(66)를 각각 결합하되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하였다.
상기, 각 상측지지금구(64)와 하측지지금구(63) 및 전면지지금구(65)와 배면지지금구(66)에는 단부진공흡입세공(62-3)ㆍ밑면진공흡입세공(62-1)ㆍ장부진공흡입세공(62-2)ㆍ상면진공흡입세공(62-4)ㆍ경사면진공흡입세공(62-5)과 연통되어 있는 관체형성유지공(60-3)의 내부 공기를 진공 흡입하는 진공흡입수단(70)으로서, 상면진공흡입수단(70-1)과 밑면진공흡입수단(70-2) 및 전면진공흡입수단(70-3)과 배면진공흡입수단(70-4)을 각각 형성하였다.
상기 상측지지금구(64)와 하측지지금구(63) 및 전면지지금구(65)와 배면지지금구(66)에 각각 형성되는 진공흡입수단(70)의 상면진공흡입수단(70-1)과 밑면진공흡입수단(70-2) 및 전면진공흡입수단(70-3)과 배면진공흡입수단(70-4)은, 형상유지금구(60)의 외면(상하 전후)과 당접되는 접속면에는 상면진공흡입실(71)과 밑면진공흡입실(75) 및 전면진공흡입실(80)과 배면진공흡입실(85)을 단부진공흡입세공(62-3)ㆍ밑면진공흡입세공(62-1)ㆍ장부진공흡입세공(62-2)ㆍ상면진공흡입세공(62-4)ㆍ경사면진공흡입세공(62-5)을 일괄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하였고, 각 상면진공흡입실(71)과 밑면진공흡입실(75) 및 전면진공흡입실(80)과 배면진공흡입실(85)과 각각 연통되게 뚫어진 흡입공(72)(76)(81)(86)에는 흡입노즐(73)(77)(82)(87)을 각각 장착하였으며, 각 흡입노즐(73)(77)(82)(87)에는 흡입관을 통해 콤프레셔와 같은 진공흡입장치와 연결하였다.
또한 상기 각 상측지지금구(64)와 하측지지금구(63) 및 전면지지금구(65)와 배면지지금구(66)에는, 단부진공흡입세공(62-3)ㆍ밑면진공흡입세공(62-1)ㆍ장부진공흡입세공(62-2)ㆍ상면진공흡입세공(62-4)ㆍ경사면진공흡입세공(62-5)들의 사이에 형성된 냉각물질순환관(62)에 냉각물질을 공급/배출시키기 위한 냉각수단(90)을 각각 구비하였다.
각 상측지지금구(64)와 하측지지금구(63) 및 전면지지금구(65)와 배면지지금구(66)에 구비되는 냉각수단(90)은, 각 상측지지금구(64)ㆍ하측지지금구ㆍ전면지지금구ㆍ 배면지지금구의 외면에는 냉각제유통관(91)을 각각 장착하여 형상유지금구에 형성된 냉각물질순환관에 냉각물질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각 냉각제유 통관(91)에는 통상의 엘보(92-1)와 같은 연결수단을 사용하여 냉각제공급관(92)과 냉각제배출관(93)을 각각 결합하여 냉각제를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성형품형상유지장치부(22)를 통과하여 형상ㆍ모양이 유지되는 성형품(관체)을 통과시키면서 완전히 냉각시켜 주는 냉각장치부(23)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성형품형상유지장치(40)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유지되어 배출되는 성형품(관체)에 냉각수를 분사시켜 냉각시키거나 냉각수가 충진된 냉각수조로 통과시켜 재차 냉각시켜 줌으로서 완전히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성형품(관체)을 재차 냉각시켜 줌으로서 관체의 형상모양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기술사상은 기히 공지된 기술사상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냉각장치부(23)의 후측에는 냉각장치부(23)를 통과하여 완전히 냉각된 압출성형관체(1-1)를 강제로 인취하는 인취장치부(24)를 설치하였다.
