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566A -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566A
KR20100081566A KR1020090000860A KR20090000860A KR20100081566A KR 20100081566 A KR20100081566 A KR 20100081566A KR 1020090000860 A KR1020090000860 A KR 1020090000860A KR 20090000860 A KR20090000860 A KR 20090000860A KR 20100081566 A KR20100081566 A KR 2010008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pacer bar
bending
cylind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008B1 (ko
Inventor
강흥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영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영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영이노텍
Priority to KR1020090000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0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페이서바의 벤딩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과 이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된 본체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피딩휠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피딩구동부와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어 피딩휠에 일측이 지지된 스페이서바의 타측을 지지하는 피드베어링을 갖는 피딩지지부가 구비된 피딩부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피딩부를 통하여 이송된 스페이서바의 공급 유무를 확인하는 포토센서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조이닝홀딩실린더와 조이닝홀딩브래킷에 의해 포토센서를 통과한 스페이서바를 고정시키는 조이닝홀딩부가 구비된 조이닝부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스페이서바의 일측을 지지하는 벤딩지지돌기가 형성된 벤딩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는 벤딩구동부와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벤딩홀에 의해 벤딩구동부와 연결되어 벤딩홀을 따라 이동되며 스페이서바의 타측을 지지하는 벤딩로드가 구비된 벤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가 제공된다.
스페이서바, 복층유리, 피딩부, 홀딩부, 조이닝부, 펀칭부, 벤딩부, 커팅부, 라운딩부

Description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BENDING MACHINE OF SPACER BAR}
본 발명은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층유리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바를 복층유리의 형태 즉 사각형, 원형, 반호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층 유리는 두장의 유리 박판으로 구성되어 건축물 등의 방음, 방온 등 외부와의 차단 용재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실외의 외광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어 선호도가 증대되고 있다.
스페이서바(Spacer bar, 간봉이라고도 함)는 실외의 외광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복층 유리 내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복층 유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그 내부에 특수 가스나 공기를 주입하거나 또는 진공으로 유지하여 건축물 등의 방음, 방온 등 외부와의 차단 용재로 사용된다.
상기 스페이서바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8682호(1999.04.15) "간봉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가상의 수직선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이동프레임이 다수의 전후 이동링크를 매개로 전후이동 하도록 받침대 상부에 설치되고, 이동프레임의 좌우측으로 1쌍의 고정세로대가 이동프레임만큼 기울어져 받침대에 설치되며, 1쌍의 고정세로대에 가로로 연결되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된 이동가로대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다수의 안내로울러가 축설된 종축과, 이 종축과 대응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회전축에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축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송로울러로 구성되는 복층유리 제조공정의 간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세로대 하부에는 제2판유리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회전되도록 축설된 다수의 하부원뿔로울러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가로대에는 제2판유리의 상단부를 지지하면서 회전되는 다수의 상부원뿔로울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이송된 판유리에 간봉재를 부착시키는 작업과 간봉재부착유리 및 그 다음 판유리를 나란히 하는 작업을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봉재 자체를 판유리에 맞게 벤딩 작업을 하는 데에는 작업 공정이 달라 부적절한 면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페이서바를 복층유리의 형상에 맞게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스페이서바의 벤딩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과 이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된 본체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피딩휠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피딩구동부와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어 피딩휠에 일측이 지지된 스페이서바의 타측을 지지하는 피드베어링을 갖는 피딩지지부가 구비된 피딩부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피딩부를 통하여 이송된 스페이서바의 공급 유무를 확인하는 포토센서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조이닝홀딩실린더와 조이닝홀딩브래킷에 의해 포토센서를 통과한 스페이서바를 고정시키는 조이닝홀딩부가 구비된 조이닝부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스페이서바의 일측을 지지하는 벤딩지지돌기가 형성된 벤딩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는 벤딩구동부와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벤딩홀에 의해 벤딩구동부와 연결되어 벤딩홀을 따라 이동되며 스페이서바의 타측을 지지하는 벤딩로드가 구비된 벤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복층유리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바를 복층유리의 형상에 상응되게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펀칭부에 의해 스페이서바에 제습제홀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커팅부에 의해 스페이서바의 불필요한 부분을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라운딩부에 의해 스페이서바의 일부분 또는 전부분을 복층유리에 맞게 곡선 처리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홀딩부에 의해 스페이서바의 조이닝, 벤딩, 커팅, 라운딩 등의 작업시에 스페이서바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섯째,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부에 의해 각 작업 과정에서 스페이서바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일곱째, 피딩부의 실린더에 의해 스페이서바의 두께에 맞게 피딩지지부를 맞출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스페이서바를 사용할 수 있다.