상기 인취장치부(24)는 냉각장치부(23)를 통과하여 완전히 냉각 형성되는 압출성형관체(1-1)를 인취(견인)하는 것으로, 예컨데 무한궤도(캐터필러: 금속으로 된 판을 연결해 벨트처럼 만든 것을 앞뒤 바퀴에 걸어 금속판들로 된 벨트 위를 달리게 만든 장치)방식으로서 모터의 작동에 의해 성형품의 외면에 접촉되는 궤도가 앞뒤 바퀴 사이를 일정한 속도로 자전하면서 성형품을 전진(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인취장치부(24)의 후측에는 컷팅장치부(25)를 설치하여 인취장치부(24)에 의해 견인되어 공급되는 성형품(관체)을 소정의 일정한 길이만큼씩 컷팅시켜 주도록 하였다.
상기 컷팅장치부(25)는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인취(공급)되는 압출성형관체(1-1)를 소정의 길이만큼씩 반복적으로 절단하여 압출된 완성품 즉,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다각관체(1-1)와 같은 제품으로 완성하게 된다.
컷팅장치부(25)의 후측에는 배출전이장치부(26)를 설치하여 컷팅장치부(25)에서 일정한 길이로 컷팅되어 배출되는 압출성형관체(1-1)를 안치하여 배출 전이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배출전이장치부(26)에 설치되는 배출전이장치(100)는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장치대(101)의 상면 후단부에는 이송받침대(110)를 복수 개의 받침지지대(103)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설치하였고, 장치대(101)의 상면 선단에서 복수 개의 전방지지대(102)를 받침지지대(103)의 동일 선상에 설치하였으며, 상기 각 전방지지대(102)와 받침지지대(103)의 사이에는 슬라이딩바(104)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하여 전방지지대(102)의 상단이 스톱퍼(102-1)의 기능을 하도록 하였다.
상기 장치대(101)의 상면 후단부에 설치되는 이송받침대(110)는 성형품인 관체(1-1)가 공급 안치되는 안치판(111)의 후단에 배면판(112)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안치판(111)에는 이송롤러(113)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관체(1-1)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유입되도록 하였다.
상기 배면판(112)과 안치판(111)의 전방에는 안치판(111)에 안치된 관체(1- 1)를 안치판(111)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이받침판(130)으로 전이시키는 전이장치를 설치하였다.
상기 배면판(112)과 안치판(111)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이장치는 배면판(112)에 복수의 푸싱수단(120)을 설치하였고, 안치판(111)의 전방에는 전이수단(131)을 다음과 같이 구비하였다.
배면판(112)의 후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푸싱수단(120)은, 각 푸싱수단(120)은 로드의 선단에 장착된 푸셔(122)가 전방을 향하도록 푸시실린더(121)을 장착하였다.
안치판(111)의 전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전이수단(131)은, 안치판(111)의 전방에 복수의 전이받침판(130)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하고, 각 전이받침판(13)의 하측에는 전이용실린더(132)을 세워 설치하였으며, 전이용실린더(132)의 로드에 장착된 승하강블록(133)을 전이받침판(130)의 밑면에 고정하여 전이용실린더(132)의 정역 작동에 의해 전이받침판(130)을 안치판(11)과 동일 높이로 상승시키거나 슬라이딩바(104)의 하측으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관체성형장치(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압출기(20)의 호퍼(20-1)를 통해 패릿의 형상으로 된 원료(버진재료) 즉, 염화비닐,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역성수지조성물이 공급되면, 압출기(20)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 용융되고, 용융상태의 수 지(열가역성수지조성물:레진)는 출구를 통해 성형금형틀조립부(21)의 분할성형틀(30)로 압출 공급된다.
압출기(20)의 출구를 압출되는 용융상태의 수지(열가역성수지조성물:레진)는 수지주입공(33)을 통해 성형금형틀조립부(21)에 설치된 분할성형틀(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제1외측금형(31-1)의 수지주입공(33)을 통해 분할성형틀(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용융상태의 수지는 제2외측금형(31-2) 및 제1내측원뿔금형(32-1)과의 사이에 형성된 원뿔확산공(34)을 통해 확산되고, 제3외측금형(31-3)과 제n-3외측금형(31-(n-3)) 및 제2내측금형(31-2)과 제n-2내측금형(31-(n-2))과의 사이에 형성된 이송공(35)(36)을 통해 압송(이동)된다.
이어서, 내주연이 내경사면(37-1)으로 된 제n-2외측금형(31-(n-2))과 내주면이 원통으로 된 제n-1외측금형(31-(n-1)) 및 내주연이 원통으로 된 제n-1내측금형(32-(n-1))과의 사이에 형성된 협소공(37)과 협소이송공(37-1)을 통해 압송(이동)되고, 내주면 선단에 내경사면(38-1)이 형성된 제n외측금형(31-n)과 제n내측금형(32-n)과의 사이에 형성된 입출구(38)를 통해 압출되면서 압출성형관체(1-1)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배출된다.
입출구(38)를 통해 압출되면서 성형되는 압출성형관체(1-1)는 원통관을 비롯하여 다각형 관체(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분할성형금구틀(30)을 통과하면서 성형되는 압출성형관체(1-1)는 성형 품형상유지장치부(22)를 형성하는 성형품형상유지장치(40)로 공급된다.
분할성형금구틀(30)에 의해 성형되는 압출성형관체(1-1)가 성형품형상유지장치(40)의 관체성형유지공(60-3)의 입구로 유입되고 통과하여 출구로 배출되다.
압출성형관체(1-1)가 성형품형상유지장치(40)의 관체성형유지공(60-3)을 통과할 때에, 관체형성유지공(60-3)의 내부 공기를 진공 흡입하는 진공흡입수단(70)과 각 상측지지금구(64)와 하측지지금구(63) 및 전면지지금구(65)와 배면지지금구(66)에 구비되는 냉각수단(90)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통과시킨다.
상측지지금구(64)와 하측지지금구(63) 및 전면지지금구(65)와 배면지지금구(66)에 각각 형성되는 진공흡입수단(70)의 상면진공흡입수단(70-1)과 밑면진공흡입수단(70-2) 및 전면진공흡입수단(70-3)과 배면진공흡입수단(70-4)은, 콤프레셔와 같은 진공흡입장치가 작동하여 상면진공흡입실(71)과 밑면진공흡입실(75) 및 전면진공흡입실(80)과 배면진공흡입실(85)의 내부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상면진공흡입실(71)과 밑면진공흡입실(75) 및 전면진공흡입실(80)과 배면진공흡입실(85)의 내부공기가 흡입되면 단부진공흡입세공(62-3)ㆍ밑면진공흡입세공(62-1)ㆍ장부진공흡입세공(62-2)ㆍ상면진공흡입세공(62-4)ㆍ경사면진공흡입세공(62-5)을 통하여 관체형성유지공(60-3)의 내부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콤프레셔와 같은 진공흡입장치의 작동에 의해 관체형성유지공(60-3)의 내부공기가 흡입되면 관체형성유지공(60-3)을 통과하는 압출성형관체(1-1)의 외면이 단부진공흡입세공(62-3)ㆍ밑면진공흡입세공(62-1)ㆍ장부진공흡입세공(62-2)ㆍ상면진공흡입세공(62-4)ㆍ경사면진공흡입세공(62-5)이 형성된 관체형성유지공(60-3)에 밀 접하게 연접되어 압출성형관체(1-1)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부진공흡입세공(62-3)ㆍ밑면진공흡입세공(62-1)ㆍ장부진공흡입세공(62-2)ㆍ상면진공흡입세공(62-4)ㆍ경사면진공흡입세공(62-5)이 형성된 관체형성유지공(60-3)에 외면이 밀접하게 연접되어 형상을 유지하면서 압출성형관체(1-1)가 통과할 때에 각 상측지지금구(64)와 하측지지금구(63) 및 전면지지금구(65)와 배면지지금구(66)에 구비되는 냉각수단(9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하여 통과하는 관체를 일차 냉각(간접 냉각)시킨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펌프와 같은 동력장치가 작동하여 냉각물질을 펌핑하게 되면 냉각물질은 냉각제공급관(92)을 통하여 냉각제유통관(91)으로 공급되고, 냉각제유통관(91)으로 공급되는 냉각물질은 형상유지금구(60)에 형성된 냉각물질순환(66)을 통과하면서 형상유지금구(60) 즉, 상측형상유지금구(60-1)와 하측형성유지금구(60-2)와 열교환하면서 냉각시키게 되며, 냉각제유통관(91)을 통과하면서 상측형상유지금구(60-1)와 하측형성유지금구(60-2)를 냉각시킨 냉각물질은 냉각제유통관(91)으로 회수되면서 냉각제배출관(93)을 통해 배출된다.