여덟째, 조이닝부의 포토센서를 센서실린더에 의해 스페이서바의 높이에 맞출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스페이서바의 공급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아홉째, 펀칭부의 펀치커버를 펀치실린더에 의해 스페이서바의 크기에 맞게 이동시킬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스페이서바를 사용할 수 있다.
열번째, 벤딩부에는 벤딩 작업시 스페이서바의 일측을 가압 지지하는 푸시플레이트를 갖는 고정부실린더가 구비되어 벤딩 작업의 정밀성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한번째, 벤딩부에 설치된 노즐에 의해 펀칭부에서 발생된 스페이서바의 펀칭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열한번째, 커팅부에 설치된 클램프실린더에 의해 클램프를 스페이서바의 크기에 맞게 맞출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스페이서바를 사용할 수 있다.
열두번째, 커팅부에 설치된 커팅날실린더에 의해 커팅날이 고정된 커팅모터를 스페이서바의 크기에 맞게 이동시킬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스페이서바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롤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피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피딩부의 측면도이고,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홀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조이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펀칭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 은 도 7에 도시된 펀칭부의 측면도이고, 도 9 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벤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 은 도 9에 도시된 벤딩부의 측면도이고, 도 11 은 도 9에 도시된 벤딩부의 후면도이고, 도 12 는 도 9에 도시된 벤딩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3 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펀칭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 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커팅부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15 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커팅부를 도시한 상측 단면도이고, 도 16 은 도 14에 도시된 커팅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도 17 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라운딩부를 도시한 상측 단면도이고, 도 18 은 도 17에 도시된 라운딩부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19 는 도 17에 도시된 라운딩부의 후면도이고, 도 20 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1)는 본체(10), 롤러부(20), 피딩부(30), 홀딩부(40), 조이닝부(50), 펀칭부(60), 벤딩부(70), 커팅부(80), 라운딩부(90), 제어부(99)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베이스프레임(1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에는 피딩홀(12a,도3참조), 펀칭홀(12b,도8참조), 벤딩홀(12c,도9참조), 클램프지지로드홀(12d,도14참조), 커팅홀(12e,도13참조), 라운딩홀(12f,도19참조)이 형성된다.
롤러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바(200)가 유입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의 일측이 한 쌍이 이격 설치되는 롤러(21)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측 롤러(21)의 상측에 고정되어 스페이서바(200)를 지지하는 지지판(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바(200)가 유입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롤러브래킷(23)과 이 롤러브래킷(23)에 고정되는 롤러(21)를 포함할 수 있다.
피딩부(30)는 상기 롤러부(20)를 통해서 유입되는 스페이서바(200)를 후술할 홀딩부(40), 조이닝부(50) 등의 구성 요소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설치되어 스페이서바(200)를 이송시키는 피딩구동부(31)와,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스페이서바(200)의 타측을 지지하는 피딩지지부(32)로 구성된다. 이 피딩부(30)는 후술할 구성요소 사이에 다수 개로 설치된다.
상기 피딩구동부(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고정되는 브래킷(31a)과, 상기 브래킷(31a)에 고정되며 일측에 스페이서바(200)를 이송시키는 피딩휠(31ba)이 결합된 엔코더(31b)와, 상기 브래킷(31a)에 고정되며 일측이 상기 엔코더(31b)에 연결되어 피딩휠(31ba)을 회전시키는 피딩모터(31c)로 구성된다.
상기 피딩지지부(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고정되는 실린더브래킷(32a)과, 상기 실린더브래킷(32a)에 고정되며 일측에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위치하는 베어링브래킷(32ba)이 연결된 실린더(32b)와, 상기 베어링브래킷(32ba)에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휠(31ba)과 평행선상에 위치하는 피드베어링(32c)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브래킷(32ba)은 실린더(32b)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다양한 크기의 스페이서바(200)를 이송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피딩부(30)의 전후 방향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2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딩부(40)는 후술할 조이닝, 펀칭, 벤딩등의 작업시에 이송되는 스페이서바(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할 구성요소 사이에 다수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딩부(30)로부터 스페이서바(200)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다.