냉각물질순환(66)을 순환하는 냉매물질에 의해 냉각되는 상측형상유지금구(60-1)와 하측형성유지금구(60-2)의 냉기는 관체형성유지공(60-3)을 통과하는 관체와 열교환하면서 압출성형관체(1-1)를 간접냉각(일차냉각)시키게 된다.
성형품형상유지장치부(22)를 통과하여 형상ㆍ모양이 유지되는 압출성형관체(1-1)는 냉각장치부(23)를 통과하면서 완전히 냉각되는데, 상기 성형품형상유지장치(40)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유지되어 배출되는 압출성형관체(1-1)는 직접 분사 되는 냉각수 또는 냉각수가 충진된 냉각수조로 통과하면서 완전히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장치부(23)를 통과하여 완전히 냉각된 압출성형관체(1-1)는 냉각장치부(23)의 후측에 설치된 인취장치부(24)에 의해 강제로 인취(견인)된다.
상기 인취장치부(24)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모터의 작동에 의해 무한궤도(캐터필러: 금속으로 된 판을 연결해 벨트처럼 만든 것을 앞뒤 바퀴에 걸어 금속판들로 된 벨트 위를 달리게 만든 장치)가 앞뒤 바퀴 사이를 일정한 속도로 자전하면서 성형품을 전진(이동)시키게 된다.
인취장치부(24)에 의해 인취되는 압출성형관체(1-1)는 인취장치부(24)의 후측에 설치된 컷팅장치부(25)에 의해 소정의 길이(일정한 길이)만큼씩 컷팅되어 완성품인 관체(1-2)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컷팅장치부(25)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컷팅된 관체(1-2)는 완성품 즉,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오수분리관(1)과 같은 제품으로 완성하게 된다.
상기 컷팅장치부(25)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컷팅된 관체(1-2)는 컷팅장치부(25)의 후측에 설치된 배출전이장치부(26)로 이동한다.
배출전이장치부(26)로 유입되는 관체(1-2)는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는 이송받침대(110)의 안치판(111)에 슬라이딩되어 유입되는데, 안치판(111)에는 이송롤러(113)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체(1-2)는 이송롤러(113)에 의해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어 유입된다.
관체가 안치판(111)의 상측에 완전히 유입(인입)되면 푸싱수단(120)의 푸시실린더(121)가 작동하여 푸셔(122)를 전방으로 밀어 주게 되고, 전방으로 밀어지는 푸셔(122)에 의해 안치판(111)에 안치된 우오수분리관과 같은 관체(1-1)는 전이받침판(130)의 위로 이동(전이)하게 된다.
관체가 전이받침판(130)의 위로 이동(전이)하게 되면 푸시실린더(121)가 역으로 작동하여 전방으로 밀어진 푸셔(122)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고, 이어서 전이수단(131)의 전이용실린더(132)가 작동하여 상향되어 있는 전이받침판(130)을 하향시킨다.
전이용실린더(132)가 작동하여 상향되어 있는 전이받침판(130)을 하향시키면 전이받침판(130)의 위에 안치되어 있는 관체는 전이받침판(130)과 함께 슬라이딩바(104)의 하측으로 완전히 하향하지 못하고 슬라이딩바(104)의 상측에 얹혀지게 된다.
슬라이딩바(104)의 상측에 얹혀진 관체는 전방으로 경사진 슬라이딩바(104)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하향 이동하게 되고, 경사진 슬라이딩바(10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향)하는 관체(1-2)는 전방지지대(102)의 상단부가 형성하는 스톱퍼(102-1)에 의해 차단되어 정지된다.
스톱퍼(102-1)에 의해 정지된 관체(1-2)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지게차와 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장소)로 이동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관체성형장치(1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지속적으로 실시되거나 실시하여 관체(1-2)를 성형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다각형관체를 보인 일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성형과정을 보인 관체 성형장치의 공정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성형장치의 성형금형틀조립부에 설치되어 관체를 성형하는 분할성형금형틀을 발췌하여 보인 정단면도 및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성형장치의 성형품형상유지장치부에 설치되어 연속 성형되는 관체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일차 냉각시키는 성형품형상유지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 성형장치의 배출전이장치부에 설치되어 일정한 길이로 컷팅된 관체를 안치 전이시키는 배출전이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오수분리관 10: 관체성형장치 20: 압출기
21: 성형금형틀조립부 22: 성형품형상유지장치부
23: 냉각장치부 24: 인취장치부 25: 컷팅장치부
26: 배출전이장치부 30: 분형성형금형틀 40: 성형품형상유지장치
41: 하측받침대 50: 상측고정대 60: 형상유지금구
70: 진공흡입수단 100: 배출전이장치

Claims (20)

  1.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패릿)의 레진을 성형금형틀로 공급하여 관체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고, 성형된 관체를 냉각시키고 인취장치에 의해 인취하면서 일정한 길이로 컷팅하여 배출시키는 것에 있어서;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패릿)의 레진을 분할 형성되어 조립된 성형금형틀에 의해 관체로 연속적으로 성형하고, 성형되어 배출되는 관체를 성형품형상유지장치로 통과시키면서 냉각시켜 성형품의 형상ㆍ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며, 형상ㆍ모양이 유지되는 관체를 진공냉각장치로 통과시켜 완전히 냉각시킨 후에 컷팅장치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2.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패릿)의 레진을 성형금형틀로 공급하여 관체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고, 성형된 관체를 냉각시키고 인취장치에 의해 인취하면서 일정한 길이로 컷팅하여 배출시키는 것에 있어서;
    압출기에 의해 용융된 열가역성수지조성물(버진재료:패릿)의 레진을 분할 형성되어 조립된 성형금형틀에 의해 관체로 연속적으로 성형하고, 성형되어 배출되는 관체를 성형품형상유지장치로 통과시키면서 냉각시켜 성형품의 형상ㆍ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며, 소정의 길이로 컷팅되어 공급되는 관체를 배출전이장치로 안치하여 전이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용융되어 공급되는 열가역성수지조성물의 레진을 관체로 연속 성형하는 성형금형틀은;
    외측금형과 내측금형으로 분할 형성한 것과;
    분할 형성된 외측금형의 내부에 내측금형을 조립한 것과;
    조립된 외측금형의 내주연과 내측금형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이송구 및 압출구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용융되어 공급되는 열가역성수지조성물의 레진을 관체로 연속 성형하는 성형금형틀은;
    외측금형과 내측금형으로 분할 형성한 것과;