상기 홀딩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설치되는 홀딩브래킷(41)과, 상기 홀딩브래킷(41)과 이격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2)에 고정되는 홀딩실린더브래킷(42)과, 상기 홀딩실린더브래킷(42)에 고정되며 일측에 스페이서바(200)의 일측을 가압하는 푸시플레이트(43a)가 고정된 홀딩실린더(43)로 구성된다.
조이닝부(50)는 상기 피딩부(30)에서 이송되는 스페이서바(200)의 공급 유무 또는 조이닝부(50)를 통과한 스페이서바(200)의 역 이송 유무를 체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설치되어 스페이서바(200)의 통과 여부를 체크하는 센서부(51)와,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상기 센서부(51)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조이닝홀딩부(52)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고정되는 센서브래킷(51a)과, 상기 센서브래킷(51a)과 이격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고정되는 'ㄱ'자 형상의 지지브래킷(51b)과,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고정되는 센서실린더(51c)와,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센서실린더(51c)와 연결되며 바닥이 센서브래킷(51a)에 지지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센서지지판(51d)과, 상기 센서지지판(51d)에 고정되는 포지션브래킷(51e)과, 상기 포지션브래킷(51e)에 고정되어 스페이서바(200)의 통과 여부를 인식하는 포토센서(51f)와, 상기 센서지지판(51d)에 고정되어 스페이서바(200)의 일측을 지지하는 덮개판(51g)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이닝홀딩부(5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고정되는 조이닝홀딩브래킷(52a)과, 상기 조이닝홀딩브래킷(52a)과 이격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고정되는 조이닝홀딩실린더브래킷(52b)과, 상기 조이닝홀딩실린더브래킷(52b)에 고정되며 일측에 스페이서바(200)의 일측을 가압하는 조이닝푸시플레이트(52ca)가 결합된 조이닝홀딩실린더(52c)로 구성된다.
펀칭부(60)는 상기 조이닝부(50)로부터 이송되는 스페이서바(200)에 제습제홀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설치되는 커버실린더(61)와,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실린더(61)와 연결되며 일측에 포지션바(62a)가 고정된 펀치커버(62)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바(63a)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고정되는 펀치실린더(63)와, 상기 펀치실린더(63)의 일측에 고정되는 펀치브래킷(64)과, 상기 펀치브래킷(64)에 고정되어 베이스플레이트(12)에 형성된 펀칭홀(12b)을 통해 출입되는 펀치(65)와, 일측은 베이스플레이트(12)에 고정되고 타측은 펀치브래킷(64)에 고정되는 펀치가이드(66)와,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고정되어 스페이서바(200)의 일측을 지지하는 포지션블록(67)으로 구성된다.
상기 펀칭부(60)의 좌우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휠(31ba)과 피 드베어링(32c)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 펀칭부(6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조이닝부(50)에서 이송된 스페이서바(200)는 롤러(21)에 지지된 상태에서 포지션바(62a)의 이동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2)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펀치실린더(63)의 작동에 의해 펀치브래킷(64)이 펀치가이드(66)를 따라 전방(도 8 기준)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펀치(65)가 펀칭홀(12b)을 통과한 후 스페이스바에 제습홀(200a)을 형성한다. 한편, 펀칭부(60)는 다양한 크기의 스페이서바(200)에 사용될 수 있는 데 이는 펀치커버(62)가 커버실린더(61)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포시션바와 포지션블록(67)에 의해 스페이서바(200)의 위치가 세팅되기 때문이다.
벤딩부(70)는 이송되는 스페이서바(200)를 절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설치되어 스페이서바(200)를 고정시키는 벤딩고정부(71)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설치되어 스페이서바(200)를 절곡시키는 벤딩구동부(72)와, 상기 벤딩구동부(72)에 고정되어 절곡시 스페이서바(200)를 지지하는 벤딩로드(73)와,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설치되어 펀칭된 스페이서바(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습홀(200a)을 통해 에어로 불어내는 노즐(74)로 구성된다.
상기 벤딩고정부(71)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 의 전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벤딩지지돌기(71aa)가 형성된 벤딩플레이트(71a)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벤딩플레이트(71a)에 고정되는 고정축(71b)과, 상기 고정축(71b)의 타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고정축(71b)을 따라 이동되는 가압플레이트(71ca)가 연결된 고정부실린더(71c)로 구성된다.