    분할된 상기 외측금형과 내측금형을 여러 개의 외측분할금형과 내측분할금형으로 각각 분할 형성한 것과;
    여러 개로 분할 형성된 외측분할금형을 조립하고, 조립된 외측분할금형의 내부에 여러 개로 분할 형성된 내측분할금형을 조립한 것과;
    조립된 외측분할금형의 내주연과 내측분할금형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이송구 및 압출구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성형 배출되는 관체의 형상ㆍ모양이 변형 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면서 통과시키는 성형품형상유지장치는;
    하측받침대의 상부 전후에 하측고정대를 이격 고정하고, 각 하측고정대의 양측에 내측고정대와 외측고정대를 각각 세워 장착하며, 상기 각 내측고정대와 외측고정대의 상측에 상측고정대를 힌지와 고정수단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 형상유지금구장치틀과;
    상기 하측받침대와 좌우의 외측고정대 및 상측고정대의 내부에 장착되어 관체형성유지공을 통과하는 관체의 외면을 외측으로 진공 흡입하여 관체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물질에 의해 관체을 일차로 간접 냉각시키는 형상유지금구와;
    상기 형상유지금구의 상하 및 전후에 각각 장착되어 형상유지금구의 상하 및 전후에서 공기를 진공 흡입하고 형상유지금구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물질을 공급 배출시키는 상측지지금구와 하측지지금구 및 전면지지금구와 배면지지금구로 형성된 지지금구틀;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여러 개로 분할되어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외측금형과 내측금형의 외측분할금형과 내측분할금형은;
    중앙선상에 뚫어진 수지주입공을 통해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는 제1외측금형;
    상기 제1외측금형의 배출단면에 당접되게 장착되어 외측금형의 내주연과 내측금형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원뿔확산공을 형성하는 제2외측금형 및 제1내측원뿔금형;
    상기 제2외측금형 및 제1내측원뿔금형의 배출단면에 당접되게 장착되어 외측금형의 내주연과 내측금형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이송공을 형성하는 제3외측금형과 제n-3외측금형 및 제2내측금형과 제n-2내측금형;
    상기 제3외측금형과 제n-3외측금형 및 제2내측금형과 제n-2내측금형의 배출단면에 당접되게 장착되어 협소공과 협소이송공을 형성하는 제n-2외측금형과 제n-1외측금형 및 제n-1내측금형;
    상기 제n-2외측금형과 제n-1외측금형 및 제n-1내측금형의 배출단면에 당접되게 장착되어 재차 협소되는 입출구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n외측금형과 제n내측금형;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조립된 외측분할금형의 내주연과 내측분할금형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구 및 압출구는;
    원형ㆍ삼각형ㆍ사각형ㆍ오각형ㆍ육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형상유지금구장치틀을 형성하는 내측고정대와 외측고정대의 상측에 힌지로 장착된 상측고정대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은;
    힌지의 반대편에서 상측고정대가 장착된 개폐판의 단부에 뚫어진 홀에 끼워 결합되는 상단에 핸들이 구비된 장볼트와;
    상기 외측고정대에 장착되는 너트공이 상측으로 형성된 너트블록과;
    상기 개폐판의 단부에 결합되는 장볼트를 너트블록의 너트공에 나사 결합한 것과;
    상기 너트블록의 상측에서 장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장볼트를 억류하는 너트;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형상유지금구장치틀의 내부에 장착되어 관체형성유지공을 통과하는 관체의 형상을 유지 및 간접 냉각시키는 형상유지금구는;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상측형상유지금구와 하측형상유지금구 또는 좌측형상유지금구와 우측형상유지금구로 분할 형성한 것과;
    분할 형성되는 상측형상유지금구와 하측형상유지금구 또는 좌측형상유지금구와 우측형상유지금구의 접속면 중앙에 관체가 유통되는 관체형성유지공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형상유지금구의 외면에 장착되는 지지금구틀은;
    상측지지금구ㆍ하측지지금구ㆍ 전면지지금구ㆍ배면지지금구로 분할 형성하여 조립한 것과;
    상기 분할 형성된 상측지지금구ㆍ하측지지금구ㆍ 전면지지금구ㆍ배면지지금구에는 형상유지금구를 통과하는 관체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진공흡입수단을 각각 구비한 것과;
    상기 분할 형성된 상측지지금구ㆍ하측지지금구ㆍ 전면지지금구ㆍ배면지지금 구에는 형상유지금구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각각 구비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이송공을 협소공으로 형성하는 제n-2외측금형은;
    제n-2외측금형의 내주연에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내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협소공을 재차 협소되는 입출구로 형성하는 제n외측금형은;
    제n외측금형의 내주연 선단에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내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외측금형의 내주연과 내측금형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이송공을 형성하는 제3외측금형과 제n-3외측금형 및 제2내측금형과 제n-2내측금형은;
    이송공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3외측금형과 제n-3외측금형 및 제2내측금형과 제n-2내측금형을 반복적으로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할 형성되는 상측형상유지금구와 하측형상유지금구 또는 좌측형상유지금구와 우측형상유지금구에는;
    관체형성유지공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흡입세공을 내부의 관체형성유지공과 연통되도록 세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 준 것과;
    각 상측형상유지금구와 하측형상유지금구 또는 좌측형상유지금구와 우측형상유지금구의 내부에는 관체형성유지공과 근접하게 냉각물질순환관을 서로 연통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 냉각물질을 순환시키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분할 형성되는 상측형상유지금구와 하측형상유지금구 또는 좌측형상유지금구와 우측형상유지금구의 접속면 중앙에 관체가 유통되도록 형성되는 관체형성유지공은;
    원형ㆍ삼각형ㆍ사각형ㆍ오각형ㆍ육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지지금구틀의 상측지지금구ㆍ하측지지금구ㆍ 전면지지금구ㆍ배면지지금구에 각각 구비되는 되는 진공흡입수단은;
    형상유지금구의 외면과 당접되는 상측지지금구ㆍ하측지지금구ㆍ 전면지지금구ㆍ배면지지금구의 접속면에는 형상유지금구의 진공흡입세공을 일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진공흡입실을 각각 형성한 것과;
    각 진공흡입실과 연통되게 뚫어진 흡입공에는 흡입노즐을 각각 장착한 것과;
    각 흡입노즐에는 흡입관을 통해 진공흡입장치와 연결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측지지금구ㆍ하측지지금구ㆍ 전면지지금구ㆍ배면지지금구에 각각 구비되는 되는 냉각수단은;
    상기 각 상측지지금구ㆍ하측지지금구ㆍ전면지지금구ㆍ 배면지지금구의 외면에는 형상유지금구에 형성된 냉각물질순환관에 냉각물질을 순환시키는 냉각제유통관을 각각 장착한 것과;
    각 냉각제유통관에는 냉각제를 공급 및 배출시키는 냉각제공급관과 냉각제배출관을 각각 결합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18. 청구항 2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컷팅되어 공급되는 관체를 안치 전이시키는 배출전이장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장치대의 상면 후단부에 받침지지대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이송받침대와;
    상기 장치대의 상면 선단에서 받침지지대의 동일 선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전방지지대와;
    상기 동일선상의 각 전방지지대와 받침지지대의 사이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고정되어 전방지지대의 상단이 스톱퍼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배면판과 안치판의 전방에 설치되어 안치판에 안치된 성형품을 안치판 의 전방에 구비된 전이받침판으로 전이시키는 전이장치;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장치대의 상면 후단부에 설치되는 이송받침대는;
    공급되는 성형품 안치되는 안치판의 후단에 배면판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안치판에는 복수의 이송롤러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배면판과 안치판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이장치는;
    로드의 선단에 장착된 푸셔가 전방을 향하도록 푸시실린더를 배면판에 장착한 복수의 푸싱수단과;
    상기 의 전방에 복수의 전이받침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하고, 각 전이받침판을 하측에 세워 설치되는 전이용실린더에 의해 안치판과 동일 높이로 상승시키거나 슬라이딩바의 하측으로 하강시키는 복수의 전이수단;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체 성형장치.