상기 벤딩구동부(7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설치되며 내경에 베어링이 설치된 구동부하우징(72a)과, 상기 구동부하우징(72a)의 베어링에 끼워 맞춤 고정되는 회전블록(72b)과, 상기 회전블록(72b)의 일측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피동기어(72c)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저면에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피동기어(72c)와 치합되는 구동기어(72da)가 장착된 벤딩구동모터(72d)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벤딩구동모터(72d)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벤딩부엔코더(72e)로 구성된다.
상기 벤딩로드(73)는 베이스플레이트(12)에 형성된 벤딩홀(12c)을 통하여 회전블록(72b)에 고정되며, 벤딩 작업시 회전블록(72b)과 같이 회전되어 스페이서바(200)가 절곡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벤딩부(70)의 일측 즉 스페이서바(200)가 유입되는 방향에는 상기 피딩부(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 벤딩부(7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피딩부(30)를 통해 이송된 스페이서바(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벤딩지지돌기(71aa)에 지지되고 타측은 벤딩로드(73)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벤딩구동모터(72d)가 회전되면 구동기어(72da)가 회전되고, 이 구동기어(72da)와 치합된 피동기어(72c)가 회전된다. 피동기어(72c)가 회전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블록(72b)이 회전되고, 이 회전블록(72b)에 고정된 벤딩로드(7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블록(72b)과 같은 방향으로 벤딩홀(12c)을 따라서 회전된다. 이때, 스페이서바(200)의 일측은 벤딩지지돌기(71a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서바(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다.
커팅부(80)는 상기 벤딩부(70)나 후술할 라운딩부(90)에서 절곡 또는 굴곡 형성된 스페이서바(200)를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설치되는 커팅부하우징(81)과, 상기 커팅부하우징(81)에 수용되며 베이스플레이트(12)에 형성된 커팅홀(12e)을 통하여 출입되는 커팅날(82f)이 구비된 커팅날부(82)와,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돌출되는 클램프(83d)가 구비된 클램프부(83)와,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고정되어 스페이서바(200)를 지지하는 T-피스로 구성된다.
상기 커팅하우징의 내벽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날(82f)과 클램프(83d)가 승,하강시 슬라이딩 지지하는 커팅모터 LM가이드(81a)와 클램프 LM가이 드(81b)가 설치된다.
상기 커팅날부(8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부하우징(81)의 바닥에 고정되는 커팅날실린더(82a)와, 상기 커팅날실린더(82a)의 상측에 고정되는 디스턴스파이프(82b)와, 상기 디스턴스파이프(82b)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커팅모터 LM가이드(81a)에 고정되는 커팅모터브래킷(82c)과, 상기 커팅모터브래킷(82c)에 고정되는 커팅모터홀더(82d)와, 상기 커팅모터홀더(82d)에 고정되는 커팅모터(82e)와, 상기 커팅모터(82e)에 고정되는 커팅날(82f)로 구성된다.
상기 커팅날(82f)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모터(82e)에 고정되는 커팅날홀더(82g)에 끼워 맞춤 된 상태에서 커팅날홀더(82g)에 결합되는 커팅날너트(82h)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클램프부(8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부하우징(81)의 바닥에 고정되는 클램프실린더(83a)와, 상기 클램프실린더(83a)에 일측이 고정되는 링크플레이트(83b)와, 상기 링크플레이트(83b)의 타측에 고정되는 클램프지지로드(83c)와, 베이스플레이트(12)에 형성된 클램프지지로드홀(12d)을 통해 돌출된 클램프지지로드(83c)의 단부에 고정되며 커팅날홈(83fa)이 형성된 클램프(83d)와, 상기 클램프지지로드(83c)에 고정되어 클램프지지로드(83c)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LM가이드(81b)에 연결시키는 클램프캐리지(83e)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고정되며 커팅날홈(83fa)이 형성된 보조클램프(83f)로 구성된다.