KR1020090003942A 2009-01-16 2009-01-16 관체 성형장치 KR101141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942A KR101141579B1 (ko) 2009-01-16 2009-01-16 관체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942A KR101141579B1 (ko) 2009-01-16 2009-01-16 관체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436A true KR20100084436A (ko) 2010-07-26
KR101141579B1 KR101141579B1 (ko) 2012-05-17

Family

ID=4264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942A KR101141579B1 (ko) 2009-01-16 2009-01-16 관체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5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7413A2 (ko) * 2010-11-15 2012-05-24 주식회사 영테크 연속 진공성형 장치
CN116277662A (zh) * 2023-05-15 2023-06-23 安徽玖洲通管业科技有限公司 耐高温pvc电力保护管加工用真空冷却成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852Y1 (ko) * 1993-11-11 1997-05-21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압출성형기의 진공식 냉각장치
KR20010009897A (ko) * 1999-07-14 2001-02-05 원하연 용접기 제어장치
KR100361937B1 (ko) 2000-06-15 2002-11-23 용 택 김 소형4각관의 성형장치
KR100606334B1 (ko) 2004-07-30 2006-07-28 국제산업주식회사 이중벽을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용 단위 파이프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7413A2 (ko) * 2010-11-15 2012-05-24 주식회사 영테크 연속 진공성형 장치
WO2012067413A3 (ko) * 2010-11-15 2012-09-07 주식회사 영테크 연속 진공성형 장치
CN116277662A (zh) * 2023-05-15 2023-06-23 安徽玖洲通管业科技有限公司 耐高温pvc电力保护管加工用真空冷却成型设备
CN116277662B (zh) * 2023-05-15 2023-08-04 安徽玖洲通管业科技有限公司 耐高温pvc电力保护管加工用真空冷却成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579B1 (ko)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9650B (zh) 多型坯多层共挤出吹塑机
KR101141579B1 (ko) 관체 성형장치
KR101546907B1 (ko) 합성수지를 이용한 다중 압출 패널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CN202293294U (zh) 一出八塑料管材生产设备中的真空定型装置
CN212707935U (zh) 一种塑料挤出成型装置
CN113071052A (zh) 一种注塑挤压成型设备
CN114179294A (zh) 一种排水板加工用挤出成型一体化装置
CN210453673U (zh) 电力电缆挤塑装置
CN211968381U (zh) 双螺杆挤出机的料条冷却装置
US20100117258A1 (en) Apparatus and method
CN110561726A (zh) 一种pvc建筑材料用成型设备
CN110871508A (zh) 应用聚苯乙烯塑料泡沫制取塑料颗粒的工艺方法
CN217531826U (zh) 一种电缆管挤出水雾冷却成型装置
CN220995064U (en) Anti-caking cooling forming equipment
CN213766974U (zh) 一种冰箱托盘塑料件加工模具
RU2319611C2 (ru)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и калибровки профильно-погонажных изделий из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получаемых методом экструзии
KR102338336B1 (ko) 합성수지패널의 홀 형성 가이드봉 냉각장치
CN104441548A (zh) 塑料棒材热压挤出装置及其热压挤出方法
CN209999668U (zh) 一种循环水冷却装置
CN218876092U (zh) 一种冷柜箱体框及其注塑模具
CN216708088U (zh) 一种便于冷却定型的挤塑板模具
CN214820302U (zh) 一种拉链下止注塑机
CN204278455U (zh) 塑料棒材热压挤出装置
CN220213434U (zh) 一种片剂药制粒装置
KR100622355B1 (ko) 폴리에틸렌 다공관,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