상기 커팅부(80)에는 스페이서바(200)의 유입 여부를 확인하는 포토센서(51f)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도 16을 기준으로 커팅부(8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16a는 커팅 작동 전의 상태이고, 도 16b는 커팅 작업 중의 도면이다. 커팅 작동 전에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날(82f)이 커팅부하우징(81)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있고, 클램프(83d)는 베이스플레이트(12)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다. 커팅 작업 시작시에는 먼저 클램프실린더(83a)에 의해 클램프(83d)가 클램프 LM가이드(81b)를 따라 내려와서 스페이서바(200)를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커팅날실린더(82a)에 의해서 커팅모터(82e)가 고정된 커팅모터브래킷(82c)이 커팅모터 LM가이드(81a)를 따라 상승하면서 클램프(83d)에 고정된 스페이서바(200)를 절단한다. 절단작업이 완료되면 도 16a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라운딩부(9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위치하여 스페이서바(200)를 이송 지지하는 고정피드휠(91b)이 구비된 고정피드휠부(91)와, 상기 고정피드휠부(91)와 이격 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위치하는 이동피드휠(92g)이 구비되어 이송되는 스페이서바(200)를 원형 또는 타원 등의 형상으로 굴곡시키는 이동피드휠부(9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이격 설치되어 스페이서바(20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실린더부(93)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피드휠부(92)의 이동피드휠(92g)의 위치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9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피드휠부(91)는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고정되며 단부에 휠구동기어(91aa)가 결합된 고정피드휠구동모터(91a)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고정되며 내설된 베어링을 갖는 베어링하우징(미도시)과,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축 결합되는 고정피드휠(91b)과, 상기 고정피드휠(91b)의 축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휠구동기어(91aa)와 치합되는 고정피드휠기어(91c)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피드휠부(92)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고정되며 단부에 기어모터휠(92aa)이 결합된 구동휠기어모터(92a)와, 베이스플레이트(12)의 후면에 구동축(92b)에 의해 고정되는 구동휠기어하우징(92c)과, 상기 구동휠기어하우징(92c)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기어모터휠(92aa)과 치합되는 쿼터휠(92da)이 고정된 구동휠기어(92d)와, 상기 구동축(92b)의 단부에 고정되는 구동아이들기어휠(92e)과, 상기 구동휠기어하우징(92c)의 일측에 고정되는 이동피드휠하우징(92f)과,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피드휠하우징(92f)에 축 결합되는 이동피드휠(92g)과, 상기 이동피드휠(92g)의 축의 단부에 고정되는 피동아이들기어휠(92h)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실린더부(93)는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에 고정되는 앵글아암(93a)과, 상기 앵글아암(93a)에 고정되는 라운딩실린더(93b)와, 상기 라운딩실린더(93b)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 맞춤 결합되는 센터휠홀더(93c)와, 상기 센터휠홀더(93c)에 디스턴스링(93d)에 의해 고정되는 센터휠(93e)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라운딩부(9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스페이서바(2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피드휠(91b)에 지지되면서 이동피드휠(92g)로 이송된다. 적정 위치까지 이송되면 라운딩실린더(93b)에 의해 센터휠(93e)은 베이스플레이트(12)의 전면으로 이동되어 스페이서바(200)를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라운딩 작업을 하기 위해 구동휠기어모터(92a)가 작동되어 기어모터휠(92aa)이 회전된다. 기어모터휠(92aa)이 회전되면 이와 치합된 쿼터휠(92da)이 회전된다. 이 쿼터휠(92da)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휠기어(92d)에 고정되어 있고, 구동휠기어(92d)는 구동휠기어하우징(92c)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휠기어모터(92a)가 회전되면 구동휠기어하우징(92c)이 회전된다. 구동휠기어하우징(92c)이 회전되면 그 회전 반경만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피드휠(92g)이 베이스플레이트(12)에 형성된 라운딩홀(12f)을 따라서 곡선 이동된다. 그 결과, 이동피드휠(92g)의 회전 반경만큼 스페이서바(200)에 곡선부가 형성된다.
제어부(99)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전술한 피딩부(30), 홀딩부(40), 조이닝부(50), 펀칭부(60), 벤딩부(70), 커팅부(80)와 라운딩부(9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롤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피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피딩부의 측면도,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홀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조이닝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펀칭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은 도 7에 도시된 펀칭부의 측면도,
도 9 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벤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은 도 9에 도시된 벤딩부의 측면도,
도 11 은 도 9에 도시된 벤딩부의 후면도,
도 12 는 도 9에 도시된 벤딩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 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펀칭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 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커팅부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 15 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커팅부를 도시한 상측 단면도,
도 16 은 도 14에 도시된 커팅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17 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라운딩부를 도시한 상측 단면도,
도 18 은 도 17에 도시된 라운딩부의 측면 단면도,
도 19 는 도 17에 도시된 라운딩부의 후면도,
도 20 은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에 채용된 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10 : 본체
11 : 베이스프레임 12 : 베이스플레이트
12a : 피딩홀 12b : 펀칭홀
12c : 벤딩홀 12d : 클램프지지로드홀
12e : 커팅홀 12f : 라운딩홀
20 : 롤러부 21 : 롤러
22 : 지지판 23 : 롤러브래킷
30 : 피딩부 31 : 피딩구동부
31a : 브래킷 31b : 엔코더
31ba : 피딩휠 31c : 피딩모터
32 : 피딩지지부 32a : 실린더브래킷
32b : 실린더 32ba : 베어링브래킷
32c : 피드베어링 40 : 홀딩부
41 : 홀딩브래킷 42 : 홀딩실린더브래킷
43 : 홀딩실린더 43a :푸시플레이트
50 : 조이닝부 51 : 센서부
51a : 센서브래킷 51b : 지지브래킷
51c : 센서실린더 51d : 센서지지판
51e : 포지션브래킷 51f :포토센서
51g : 덮개판 52 : 조이닝홀딩부
52a : 조이닝홀딩브래킷 52b : 조이닝홀딩실린더브래킷
52c : 조이닝홀딩실린더 52ca : 조이닝푸시플레이트
60 : 펀칭부 61 : 커버실린더
62 : 펀치커버 62a : 포지션바
63 : 펀치실린더 63a : 갭바
64 : 펀치브래킷 65 : 펀치
66 : 펀치가이드 67 : 포지션블록
70 : 벤딩부 71 : 벤딩고정부
71a : 벤딩플레이트 71aa : 벤딩지지돌기
71b : 고정축 71c : 고정부실린더
71ca : 가압플레이트 72 : 벤딩구동부
72a : 구동부하우징 72b : 회전블록
72c : 피동기어 72d : 벤딩구동모터
72da : 구동기어 72e : 벤딩부엔코더
73 : 벤딩로드 74 : 노즐
80 : 커팅부 81 : 커팅부하우징
81a : 커팅모터 LM가이드 81b : 클램프 LM가이드
82 : 커팅날부 82a : 커팅날실린더
82b : 디스턴스파이프 82c : 커팅모터브래킷
82d : 커팅모터홀더 82e : 커팅모터
82f : 커팅날 82g : 커팅날홀더
82h : 커팅날너트 83 : 클램프부
83a : 클램프실린더 83b : 링크플레이트
83c : 클램프지지로드 83d : 클램프
83e : 클램프캐리지 83f : 보조클램프
83fa : 커팅날홈 90 : 라운딩부
91 : 고정피드휠부 91a : 고정피드휠구동모터
91aa : 휠구동기어 91b : 고정피드휠
91c : 고정피드휠기어 92 : 이동피드휠부
92a : 구동휠기어모터 92aa : 기어모터휠
92b : 구동축 92c : 구동휠기어하우징
92d : 구동휠기어 92da : 쿼터휠
92e : 구동아이들기어휠 92f : 이동피드휠하우징
92g : 이동피드휠 92h : 피동아이들기어휠
93 : 지지실린더부 93a : 앵글아암
93b : 라운딩실린더 93c : 센터휠홀더
93d : 디스턴스링 93e : 센터휠
94 : 리미트 스위치 99 : 제어부
200 : 스페이서바 200a : 제습홀

Claims (13)

  1. 스페이서바의 벤딩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된 본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피딩휠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피딩구동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딩휠에 일측이 지지된 상기 스페이서바의 타측을 지지하는 피드베어링을 갖는 피딩지지부가 구비된 피딩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피딩부를 통하여 이송된 스페이서바의 공급 유무를 확인하는 포토센서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조이닝홀딩실린더와 조이닝홀딩브래킷에 의해 상기 포토센서를 통과한 스페이서바를 고정시키는 조이닝홀딩부가 구비된 조이닝부;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스페이서바의 일측을 지지하는 벤딩지지돌기가 형성된 벤딩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는 벤딩구동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벤딩홀에 의해 상기 벤딩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벤딩홀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스페이서바의 타측을 지지하는 벤딩로드가 구비된 벤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펀치커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는 펀치실린더와, 일측이 상기 펀치실린더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펀치홀을 통하여 상기 스페이서바를 펀칭하는 펀치가 구비된 펀칭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벤딩부를 통과한 스페이서바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클램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는 커팅모터와, 상기 커팅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커팅홀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된 스페이서바를 절단하는 커팅날이 구비된 커팅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벤딩부에서 이송된 스페이서바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피드휠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스페이스바의 타측을 지지하는 센터휠을 갖는 라운딩실린더와, 상기 베이스플레이 트의 타측에 설치되어 구동휠기어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휠기어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휠기어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라운딩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스페이서바를 라운딩되게 하는 이동피드휠이 구비된 라운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홀딩브래킷과, 상기 홀딩브래킷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홀딩실린더브래킷과, 상기 홀딩실린더브래킷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스페이서바를 가압하는 푸시플레이트를 갖는 홀딩실린더가 구비된 홀딩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의 피딩지지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센서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의 펀치커버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펀치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벤딩플레이트와 상응되는 푸시플레이트가 결합된 고정부실린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노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의 클램프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클램프실린더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의 커팅모터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커팅날실린더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KR1020090000860A 2009-01-06 2009-01-06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KR10103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860A KR101036008B1 (ko) 2009-01-06 2009-01-06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860A KR101036008B1 (ko) 2009-01-06 2009-01-06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566A true KR20100081566A (ko) 2010-07-15
KR101036008B1 KR101036008B1 (ko) 2011-05-23

Family

ID=4264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860A KR101036008B1 (ko) 2009-01-06 2009-01-06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0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5362A (zh) * 2023-05-15 2023-07-04 张家港市仁和精机科技有限公司 一种中空玻璃的一体化成型设备
KR102561403B1 (ko) * 2023-01-27 2023-07-28 지석근 이중유리에 사용되는 간봉재 벤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604B1 (ko) * 2018-04-24 2018-08-08 신범수 스페이서 오토벤딩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03404T3 (es) * 1992-09-15 1997-09-16 Piegatrici Macch Elettr Dispositivo para realizar curvas y metodo relativo al mismo.
KR100562346B1 (ko) * 1997-12-30 2006-09-06 가부시끼 가이샤 오프톤 벤딩장치
KR100297467B1 (ko) * 1998-12-31 2001-10-26 박종만 파이프벤딩기
KR100319904B1 (ko) * 1999-04-29 2002-01-16 이한세 파형강판용 벤딩장치 및 그 사용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403B1 (ko) * 2023-01-27 2023-07-28 지석근 이중유리에 사용되는 간봉재 벤딩장치
CN116375362A (zh) * 2023-05-15 2023-07-04 张家港市仁和精机科技有限公司 一种中空玻璃的一体化成型设备
CN116375362B (zh) * 2023-05-15 2023-08-08 张家港市仁和精机科技有限公司 一种中空玻璃的一体化成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008B1 (ko) 201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3886B2 (ja) 位置決め搬送装置
CN109414832B (zh) 多层型片加工装置
CN201291630Y (zh) 一种自动对位贴膜机
KR101036008B1 (ko) 스페이서바의 벤딩장치
KR100772727B1 (ko) 용접 대상물 지지장치
CN205114469U (zh) 一种90度下料旋转机构
KR101656675B1 (ko) 로봇을 이용한 이송장치
CN108996305B (zh) 一种医用纱布折叠机
ATE550162T1 (de)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papier und anderen aufgerollten grafischen substraten in zwei senkrechten achsen gleichzeitig mit automatischer fehlerkorrektur
KR101305154B1 (ko) 지관용 파이프의 단면 가공장치
KR101359426B1 (ko) 파이프 롱심 밀링장치
CN116140872A (zh) 一种摄像头自动焊接机
CN113427558B (zh) 一种覆铜板自动化切割设备
KR200451025Y1 (ko) 스페이서바의 벤딩부
KR20170070501A (ko) 금속 판재용 삼면 면취 가공장치
EP2279972A1 (en) Vertical working center for flat glass sheets
KR101899387B1 (ko)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KR101035691B1 (ko) 스페이서바의 오토 벤더
WO2015119584A1 (en) Shaft cutting machine that is able to cut short size shaft
CN211027613U (zh) 板材折弯机辅助装置
JPH06198443A (ja) 回転機械用羽根車自動ロボット溶接装置
CN219791551U (zh) 板材输送装置及板材加工生产线
CN212558245U (zh) 翻转夹紧装置及输送设备
CN211392916U (zh) 物料翻转机构
CN220217634U (zh) 一种金属板材分条机用翻转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